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842A - 비내력벽 블록 및 비내력벽체 구조 - Google Patents

비내력벽 블록 및 비내력벽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842A
KR20140010842A KR1020120080201A KR20120080201A KR20140010842A KR 20140010842 A KR20140010842 A KR 20140010842A KR 1020120080201 A KR1020120080201 A KR 1020120080201A KR 20120080201 A KR20120080201 A KR 20120080201A KR 20140010842 A KR20140010842 A KR 20140010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bearing wall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wa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신화세라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신화세라믹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신화세라믹
Publication of KR20140010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내력벽 블록 및 비내력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내력벽 블록은 직사각형 형상의 제1보드,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드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보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보드의 세로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1보드와 제2보드 사이에 상기 제1보드의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 이상 배치되는 단열재, 및 이웃하는 상기 단열재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요되는 노동력 및 시공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단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비내력벽 블록 및 비내력벽체 구조{NON-BEARING WALL BLOCK AND NON-BEARING WALL STURUCTURE}
본 발명은 비내력벽 블록 및 비내력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이 간편하고, 복수 개의 비내력벽 블록들을 런너들에 끼워 넣음으로써 복수 개의 비내력벽 블록 사이의 마감 또는 준마감이 완료됨에 따라 소요되는 노동력 및 시공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단가를 낮출 수 있는 비내력벽 블록 및 비내력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때 비내력벽 즉, 콘크리트 벽체가 아닌 부분에 칸막이를 하기 위해 내장 패널이 시공된다. 종래의 내장 패널 제작 방식은 패널 자체의 중량이 무거워 건축물의 하중이 늘어나며 이로 인해 건축물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던 내장 패널 제작 방식은, 특히 석면과 화학 첨가제를 사용하여 물에 불린 상태에서 건조하는 방식으로 내장 패널을 제작하며, 상기 방식에 따라 제작된 내장 패널은 날씨의 변화에 민감하고 시공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그 내부에 습기가 차게 되어 외관상의 미려함이 떨어지고, 패널의 강도가 저하되며,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방출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졌다. 또한 내장 패널의 시공 후 추가 마감작업을 해야 하므로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사용한 내장 패널을 폐기할 때 환경 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도 가졌다.
예컨대 국내등록특허 제10-0211509호(명칭; 건물의 비내력벽 시공구조)는 건물을 비내력벽을 조립식으로 시공한다. 즉, 국내등록특허 제10-0211509호는, 복수 개의 수직지주를 상, 하부에서 브라켓 및 앵글로서 조립시공하고, 이의 양측면에 상기 수직지주를 이용하여 벽면체로서의 보드(Board)를 조립한 다음 이들 사이의 공간부에 시멘트, 모래, 스티로폼 입자등으로 혼합되는 혼합제를 충진하여 경화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물의 비내력벽 시공방법은, 작업시간, 공사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을 가질 뿐 아니라 작업성도 좋지 못하며, 건축자재도 많이 소모하여 건축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간편하고, 복수 개의 비내력벽 블록들을 런너들에 끼워 넣음으로써 복수 개의 비내력벽 블록 사이의 마감 또는 준마감이 완료됨에 따라 소요되는 노동력 및 시공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단가를 낮출 수 있는 비내력벽 블록 및 비내력벽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도 환경과 상황에 따라 해체가 가능하고, 다시 조립이 가능함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한 비내력벽 블록 및 비내력벽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은 직사각형 형상의 제1보드,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드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보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보드의 세로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1보드와 제2보드 사이에 상기 제1보드의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 이상 배치되는 단열재, 및 이웃하는 상기 단열재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공이 간편하고, 복수 개의 비내력벽 블록들을 런너들에 끼워 넣음으로써 복수 개의 비내력벽 블록 사이의 마감 또는 준마감이 완료됨에 따라 소요되는 노동력 및 시공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도 