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527A -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527A
KR20140011527A KR1020120070767A KR20120070767A KR20140011527A KR 20140011527 A KR20140011527 A KR 20140011527A KR 1020120070767 A KR1020120070767 A KR 1020120070767A KR 20120070767 A KR20120070767 A KR 20120070767A KR 20140011527 A KR20140011527 A KR 20140011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address
file
domain
calc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준
전홍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1527A/ko
Priority to US13/912,150 priority patent/US20140006449A1/en
Publication of KR2014001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3File access structures, e.g. distributed ind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3File access structures, e.g. distributed indices
    • G06F16/134Distributed ind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65Discovery involving distributed pre-established resource-based relationships among peers, e.g. based on distributed hash tables [D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은 자신이 속한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내에 사용하려는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가 없으면, 기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는 도메인 참여노드; 및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의 질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에 연동하여 상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제공하는 도메인 관리노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INTEROPERATING DHT-BASED OVERLAY NETWORK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 방안에 관한 것으로, 특히, DHT 기반으로 구성된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마다 도메인 관리노드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를 통해 서로 다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에 연동하도록 하는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HT(Distributed Hash Table)는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해시 테이블(hash table)을 인터넷 상의 여러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DHT 기술은 P2P(Peer to Peer)와 같은 오버레이(overlay) 네트워크 기술에서 주로 사용된다.
DHT 기술은 간편하게 공유 대상 파일의 위치 정보를 분산 저장하여 분산 인덱스의 규모 확장성(scalability) 문제를 해결한다. 하지만 DHT 기술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서울에 위치한 노드들과 부산에 위치한 노드들이 DHT로 연결되어 있다고 하자. 그리고 서울에 위치한 사용자가 해당 DHT를 통해 파일 A를 다운받고자 한다고 하자. 이 파일 A는 서울에 위치한 노드 중 하나에 저장되어 있다고 하자. 사용자는 A의 위치를 모르므로, A를 다운받으려면 우선 DHT에 A의 위치를 질의하여야 한다. 그런데 DHT의 특성상 파일 A의 위치 정보는 서울이 아니라 부산에 위치한 노드에 보관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파일 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산에 위치한 노드에 A의 위치를 질의하고 그 결과를 수신한 다음, A를 갖고 있는 서울 노드에 A를 요청해야만 한다.
따라서 하나의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 보내는 질의 패킷의 전송 경로가 굉장히 길어질 수 있어, 불필요한 원거리 트래픽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DHT의 특성은 DHT를 사용하는 두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을 어렵게 한다. 두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순간 그 두 네트워크의 DHT는 하나로 합쳐지고, 방금 설명한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DHT 기반으로 구성된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마다 도메인 관리노드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를 통해 서로 다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에 연동하도록 하는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은 자신이 속한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내에 사용하려는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가 없으면, 기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는 도메인 참여노드; 및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의 질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에 연동하여 상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제공하는 도메인 관리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는 상기 사용하려는 파일의 키 값을 계산하여 그 계산된 키 값을 이용하여 특정 노드의 주소를 계산한 후, 그 계산된 주소의 노드에 상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고, 그 질의한 결과로 자신이 속한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내에 사용하려는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가 없으면, 기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는 상기 사용하려는 파일의 계산된 키 값을 해싱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는 상기 사용하려는 파일의 계산된 키 값 K를 이용하여 특정 노드의 주소인 DHT(K)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는 기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의 키 값 M을 이용하여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의 주소를 보관하고 있는 도메인 참여노드의 주소인 DHT(M)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주소로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에 질의하여 상기 도메인 관리 노드의 주소를 확인하고, 확인한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는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여 그 연결된 통신 채널을 통해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는 자신이 저장하는 파일에 대한 키 값을 계산하여 그 계산된 키 값을 이용하여 특정 노드의 주소를 계산한 후 그 계산된 주소의 노드에 계산된 키 값과 자신의 주소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는 기 설정된 키 값을 이용하여 특정 노드의 주소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주소의 노드에 자신의 주소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방법은 자신이 속한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내에 