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254A -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254A
KR20140014254A KR1020137030868A KR20137030868A KR20140014254A KR 20140014254 A KR20140014254 A KR 20140014254A KR 1020137030868 A KR1020137030868 A KR 1020137030868A KR 20137030868 A KR20137030868 A KR 20137030868A KR 20140014254 A KR20140014254 A KR 20140014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access point
time interval
determining
u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아가 난다고팔
사티아나쓰 아제이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4001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82Utilisation of link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94Packet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Wi-Fi 액세스 포인트 또는 셀룰러 기지국과 같은, 무선 통신 노드와 연관된 부하 단위를 결정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노드에 의해 송신된 프레임들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시간 간격 단위가 결정되고, 상기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프레임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와 연관된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결정된다. 적어도 상기 노드와 연관된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수 및 상기 시간 간격 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와 연관된 부하 단위가 결정된다. 시스템들 및 장치가 또한 기술된다.

Description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고, 특히, 무선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잘 알려지고 널리 사용된다. Wi-Fi(Wireless fidelity) 통신 네트워크들은 전형적으로 각각의 Wi-Fi 액세스 포인트의 가까운 범위 내의 접속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한다.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들은 전형적으로 대응하는 영역들 또는 셀들을 서빙하도록 지리적으로 위치된 복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한다. 무선 전화기들,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랩톱 컴퓨터들과 같은 일부 이동국들은 셀룰러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또는 둘 다를 통한 통신 능력을 갖는다.
사용되는 무선 기술과 상관없이,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한 통신 시 사용자의 경험은 이용가능한 대역폭의 양에 영향을 받는다. 노드(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에서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결정하기 위한 현재 방법들은 시간 소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중앙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시스템 내의 다양한 노드들에서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요청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노드와 연관된 부하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모바일 폰 또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능력을 갖는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노드에 의해 송신된 프레임들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시간 간격 단위(time interval measure)가 결정되고, 상기 노드와 연관된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상기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프레임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상기 노드와 연관된 부하 단위는 적어도 상기 노드와 연관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수 및 상기 시간 간격 단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노드는 Wi-Fi 액세스 포인트이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선택된 채널을 통해 송신된 임의의 프레임의 수신을 인에이블하는 모드로 들어간다. 프레임은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된 상기 프레임의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다.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상기 프레임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상기 어드레스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상기 부하 단위는 상기 시간 간격 단위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수를 나눔으로써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프레임들을 검사한다. 상기 시간 간격 단위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상기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프레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시간 간격 단위를 결정하는 단계,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부하 단위를 결정하는 단계들은 상기 선택된 채널과 연관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제 2 채널과 연관된 제 2 액세스 포인트가 식별될 수 있고, 상기 시간 간격 단위를 결정하는 단계,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부하 단위를 결정하는 단계들은 제 2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노드는 셀룰러 기지국이다.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상기 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들의 활용률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활용 값이 결정된다. 상기 기지국과 연관된 부하 단위는 상기 기지국과 연관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수, 상기 시간 간격 단위, 및 상기 서브프레임 활용 값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상기 시간 간격 단위를 결정하는 단계,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결정하는 단계, 서브프레임 활용 값 결정 단계, 및 부하 단위를 결정하는 단계들은 제 2 기지국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부하 단위들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 및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최저 부하 단위를 갖는 노드가 선택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선택된 노드에 결합 또는 접속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양한 노드들을 식별하는 정보 및 대응하는 부하 단위들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에게 원하는 노드를 선택하도록 옵션이 주어질 수 있다. 노드의 선택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될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선택된 노드에 결합 또는 접속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장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예시적인 사용자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Wi-Fi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예시적인 비컨 프레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Wi-Fi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예시적인 프레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셀룰러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예시적인 셀룰러 프레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셀룰러 프레임의 예시적인 DL-MAP 필드 내의 몇몇 서브 프레임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노드와 연관된 부하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05),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115-A, 115-B, 115-C), 및 복수의 기지국들(120-A, 120-B, 120-C)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160)와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접속성을 달성하도록 통신 시스템(100)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105)는 데이터가 송신되는 IP(Internet Protocol) 백본(108)을 포함한다. 네트워크(105)는 광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들에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105)는 예를 들어, 인터넷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105)는 예를 들어,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무선 네트워크, 광섬유 채널-기반 SAN(storage area network), 또는 이더넷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수의 상이한 유형들의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네트워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105)는 상이한 유형들의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115)는 Wi-Fi 얼라이언스(alliance)에 의해 제공된 Wi-Fi 표준들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주변의 로컬 영역에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제공한다. 두 액세스 포인트들(115)의 상기 WLAN들은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115)는 상기 Wi-Fi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60)로 무선 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들의 용도 및 Wi-Fi 프로토콜들의 용도는 공지되어 있다.