환경과 상황에 따라 해체가 가능하고, 다시 조립이 가능함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의한 비내력벽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은 도 1a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에 제2관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의한 비내력벽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의한 비내력벽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 의한 비내력벽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 의한 비내력벽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 의한 비내력벽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제7실시예에 의한 비내력벽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마주하는 비내력벽 블록 사이에 배치된 브라켓에 의해 비내력벽 블록이 일체로 연결된 비내력벽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제9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마주하는 비내력벽 구조 사이에 배치된 브라켓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비내력벽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부분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의 상단 및 도 1b는 비내력벽 블록(10)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a의 하단은 비내력벽 블록(10)의 종단면도를 도 1a 의 상단을 A-A'방향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내력벽 블록(10)은 제1보드(11), 제2보드(12), 단열재(13), 제1관로(14)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a의 상단의 비내력벽 블록(10)의 제1보드(11), 제2보드(12) 및 단열재(13)의 양 끝단이 일치되지 않게 도시되었으나, 양 끝단이 일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b 의 비내력벽 블록(10)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13)는 비내력벽 블록(10)의 횡단면도를 기준으로 계단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보드(11) 및 제2보드(12)의 양끝단이 상기 단열재(13)의 양끝단과 일치되는 구조(이하에서는 폴딩식 구조'함)로 비내력벽 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보드(1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보드(12)는 제1보드(11)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드(11)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보드(11)와 제2보드(12)가 직사각형이라는 의미는 기하학적으로 정확한 직사각형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4개의 꼭지점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4개의 모서리의 일부가 다소 돌출되거나 함몰되더라도,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으로 간주할 수 있을 정도의 형상이라면 '직사각형'을 의미하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 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보드(11)와 제2보드(12)의 가로 세로의 길이는 동일하나, 두께는 다소 차이가 나더라도 무방하다.
제1보드(11)와 제2보드(12)는, 비내력벽체의 마감재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건물에 화재가 발생시에 비내력벽체가 전소(全燒)되는 것을 방지하는 난연재의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난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보드(11)와 제2보드(12)로는 CRC 보드, 마그네슘 보드, 알루미늄 보드, 석고 보드, 규산칼슘 보드를 비롯한 무기질 재료로 형성된 보드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시공 비용을 절약하기 위하여 합판 등의 저렴한 재질의 보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배재하는 것은 아니다.
단열재(13)은 제1보드(11)의 양면 중 제2보드(12)와 대향되는 일면과 제2보드(12)의 양면 중 제1보드(11)와 대향되는 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단열재(13)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1보드(11)와 제2보드(12)의 세로길이와 동일하고, 제1보드(11)와 제2보드(12) 사이에 제1보드(11)의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단열재(13)의 두께는, 비내력벽 블록이 폴딩식 구조를 갖는 경우, 계단식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13)는 별개의 층으로서 제1보드(11) 및 제2보드(12) 사이에 부착되거나 기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건물의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제1보드(11) 및 제2보드(12) 뿐만 아니라, 단열재(13)의 재질도 고려해야만 한다. 따라서, 단열재(13)로는 통상적인 스티로폼 또는 우레탄폼보다는, 난연 스티로폼, 난연 발포우레탄, 또는 무기질을 포함하는 충진재료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 화재에는 다소 약하더라도 통상적인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경우를 배재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단열재(13)는 흡음재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 전반의 '단열재'는 단열의 기능을 하는 재질은 물론, 흡음의 기능을 하는 재질도 포함한다.
