KR20140014924A -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924A
KR20140014924A KR1020120082285A KR20120082285A KR20140014924A KR 20140014924 A KR20140014924 A KR 20140014924A KR 1020120082285 A KR1020120082285 A KR 1020120082285A KR 20120082285 A KR20120082285 A KR 20120082285A KR 20140014924 A KR20140014924 A KR 2014001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folding
folded
retainer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859B1 (ko
Inventor
권해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2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859B1/ko
Priority to CN201310287947.0A priority patent/CN103569022B/zh
Publication of KR2014001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테이너를 기준으로 하부의 크기가 상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를 상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턱인 폴딩하여 하부 턱인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상부를 하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폴딩하고, 상기 하부 턱인부를 상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폴딩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폴딩된 상부와 상기 폴딩된 하부 턱인부를 상기 리테이너의 전방측에 겹치도록 폴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처짐과 윈드쉴드 손상을 최소화하는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Method for folding the air-bag cushion}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개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백 장치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 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순간적으로 에어백 쿠션이 팽창되면서 운전자 및 승객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차량용 에어백은 핸들에 장착되어 운전석의 운전자를 보호하는 운전자용 에어백(Driver Air-Bag)과, 수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조수석의 승객을 보호하는 조수석 에어백(Passenger Air-Bag)으로 구분된다. 운전자용 에어백은 필수사양이고 조수석 에어백은 선택사양이지만, 최근 동승자의 보호를 위하여 조수석 에어백을 필수 사양으로 하는 차량이 증가되고 있다.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가스를 분출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에 의해 조수석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을 지지하고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를 상기 에어백 쿠션으로 방출하도록 형성된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 전개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상/하 동시 전개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하 동시 전개시 윈드쉴드와 간섭량이 증대되어 윈드쉴드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에어백 쿠션의 전개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에어백 쿠션의 전개 중 윈드쉴드의 파손을 방지하는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은, 리테이너를 기준으로 하부의 크기가 상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를 상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턱인 폴딩하여 하부 턱인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상부를 하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폴딩하고, 상기 하부 턱인부를 상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폴딩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폴딩된 상부와 상기 폴딩된 하부 턱인부를 상기 리테이너의 전방측에 겹치도록 폴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에어백 쿠션의 전개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에어백 쿠션이 전개시, 윈드쉴드의 파손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이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나태낸 측단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중 제1단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중 제2단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중 제3단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d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중 제4단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중 1단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중 2단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중 3단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전개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에어백 쿠션(100)의 폴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이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나태낸 측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100)은 인플레이터(200)가 장착되는 리테이너(130)를 기준으로 하여 하부(120)의 크기가 상부(1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에어백 쿠션(100)의 상부(110)의 크기가 하부(12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에어백 쿠션(100)의 상부(110)가 전개시, 상부(110)의 볼륨을 작게하여 윈드쉴드(500)에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0)이 전개되더라도 윈드쉴드(500)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에어백 쿠션(100)의 하부(120)가 크게 형성되기에 에어백 쿠션(100)의 전개시 하부(120)의 처짐이 발생하기에 승객의 무릎(K)을 보호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200)란 고온, 고압의 가스를 방출하는 장치로서 차량 충돌시 리테이너(130)를 통해서 에어백 쿠션(100)에 가스를 충진하여 에어백 쿠션(100)이 승객을 향해 전개되도록 한다.
에어백 쿠션(100)의 상부(110)는 전개시 윈드쉴드(500)와 접촉하게 되고, 하부(120)는 전개시, 승객과 접촉하게 되어 승객을 보호하게 된다.
에어백 쿠션(100)은 좌우 양측면부(140)에 충진된 어에백 쿠션 내의 가스가 밖으로 방출되는 벤트홀(141)이 각각 형성된다.
리테이너(130)는 인플레이터(200)가 장착되도록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홀을 형성한다.
