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733A - Ice dispenser and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ce dispenser and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733A
KR20140013733A KR1020120081997A KR20120081997A KR20140013733A KR 20140013733 A KR20140013733 A KR 20140013733A KR 1020120081997 A KR1020120081997 A KR 1020120081997A KR 20120081997 A KR20120081997 A KR 20120081997A KR 20140013733 A KR20140013733 A KR 20140013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water
dischar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이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영 filed Critical 이은영
Priority to KR1020120081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3733A/en
Publication of KR20140013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7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discharge device and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guarantees smooth ice discharge by imposing the ice discharge device including a discharge member for moving ice to from an ice container, in which the ice is stored, to the ice discharge unit, a division member for dividing the ice, and an open and close member for operating a division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ce discharge device making a feature of comprising: an ice container including a discharge unit; an open and close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unit of the ice container; and a division unit for moving the ice stored in the ice container by being operated by an op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discharge device and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makes a feature of comprising: an ice making container in which ice making water is filled; an ice making unit for making ice by being sunken with the ice making water and for including the ice making member in which the ice is divided; the open and close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open unit of the ice mak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the ice in the ice division of the ice making member; a discharge unit including a displacement unit including a displacement unit for moving the open and close member; the ice container including the discharge unit and for storing the ice supplied using the discharge unit; the open and close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unit of the ice container; and an ice discharge device including a division unit for moving the ice stored in the ice container by being operated by the operating unit.

Description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ICE DISPENSER AND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dispenser and an ICE dispenser,

본 발명은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discharge device and an ice-

보다 구체적으로 얼음이 저장된 얼음통에 얼음 배출부를 향하여 얼음을 몰아 이동시키는 편중수단 또는 얼음을 요동시켜 상호 떼어내는 분리수단을 갖는 얼음배출장치를 도입하여 원활한 얼음배출을 보장하며, More specifically, by introducing a biasing means for moving the ice toward the ice discharging portion by moving the ice to the ice discharging portion or an ice discharging device for separating the ice from each other by rocking the ice,

또 상기 분리수단은 배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얼음 배출부를 여닫는 개폐체를 더 구비하여, 이 개폐체가 상기 분리수단과 연결되어 작동시킴으로써, 서로 들러붙은 얼음을 떼어낼 뿐만 아니라,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In addition, the separating means includes an exhaust member and further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ce discharging portion.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separating means to operate, thereby not only separating the ice from each other, and,

나아가 이러한 얼음배출장치를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제빙수단에서 제조되는 얼음 또는 제빙잔수,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하여 냉수통의 저장된 물을 별도의 냉각장치 없이 냉각하고, Further,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such an ice discharge device can cool the stored water of the cold water tank without any separate cooling device by using ice or ice-making water produced by the ice making means, or both,

제빙잔수는 제빙통에 잔류하거나 별도의 저장통으로 공급하지 않고 그대로 냉수통으로 이송하는 제1안내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구조가 단순하며 냉수 냉각효율도 높일 수 있고,The ice making residual water remains in the ice tray or is conveyed as it is to the cold water bottle without being supplied to a separate storage container. Therefor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cooling water cool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또 제빙통을 선회 움직이는 것이 아니므로 구동을 위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잔고장을 방지하고 전력소모량 또한 줄일 수 있으며, Also, since the ice tray is not rotated, the load applied to the motor for driving can be drastically reduced, so that the remaining power can be prevente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아울러 제빙수는 냉수통에서 공급받는 형태로 구성하여 제빙시간의 단축까지 가능한 획기적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ice-making water is supplied from a cold water tank to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n innovative ice-making function capable of shortening the ice-making time.

음용수 공급과 함께 얼음을 제조하여 제공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407867호(2003년11월20일) [제빙기를 가진 냉온정수기]가 있다.A technology to manufacture and provide ice with drinking water supply is Patent Registration No. 0407867 (November 20, 2003) [Cold Water Purifier with Ice Maker].

상기 등록특허는 냉온정수기에 제빙기능을 더 부여함으로써 제빙기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빙점강하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빙하고 결빙된 얼음의 탈빙이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The above patent discloses a technology that can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ice maker by giving an ice-making function to the cold / warm water purifier and can quickly and efficiently freeze ice by using freezing point drop, There is one.

또 실용신안등록 제0285212호(2002년07월30일)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온수 공급기]에는 냉온수 공급기에 있어서 비교적 간단한 장치를 추가하여 제빙부를 설치함으로써 손쉽게 냉수 온수 얼음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85212 (July 30, 2002) [a cold / hot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an ice maker], a technique to easily enjoy the cold water and the hot water ice is provided by installing a relatively simple device in the hot / .

한편, 특허등록 제0729962호(2007년06월13일) [하나의 증발기로 제빙과 동시에 냉수를 얻을 수 있는 냉온정수시스템 및 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하나의 증발기를 이용하여 제빙과 동시에 냉수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소형의 압축기로 제빙과 동시에 냉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일정온도 이하, 범위의 냉수를 제빙용 원수로 사용하므로 원수온도 및 주위온도 변화에 따른 제빙량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Patent Registration No. 0729962 (Jun. 13, 2007) (a cooling and heating water system and device capable of obtaining cold water simultaneously with an evaporator as an evaporator) In addition, since cold water can be ob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or less as a raw material for de-ic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ice making according to the change in raw water temperature and ambient temperature We have proposed a technique to minimize the change.

또 실용신안공개 제2010-0011185호(2010년11월17일) [얼음 정수기]가 있는데, 상기 공개실용신안은 하나의 증발기로 제빙과 냉수 제조가 가능한 얼음 정수기를 제공하면서도 핑거(finger) 형상의 제빙핀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노즐구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부를 설치하여 상기 노즐구로부터 냉수탱크에서 펌핑된 냉수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빙핀의 둘레면에 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노즐구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꽃잎을 갖는 꽃무늬 형상의 얼음이 제빙되도록 하는 얼음 정수기를 제시하고 있다.
There is also a Utility Model Opening No. 2010-0011185 (Nov. 17, 2010) [Ice Water Purifier]. The public utility model provides an ice water purifier capable of making ice and cold water with one evaporator, Wherein a nozzle portion having a nozzle hol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 concentric circle centering around the ice-making pin is provided so that chilled water pumped from the cold water tank is sprayed from the nozzle hole to form ice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ice- And an ice water purifier for allowing a flower-shaped ice having various petals to be de-ic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nozzle openings.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제빙 기능을 갖는 냉온정수기는 냉수제공을 위하여 냉수통에 결합된 냉각수단과 제빙을 위한 제빙수단을 별도로 도입한 것이어서 제조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며, 대형 모델은 물론 소형 모델 출시까지 제품군의 다양화가 필요한 실정에서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소형화 및 컴팩트화에 기술적 제한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old / warm water purifier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cooling water step coupled to the cold water tank and the ice making means for ice making are separately introduced for providing cold water, which causes a rise in manufacturing cos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restricts the miniaturization and compactness of the water cooler and the water purifier in terms of technical limitations.

또 상온의 정수통에서 제빙용 물을 공급받으므로 그만큼 제빙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까지 있어, 여름철의 경우 얼음 정수기의 기능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ce making water takes a long time because the ice making water is supplied in the water tank of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ice water purifier can not function properly in the summer season.

또 제빙후 탈빙과정에서 제빙용 물을 모두 쏟고 다시 새롭게 제빙용 물을 공급받으므로 제빙용 물을 채우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제빙용 물을 새롭게 채우고 채워진 제빙용 물을 다시 새롭게 냉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에너지 소비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de-icing water is poured in the process of de-icing after de-icing and the de-icing water is supplied again, it takes a lot of time to fill the de-icing water and the additional energy for freshly cooling the de- There is a problem that consumption occurs.

한편, 독자적인 얼음공급장치나 냉장고 또는 정수기에 딸린 얼음공급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relating to an ice supply device unique to an ice supply device, a refrigerator or a water purifier,

특허공개 제10-2011-0079968호(공개일자 2011년07월12일)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가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079968 (published on July 12, 2011) [ice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ice storage device].

상기 공개특허는 보관되는 얼음이 통얼음상태로 배출되거나 또는 분쇄된 상태로 배출되되, 다양한 루트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와 정수기를 제시하고 있는데,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ice storage device capable of being discharged through various routes, and a refrigerator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ice storage device,

그 구체 구성은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되는 복수의 얼음토출구와;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되며,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얼음토출구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얼음토출구로 얼음을 이송시키는 얼음이송부재와; 상기 복수의 얼음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소정의 얼음토출구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하도록 상기 얼음이송부재가 특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그 소정의 얼음토출구를 개방하는 개폐유닛과; 상기 개폐유닛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폐유닛이 장착된 얼음토출구를 통과한 얼음을 분쇄하는 얼음분쇄장치를 포함한다.
An ice storage box; A plurality of ice discharge ports provided in the ice storage box; An ice transfer member provided in the ice storage box for selectively transferring ice to one of the plurality of ice discharge ports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An opening / closing unit provided a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ce discharge ports and opening the predetermined ice discharge port when the ice transfer member rotates in a specific direction to transfer ice in a predetermined ice discharge port direction; And an ice crushing device provided adjacent to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crushing ic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ce discharge port equipp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또 특허공개 제10-2008-0045236호(공개일자 2008년05월22일) [인-라인(in-line) 아이스 분쇄기를 가진 아이스/음료디스펜서]가 있는데,There is also an ice / beverage dispenser with an in-line ice crusher,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8-0045236 (published on May 22, 2008)

상기 공개특허는 패스트-서비스 레스토랑(fast-service restaurant)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상업용 아이스 디스펜서 및 아이스 디스펜서와 아이스 및 음료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The disclosure relates to commercial ice dispensers and ice dispensers and ice and beverage dispensers such as those used in fast-service restaurants.

또 특허공개 제10-2008-0029201호(공개일자 2008년04월03일)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통얼음과 조각얼음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re is also a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8-0029201 (published on Apr. 03, 2008) [an ice taking device and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the ice taking device]. The patent discloses an ice-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아울러 특허등록 제10-0590796호(등록일자 2006년06월09일) [복합식 토출관을 구비한 얼음 디스펜서]가 있는데,In addi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10-0590796 (registered on June 09, 2006) [an ice dispenser equipped with a combined discharge pipe]

상기 등록특허는 각 얼음과 가루얼음을 하나의 토출관과 토출구를 통해 토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출관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고 특히 가루얼음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복합식 토출관을 구비한 얼음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The above patent discloses an ice dispenser equipped with a complex discharge pipe which can discharge the ice and powder ice through one discharge pipe and discharge port,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ccupied by the discharge pipe and discharging the powder ice smoothly. About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모두 얼음 배출시 모터나 액추에이터를 이용하고 있어 절전형 무동력, 아날로그 방식의 얼음토출장치의 제안이 절실하며, 또 다른 구동 요소와 연계된 얼음 배출장치의 제안이 필요하다.
However, all of these conventional technologies use a motor or an actuator for discharging ice, so it is urgent to propose a power saving non-powered, analog type ice discharge device, and a proposal of an ice discharge device associated with another driving factor is required.

한편, 정수기나 냉온수기에서 배관, 배관 연결부위, 배관과 필터 연결부위 등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감지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있어 왔다.On the other h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problems by detecting leaks generated in piping, piping connection parts, piping and filter connection parts in a water purifier or a cold / hot water machine.

그 예로는 특허등록 제10-0794132호(등록일자 2008년01월04일) [정수기의 누수 감지 장치]가 있는데, An example of this is Patent Registration No. 10-0794132 (registered on Jan. 4, 2008) [Water leakage detection device for water purifier]

상기 등록특허는 누수 감지 장치가 정수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정수기 내부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는 집수 영역과 정수기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 형태의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The patent discloses a frame type device including a water collecting area for receiving water falling inside a water purifier and a water leakage detecting area for detecting a water purifier leak, the water leakage detecting device being installed at a lower part of the water purifier.

또 특허등록 제10-0794118호(등록일자 2008년01월04일) [정수기 누수 감시장치와 그 방법]가 있는데, In addi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10-0794118 (registered date Jan. 04, 2008) [a water purifier leak monitoring device and its method]

상기 등록특허는 정수기 필터의 전,후단에 각각 설치된 저압차단스위치(LPS) 및 고압차단스위치(HPS)의 출력시간을 이용하여 정수기의 누수를 감지하고, 그 누수감지에 따라 원수 공급을 차단하는 정수기 누수 감지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수기 누수 감지장치와 그 방법은 정수기 내부로 유입된 원수를 정화하여 정수로 정화하는 필터부와 상기 정화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사이에서 상기 필터부에서 상기 배출부로 유입되는 정수의 압력을 검출하고, 원수가 정수기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에서 정수의 누수에 따른 정수압력이 저압 및 고압을 교대로 반복하여 일정시간 동안 검출되는 경우 정수기의 누수로 판단하고, 정수기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 및 필터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The above patent discloses a water purifier for detecting the leakage of the water purifier by using the output times of the low pressure cutoff switch LPS and the high pressure cutoff switch HP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water purifier fil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a water leakage detection method therefor. The water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the method include a filter portion for purifying raw water introduced into a water purifier and purifying the purified water, The water purifier detects the pressure of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discharge unit and determines that the purified water pressure due to the leakage of the purified water is a leakage of the water purifier when the low pressure and the high pressure are alternately repeatedly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purifier and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are blocked.

나아가 특허공개 제10-2009-0000057호(공개일자 2009년01월07일) [정수기의 동작상태 및 관리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정수기 및 정보 제공 방법]이 있는데,Furthermor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9-0000057 (published on Jan. 07, 2009) (a water purifier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and management history of a water purifier)

상기 공개특허는 정수기의 동작상태 및 관리 이력 확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개특허는 정수기의 동작상태 및 관리 이력 확인 시스템은 정수기의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동작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제어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 및 외부 점검 장치로의 정보 전송을 중개하는 통신 포트를 포함하며, 정수기의 현재상태와 정수기의 사용함에 따라 생성된 서비스 내용 및 불량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정수기의 점검 및 관리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데, 상기 센서부에는 누수감지센서가 포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sensor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a water purifier, an operation state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er, A control unit, a memory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port for media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to the external check device. The contents of the service and the contents of the service generated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use of the water purifier can be confirm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 in that the sensor unit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checked and managed.

또 특허등록 제10-0726402호(등록일자 2007년06월01일)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가 있는데,In addi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10-0726402 (registered date June 01, 2007) [water supply cutoff device of a built-in sink water purifier]

상기 등록특허는 수돗물을 정수하기 위해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되는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수기의 사용 중에 연결부위의 기밀 유지정도가 떨어져 누수가 발생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정수기 측으로의 급수를 신속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above patent relates to a built-in water purifier water shut-off device installed in a sink of a kitchen in order to purify tap water. When the water purifier is in use, So that the water supply can be quickly blocked.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들은 모두 경사부를 갖는 물받이부재를 이용할 경우 실제 누수감지센서를 어떻게 설치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제시가 없고, 또 피씨비에 실장된 칩 타입의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할 경우 누수 감지 민감도를 높이기 위한 해결방안을 제시히고 있지 못하며, 또 이미 판매, 설치된 냉온수기나 정수기에도 누수감지수단을 적용하여 상업성과 범용성이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However, all of these prior arts do not disclose a concrete method of how to install the actual leak sensor when the water receiving member having the inclined portion is used, and when using the chip type leak sensor mounted on the PCB, And does not offer a solution to increase commerciality and versatility by applying leak detection means to already installed and installed cold / hot water system and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얼음이 저장된 얼음통에 얼음 배출부를 향하여 얼음을 몰아 이동시키는 편중수단 또는 얼음을 요동시켜 상호 떼어내는 분리수단을 갖는 얼음배출장치를 도입하여 원활한 얼음배출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has ice cubes for moving ice cubes toward an ice cubicle for storing ice cubes or separation means for oscillating ice cubes It is aimed to ensure smooth ice discharge by introducing an ice discharg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얼음통의 온도 변화로 얼음이 녹아 서로 들러붙어 얼음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얼음을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배출부재와 들러붙은 얼음을 분리시키는 분리부재를 모두 구비한 분리수단을 개폐체를 통하여 작동시키는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ice from melting due to melting of the ice cubes due to a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ice bucket and preventing the ice from being smoothly discharged, a separation member An ice discharge device for operating the means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body, and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using the ice discharge device.

한편, 본 발명은 냉온수기나 정수기의 하우징에 경사부를 갖는 물받이부재를 도입하고, 이 물받이부재의 경사부, 특히 최저점에 누수감지센서를 배열하여 누수로 인한 누전, 감전, 화재 등의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receiving member having an inclined portion is introduced into a housing of a cold / hot water machine or a water purifier, and a water leakage sensor is arranged at the inclined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member, And to provide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using the ice discharge device.

또 본 발명은 칩 타입 등의 감지부재가 실장된 피씨비로 구성된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피씨비 두께로 인한 누수 감지 민감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감지부재를 하부에 배열하고 피씨비를 상부에 배열한 역전 구조를 도입한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leak detection sensitivity due to the thickness of the PCB is low when a leakage detection sensor made of a PCB having a chip type or the like mounted thereon is used, the detection member is arranged at the lower por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using the ice discharging device.

아울러 본 발명은 상부에서 누수, 낙하하는 물에 대한 초기 감지를 위하여 별도로 누수감지센서를 구성하는 피씨비의 하부 뿐 아니라 상부에도 칩 타입 등의 감지부재를 실장하여 구성한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ce discharge device including a sensing member such as a chip typ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a PCB for constituting a water leakage sensor separately for initial detection of leaking water or falling water,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rovided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나아가 본 발명은 물받이부재를 하우징 하부를 받치는 쿠션부재로 구성하여 기존 냉온수기나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충분히 누수감지기능을 도입할 수 있으며, 이미 판매, 설치된 냉온수기나 정수기에도 누수감지수단을 적용할 수 있어 상업성과 범용성이 크게 향상시킨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receiving member is constituted by a cushion member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the leakage detection function can be sufficiently introduced without chang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isting cold / hot water and water purifier. And an ice-making device for ice-making the ice-making device using the ice-making device.

한편, 본 발명은 누수감지수단은 물론 제빙수단에서 제조되는 얼음을 이용하여 냉수통의 저장된 물을 별도의 냉각장치 없이 냉각하고, 제빙용 물은 냉수통의 냉각된 물을 공급받도록 하여 음용수 공급 기기의 구성을 획기적으로 단순화시키면서도 제빙시간의 단축까지 가능한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stored in a cold water tank is cooled without using a separate cooling device by using ice produced in an ice-making means as well as an ice-making means, and ice- Which can dramatically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ice making apparatus and shorten the ice making time, and a drinking water supplying apparatus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using the same.

또 본 발명은 제빙수단에 의하여 제빙통이 제빙체에 대하여 제1, 제2, 제3 위치로 움직임에 따라 제빙을 위한 제1모드와 탈빙을 위한 제2 및 제3 모드가 진행되고, 또 제빙통이 제빙체에서 분리된 경우 제2모드-제2위치에서는 냉수통으로. 그리고 제3모드-제3위치에서는 얼음통으로 얼음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여 얼음에 의한 원활한 냉수생성과, 우선적인 냉수 생성 후의 얼음 활용이 가능한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de for ice-making and the second and third modes for ice-making are progressed by the ice-making means as the ice-making cylinder moves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ice- In the second mode when the barrel is separated from the ice-making body, to the cold water bottle in the second position. In the third mode to the third position, ice can be conveyed to the ice bucket, thereby producing a smooth cold water by ice, an ice discharge device capable of utilizing ice after preferential cold water generation, and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n 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아울러 본 발명은 제1모드 진행시 제빙통에 공급되는 제빙수를 냉수통에서 공급받음은 물론, 탈빙 후 제빙통에 잔존하는 제빙수를 냉수통 등으로 쏟지 않고 그대로 가지고 있어서 이후의 제빙 모드에서 획기적으로 빠르게 제빙이 가능함은 물론, 탈빙을 위한 동작시 제빙통이 선회되지 않고 그대로 움직이게 되므로 종래 제빙통으로 1차 탈빙된 얼음을 이송하기 위하여 제빙통을 선회시키는 경우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지게 되어 설계의 어려움, 고장의 원인, 전기소모량 증대, 고성능 모터 채용으로 인한 단가 상승의 문제가 없는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making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tray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tray in the first mode, and the ice-making water remaining in the ice-making tray is not poured into the cold water tank after the ice- It is possible to rapidly perform the ice making operation. In addition, in the ice making operation, the ice making container is moved without being turned. Therefore, when the ice making container is pivoted to transport ice firstly scraped into the ice making containe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discharge device free from problems of designing, cause of trouble, increase of electricity consumption, increase in unit cost due to adoption of high performance motor, and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using the ice discharge device.