제1관로(14)는 이웃하는 단열재(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보드(11)와 제2보드(12) 사이에 복수 개의 단열재(13)를 맞닿도록 위치시키고 이웃하는 단열재(13) 간의 간격을 두면, 이웃하게 배치된 단열재(13)에 의해, 파이프 또는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는 제1관로(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3개의 단열재(13)에 의해 2개의 제1관로(14)가 형성되었으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써 더 많은 개수의 단열재(13)에 의해 제1관로(14)가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에 제2관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상단은 비내력벽 블록(10)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의 하단 우측은 도 2의 상단을 A-A' 방향에 따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2의 하단 좌측은 도 2의 하단 우측을 B-B' 방향에 따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비내력벽 블록(10)의 횡단면도는 도 2의 상단과 같이 도시되었으나, 도 2의 비내력벽 블록(10)은 폴딩식 구조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13)의 배치에 따라 제2관로(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정한 폭과 길이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의 제1보드(11)와 제2보드(12) 사이에 상기 제1보드(11)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각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제1보드(11)의 가로 길이보다 작은 가로 길이와 상기 제1보드(11)의 세로 길이보다 작은 세로 길이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열재(13)에 의해, 제1관로(14)에 추가하여 제2관로(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관로(14)와 제2관로(15)는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자른 단면은 직사각형이다. 그러나 직사각형 이외에도, 제1보드(11), 제2보드(12) 및 단열재(13)의 형상에 따라, 상기 단면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을 비롯한 둥근 형상 또는 삼각형, 사각형을 비롯한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관로(14)와 제2관로(15)에는 소방 배관, 에어컨 배관, 전기 배선 등이 매설될 수 있으므로, 배관들 또는 배선 등이 충분히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여유있는 단면폭을 가져야 한다. 다만, 제1관로(14)와 제2관로(15)의 단면폭이 너무 크면, 제1보드(11)와 제2보드(12) 상에서 단열재(13)가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단열효과의 저하를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제1관로(14)와 제2관로(15)의 단면폭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배관, 배선 등의 매설 용이성과, 단열효과의 확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해야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2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상단은 비내력벽 블록(20)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하단은 도 3의 상단을 A-A' 방향에 따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3 상단의 비내력벽 블록(20)의 보드(21, 22)의 양끝단과 단열재(23)의 양 끝단이 일치되지 않게 도시되었으나, 도 3의 하단의 비내력벽 블록(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비내력벽 블록(20)은 폴딩식 구조도 가질 수 있다.
도 3의 비내력벽 블록(20)은,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양면에 부착된 보드(21, 22)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21, 22)와 단열재(23)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보드(11), 제2보드(12) 및 단열재(13)에 대응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양면에 부착된 보드(제1실시예의 제1보드에 대응됨)를 포함하는 비내력벽 블록(20)은 배선박스(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양면에 부착된 보드(제1실시예의 제1보드에 대응됨)를 포함하는 비내력벽 블록(20)은 배선박스(24)와 파이프(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된 제2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20)은, 배선박스(24)을 단열재(23)의 내부에 배치하되, 단열재(23)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각각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비내력벽 블록(20)은, 성형방법으로 배선박스(24)를 매립한 채 제작될 수 있다.
배선박스(24)는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각종 전선을 분기하거나 분배 또는 직접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재(23)에 매립되어 각종 전선을 분기, 분배 또는 인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선박스(24)에는 사방으로 파이프연결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파이프(25)가 상기 사방으로 형성된 파이프연결홈(24')에 각각 끼워질 수 있고, 배선박스(24)와 파이프(25)는 서로 관통형성되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배선박스(24)에는 파이프연결홈(24')이 별도로 돌출되어 형성되지 않고, 파이프(25) 삽입을 위한 파이프공(미도시)이 형성되어, 파이프공(미도시)에 파이프(25)가 끼워져서 배선박스(24)와 파이프(25)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비내력벽 블록(20)은 배관 및 전선을 단열재(23)에 매립하기 쉬운 구조로 이루어져, 비내력벽 블록(20)에 배관 및 전선을 매립하는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술된 제2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20)은 제1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10)이 배선박스(24) 및 파이프(25)를 더 구비한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미소한 차이를 제외하면 제1실시예의 구조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제2실시예에도 마찬가지도 적용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미도시)은, 