에어백 쿠션(100)은 승객을 향해 전개되기에 승객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0)은 부드러운 패브릭(fabric)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백 쿠션(100)은 후술할 폴딩방법에 의해 에어백 모듈(10)의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된다.
에어백 쿠션(100)을 구비한 에어백 모듈(10)은 조수석측에 배치되며, 보통 차량의 글로브 박스 상측에 배치된다. 에어백 모듈(10)은 승객이 볼 수 없도록 인스트루먼트패널(400)로 덮혀 있다. 그러나 에어백 쿠션(100)이 전개시, 에어백 쿠션(100)은 인스트루먼트패널(400)을 개방하면서 승객을 향해 전개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100)의 폴딩 방법을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중 제1단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중 제2단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중 제3단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d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중 제4단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중 1단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중 2단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중 3단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a과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100)의 폴딩 방법은 4단계로 이루어 진다.
제1단계는 리테이너(130)를 기준으로 하부(120)의 크기가 상부(110)의 크기보다 큰 에어백 쿠션(100)의 하부(120)를 상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폴딩하여 하부 턱인부(121)를 형성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번만 턱인 폴딩된다.
또한, 에어백 쿠션(100)의 상부(110)를 하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턱인 폴딩하여 상부 턱인부(111)를 형성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에어백 쿠션(100)의 상부(110)에 상부 턱인부(111)가 형성되지 않을 수 도 있다. 그러나 상부 턱인부(111)는 형성되지 않거나 형성된다고 하여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턱인(tuck in) 폴딩이란, 끝단을 폴딩하여 안쪽으로 숨기는 폴딩방법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백 쿠션(100)의 하부(120)의 끝단을 폴딩한 부분이 승객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100)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맞대어 지도록 턱인 폴딩하여 하부 턱인부(121)를 형성하게 된다.
제2단계는 에어백 쿠션(100)의 상부(110)를 하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폴딩하고, 하부 턱인부(121)를 상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폴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백 쿠션(100)의 상부(110)를 하측으로 한번 폴딩하였고, 하부 턱인부(121)를 상측으로 한번 폴딩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110)와 하부 턱인부(121)의 폴딩 횟수가 다를 수 있다.
폴딩된 상부(110)의 상하폭은 리테이너(130)의 상하폭의 1/2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후술할 바와 같이 폴딩된 상부(110)와 폴딩된 하부 턱인부(121)를 겹치도록 폴딩할 때에 에어백 쿠션(100)의 공간을 최소화하며 폴딩할 수 있다. 다만, 폴딩된 상부(110)의 상하폭이 리테이너(130)의 상하폭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해서는 안될 것이다.
폴딩된 하부 턱인부(121)의 상하폭은 리테이너(130)의 상하폭의 1/2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폴딩된 상부(110)와 폴딩된 하부 턱인부(121)를 겹치도록 폴딩할 때에 에어백 쿠션(100)의 공간을 최소화하며 폴딩할 수 있다. 다만, 폴딩된 하부 턱인부(121)의 상하폭이 리테이너(130)의 상하폭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해서는 안될 것이다.
제3단계는 폴딩된 에어백 쿠션(100)의 상부(110)와 폴딩된 하부 턱인부(121)를 리테이너(130)의 전방측에 겹치도록 폴딩한다. 폴딩된 상부(110)와 폴딩된 하부 턱인부(121)가 겹쳐진 부분의 상하폭은 리테이너(130)의 상하폭의 1/2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접혀진 에어백 쿠션(100)의 상하폭이 리테이너(130)의 상하폭과 같도록 한다.
