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866A -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 Google Patents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866A
KR20140013866A KR1020120082853A KR20120082853A KR20140013866A KR 20140013866 A KR20140013866 A KR 20140013866A KR 1020120082853 A KR1020120082853 A KR 1020120082853A KR 20120082853 A KR20120082853 A KR 20120082853A KR 20140013866 A KR20140013866 A KR 20140013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herb
herbal
fragrance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127B1 (ko
Inventor
오기연
Original Assignee
오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기연 filed Critical 오기연
Priority to KR102012008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1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2Pulp from non-woody plants or crops, e.g. cotton, flax, straw, bagass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22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disinfecting, antiseptic, or corrosion-inhibiting paper antistatic, antioxygenic paper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담지체로서 천연의 닥 펄프 지료액으로 형성된 숨쉬는 전통 한지와 양지의 복층 구조 벽지 사이에 천연의 허브향이 함유된 항균 방향층이 일체로 형성된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로서 항균성, 흡한 속건성, 탈취성, 항온항습기능, 보온성, 방음효과, 원적외선 방사기능 등 한지가 가지는 고유의 기능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닥나무 섬유질이 그대로 살아 자연스럽게 배열된 한지의 따스하고 풍부한 색감과 질감으로 자연스러운 미감을 창출하는 것에 더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자연친화적이면서도 삼림욕 효과가 있으며 방향기능 이외에 자체적으로 살균, 항균효과와 방충효과가 있는 기능성 유효 활성 성분으로서 천연의 항균 방향 물질인 허브향을 복합적으로 함유한 항균 방향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허브향의 진한 향기를 벽지에 그대로 담아 은은하고 그윽하게 지속적으로 발산시켜 냄새 제거, 스트레스 해소, 안정작용, 청량감, 면역력 강화 등의 복합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건강벽지로서,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ANTI-BACTERIAL PERFUME KOREAN WALL-PAPER}
본 발명은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다공성 담지체로서 천연의 닥 펄프 지료액으로 형성된 숨쉬는 전통 한지와 양지의 복층 구조 벽지 사이에 하나 이상 선택된 서로 다른 허브 종류의 허브향을 함유한 항균 방향층이 일체로 형성된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로서 항균성, 흡한 속건성, 탈취성, 항온 항습기능, 보온성, 방음효과, 원적외선 방사기능 등 한지가 가지는 고유의 기능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닥나무 섬유질이 그대로 살아 자연스럽게 배열된 한지의 따스하고 풍부한 색감과 질감으로 자연스러운 미감을 창출하는 것에 더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자연친화적이며 방향기능 이외에 자체적으로 살균, 항균효과와 방충효과가 있는 기능성 유효 활성 성분으로서 천연의 항균 방향 물질로서 다양한 종류 성상의 허브 (Herb)향이 사용 목적에 따라 구분 포함되어 여러 가지 효과를 동시에 줄 수 있게끔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조합 포함된 항균 방향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공기를 정화하는 방향 물질로서 진한 허브 향을 벽지에 그대로 담아 은은하고 그윽하게 지속적으로 발산시켜 냄새 제거, 스트레스 해소, 안정작용, 청량감 등의 복합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능성 건강벽지로서, 환경호르몬이나 포름알데하이드, 발암성 물질을 발산하는 종래 기술의 벽지를 대체하여 향 지속성이 좋은 항균 방향 물질층과 고기능성의 한지가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복합상승효과를 구현하게 되는데, 단열 및 차음, 시멘트벽 등 유해물질 차단, 실내 장식기능 등의 실내마감재로서 벽지의 단순 기능 이외에 항균작용 및 탈취작용으로 새집 증후군 및 실내공기 질 저하의 원인이 되는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여 실내공기를 정화하고 환경성 질환의 자연치유 능력을 향상시키며 자연의 향을 공급하여 쾌적한 공간이 창출되는 삼림욕 효과, 허브(Herb)의 향치료(Aromatherapy) 효과 및 컬러 테라피 효과, 항균, 항 곰팡이 효과, 방충효과, 면역력 강화 기능 등 복합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쾌적한 실내주거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인체의 건강증진에도 기여하게 된다.
우리는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지만 실내 환경오염에 따른 인체의 위해성에 대해서는 실외 오염보다 인식이 크게 부족한 실정으로 미국 환경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는 국민 건강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다섯 가지 요인 중 하나로 실내 공기 오염을 꼽고 있는데 이는 열효율을 고려 , 밀폐된 건물이 건축자재와 세탁용제, 가구류, 살충제, 카펫접착제, 페인트 등의 각 종 생활용품에서 다양한 경로로 발생하는 여러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실내에 그대로 가두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실내공기 오염물질 발생원은 다양한데 실내공기의 오염물질을 분석해보면 약 300 여개가 넘는 다양한 VOC(휘발성 유기 물질)가 발견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은 대부분 독성이 있어서 어떤 물질은 발암성이 있고, 어떤 물질은 돌연변이 혹은 곰팡이나 미세먼지 등이 실내공기를 오염시켜 거주자들이 호흡기 질환등에 걸리데 되는 오래된 건물 증후군, 유해물질에 거주자들이 장기간 노출되어 호흡기질환, 심장병, 암 등의 질병이 발생되는 새집 증후군 등의 증후군 들을 유발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실내 공기오염물질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사람들의 호흡기와 순환기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일부는 암을 유발하는 물질을 내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공해물질 발생의 차단 없이 단순 환기로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실내공기의 오염은 불쾌감과 함께 환경성 질환으로서 비염, 발열,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천식, 두통, 피로감 등을 유발시켜 국민들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어, 외부 공기보다 70배 이상 오염되기 쉽고, 한 번 오염되면 공기가 계속 순환하면서 농도가 높아져 더욱 주의가 필요한 실내공기의 오염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쾌적한 주거환경에 대한 욕구는 어느 때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독성이 있는 시멘트 벽 등 실내 벽면을 마감하여 유해 물질의 발산을 차단하고 미각적인 심미감을 촉진시키는 건축용 마감재로서 종이 벽지, 비닐 벽지, 직물 벽지 등 석유화학제품의 사용이 보편화된 종래의 일반적인 벽지나 장판지는 비스페놀 에이(bisphenol-A) 등의 환경호르몬이나 포름알데하이드, 발암성 물질 등 수많은 유해화학물질을 끊임없이 방출함으로써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주요 발생원이 되고 있으며 공해물질이 들어 있는 종래의 벽지는 폐기시 토양 오염 대기 오염 등 2차적 환경 오염을 유발시키는 등 문제점이 있어 이의 개선이 시급하다.