기지국들(12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200) 프로토콜, WCDMA(wideband-CDMA) 프로토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프로토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프로토콜,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셀룰러 통신을 위한 무선 접속성을 사용자 디바이스(160)에 제공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을 위한 다른 프로토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3G 프로토콜들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들의 용도 및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들의 용도는 공지되어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네트워크(105)를 통해 사용자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사용자 디바이스(160)의 기능적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트랜시버(210), 프로세서(220), 메모리(230),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40), 안테나(260), 및 디스플레이(270)를 포함한다.
트랜시버(210)는 안테나(260)를 통해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60)의 전체 기능은 메모리(230)에 저장되고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기를 원할 때 메모리(230)로 로딩되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함으로써 동작하는 프로세서(220)에 의해 제어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사용자 디바이스(160)의 전체 동작을 규정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하에 기술되고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방법 단계들은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는 상기 프로세서(2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예를 들어, 이하에 기술되고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방법 단계들에 의해 규정된 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당업자에 의해 프로그램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어, 이하에 기술되고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방법 단계들에 의해 규정된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메모리(23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하나 이상의 디스크 드라이브들, 자기 디스크, CD ROM,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적응된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6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할 수 있는 다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적어도 내장된 정보가 사용자 디바이스(160)로의 전원이 턴 오프된 후에도 유지되는, 비-휘발성 부분을 가진다. 도 2가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메모리(230)를 도시하지만, 메모리(230)는 별도의 메모리 유닛들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70)는 사용자에게 이미지들, 텍스트, 웹 페이지들, 및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70)는 모바일 전화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스크린일 수 있다.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40)은 사용자들로부터 및/또는 환경으로부터 다양한 유형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40)은 키패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들,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피커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이라는 것이 이해된다. 무선 디바이스들의 디자인 및 동작은 당업계에 공지되고 다양한 수정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모바일 폰, 개인 정보 단말,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무선 통신 능력을 갖는 개인용 컴퓨터, 랩톱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메인프레임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Wi-Fi 표준들에 따라,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115)는 프레임이라고 참조되는 데이터 패킷을 가끔 송신한다. 도 3a는 비컨 프레임이라고 참조되는 예시적인 Wi-Fi 프레임(300)을 도시한다. 비컨 프레임(300)은 이 프레임이 비컨 프레임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유형(FRAME TYPE) 필드(303), 및 상기 프레임을 송신한 특정한 액세스 포인트(115)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ID(ACCESS POINT ID) 필드(305)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필드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Wi-Fi 액세스 포인트(115)는 또한 도 3b에 도시된 프레임(32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다른 유형들의 프레임들을 가끔 송신할 수 있다. 프레임(320)은 소스 MAC 어드레스(SOURCE MAC ADDRESS) 필드(330) 및 목적지 MAC 어드레스(DESTINATION MAC ADDRESS) 필드(360)를 포함하는 다수의 필드들을 포함한다. 소스 MAC 어드레스 필드(330)는 상기 프레임을 송신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목적지 MAC 어드레스 필드(360)는 상기 프레임이 지향된 사용자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기존의 셀룰러 표준들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120)은 상기 기지국을 현재 사용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들로 특정한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공통 제어 채널로서 참조되는, 규정된 채널을 사용한다. 각각의 기지국은 또한 다양한 사용자 디바이스들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다운링크 데이터 제어 채널을 사용하고, 사용자 디바이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업링크 데이터 제어 채널을 사용한다. 