폴딩된 하부 턱인부(121)가 폴딩된 에어백 쿠션(100)의 상부(110)의 전방측에 배치됨으로서, 에어백 쿠션(100)이 전개시 에어백 쿠션(100)의 하부(120) 끝단이 윈드쉴드(500)에 먼저 접속하게 된다. 이때 에어백 쿠션(100)의 하부(120) 끝단이 윈드쉴드(500)에 스치면서 전개됨으로서 윈드쉴드(500)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4단계는 상하로 폴딩된 에어백 쿠션(100)의 양측면부(140)를 리테이너(130)측으로 폴딩하는 단계이다. 에어백 쿠션(100)의 양측면부(140)를 폴딩하는 방법으로는 롤 폴딩, 지그재그 폴딩 및 턱인 폴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폴딩된다. 에어백 쿠션(100)의 양측면부(140)는 동일한 형상으로 폴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백 쿠션(100)의 양측면부(140)는 턱인 폴딩방법에 의해 폴딩된다.
지그 재그 폴딩이란, 에어백 쿠션(100)의 측면부(140)를 맞은 편을 향해 폴딩한 뒤에 일측으로 폴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폴딩하는 방법을 말하며, 롤 폴딩이란, 에어백 쿠션(100)의 측면부(140)를 롤처럼 돌돌 말아서 폴딩하는 방법을 말한다.
리테이너(130)는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100)은 리테이너(130)의 주변까지만 폴딩할 수 있다.
이렇게 폴딩된 에어백 쿠션(100)은 리테이너(130)에 인플레이터(2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쿠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전개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에어백 쿠션(100)의 전개를 설명하면, 차량이 충돌하기 전에 에어백 모듈(10)은 조수석에 있는 인스트루먼트패널(40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ACU(Air-bag control unit)(미도시)는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여 인플레이터(200)에서 고온, 고압의 가스를 발생하도록 한다. 인플레이터(200)에서 발생한 고온, 고압의 가스는 리테이너(130)를 통해 에어백 쿠션(100)으로 유입된다.
에어백 쿠션(100)으로 고온, 고압의 가스가 유입됨으로서, 에어백 쿠션(100)은 인스트루먼트패널(400)을 개방하면서 전개하게 된다.
먼저, 에어백 쿠션(100)의 하부(120)가 승객을 향해 빠르게 전개하게 된다. 에어백 쿠션(100)의 하부(120)가 전개시, 에어백 쿠션(100)의 하부(120) 끝단이 윈드쉴드(500)와 먼저 접촉한다. 이때, 에어백 쿠션(100)의 하부(120) 끝단은 윈드쉴드(500)를 스치면서 전개되어 윈드쉴드(500)에 가해지는 힘은 최소화된다.
에어백 쿠션(100)의 하부(120)가 승객을 향해 일정 부분 전개된 후에는 에어백 쿠션(100)의 상부(110)도 승객을 향해 전개된다.
에어백 쿠션(100)의 상부(110)는 에어백 쿠션(100)의 하부(120)보다 크기가 작기에 전개되는 볼륨이 작다. 따라서, 전개되는 볼륨이 작은 에어백 쿠션(100)의 상부(110)는 윈드쉴드(500)와 접촉하더라도 윈드쉴드(500)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0)이 전개되더라도 윈드쉴드(5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백 쿠션(100)의 하부(120)는 승객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전개되다가 일정시간이 지나면 승객의 무릎(K)을 향해 하방 전개를 하게된다. 이에 승객의 무릎(K)을 보호하게 된다.