나아가 본 발명은 제빙수단의 얼음을 얼음통으로 이송배출시키는 이송가이드부재를 제빙통과 연계하여 구성하여 구조를 단순화한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ce discharge device in which a structure of a conveying guide member for conveying and discharging ice of an ice-making device to and from an ice bucket is combined with ice making and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는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배출부를 갖는 얼음통;An ice tray having a discharge portion;

상기 얼음통의 배출불를 여닫는 개폐체; 및An opening / closing body for opening / clos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ice bin; And

작동수단에 의하여 동작되고, 얼음통에 담긴 얼음을 움직이는 분리수단;Separating means operated by operating means for moving ice contained in the ice bucket;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에서Further, in the 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분리수단과 연결된 개폐체이고, 이 분리수단은 얼음을 배출부로 가압하는 배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perating means is an opening / closing member connected to the separating means, and the separat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discharging member for pressing the ice to the discharging portion.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에서Further, in the 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얼음통에는 배출부를 향하여 형성된 안내부가 구비되어 있고,The ice cistern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formed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안내부를 따라 움직이는 날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parating means has a wing portion moving along the guide port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에서In the 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개폐체는 상호 연결된 가압부와 개폐부를 갖고, 가압부와 개폐부 사이에는 회동축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회동축에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있어 개폐부가 배출부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화고,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has a pressing portion and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rotating shaft is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the rotating shaf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상기 개폐체의 개폐부 말단은 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분리수단과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opening / closing end of the opening / closing body is connected to the separating means through a connecting shaf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는Also, the 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using the ice discharge device

제빙수가 채워지는 제빙통;An ice-making cylinder filled with ice-making water;

상기 제빙수에 잠겨 제빙이 이루어지고, 탈빙이 행해지는 제빙체를 포함하는 제빙수단;An ice-making unit including an ice-making body which is immersed in the ice-making water to perform ice-making and de-icing;

상기 제빙체의 탈빙 시 얼음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빙통의 하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움직이는 변위수단을 포함하는 배출수단; 및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at opens and closes a lower opening of the ice-making cylinder to discharge ice when the ice-making body is scooped, and a displacing unit that mov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상기 배출수단을 통하여 얼음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배출부를 갖는 얼음통,An ice cube having a discharge part,

상기 얼음통의 배출부를 여닫는 개폐체, 그리고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ice bin, and

작동수단에 의하여 동작되고 얼음통에 담긴 얼음을 움직이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얼음배출장치;An ice discharge device operated by the operating means and including separating means for moving ice contained in the ice cube container;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는Meanwhile, an 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using the ice discharge device

하우징에 구비되고 경사부를 갖는 물받이부재; 및A water receiving membe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And

상기 물받이부재의 경사부에 구비된 누수감지센서;A water leakage sensor provided on an inclined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member;

를 포함하는 누수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a leakage detection means including a leakage detection means.

또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에서Further, in the 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the ice making function

상기 누수감지센서는 피씨비와, 이에 실장된 감지부재를 갖고, 피씨비가 상부에 배열되고, 감지부재가 하부에 배열된 상태로 역전 설치되며,The water leakage sensor includes a PCB and a sensing member mounted thereon. The PCB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the sens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in a reverse direction,

상기 물받이부재는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된 쿠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감지센서는 하우징의 하부 모서리에 의하여 눌려 형성된 쿠션부재의 경사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water receiving member includes a cushion memb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water leakage sensor is installed at an inclined portion of the cushion member formed by being pushed by the lower edge of the housing.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는Further, the 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n ice-making function using the ice discharge device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제빙수가 채워지는 제빙통;An ice-making container filled with iced water contained in the housing;

상기 제빙수에 잠겨 제빙이 이루어지고, 탈빙이 행해지는 제빙체를 포함하는 제빙수단; An ice-making unit including an ice-making body which is immersed in the ice-making water to perform ice-making and de-icing;

상기 제빙체의 탈빙시 얼음을 배출하는 배출수단; 및
A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ice upon deicing of the ice making body; And

하우징에 구비되고 경사부를 갖는 물받이부재, 그리고A water receiving membe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and

상기 물받이부재의 경사부에 구비된 누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누수감지수단;A water leakage sensing means including a water leakage sensor provided at an inclined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member;

을 포함하여 이루어다.
.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는In addition, an 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n ice-making function using the ice discharge device

물공급부Water supply section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물저장통; 및A water reservoir built in the housing; And

상기 물공급부의 물을 물저장통으로 공급하는 관체, 상기 관체에 구비되어 관체의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칩이 실장된 PCB를 포함하는 관로개폐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conduit opening and closing body including a tube for supplying water of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water storage tank, a solenoid valve provided on the tube for opening and closing a channel of the tube, and a PCB on which the microchip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is mounted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에서Meanwhile, in the 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the ice making function,

하우징에 구비되고 경사부를 갖는 물받이부재, 그리고 상기 물받이부재의 경사부에 구비된 누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누수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nd water leakage detection means including a water receiving member provided on the housing a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and a water leakage sensor provided on an inclined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member,

상기 물받이부재는 누설수를 안내하는 경사날개와, 상기 경사날개와 연결된 누설수 저장부를 갖고,Wherein the water receiving member has an inclined wing for guiding leakage water and a leakage water storage portion connected to the inclined wing,

상기 경사날개에는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변형 가능한 가변요철부가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Wherein a variable deformable concavo-convex portion is formed in the end portio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oblique vane,

상기 저장부에는 누설감지센서 고정브라켓이 돌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torage unit is provided with a leak detection sensor fixing bracket.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얼음이 저장된 얼음통에 얼음 배출부를 향하여 얼음을 몰아 이동시키는 편중수단 또는 얼음을 요동시켜 상호 떼어내는 분리수단을 갖는 얼음배출장치를 도입하여 원활한 얼음배출을 보장한다.The ice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using the 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biopsy means for moving ice to move the ice toward the ice discharge portion, An ice discharge device with separation means is introduced to ensure smooth ice discharg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 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얼음을 배출부를 향하여 가압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부재와, 배출되는 얼음이 서로 달라붙어 있을 경우 달라붙은 얼음을 서로 분리시키는 분리부재를 동시에 갖는 분리수단을 개폐체와 연결되어 작동시키는 얼음배출장치를 도입하여 사용자에게 월활한 얼음배출을 보장하고, 서로 달라붙은 얼음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ice discharge device and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using the 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member for discharging the ice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and discharging the ice to the discharge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ce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user by inserting the ice discharging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o operate the separating means having the member at the same tim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는 냉온수기나 정수기의 하우징에 경사부를 갖는 물받이부재를 도입하고, 이 물받이부재의 경사부, 특히 최저점에 누수감지센서를 배열하여 누수로 인한 누전, 감전, 화재 등의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 칩 타입 등의 감지부재가 실장된 피씨비로 구성된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피씨비 두께로 인한 누수 감지 민감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감지부재를 하부에 배열하고 피씨비를 상부에 배열한 역전 구조를 도입하였으며, 아울러 상부에서 누수, 낙하하는 물에 대한 초기 감지를 위하여 별도로 누수감지센서를 구성하는 피씨비의 하부 뿐 아니라 상부에도 칩 타입 등의 감지부재를 실장하여 구성하고, 나아가 물받이부재를 하우징 하부를 받치는 쿠션부재로 구성하여 기존 냉온수기나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충분히 누수감지기능을 도입할 수 있으며, 이미 판매, 설치된 냉온수기나 정수기에도 누수감지수단을 적용할 수 있어 상업성과 범용성의 획기적인 향상이 가능하다.
In the meantime,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water receiving member having an inclined portion in the housing of the cold / hot water and purifier, arranges the leak detecting sensor at the inclined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ary damage of the sensor chip.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water leakage sensor having a PCB mounted with a sensing member such as a chip type, In addition, a sensing member such as a chip type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CB constituting the water leakage sensor separately for the initial detection of water leaking and falling from the upper part and also on the upper part thereof And further, the water receiving member is constituted by a cushion member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Leak detection can be introduced without chang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ter purifier. Leakage detection means can be applied to the already installed and installed cold / hot water system and water purifier, which can dramatically improve commerciality and versatility.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제빙기능을 도입함에 있어 제빙수단의 제빙체가 잠기는 제빙통은 움직이지 않고 제빙통의 하부만을 개폐하고, 제빙수단에서 제조되는 얼음 또는 제빙잔수,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하여 냉수통의 저장된 물을 별도의 냉각장치 없이 냉각하고, 제빙잔수는 제빙통에 잔류하거나 별도의 저장통으로 공급하지 않고 그대로 냉수통으로 이송하는 제1안내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구조가 단순하며 냉수 냉각효율도 높일 수 있고, 또 제빙통을 선회 움직이는 것이 아니므로 구동을 위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잔고장을 방지하고 전력소모량 또한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제빙수는 냉수통에서 공급받는 형태로 구성하여 제빙시간의 단축까지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n ice-ma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introducing the ice-making function, the ice-making cylinder in which the ice-making body of the ice-making means is locked does not move and opens and closes only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And a first guide means for cooling the stored water of the cold water tank without using any separate cooling device and transferring the remaining ice to the cold water bottle without remaining in the ice tray or being supplied to a separate storage container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cold water cooling efficiency can be enhanced and the ice tray is not rotated, the load applied to the motor for driving can be drastically reduced, thereby preventing the bottom balance and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Furth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of icing by constructing it to be supplied from cold water tank.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제빙수단에서 제조되는 얼음을 이용하여 냉수통의 저장된 물을 냉각하고, 제빙용 물은 냉수통에서 공급받도록 하여 음용수 공급 기기의 구성을 획기적으로 단순화시키면서도 제빙시간의 단축까지 가능하고, 제빙통의 제빙수는 배수되지 않고 잔존되고, 탈빙된 후의 제빙통의 제빙수는 필요한 양(즉, 얼음에 해당하는 양)의 제빙수만이 추가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제빙수 공급시간의 단축과 추가적으로는 제빙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또 제1모드 진행시 제빙통에 공급되는 제빙수를 냉수통에서 공급받음은 물론, 탈빙 후 제빙통에 잔존하는 제빙수를 냉수통 등으로 쏟지 않고 그대로 가지고 있어서 이후의 제빙 모드에서 획기적으로 빠르게 제빙이 가능함은 물론, 탈빙을 위한 동작시 제빙통이 선회되지 않고 그대로 움직이게 되므로 종래 제빙통으로 1차 탈빙된 얼음을 이송하기 위하여 제빙통을 선회시키는 경우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지게 되어 설계의 어려움, 고장의 원인, 전기소모량 증대, 고성능 모터 채용으로 인한 단가 상승의 문제가 없으며, 탈빙시에 제빙통은 선회운동으로 제빙수단에서 멀어짐으로써 탈빙된 얼음이 제빙통에 남아 제빙한 것이 무용지물이 될 소지가 원천적으로 차단되고, 탈빙된 얼음을 얼음통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이송가이드부재는 제빙통과 연계되도록 하여 구성을 보다 단순화시키고, 제빙통은 변위수단을 통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선회운동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wherein the ice water produced by the ice making means is used to cool stored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and to receive ice water from the cold water tank, The ice-making water of the ice-making cylinder is not drained and remains, and the ice-making water of the ice-making tray after being scooped is supplied additionally with a necessary amount (that is, an amount corresponding to ice) In addition, the ice-making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ylinder is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tank at the time of the first mode, and the ice-making water remaining in the ice- Which is not poured into a cold water tank or the like, so that ice can be drastically accelerated in a subsequent ice-making mode, When the ice tray is pivoted to transport the ice that has been firstly scraped into the ice tray,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becomes large, which causes difficulties in designing, causes of trouble, , There is no problem of a rise in the unit price due to the adoption of a high-performance motor. In the deicing operation, the ice tray is moved away from the ice-making unit by the swing motion, so that the ice- The conveying guide member for conveying and discharging the ice to the ice bucket is connected to the ice making passage to further simplify the structure and the ice tray can stably and swing through the displacement means without shaking.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얼음공급장치는 얼음이 저장된 얼음통에 얼음 배출부를 갖는 고정체를 도입하고 별도의 동력 없이 개폐체에 의하여 배출부가 무동력, 아날로그 방식으로 개방되어 얼음의 배출이 가능함은 물론, 얼음통에서의 보관시간 경과에 따라 서로 달라붙은 얼음을 분리할 수 있는 교반체와 함께 얼음 낙하 속도를 줄일 수 있는 저항부재까지 도입하고, 나아가 얼음이 컵 밖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커버를 도입하며, 그외 외기가 얼음통으로 침입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획기적인 전력소모량 감소와 잔고장 방지, 작동 신뢰성 확보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supplying device introduces a fixed body having an ice discharging portion into an ice cube storing ice, and the discharging portion is opened by the opening / closing body without any power, As well as a stirrer capable of separating the ice sticking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of storage in the ice cube, and a resistance member capable of reducing the falling speed of the ice are introduced, and furthermore, And other measures to prevent the outside air from entering into the ice bucket can be expected to achieve remarkable effects such as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prevention of residual power, and securing operation reliability.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이 향상된 음용수 공급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도 1과는 다른 물받이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1차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2차 분해 요부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제빙수단, 제1 및 제2 안내수단의 동작과 관련된 도면들.
도 11a는 누수 방지 기능 향상을 위한 관로개폐체에 대한 도면.
도 11b 및 도 11c는 관로개폐체에 대한 회로도.
도 12는 다른 형태의 제빙통 및 개폐부재를 갖는 얼음 배출수단을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 냉온수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 냉온수기의 외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 복합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통이 변위수단을 통해 선회운동하는 과정과, 그에 따라 이송가이드부재의 작동상태 변화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빙수단 및 제2안내수단과 연계된 얼음공급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얼음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및 작동 상태 변화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and FIG. 2 are schematic views of a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with improved leakag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water receiving member different from that of Fig. 1; Fig.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irst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disassembly portion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view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ce making means,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ans in the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A is a view of a pipeline opening / closing member for improving the water leakage prevention function.
Fig. 11B and Fig. 11C are circuit diagrams for a pipe open / close body.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ice discharging means having another type of ice-making container a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1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ce-making cold / hot water genera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 is a schematic view of a mixed-water supply device multifunction apparatus having an ice-ma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16 and 17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ice tray is pivoted through the displacement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veyance guide member is thereby changed.
FIG. 18 is a schematic view of an ice supply device associated with the ice making means and the second guide means shown in FIGS. 4 to 9 in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hange in operating state of the ice discharge device in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의 음용수 공급장치의 개념은 통상 수도관과 연결되어 필터를 거쳐 수돗물을 정화한 후 이를 냉각하고 가열하는 정수기는 물론, 이온수기, 의료용 정수기, 생수통에 담긴 생수를 이용하는 냉온수기, 단순한 냉수기에 까지 적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정수기나 냉온수기, 이들의 복합기 위주의 설명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The concept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onizer, a medical water purifier, a cold water heater using bottled water contained in a water tank, and a simple water heater, as well as a purifier for purifying tap water after being connected to a water pip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by the description of water purifiers, cold / hot water machines, and multifunctional units thereof.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A)는 냉온 코크(C1,C2)가 전면에 구비된 하우징(H)에 구비(내장 또는 외장 모두 포함)된 물받이부재와, 누수감지센서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cold / hot water supply or water purifier A having a water leakage sens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housing H provided with a cold cork C1 or C2 on the front side ), And a water leakage sensor.

본 발명에서 누수감지수단을 구성하는 물받이부재는 필터나 냉수통, 온수통 등 물이 흐르는 배관 및 부품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급적 하우징의 크기나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며, 또 필터나 냉수통, 온수통 등의 배열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receiving member constituting the water-leakage detecting means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pipe and a part through which water flows, such as a filter, a cold water tank, and a hot water tank. Preferably,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housing are not changed, It is preferable to adopt it without chang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such as a bottle, a hot water bottle, or the like.

아울러 누수감지수단을 구성하는 물받이부재 및 누수감지센서 등은 응축기 등 냉수통의 물 냉각을 위한 부품에서 발생되는, 자연적인 공기 중 수중기의 응결 등으로 인하여 낙하하는 물을 감지하여 누수상태로 오판하는 사태가 발생되지 않도록 In addition, the water receiving member and the leak detection sensor constituting the leak detecting means detect the falling water due to the condensation of the natural air in the middle of the water, which is generated in parts for cooling the water in the cold water container such as the condens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물받이부재 및 누수감지센서의 배열위치를 선택하고, 센서의 센싱 감도를 조절하여 누전이나 감전을 일으킬 만한 한계 누수량을 감지하도록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water receiving member and the water leakage sensor is selected and the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is adjusted so as to detect the minimum water leakage amount which may cause a short circuit or an electric shock.

도 1에서, 본 발명에서 누수감지수단(100)을 구성하는 물받이부재(110A)는 하우징(H)에 구비, 특히 하우징에 내장되며, 경사부(111a)를 갖는다.1, the water receiving member 110A constituting the water leakage detecting mean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housing H, and in particular, is housed in the housing and has an inclined portion 111a.

또 누수감지수단(100)을 구성하는 누수감지센서(120)는 상기 물받이부재의 경사부(111a)에 구비되며, 특히 누수 감지 민감도 향상을 위하여 물받이부재 경사부의 최저점(111m)에 배열된다.The water leakage sensor 120 constituting the water leakage sensing means 100 is provided at the inclined portion 111a of the water receiving member and is arranged at the lowest point 111m of the water receiving member inclined por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ensitivity of sensing the water leakage.

나아가 상기 누수감지센서(120)는 마이컴과 연계 구성되어 누수 감지, 판단시 원수를 솔레노이드 밸브 등의 폐쇄로 차단하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그리고 양산성이나 단가경쟁력을 고려하여 In addition, the leakage sensor 120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so as to block the raw water from being blocked by the solenoid valve when the leakage detection and the judgment are made, and in consideration of the mass productivity and the cost competitiveness

피씨비(121)와 이에 실장된 감지부재(123)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부재는 공지의 칩 타입 부품을 활용할 수 있다.And a sensing member 123 mounted on the PCB 121. The sensing member may utilize a known chip type component.

나아가 무엇보다도 피씨비 두께로 인한 누수 감지 민감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감지부재(123)를 하부에 배열하고 피씨비(121)를 상부에 배열한 역전 설치 구조를 도입하고 있다.Furtherm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low sensitivity of leak detection due to the thickness of the PCB, the reverse mounting structure in which the sensing member 123 is arranged at the lower part and the PCB 121 is arranged at the upper part is introduced.

또 도 1의 우측 상부 세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Also, as can be seen in the upper right triple-dotted circle on the upper right side of Fig. 1,

역전된 누수감지센서(120)의 설치 보장을 위하여 물받이부재(110A)의 경사부(111a) 최저점(111m)에는 별도의 고정체(130)가 도입되어 있고,A separate fixture 130 is introduced into the lowest point 111m of the inclined portion 111a of the water receiving member 110A to ensure installation of the reversed leak sensor 120,

이 고정체(130)는 선반부(131)를 가져 피씨비(121)의 양 측단을 받치고, 하부에는 개구부(133A)를 가져 감지부재(123)의 노출 및 최저점(111m)으로 모인 누설수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fixture 130 has shelves 131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PCB 121 and has an opening 133A at the bottom thereof to expose the sensing member 123 and to sense leakage collected at the lowest point 111m .

도 1의 우측 하부 두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As can be seen in the two-dot-dashed circle at the bottom right of Fig. 1,

물받이부재(110A)에 모인 누설수의 감지 뿐 아니라, 상부에서 누수, 낙하하는 물에 대한 초기 감지를 위하여 별도로 피씨비(121)의 하부 뿐 아니라 상부에도 칩 타입 등의 감지부재(123)(123A)를 실장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ensor 123 (123A) such as a chip type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CB 121 as well as the lower part of the PCB 121 for the initial detection of water leaking and dropping from the upper part as well as the detection of leakag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receiving part 110A. As shown in Fig.