따라서 좀 더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추구하는 웰빙시대의 현대인들은 하루 중 80% 이상을 지내는 실내 공간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친화적인 건축자재를 사용하여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쾌적하고 건강하여 친환경적인 실내주거환경을 형성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즉 유해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유기 화합물이 벽지에 붙어있는 동안 끊임없이 방출되는 종래의 벽지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화학합성 재료들을 천연 재료로 대체하여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용제, 포름 알데히드,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게끔 청정한 건강 벽지를 형성하여 일상생활의 80% 이상을 차지하므로 어느 곳보다도 맑은 공기를 마셔야 하는 실내 공간에서의 건강 조건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인테리어 마감재를 친(親)환경 소재로 바꾸려는 움직임에 따라 종래 벽지에서 발산되는 각종 유해한 성분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하고자 인체에 무해한 천연의 지료와 항균, 탈취 등 각종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항균 방향물질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질감 형태 및 기능의 건강 벽지를 제조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활용 범위가 제한되어 부드럽고 숨쉬는 질감 및 색감, 인체에 유익한 항균 소취 물질의 방출, 유해 물질을 흡착 등 건강벽지가 요구하는 종합 용도 요구 특성을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기술의 벽지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환경호르몬이나 포름알데하이드, 발암성 물질을 발산하는 종래 기술의 벽지를 대체하여 향 지속성이 좋은 항균 방향 물질층과 고기능성의 한지가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복합상승효과로 종래 전통적인 벽지 사용범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항균 소취 물질을 방출하고 환경 유해 물질을 흡착 제거할 수 있어 실내공기를 정화하고 환경성 질환의 자연치유 능력을 향상시키며 자연의 향을 공급하여 쾌적한 공간이 창출되는 삼림욕 효과, 아로마 테라피(향기요법) 및 컬러테라피 효과, 항균, 항 곰팡이 효과 등 복합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쾌적한 실내주거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인체의 건강증진에도 기여하게 하는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벽지는 제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바,
본 발명은 각종 환경호르몬이나 포름알데하이드, 발암성 물질 등을 발산하는 종래 기술의 벽지를 대체하여 실내 벽면을 마감하여 유해 물질의 발산을 차단하고 미각적인 심미감을 촉진시키는 건축용 마감재로서 통상의 벽지 기능을 수행하되 종래 전통적인 벽지 사용범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항균 소취 물질을 방출하고 환경 유해 물질을 흡착 제거할 수 있어 실내공기를 정화하고 환경성 질환의 자연치유 능력을 향상시키며 자연의 향을 공급하여 새집은 물론 오래된 집에도 쾌적한 실내 공간이 창출되어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 등 복합 요인의 실내공기 오염을 해소시키게 하는 대안으로 인체친화적인 기능성 한지 벽지를 개발하여야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공성 담지체로서 천연의 닥 펄프 지료액으로 형성된 숨쉬는 전통 한지와 양지의 복층 구조 벽지 사이에 천연의 허브향이 함유된 항균 방향층이 일체로 형성된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로서 항균성, 흡한 속건성, 탈취성, 항온항습기능, 보온성, 방음효과, 원적외선 방사기능 등 한지가 가지는 고유의 기능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닥나무 섬유질이 그대로 살아 자연스럽게 배열된 한지의 따스하고 풍부한 색감과 질감으로 자연스러운 미감을 창출하는 것에 더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자연친화적이면서도 삼림욕 효과가 있으며 방향기능 이외에 자체적으로 살균, 항균효과와 방충효과가 있는 기능성 유효 활성 성분으로서 천연의 항균 방향 물질인 허브향을 복합적으로 함유한 항균 방향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허브향의 진한 향기를 벽지에 그대로 담아 은은하고 그윽하게 지속적으로 발산시켜 냄새 제거, 스트레스 해소, 안정작용, 청량감, 면역력 강화 등의 복합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건강벽지로서,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향 지속성이 좋은 복합 항균 방향 물질층과 고기능성의 한지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에 고급스러움을 살릴 수 있게 인견사 및 금분 또는 은분을 추가로 혼합 조성한 한지 벽지를 조성하여 은은한 질감의 한지 질감 바탕면에 입체적으로 분산 형성된 닥나무 특유의 섬유소 무늬와 금속 특유의 광택과 윤기가 흐르는 인견사의 꼬불꼬불한 실구름 무늬, 금색 또는 은색 티끌의 고급스러움이 한데 어우러지는 바탕과 색채 및 무늬가 종합적으로 표현됨으로써 다채롭고 화려하며 입체감 있게 드러나는 자연친화적 장식미가 부가됨으로써 하나의 벽지로 여러 가지 효과를 동시에 줄 수 있게 형성되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는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는 하나의 벽지로 항균 기능성, 방향성, 자연친화적 장식미 등 하나의 벽지로 여러 가지 효과를 동시에 줄 수 있게 형성되는데,
향 지속성이 좋은 복합 항균 방향 물질층과 고기능성의 한지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실내 공기를 벽지를 통하여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정화시키게 됨으로써 환경 호르몬과 인체의 면역 체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일체의 요소를 제거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복합상승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공기를 정화하는 방향 물질로서 진한 허브 향을 벽지에 그대로 담아 은은하고 그윽하게 지속적으로 발산시켜 냄새 제거, 스트레스 해소, 안정작용, 청량감 등의 복합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능성 건강벽지로서 단열 및 차음, 시멘트벽 등 유해물질 차단, 실내 장식기능 등의 실내마감재로서 벽지의 단순 기능 이외에 항균작용 및 탈취작용으로 새집 증후군, 헌집 증후군 및 실내공기 질 저하의 원인이 되는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여 실내공기를 정화하고 환경성 질환의 자연치유 능력을 향상시키며 자연의 허브 향을 공급하여 쾌적한 공간이 창출되는 아로마 테라피(향기요법) 및 