에어백 쿠션(100)이 고온, 고압의 가스로 충진되어 전개가 완전히 발생한 후에는 에어백 쿠션(100)의 좌우 양측면부(140)에 형성된 벤트홀(141)을 통해 가스가 밖으로 유출된다. 이에 에어백 쿠션(100)은 작아지게 되고, 에어백 쿠션(100)이 전개함으로서 승객에게 가한 압력도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에어백 모듈 100: 에어백 쿠션
110: 상부 120: 하부
121: 하부 턱인부 130: 리테이너
140: 측면부 141: 벤트홀
200: 인플레이터 300: 에어백 하우징
400: 인스트루먼트패널 500: 윈드쉴드
K: 무릎

Claims (10)

  1. 리테이너를 기준으로 하부의 크기가 상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를 상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턱인 폴딩하여 하부 턱인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상부를 하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폴딩하고, 상기 하부 턱인부를 상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폴딩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폴딩된 상부와 상기 폴딩된 하부 턱인부를 상기 리테이너의 전방측에 겹치도록 폴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양측면부를 상기 리테이너 측으로 폴딩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된 상부의 폭은 상기 리테이너 폭의 1/2보다 크게 형성되는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된 하부 턱인부의 폭은 상기 리테이너 폭의 1/2보다 크게 형성되는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된 상부와 상기 폴딩된 하부 턱인부가 겹쳐진 부분의 폭은 상기 리테이너 폭의 1/2보다 크게 형성되는 에어백 쿠션의 폴딩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된 상부는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폴딩된 하부 턱인부사이에 배치되도록 겹쳐지는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상부를 하측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턱인 폴딩하여 상부 턱인부를 형성하는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 내에 충전된 가스가 유출되는 벤트홀이 형성되는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부는 지그재그 폴딩, 턱인 폴딩 및 롤 폴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폴딩되는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부는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폴딩되는 에어백 쿠션의 폴딩방법.
KR1020120082285A 2012-07-27 2012-07-27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KR101936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285A KR101936859B1 (ko) 2012-07-27 2012-07-27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CN201310287947.0A CN103569022B (zh) 2012-07-27 2013-07-10 安全气囊垫的折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285A KR101936859B1 (ko) 2012-07-27 2012-07-27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924A true KR20140014924A (ko) 2014-02-06
KR101936859B1 KR101936859B1 (ko) 2019-01-09

Family

ID=5004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285A KR101936859B1 (ko) 2012-07-27 2012-07-27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6859B1 (ko)
CN (1) CN10356902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0532A (zh) * 2022-08-30 2022-11-11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安全气囊折叠方法及安全气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852B1 (ko) * 2014-10-29 2021-03-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의 제조방법
CN111591243B (zh) * 2019-02-05 2022-10-25 丰田合成株式会社 副驾席用气囊装置
CN117984937A (zh) * 2022-10-28 2024-05-07 采埃孚汽车安全系统(日照)有限公司 气袋折叠方法、气袋和顶置式安全气囊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511A (ja) * 1998-05-11 1999-11-24 Takata Kk 助手席用エアバッグ及びその折り畳み方法
US20050070414A1 (en) * 2003-09-11 2005-03-31 Schneider David W. Cushion fold patterns for overhead airbags
JP4396492B2 (ja) * 2004-11-26 2010-01-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エアバッグ装置
JP4996447B2 (ja) * 2007-12-25 2012-08-08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構造
JP5641637B2 (ja) * 2009-12-23 2014-12-17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5652784B2 (ja) * 2011-01-14 2015-01-1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CN102431518A (zh) * 2011-10-25 2012-05-02 贵州航天凯峰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安全气囊的折叠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0532A (zh) * 2022-08-30 2022-11-11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安全气囊折叠方法及安全气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859B1 (ko) 2019-01-09
CN103569022B (zh) 2016-06-08
CN103569022A (zh)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4750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491739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26362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486496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30045058A (ko) 자동차용 무릎 에어백
KR101647445B1 (ko) 차량용 에어백
KR20140014924A (ko)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JP6450833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6153262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936860B1 (ko)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KR100938327B1 (ko) 무릎 에어백
JP2014065433A (ja) エアバッグ
KR20120040539A (ko) 후석 에어백 장치
KR20100136236A (ko) 무릎에어백의 폴딩방법
KR101684993B1 (ko) 에어백 모듈
KR20150054573A (ko) 차량용 에어백
JP603711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5096560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
KR20180024871A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KR20180055980A (ko)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KR20110138673A (ko) 무릎 에어백장치
US20210237674A1 (en) Compact knee airbag
JP2006044478A (ja) エアバッグ
JP624968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40014928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