이 경우 고정체(130)는 선반부(131)의 상하부 모두에 감지부재(123A)(123)의 노출을 위한 각각의 개구부(133A)(133B)가 구비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fixing member 130 is provided with openings 133A and 133B for exposing the sensing members 123A and 123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helf portion 131, respectively.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수단(100)을 구비한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A)는 이미 판매, 설치된 냉온수기나 정수기에까지 별다른 변형이나 조작 없이 누수감지수단을 적용하여 상업성과 범용성이 크게 향상시키고자, Next, as shown in FIG. 2, the water / cooler / water purifier A provided with the water leakage detecting mean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leak detection means without any modification or operation to the already installed and installed cold / And versatility,

물받이부재를 특히 하우징 하부를 받치는 쿠션부재로 구성하여 기존 냉온수기나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충분히 누수감지기능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The water receiving member is constituted by a cushion member particularl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the leakage detection function can be sufficiently introduced without chang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isting cold / hot water and water purifier.

즉, 본 발명의 누수감지수단(100)에서 물받이부재(110B)는 하우징(H)의 하부에 구비된 쿠션부재(113A)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감지센서는(120) 하우징(H)의 하부 모서리(H1)에 의하여 눌려 형성된 쿠션부재(113A)의 경사부(111b)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at is, in the leakage sensing mean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receiving member 110B includes a cushion member 113A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H, And can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inclined portion 111b of the cushion member 113A formed by being pushed by the edge H1.

또 상기 쿠션부재(113A)는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며, 내피는 압축 변형이 가능한 각종 공기, 액체, 솜, 발포 프라스틱 등의 탄력부재로 이루어지고, 외피는 방수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cushion member 113A is composed of an outer shell and an inner shell, and the inner shell is composed of elastic members such as various air, liquid, cotton, and foam plastic that can be compressively deformed, and the shell is preferably made of a waterproof member.

나아가 상기 쿠션부재(113A)는 안정된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A)의 지지를 위하여 쿠션부재가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A) 무게에 의하여 일정 정도 변형된 후 형상유지력과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쿠션부재(113A)의 하부나 내부에는 별도로 경질받침부재(113B)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cushion member 113A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such that the cushion member is deformed to a certain degree by the weight of the water purifier or the cold / hot water heater A to support the water purifier or the cold / hot water generator A,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receiving member 113B is separately provided inside.

상기 쿠션부재(113A)는 부하가 집중되는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A)의 하우징(H)의 모서리(H1) 부위가 집중적으로 눌려 다른 부분 보다 더 하강하므로 경사부(111b)를 형성하게 되는데,The cushion member 113A forms an inclined portion 111b because the edge H1 of the housing H of the water purifier or the cold / hot water generator A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is intensively pressed and descends more than other portions,

보다 확실하게 누설수가 하우징(H)의 모서리(H1) 부위, 즉 경사부(111b)에 모이도록 상기 경질받침부재(113B)에는 셋 또는 네 개 정도의 높낮이 조절부재, 특히 나사결합되어 조이고 푸는 정도에 따라 높이가 쉽게 조절되는 나사부를 갖는 높낮이 조절부재(113b)를 갖고,The light receiving member 113B is provided with three or four or more height adjusting members, particularly a screw-tightening and loosening degree, so that the leakage can be assuredly gathered at the corner H1 portion of the housing H, that is,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113b having a screw portion whose height is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adjusting member 113b,

도 2의 우측 하부의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직선 "X"에 비하여 일정 각도 "θ"만큼 누수감지센서(120)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면에서 기울기 정도는 약간 과장되게 표현하였다).It is preferable to be inclined toward the water leakage sensor 120 by a certain angle "? &Quot; as compared with the vertical line" X ", as can be seen in the one- .

상기 누수감지센서(120)는 직육면체 형성의 하우징(H)의 경우 네 모서리(H1) 모두에 배열되거나 일부 모서리에만 배열될 수 있다.The leakage sensor 120 may be arranged at all four corners H1 of the housing H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may be arranged at only some corners.

도 2에서와 같이, 높낮이 조절부재(113b)에 의하여 특히 하우징(H)의 경우 네 모서리(H1) 중 어느 한 모서리의 하부 쿠션부재(113A)의 경사부(111b)가 더 낮은 경우, 여기에만 누수감지센서(120)를 도입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inclined portion 111b of the lower cushion member 113A at any one of the four corners H1 of the housing H is lower due to the height adjusting member 113b,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120 can be introduced.

하우징(H)의 모서리(H1)의 일부 또는 모두에 누수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그 설치구조는 도 2의 우측 상부의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When a water leakage sensor is provided on a part or all of the corner H1 of the housing H, the installation structure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confirmed in the one-dot chain line on the upper right side of Fig.

즉, 경질받침부재(113B)는 누수감지센서(120)가 설치되는 부위에 상대적으로 깊이 파인 체류홈(113)을 갖고, 여기에 특히 누수감지센서(120)의 감지부재(123)가 노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at is, the light receiving member 113B has a recess 113 having a depth corresponding to a portion where the water leakage sensor 120 is installed, and in particular, the sensing member 123 of the water leakage sensor 120 is exposed Structure.

쿠션부재(113A)를 이용하여 누수감지수단(100)을 구성하는 경우,When the leakage detection means 100 is constructed using the cushion member 113A,

도 2의 우측 상부의 일점 쇄선 원 내의 구조나 도 1의 일점 쇄선 원내의 구조 중 어느 하나,The structure in the one-dot chain line at the upper right of FIG. 2 and the structure in the one-dot chain line in FIG. 1,

즉, 누수감지센서(120)를 구성하는 피씨비(121)가 감지부재(123)의 하부에 배열된 정상 배열 구조 또는 That is, a normal alignment structure in which the PCB 121 constituting the leak sensor 120 is arranged below the sensing member 123

피씨비(121)가 감지부재(123)의 상부에 배열된 역전 배열 구조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채용하 수 있다.A reversing arrangement in which the PCB 121 is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nsing member 123 can be adopted.

또 쿠션부재(113A)는 경질받침부재(113B)의 체류홈(113a) 위치에서 천공부를 갖거나, 내피를 생략하거나 최소화하고 외피만이 존재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Further, the cushioning member 113A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ushioning member 113A has a perforation at the position of the retention groove 113a of the hard supporting member 113B, or the inner skin is omitted or minimized, and only the outer skin is present.

도 2에서 쿠션부재의 수축정도, 특히 하우징 모서리 부위에서의 수축정도는 편의상 과장되게 표현하고 있다.
In FIG. 2, the degree of shrinkage of the cushion member, particularly the degree of shrinkage at the corner of the housing,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한편, 도 3에는 도 1과는 다른 형태의 물받이부재가 도시되어 있다.FIG. 3 shows a water receiving member of a different form from that of FIG.

상기 물받이부재(f)는 누설수를 안내하는 경사날개(f2)와, 상기 경사날개(f2)와 연결된 누설수 저장부(f1)를 갖는다.The water receiving member f has an inclined wing f2 for guiding the leakage water and a leakage water storage portion f1 connected to the inclined wing f2.

상기 경사날개(f2)에는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변형 가능한 가변요철부(f4)가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물받이부재를 합성수지로 성형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변요철부는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 등의 음용수 공급장치 하우징 전후좌우 패널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 크기 가변에도 쉽게 범용적으로 물받이부자 및 누수감지센서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inclined wing (f2), a deformable variable concavo-convex portion (f4) is formed at the end portion. The variable concave-convex par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the water-receptacle sensor and the water-leakage sensor in a universal manner even if the space size surrounded by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panels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such as the water purifier or the cold / hot water heater is variable .

본 발명에서 물받이부재의 설치 위치는 임의 가변 될 수 있다. 또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위하여 물받이부재를 분리하는 경우 하우징에 꼭 끼워진 상태에서도 상기 물받이부재는 가변요철부(f4)를 손으로(또는 공구로) 잡고 분리할 수 있어 일종의 파지부 역할을 하며,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ater receiving member may be arbitrarily vari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water-receiving member for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maintenance, the water-receiving member can hold the variable concave / convex portion f4 by hand (or with a tool) and can serve as a kind of grip,

가변요철부(f4) 사이의 틈새에 상용 M3 나사를 결합하여 보다 완벽하게 물받이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fix the water receiving member more completely by fitting a commercial M3 screw to the clearance between the variable concave / convex portions f4.

나아가 상기 저장부(f1), 특히 중앙에는에는 누설감지센서 고정브라켓(f3)이 돌설되어 있다. 이 고정브라켓(f3)은 쌍을 이루며, 그 사이의 고정틈새(f3a)에 누수감지센서를 끼워 쉽게 고정설치할 수 있다.
Further, a leak detection sensor fixing bracket f3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torage unit f1. The fixing brackets f3 are paired and can be easily fixed by fitting a leak detection sensor in the fixing gap f3a therebetween.

한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누수 방지 기능의 향상은 상기 누수감지수단 외에도, 관로 개폐를 위한 볼탑밸브나, 관로 곳곳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선하는 경우에도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provement of the water leakage prevention function in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o the leakage detection means, the ball-top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ipe, and the solenoid valve provided in the pipe.

즉,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빙수단 구비 음용수 공급장치와 관련하여 도 11a에는 일체형 관로개폐체(WD)를 제시하고 있다.In other words, in connection with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the ice-making means shown in FIGS. 5 to 10, FIG. 11A shows the integrated pipe opening / closing body WD.

이는 물저장통(수조, 생수통, 정수통, 냉수통, 온수통 등)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This can be installed in a water reservoir (a water tank, a water tank, a water tank, a cold water tank, a hot water tank, etc.)

도 11a에서는 제빙통(220), [개폐부재(221)-제1안내수단(G1)-제2안내수단(G2)의 결합체), 변위수단(260)을 구성하는 모터, 냉수통(210), 얼음통(250)은 제1장착체(Ha)를 덮는 커버(Ha')의 결합공에 설치된다.11A, the ice making cylinder 220, the motor constituting the displacing means 260, the water-cooling cylinder 210, the motor constituting the displacement means 260, the motor (the combin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1 and the first guiding means G1 and the second guiding means G2) , And the ice container 250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hole of the cover Ha 'that covers the first attachment Ha.

상기 관로개폐체(WD)는 관체(Nt), 상기 관체에 구비되어 관체의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C),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칩이 실장된 PCB(미도시됨)를 포함한다.The conduit opening / closing body WD includes a conduit Nt, a solenoid valve C provided on the conduit to open and close the conduit, and a PCB (not shown) on which a microchip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is mounted .

이러한 관로개폐체(WD)를 사용하는 경우, 여러 개소에 분산된 볼탑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합할 수 있고, 그만큼 관로를 형성하는 튜브의 절단 부위가 줄어들어 누수 위험 부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When such pipe opening / closing body WD is used, it is possible to integrate a ball-top valve and a solenoid valve dispersed in a plurality of places, and the cut-off portion of the tube forming the pipe can be reduced, thereby drastically reducing the risk of leakage.

상기 관체(Nt)는 PCB가 내장된 케이스(11S)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상부 및 하부 노즐(N1)(N2)로 구성되며, 상부 노즐에는 튜브가 연결되며, 하부 노즐로는 물이 배출된다.The tubular body Nt i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nozzles N1 and N2 passing throug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case 11S with a built-in PCB. Tubes are connected to the upper nozzles and water is discharged to the lower nozzles.

나아가 관로개폐체(WD)는 PCB에 수위감지 기능까지 통합되어 있다. 즉 냉수통이나 정수통 등의 수위감지를 위한 수위센서(11s)가 케이스 하방에 노출 연결되어 있다.Furthermore, the pipe opening / closing body (WD) incorporates the water level detection function in the PCB. That is, a water level sensor 11s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n the cold water tank or the water purification tank, is exposed and connected under the case.

하부 급수 노즐(N2) 외주면에는 제1장착체(Ha)를 덮는 커버(Ha') 등의 고정부에 끼워지는 삽입볼트부가 구비되어 있고, 여기에 고정너트의 나사결합에 의한 결속으로 관로개폐체(WD)의 일체형 모듈이 쉽게 장착된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water supply nozzle N2, there is provided an insertion bolt portion which is fitted in a fixing portion such as a cover Ha 'for covering the first attachment member Ha, (WD) integrated module is easily mounted.

이러한 '관로개폐체'는 보다 일반화되 명칭으로 '정수기(또는 냉온수기)용 수위 감지센서 및 수로 개폐밸브 일체형 모듈'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ipe opener' is more generalized as 'water level sensor for water purifier (or cold / hot water heater) and water channel open / close valve integrated module'.

나아가 도 11b 및 도 11c에는 이러한 관로개폐체 또는 모듈의 기능과 관련한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b는 상용 220V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고, 도 11c는 별도의 아답터를 통한 24V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에서 차이가 있다. 이의 공통된 기능을 기술하면 아래와 같다.
11B and 11C show circuit diagrams related to the function of such channel openers or modules. 11B shows a case where a commercial 220V power source is used, and FIG. 11C shows a case where a 24V power source through a separate adapter is used. Its common functions are described below.

1. 24V Vs 220V1. 24V Vs 220V

- 삽투압 방식 정수기에는 24V 펌프가 사용되어, 펌프 및 솔밸브 구동전원으로 24V 사용 - 여기에는 상용전원(220V)을 24볼트로 변환하는 아답터 구비 함.
- Shovel type water purifier uses 24V pump, 24V for pump and sol valve drive power supply - It has commercial power (220V) adapter to convert it to 24V.

2. 정전용량식 센서2. Capacitive sensor

- 수위감지센서와 누수감지센서는 정전용량식 센서 사용. - 최근 정전용량식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
- Water level sensor and water leakage sensor use capacitive sensor. - Recent trend of using capacitive expression

3. 220V 회로도3. 220V Schematic

- 입력단의 R2, C2 ; 입력전원(상용전원)의 노이즈 제거- R2, C2 at the input; Noise elimination of input power (commercial power)

D1, D3 ; 입력전원 정류          D1, D3; Input power rectification

C1 ; 정류된 전원 평활          C1; Rectified power smoothing

D2 ; 평활된 전원 정전압화 - 정전압된 전원은 센서와 트랜지스터(Q2,3,4)와, 포터커플러(U1)에 구동전원(VCC)으로 공급됨.
D2; Smooth Power Constant Voltage - The constant voltage power is supplied to the sensor and transistors (Q2,3,4) and to the porter coupler (U1) as the drive power (VCC).

-센서가 만수위 또는 누수 감지한 때의 작동개요- Overview of operation when the sensor detects high water level or water leakage

; 센서 중 하나라도 감지되면, 그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2 or Q3, or Q4)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되고, 트랜지스터가 오프되면 포토커플러(U1)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되고, 포토커플러가 오프되면 트라이악(Q1)이 오프되고, 트라이악이 오프되면 상용전원의 솔밸브(SOL1)에의 전원공급이 차단됨.
; When one of the sensors is sensed, the transistor Q2 or Q3 or Q4 connected thereto is turned off from the on state, and when the transistor is off, the photo coupler U1 is turned on and off, and when the photo coupler is off When the triac (Q1) is turned off and the triac is turned off, the power supply to the solenoid valve (SOL1)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is cut off.

- 솔밸브(SOL1) 측에는 브릿지다이오드(BD)가 구비됨. - 솔밸브에 상용전원(AC 220V)이 공급되면 소음이 상당하므로, 브릿지다이오드를 연결하여 소음 저감시킴.
- A bridging diode (BD) is provided on the sole valve (SOL1) side. - When a commercial power supply (AC 220V) is supplied to the solenoid valve, the noise is significant, so bridge diodes are connected to reduce noise.

- SOL2에는 UV램프나 기타 전원장치가 연결됨.
- A UV lamp or other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SOL2.

4. 24V 회로도4. 24V Schematic

- J1에 아답터 연결됨(상용전원을 직류 24V 변환), 아답터의 출력전원(24V)은 펌프(J2에 연결), 솔밸브(J4에 연결)에 공급됨.
- Adapter connected to J1 (commercial power is converted to DC 24V), output power (24V) of adapter is supplied to pump (connected to J2) and sol valve (connected to J4).

- C3, EC3, U1, C4, EC2(정전압 회로) ; 아답터의 출력전원을 정전압화하고 이를 센서와 트랜지스터에 구동전원(VCC)으로 공급
- C3, EC3, U1, C4, EC2 (constant voltage circuit); Constant voltage of the output power of the adapter and supply it to the sensor and transistor as driving power (VCC)

- 압력스위치(J3에 연결) ; 배관에 설치되고 배관의 수압이 높아지면 오픈 됨. 오픈되면 릴레이(K1) 오픈되어 전원(24V)이 펌프와 솔밸브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됨. - Pressure switch (connected to J3); It is installed in the piping and opened when the water pressure of the piping becomes high. When opened, relay (K1) is opened and power supply (24V) is blocked from supplying to pump and solenoid valve.

- 헤더핀(JP5에 연결) ; 압력스위치가 연결되지 않을 때 구비되어 전원라인을 쇼트시킴 - 압력스위치 연결되지 않으면 전원라인이 항시 오픈 상태에 있어 펌프와 솔밸브에 전원공급이 안됨. 압력스위치와 헤더핀은 하나만 연결됨.
- header pin (connected to JP5); When the pressure switch is not connected, the power line is short-circuited. - If the pressure switch is not connected, the power line is always open. Only one pressure switch and header pin are connected.

-센서 감지시 작동개요- Overview of operation when sensor is detected

; 세 센서 중에 어느 하나라도 작동(만수 또는 누수 감지)하면, 그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3,4,5)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되고, 트랜지스터(Q3,4,5)가 오프 되면 이에 연결된 또 다른 트랜지스터(Q2)가 오프에서 온으로 되고, 이 트랜지스터(Q2)가 온 되면 이에 연결된 또 다른 트랜지스터(Q1)가 온에서 오프로 되고, 이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면 릴레이(K1)가 오프되어 전원(24V)이 펌프나 솔밸브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됨. .
; When any one of the three sensors is activated (full or leak detection), the transistors Q3, Q4 and Q5 connected thereto are turned on and off, and when the transistors Q3, Q4 and Q5 are off, When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n and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n, the other transistor Q1 connected thereto is turned off from the on state. When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ff, the relay K1 is turned off, 24V) is blocked from being supplied to the pump or solenoid valve. .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A)는 기본적으로 물공급부인 생수통(W1)이 음용수 공급장치(A) 하부 수납부에 내장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필터어셈블리(F)를 거쳐 정수를 거칠 수 있으며(생수통에 지하수 등이 담긴 경우), 4 and 5, a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A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water supply pipe W1 as a water supply unit, And can be rout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F) as required (when the water tank contains ground water, etc.)

또한 이러한 공급장치(A)는 도 15에 도시된 냉온수기와 정수기의 복합기(A2)와 같이 물공급부로 수돗물(W2) 및 생수통(W1)를 모두 이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supply device A may be configured to use both the tap water W2 and the water bottle W1 as a water supply part, such as the compound machine A2 of the water cooler and water purifier shown in FIG.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A)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기능을 도입함에 있어 제빙수단의 제빙체가 잠기는 제빙통(220)은 움직이지 않고 제빙통의 하부 개구부(220a)를 여닫는 개폐부재(221)만이 변위수단에 스윙동작을 하여 얼음을 배출하게 되므로 제빙통(220)이 움직이는 경우에 비하여, 제빙 및 얼음 배출 과정을 수행하여 동력손실을 최소화하고 부하 감소를 통하여 잔고장의 발생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 having the ice ma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e-making container 220 in which the ice-making body of the ice- Onl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opening portion 220a of the ice making box does not move and swings to the displacing means to discharge the ice, so that the ice making process and the ice discharging process ar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wer loss and to reduce the loa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residuals.

도 4의 외관 사시도에서 통상의 정수기와 같이, 냉수통과 연결된 냉수코크(C1) 및 온수통과 연결된 온수코크(C2)를 확인할 수 있다.In the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Fig. 4, a cold water cork C1 connected by cold water and a hot water coke C2 connected by hot water can be identified as in a normal water purifier.