컬러테라피 효과, 항균, 항 곰팡이 효과 전자파를 흡착하는 기능 등 복합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새집증후군 예방은 물론 악취와 곰팡이가 발생하는 헌 집 등에 시공하여 사용자에게 항상 신선한 쾌감을 주고 방향도 즐길 수 있게 하여 쾌적한 실내 주거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인체의 건강증진에도 기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 성상의 허브 (Herb)향을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효과를 동시에 줄 수 있게끔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조합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선택 범위를 확장시켜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맞는 허브(Herb)의 향 치료(Aromatherapy)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지의 고유의 색상과 자연스러운 질감을 그대로 살리면서 금분 또는 은분 특유의 광택 및 색상에 의한 장식효과를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서 실내의 분위기와 훌륭한 조화를 이루게 되어 전통과 현대적 감각이 한데 어우러지는 복합 장식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천연소재의 독특한 질감으로서 자연스러운 닥나무 섬유질이 그대로 살아 촉감이 부드러우면서 질기고 색상의 변화가 없으며 빛을 산란시켜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통기성과 습도조절 기능이 좋으며 보온, 흡습, 온도조절 기능을 하는 실내마감재로서 위생적인 천연 건강 벽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유의 자연스러운 색조가 표현되고 미세한 기공조직의 다공성으로서 그 성분은 생분해성 물질로서 분해가 잘되고 자연의 자정력(自淨力)이 있으며 용해성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므로 사용 후에 매립시에는 자연분해되고 흙으로 환원되어 2차 오염에 의한 환경공해 없이 폐기 처분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된 초지 공정으로 종래 각 장으로 출하되는 것을 대체하여 롤(ROII) 단위로 생산 출하할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의 편리성이 종래 기술의 벽지에 비하여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의 실물 사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으며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표면지로서 식물성 장섬유 지료로서 해리한 닥펄프 지료액으로 초지기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초지한 한지 시트(11)와 배면지로서 통상의 양지 시트(13) 사이에 각기 다른 향과 효능을 가지고 있는 허브의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허브 종류 다양한 성상의 허브 분말, 허브 엑기스, 허브 향료가 하나 이상 각각 또는 모두 다 함께 혼합 조성된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에 천연접착제가 혼합된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12)을 점착 구비하는 샌드 위치 형상의 적층 구조로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10)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각기 다른 자연 향을 지니고 허브향 치료효과(아로마테라피, Aromatherapy)로서 스트레스해소, 집중력향상, 기억력향상. 항알러지, 항균 항곰팜이, 방충 효과의 복합효능이 있는 라벤더, 로즈 마리, 페퍼민트, 타임, 레몬밤, 세이지, 유칼립투스, 자스민의 생잎으로부터 추출된 1종 이상의 허브 엑기스, 허브 분말, 허브 향료를 중량비로 10:2:1의 비율로 혼합하고 반응기에 넣어 15일 이상 숙성하여 혼합 교반하여 형성된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에 인체에 무해한 식물성 천연접착제가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 대비 10:1의 비율(중량비)로 혼합 형성된 향 지속성 복합 허브향 발산층(12)을 상기 한지 시트(11)와 양지 시트(13) 사이에 접착 도포하여 합지하고 200 이상의 온도 조건에서 20분 열풍 건조하여 일체화된 다층 구조의 롤(roll) 벽지로 초지 형성하여 은은한 복합 자연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여 미려하고 아늑한 심미감과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는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10)를 형성함에 있어서,
방향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허브 엑기스는 허브 식물에서 채취하여 분쇄한 생잎을 정제수에 중량비로 10:1의 비율로 가열 용기에 넣은 후 100 이상의 온도조건에서 2시간 이상 물이 절반으로 감소될 때까지 가열하면서 삶아 추출하고,
상기 허브 분말은 허브 생잎을 증기에 쪄서 90의 열풍으로 건조기에서 5시간 건조시킨 후 분쇄기에서 300 메시 이하의 초미립자로 미분쇄하여 추출하며, 상기와 같이 추출된 허브 엑기스와 허브 분말에 가공된 분말 상의 허브잎 추출 향료를 혼합하여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을 형성하며,
상기 한지 시트(11)는 단지 백색(白色)만을 띠는 전통한지(韓紙)를 지양하기 위하여 항균 및 살균,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초미세 미립자로서 나노(nano) 크기 입자의 금 또는 은이 혼합된 고순도(99.9%)의 금 콜로이드 수용액(gold colloid) 또는 은 콜로이드 수용액(silver colloid)을 주원료인 닥 펄프 대비 0.5%의 비율로 혼합 고해하여 한지 시트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한지 시트(11)에 파우더 형태의 금박 또는 은박을 한지 시트의 표면 전체 면에 걸쳐 흩뿌림 방식으로 듬성듬성 부착하여 사용자 시선을 끌게 하는 불규칙한 티끌 모양의 금박 또는 은박 포인트(point)가 형성되어 항균 기능성이 부가되면서도 한지 고유의 자연스럽고 독특한 질감에다 황금 또는 실버 고유 광택 및 색상에 의한 시각적인 장식 효과가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를 형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지로서 한지 시트(11)와 배면지로서 양지 시트(13) 사이에 각기 다른 고유의 향과 효능을 가지고 있는 허브의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허브 종류 다양한 성상의 허브 분말, 허브 엑기스, 허브 향료가 하나 이상 각각 또는 모두 다 함께 소정의 비율로 혼합 조성된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에 천연접착제가 혼합된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12)을 점착 구비하는 샌드 위치 형상의 적층 구조로서, 한지 시트(11)의 미세 기공을 통하여 복합 자연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전체가 일체화된 복층 구조의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10)이다.