사용하려는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 확인한 결과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가 없으면, 기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는 단계; 및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로부터 제공받은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여 그 연결된 통신 채널을 통해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하려는 파일의 키 값을 계산하여 그 계산된 키 값을 이용하여 특정 노드의 주소를 계산한 후, 그 계산된 주소의 노드에 상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하려는 파일의 계산된 키 값을 해싱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하려는 파일의 계산된 키 값 K를 이용하여 특정 노드의 주소인 DHT(K)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소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질의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의 키 값 M을 이용하여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의 주소를 보관하고 있는 도메인 참여노드의 주소인 DHT(M)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주소로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에 질의하여 상기 도메인 관리 노드의 주소를 확인하고, 확인한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방법은 자신이 저장하는 파일에 대한 키 값을 계산하여 그 계산된 키 값을 이용하여 특정 노드의 IP 주소를 계산한 후 그 계산된 주소의 노드에 계산된 키 값과 자신의 주소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DHT 기반으로 구성된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마다 도메인 관리노드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를 통해 서로 다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에 연동하도록 함으로써, 패킷이 불필요하게 다른 도메인으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HT 기반으로 구성된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마다 도메인 관리노드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를 통해 서로 다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에 연동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는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는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는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3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DHT 기반으로 구성된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마다 도메인 관리노드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를 통해 서로 다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에 연동하도록 하는 새로운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 방안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HT 기반의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HT 기반의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은 다수의 도메인 참여노드(110), 및 도메인 관리노드(120) 등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다수의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메인 참여노드(110)는 DHT 기반의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로서, DHT(Distributed Hash Table) 함수를 이용하여 노드 간 파일 또는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도메인 참여노드(110)는 DHT 함수를 이용하여 같은 도메인의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 간에 콘텐츠를 공유할 뿐 아니라 다른 도메인의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 간에도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DHT 함수를 사용하는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설명하는 DHT 함수는 네트워크 상의 각 노드가 다른 모든 노드의 IP 주소를 안다고 가정하는, 간단한 형태의 DHT 함수이며, 그런 가정이 필요없는 DHT 함수들도 많이 있으나, 동작 원리는 대체적으로 유사하다. 예컨대, DHT(K)는 K라는 키에 매핑되는 값 V를 관리할 노드의 IP 주소를 반환한다. 이를 위해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 각각은 모든 노드의 IP 주소를 알아야 한다. 각각의 노드는 이 IP 주소를 사용하여 DHT(K)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가상 토폴로지를 구축한다.
이 가상의 토폴로지는 원형의 해시 스페이스 H 상에 각 노드의IP 주소를 저장하여 구축한다. 즉, 하나의 DHT 네트워크에 IP1, IP2, IP3, …, IPn의 N개 IP 주소가 존재한다고 할 때, 이 각각을 H(IP1), H(IP2), H(IP3), …, H(IPn)의 각 지점에 저장한다.
이 상태에서 DHT(K)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먼저 H(K)를 구한다. 이 값은 해시 스페이스 H 상의 어떤 점에 위치하게 된다. 그 지점으로부터 해시 스페이스 H를 반시계 방향으로 순회하다 최초로 만나게 되는 IP 주소가 DHT(K)의 값이다.
1)파일을 저장하려는 경우 DHT 기반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는 자신이 보관하고자 하는 파일의 키 값 K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키 값을 이용하여 DHT(K) 즉, IP 주소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노드는 계산된 IP 주소의 노드에 K, 자신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이 메시지를 받은 노드는 해당 메시지를 저장하게 된다.
이때, 파일의 키 값은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는데, 해시 함수일 수 있다.
따라서 DHT 기반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는 파일의 키 값과 그 키값에 대응되는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 즉, IP 주소를 분산 저장할 수 있게 된다.
2)파일을 이용하려는 경우 DHT 기반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는 파일의 키값 K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키 값을 이용하여 DHT(K) 즉, IP 주소를 계산할 수 있다. 파일의 키 값 K를 계산할 수 없을 때에는 외부 시스템을 통해 키 값 K를 취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 시스템으로는 Google과 같은 검색 엔진이나, P2P 기술에서 널리 사용되는 Tracker Serv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노드는 계산된 IP 주소의 노드에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노드의 IP 주소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응답으로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노드의 IP 주소를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노드는 제공받은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IP 주소의 노드로 하나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여 그 연결된 통신 채널을 통해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된다.