도 5의 1차 분해사시도에서는 음용수 공급장치(A) 하우징(H)을 구성하는 상하, 좌우, 전후 패널(H1A,H1B)(H2A,H2B)(H3A,H3B)를 확인할 수 있고, 5,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front and rear panels H1A and H1B (H2A and H2B) (H3A and H3B) constituting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 housing H can be identified,

전면 패널은 잔수 배출 트레이(H3a)(그릴(H3b)이 결합된다)가 결합되고, 냉온 코크(C1,C2)가 배열되는 상부 전면패널(H3A)와, 하부 전면패널(H3A')로 구성되고,The front panel is composed of an upper front panel H3A and a lower front panel H3A 'to which a cold water output tray H3a (to which the grille H3b is coupled) is connected and in which the cold corks C1 and C2 are arranged ,

상부 패널(H1A)은 힌지 결합되어 청소 및 고장 수리 등을 위하여 내장 제빙관련 부품이나 냉수통, 온수통 등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도어(H1b) 및 고정패널(H1a)로 구성된다.The upper panel H1A is composed of a service door H1b and a fixed panel H1a which are hinged to allow access to a built-in ice making-related component, a cold water container, a hot water container, etc. for cleaning and troubleshooting.

냉수통(W1) 수납 및 분리 편리성을 고려하여 하부 패널(H1B)은 슬라이딩 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The lower panel H1B may be constructed in a sliding manner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storing and separating the cold water container W1,

필터어셈블리(F) 및 상부 냉온수통이나 제빙관련 부재의 고정 장착을 위한 중간 패널(H4)을 확인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F and the intermediate panel H4 for fixing the upper and lower cold water bottles or the ice-making-related member.

필요에 따라 하우징 및 각 패널은 다양한 형태 및 구조, 결합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As required, the housing and each panel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structures, and combinations.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A)는 기본적으로 제빙수가 채워지는 제빙통(220)과, 상기 제빙수에 잠겨 제빙이 이루어지고 탈빙이 행해지는 제빙체(231)를 포함하는 제빙수단(230), 그리고 상기 제빙체(231)의 탈빙시 얼음(IC)을 배출하는 배출수단(E)(도 6 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4 to 9, a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A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e-making cylinder 220 which basically is filled with ice-making water, (See FIG. 6) for discharging ice (IC) during the deicing operation of the ice making body 231. The ice making body 231 includes ice making bodies 231, .

또 상기 배출수단(E)은 상기 제빙통(220)의 하부 개구부(220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221)와, 상기 개폐부재를 움직이는 변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ischarging means E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member 221 for opening / closing the lower opening 220a of the ice-making cylinder 220, and a displacement means for mov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제빙수단(230)과 관련하여 제빙통(220)에 담긴 제빙수에 잠겨 있는 제빙체(231)에서 이루어 지는 제빙 및 탈빙 모드 등에 대한 구체 설명은 도 13 및 도 15와 관련하여 상술하므로, 도 4 내지 도 9에서는 생략한다. 또 도 4 내지 7에서는 물의 흐름과 관련된 배관은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ce making and ice-making mode and the like in the ice-making body 231 immersed in the ice-making water contained in the ice-making cylinder 220 with respect to the ice-making device 2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And are omitted in FIG. In Figs. 4 to 7, piping related to the flow of water is not shown for convenience.

도 6 및 도 9에서,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A)에서6 and 9, in a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A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빙통(220)에는 제빙수단(230)을 구성하는 제빙체(231)가 제빙수에 잠기는 위치에 고정배열되어 있고, In the ice-making cylinder (220), an ice-making body (231) constituting the ice-making unit (230) is fixedly arranged at a position locked with ice-

제빙통(220), [개폐부재(221)-제1안내수단(G1)-제2안내수단(G2)의 결합체), 변위수단(260)을 구성하는 모터, 냉수통(210), 얼음통(250)은 제1장착체(Ha)에 안치되고,The ice making cylinder 220, the combin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1, the first guiding unit G1 and the second guiding unit G2, the motor constituting the displacing unit 260, the cold water tank 210, (250) is placed in the first attachment (Ha)

제1장착체(Ha)는 다시 이를 감싸는 제2장착체(Hb)에 안치되며, 이 제2장착체는 냉온 코크(C1)(C2)가 구비되며, 이는 다시 중간 패널(H4)에 안치되어 하우징(H)에 내장된다.The first mounting body Ha is placed in a second mounting body Hb which again surrounds the first mounting body Ha and the second mounting body is provided with cold corks C1 and C2 which are again placed in the middle panel H4 And is housed in the housing (H).

제1장착체(Ha) 및 제1장착체(Ha)의 접면에는 정위치 결합을 위한 수직돌기 및 수직홈이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장착체(Ha)에는 얼음통(250)의 배출부(251) 위치에 개구부(Ha')(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vertical protrusions and vertical grooves ar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s of the first attachment member Ha and the first attachment member Ha, respectively. In addition, an opening Ha '(see FIG. 6) is formed in the first attachment member Ha at a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251 of the ice bin 250.

도면에는 편의상 생략되어 있으나, 얼음통(250)의 배출부(251)에는 덮개가 구비되어 있고, 이 덮개는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된 전동 개폐체나 기타 수동 개폐체에 의하여 열리고 닫히며, 그 수자동 개폐체의 작동은 음용수 공급장치 전면에서 레버 또는 버튼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for simplicity, the outlet 251 of the ice cube 250 is provided with a lid,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an electric opening / closing member constituted by a solenoid or the like or other manual opening / closing memb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 lever or a button at the front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상기 제빙체(231)에서의 얼음(IC) 탈빙시 얼음을 배출하는 배출수단(E)을 핵심으로 하는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배출수단(E)이 상기 제빙통(220)의 하부 개구부(220a)를 여닫는 개폐부재(221)와, 이를 움직이는 변위수단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ing means E as a core is a discharging means E for discharging ice when ice is discharged from the ice making body 231. Specifically, the discharging means E includes a lower opening portion 220a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displacement means for moving the door.

개폐부재(221)는 기본적으로 패널 형상이며, 제빙통(220)의 하면과의 접면에 패킹수단(221a)이 구비되어있어 수밀성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1 is basically in the form of a panel, and the packing means 221a is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ice-making container 220 to ensure watertightness.

상기 개폐부재(221)는 제빙통(220) 일측에 구비된 스윙축(221x)을 중심으로 상하 동작을 하며, 이 스윙축(221x)은 수밀성 증대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제빙통(220) 영역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열될 수도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1 vertically moves about a swing shaft 221x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ce tray 220. The swing shaft 221x is rotated in an area of the ice tray 220 Or may be arranged at an off-position.

상기 변위수단은 기본적으로 소형 전동모터로 구성되며, 전동모터는 토크 향상을 위하여 감속기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The displacement means is basically composed of a small electric motor, and the electric motor may be a reduction gear integrated structure for improving the torque.

전동모터의 회전력은 링크수단을 통하여 개폐부재(221)를 승하강시키는데,The rotational force of the electric motor moves up and down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21 through the link means,

지렛대의 원리와 같이 힘의 작용점이 가능한 스윙축(221x)에서 먼 거리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컴팩트한 하우징(H) 내부 면적의 제한을 받게 된다.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swing axis 221x, which is the point of action of the force, like the principle of the leverage, but it is limited in the internal area of the compact housing H.

지렛대의 원리 보장은 상기 배출수단(E)을 구성하며, 상기 제빙체(231)에서 탈빙된 얼음(IC)을 냉수통(210) 또는 얼음통(250)으로 선택 투입하는 제2안내수단(G2)를 통하여 개폐부재(221)와 전동모터를 연결하도록 한 구성을 통하여 구현하였다.
The principle of the leverage constitutes the discharge means E and the second guide means G2 for selectively introducing the ice IC scraped from the ice making body 231 into the cold water container 210 or the ice container 25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1 and the electric mo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 제빙 후 제빙통(220) 남은 잔류 제빙수를 상기 냉수통(210)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한 제1안내수단(G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aining ice-making water remaining in the ice-making cylinder 220 after the ice-making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container 210. Preferably, the first guide means G1 is provided.

또 이 제1안내수단은 얼음의 선택적 공급(얼음통 또는 냉수통)을 위한 제2안내수단(G2)과 연계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제빙통(220) 하부에 냉수통(210)이 배열된 구조를 통하여 제빙잔수가 중력에 의하여 낙하되어 냉수통으로 떨어지도록 상기 개폐부재(221)가 제1안내수단(G1)과 연결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제1안내수단은 제빙잔수가 통과하는 통과부(241a)로 구성되는데,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guide means is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means G2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ice (ice bucket or cold water bucket). In particular, the cold water bucket 210 is arranged below the ice- Closing member (221)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ing means (G1) so that the ice-making residue falls down to the cold water bottle through gravity, and the first guid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passing portion 241a,

이 통과부는 제2안내수단(G2)을 구성하는 투입판(241)의 말단(241b)과 하기할 안내판(240) 중 상기 투입판(241)의 말단(241b)이 인접하는 내측 단부(240b)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과부(241a)는 제빙잔수가 통과하기 위한 것으로써, 이격하여 형성하되, 얼음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이격거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ss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distal end 241b of the infeed plate 241 constituting the second guiding means G2 and the inner end 240b of the guide plate 240 adjacent to the distal end 241b of the infeed plate 2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ssing portion 241a is provided so as to allow ice making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is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ce tray so as not to allow ice to pass therethrough.

상기 변위수단(260)을 이루는 전동모터는 제빙통(220)과 연계 구성된 장착부(M)에 고정 배열되며, The electric motor constituting the displacement means 260 is fixedly arranged on a mounting portion M connected to the ice-making cylinder 220,

전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개폐부재(221)를 움직이고, 개폐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제2안내수단(G2)을 이루는 안내판(240)은 링크수단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1 is moved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guide plate 240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constituting the second guiding means G2 is connected through link means

도 6의 좌측 상부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링크수단은 자전거의 페날에 구비된 크랭크와 유사한 원리의 크랭크(263)의 일단이 전동모터의 회전축과 변심된 위치에 배열되어 승하강되면서 원운동하고, 이 크랭크(263)의 타단은 링크부재(264) 일단과 연결되며, 이 링크부재(264)의 타단은 결합부재(264a)를 통하여 제2안내수단(G2)과 연결되어 있다.6, this link means is arranged such that one end of a crank 263 having a principle similar to that of a crank provided on the pedal of a bicycle is arranged at a position where it is remodeled from the rotational axis of the electric motor, The other end of the crank 26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ink member 264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264 is connected to the second guiding means G2 through the engaging member 264a have.

제빙체(231)에서 탈빙된 얼음을 냉수통(210) 또는 얼음통(250)으로 선택 투입하는 제2안내수단(G2)은 상기 개폐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얼음통과 연결된 안내판(240)과, 상기 안내판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 냉수통을 구비한 투입판(2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econd guiding means G2 for selectively introducing the ice from the ice making body 231 into the cold water container 210 or the ice container 250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an inlet plate 241 rotatably provided on the guide plate and having a cold water reservoir at a lower portion thereof.

보다 정확하게는 링크부재(264)의 결합부재(264a)는 상기 안내판(240)과 선회축(241x)을 통하여 연결된 투입판(241)과 연결되어 있다.
More precisely, the engaging member 264a of the link member 264 is connected to the engaging plate 241 connected to the guide plate 240 via the pivot shaft 241x.

따라서 제빙 완료 후 탈빙을 위하여 먼저 제빙통(220) 하부 개구부(220a)를 막고 있는 개폐부재(221)를 개방하여 제빙잔수를 냉수통(210)으로 공급하는 경우 도 8의 상태에서,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1 closing the opening portion 220a of the ice-making cylinder 220 is opened to supply the ice-making water to the cold water container 210 for de-icing after the ice-making is completed,

변위수단(260)을 이루는 전동모터가 움직이면, 이 전동모터의 구동축에 편심결합된 링크수단의 크랭크(263)가 움직이고, 이에 따라 링크부재(264)가 하강하며,When the electric motor constituting the displacement means 260 moves, the crank 263 of the link means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electric motor moves, whereby the link member 264 descends,

그 단부 결합부(264a)에 연결된 투입판(241)이 눌려 [개폐부재(221)-안내판(240) 결합체]를 눌러 하강시키게 되고, 패킹수단(221a)이 벌어지면서 제빙잔수가 쏟아져 배출될 수 있는 도 9의 상태가 된다.The inlet plate 241 connected to the end engaging portion 264a is pressed to press dow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1 - the guide plate 240 combination) and the packing means 221a is opened to allow the ice making remainder to be poured out The state shown in FIG. 9 is obtained.

배출된 제빙잔수는 투입판(241)과 안내판(240)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통과부(241a)로 구성된 제1안내수단(G1)을 지나 냉수통(210)으로 낙하한다.The discharged ice-making water drops through the first guide means G1 composed of the passing portion 241a formed by the inlet plate 241 and the guide plate 240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to the cold water container 210. [

투입판(241)에 의한 [개폐부재(221)-안내판(240) 결합체]의 움직임을 위하여 투입판(241)의 주변과 안내판(240)의 접면에는 체류부재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 체류부재는 솔레노이드와 연계 구성된 진퇴 록킹 플런져(일종의 잠금쇠 역할)이거나, 상기 선회축(241x)을 뻑뻑하게 하는 수단(예를 들어 선회축에 구비된 스프링와셔)일 수 있다.
A retention member must be provid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infeed plate 241 and the guide plate 240 for the movement of the infeed plate 241 (the open / close member 221 - the guide plate 240 combination). The retaining member may be a retractable locking plunger (a kind of locking piec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solenoid, or a means for stiffening the pivot shaft 241x (for example, a spring washer provided on the pivot shaft).

다음으로 제빙잔수 배출이 완료되면 제빙수단(230)에서 탈빙모드가 진행되고, 뜨거워진 열매체는 제빙체(231)의 꼭지로 공급되어 이 꼭지에 매달려 있던 얼음(IC) 접면을 녹이게 되고 이에 따라 얼음이 낙하한다.Next, when the ice-making water is discharged, the ice-making unit 230 advances to the ice-making mode, and the heated heat medium is supplied to the cock of the ice-making body 231 to melt the ice (IC) The ice falls.

낙하된 얼음은 얼음통(250) 또는 냉수통(210)으로 공급된다(이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일례로 제어방식은 냉수통 온도 유지를 우선순위에 두고 제빙잔수 및 얼음에 의하여 냉수통의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후순위로 얼음을 얼음통으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The dropped ice is supplied to the ice bucket 250 or the cold water bottle 210 (this is determined by the controller's control. For example, the control method is to keep the cold water bottle temperature at a priority, The ice can be supplied to the ice bucket at a later stage).

위의 선택과 관련하여 도 9의 상태에서 탈빙모드가 진행되면 얼음은 얼음통으로 이송된다.With respect to the above selection, when the driving mode is progressed in the state of FIG. 9, the ice is transferred to the ice bucket.

이 때, 상기 안내판(240)은 내측 단부(240b)에 돌출되고 그 말단이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얼음분리턱(240c)을 갖고, 상기 투입판(241)은 상기 얼음분리턱(240c)과 대응되는 안내부(241c)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빙모드가 진행되어 얼음이 얼음통으로 이송될 때, 상기 얼음분리턱(240c)에 의하여 이송되는 얼음은 넓게 분산되어 슬라이딩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얼음통(250)에도 넓게 분산되어 골고루 낙하하게 됨으로써 얼음통(250)에 더 많은 얼음을 내장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기할 얼음 배출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The guide plate 240 has an ice separation protrusion 240c which protrudes from the inner end portion 240b and is bent at an upper end of the guide plate 240. The inlet plate 241 is connected to the ice separation protrusion 240c,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formed so as to have corresponding guide portions 241c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ice-making mode is proceeded and the ice is transported to the ice bucket, the ice delivered by the ice-separating jaw 240c is widely dispersed and slid so that it is widely dispersed evenly in the ice bucket 250, It is possible not only to allow more ice to be built in the ice making chamber 250, but also to help smooth the ice discharge to be performed.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 장치의 상기 투입판(241)은 상기 제빙잔수가 냉수통으로 통과하는 통과부(241a)의 일측에 얼음 한 덩어리가 통과될 수 있는 정도로 통공된 얼음투입공(241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하여 도 9의 상태에서 제빙잔수가 배출됨과 동시에 얼음의 탈빙이 진행되게 하여, 제빙잔수와 얼음이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221)와 안내판(240)의 결합체]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한다. 제빙잔수와 얼음이 동시에 얼음통(250)에 이송될 때 제빙잔수는 물의 특성상 상기 투입판(241)의 통과부(241a)를 지나칠 수 없기 때문에 중력에 의하여 상기 냉수통으로 낙하하게 되고, 얼음은 상기 통과부(241a)를 지나쳐 얼음통을 향하여 낙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통과부(241a)를 지난 얼음 중 일부는 상기 얼음투입공(241d)을 통과하여 상기 냉수통(210)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냉수통으로 낙하한 얼음은 냉수통의 제빙잔수의 온도를 유지시키는데 일조하여, 별도의 냉각 유지 장치가 필요 없이 사용자는 차갑게 냉각된 냉수를 음용할 수 있다.
Further, the inlet plate 241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ce inlet hole 241d through which a lump of ice can be passed to one side of the passing portion 241a through which the ice making residual water passes to the cold water container, As shown in FIG. 9, the icemaker discharges the ic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9, and at the same time, the deicing of the ice proceeds, so that the ice-making residue and the ice simultaneously slide (the combined body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21 and the guide plate 240) . When the ice-making water and ice are simultaneously transferred to the ice bin 250, the ice-making water falls into the cold water bottle due to gravity because it can not pass through the passing portion 241a of the inlet plate 241 due to the nature of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passing portion 241a, and falls toward the ice cistern. At this time, a part of the ice passing through the passing portion 241a passes through the ice inlet hole 241d and drops into the cold water container 210. [ And the ice dropped into the cold water tank helps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ice making water of the cold water bottle, so that the user can drink cool cold water without needing a separate cooling and holding device.

그러나 전동 체류부재가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하여 언록킹되거나 However, if the motor retention member is unlocked by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변위수단을 이루는 모터의 힘이 더 가해져 억지끼움 상태를 이길 정도가 되거나 선회축의 회전 방지 브레이킹 부재의 마찰력을 이길 정도가 되면 When the force of the motor constituting the displacement means is further exerted so as to overcome the interference fit state or becomes large enough to overcom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anti-rotation braking member of the pivot shaft

투입판(241)이 안내판(240)과 수평을 이루고 있다가 도 7 및 도 10의 상태와 같이,The inlet plate 241 is aligned with the guide plate 240, and as shown in FIGS. 7 and 10,

더 선회하여 뒤집히게 되고, 얼음은 세워진 투입판(241)에 걸려 투입판(241)이 결합되어 있던 안내판(240)의 결합 개구부를 통하여 냉수통으로 낙하하게 된다. 냉수통으로 낙하한 얼음과 제빙잔수는 냉수통에 별도의 냉각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냉수통의 냉수를 냉각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작 단가를 낮출 뿐만 아니라, 별도의 냉각장치 사용에 따른 전력소모량을 줄여주고, 소음 등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And the ice is caught by the installed inlet plate 241 and drops into the cold water container through the coupling opening of the guide plate 240 to which the inlet plate 241 is coupled. Since ice and ice-making water dropped into the cold water tank have the effect of cooling the cold water of the cold water tank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cooling device in the cold water tank, not only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and prevent noise and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이상, 도 4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제빙통의 하부 개구부를 여닫는 개폐부재와, 이를 움직이는 변위수단으로 구성된 것인데, 도 12의 개략도를 참조하여 이를 좀 더 포괄적이고 단순하게 설명할 수 있다.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0 comprises 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a lower opening portion of the ice maker, and a displacement means for mov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which will be described more simply and simply with reference to the schematic view of Fig. .

즉, 도 12의 [A]의 폐쇄상태와 [B]의 개방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That is, as can be seen from the closed state of [A] in Fig. 12 and the open state of [B]

상기 제빙통(Tt)은 고정되어 있고, 제빙수단의 제빙체(31) 또한 고정되어 있으며, 얼음(IC) 배출수단은 상기 제빙통((Tt)의 하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Tc)를 포함한다.The icemaker Tt is fixed and the icemaker 31 of the icemaker is also fixed and the icemak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Tc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opening of the ice- .

한편,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빙통과의 접면, 특히 제빙통(Tt)의 하면 사방벽의 단부와 접촉하는 패킹수단(Tp)를 구비하고 있어 누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acking means Tp for contacti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ice-making passage, in particular, the en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ce tray Tt, thereby preventing water leakage.