상기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12)을 통하여 합지되는 상부 표면지로서 한지 시트(11)는 평방 미터 당 무게가 30그램, 하부 배면지로 기능하는 목재 펄프의 양지 시트(12)는 평방미터 당 120그램 무게가 바람직하며, 또한 한지는 닥나무의 껍질을 벗겨낸 백피와 이를 말린 후에 삶는 증해 단계, 수세와 표백을 수행하는 통상의 한지 제조 과정을 수행하여 완성하게 되며, 이렇게 제조된 다공성의 한지는 수많은 미세 기공의 다공질부(多孔質)가 형성되어 액체는 저장하고 기체만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박막의 기능성 시트로서 한국인의 정서와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미를 최대로 살린, 친환경 전통 한지벽지로 섬유질이 장섬유끼리 서로 엉켜서 결속된 조밀한 그물 형태의 고 비표면적 다공 구조의 우수한 흡착력으로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을 효과적으로 담지시키고 양호한 통기성으로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12)의 자연향을 서서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방출시키게 된다.
상기 한지 시트(11)는 단지 백색(白色)만을 띠는 전통한지(韓紙)를 지양하기 위하여 항균 및 살균,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초미세 미립자로서 나노(nano) 크기 입자의 금 또는 은이 혼합된 고순도(99.9%)의 금 콜로이드 수용액(gold colloid) 또는 은 콜로이드 수용액(silver colloid)을 주원료인 닥 펄프 대비 0.5%의 비율로 혼합 고해하여 살균 기능이 보강된 한지 시트를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한지 시트(11)에 파우더 형태의 금박 또는 은박을 한지 시트의 표면 전체 면에 걸쳐 흩뿌림 방식으로 듬성듬성 부착하여 사용자 시선을 끌게 하는 불규칙한 티끌 모양의 금박 또는 은박 포인트(point)가 형성되어 항균 기능성이 부가되면서도 한지 고유의 자연스럽고 독특한 질감에다 황금 또는 실버 고유 광택 및 색상에 의한 시각적인 장식 효과가 구현된 항균 기능성의 한지 시트(1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한지시트는 롤(ROLL) 형태로 말아 형성됨으로써 설비비 및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종래의 한지 벽지에 비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된다.
상기 한지 시트(11)에 첨가되는 금 콜로이드 수용액(gold colloid) 또는 은 콜로이드 수용액(silver colloid)은 각각 순도 99.99% 이상의 금 또는 은이 나노(nano)크기로 초미립자화된 나노 골드 또는 나노 실버로서 한지 지료에 혼합되어 침투 충진되면 항균, 제균, 탈취, 항온 단열에 의한 결로방지와 강도가 향상된 기능을 가지는 한지 시트(12)가 형성되는데 상기 나노 실버, 나노골드는 독립적 또는 효과적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록 벌크상태의 은과 금은 인체에 무해 유익한 순수 금속이지만 이를 나노화하면 강력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항균, 제균기능을 갖게 되고 순도 99.99% 이상의 은과 금을 나노(nano)단위의 크기로 입자화한 나노 실버와 나노 골드 콜로이드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조방법에 상관없이 생산된 통상의 나노물질 콜로이드를 사용하게 이러한 금 또는 은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는 공지된 바 있으며 균등물이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한지에 금 콜로이드 수용액(gold colloid) 또는 은 콜로이드 수용액(silver colloid)이 함침 조성된 항균 기능성의 한지 시트(12)에 파우더 형태의 금박 또는 은박을 한지 시트의 표면 전체 면에 걸쳐 흩뿌림 방식으로 듬성듬성 부착하여 사용자 시선을 끌게 하는 불규칙한 티끌 모양의 금박 또는 은박 포인트(point)가 형성하게 되면 항균 기능성이 한지 시트에 더욱 더 부가되면서도 한지 고유의 자연스럽고 독특한 질감에다 황금 또는 실버 고유 광택 및 색상에 의한 시각적인 장식 효과가 구현된 항균 기능성의 한지 시트(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불규칙한 티끌 모양의 금박 또는 은박을 형성함에 있어서 너무 얇게 형성됨녀 시트 표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으며, 너무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경제성이 저하되므로 6~30미크론 두께로 범위 내에서 도포 및 가열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함으로서 한지 시트 상에 반짝이 형태로 도포된 티끌 모양의 금박 또는 은박으로 인해 종래 한지 벽지의 단조로운 패턴을 탈피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 항균 기능성의 한지 시트(11)는 은은한 질감의 한지 질감 바탕면에 입체적으로 분산 형성된 닥나무 특유의 섬유소 무늬와 금색 또는 은색 티끌의 고급스러움이 한데 어우러져 바탕과 색채 및 무늬가 다르게 표현됨으로써 다채롭고 화려하며 입체감 있게 드러나는 자연친화적 장식미 종래의 한지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미감을 나타내게 되는데 닥 펄프로 초지에 약간의 인견사를 추가하게 되면 광택과 윤기가 흐르는 인견사의 꼬불꼬불한 실구름 무늬가 엠보싱 형태로 돌출되어 더욱 고급스러운 한지 벽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표면지로서 상기 한지 시트(11)와 배면지로서 양지 시트(13) 사이에 각기 다른 향과 효능을 가지고 있는 허브의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허브 종류 다양한 성상의 허브 분말, 허브 엑기스, 허브 향료가 하나 이상 각각 또는 모두 다 함께 소정의 비율로 혼합 조성된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에 천연접착제가 혼합된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12)을 점착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허브는 각기 다른 자연 향을 지니고 허브향치료효과(아로마테라피, Aromatherapy)로서 스트레스해소, 집중력향상, 기억력향상. 