가끔, 각각의 기지국(120)은 상기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될 후속 프레임의 타임 슬롯들의 할당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제어 채널의 타임 슬롯들의 할당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셀룰러 프레임을 송신한다. 도 4a는 기지국(120)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예시적인 셀룰러 프레임(400)의 예이다. 프레임(400)은 상기 셀룰러 프레임을 송신하는 상기 기지국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ID(BASE STATION ID) 필드(405), 다운링크 맵(DL-MAP) 필드(410), 및 업링크 맵(UL-MAP) 필드(445)를 포함한다. DL-MAP 필드(41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한다. 도 4b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들(481 내지 485)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될 후속 프레임의 시간 슬롯들의 할당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서브프레임(481)은 후속 프레임의 대응하는 서브채널이 사용자 디바이스(X-1)로 지향된 정보를 포함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서브프레임(482)은 후속 프레임의 대응하는 서브채널이 사용자 디바이스(X-2)로 지향된 정보를 포함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서브프레임(483)은 후속 프레임의 대응하는 서브채널이 사용자 디바이스(X-3)로 지향된 정보를 포함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서브프레임들(484 및 485)은 상기 후속 프레임의 대응하는 서브채널들이 할당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UL-MAP 필드(445)는 DL-MAP 필드(41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UL-MAP 필드(445)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제어 채널의 타임 슬롯들의 할당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통신 시스템(100)에서 무선 접속성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노드들을 식별하고, 각각의 노드와 연관된 부하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기 용어 노드의 의미는 액세스 포인트(115)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 및 기지국(120)과 같은 기지국을 포괄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115)을 식별하고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부하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20)을 식별하고 각각의 기지국과 연관된 부하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115) 및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20)을 식별하고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부하 단위 및 각각의 기지국과 연관된 부하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전화 통화를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160)를 채용하기 원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160)를 턴 온한다고 가정한다. 턴 온된 후,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Wi-Fi 표준들에 따라 난잡한 모드에 들어간다. 상기 난잡한 모드는 사용자 디바이스(160)가 특정한 Wi-Fi 채널들을 통해 특정한 유형들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난잡한 모드의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선택된 Wi-Fi 채널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임의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Wi-Fi 프로토콜과 연관된 채널들을 규정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802.11g Wi-Fi 프로토콜과 연관된 13개의 채널들을 규정하는 정보를 보유하는 Wi-Fi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선택된 Wi-Fi 채널에 액세스하고 상기 채널을 통해 송신될 상기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은 사용자 디바이스(160), 예를 들어, 안테나(260)에 의해 수신된다. 공지된 방식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비컨 프레임(300)과 같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비컨 프레임을 식별하고, 상기 비컨 프레임의 액세스 포인트 ID 필드(305)를 검사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한다.
액세스 포인트(115)를 식별한 후,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선택된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다른 프레임들을 수신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예를 들어, 도 3b의 프레임(320)과 유사한 프레임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T) 동안 상기 선택된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기간 동안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임의의 프레임들을 검출한다. T는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수㎳일 수 있다.
수신된 프레임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부하 단위를 결정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노드와 연관된 부하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510)에서, 노드에 의해 송신된 프레임들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시간 간격 단위가 결정된다. 따라서, 프로세서(220)(사용자 디바이스(160)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115)로부터 2개의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상기 두 프레임들 간의 시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T) 동안 액세스 포인트(115)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프레임들을 검사하고 연속한 프레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시간 간격 단위(Iave)를 결정한다.