제빙시에는 제빙통(Tt) 하면은 개폐부재(Tc)에 의하여 닫혀 있고, 이후 별도로 구비된 펌프로부터 물, 특히 냉수통(10)의 물이 퍼 올려 져 채워지고, 제빙수에 잠긴 제빙체(31)에는 제빙수단의 작동에 따라 결빙이 이루어진다.The water in the ice-making cylinder (Tt) is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member (Tc), and then the water, particularly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 is poured and filled from the separately provided pump, 31) is freez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ce-making means.

이후 탈빙시에는 상기 개폐부재(Tc)를 움직이는 변위수단에 의하여 개폐부재(Tc)가 하강하여 제빙통이 개방되고 얼음(IC)과 제빙 후 남은 제빙수가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At the time of de-ic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Tc descends by the displacement means for mov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Tc, so that the ice-making cylinder is opened, and the ice IC and the remaining ice-making water after the ice-making are discharged.

상기 변위수단은 통상의 모터(감속기 도입 가능)나 유압, 공압 또는 모터를 이용한 액추에이터로 구성할 수 있고, 닫힘 상태 또는 개방상태를 고정하는 별도의 록커를 도입할 수 있다.The displacement means can be constituted by a normal motor (capable of introducing a reduction gear), an actuator using an oil pressure, a pneumatic or a motor, and a separate locker for fixing the closed state or the open state can be introduced.

얼음이 제빙체에 매달리는 상태의 결빙단계까지 도달하지 않고 단순 냉수 생성시에는 제빙체에 의하여 냉각된 제빙수를 반복 배출하는 모드를 실행할 수 있고,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mode of repeatedly discharging the iced water cooled by the ice making body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simple cold water without reaching the freezing step with the ice hanging on the ice making body,

역시 변위수단 및 제빙수단은 컨트롤러에 의하여 동작 된다.Also, the displacement means and the ice-making means are operated by the controller.

나아가 얼음(IC) 및 제빙수를 안내하여 냉수통(10)으로 안내하는 가이드(Ts)가 제빙통(Tt) 하부에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이 가이드(Ts)에는 제빙수 배출을 위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guide Ts guiding ice and iced water to the cold water bottle 10 is provided under the ice tray Tt. If necessary, the guide Ts is provided with a slit for discharging de- .

또한 제빙수는 그대로 있고 얼음만으로 냉수통의 물을 냉각하거나 얼음을 별도의 얼음통으로 선택 배출하며,In addition, the iced water is kept and the water of the cold water bottle is cooled only by ice, or the ice is selectively discharged by a separate ice bucket,

결빙후 남은 제빙수는 냉수통으로 배출하지 않고 별도의 제빙수 저장통으로 공급하며, 이 저장통에서 다시 제빙통으로 재공급하고, 별도로 냉수통 또는 정수통의 물을 제빙수 저장통에 공급하여 부족한 제빙수를 보충하도록 하여 제빙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저장통 등의 수위 측정 및 보충은 컨트롤러에 의하여 진행되며, 통상의 수위센서를 활용할 수 있다.
The ice-making water remaining after freezing is supplied to a separate ice-water storage bin without discharging it to the cold water bin. The ice-water is supplied again to the ice-making bin from the storage bin. So that the ice-making time can be shortened. The water level measurement and replenishment of the storage tank and the like i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and a normal water level sensor can be utilized.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냉동고나 기타 얼음제조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얼음배출장치는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The ice discharge device, which can be used in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the ice ma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in the freezer or other ice making device,

얼음이 얼음통에 담겨 보관되는 경우 온도 변화에 의하여 얼음 표면이 녹아 서로 얼음이 달라붙어 배출이 방해되는 상황을 방지하는 기능과 얼음을 얼음통의 배출부로 몰아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have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situation where the ice surface is melted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when the ice is stored in the ice bucket so that the ice sticks to each other and the discharge is obstructed and the function of moving the ice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ice bucket .

이러한 얼음배출장치(또는 얼음배출장치)는 얼음을 이동시켜 배출부로 모는 편중수단과 상호 달라붙은 얼음을 떼어내는 얼음분리수단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Such an ice discharge device (or an ice discharge device) may function as one or both of the biasing means for moving the ice to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ice separating means for removing the ice sticking to each other.

이러한 얼음배출장치(St) 즉, 상기 편중수단 또는 상기 분리수단은 통과부를 갖는 망상체와, 이 망상체를 움직이는 요동수단으로 구성된다.The ice discharging device St, that is, the biasing means or the separat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mesh body having a passing portion and a swinging means for moving the mesh body.

도시된 얼음배출장치는 변위수단(260)에 의한 안내판(240)의 승하강에 따라 움직이는 다관절체형 얼음배출장치(St)이며, 상기 안내판(또는 변위수단)은 요동수단의 기능을 한다.The illustrated ice discharging device is a multi-joint type ice discharging device St which moves according to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guide plate 240 by the displacement means 260, and the guide plate (or displacing means) functions as a swinging means.

또 얼음통(250)은 저면 경사부, 특히 배출부(251)를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사부 또한 편중수단을 구성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ce cube 250 has a bottom inclined portion, in particular,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251, and this inclined portion also constitutes biasing means.

이러한 얼음배출장치(St)의 망상체는 상호 연결된 바타입 부재들로 구성되는데, 바타입 부재 사이의 간격, 즉 통과부는 낱개의 얼음이 빠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sh of this ice discharge device St is made up of mutually connected bar type members, which preferably have a size such that the clearance between the bar type members, that is, the passing part, is such that individual ice does not escape.

그러나 필요에 따라 분리수단을 구성하는 망상체의 통과부가 낱개의 얼음이 빠질 정도의 크기인 경우에도 However, even if the passage portion of the netting constituting the separating means, as required,

망상체가 상승하면서 얼음을 요동시키고 이때 얼음의 일부 또는 모두는 통과부로 빠지게 되고, As the nebula rises, the ice oscillates and part or all of the ice falls into the passage,

다시 망상체가 하강하면서 얼음 사이를 통과하여 얼음통 저면과 접촉하는 형태로 동작할 수 있고 이때 얼음 분리 효과는 더 크다.Again, the reticulum can move through the ice between the ice basin and the bottom of ice container, and the effect of ice separation is greater.

또 망상체의 통과부가 낱개의 얼음이 빠질 정도의 크기인 경우에도 얼음을 얼음통의 배출부로 모는 편중수단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passage portion of the ridge is large enough to leave a single ice,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biasing means for driving the ice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ice bucket.

상기 망상체로 구성된 얼음배출장치(St)는 상기 얼음통의 형상에 맞게 절곡부를 가지며, 이 절곡부의 일부 또는 모두에는 관절부(Sl)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ce discharger St composed of the mesh-like body has a bent por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ce cube container, and a part or all of the bent portion has a joint portion Sl.

이러한 다수의 관절부(Sl)를 통하여 얼음통(250)의 절곡 형상이나 안내판(240)과 얼음통의 배열 위치에 맞게 장착되어 얼음 저장공간 협소화나 얼음 배출 방해가 방지될 수 있다.And can be fitted to the bent shape of the ice bin (250) or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guide plate (240) and the ice bin through the plurality of joints (Sl), thereby preventing the ice storage space from being narrowed and the interference with the ice discharge being prevented.

이러한 다관절체형 얼음배출장치(St)는 요동수단을 이루는 안내판(240)의 승하강에 따라 들썩들썩 하여 얼음에 진동을 주어 얼음 개체의 분리가 이루어지고, 또 얼음이 얼음통 배출부(251)로 몰리도록 하는 역할도 하여 일종의 얼음 배출수단의 기능도 (보조)한다. 다관절체형 분리수단(St)은 얼음통 저면에 일정간격 이격 배열된 복수의 봉상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ulti-joint type ice discharging device St is hilariously moved up and down by the guide plate 240 constituting the swinging means to vibrate the ice to separate the ice pieces, And also functions as a kind of ice discharge means. The multi-joint type separating means (S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r-shaped bodie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ce tray.

도 18에서 상부 일점쇄선 원내 개략적인 사시도에서 얼음통의 배출부측에 위치한 봉상체(Sf)는 얼음통(250)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FIG. 18, it is preferable that the barrel Sf located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ice cube in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n the upper one-dot chain line is fixed to the end of the ice cube 250.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는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251)로 얼음을 가압하여 배출시키면서 상기 편중수단과 분리수단(253)의 기능 모두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ice dis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both of the functions of the biasing means and the separating means 253 while pressing and discharging the ice to the discharging portion 251 as shown in FIG. 19 .

상기 얼음배출장치의 구성부분과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얼음배출장치는 배출부를 갖는 얼음통과 상기 얼음통의 배출불를 여닫는 개폐체(252); 및 작동수단에 의하여 동작되고, 얼음통에 담긴 얼음을 움직이는 분리수단(2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분리수단(253)과 연결된 개폐체(25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분리수단(253)을 개폐체(252)를 통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얼음이 서로 들러붙어 배출이 원활히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얼음을 가압하여 얼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얼음배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9, the ice discharge device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member 25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ice cube passing through the ice having the discharge portion; And a separating means (253) which is operated by the operating means and moves the ice contained in the ice bucket. The operating means is an opening / closing member (252) connected to the separating means (253). Therefore, by operating the separating means 253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5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ce from sticking to each other and prevent the discharge from being smooth, as well as pushing the ic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ice. The ice discharge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우선, 도 19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체(252)는 상호 연결되는 가압부(252a)와 개폐부(252b)를 갖고 가압부(252a)와 개폐부(252b) 사이에는 회동축(252c)이 구비되어 상기 얼음통(250)의 배출부(251) 상측 외면에 연결되고, 이 회동축(252c)에는 탄성체(252d)가 구비되어 있어 개폐부(252b)가 배출부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고, 상기 개폐체(252)의 개폐부(252b) 말단은 연결축(252e)을 통하여 상기 분리수단(253)과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수단(253)은 얼음을 배출부로 가압하는 배출부재(253a)와 이 배출부재(253a) 내측에는 돌출 형성되어 서로 들러붙은 얼음을 분리시키는 분리부재(253c)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재(253a)의 양측 말단과 연결되는 한 쌍의 날개부(253b)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얼음통(250)은 배출부(251)로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배출부 하측으로 상기 날개부(253b)가 삽입되어 안내할 수 있는 삽임홈(251b)과 이 삽임홈(251b) 사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안내부재(253c)로 이루어진 안내부(25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9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252d)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252b)가 배출부를 닫고 있을 때는 개폐부(252b)와 연결된 날개부(253b)가 상기 얼음통(250)의 안내부(251a)를 통하여 얼음통에 내장되고, 상기 날개부(253b)와 연결된 배출부재(253a) 및 분리부재(253c) 역시 얼음통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얼음통에 저장된 얼음은 배출부(251)를 향하여 형성된 경사면에 의하여 배출부를 향해 편중되어 상기 분리수단(253)과 개폐부(252b)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19A, the opening / closing body 252 has a pressing portion 252a and an opening / closing portion 252b which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rotary shaft 252c is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252a an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252b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251 of the ice bin 250. The rotary shaft 252c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252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52b exerts elasticity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52b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52 is connected to the separating unit 253 through a connecting shaft 252e. The separating means 253 includes a discharging member 253a for pressing the ice to the discharging portion and a separating member 253c protruding inside the discharging member 253a to separate ice adher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wing portions 253b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s of the wing portion 253a. The ice bucket 250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251 and has an insertion slot 251b through which the wing portion 253b can be inserted and guided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insertion slot 251b, A guide portion 251a formed of a guide member 253c bent and formed between the guide portions 251a is formed. 19B,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52b closes the discharge part by the elastic body 252d, the wing part 253b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52b is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251a of the ice container 250 And a discharge member 253a and a separating member 253c connected to the wing 253b are also located inside the ice cube. The ice stored in the ice tray is biased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by the inclined surface formed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251 and positioned between the separating means 25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52b.

상기 가압부(252a)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가 이용되는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냉동고나 기타 얼음제조장치 모두에 형성되어 있는 얼음 배출 버튼 또는 레버(얼음 배출을 명령 또는 동작시키는 모든 수단을 포함)와 연결되어 가압이 가능한데, 도 19의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252a)가 가압되면 상기 회동축(252c)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부(252b)가 열리면서 배출부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252b)가 개방되면서 연결축(252e)으로 연결된 날개부(253b)가 상기 얼음통의 안내부(251a)를 통하여 상기 배출부로부터 밀려나오고, 상기 날개부(253b)와 연결된 배출부재(253a)와 분리부재(253c)는 상기 개폐부(252b)와 배출부재(253a)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을 배출부를 향하여 가압하면서 분리부재(253c)에 의하여 서로 들러붙은 얼음을 분리시키고, 배출부재(253a)가 얼음의 배출을 강제하여 얼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얼음통 내부의 온도변화로 얼음이 녹아 서로 들러붙을 경우 상기 배출부재(253a)를 통한 배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서로 들러붙은 얼음이 그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부재(253a)가 얼음을 강제 배출시키면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분리부재(253c)는 서로 들러붙은 얼음을 가압하여 강제로 분리되게 하고 이후 배출부재(253a)에 가압된 분리된 얼음이 배출부(251)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배출부재(253a) 및 분리부재(253c)를 구비한 상기 분리수단(2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는 상기 편중수단과 분리수단(253)의 기능을 동시에 해결함으로써 얼음배출장치로서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The pressurizing unit 252a may be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or an ice discharge button or lever formed in both the freezing device and the other ice making device using the ice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9C, when the pressing portion 252a is presse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252b is opened with the rotation axis 252c as a center, Is opened. The opening portion 252b is opened and a wing portion 253b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 252e is pushed out of the discharging portion through the guide portion 251a of the ice barrel and the discharging portion 253b connected to the wing portion 253b, The separating member 253a and the separating member 253c separate the ice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separating member 253c while pressing the ice positioned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52b and the discharging member 253a toward the discharging unit, 253a may force the discharge of ice to facilitate discharge of ice. When the ice melts and adheres to each other due to a change 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ice bucket, the exhaust through the exhaust member 253a may not be easy to discharge, or the ice adhered to each other may be discharged as it is.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separating member 253c formed by protruding inward while the ejecting member 253a forcibly discharges the ice presses the separated ice to force it to be separated, and then the ejecting member 253a is pressed And the separated ice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rt 251. [ Therefore, the ice dis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separating means 253 having the discharging member 253a and the separating member 253c described above can solve the functions of the biasing means and the separating means 253 simultaneously The efficiency as an ice discharge device can be enhanced.

나아가 상기 배출부재(253a)는 상기 배출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얼음통의 벽면에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배출부재(253a)가 배출부의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면(즉 상기 날개부(253b)의 길이가 짧으면), 개폐부(252b)와 배출부재(253a) 사이에 충분한 얼음의 양이 위치하기 힘들어 적당량의 얼음배출이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부재(253a)와 상기 얼음통의 벽면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에 대해서는 강제 배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member 253a is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wall surface of the ice tray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unit. If the discharge member 253a is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discharge portion (that is, when the length of the blade portion 253b is short), sufficient amount of ice is hardly located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52b and the discharge member 253a, The ice can not be discharged, and a forced discharge effect can not be expected for the ice positioned between the discharge member 253a and the wall surface of the ice bucket.

상술한 동작으로 얼음을 강제 배출시킨 배출부재(253a)는 상기 가압부(252a)에 대한 가압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체(252d)에 의하여 자동으로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부재(253a)가 얼음을 강제 배출하는 순간에 상기 배출부재(253a)와 상기 얼음통(250)의 벽면 사이는 이격되어 중력에 의하여 얼음통 상부에 있는 얼음이 상기 배출부재(253a)와 얼음통의 벽면 사이로 자중이동할 수 있고, 배출부재(253a)와 얼음통의 벽면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으로 인하여 상기 탄성체(252d)에 의한 가압부(252a)의 자동 복귀가 방해받을 수 있으나, 얼음 자체의 마찰계수가 적은 미끄러운 표면때문에 탄성체(252d)의 복원력으로 충분히 배출부재(253a)와 얼음통의 벽면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을 밀어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얼음통 내부의 온도 변화로 얼음이 녹아 서로 달라붙을 경우 탄성체(252d)의 탄성력으로도 상기 배출부재(253a)의 자동복귀가 행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배출부재(253a)는 상기 얼음통의 벽면에 밀착하여 형성하되, 배출부재(253a) 중앙부가 벽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재(253a)의 중앙부는 돌출되어 상기 얼음통의 벽면과 밀착되고, 중앙부에서 양 날개부(253b)로 갈수록 상기 얼음통의 벽면과 이격되도록 경사를 갖게 함으로써 탄성체(252d)에 의한 자동 복귀시 배출부재(253a)와 벽면 사이에 위치한 얼음을 양측면으로 밀어내면서 자동복귀를 하여 얼음에 의한 복귀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출부재(253a)의 양 날개부(253b)와 연결된 부분과 얼음통의 벽면사이의 이격거리는 얼음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얼음의 크기보다 크게 이격거리가 형성될 시에는 그 이격거리에 얼음이 위치하여 강제 배출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The discharge member 253a forcibly discharging the ice by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automatically moves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body 252d when the pressing force to the pressing portion 252a is removed. At this time, when the discharge member 253a forcibly discharges the ice, the discharge member 253a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ice container 250 so that ice in the ice container upper part due to gravity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member 253a, And the automatic return of the pressing portion 252a by the elastic body 252d may be impeded by the ice positioned between the discharge member 253a and the wall surface of the ice barrel, It is possible to push out the ice positioned between the discharge member 253a and the wall surface of the ice bin sufficiently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252d owing to the slippery surface having a small friction coefficient of itself.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ce melts and sticks to each other due to a change 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ice cube container, the discharge member 253a may not be automatically retur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52d. The discharge member 253a may b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ice tray and may be bent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charge member 253a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wall surfa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charge member 253a protrudes and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ice barrel and is incli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ice barrel toward the wings 253b at the central portion, The ice placed between the discharge member 253a and the wall surface can be automatically returned while being pushed to both sides, thereby preventing the return from being interrupted by the ice.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portion of the discharge member 253a connected to the wing 253b and the wall surface of the ice tray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ice size. When the distance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ice, the ice may be located at the distance, and the forced discharge may not be performed.

그리고 상기 날개부(253b)가 완전히 얼음통에 내장될 경우 날개부(253b) 및 배출부재(253a)의 자동 복귀시 얼음통의 경사면에 의하여 배출부(251)로 몰리는 얼음에 걸려 분리수단(253)이 상측으로 접혀 제대로 된 분리, 배출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에에서 상기 분리수단(253)의 날개부(253b)는 말단(즉, 상기 날개부(253b)와 배출부재(253a)가 연결되는 접점 또는 그 일부)에 얼음통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리수단(253)의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안내수단으로써 기능을 갖는 삽입방지턱(253d)을 구비하고, 상기 얼음통(250)에 형성된 안내부(251a)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251a)를 통하여 상기 날개부(253b)의 말단이 상기 얼음통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노출된 날개부(253b)에 삽입방지턱(253d)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방지턱(253d)이 얼음통의 외면에 걸려 상기 분리수단(253)이 접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안내부(251a)를 통한 작동을 보조하는 안내보조수단으로써 상기 배출부재(253a)가 상기 안내부재(253c)에 밀착하여 위치하면서 작동되게 하여 얼음의 원활한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When the wing portion 253b is fully inserted into the ice bin, the wing portion 253b and the exhaust member 253a are automatically caught by ice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portion 251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ce bucket during the automatic return of the exhaust unit 253a, ) May be folded upward to prevent proper separation and discharge function.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wing portion 253b of the separating means 253 in the ice dis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tal end (that is, a contact to which the wing portion 253b and the discharge member 253a are connected, And a guide portion 251a formed in the ice barrel 250. The guide portion 251a is formed in the ice barrel 250 so as to prevent the insertion of the ice barrel 250 into the ice barrel 250, As shown in FIG. An end of the wing 253b is exposed through the guide 251a to the outside of the ice cube and an inserting jaw 253d is formed in the exposed wing 253b, The discharge member 253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253c as a guide auxiliary means for assisting operation through the guide portion 251a while preventing the separating means 253 from being folded by hang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ce cube Thereby allowing the ice to be discharged smoothly.

