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832A -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832A
KR20140011832A KR1020120079190A KR20120079190A KR20140011832A KR 20140011832 A KR20140011832 A KR 20140011832A KR 1020120079190 A KR1020120079190 A KR 1020120079190A KR 20120079190 A KR20120079190 A KR 20120079190A KR 20140011832 A KR20140011832 A KR 20140011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ible
hole
ring
screw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손수민
김성윤
Original Assignee
손수민
김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수민, 김성윤 filed Critical 손수민
Priority to KR1020120079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1832A/ko
Publication of KR20140011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04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means for distracting or compressing the bone or bones
    • A61B17/8014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means for distracting or compressing the bone or bones the extension or compression force being caused by interaction of the plate hole and the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61B17/807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03Bones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성형관련 턱 시술이나 구강암 시술시 하악 골편의 상,하,좌,우 방향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악골의 근심 골편을 원심 골편인 하악체에 반 고정 상태로 연결함에 따라 시술 후 골유합 전 환자 스스로의 턱 관절 운동으로 인해 턱관절이 좀 더 이상적인 위치로 유지된 채 골 유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재시술이나 통증없이 환자 스스로 이상적인 위치로 하악골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하악골 측에 유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유동링의 수직 단턱 내에 스크류의 머리부분이 노출없이 완전히 수용됨에 따라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시술 후 환자의 높은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는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몸체와,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일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동공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수직 단턱이 형성되는 유동링과,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타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제 1 체결링과, 상기 유동링과 제 1 체결링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 상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제 2 체결링과, 상기 유동공 내에 유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일측 하악골 내에 고정 체결되며 그 머리 부분은 상기 수직 단턱 내에 노출됨 없이 수용되는 제 1 스크류와, 상기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 내에 각각 삽입되고 타측 하악골 내에 고정 체결되며 그 머리 부분은 상기 테이퍼면과 상호 면접 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스크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PLATE FOR FIXATION OF MANDIBLE}
본 발명은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성형관련 턱 시술이나 구강암 시술시 하악 골편의 상,하,좌,우 방향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악골의 근심 골편을 원심 골편인 하악체에 반 고정 상태로 연결함에 따라 시술 후 골유합 전 환자 스스로의 턱 관절 운동으로 인해 턱관절이 좀 더 이상적인 위치로 유지된 채 골 유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재시술이나 통증없이 환자 스스로 이상적인 위치로 하악골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하악골 측에 유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유동링의 수직 단턱 내에 스크류의 머리부분이 노출없이 완전히 수용됨에 따라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시술 후 환자의 높은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는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주걱턱을 제거하는 턱얼굴 성형 시술이나, 구강암 시술을 할 때 턱골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절단한 후에 또는 골에 어떤 이상이 발견되어 이 부위를 제거한 다음에 나머지 부분의 형태를 유지하거나, 새로운 골을 이식하여 고정시키는 경우에 사용되는 보조 의료기구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종래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를 안면의 하악골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하악 시술용 고정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하악 시술용 고정 플레이트가 하악골에 시술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골(100)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 또는 절개된 상태에서 하악골(100)의 전면에 하악 시술용 고정 플레이트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하악 시술용 고정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몸체(1)는 일정한 강성 이상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진 플레이트 몸체에 등간격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통공들이 형성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 몸체(1)에는 등간격으로 각각 스크류(4)가 관통 삽입되어 하악골(100)에 체결시키기 위한 관통공(3)이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된 복수개의 고정부(2)가 형성되고, 이 각각의 고정부(2)는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5)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부(2)의 관통공(3) 상부 내주면에는 체결되는 스크류(4)의 헤드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테이퍼면(6)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일부가 제거 또는 절개된 하악골의 사이를 고정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몸체(1)에 등각격으로 형성된 링 형상의 복수개의 고정부(2)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3)을 스크류(4)가 관통하여 하악골(100)에 순차적으로 체결시킴에 따라 절개된 하악골(100)의 접합 시술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하악골(100)의 접합 시술시 환자는 마취 상태이므로 아무런 감각이나 의식 및 근육 활성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기구를 사용하여 머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시술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하악골의 위치를 잡은 상태에서 고정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환자마다 시술한 후 상이한 하악골의 성장 속도 및 성장 