도메인 관리노드(120)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에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다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도메인 관리노드와 연동할 수 있다.
이때, 도메인 관리노드(120)는 기 설정된 키 값 DOMAIN_MANAGER를 사용하여 DHT(DOMAIN_MANAGER)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로 구한 주소가 가리키는 노드에 자기 주소를 저장해 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는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는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는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3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도메인 참여노드는 자신이 속한 도메인 내에 사용하려는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노드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210). 즉, 도메인 A의 도메인 참여노드는 사용하려는 파일의 키 값 K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키 값을 이용하여 DHT(K) 즉, 특정 노드의 IP 주소를 계산할 수 있다.
도메인 참여노드는 도 3처럼 노드 DHT(K)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IP 주소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송신하고 노드 DHT(K)로부터 그 송신된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노드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메인 참여노드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노드의 IP 주소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메인 참여노드는 그 확인한 결과로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노드의 IP 주소가 없으면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노드의 IP 주소를 모른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도메인 관리 노드의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S220). 즉, 도메인 참여노드는 기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의 키 값 DOMAIN_MANAGER를 이용하여 DHT(DOMAIN_MANAGER) 즉, 특정 노드의 IP 주소를 계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메인 참여노드는 도 3처럼 노드 DHT(DOMAIN_MANAGER)에 도메인 관리노드의 IP 주소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송신하고 노드 DHT(DOMAIN_MANAGER)로부터 그 송신된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도메인 관리노드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메인 참여노드는 도메인 관리노드를 통해 다른 도메인 내에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노드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230). 즉, 도메인 참여노드는 도 4처럼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IP 주소의 도메인 관리노드 MANAGER A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IP 주소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도메인 관리노드는 도 4처럼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질의 메시지를 다른 도메인 내의 도메인 관리노드 각각 MANAGER B, MANAGER C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도메인 관리노드 각각 MANAGER B, MANAGER C은 질의 메시지를 자신의 도메인 DOMAIN B, DOMAIN C 내에 있는 노드에 전달하여 해당 파일의 IP 주소를 질의하게 된다.
도메인 관리노드는 도 4처럼 그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다른 도메인 내의 도메인 관리노드 각각MANAGER B, MANAGER C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파일을 사용하려는 도메인 참여노드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메인 관리노드는 전달받은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노드의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S240).
다음으로, 도메인 관리노드는 도 5처럼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IP 주소의 노드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여 그 연결된 통신 채널을 통해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S250).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도메인 참여노드
120: 도메인 관리노드

Claims (15)

  1. 자신이 속한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내에 사용하려는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가 없으면, 기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는 도메인 참여노드; 및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의 질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에 연동하여 상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제공하는 도메인 관리노드;
    를 포함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는,
    상기 사용하려는 파일의 키 값을 계산하여 그 계산된 키 값을 이용하여 특정 노드의 주소를 계산한 후, 그 계산된 주소의 노드에 상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고,
    그 질의한 결과로 자신이 속한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내에 사용하려는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가 없으면, 기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는,
    상기 사용하려는 파일의 계산된 키 값을 해싱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는,
    상기 사용하려는 파일의 계산된 키 값 K를 이용하여 특정 노드의 주소인 DHT(K)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는,
    기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의 키 값 M을 이용하여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의 주소를 보관하고 있는 도메인 참여노드의 주소 DHT(M)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주소로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에 질의하여 상기 도메인 관리 노드의 주소를 확인하고,
    확인한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는,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여 그 연결된 통신 채널을 통해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는,
    자신이 저장하는 파일에 대한 키 값을 계산하여 그 계산된 키 값을 이용하여 특정 노드의 주소를 계산한 후 그 계산된 주소의 노드에 계산된 키 값과 자신의 주소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는,
    기 설정된 키 값을 이용하여 특정 노드의 주소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주소의 노드에 자신의 주소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9. 자신이 속한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내에 사용하려는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 확인한 결과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가 없으면, 기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는 단계; 및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로부터 제공받은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여 그 연결된 통신 채널을 통해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하려는 파일의 키 값을 계산하여 그 계산된 키 값을 이용하여 특정 노드의 주소를 계산한 후, 그 계산된 주소의 노드에 상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하려는 파일의 계산된 키 값을 해싱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하려는 파일의 계산된 키 값 K를 이용하여 특정 노드의 주소인 DHT(K)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도메인 관리노드의 키 값 M을 이용하여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의 주소를 보관하는 도메인 참여노드의 주소 DHT(M)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주소로 상기 도메인 참여노드에 질의하여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의 주소를 확인하고,
    확인한 상기 도메인 관리노드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주소를 질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자신이 저장하는 파일에 대한 키 값을 계산하여 그 계산된 키 값을 이용하여 특정 노드의 IP 주소를 계산한 후 그 계산된 주소의 노드에 계산된 키 값과 자신의 주소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방법.