다음으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된 제빙 냉온수기(A1)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공급부인 생수통(W1)이 냉온수기 하부 수납부에 구비되어 있고, 생수통에 저장된 물은 공급펌프(P2)에 의하여 냉수통(10)과 온수통(T)으로 공급되므로 무거운 생수통을 들어 올려 교체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 없으며, 또 생수통(W1) 하부를 받치는 슬라이딩 카트(미도시 됨)가 구비되어 있어 생수통을 손쉽게 슬라이딩 카트에 올려놓고 가볍게 밀어 수납하면 되므로 어린이, 여성, 노약자도 손쉽게 무거운 생수통을 교체할 수 있어 여러모로 사용편리성이 획기적으로 증대된다. 또 본 발명의 냉온수기 상부에는 통상의 냉온수기와 달리 생수통 주입구가 없으며 사용시 생수통 입구는 밀봉되므로 위생성이 매우 높고, 사무실, 가정, 학교, 은행, 다양한 작업장 등에 모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ic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W1, which is a water supply unit, The water tank 10 and the hot water tank T are supplied by the supply pump P2 so that the heavy water tank is lifted and replaced without inconvenience and troublesomeness and the sliding cart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W1 So that the water tank can be easily put on the sliding cart and can be pushed lightly so that children, women, and aged people can easily replace the heavy water bottle, which greatly improves the usability in many ways. In addition, unlike a conventional cold / hot water dispenser, there is no drinking water inlet in the upp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nitary property is very high since the inlet of the water dispenser is sealed at the time of use, and is suitable for use in office, home, school, bank and various work places.

본 발명에 따른 제빙 냉온수기(A1)는 크게 냉수통(10)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공급펌프(P2)와 연결되고 물공급부의 역할을 하는 생수통(W1), 냉수코크(C1)와 연결된 냉수통(10), 제빙수단(30), 제빙수단의 제빙체(31)에 의해 제빙이 이루어지는 제빙통(20), 제빙통(20)을 선회운동시켜 움직이는 변위수단(60), 제조된 얼음을 얼음통(50)으로 옮기는 이송가이드부재(40), 그리고 얼음의 이송처를 결정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ic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W1 connected to a supply pump P2 for supplying water to the cold water tank 10 and serving as a water supply unit, An ice maker 20 for ice making by the ice making body 31 of the ice making means; displacement means 60 for moving the ice making cylinder 20 by pivoting the ice making cylinder 20; A conveying guide member 40 for transferring the ice to the ice tray 50, and a controller 70 for determining the destination of the ice.

온수코크(C2)나 이와 연결된 온수통(T)은 필요에 따라 구비되며, 통상의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히터(T1) on/off 스위치가 구비(통상 케이스 후면 상부에 구비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통(T)으로 공급되는 물은 직접 물공급부(생수통이나 별도의 정수기의 경우 정수통)로부터 공급받거나, 필요에 따라 냉수통에서 공급받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The hot water coke C2 and the hot water tank T connected thereto are provided as required and a separate heater T1 on / off switch is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a normal cold / hot water or water purifier . The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T may be supplied directly from a water supply unit (a water tank or a water tank in the case of a separate water purifier) or may be supplied from a cold water tank as required.

본 발명에 따른 제빙 냉온수기(A1)의 핵심은 제빙수단에서 제조되는 얼음을 이용하여 냉수통의 저장된 물을 냉각하고, 제빙용 물은 냉수통에서 공급받도록 하여 음용수 공급 기기의 구성을 획기적으로 단순화시키면서도 제빙시간의 단축까지 가능한 제빙 냉온수기(또는 정수기나 복합기)를 제공한다는데 있다. 이를 통하여 현재 시장에 출시된 고가의 얼음 정수기를 통상의 정수기나 냉온수기와 유사한 제빙 정수기 또는 제빙 냉온수기를 제공할 수 있고, 크기 또한 대형부터 소형까지 다양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re of the ice-making cold / hot water generating machine (A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by cooling the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using the ice produced by the ice making means, (Or a water purifier or a multifunctional machine) capable of shortening an ice-making time. In this way, the ice water purifier, which has been introduced to the market at present, can provide an ice-making water purifier or an ice-making cold water heater similar to a general water purifier, a cold water heater or the like, and can be diversified in size from large size to small size.

본 발명에 따른 제빙 냉온수기(A1)에서는 자연유하를 이용하여 냉수통(10)의 물을 제빙통(20)으로 공급할 수도 있으나 제어 특성 향상 등을 고려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순환펌프(P1)를 이용하여 냉수통의 물을 제빙통(20)으로 이송한다(필요에 따라 자연 유하 방식과 전동밸브으로 배관을 구성하여 자동제어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e ic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0 may be supplied to the ice-making cylinder 20 by using natural springs. However, as shown in FIG. 13, The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is transferred to the ice-making cylinder 20 by using the natural cooling method (P1).

제빙수단 및 제조된 얼음의 탈빙수단은 공지의 얼음 정수기와 대동소이 하다. The deicing unit of the ice making unit and the manufactured ice is very similar to the known ice water purifier.

구체적으로 제빙수단(30)은 냉동 사이클을 위하여 압축기(33)가 가동되고, 이에 따라 생성된 고온 고압의 가스를 중온 고압의 액체냉매로 열교환토록 하기 위한 응축기(35)를 거친 후, 이어 응축기(35)에서 열교환된 중온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 저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키는 모세관(37)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는 일종의 증발기인 제빙체(31)로 공급된다. 제빙체를 이루는 개별 하향돌기는 젖소의 젖꼭지와 유사한 형태이고, 냉매가 순환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하향 꼭지가 복수 집합된 공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ice maker 30 is driven by a compressor 33 for a refrigeration cycle, passes through a condenser 35 for causing the generated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 to heat-exchange with a medium-temperature high-pressure liquid refrigerant, Temperature 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into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and finally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body 31, which is a kind of evaporator. The individual downward protrusions constituting the ice making body are similar to the nipple of the cow, and may have a known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downward tails having an internal space through which the coolant circulates are gathered.

제빙을 위한 제1모드는 상기 냉수통(10)에서 순환펌프(P1)에 의하여 냉수를 공급받는 제빙통(20)에 담긴 물(제빙수)에 제빙체(31)의 개별 꼭지가 잠겨 있으므로 이 제빙체(31) 꼭지 주변에 얼음이 형성되어 달라붙게 되어 진행된다.In the first mode for ice-making, the individual faucets of the ice-making body 31 are immersed in the water (iced water) contained in the ice-making cylinder 20 supplied with the cold water by the circulation pump P1 in the cold water tank 10, Ice (31) is formed around the nipple and sticks to the ice.

또 탈빙을 위한 제2 또는 제3 모드는 시간 또는 온도 감지방식 등에 의하여 제빙 완료가 판단되면 제빙수단(30)에 의한 제빙과정를 끝내고 증발기인 제빙체(31)에서 얼음(IC)을 분리(탈거)하여 냉수통(10) 또는 얼음통(50) 중 어느 하나의 이송처로 옮기는데,In the second or third mode for ice-making, when the completion of ice-making is judged by the time or temperature sensing method or the like, the ice-making process by the ice-making means 30 is completed and the ice (IC) And is then transferred to a destination of either the cold water tank 10 or the ice bucket 50,

이 탈빙을 위하여 고온고압의 냉매가스(hot gas)가 솔레노이드 밸브(39V)의 개방으로 탈빙라인(39)을 통하여 증발기 역할을 하는 제빙체(31)로 유입되면 매달려 있던 얼음은 순간적으로 낙하하게 된다.
When hot ga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flows into the ice making body 31 serving as an evaporator through the ice making line 39 at the opening of the solenoid valve 39V, the ice that has been dangling instantly falls .

제빙수는 생수통, 정수통 등에서 공급받을 수 있으나, 보다 빠른 제빙을 위하여 냉수통(10)에서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ce-making water can be supplied from a water bottle, a water bottle, or the lik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ice-mak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bottle 10 for faster ice-making.

상기 제빙통(20)에도 다양한 종류의 수위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냉수통(10)에서 순환펌프(P1)를 통하여 공급되는 제빙수의 공급 및 중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아울러 수위센서의 신호에 따라 공급펌프(P2)도 제어할 수 있다), 제빙통(20)의 만수위 여부는 필요에 따라 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거나, 대안적으로 제빙통(20)의 만수위는 공급시간을 제한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Various types of water level sensors are also provided in the ice making cylinder 20 to determine whether to supply or stop the ic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P1 in the cold water tank 10 The supply pump P2 can also be controlled), and whether or not the ice tray 20 is at a full water level can be measured using a flow meter if necessary, or alternatively, the full water level of the ice tray 20 can be controlled by limiting the supply time have.

한편, 상기 냉수통(10)에는 온도센서(13)가 구비되어 있어, 마이컴과 같은 컨트롤러(70)에서 온도센서(13)를 통하여 감지된 온도가 기준값을 넘는 경우 제빙수단(30)의 제빙체(31)에서 제조된 얼음을 냉수통(10)으로 공급하고, 냉수통(10)의 온도가 기준값을 충족하는 경우 제조된 얼음을 배출, 특히 얼음통(50)으로 배출하게 된다.The temperature sensor 13 is provided in the cold water bottle 10 so that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controller 70 such as a microcomputer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13 exceeds a reference value, The ice produced in the ice maker 31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10,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tank 10 satisfies the reference value, the produced ice is discharged to the ice bin 50.

본 발명에서는 기본 제빙모드가 우선적인 냉수 생성 후의 얼음 활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나, 외부의 입력부 구성에 따라서는 얼음을 사용자가 최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스공급 선택버튼과 마이컴을 이용한 아이스 공급모드를 도입할 수 있다. 즉, 아이스 공급모드로 설정되면 냉수통(10) 냉수의 온도에 무관하게 먼저 얼음통(50)에 얼음을 기준치(기준치의 설정은 얼음통에 채워진 얼음의 높이 또는 얼음의 무게로 설정될 수 있다)까지 채우고, 얼음이 채워지고 나면 냉수통(10)의 냉수가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얼음을 냉수통(10)으로 배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ice-making mod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ce can be utilized after the generation of the chilled water. However,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rnal input unit, the ice supply selection button for allowing the user to use the ice first, Can be introduced. That is, when the ice supply mode is set, the ice can be set to a reference value (the reference value may be set to the height of the ice filled in the ice cube or the weight of the ice in the ice cube 50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in the cold water bottle 10 ). When the ice is filled, the ice is discharged into the cold water tank 10 so that the cold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0 become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냉수통(10)과 인접 배열된 얼음통(50)은 얼음의 대량 취출이나 얼음통 청소 및 관리 등의 편의를 위하여 상단에 서비스도어(5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이 서비스도어를 열고 집게 등을 이용하여 얼음을 수동으로 꺼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코크 형태 등의 자동 배출수단을 도입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a service door 51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ice bin 50 arranged adjacent to the cold water bottle 10 for convenience of massive take-out of ice, cleaning and management of ice bucket, The ice can be taken out manually, and an automatic discharging means such as a separate coke type can be introduced if necessary.

특히 얼음통(50)은 냉수통(10) 옆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어 기존 냉온수기 냉수통 및 온수통 배열구조 또는 정수기의 정수통, 냉수통, 온수통 배열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아도 되어 구조 설계가 용이하고, 기존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의 하우징의 내외 크기 및 배열구조를 그대로 채용할 수 있어 종래 제조장치(금형 등) 및 부품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절감효과가 우수하다. 또, 냉수통(10) 옆에 배열되므로 얼음통(50)의 냉동 온도 유지 방안에도 적합하며 냉수통의 냉수온도 유지에도 도움이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 얼음 이송가이드부재(40)의 구성에도 용이하다.
In particular, since the ice cisterns 50 are arranged side by side adjacent to the cold water bottle 10, it is not necessary to largely change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cold / hot water chiller, hot water cistern arrangement structure or water purifier water tank, cold water tank,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sizes and arrangement of the housing of the conventional cold / hot water or water purifier can be adopted as it is, and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apparatus (metal mold and the like) and parts can be used as they are, and the cost saving effect is excellent. Further, since it is arranged beside the cold water bottle 10, it is suitable for maintaining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ice bucket 50 and is preferable because it also helps maintain the cold water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bottle. Also, it is easy to configure the ice transfer guide member 40.

나아가 아이스커피 등이나 다양한 요리에 분쇄 얼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얼음분쇄수단을 도입할 수 있다. Further, crushed ice can be used for various kinds of dishes such as iced coffee, and ice crushing means can be introduced to improve convenience.

이 얼음분쇄수단(53)은 얼음통(50)과 연통되고, 얼음통은 얼음을 자연 유하에 의하여 얼음분쇄수단으로 공급하도록 저면이 경사진 구조일 수 있다. 또 얼음분쇄수단(53)은 모터나 수동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그라인더(53A)로 구성할 수 있고, 위생성 향상이나 얼음통 온도 유지를 위하여 별도의 배출밸브(55)를 구비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얼음분쇄수단은 그 외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 얼음분쇄수단이 얼음 배출수단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This ice crushing means 53 communicates with the ice cistern 50, and the ice cister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inclined so as to supply the ice to the ice crushing means by natural descent. Further, the ice crushing means 53 may be constituted by a motor or a pair of manually operated grinders 53A,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ice crushing means 53 is provided with a separate discharge valve 55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sanitary property and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ice- Do. The ice crushing mean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ways, and the ice crushing means may constitute a part of the ice discharge means.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빙 냉온수기(A1)에서는 냉수통의 냉각을 얼음을 이용하여 하더라도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위감지수단의 만수위 감지지점이 냉수통의 최대용량 수위보다 낮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in the ice-making cold / hot water generating machine (A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water from overflowing even if ice is used for cooling the cold water tank, it is preferable that the full water level sensing point of the water level sensing means is lower than the maximum water level of the cold water tank .

즉, 상기 냉수통(10)에는 수위감지수단(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위감지수단에 의하여 물공급부(W1)에서 냉수통(10)으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는 만수위(L1)는 냉수통의 용량상의 최대 수위(L2) 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cold water tank 10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ing means 11, and the water level L1, which blocks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W1 to the cold water tank 10 by the water level sensing means, Is preferably lower than the maximum water level L2 on the volume of the pail.

이러한 수위감지수단에 의하여 측정되는 만수위(L1)와 냉수통의 용량상의 최대 수위(L2)의 차이는 외부 온도에 따라 설정된 기준 냉수 온도 실현을 위하여 투입되는 얼음의 양이 증감하게 되므로 무더운 여름철이나 가상의 최대 실내 온도(예: 50℃)에 맞게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full water level L1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ing means and the maximum water level L2 on the capacity of the cold water tank increases or decreas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ice to be supplied for realizing the reference cold water temperature set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For example, 50 DEG C) of the room temperature.

또 냉수통의 수위감지수단은 볼탑(플로트 이용, 부레식) 방식의 수단(11)이나 그 외 터치레벨센서, 리큐브레벨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채용할 수 있고,In addition,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of the cold water tank can employ various sensors such as a ball-top (float-use, float-type) means 11, other touch level sensors, and a recube level sensor,

필요에 따라 2단 접점 감지식 수위 센서(11A)를 활용하여 스텐레스 봉(11a,11b,11c)을 냉수통(10) 내에 침지 시켜 접촉저항에 의한 전류를 제어하여 만수위와 저수위 등을 감지할 수 있다.The stainless steel rods 11a, 11b, and 11c are immersed in the cold water tank 10 by using the two-stage contact point sensible water level sensor 11A to detect the high water level and the low water level by controlling the current by the contact resistance have.

구체적으로 냉수통(10) 일측에 만수위 측정을 위한 봉(11c)과 저수위 측정을 위한 봉(11a) 외에 안정성을 위하여 중간 접점을 위한 봉(11b)을 별도 채용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addition to the rod 11c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and the rod 11a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the rod 11b for the intermediate contact point can be separately employed for stability in one side of the cold water tank 10.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 냉온수기(A1)는 상기 제빙수단에서 제조된 얼음을 각 이송처(냉수통(10)과 얼음통(50))로 구분하여 이송하는 이송수단이 필요하다. Next, the ic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eeds a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ice produced by the ice making means into respective transfer destinations (the cold water bottle 10 and the ice bucket 50).

탈빙수단에 의하여 제빙수단(30)에 의한 제빙과정이 끝난 후 제빙체(31)에서 얼음(IC)이 분리(탈거)되면, 냉수통(10) 또는 얼음통(50)(또는 필요에 따라서 얼음분쇄수단으로 직접 배출될 수 있으므로 배출 장소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이어서, 본 명세서, 특히 청구범위에서의 얼음통의 개념은 도시된 바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추상적인 개념으로 냉수통 외의 임의의 장소를 뜻한다) 중 어느 하나의 이송처로 옮긴다.(IC) is separated (detached) from the ice making body 31 after the ice making process by the ice making unit 30 is completed by the ice making unit, the ice cube 10 or the ice cube 5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ce bi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n particular, the ice bi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but may be an arbitrary place other than the cold water bin as an abstract concept ) To any one of the destination.

얼음을 이용하여 냉수통(1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낮추는 방식을 채용한 본 발명에서는 제빙용 물 또한 냉수통에서 공급받으므로 제빙시간을 그만큼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In the present invention employing a method of lowering the temperature of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10 by using ice, the ice making water is also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tank, so that the ice making time can be shortened as much as possible,

구조 단순화와 단가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송수단을 제빙통(20)을 선회운동으로 이동시켜 제빙통(10)이 제빙수단(30)의 제빙체(31)를 수용하거나(제1위치-제1모드) 제빙체(31)에서 벗어나도록 하는(제2위치-제2모드 또는 제3위치-제3모드) 변위수단(60)과, 제빙체(31)에서 탈빙되어 낙하되는 얼음이 얼음통(50)으로 이송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부재(40)와, 얼음을 냉수통(10)으로 낙하 배출시키는 냉수모드(제2모드에 해당)와 얼음을 얼음통(50)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얼음모드(제3모드에 해당)에 따라 상기 변위수단(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0)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개념을 이용하여 얼음은 냉수통에 저장된 물을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용도로만 활용되고, 별도의 얼음통은 구비하지 않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the unit pri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ing means is moved in the orbiting motion of the ice tray 20 so that the ice tray 10 accommodates the ice tray 31 of the ice tray 30 (first position- (Second mode - second mode or third mode - third mode) for moving the ice from the ice making body 31 out of the ice making body 31 (first mode) A cooling water m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de) in which ice is dropp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cold water tank 10 and ice are conveyed to and discharged from the ice cistern 50 And a controller (7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isplacement means (60) in accordance with the ice mode (corresponding to the third mode). By us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ce can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generating cold water by cooling the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it can be configured without a separate ice cube.

한편, 제빙된 얼음이 탈빙되어 냉수통 또는 얼음통으로 낙하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는 수단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Meanwhile, it may be preferable to separately provide a means for preventing nois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ice-making ice being scooped down and being discharged into the cold water tank or the ice tank.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변위수단은 제빙체에 대하여 제빙통을 상대적으로 움직이고(단순히 제빙체를 고정하고 제빙통만을 움직이는 수단을 의미하지 않고, 제빙체만을 움직이거나, 제빙체와 제빙통을 모두 움직이거나 제빙통만을 움직이는 경우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The displacement means constituting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moving the ice making cylinder relative to the ice making body relatively (not simply means for fixing the ice making body and moving only the ice making body, Or moving only the ice maker)

제빙수를 제빙통에서 다른 장소로 배수하지 않도록 하여(냉수통이나 정수통은 물론 별도의 보조탱크 등으로도 배수하지 않는다. 보조탱크에 임시로 배수하였다가 다시 제빙통으로 제빙수를 되돌리지도 않는다.) Do not drain de-icing water from the ice tray to another place (do not drain it with a cold water bottle or water tank, nor a separate auxiliary tank, etc.), temporarily drain it into the auxiliary tank and then return the ice- .)

제1모드 진행시 제빙통에 공급되는 제빙수를 냉수통에서 공급받음은 물론(필수사항이 아닌 선택사항임), 탈빙 후 제빙통에 잔존하는 제빙수를 냉수통 등으로 쏟지 않고 그대로 가지고 있어서(필수사항임) 이후의 제빙 모드에서 획기적으로 빠르게 제빙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탈빙을 위한 동작시 제빙통이 선회되지 않고 그대로 움직이게 되므로 종래 제빙통으로 1차 탈빙된 얼음을 이송하기 위하여 제빙통을 선회시키는 경우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지게 되어 설계의 어려움, 고장의 원인, 전기소모량 증대, 고성능 모터 채용으로 인한 단가 상승의 문제가 없도록 함을 핵심으로 한다.The ice-making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ylinder in the first mode is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tank (optional but not essential), and the ice-making water remaining in the ice-making cylinder after the ice- It is necessary to rapidly perform ice-making in the subsequent ice-making mode. In addition, since the ice-making cylinder is moved without being turned during operation for ice-making, the ice-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means of the motor or the like becomes large, thereby causing difficulty in designing, causes of failure, increase in electric consumption, and increase in the unit cost due to adoption of a high-performance motor.