단계(520)에서, 상기 노드와 연관된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프레임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상기 프레임들의 목적지 MAC 어드레스 필드(360)를 검사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획득된 목적지 MAC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현재 사용하는 다수의 고유한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결정한다.
단계(530)에서, 상기 노드와 연관된 부하 단위는 상기 노드와 연관된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수 및 상기 시간 간격 단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20)는 다음의 공식에 따라, 수신된 프레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Iave) 및 특정한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고유한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수(NU)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부하 단위를 계산한다:
액세스 포인트 부하 = NU / Iave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각각의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115)에 대해 각각의 부하 단위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에 기술된 방법들을 사용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최저 부하 단위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115)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115)에 결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최적의 Wi-Fi 접속 능력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각각의 부하 단위들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에 기술된 방법들을 사용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및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70)(도 2에 도시된) 상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각각의 부하 단위들을 식별한다. 그 후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사용자가 제공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의 선택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될 때,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결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에 기술된 방법들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20)을 식별하고 각각의 기지국(120)에 대한 부하 단위를 결정한다. 이 실시예는 도 5에 제공된 방법 단계들을 참조하여 이하에 논의된다.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하나 이상의 셀룰러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고, 기지국(120)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셀룰러 프레임들을 수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셀룰러 프레임들이 안테나(260)를 통해 수신된다. 프로세서(220)는 상기 셀룰러 프레임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기지국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기지국(120)을 식별하기 위해 셀룰러 프레임의 기지국 ID 필드(405)의 정보를 검사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식별된 기지국(120)으로부터 프레임들을 계속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된 셀룰러 프레임들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시간 간격 단위를 결정한다(단계 510).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T) 동안 수신된 프레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평균 시간 간격 단위(Pave)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프레임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120)을 현재 사용하는 고유한 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결정한다(단계 520). 도 4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상기 기지국(120)을 현재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기 위해 DL-MAP 필드(410) 내의 서브채널들의 할당을 검사할 수 있다. DL-MAP 필드(410) 내의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기지국(120)을 현재 사용하는 다수의 고유한 사용자 디바이스들(QU)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기지국을 현재 사용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기 위해 UL-MAP 필드(445) 내의 서브채널 할당 정보를 검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기지국(120)을 현재 사용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기 위해 DL-MAP 필드(410)의 정보 및 UL-MAP 필드(445)의 정보를 검사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또한 현재 사용되는 상기 기지국(120)에 의해 송신된 셀룰러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일부를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활용 값(R)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는 DL-MAP 필드(410)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를 DL-MAP 필드(410)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총 수로 나눔으로써 상기 서브프레임 활용 값(R)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적어도 상기 기지국과 연관된 고유한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수 및 상기 시간 간격 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 연관된 부하 단위를 결정한다(단계 530).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이하의 수식에 따라, 특정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프레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 단위(Pave), 상기 특정한 기지국을 사용하는 고유한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수(QU), 및 상기 서브프레임 활용 값(R)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한 기지국과 연관된 부하 단위를 계산할 수 있다:
기지국 부하 = (QU)(R) / Pave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기지국의 다운로드 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부하 단위 및 상기 기지국의 업로드 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제 2 부하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각각의 복수의 기지국들(120)에 대해 각각의 부하 단위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에 기술된 방법들을 사용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최저 부하 단위를 갖는 기지국(120)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기지국(120)에 접속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사용자에게 최적의 셀룰러 접속 능력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115)에 대한 각각의 부하 단위들, 및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20)에 대한 각각의 부하 단위들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에 기술된 방법들을 사용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및 기지국(들)의 상기 부하 단위들을 비교하고, 최저 부하 단위를 갖는 노드(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를 선택하고, 및 상기 선택된 노드에 접속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60)가 최적의 접속 능력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복수의 노드들에 대한 각각의 부하 단위들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에 기술된 방법들을 사용하고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70)(도 2에 도시된) 상의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노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부하 단위들을 제공한다. 그 후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사용자가 제공된 상기 노드들 중에서 노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노드의 선택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될 때,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선택된 노드에 접속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특정한 노드와 연관된 데이터 송신 레이트(Snode)(예를 들어, bps(bits per second)로)를 예를 들어, 상기 노드의 송신 신호들의 관찰된 신호 강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상기 노드의 데이터 송신 레이트(Snode)와 상기 노드와 연관된 부하(Loadnode)의 적(product)을 결정함으로써 관찰된 레이트-가중된 부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노드의 레이트-가중된 부하(RWLnode)는 다음의 수식에 따라 발견된다:
RWLnode = (Snode)(Loadnode)
사용자 디바이스(160)는 다양한 노드들의 상기 레이트-가중된 부하 값들을 결정하고,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기초로서 상기 비교 결과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이고 모범적인 모든 측면들로 이해되지만, 제한적이지 않고,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법에 의해 허용되는 전체 범위에 따라 해석되는 청구항들로부터 결정된다. 본원에 도시되고 기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단지 예시하는 것이고 다양한 수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특징 조합들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0)

  1. 노드와 연관된 부하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노드에 의해 송신된 프레임들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시간 간격 단위(time interval measure)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프레임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와 연관된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노드와 연관된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수 및 상기 시간 간격 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와 연관된 부하 단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드와 연관된 부하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Wi-Fi 액세스 포인트이고,
    상기 방법은,
    선택된 채널을 통해 송신된 임의의 프레임의 수신을 인에이블하는 모드로 들어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드와 연관된 부하 결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된 상기 프레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드와 연관된 부하 결정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상기 프레임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드와 연관된 부하 결정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수를 상기 시간 간격 단위로 나눔으로써 상기 부하 단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드와 연관된 부하 결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프레임들을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드와 연관된 부하 결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간격 단위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상기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프레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노드와 연관된 부하 결정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채널과 연관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시간 간격 단위를 결정하는 단계,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부하 단위를 결정하는 단계들을 반복하는 단계; 및
    최저 부하 단위를 갖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드와 연관된 부하 결정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채널과 연관된 제 2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시간 간격 단위를 결정하는 단계,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부하 단위를 결정하는 단계들을 반복하는 단계; 및
    최저 부하 단위를 갖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드와 연관된 부하 결정 방법.
  10. 노드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및
    프로세서로서,
    상기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프레임들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시간 간격 단위를 결정하고,
    상기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프레임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와 연관된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결정하고,
    적어도 상기 노드와 연관된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수 및 상기 시간 간격 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와 연관된 부하 단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37030868A 2011-05-25 2012-05-22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4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15,519 US9125147B2 (en) 2011-05-25 2011-05-25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US13/115,519 2011-05-25
PCT/US2012/038926 WO2012162284A1 (en) 2011-05-25 2012-05-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254A true KR20140014254A (ko) 2014-02-05

Family

ID=4620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868A KR20140014254A (ko) 2011-05-25 2012-05-22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125147B2 (ko)
EP (1) EP2715979B1 (ko)
JP (1) JP5770932B2 (ko)
KR (1) KR20140014254A (ko)