항알러지, 항균 항곰팜이, 방충 효과의 복합효능이 있는 라벤더, 로즈 마리, 페퍼민트, 타임, 레몬밤, 세이지, 유칼립투스, 자스민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1종 이상의 허브 엑기스, 허브 분말, 허브 향료를 중량비로 10:2:1의 비율로 혼합하고 반응기에 넣어 15일 이상 숙성하여 혼합 교반하여 형성된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에는 인체에 무해한 식물성 천연접착제를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 대비 10:1의 비율(중량비)로 혼합 형성된 향 지속성 복합 허브향 발산층(12)을 상기 한지 시트(11)와 양지 시트(13) 사이에 접착 도포하여 합지하고 200 이상의 온도 조건에서 20분 열풍 건조하여 일체화된 다층 구조의 롤(roll) 벽지로 초지 형성하여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를 형성하여 은은한 복합 자연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여 냄새 제거, 스트레스 해소, 안정작용, 청량감 등의 복합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미려하고 아늑한 심미감과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을 형성하는 방향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허브 엑기스는 허브 식물에서 채취하여 분쇄한 생잎을 정제수에 중량비로 10:1의 비율로 가열 용기에 넣은 후 100 이상의 온도조건에서 2시간 이상 물이 절반으로 감소될 때까지 가열하면서 삶아 추출하게 된다.,
상기 허브 분말은 허브 생잎을 증기에 쪄서 90의 열풍으로 건조기에서 5시간 건조시킨 후 분쇄기에서 300 메시 이하의 초미립자로 미분쇄하여 추출하며, 상기와 같이 추출된 허브 엑기스와 허브 분말에 가공된 분말 상의 허브 잎 추출 향료를 혼합하여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한지와 양지 사이에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12)을 점착시켜 합지하는 공정은 예를 들어 초지기에서 초지되어 롤에 권취되어 있는 한지 롤을 서서히 소정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도포기를 이용하여 한지 시트(11)의 일면에 도포시켜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에 천연접착제가 소정의 비율로 혼합 조성된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12)을 형성하고 그 위에 배면지로서 양지 시트(13)를 부착시키는 통상의 방법으로 합지하여 본 발명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를 제조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푸른 풀을 의미하는 허브(Herb)는 "온대지방을 원산으로 하면서 향기가 있으며 인간에게 유용한 모든 식물이라고 정의되고 있는데 장섬유질을 가지며 꿀풀과, 국화과, 화본과, 장미과, 운향과, 미나리과 등 약 2,500여종 이상이 있으며 약용, 미용, 관상, 요리, 염료 등의 기능은 물론 최근에는 건강증진을 위한 신체적, 정신적 조절기능을 강화하는 역할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병을 이겨 건전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상기 허브는 저마다 각기 다른 고유의 향과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스트레스해소, 집중력향상, 기억력향상. 항알러지, 항균 항 곰팡이, 방충 효과의 복합효능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라벤더, 로즈 마리, 페퍼민트, 타임, 레몬밤, 세이지, 유칼립투스, 자스민, 페퍼민트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1종 이상의 허브 엑기스, 허브 분말, 허브 향료를 포함하여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을 형성하되 본 발명은 각각의 허브 향 독특한 성분의 자연 치료 개념에 입각하여 다양한 종류 성상의 허브 (Herb)향을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효과를 동시에 줄 수 있게끔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조합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선택 범위를 확장시켜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맞는 허브(Herb)의 향 치료(Aromatherapy)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라벤더(Lavender)는 정신을 안정시키고 숙면을 유도하여 불면증과 두통 등의 진통에 좋고 햇빛에 의한 화상이나 피부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살균, 진정, 진통, 방충 작용을 하고, 로즈 마리(Rosemary)는 항산화 성분이 가득 들어 있어 세포를 젊고 건강하게 만들며 특유의 신성한 향기가 있어 뇌의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페퍼민트(Peppermint)는 특유의 상쾌하고 시원한 향이 기분전환과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다. 