도 1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변위수단(60)의 사시도와, 변위수단의 운동에 따른 제빙통(20) 및 이송가이드부재(40)의 동작 개요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변위수단(60)의 운동에 따른 제빙통(20)의 이동범위와 이동형태, 그리고 제빙통(20) 및 이송가이드부재(40)의 동작 개요를 연속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cement means 6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chematically shows an operation outline of the ice-making cylinder 20 and the conveyance guide member 4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displacement means. Fig. The moving range and the movement of the ice-making cylinder 2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eans 60, and the operation outline of the ice-making cylinder 20 and the conveyance guide member 40 are continuously shown.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변위수단(60)은 제빙통(20)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그대로 있고, 모터와 같은 구동부(61)의 회전축(62)과 연결된 회전로드(63A,63B)가 모터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스윙타입의 것이다.The displacement means 60 shown in Figs. 16 and 17 is provided with rotating rods 63A and 63B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62 of the driving portion 61, such as a motor, while the ice- Is a swing type that is rotated around the motor shaft.

상기 회전로드(63A,63B)를 길이가 서로 다르며, 제빙통(20)에 연결된 위치도 서로 다른데, 변위수단(60)가 연결되어 힘을 받는 것을 일 회전로드만이고, 다른 하나의 타 회전로드는 아이들 구조여서 단순히 일 회전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스윙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rotary rods 63A and 63B have different lengths and are connected to the ice-making cylinder 20 at different positions. Only one rotary rod receives the force to be connected to the displacement means 60, Is constructed as an idle structure so as to perform a swing motion simply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one rotary rod.

필요에 따라서는 각 회전로드(63A,63B)는 서로 별도의 구동부인 모터와 연결되어 있어 다른 속도로 회전되어 제빙통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하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rotary rods 63A and 63B may be connected to a motor, which is a separate driving unit, so that the rotary rods 63A and 63B are rotated at different speeds so that the ice tray is raised and lowered in a horizontal state.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빙수단(30)의 제빙체(31)에 옆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동부(61)와, 상기 구동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회전로드(63A,63B)와, 상기 두 회전로드(63A,63B)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힌지핀(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6, a driving unit 61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ce making body 31 of the ice making unit 30, a rotating rod 63A and 63B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riving unit, And a hinge pin 65 connected to an end of each of the two rotary rods 63A and 63B.

상기 구동부(61)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으로서 일반적으로 모터가 사용되고, 모터에는 회전하는 회전축(62)이 구비되고, A motor is general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he motor is provided with a rotating rotary shaft 62,

상기 회전로드(63A,63B)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61)의 회전축(62)에 결합되어, 회전축(62)의 정역회전에 연동되어 정역회전하고,One end of each of the rotating rods 63A and 63B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62 of the driving unit 61 and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in conjunction with normal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62,

상기 힌지핀(63A,63B)은 상기 회전로드(63A,63B)의 타단 내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빙통(20)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The hinge pins 63A and 63B are protruded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other ends of the rotary rods 63A and 63B and hinged to the opposite sides of the ice tray 20, respectively.

회전로드(63A,63B)와 연결되는 상기 회전축(62)은 구동부(61)를 이루는 모터 자체의 회전축이 아니라 감속기 등과 같이 동력 전달, 중계를 위한 구성요소의 회전축일 수 있다. 따라서 모터가 회전로드와 직결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동력 전달, 중계 부재를 거쳐 회전로드와 연결될 수 있다.The rotary shaft 62 connected to the rotary rods 63A and 63B may not be the rotary shaft of the motor itself constituting the driving unit 61 but may be a rotary shaft of a component for power transmission and relaying such as a reducer. Therefore, the motor can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rod through various power transmitting and relay member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ng rod.

상기 제빙통(2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두 회전로드(63A,63B)는 각각이 상기 구동부(61)이 회전축(62)에 연결(이때는 회전축(62)이 두개 구비됨)될 수도 있고, 어느 한 회전로드(63A or 63B)만이 회전축(62)에 연결되고 다른 회전로드(63A or 63B)는 구동부(61)를 감싸는 케이스 등에 단순히 힌지결합되어 회전축(62)에 연결된 회전로드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The two rotary rods 63A and 63B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ice-making cylinder 20 are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62 (two rotary shafts 62 are provided in this case) Only one of the rotating rods 63A or 63B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62 and the other rotating rod 63A or 63B is hinged simply to a case or the like enclosing the driving portion 61 to be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rod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62 And can be rotated.

상기 변위수단(60)의 구동부(61)는 상기 컨트롤러(70)의 제어에 의해 정회전(도면기준 반시계방향)하여 제빙을 위한 제1모드-제1위치(도 f 하부 정면도에서 제①동작)에 맞게 상기 제빙통(20)이 상기 제빙수단(30)의 제빙체(31)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승강시켜 내장된 제빙수에 제빙체의 각 꼭지가 잠기도록 하고, 역회전하여 상기 제빙통(20)이 상기 제빙체(31)의 하부 방향에서 벗어나도록 하여 제2위치-제2모드(도 f 하부 정면도에서 제④동작) 또는 제3위치-제3모드(도 f 하부 정면도에서 제③동작)에서 탈빙되어 낙하되는 얼음이 제빙통(2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The driving unit 61 of the displacement means 6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to move the first mode-first position for ice- The ice making cylinder 20 is lifted and raised so as to receive the ice making body 31 of the ice making unit 30 so that each of the ice making bodies is locked in the built-up ice making water, (The fourth operation in the lower front view of Fig. F) or the third position-third mode (the third operation in the lower front view of Fig. F) so as to move the ice- So that the ice cubes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ce tray 20.

상기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구동부(61)는 제1 내지 제3모드로 구동된다. 즉, 상기 제빙통(20)의 제빙수에 상기 제빙체(31)가 잠겨 제빙이 행해지도록 하는 제1모드와, 제빙된 얼음이 탈빙되어 상기 냉수통(1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모드와, 제빙된 얼음이 탈빙되어 상기 얼음통(5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3모드로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부(61)를 상기 컨트롤러가 제어한다. The driving unit 61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70 is driven in the first to third modes. That is, a first mode in which the icemaker 31 is immersed in ice-making water in the ice-making cylinder 20 to perform ice-making, a second mode in which the ice cubes are melted and supplied to the cold water container 10 , And the ice maker 50 is driven in a third mode in which the ice cubes are defrosted and then the ice cubes 50 are supplied.

제1모드에서는 상기 구동부(61)는 정회전하여 상기 제빙통(20)이 제1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빙체(31)가 제빙통(20)의 제빙수에 잠기도록 하며, 제빙이 완료될 때까지 제1위치를 유지하고(도 f에 도시한 일련의 정면 동작도를 기준으로, 우측 상부에서 출발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제 ① ② ③ ④ ⑤ ⑥ 동작까지 진행되며, 제1위치는 제①동작에 해당한다), In the first mode, the driving unit 61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o move the ice-making cylinder 20 to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ice-making body 31 is locked in the iced water of the ice-making cylinder 20, (Starting from the upper right portion and proceeding counterclockwise to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operation with reference to a series of frontal operation diagrams shown in Fig. ),

제2모드에서는 상기 구동부(61)는 역회전하여 상기 제빙통(20)이 제2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빙체(31)에서 얼음이 탈빙되어 상기 냉수통(10)으로 공급될 때까지 제2위치를 유지하고(도 f의 정면 동작도를 기준으로, 제2위치는 제④동작에 해당한다), In the second mode, the driving unit 61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move the ice-making cylinder 20 to the second position, and until the ice is removed from the ice-making body 31 and supplied to the cold water cylinder 10 2 position (based on the front view of Fig. F, the second position corresponds to the fourth operation), and

제3모드에서는 상기 구동부(61)는 역회전하여 상기 제빙통(20)이 제3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이송가이드부재(40)가 상기 얼음통(50)으로 향하도록 하고, 상기 제빙체(31)에서 얼음이 탈빙되어 상기 얼음통으로 공급될 때까지 제3위치를 유지한다(도 f의 정면 동작도를 기준으로, 제3위치는 제③동작에 해당한다, 이송가이드부재(40)는 얼음의 원활한 얼음통(50) 이송과 고정된 제빙체에서 탈빙, 낙하하는 얼음이 제빙통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경사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모드 또는 제3모드가 완료된 후에는 제1모드가 진행되어 상기 제빙통(20)은 제1위치로 이동하여 제빙통(21) 배출된 얼음에 해당하는 양의 제빙수가 공급되어 채워지고 제빙체(31)가 제빙통의 제빙수에 잠기도록 한다. In the third mode, the driving unit 61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move the ice-making cylinder 20 to the third position so that the conveying guide member 40 is directed to the ice cylinder 50, (The third position corresponds to the third operation), the conveying guide member 4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ice The ice cubes 50 can be conveyed smoothly and the ice cubes can be properly sloped and positioned in order to prevent falling ice from falling down into the ice maker from the fixed ice cubes. After the second mode or the third mode is completed, the first mode proceeds to move the ice-making cylinder 20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ice-making water corresponding to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making cylinder 21 is supplied and filled Thereby allowing the ice making body 31 to be immersed in the iced water in the ice making cylinder.

변위수단(60)에 의해 선회운동하여 스윙타입으로 이동하는 제빙통(20)은 제1,2,3의 위치 순서로 연속되어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즉, 냉수통(10)에 얼음을 공급하는 냉수모드에서는 제빙통(20)은 제3위치를 경유하여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하고, 얼음통(50)에 얼음을 공급하는 얼음모드에서는 제빙통(20)은 제2위치를 경유할 필요 없이 제1위치에서 제3위치로, 제3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한다.
The ice-making cylinder 20, which is pivotally moved by the displacement means 60 and moves to the swing type, does not move continuously in the order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That is, in the cold water mode in which ice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10, the ice-making cylinder 20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via the third position an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50, the ice-making container 20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without moving through the second position, and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변위수단(60)의 양측 힌지핀(65)은 각각 상기 제빙통(20)의 양측면에 힌지결합되되, 제빙통(20)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스윙타입으로 선회운동하여 제빙통(20)의 제빙수를 쏟지 않도록, 제빙통(20) 양측면의 상부에 치우쳐 결합되고, 두 힌지핀은 좌우대칭이 되도록 각각 중앙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치우쳐 결합된다. 즉, 두 힌지핀(65)은 제빙통(20)의 상부측에서 편심된 위치에 축설된다. The hinge pins 65 on both sides of the displacement means 60 are hinged to both sides of the ice making cylinder 20 so that the ice making cylinder 20 can swing in a swing type stably, The two hinge pins are biased to the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so as to be bilaterally symmetrical. In other words, the two hinge pins (65) are formed at a position eccentric from the upper side of the ice-making cylinder (20).

이처럼 두 힌지핀(65)이 편심되어 제빙통(20)에 축설됨으로써, 두 힌지핀(65)은 제빙통(2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나, 제빙통(20)은 어는 한 힌지핀(65)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이 다른 힌지핀(65)에 의해 제한되어 흔들림(회전) 없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빙통(20)에 담겨 있는 냉수가 선회운동과정에서 배출되어 유실되지 아니하므로, 다음번 제빙시에 사용되는 제빙통(20)의 제빙수는 그전의 제빙과정에서 0도시에 가깝게 차가워진 물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므로 제빙속도의 획기적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제빙통(20)에 배출된 제빙수(즉, 탈빙된 얼음)의 양이 최소화되므로 제빙통(20)에 부족한(즉, 배출된) 양의 제빙수를 채우기 위한 순환펌프(P1)의 동작 최소화로 경제성을 크게 향상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구동부와 제빙통(20)을 연결하는 회전로드의 수, 길이, 결합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two hinge pins 65 are eccentrically disposed in the ice tray 20 so that the two hinge pins 65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ice tray 20. The ice tray 20 has a hinge pin 65 Is limited by the other hinge pin 65 and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it is kept horizontal without shaking (rotation). Therefore, since the cold water contained in the ice-making cylinder 20 is not discharged and lost during the orbiting movement process, the ice-making water of the ice-making cylinder 20 used for the next ice- The amount of ice making water discharged to the ice making box 20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amount of ice that is insufficient (that is, discharged) in the ice making box 20 can be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P1 for filling the ice-making water of the ice maker. The number, length, coupling position, etc. of the rotary rods connecting the driving unit and the ice-making cylinder 20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necessary.

또 제빙통(20) 대하여 편심 결합된 두 회전로드(63A)(63B)로 인하여 제빙통의 스윙 동작 지점에 따라 구동부(61)에 가해지는 부하가 분산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lso, the two rotary rods 63A and 63B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ice tray 20 can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61 according to the swing operating point of the ice tray.

필요에 따라 도 16의 정면 동작도를 기준으로, 제④동작(제빙통(20)의 하사점)에서 제①동작(제빙통(20)의 상사점)으로 이동하는 경우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탄성체와 같은 보조 복귀수단이 제빙통과 고정지점(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하우징)을 연결하고 있어 보다 쉽게 변위되도록 할 수 있다.
(The top dead center of the ice-making cylinder 20) from the fourth operation (bottom dead center of the ice-making cylinder 20) to the first operation (top dead center of the ice-making cylinder 20) An auxiliary returning means such as an elastic body is connected to the ice-making passage fixing point (the water purifier or the housing of the cold / hot water machine), so that it can be displaced more easily.

상기 이송가이드부재(40)는 직사각형 모양의 평판 구조로 이루어지고, The conveying guide member 40 has a rectangular flat plate structure,

상하 길이방향으로는 다수의 슬릿홀(41)이 형성되어 자재비를 절감하고, 낙하되어 접촉된 얼음이 보다 원할하게 흘러내려 얼음통(50)을 이송 배출되도록 하고, 표면에 물이 발생된 경우 물이 얼음통(50)으로 배출되지 않고 냉수통(10)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얼음통에 채워진 얼음의 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A plurality of slit holes 41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longitudinal direction to reduce the material cost and allow the ice cubes 50 to be transported and discharged by dropping the contacted ice more smoothly, Is discharged to the cold water tank (10)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ice cistern (50), so that the quality of the ice filled in the ice cistern is not lowered.

이 이송가이드부재의 상면(즉 얼음 접촉면)에는 완충패드(또는 코팅)이 도입되어 제빙체에서 탈빙, 낙하한 얼음과의 충돌로 생기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송가이드부재 자체가 완충소재(예: 실리콘 등)로 이루어 질 수 있다.
A cushioning pad (or coating)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surface (i.e., the ice contact surface) of the conveyance guide member to prevent noise caused by collision with ice falling from the ice making body and falling ice. If necessary, Material (e.g., silicon, etc.).

제2모드-제2위치에서, 상기 이송가이드부재(40)는 상단이 상기 제빙통(20)의 일측(도면에서는 우측면) 외면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고(도 f의 정면 동작도를 기준으로, 제④동작 지점), In the second mode-second position, the conveying guide member 40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the right side in the figure) of the ice-making cylinder 20 and is vertically arranged by its own weight The fourth operation point),

제1모드-제1위치에서, 제빙통(20)이 승강된 상태에서는 하단이 상기 제빙통(또는 냉수통) 상단의 수평방향 돌출부(19)에서 더 위로 올라 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f의 정면 동작도를 기준으로, 제①동작 지점). In the first mode-first position, when the ice-making cylinder 20 is lifted and lowered, the lower end of the ice-making cylinder 20 is further raised and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protrusion 19 at the upper end of the ice-making cylinder (or the cold water cylinder) Based on the frontal view of f, the 1st operating point).

상기 이송가이드부재(40)의 전후 양측에는 낙하되어 표면을 타고 이송되는 얼음이 양측으로 벗어나 이탈되지 않고 얼음통(50)을 배출되도록 하는 막음판(43)이 구비되고, A blocking plate 43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ing guide member 40 so as to allow the ice tray 50 to be discharged without falling off both sides of the ice dropped on the surface,

하단에는 상기 돌출부(19)에 접촉 시에 상기 얼음통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라운드부(45)가 라운드져 형성되어 있다.
And a round portion 45 for guiding the ice cubes to be slidably moved when the ice cubes are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s 19 are rounded at a lower end thereof.

상기 변위수단(60)에 의해 제빙통(20)이 선회운동하여 제1,2,3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과, 그에 따른 상기 이송가이드부재(40)가 제빙수단(30)의 제빙체(31)에서 탈빙되어 낙하되는 얼음을 얼음통(50)으로 배출시키는 과정 또는 냉수통(10)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과정을 도 f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The ice maker 20 is pivo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by the displacement means 60 and the conveying guide member 40 is moved to the ice- 3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 RTI ID = 0.0 > f. ≪ / RTI >

우선, 제빙통(20)이 제2위치(도 f의 정면 동작도를 기준으로, 제④동작 지점)에 있는 상태에서 변위수단(60)의 구동부(61)가 정회전을 하면, 제빙통(20)은 호형상을 그리며 승강을 시작하고, First, when the driving section 61 of the displacement means 60 makes a normal rotation in a state where the ice-making cylinder 20 is at the second position (the fourth operating point with reference to the front view of Fig. 20) starts to ascend and descend,

제빙통(20)이 호형상으로 승강을 하다 보면,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이송가이드부재(40)가 상기 돌출부(19) 측면에 접촉이 되는데(도 f의 정면 동작도를 기준으로, 제⑤동작 지점), 이때 상기 제빙통(20)의 측면이 경사진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여유공간으로 이송가이드부재(40)가 기울어져 돌출부(19)에 의한 방해 없이 승강이 되어 돌출부(19)를 벗어나 승강(경사진 구조에 의한 여유공간이 없더라도 이송가이드부재가 탄성을 갖는 다면 휘어져 승강이 가능)되고(도 f의 정면 동작도를 기준으로, 제⑥동작 지점), When the ice tray 20 ascends and descends in the arc shape, the vertically arranged conveying guide member 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19 (see Fig. 5 (f) The conveying guide member 40 is inclined to the free space formed by the inclined side surface of the ice tray 20 so that the conveyance guide member 40 is lifted without disturbance by the projecting portion 19 to move out of the projecting portion 19, Even if there is no clearance space due to the inclined structure, the conveying guide member can be bent and lifted if it has elasticity) (the sixth operation point on the basis of the front view of Fig.

제빙통(20)의 승강이 완료되어 제1위치에 위치하면(도 f의 정면 동작도를 기준으로, 제①동작 지점) 제빙통(20)은 제빙체(31)를 내부에 수용하여 제빙수에 제빙체(31)가 잠기게 된다.
When the ice tray 20 is completely raised and lowered and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operating point in FIG. 1), the ice tray 20 accommodates the ice-making body 31 therein, The ice making body 31 is locked.

제빙체(31)에서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변위수단(60)의 상기 구동부(61)는 역회전을 시작하고, 그에 따라 제빙통(20)은 호형상을 그리며 하강을 시작하고, When the ice making operation is completed in the ice making body 31, the drive part 61 of the displacement means 60 starts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ice making cylinder 20 starts to descend in a shape of arc,

제빙통(20)이 호형상으로 하강을 하다 보면,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이송가이드부재(40)의 하단이 상기 돌출부(19) 표면에 접촉되고, 접촉된 이후에 제빙통이 더 하강하면 이송가이드부재(40)의 하단에 구비된 라운드부(45)에 의해 이송가이드부재(40)의 하부는 상기 얼음통(50)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제3위치에 위치하고, When the ice tray 20 descends in an arc shape, whe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ly arranged conveying guide member 40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19 and the ice tray further descends after the contac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ing guide member 40 is slid by the ice barrel 50 and is located at the third position by the round portion 45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ember 40,

여기서 제빙통(20)이 더 하강하면, 이송가이드부재(40)의 상단과 돌출부(19)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이송가이드부재(40)는 상기 돌출부(19) 표면을 타고 미끄러져 돌출부(19)를 벗어나게 된다.
When the ice tray 20 further descend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nveying guide member 40 and the protruding portion 19 is increased so that the conveying guide member 40 slides on the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9, ).