방향이나, 치아 구조와 씹는 습관 등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의 위치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미세하게 변동함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의 미세 위치조정을 해야 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 고정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2)의 관통공(3)에 체결되어 있는 스크류(4)의 체결 상태를 해제한 후, 다시 스크류(4)를 새로운 위치에 고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서 실제로 위치 조정을 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고정된 상태에서 미세 조정이 불가능하여 결국 절개된 하악골이 완전하게 봉합되지 못하며, 도 3과 같이 고정 플레이트의 변형이 발생되거나, 심할 경우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시술자에게 많은 고통과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어 고정 플레이트를 재시술해야 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악 골편들의 시술 후 움직임을 허용하지 않는 하악골 완전 고정 플레이트와 좌, 우 방향의 움직임만을 허용하는 하악골 반고정 플레이트를 사용하였을 경우 만약 시술 시 하악골이 잘못 위치된 채 고정이 되었다면 턱관절의 이상, 플레이트의 변형 및 파절로 인한 하악골의 위치 및 골유합 이상 현상을 보여 하악골의 새로운 고정을 위해 재시술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성형관련 턱 시술이나 구강암 시술시 하악 골편의 상,하,좌,우 방향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악골의 근심 골편을 원심 골편인 하악체에 반 고정 상태로 연결함에 따라 시술 후 골유합 전 환자 스스로의 턱 관절 운동으로 인해 턱관절이 좀 더 이상적인 위치로 유지된 채 골 유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재시술이나 통증없이 환자 스스로 이상적인 위치로 하악골을 이동시킬 수 있는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악골 측에 유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유동링의 수직 단턱 내에 스크류의 머리부분이 노출없이 완전히 수용됨에 따라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시술 후 환자의 높은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는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레이트 몸체와,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일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동공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수직 단턱이 형성되는 유동링과,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타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제 1 체결링과, 상기 유동링과 제 1 체결링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 상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제 2 체결링과, 상기 유동공 내에 유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일측 하악골 내에 고정 체결되며 그 머리 부분은 상기 수직 단턱 내에 노출됨 없이 수용되는 제 1 스크류와, 상기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 내에 각각 삽입되고 타측 하악골 내에 고정 체결되며 그 머리 부분은 상기 테이퍼면과 상호 면접 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스크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동공의 직경은 상기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동링은 일측 하악골에 고정된 제 1 스크류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되 유동시 상기 유동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 1 스크류의 머리부분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에 따르면 첫째, 각종 성형관련 턱 시술이나 구강암 시술시 하악 골편의 상,하,좌,우 방향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악골의 근심 골편을 원심 골편인 하악체에 반 고정 상태로 연결함에 따라 시술 후 골유합 전 환자 스스로의 턱 관절 운동으로 인해 턱관절이 좀 더 이상적인 위치로 유지된 채 골 유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재시술이나 통증없이 환자 스스로 이상적인 위치로 하악골을 이동시킬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둘째, 하악골 측에 유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유동링의 수직 단턱 내에 스크류의 머리부분이 노출없이 완전히 수용됨에 따라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시술 후 환자의 높은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가 하악골에 시술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종래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가 하악골에 시술된 후 변형이 발생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가 하악골이 시술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작동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가 하악골이 시술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가 도시되며,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작동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1)는 플레이트 몸체(10)와, 상기 플레이트 몸체(10)의 일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동공(23)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수직 단턱(21)이 형성되는 유동링(20)과, 상기 플레이트 몸체(10)의 타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 관통공(33)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테이퍼면(31)이 형성되는 제 1 체결링(30)과, 상기 유동링(20)과 제 1 체결링(3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10) 상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2 관통공(43)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테이퍼면(41)이 형성되는 제 2 체결링(40)과, 상기 유동공(23) 내에 유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일측 하악골(100) 내에 고정 체결되며 그 머리 부분은 상기 수직 단턱(21) 내에 노출됨 없이 수용되는 제 1 스크류(50)와, 상기 제 1 관통공(33) 및 제 2 관통공(43) 내에 각각 삽입되고 타측 하악골(100) 내에 고정 체결되며 그 머리 부분은 상기 테이퍼면(31,41)과 상호 면접 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스크류(60)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1)에 대한 각각의 구성부재 및 그 작동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플레이트 몸체(10)는 추후에 설명될 유동링(20), 제 1 체결링(30) 및 제 2 체결링(40)을 일체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 강성 이상을 갖으며 인체에 무해한 비흡수성 재료 또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 몸체(10)는 유동링(20), 제 1 체결링(30) 및 제 2 체결링(40)이 서로 일직선 상에 연결되도록 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곡선 또는 일정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플레이트 몸체(10)의 일단에는 유동링(20)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 유동링(20)은 일측 하악골(100)에 위치되고 내부에는 유동공(23)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수직 단턱(21)이 형성된다.