심리적으로 집중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수험생에게도 효과적이며 면역을 증강해주는 역할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타임(Thyme)은 두통 ,우울증, 빈혈, 피로, 식욕증진, 감기, 기침 등의 호흡기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레몬밤(Lemon balm)은 레몬과 유사한 향이 있으며 향은 감정을 편안하게 진정시켜 주며 심장 박동수를 낮추고 혈압을 낮추며 예로부터 방향요법에 필수적으로 사용해왔고, 세이지(Sage)는 강장작용,신경계통,소화기 계통에 뛰어난 약효, 방부, 항균, 항염 등 살균소독작용(각종 염증의 소염제), 해열, 정혈작용, 진정작용을 하며, 유칼립투스(Eucalyptus)는 cineole, a-pinene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진통, 방부, 항바이러스, 충혈해소, 탈취, 정혈, 이뇨, 해열, 신장강화에 효과가 있으며, 자스민(Jasmin)은 리나룰(linalool)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진정효과가 크며 우울증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마다 각기 다른 향과 효능을 가지고 향 치료(Aromatherapy) 효과를 구현하게 되는 허브(Herb)는 신체와 정신의 균형을 되찾아 주며 상반되는 작용이 있어 신체 리듬에 따라 이완제(relaxant)나 자극제(stimulant)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 한정된 성분을 가지고 있는 허브의 종류를 선택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더욱 광범위하고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각각 또는 모두 다 함께 함유시키는 방법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은 인체에 무해하고 자연친화적이면서도 방향기능 이외에 자체적으로 살균, 항균효과와 방충효과가 있는 기능성 유효 활성 성분을 한지 일면에 피막이 형성되게 접착 도포하는 방법으로 허브의 진한 향을 벽지에 그대로 담아 은은하고 그윽하게 지속적으로 발산시켜 냄새 제거, 스트레스 해소, 안정작용, 청량감 등의 복합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결국 상기 공기 정화와 자연 향 발생 등의 복합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12)은 허브가 농축되어 증발이 억제되고 점착력이 있어 부착이 용이하며 숨 쉬는 한지 시트에 효과적으로 담지시키게 되는데,
상기 혼합 재료에 첨가하는 인체에 무해한 식물성 천연접착제는 구아검, 로커스트 빈 검 등의 검(gum)류나 한천, 잔탄 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물에 용해가능한 고분자 증점제 기능의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이렇게 첨가할 경우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 접착제 겸 휘발성 물질 증발억제제로 작용하여 점착성과 흡수성이 좋으며 적절히 팽윤되고 형태적으로 안정된 반 고형 상태로 형성되어 자연 허브향을 서서히 일정하게 뿜어주는 함습 상태의 복합 향기 휘발성이 개선된 고 점도 겔을 형성하게 되어 여러 가지 제형의 허브 추출물에 본래 내재되어 있는 방향효과, 탈취작용, 방충효과, 살균 및 항균작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일정한 농도로 장기간 균일하게 향을 발산하게 된다.
또한 상기 향 지속성 복합 향기 발산층에 혼합되는 식물성 천연접착제로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방향성 항균 혼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이 충분히 겔화 되지 못할 수 있으며, 10중량%를 초과하면 부피가 커지고 점도가 너무 높게 되어 겔 강도가 낮게 되고 함량만 높아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방향성 항균 혼합 조성물을 식물성 천연접착제 대비 10:1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천연 허브향을 발산하는 방향성을 살리면서도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약화시키지 않기 위함으로 한지 시트에의 점착력과 응집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방향성 항균 혼합 조성물에서 허브 생잎으로부터 추출된 1종 이상의 허브 엑기스, 허브 분말, 허브 향료를 중량비로 10:2:1의 비율로 혼합하고 반응기에 넣어 15일 이상 숙성하는 것은 진한 풀 냄새를 완화시키는 숙성과정에서 허브잎 엑기스 추출 원액과 허브일 추출 분말로부터 부드러운 특유의 허브잎 향을 발생시키되 향기 휘발성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시중에서 판매되는 상용의 가공된 분말 허브잎 추출 향료를 첨가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향의 휘발이 억제되고 향이 일정하게 오래 지속될 수 있게 조성됨으로써 일정한 농도로 장기간 균일한 발산특성을 나타내는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12)을 조성하여 인체에 유익한 천연의 허브향이 자연스럽게 서서히 지속적으로 발산되어 사용자에게 항상 신선한 쾌감을 주고 방향을 즐길 수 있게 하여 아로마 효과(Aromatherapy)와 악취 제거, 항균, 살균, 공기정화 효과가 복합되는 위생과 건강 증진효과를 동시에 구현하게 된다
실시예1.
1. 표면지로서 닥 펄프의 한지시트 및 배면지로서 목재펄프의 양지 시트 제조
1-1. 닥 펄프의 한지 제조 공정
장섬유 지료로서 닥나무의 껍질을 벗겨낸 백피와 이를 말린 후에 삶는 증해 단계, 수세와 표백을 수행한 닥펄프 지료액 대비 나노(nano) 크기 입자의 금이 혼합된 고순도(99.9%)의 금 콜로이드 수용액(gold colloid)을 0.5%의 비율로 혼합 고해하여 초지기에서 장망 초지한 통상의 방법으로 초지하고 건조하여 평방 미터 당 무게가 30그램인 박막 시트 상의 한지 시트(11)를 얻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한지 시트(11)에 파우더 형태의 금박을 한지 시트의 표면 전체 면에 걸쳐 흩뿌림 방식으로 듬성듬성 부착하여 사용자 시선을 끌게 하는 불규칙한 티끌 모양의 금박 포인트(point)가 형성됨으로써 한지 고유의 자연스럽고 독특한 질감에다 황금 광택 및 색상에 의한 시각적인 장식 효과가 구현된 항균 기능성의 금박 포인트가 형성된 한지 시트(11)를 형성하였다.
1-2. 목재펄프의 양지 시트 제조 공정
상기 1-1. 공정에서 얻어진 한지와 합지시킬 수 있는 후지로서 목재펄프로 제조된 양지 시트를 통상의 환망 초지 공정을 수행하여 하부 배면지로 기능하는 평방 미터 당 120그램 무게의 양지 시트를 얻었다.
