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919A -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919A
KR20140013919A KR1020130076907A KR20130076907A KR20140013919A KR 20140013919 A KR20140013919 A KR 20140013919A KR 1020130076907 A KR1020130076907 A KR 1020130076907A KR 20130076907 A KR20130076907 A KR 20130076907A KR 20140013919 A KR20140013919 A KR 20140013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pattern
authentication method
input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보흥
한진희
문용혁
문화신
김정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944,75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40026210A1/en
Publication of KR2014001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 대한 외부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입력이 있으면 식별자를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를 포함하는 잠금 화면 패턴을 표시하는 단계와, UI(User Interface)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식별자 조합의 순서대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이 성공될 때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Mobile Authentication Method with Sequenced Drawing Pattern according to Number Password}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인증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 장치의 잠금 화면 패턴 인증과정에서 사용하는 그리기 패턴의 보안을 유지하는데 적합한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플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휴대 단말의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단말들은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지하철, 학교, 영화관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공공장소에서 휴대단말 사용 시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증 또는 금융거래 등을 수행하는 경우, 그리기 패턴 형태의 패스워드 인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패턴 형태의 패스워드는 기억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한 점은 있으나, 입력 시 원치 않는 노출에 대한 위험부담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그리기 패턴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입력과정에서 그리기 패턴이 외부에 쉽게 노출된다고 하더라도 악의적인 사용자가 이 단말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기 패턴 형태 패스워드 방식은 사용자가 특정 패턴을 화면에 터치(입력)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한계를 가진다.
1) 입력하는 그리기 패턴이 주변에 쉽게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즉, 공공장소에서 입력하는 경우 어쩔 수 없이 주변(바로 옆, 뒤)에서 손 쉽게 그리기 패턴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노출된 경우 쉽게 불법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패턴입력 과정에서 패턴을 노출시키지 않을 방법이 필요하다.
2) 패턴을 자주 변경하여 앞서 설명한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다. 즉, 공공장소에서 사용한 후 그리기 패턴을 변경하거나 아침/저녁, 매일 등과 같이 비교적 짧은 주기로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 너무 많은 패턴을 사용자가 기억해야 하는 부담이 생기고, 다수의 패턴 변경으로 인해 정상적인 사용자가 그리기 패턴을 기억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패턴을 자주 변경하지 않고서도 앞서 설명한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2008-0079333호, 잠금 해제 이미지 상에서의 제스처 수행에 의한 장치 잠금 해제, 2008.08.29 공개
이에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잠금 화면 패턴(그리기 패턴)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패턴의 노출을 방지하고, 노출되더라도 불법 사용자가 취득한 패턴으로는 인증이 성공될 수 없게 하는 인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대한 외부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입력이 있으면 식별자를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를 포함하는 잠금 화면 패턴을 표시하는 단계와, UI(User Interface)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식별자 조합의 순서대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이 성공될 때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입력은, 상기 단말 장치의 키 신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자는, 숫자 또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는,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는, 상기 외부입력이 발생할 때 마다 그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화면 패턴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조합은, 적어도 둘 이상의 식별자로 구성된 식별자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조합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식별자가 랜덤한 순서로 구성된 식별자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방법은,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조합의 순서대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이 실패될 때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잠금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잠금 화면 패턴(그리기 패턴)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패턴의 노출을 방지하고, 노출되더라도 불법 사용자가 취득한 패턴으로는 인증이 성공될 수 없게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단말의 잠금 화면 패턴 상의 숫자로 표시된 패턴 포인트(화면에서 패턴을 그리기 위해서 미리 출력되어있는 원 형태의 점들)를 생성하고, 관리 작업이 별도의 플러그인 모듈 형태로 개발되어 제공되거나 기존의 인증모듈에 적은 수정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증과정과 손쉽게 연계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증 기술은 H/W(Hardware) 형태로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TPM(Trusted Platform Module) 또는 보안 USB(Universal Serial Bus) 형태의 하드웨어 형태로도 개발하여 손쉽고 편리하게 패스워드의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숫자가 표시된 패턴 인식 점들의 값 및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작업을 TPM, MTM(Mobile Trusted Module)과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제작하거나 또는 이들 하드웨어에 포함하여 제작하면 이러한 중요정보가 쉽게 탈취될 수 없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에서, 잠금 화면 패턴의 잠금 해제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패스워드 인증 시 그리기 잠금 화면 패턴의 노출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기술 사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단말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 장치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키 입력부(102), 터치 입력부(104), 제어부(110), 표시부(120), 메모리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입력부(102)는 단말 장치의 외부 입력 신호, 예컨대 전원 키, 볼륨 업/다운 키 등의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인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104)는, 예컨대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햅틱(haptic) 접촉 및/또는 택타일(tactile) 접촉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신호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입력부(104)는 터치 입력 신호를 수용하는 터치 감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와 같은 터치 입력부(104)의 사용자 접촉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되는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해당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10)는 키 입력부(102)의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해당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의 잠금 화면 패턴을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단말 장치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도록 시스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화면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20)는 상술한 터치 입력부(104)와 모듈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메모리부(130)는 단말 장치(130)의 구동에 필요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과, UI(User Interface) 상태 모듈(예컨대, 잠금/해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부(130)는, 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수단,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의 요청에 따라 임의의 정보를 기록하거나 취사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을 첨부한 도 2의 흐름도 및 도 3 내지 도 4의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S200)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에 대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202). 이러한 외부 입력은, 예를 들어 키 입력부(102)의 키 신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02)에서 외부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식별자를 갖는 잠금 화면 패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204).
여기서, 잠금 화면 패턴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의 화면(300) 상에 표시되는 다수(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3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패턴 포인트(304)는 원형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총 9개의 패턴 포인트(304)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 3의 패턴 포인트(304)의 형상이나 배치는 하나의 예시일 뿐임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단말 장치의 구동 환경에 따라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패턴 포인트(304)가 특정 개수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 포인트(304)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는, 예를 들어 숫자 또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식별자는 패턴 포인트(304) 상에 겹쳐지도록 디스플레이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잠금 화면 패턴이 표시되는 상태는 단말 장치의 UI(User Interface)가 잠금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110)는 이러한 UI 잠금 상태에서 터치 입력부(104)를 통한 터치 입력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06).
터치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해당 터치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식별자 조합 순서대로 입력되는 터치 입력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208). 즉, 제어부(110)는 터치 입력부(104)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감지하고, 해당 터치 입력 신호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은 잠금 해제 패턴(A)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에서 잠금 해제 패턴(A)은, 패턴 포인트(304) 상의 식별자가 1-2-3-4-9의 조합 순서를 갖는 잠금 해제 패턴일 수 있다.
만일, 기 설정된 식별자 조합 순서대로 터치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S210).
반면, 기 설정된 식별자 조합 순서가 아닌 다른 순서로 터치 입력이 있으면, 즉 기 설정된 식별자 조합의 순서대로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이 실패되면,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212).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식별자(306)를 갖는 패턴 포인트(304)에 대한 위치가 단말 장치의 외부 입력이 발생할 때마다 랜덤하게 변경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서는 도 3의 식별자 조합(1-2-3-4-9)과 동일한 조합을 유지하지만, 잠금 해제 패턴(B)의 형태는 상이함을 알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잠금 화면 패턴을 이용하여 단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할 때 제3자에 의해 인증 패턴이 유출되더라도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 장치의 외부 입력이 있을 때마다 잠금 해제 패턴을 달리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숫자 또는 문자로 구성된 식별자의 조합도 랜덤한 순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 장치 등에서 그리기 패턴 입력 형태의 인증과정에서 패스워드 노출에 대한 부담 없이 효과적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현하였다. 즉, 그리기 패턴 패스워드 입력 과정에서 특정 숫자 순서에 따라 패턴을 입력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원치 않게 패턴이 노출되더라도 이 패턴으로 다음 번 인증과정을 정상적으로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통해, 공공 장소와 같이 사용자 인증과정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힘든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인증 시마다 서로 다른 그리기 패턴을 새로 정의하여 사용할 필요 없이 인증을 수행하지만 마치 매번 다른 그리기 패턴으로 인증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02: 키 입력부
104: 터치 입력부
110: 제어부
120: 표시부
130: 메모리부
300: 단말 장치의 화면
302: 잠금 화면 패턴
304: 패턴 포인트
306: 식별자
A, B: 잠금 해제 패턴