KR1020120070767A 2012-06-29 2012-06-29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1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767A KR20140011527A (ko) 2012-06-29 2012-06-29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3/912,150 US20140006449A1 (en) 2012-06-29 2013-06-06 System for interoperating dht-based overlay network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767A KR20140011527A (ko) 2012-06-29 2012-06-29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527A true KR20140011527A (ko) 2014-01-29

Family

ID=4977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767A KR20140011527A (ko) 2012-06-29 2012-06-29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06449A1 (ko)
KR (1) KR201400115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1901B (zh) * 2014-11-14 2017-07-14 北京网视通联科技有限公司 一种存储单元网络大数据基础构架平台及其文件存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3565B2 (en) * 2004-02-19 2007-12-25 Microsoft Corporation Data overlay, self-organized metadata overlay, and associated methods
JP2010509791A (ja) * 2006-11-02 2010-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オーバレイネットワークノード
WO2008066481A1 (en) * 2006-11-27 2008-06-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routing architecture for overlay networks
JP4306740B2 (ja) * 2007-02-21 2009-08-05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バレイ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JP4417997B2 (ja) * 2007-12-13 2010-02-17 株式会社東芝 オーバーレイ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同システムにおけるオーバーレイネットワーク構築・維持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61527B1 (en) * 2011-12-30 2014-10-14 Emc Corporation Network-assisted routing for topology-aware overlay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06449A1 (en) 201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1787B1 (en) Principal-identity-domain based naming scheme for information centric networks
US9794175B2 (en) Transmitting a data packet in a content-centric network
US9774531B2 (en) Hash-based forwarding in content centric networks
US20110099226A1 (en) Method of requesting for location information of resources on network, user node and server for the same
Zhang et al. Distributed hash table: Theory, platforms and applications
US20110282945A1 (en) Network aware peer to peer
Katsaros et al. On inter-domain name resolution for information-centric networks
KR20130008325A (ko)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 중간 노드 및 컨텐츠 소유자의 통신 방법
KR101192516B1 (ko) 오버레이 네트워크들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들 및 서비스들을 프록싱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US8554866B2 (en) Measurement in data forwarding storage
CN104753797A (zh) 一种基于选择性缓存的内容中心网络动态路由方法
US20120317293A1 (en) Peer selec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system
JP5666719B2 (ja) ピアツーピ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検索
JP2007310673A (ja) P2pネットワークのストレージ構成方法およ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5611468B2 (ja) 分散ハッシュ・テーブル内のコンテンツ用ピアツーピア・トラフィックの局所化
US7965655B2 (en) Distributed network distance determination using a distributed hash table overlay network
WO2008128450A1 (fr) Procédé et système de publication de contenu, procédé et système de demande de contenu
US9325787B2 (en) Limited broadcast, peering among DHTs, broadcast put of limited content only
US20100293223A1 (en) Limiting storage messages in peer to peer network
KR20140011527A (ko) Dht 기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263759A1 (en) Addressing method, addressing system, and addressing apparatus
CN101436926B (zh) 一种在p2p网络中防止攻击的方法、网络节点及系统
JP2009230686A (ja) コンテンツ管理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KR102397923B1 (ko) 정보 중심 네트워크(icn)에서 플로우 스위칭 장치 및 방법
White-Swift et al. DDD: Distributed Dataset D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