이처럼 제빙통(20)이 스윙타입으로 선회운동하여 승하강되고, 그에 따라 이송가이드부재(40)가 돌출부(19)에 접촉되어 얼음통(50)을 향하거나, 돌출부(19)를 벗어나는 것은 상기 컨트롤러(70)의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 The ice maker 20 is pivotally moved up and down by the swing type so that the conveying guide member 40 contacts the protruding portion 19 and moves toward the ice bin 50 or the protruding portion 19,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즉, 상기 얼음통(50)에 얼음을 공급하는 얼음모드에서는,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이송가이드부재(40)의 하부가 상기 돌출부(19)에 접촉되어 얼음통(50)을 향하되, 제빙통(20)은 제빙체(31)의 직하부에 배치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제빙통(20) 제3위치로 하강시켜, 제빙체(31)에서 탈빙되어 낙하되는 얼음이 이송가이드부재(40) 표면으로 떨어져 얼음통(50)으로 이송배출되도록 하고, That is, in the ice mode in which ice is supplied to the ice cistern 50,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lower part of the conveying guide member 40 to contact the ice cistern 50 with the protrusion 19, The ice cubes 20 descend to the third position of the ice-making cylinder 20 within a range not disposed directly beneath the ice-making body 31 so that ice, which is scraped off from the ice-making body 31 and falls, To be transferred to and discharged from the ice cistern 50,

상기 냉수통(10)에 얼음을 공급하는 냉수모드에서는,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이송가이드부재(40)가 상기 돌출부(19)를 완전히 벗어나 수직으로 배열되는 범위로 상기 제빙통(20)을 제2위치로 하강시켜, 제빙체(31)에서 탈빙되어 낙하되는 얼음이 직접 냉수통(10)으로 낙하 배출되도록 한다. In the cold water mode in which ice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container 10,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ice maker 20 in a range in which the conveying guide member 40 is completely vertically align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19 So that the ice that has been scraped off from the ice making body 31 and falls down is directly dropp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cold water bottle 10.

이상 도 f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부(61) 위치, 제빙통(20)의 크기, 이송가이드 부재(40)의 길이, 회전로드(63A)(63B)의 선회 각도 등은 다양하고 적절하게 선택 변형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driving portion 61, the size of the ice-making cylinder 20, the length of the conveying guide member 40, the turning angles of the rotating rods 63A and 63B, Selection can be transformed.

한편, 도 13에서 냉온수기(A1) 하부의 생수통(W1) 저장을 위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D)에는 생수통과 냉수통을 연결하는 공급펌프(P2)의 동작을 on/off하는 스위치(SW1)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스위치(SW1)는 냉온수기 전체 전원 연결 부품들을 리셋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13, the door 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pace for storing the water tank W1 under the water cooler / heater A1 is provided with a switch SW1 for turning on and off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P2 for connecting the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The switch SW1 may be a switch for resetting all the power connection parts of the cold / hot water heater.

다음으로 도 15에는 도 13의 냉온수기(A1)와 제빙수단(30) 등의 구성이 동일한 냉온수기와 정수기의 복합기(A2)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와 관련한 설명에서 도 13과 중복되는 사항은 편의상 생략한다.Next, Fig. 15 shows a combined machine A2 of a cooler / heater and a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cold / hot water generator A1 and the icemaker 30 shown in Fig.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5, the elements overlapping with FIG. 13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복합기(A2)에서 물공급부는 수도배관(W2)과 직결하거나 생수통(W1)에 약수터에서 채취한 물이나 수돗물을 담아 필터어셈블리(F)로 필터링하여 음용수를 공급하는 형태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때 도시된 바와 달리 필요에 따라 통상의 정수기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정수탱크를 도입하거나, 수돗물을 물공급부로 활용하는 경우 상기 생수통 자체를 정수통으로 이용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in the multifunctional apparatus A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pipe W2 or is filled with water or tap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bottle W1 and filtered with the filter assembly F to supply the drinking water. Unlike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unlike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a separate purified water tank may be introduced, or if the tap water is used as a water supply unit, the water bottle itself may be used as a water bottle.

이와 같이 필터어셈블리(F)를 기존 냉온수기에 적용한 개념의 도입으로 전시회장, 학교, 군사훈련장, 야유회장 등 '이동식' 음용수 공급장치 복합기의 생산이 가능하다.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applying the filter assembly (F) to existing cold and hot water dispensers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portable' drinking water supply multifunction devices such as exhibition hall, school, military training ground,

수돗물(W2) 또는 생수통(W1)의 선택은 별도의 스위치(SW2)를 이용하며, 스위치의 변위에 따라 생수통(W1)(on시) 또는 수돗물(W2)(off시) 이용할 수 있도록 제1 또는 제2 밸브(V1)(V2)가 각각 개방되어 원하는 수원을 선택할 수 있다.A separate switch SW2 is used to select the tap water W2 or the water tank W1 and the first or second tap water W2 or water W2 can be used for the water bottle W1 (on) or tap water W2 (off) The second valves V1 and V2 are respectively opened to select a desired water source.

상기 필터어셈블리(F)는 필터여과식, 역삼투압 또는 이온교환식 등의 필터링 방식에 따라 침전(sediment)필터, 프리카본(pre-carbon)필터, 한외여과(UF)(또는 정밀여과)필터(또는 역삼투압필터(RO(Reverse Osmosis))), 포스트카본(post-carbon) 필터, 양이온 및 음이온 교환수지 등이 구비되고, 또 은첨가 카본필터, 미네랄필터 등의 특수 필터가 도입될 수 있다.
The filter assembly F may be a sediment filter, a pre-carbon filter, an ultrafiltration (UF) (or microfiltration) filter (or a microfiltration filter) according to a filtering method such as filter filtration, reverse osmosis, A reverse osmosis (RO) filter, a post-carbon filter, a cation and anion exchange resin, and a special filter such as a silver-added carbon filter and a mineral filter.

도 13의 냉온수기(A1)의 경우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concrete configuration of the case of the cold / hot water heater (A1) of Fig. 13 is as follows.

최초 전원 인가 후, 수위감지수단에 의한 냉수통(10)의 만수위(L1)가 확인되면, 펌프(P2)는 컨트롤러(70)에 의하여 off 된다(예: 1초 동안 연속적으로 만수 신호가 입력될 때 만수로 인식).If the full water level L1 of the cold water tank 10 is confirmed by the water level sensing means after the first power is applied, the pump P2 is turned off by the controller 70 (for example, when the full water level signal is continuously input for one second When fully aware).

이때 냉수통(10)에 유입된 물의 수위가 2단 접점 감지식 수위 센서(11A)를 구성하는 스텐레스 봉 중 중간 봉(11b)까지 차서 이를 감지(예: 1초이상 감지시)하게 되면, 순환펌프(P1)을 가동하여 냉수통(10)의 물이 제빙통(20)로 공급되고(순환펌프(P1)가 10초간 동작을 하여 제빙용 바틀에 냉수물 공급하고, 이후 제빙모드 따라 시간제어를 통하여 제빙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제빙수단(30)이 가동된다. At this tim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cold water tank 10 reaches the middle bar 11b of the stainless steel bar constituting the two-stage contact point sensible water level sensor 11A (for example, The pump P1 is operated to supply the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0 to the ice-making cylinder 20 (the circulation pump P1 operates for 10 seconds to supply cold water to the ice-making bottle, The ice making unit 30 is operated.

냉수통(10)의 물은 예들 들어 기준값(온도)이 4℃ 이하에 도달하면 냉수통(10) 쪽으로 얼음을 이송하지 않고, 이후에 제빙되는 얼음은 얼음통(50)으로 이송된다.The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0 does not transfer the ice toward the cold water bottle 10 when the reference value (temperature) reaches 4 DEG C or lower, for example, and then the ice that is to be ice is transferred to the ice bin 50. [

또 이후 냉수통(10)의 온도는 예를 들어 4~5℃를 유지해야 되며, 6℃ 이상이 감지가 될 경우 만들어지는 얼음을 냉수통으로 낙하시킨다(제빙수단(30)은 시간으로 제어를 하고, 냉수통(10) 낙하용은 냉수통 온도가 6℃ 이상 인 경우 10분에 한 번씩 온도가 4 ℃가 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동작을 시킨다.). 필요에 따라 일정 시간을 주기로 하여 얼음을 냉수통과 얼음통으로 각각 공급하는 방식을 독자적으로 채용하거나, 냉수통 온도 측정을 통하여 이송수단을 제어하는 방식과 함께 병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bottle 10 should be maintained at, for example, 4 to 5 DEG C, and when more than 6 DEG C is sensed, the ice water is dropped into the cold water bottle (the ice- ,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tank is lower than or equal to 6 ° C for the cold water tank (10), the opera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until the temperature becomes 4 ° C every 10 minutes.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use the method of supplying the ice to the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ice cube, or to use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conveying means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pipe in combination.

만약 제빙수단의 압축기(33) 등이 가동한 후 2시간 이내에 온도가 10℃ 이하로 떨어지지 않을 경우 제빙수단(30)을 정지시키고 냉온수기(A1) 외부에 구비된 안내 램프 중 물 공급 램프(EMPTY LED)와 얼음 램프(ICE LED), 2개를 20m/s에 한 번씩 점멸하여 경고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If the temperature does not fall below 10 캜 within 2 hours after the compressor 33 of the ice making device is operated, the ice-making device 30 is stopped and the water supply lamp EMPTY LED ) And an ice lamp (ICE LED), two of which flash at 20m / s to warn.

얼음통(50) 이송용 제빙 시간은 10-15분에 한 번씩 얼음이 이송되는 형태로 하며, 이때 얼음저장고의 온도센서가 -3℃에 도달이 될 경우 제빙 동작을 멈춘다.The icing time for the transfer of the ice bucket (50) is such that the ice is transported once every 10 to 15 minutes. When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ice storage reaches -3 ° C, the icing operation is stopped.

탈빙동작시에는 솔레노이드밸브(39V)를 개방하여 제빙체(31)에 고온 가스를 5 초간 공급을 한다.During the ice-making operation, the solenoid valve 39V is opened to supply the high-temperature gas to the ice-making body 31 for 5 seconds.

압축기(33)의 온도도 감지(방열판 온도감지)하는 것이 필요한 데, 예를 들어 방열판의 온도가 55℃ 이상 도달시 팬을 동작시켜 냉각을 한다.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33 (sensing the heat sink temperature).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ink reaches 55 ° C or more, the fan is operated to cool.

이상 여부 감지와 관련하여 냉수통 온도 센서(13)의 측정값이 2시간 가동 후 10℃ 이하가 되지 않을 경우 물 공급 램프(EMPTY LED)와 얼음 램프(ICE LED)를 20m/s 단위로 점멸한 후, 압축기 등을 off 한다.If the measured value of the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13) does not reach 10 ℃ or less after 2 hours operation, the water supply lamp (EMPTY LED) and the ice lamp (ICE LED) are blinked by 20m / s After that, the compressor is turned off.

얼음통(50)에도 온도센서(고장시 지속적인 제빙 얼음 생산에 대한 안전수단 필요)가 구비(얼음 만충시 센서고장으로 인하여 계속 생산된 얼음의 배출수단을 이루는 모터 등의 고장 가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temperature sensor (safety means for continuous ice-making ice production in the event of failure) is provided in the ice cistern 50 (a motor or the like constituting means for discharging ice produced continuously due to sensor failure in the case of full ice can be broken down) .

물공급부에서 물이 공급되지 않는 단수 상태(NOMAL OPEN)가 연속적으로 5분간 지속이 될 때에는 물 공급 램프(EMPTY LED)를 20m/s마다 점멸하고 압축기 등을 off한다.When NOMAL OPEN which does not supply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ection continues for 5 minutes continuously, the water supply lamp (EMPTY LED) flickers every 20m / s and the compressor is turned off.

중간수위센서(11b)가 펌프(P2)가 가동 된 후 10-30분 동안 만수가 되지 않을 경우에도 단수로 감지한다. Even when the intermediate water level sensor 11b does not become full for 10-30 minutes after the pump P2 is started,

도어(D) 감지 스위치(SW1)는 모든 모드의 리렛기능을 의미한다(단, 제빙기능 제외).Door (D) sensing switch (SW1) means the reel function of all modes (except icing function).

단수를 해결했을 경우, 재동작을 시키는 의미에서 도어를 열었다 닫았을 경우 모든 기능을 정상으로 인식하고 동작을 한다. 만약 도어 감지 스위치(SW1)가 개방되었을 경우, 물 공급 램프(EMPTY LED)와 얼음 램프(ICE LED)를 소등한다.
When the number of steps is solved,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in the sense of re-operation, and all functions are recognized as normal and operated. If the door detection switch (SW1) is opened, the water supply lamp (EMPTY LED) and the ice lamp (ICE LED) are turned off.

이상의 설명에서 금형, 이형제, 발포폴리우레탄폼의 제원, 그리고 헤드레스트 각도조절형 어셈블리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While the above description has omitted the conventional well-known techniques related to the mold, the release agent, the specifications of the foamed polyurethane foam, and the headrest angle-adjustable assembl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guess and deduce it and reproduce it.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롤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1: 냉온수기 A2: 정수기
W1,W2: 물공급부 10: 냉수통
11: 수위감지수단 13: 온도센서
20: 제빙통 30: 제빙수단
31: 제빙체 33: 압축기
35: 응축기 37: 모세관
39: 탈빙라인 40: 이송가이드부재
41: 슬릿홀 43: 막음판
45: 라운드부 50: 얼음통
60: 변위수단 61: 구동부
62: 회전축 63A,63B: 회전로드
65: 힌지핀 F: 필터어셈블리
P1,P2: 펌프 V1,V2: 밸브
SW1,SW2: 스위치 C1,C2: 코크
T: 온수통 IC: 얼음
100: 얼음공급장치 110: 고정체
111: 배출부 113: 장착부
S: 개폐체 120: 변위부재
121: 토출구 123: 스프링
130: 작동부재 131: 제1승강체
133: 제2승강체 135A,135B: 저항부재
140: 교반체 150: 얼음통
151: 경사부
A1: Cooler / heater A2: Water purifier
W1, W2: water supply unit 10: cold water tank
11: water level sensing means 13: temperature sensor
20: ice tray 30:
31: ice making body 33: compressor
35: condenser 37: capillary tube
39: driving line 40: conveying guide member
41: Slit hole 43: Clog plate
45: round section 50: ice tray
60: displacement means 61:
62: rotating shaft 63A, 63B: rotating rod
65: Hinge pin F: Filter assembly
P1, P2: Pump V1, V2: Valve
SW1 and SW2: switches C1 and C2:
T: Hot water tank IC: Ice
100: ice supply device 110: fixed body
111: discharging part 113:
S: opening / closing body 120: displacement member
121: discharge port 123: spring
130: operating member 131: first elevating member
133: second elevator body 135A, 135B: resistance member
140: stirrer 150: ice tray
151:

Claims (10)

배출부를 갖는 얼음통;
상기 얼음통의 배출불를 여닫는 개폐체; 및
작동수단에 의하여 동작되고, 얼음통에 담긴 얼음을 움직이는 분리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얼음배출장치.
An ice tray having a discharge portion;
An opening / closing body for opening / clos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ice bin; And
Separating means operated by operating means for moving ice contained in the ice bucket;
And an ice discharg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분리수단과 연결된 개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means is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connected to the separat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얼음을 배출구로 가압하는 배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parating means comprises a discharge member for pressing the ice to the discharge po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통에는 배출부를 향하여 형성된 안내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안내부를 따라 움직이는 날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ce cistern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formed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Wherein the separating means has a wing portion that moves along the guide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체는 상호 연결된 가압부와 개폐부를 갖고, 가압부와 개폐부 사이에는 회동축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회동축에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있어 개폐부가 배출부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고,
상기 개폐체의 개폐부 말단은 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분리수단과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has a pressing portion and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rotating shaft is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the rotating shaf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Wherein an opening / closing end of the opening / closing body is connected to the separating means through a connecting shaft.
제빙수가 채워지는 제빙통;
상기 제빙수에 잠겨 제빙이 이루어지고, 탈빙이 행해지는 제빙체를 포함하는 제빙수단;
상기 제빙체의 탈빙 시 얼음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빙통의 하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움직이는 변위수단을 포함하는 배출수단; 및
상기 배출수단을 통하여 얼음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배출부를 갖는 얼음통,
상기 얼음통의 배출부를 여닫는 개폐체, 그리고
작동수단에 의하여 동작되고 얼음통에 담긴 얼음을 움직이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얼음배출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
An ice-making cylinder filled with ice-making water;
An ice-making unit including an ice-making body which is immersed in the ice-making water to perform ice-making and de-icing;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at opens and closes a lower opening of the ice-making cylinder to discharge ice when the ice-making body is scooped, and a displacing unit that mov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An ice cube having a discharge part,
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ice bin, and
An ice discharge device operated by the operating means and including separating means for moving ice contained in the ice cube container;
And an ice-making function.
제빙수가 채워지는 제빙통;
상기 제빙수에 잠겨 제빙이 이루어지고, 탈빙이 행해지는 제빙체를 포함하는 제빙수단;
상기 제빙체의 탈빙시 얼음을 배출하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에 의하여 배출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통; 및
상기 얼음통에 저장된 얼음을 배출부로 모는 편중수단을 포함하는 얼음이동장치;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
An ice-making cylinder filled with ice-making water;
An ice-making unit including an ice-making body which is immersed in the ice-making water to perform ice-making and de-icing;
A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ice upon deicing of the ice making body;
An ice tray for storing the ice discharged by the discharging means; And
An ice moving device including biasing means for driving the ice stored in the ice bin to a discharge portion;
And an ice-making func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이동장치의 편중수단은 얼음통의 저면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rein the biasing means of the ice movement device includes a bottom inclined portion of the ice bin.
제빙수가 채워지는 제빙통;
상기 제빙수에 잠겨 제빙이 이루어지고, 탈빙이 행해지는 제빙체를 포함하는 제빙수단;
상기 제빙체의 탈빙시 얼음을 배출하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에 의하여 배출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통; 및
상기 얼음통에 저장된 얼음을 요동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얼음이동장치;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
An ice-making cylinder filled with ice-making water;
An ice-making unit including an ice-making body which is immersed in the ice-making water to perform ice-making and de-icing;
A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ice upon deicing of the ice making body;
An ice tray for storing the ice discharged by the discharging means; And
An ice moving device including separating means for rocking the ice stored in the ice cube;
And an ice-making function.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중수단 또는 상기 분리수단은
통과부를 갖는 망상체와, 이 망상체를 움직이는 요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The biasing means or the separating means
And a rocking means for moving the mesh-like body. The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KR1020120081997A 2012-07-26 2012-07-26 Ice dispenser and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using the same KR201400137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997A KR20140013733A (en) 2012-07-26 2012-07-26 Ice dispenser and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997A KR20140013733A (en) 2012-07-26 2012-07-26 Ice dispenser and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733A true KR20140013733A (en) 2014-02-05

Family

ID=50264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997A KR20140013733A (en) 2012-07-26 2012-07-26 Ice dispenser and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373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654B1 (en) Water dispenser with water filter for a refrigerator
KR101398608B1 (en)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sensing means for water leakage
US20220221212A1 (en) Free-standing ice or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JP6356132B2 (en) Quick freezing of ice cubes including methods, equipment, products and uses
KR101276315B1 (en) Ice dispenser and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using the same
KR20130067114A (en)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sensing means for water leakage
US8286443B2 (en) Dispenser
KR20130013475A (en) Hexagonal water ice manufacturer
KR20140074693A (en) Ice dispenser and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using the same
KR20140013732A (en)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KR20180010474A (en)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transparent ice maker
KR101746613B1 (en)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transparent ice maker
KR20140013733A (en) Ice dispenser and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using the same
KR101276316B1 (en)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KR20150004736A (en)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KR20170000272A (en)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KR20130046221A (en)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and ice dispenser for the same
CN204105736U (en) A kind of small-size multifunction ice machine
KR102035506B1 (en) Ice maker for transparent ice
KR20120119969A (en)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RU2367857C1 (en) Method of drinking water cooling for automated beverage tapping machine and device and drinking water cooling
KR101189635B1 (en)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KR200435186Y1 (en) Tea supply system
RU77671U1 (en) DRINKING WATER COOLING PLANT FOR AUTOMATIC DRINKED BEVERAGE SPILL
KR100763997B1 (en) Tea suppl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