Claims (9)

  1. 단말 장치에 대한 외부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입력이 있으면 식별자를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를 포함하는 잠금 화면 패턴을 표시하는 단계와,
    UI(User Interface)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식별자 조합의 순서대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이 성공될 때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입력은, 상기 단말 장치의 키 신호 입력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숫자 또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는,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는, 상기 외부입력이 발생할 때 마다 그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화면 패턴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조합은, 적어도 둘 이상의 식별자로 구성된 식별자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조합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식별자가 랜덤한 순서로 구성된 식별자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방법은, 상기 기 설정된 식별자 조합의 순서대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패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이 실패될 때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잠금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KR1020130076907A 2012-07-23 2013-07-02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KR20140013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44,754 US20140026210A1 (en) 2012-07-23 2013-07-17 Method for authenticating mobil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0115 2012-07-23
KR1020120080115 2012-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919A true KR20140013919A (ko) 2014-02-05

Family

ID=5026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907A KR20140013919A (ko) 2012-07-23 2013-07-02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39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18B1 (ko) * 2015-02-02 2015-12-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
WO2017061765A1 (ko) * 2015-10-07 2017-04-13 오큐브 주식회사 시퀀스 인식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단말과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18B1 (ko) * 2015-02-02 2015-12-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
WO2017061765A1 (ko) * 2015-10-07 2017-04-13 오큐브 주식회사 시퀀스 인식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단말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26210A1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mobile devices
JP6227772B2 (ja) 動的ライブラリを保護する方法及び装置
US9021244B2 (en) Secure boot administration in a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UEFI)-compliant computing device
EP2693789B1 (en) Mobile terminal encryption method, hardware encryp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CN106096418B (zh) 基于SELinux的开机安全等级选择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20140047388A (ko) 휴대 단말기의 잠금 해제 운용 방법 및 장치
WO2018090818A1 (zh) 一种版本校验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8904482B1 (en) Techniques for securing a one-time passcode with an alteration code
JP2015215687A (ja) 可搬型決済端末装置
US86615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password
CN10580900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411966B1 (en) Confidential data access and storage
JP2015215688A (ja) 可搬型決済端末装置
CN103198247A (zh) 一种计算机安全保护方法和系统
JP2015133116A (ja) 端末上で機密データを入力する方法
CN104751028B (zh) 应用程序加密、解密的方法及装置
JP5810329B1 (ja) 決済端末装置
CN105933503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20140013919A (ko) 단말 장치의 인증 방법
JP2015171105A (ja) 決済端末装置
CN104156670A (zh) 数据保护方法及装置
CN108990041B (zh) 一种进行主副卡设置的方法和设备
KR101319941B1 (ko) 터치 패턴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10402556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security access through totem interactions
CN105825123B (zh) 一种解锁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