전술한 유동공(23)은 추후에 설명될 제 1 스크류(50)가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그 내부 직경은 제 1 스크류(50)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제 1 스크류(50)의 몸통부재(53)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유동공(23)의 직경은 추후에 설명될 제 1 관통공(33) 및 제 2 관통공(43)의 직경에 비해서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수직 단턱(21)은 제 1 스크류(50)의 머리부재(51)가 유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직 단턱(21)의 높이는 제 1 스크류(50)의 머리부재(51)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머리부재(51)가 유동링(2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시술 뒤 환자가 돌출된 머리부재(51)에 의해 이물감을 느끼지 않게 되며 유동링(20)이 위치된 하악골(100)이 시술 후 제자리를 찾기 위해 소정 위치로 이동된다 하더라도 환자가 통증을 느낄 수 없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유동링(20)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변경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유동링(20)이 형성된 플레이트 몸체(10)의 타단에는 제 1 체결링(30)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 제 1 체결링(30)은 타측 하악골(100)에 위치되고 내부에는 제 1 관통공(33)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테이퍼면(31)이 형성된다.
전술한 제 1 관통공(33)은 추후에 설명될 제 2 스크류(60)가 고정 삽입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그 내부직경은 제 2 스크류(60)의 몸통부재(63)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테이퍼면(31)은 제 1 체결링과 제 2 스크류(60)의 접촉면적을 넓게 확장함으로써 상호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제 2 스크류(60)의 머리부재(61)는 테이퍼면(31)에 면접되도록 그 경사면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유동링(20)과 제 1 체결링(30) 사이에는 제 2 체결링(40)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 제 2 체결링(40)은 전술한 제 1 체결링(30)과 마찬가지로 타측 하악골(100)에 위치되고 내부에는 제 2 관통공(43)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테이퍼면(41)이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제 2 체결링(40)은 유동링(20) 및 제 2 체결링(40)과 등 간격을 이루도록 위치될 수도 있고 일측으로 치우쳐져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제 2 관통공(43)은 제 1 관통공(33)과 마찬가지로 추후에 설명될 제 2 스크류(60)가 고정 삽입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그 내부 직경은 제 2 스크류(60)의 몸통부재(63)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테이퍼면(41)은 전술한 제 1 관통공(33)의 테이퍼면(31)과 마찬가지로 제 2 체결링(40)과 제 2 스크류(60)의 접촉면적을 넓게 확장함으로써 상호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제 2 스크류(60)의 머리부재(61)는 테이퍼면(41)에 면접되도록 그 경사면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유동공(23) 내에는 제 1 스크류(50)가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이 제 1 스크류(50)는 유동링(20)을 일측 하악골(100)에 유동가능하게 고정 체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 스크류(50)는 그 상부가 평평한 머리부재(51)와, 이 머리부재(51)의 하부로부터 수직연장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을 갖는 몸통부재(5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 1 스크류(50)는 유동링(20) 내에 삽입된 다음 일측 하악골(100) 내에 나사방식으로 고정 체결되는데 그 머리부재(51)는 전술한 수직 단턱(21) 내에 노출됨 없이 완전히 수용된다. 이때 전술한 제 1 스크류(50)는 그 머리부재(51)가 수직 단턱(21) 내에서 유동 될 수 있도록 유동링(20)이 하악골(100) 측에 과하게 밀착되지 않을 정도로 체결되어야 하는데 필요에 따라 수직 단턱(21)과 머래부재(51) 사이에 원활한 유동을 유도하는 소정의 필름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개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유동링(20)은 일측 하악골(100)에 고정된 제 1 스크류(50)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되 유동시 유동공(2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 1 스크류(50)의 머리부분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게 되는바 유동링(20)은 제 1 스크류(50)에 의해 안정적으로 하악골(100) 측에 유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 1 관통공(33) 및 제 2 관통공(43)에는 제 2 스크류(60)가 각각 삽입되는데 이 제 2 스크류(60)는 제 1 체결링(30)과 제 2 체결링(40)을 타측 하악골(100) 측에 고정 체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2 스크류(60)는 그 측면이 테이퍼면(31,41)에 면접 가능하도록 경사져서 형성되는 머리부재(61)와, 이 머리부재(61)의 하부로부터 수직연장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을 갖는 몸통부재(6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 2 스크류(60)는 제 1 체결링(30)의 제 1 관통공(33)과 제 2 체결링(40)의 제 2 관통공(43) 내에 삽입된 다음 타측, 하악골(100) 내에 나사방식으로 고정 체결되는데 그 머리부재(61)는 전술한 제 1 스크류(50)의 머리부재(51)와 마찬가지로 테이퍼면(31,41) 내에 노출됨 없이 완전히 수용된다. 또한 전술한 제 2 스크류(60)는 그 머리부재(61)가 테이퍼면(31,41) 내에서 유동 되지 않도록 테이퍼면(31,41)과 밀착 체결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1)를 이용한 전체적인 시술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술자는 시술부위를 기준으로 유동링(20)을 일측 하악골(100) 측에, 제 1 체결링(30)과 제 2 체결링(40)을 타측 하악골(100) 측에 각각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유동링(20) 내에 제 1 스크류(50)를 삽입해 그 머리부재(51)는 수직 단턱(21) 내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하고 몸통부재(53)는 일측 하악골(100) 내에 삽입 체결시킨다.