2.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의 제조 공정
2-1. 레몬밤과 라벤더 혼합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의 형성
감정을 편안하게 진정시켜 주는 레몬밤과 정신을 안정시키고 숙면을 유도하는 라벤더로 부터 채취한 1:1 동량비의 생잎을 정제수에 중량비로 10:1의 비율로 가열 용기에 넣은 후 100 이상의 온도조건에서 2시간 이상 물이 절반으로 감소될 때까지 가열하면서 삶아 레몬밤과 라벤더 혼합 허브 엑기스를 추출하였다.
또한 동량비의 레몬밤과 라벤더 생잎을 증기에 쪄서 90의 열풍으로 건조기에서 5시간 건조시킨 후 분쇄기에서 300 메시 이하의 초미립자로 미분쇄하여 레몬밤과 라벤더 혼합 허브 분말을 추출하였다.
상기와 같이 추출한 레몬 밤과 라벤더 혼합 허브 엑기스와 레몬 밤과 라벤더 혼합 허브 분말에 유칼립투스 생잎으로부터 추출하여 가공한 상용의 유칼립투스 추출 향료를 혼합하여 레몬밤과 라벤더 혼합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을 형성한 다음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 대비 10:1의 비율(중량비)로 혼합 형성된 레몬밤과 라벤더 혼합향 지속성 복합 허브향 발산층(12)을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레몬밤과 라벤더 혼합향 지속성 복합 허브향 발산층(12)은 레몬 향과 쑥향과 비슷한 혼합 향이 복합된 허브향을 발산하여 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주고 긴장을 풀어주는 방향제 역할에다 항균 및 살균과 해충 기피제 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2-2. 로즈 마리와 쟈스민 혼합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의 형성
2-1 공정과 동일하게 강하고 상쾌한 향의 로즈마리(Rosemary)와 부드러운 향의 쟈스민이 혼합 형성된 로즈마리와 쟈스민 혼합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을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 로즈마리와 쟈스민 혼합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은 강하고 부드러운 복합된 허브향을 발산하여 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주고 긴장을 풀어주는 방향제 역할에다 항균 및 살균과 해충 기피제 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3. 합지 공정
상기 제 1공정에서 얻어진 한지를 자연향이 발산되게 하는 담지체로 기능하는 표면지로서 이용하되 배면지로서 목재펄프로 제조된 양지 시트가 상하로 적층 합지되는 복층 시트 사이로 상기 제 2공정에서 얻어진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을 점착 도포하여 합지하고 200이상의 온도 조건에서 20분 열풍 건조하여 일체화된 다층 구조의 롤(roll) 벽지로 이중 혼초지로 초지 형성된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를 얻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를 실내에서 시공하고 휘산 시킨 결과 초기에도 허브 향이 너무 강하지 않으면서도 적절하고 은은하게 발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레몬밤과 라벤더 혼합향 지속성 복합 허브향 발산층(12)이 구비된 본 발명의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는 수험생이 있는 공부방에 시공한 결과 기억력이 향상되고, 뇌의 활동이 활성화되어 학습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의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는,
공기를 정화하는 방향 물질로서 진한 허브 향을 벽지에 그대로 담아 은은하고 그윽하게 지속적으로 발산시켜 냄새 제거, 스트레스 해소, 안정작용, 청량감 등의 복합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새집증후군 예방은 물론 악취와 곰팡이가 발생하는 헌 집 등에 시공하여 사용자에게 항상 신선한 쾌감을 주고 방향도 즐길 수 있게 하여 쾌적한 실내 주거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인체의 건강증진에도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은 허브향의 빠른 발산을 억제함으로써 향의 휘발이 억제되고 향이 일정하게 오래 지속될 수 있게 하는 물성과 숨쉬는 향 혼합 물질 담지체로서 향기를 서서히 방출시켜 장기간 방향 및 항균효과를 내도록 하기 위한 다공 구조 한지 시트에서 기체 투과량을 제한하여 휘발 성분의 급속한 증발을 방지하면서 향을 서서히 방출하게 하는 기능 구조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복합 상승효과를 구현하여 아토피 및 비염, 천식 등 만성적인 환경성질환의 증상들이 일상 생활하는 과정에서 개선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한지의 고유의 색상과 자연스러운 질감을 그대로 살리면서 금분 또는 은분 특유의 광택 및 색상에 의한 장식효과를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서 실내의 분위기와 훌륭한 조화를 이루게 되어 전통과 현대적 감각이 한데 어우러지는 복합 장식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11:한지 시트(표면지)
12: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
13:양지 시트(배면지)

Claims (3)

  1. 표면지로서 식물성 장섬유 지료로서 해리한 닥펄프 지료액으로 초지기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초지한 한지 시트(11)와 배면지로서 통상의 양지 시트(13) 사이에 각기 다른 향과 효능을 가지고 있는 허브의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허브 종류 다양한 성상의 허브 분말, 허브 엑기스, 허브 향료가 하나 이상 각각 또는 모두 다 함께 혼합 조성된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에 천연접착제가 혼합된 향 지속성 허브 향기 발산층(12)을 점착 구비하는 샌드 위치 형상의 적층 구조로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10)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각기 다른 자연 향을 지니고 허브향 치료효과(아로마테라피, Aromatherapy)로서 스트레스해소, 집중력향상, 기억력향상. 항알러지, 항균 항곰팜이, 방충 효과의 복합효능이 있는 라벤더, 로즈 마리, 페퍼민트, 타임, 레몬밤, 세이지, 유칼립투스, 자스민의 생잎으로부터 추출된 1종 이상의 허브 엑기스, 허브 분말, 허브 향료를 중량비로 10:2:1의 비율로 혼합하고 반응기에 넣어 15일 이상 숙성하여 혼합 교반하여 형성된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에 인체에 무해한 식물성 천연접착제가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 대비 10:1의 비율(중량비)로 혼합 형성된 향 지속성 복합 허브향 발산층(12)을 상기 한지 시트(11)와 양지 시트(13) 사이에 접착 도포하여 합지하고 200 이상의 온도 조건에서 20분 열풍 건조하여 일체화된 다층 구조의 롤(roll) 벽지로 초지 형성하여 은은한 복합 자연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여 미려하고 아늑한 심미감과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는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10)를 형성함에 있어서,