CN (1) CN103548305B (ko)
ES (1) ES2660470T3 (ko)
PL (1) PL2715979T3 (ko)
WO (1) WO20121622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4499B2 (en) * 2012-05-21 2018-12-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haring wireless resource information in multi-cel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EP2768256B1 (en) * 2013-02-15 2017-05-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ediction of quality of service of a possible future connection of a device to a wireless network
EP2809105B1 (en) 2013-05-31 2017-03-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based determination of whether to add a device to a system using CSMA
US8914047B1 (en) 2013-11-07 2014-12-16 Jonathan A. Tyler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color of a skin of a communication device
US9020443B1 (en) * 2013-11-07 2015-04-28 Jonathan A. Tyler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color of a ski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2087665B1 (ko) * 2014-04-10 202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인가 대역 채널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357708B (zh) * 2015-10-10 2019-07-19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站点确定关联接入点的方法、装置和系统
WO2019064445A1 (ja) * 2017-09-28 2019-04-04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タイミング設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6613B2 (ja) 1999-04-09 2006-09-27 日本電気株式会社 トラヒック監視機能付き携帯電話機及びそのトラヒック監視方法
US6539230B2 (en) 1999-08-19 2003-03-25 Lucent Technologies Inc. Dynamic maintenance of location dependent operating parameters in a wireless terminal
US6970714B2 (en) 2002-04-30 2005-11-29 Lucent Technologies Inc. Adaptive power level setting in an ad-hoc wireless network
KR20050017705A (ko) * 2003-08-07 2005-02-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중 무선랜 서비스 연결설정 방법
US20050070293A1 (en) 2003-09-24 2005-03-31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selection method
KR20050065123A (ko) * 2003-12-24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수의 무선랜 접속장치가 설치된 환경에서 무선랜접속장치의 최대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과무선랜 접속장치의 채널 연결 설정 방법
CA2627067C (en) * 2005-10-28 2010-02-16 Viasat, Inc.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for broadband data transmission
WO2008122754A1 (en) 2007-04-05 2008-10-16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hannel selection in a wireless network
JP5194562B2 (ja) 2007-05-28 2013-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ンク帯域推定装置およびリンク帯域推定方法
US8270352B2 (en) * 2008-04-09 2012-09-18 Wi-Lan Inc. Reduction of transmission overhea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77455B1 (ko) * 2008-12-03 2015-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중계 방법
IL203053A (en) * 2009-12-31 2017-01-31 Alvarion Ltd A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wireless transmissions
US8423008B2 (en) * 2010-12-20 2013-04-16 Nokia Siemens Networks Oy Signaling UE measurement restrictions for inter-cell interfer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48305B (zh) 2018-05-04
US20120300647A1 (en) 2012-11-29
JP2014518055A (ja) 2014-07-24
ES2660470T3 (es) 2018-03-22
EP2715979B1 (en) 2017-12-06
JP5770932B2 (ja) 2015-08-26
US9125147B2 (en) 2015-09-01
CN103548305A (zh) 2014-01-29
WO2012162284A1 (en) 2012-11-29
PL2715979T3 (pl) 2018-04-30
EP2715979A1 (en)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0932B2 (ja) 通信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001631B1 (en) Synchronization signal bear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CN104272811B (zh) 结合蜂窝通信的无线局域网(wlan)通信的方法、系统和装置
US8204505B2 (en) Managing network-initiated quality of service setup in mobile device and network
KR102464288B1 (ko) 업링크 전력 제어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JP2018107832A (ja) 動的非直交多元接続通信のためのユーザ機器および方法
US9942015B2 (en) OFDMA indication and communication in WLANs
US20140016606A1 (en) Transmission of advanced-map information elements in mobile networks
EP356208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JP200851536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キャリア周波数のサブセットでパケットデータを受信する装置及び方法
EP30189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interference aware optimal uplink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nderlying lte networks
KR101599696B1 (ko) 애드-혹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관리 정보의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891636B1 (ko) 기준 신호 전송 방법 및 사용자 장비
CN107453851B (zh) 一种cqi测量方法、装置及无线通信系统
RU2017105745A (ru) Построение структур ресурсов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для d2d связи
US10362578B2 (en) TM9-based carrier aggregation method and device
US10123342B2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admission in connected mode
CN108476062B (zh) 在无线通信系统中的参考信号序列确定
WO2015196363A1 (zh) 一种数据通信方法、设备及系统
CN109673052B (zh) 一种多载波中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US202302095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KR20160100384A (ko) 데이터 전송, 데이터 수신 검출 방법 및 기지국, 사용자 장치
CN105101222B (zh) 一种基于无线局域网的数据处理方法、相关设备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