또한 제 1 체결링(30)과 제 2 체결링(40) 내에 제 2 스크류(60)를 삽입해 그 머리부재(61)는 테이퍼면(31,41)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하고 몸통부재(63)는 타측 하악골(100) 내에 삽입 체결시킨다.
시술이 종료된 후 시술부위의 골 유합이 이루어지기 전 피시술자가 스스로 턱관절 운동으로 인해 턱관절이 좀 더 이상적인 위치로 유동 되도록 하는데, 이때 유동링(20)이 제 1 스크류(50) 측에 유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1)의 파손 및 피시술자의 통증발생 없이 하악골(100)을 소정 위치만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유동링(20)이 제 1 스크류(50)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유동된다 하더라도 유동공(2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 1 스크류(50)의 머리부분에 의해 완전히 가려짐에 따라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크류(50)의 머리부재(51)가 수직 단턱(21) 내에 노출없이 완전히 수용됨에 따라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시술 후 환자의 높은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10 : 플레이트 몸체
20 : 유동링 21 : 수직 단턱
23 : 유동공 30 : 제 1 체결링
31,41 : 테이퍼면 33 : 제 1 관통공
40 : 제 2 체결링 43 : 제 2 관통공
50 : 제 1 스크류 51,61 : 머리부재
53,63 : 몸통부재 60 : 제 2 스크류
100 : 하악골

Claims (3)

  1. 플레이트 몸체(10);
    상기 플레이트 몸체(10)의 일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동공(23)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수직 단턱(21)이 형성되는 유동링(20);
    상기 플레이트 몸체(10)의 타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 관통공(33)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테이퍼면(31)이 형성되는 제 1 체결링(30);
    상기 유동링(20)과 제 1 체결링(3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10) 상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2 관통공(43)이 형성되며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테이퍼면(41)이 형성되는 제 2 체결링(40);
    상기 유동공(23) 내에 유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일측 하악골(100) 내에 고정 체결되며 그 머리 부분은 상기 수직 단턱(21) 내에 노출됨 없이 수용되는 제 1 스크류(50); 및
    상기 제 1 관통공(33) 및 제 2 관통공(43) 내에 각각 삽입되고 타측 하악골(100) 내에 고정 체결되며 그 머리 부분은 상기 테이퍼면(31,41)과 상호 면접 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스크류(6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공(23)의 직경은 상기 제 1 관통공(33) 및 제 2 관통공(43)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링(20)은 일측 하악골(100)에 고정된 제 1 스크류(50)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되 유동시 상기 유동공(2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 1 스크류(50)의 머리부분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KR1020120079190A 2012-07-20 2012-07-20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KR20140011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190A KR20140011832A (ko) 2012-07-20 2012-07-20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190A KR20140011832A (ko) 2012-07-20 2012-07-20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832A true KR20140011832A (ko) 2014-01-29

Family

ID=5014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190A KR20140011832A (ko) 2012-07-20 2012-07-20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18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3965B2 (en) Palatal expansion appliance
KR20220160513A (ko) 구개 확장장치
Martinez-Lage et al. Retromolar intubation
Barakat et al. Clinical and radiographic evaluation of a computer-generated guiding device in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ies
KR101210089B1 (ko)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Rubio-Bueno et al. Intraoral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special attention to treatment planning
KR20200103004A (ko) 개선된 상악골 확장기 및 전인장치
Abboud et al. Three-dimensional orofacial changes occurring after proportional condylectomy in patients with condylar hyperplasia type 1B (unilateral hemimandibular elongation)
US201500340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mentally Repositioning the Mandible of a Patient
US20170231660A1 (en) Device for inducing or correcting mandible growth
KR20140011832A (ko)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JP7450845B2 (ja) 位置合わせ部材を有する外科用ガイド及びインプラント
KR101363417B1 (ko) 하악 측골 고정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Strohl et al. Surgical orthodontics
ES2596728T3 (es) Dispositivo de retención de larga duración
Orzell et al. Secondary repair of the zygoma
Binahmed et al. The lingual splint: an often forgotten method for fixating pediatric mandibular fractures.
KR101660938B1 (ko)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CN105266878A (zh) 固定骨板
Steier et al. Successful dental implant placement surgeries with buccal bone fenestrations
KR101129111B1 (ko) 악교정 수술기구
JP7450846B2 (ja) 骨切り術前及び骨切り術後用の位置合わせ部材を有する顎矯正外科用インプラントアセンブリ
US10258379B2 (en) Mandibular fixation device
Yamauchi et al. Surgical Correction in Mandibular Asymmetry
KR20170050468A (ko) 하악지에 고정되는 교정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