    방향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허브 엑기스는 허브 식물에서 채취하여 분쇄한 생잎을 정제수에 중량비로 10:1의 비율로 가열 용기에 넣은 후 100 이상의 온도조건에서 2시간 이상 물이 절반으로 감소될 때까지 가열하면서 삶아 추출하고,
    상기 허브 분말은 허브 생잎을 증기에 쪄서 90의 열풍으로 건조기에서 5시간 건조시킨 후 분쇄기에서 300 메시 이하의 초미립자로 미분쇄하여 추출하며, 상기와 같이 추출된 허브 엑기스와 허브 분말에 가공된 분말 상의 허브잎 추출 향료를 혼합하여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2. 제 1항에 있어서,
    한지 시트(11)는 단지 백색(白色)만을 띠는 전통한지(韓紙)를 지양하기 위하여 항균 및 살균,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초미세 미립자로서 나노(nano) 크기 입자의 금 또는 은이 혼합된 고순도(99.9%)의 금 콜로이드 수용액(gold colloid) 또는 은 콜로이드 수용액(silver colloid)을 주원료인 닥 펄프 대비 0.5%의 비율로 혼합 고해하여 한지 시트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한지 시트(11)에 파우더 형태의 금박 또는 은박을 한지 시트의 표면 전체 면에 걸쳐 흩뿌림 방식으로 듬성듬성 부착하여 사용자 시선을 끌게 하는 불규칙한 티끌 모양의 금박 또는 은박 포인트(point)가 형성되어 항균 기능성이 부가되면서도 한지 고유의 자연스럽고 독특한 질감에다 황금 도는 실버 고유 광택 및 색상에 의한 시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향 발산 혼합 물질에 첨가하는 인체에 무해한 식물성 천연접착제는 구아검, 로커스트 빈 검 등의 검(gum)류나 한천, 잔탄 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물에 용해가능한 고분자 증점제 기능의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20120082853A 2012-07-28 2012-07-28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1443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853A KR101443127B1 (ko) 2012-07-28 2012-07-28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853A KR101443127B1 (ko) 2012-07-28 2012-07-28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866A true KR20140013866A (ko) 2014-02-05
KR101443127B1 KR101443127B1 (ko) 2014-09-19

Family

ID=5026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853A KR101443127B1 (ko) 2012-07-28 2012-07-28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1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506B1 (ko) 2021-06-11 2022-10-18 정문성 향취 및 항균 성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실크 벽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732A (ko) 2015-03-05 2016-09-19 정재나 한지 석고 방향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26039B1 (ko) 2019-05-14 2021-11-12 주식회사 케이페이퍼 한지질감 페인트 내장마감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993A (ko) * 2000-05-16 2000-09-05 박미애 자연향을 휘산할수 있는 목재류의 목분 및 허브식물을이용한 벽지 및 포장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506B1 (ko) 2021-06-11 2022-10-18 정문성 향취 및 항균 성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실크 벽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127B1 (ko) 2014-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0887A (ko) 편백나무 잎과 기능성 물질이 혼합 초지된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CN104382429A (zh) 一种保健席及其加工工艺
CN107099174A (zh) 墙体涂料
KR101443127B1 (ko)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1331072B1 (ko) 솔잎과 편백나무 추출 피톤치드의 복합 자연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20180138327A (ko)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1073B1 (ko) 쑥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1366599B1 (ko) 편백나무 수피와 잎 추출물이 포함된 다 기능성 한지 섬유의 제조방법
KR20130028192A (ko) 복합 기능 황토 한지 얼굴 미용 마스크 시트 팩
KR101597594B1 (ko) 생체 친화적 복합 기능 한지 섬유
KR100798888B1 (ko) 황토 흙을 이용한 실내장식품 및 그 이용방법
KR100776345B1 (ko) 소취 및 항균 및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지닌 편백나무방향장치
KR200473719Y1 (ko) 자연향을 발산하는 친환경 나무침대
KR20170001520A (ko) 기화발산 쿠션체 9
KR200407417Y1 (ko) 목재를 부착한 황토벽돌
KR20060084472A (ko) 피톤치드 은나노 혼합액을 가구에 도포하는 방법 및 그혼합액, 도포된 가구
CN213204761U (zh) 抗菌净化墙布
KR101053239B1 (ko) 항균성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무늬인쇄층을 구비하는 가구와 그 제조방법
KR100610588B1 (ko) 친환경 방향성 벽 구조체 및 그 건물 내벽 시공방법
KR20170001505A (ko) 기화발산 쿠션 볼
KR101533843B1 (ko) 복층구조를 갖는 기능성 마감재
KR20170001518A (ko) 기화발산 쿠션체 7
KR20090083522A (ko) 향기 발산 항균 지갑
KR200303911Y1 (ko) 방사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벽지
KR20160074445A (ko) 솔 향(피톤치드)이 분출되는 기능성 건축내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