제1실시예 내지 제2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을, 제1보드(11,21) 및 제2보드(12,22)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보드(11,21) 및 제2보드(12,22) 사이에는 단열재가 양 보드에 부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반면, 도 4는 본 발명에 제3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3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상단은 비내력벽 블록(30)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하단은 도 4의 상단을 A-A' 방향에 따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비내력벽 블록(30)의 횡단면도는 도 4의 상단과 같이 도시되었으나, 도 4의 비내력벽 블록(30)은 폴딩식 구조(예를 들어, 비내력벽 블록(30)은, 횡단면도를 기준으로 계단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보드(31)와 제2보드(32)의 양끝단이 엇갈려 위치할 수 있음) 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내력벽 블록(30)은 제1보드(31)와, 제2보드(32), 브라켓(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보드(31)는 직사각형 형상의 대향하는 두 개의 보드(31a) 사이에 단열재(31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보드(32)는 제1보드(31)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제1보드(31)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두 개의 보드(32a) 사이에 단열재(32b)가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33)은 제1보드(31)의 일면과 제1보드(31)와 마주하는 상기 제2보드(32)의 일면 사이에 배치되되, I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보드(31)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브라켓(33)에 의해 관로(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브라켓(33)의 형상(예를 들어, 크기 등)은 상술된 바에 따라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33)을 이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미도시)은, 제1실시예 내지 제2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을 제1보드(31) 및 제2보드(32)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제1실시예 내지 제2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블록에 포함된 관로에 소방 배관, 에어컨 배관, 전기 배선 등이 매설될 수 있고, 제1보드(31) 및 제2보드(32) 사이에 위치한 브라켓(33)은 상기 제1보드(31) 및 제2보드(32) 사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비내력벽 블록의 경우 추가로, 제1보드(31) 및 제2보드(32) 각각과 브라켓 사이에 단열재가 밀착되어 위치할 수 있고, 또는 양 보드가 대향되는 면 중 브라켓과 밀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단열재가 밀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내력벽 블록의 경우 추가로, 제1보드(31) 및 제2보드(32)의 양 끝단 사이에 충진재로 형성된 소정의 크기의 블록이 삽입되어, 브라켓과 마찬가지로 양 보드 사이를 지지하면서 단열 또는 방음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제4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4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상단은 비내력벽 블록(40)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의 하단은 도 5 의 상단을 A-A' 방향에 따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내력벽 블록(40)은 제1보드(41), 제2보드(42), 단열재(43), 세로홈(44), 관통관(45), 관로연결홀(46'), 관로연결캡(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보드(41), 제2보드(42) 및 단열재(43) 각각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제1보드(11), 제2보드(12) 및 단열재(13) 각각에 대응된다.
이러한 단열재(43)의 양끝단에는 세로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세로홈(44)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관(45)은 단열재(43) 내부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되, 단열재(43)의 세로홈(44)으로부터 단열재(43)의 내측을 향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세로홈(44)과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관(45)은 단열재(4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홈(44)과 연결된 관통관(45)의 끝단은 개방되어 세로홈(44)과 관통형성되고, 단열재(43)의 내부와 연결되는 관통관(45)의 끝단은 폐쇄되거나, 개방되어 관로연결홈(46')과 관통형성될 수 있다.
관로연결홀(46')은 제1보드(41)와 제2보드(42)를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형성되되, 관통관(45)과 관통연결될 수 있다. 도 3의 상단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연결홀(46')은 형성될 수도,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보드(41) 또는 제2보드(42) 중 하나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로연결캡(46)은 제1보드(41)와 제2보드(42)의 일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되, 관로연결홀(46')에 끼워져서 상기 관로연결홀(46')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4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40)은 몰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4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40)이 둘 이상 이웃하게 되면, 세로홈(44)으로 인해 상기 이웃하고 있는 비내력벽 블록(40) 사이에는 관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비내력벽 블록(40)과 이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비내력벽 블록(40)의 각각의 세로홈(44)에는 인접한 비내력벽 블록(40)들의 수직한 방향으로 파이프가 끼워져 상기 인접한 비내력벽 블록들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미도시), 관로(45) 및 관로연결홀(46')은 일체로 형성되고, 관로연결홀(46')을 통해 전선이나 배선을 삽입하면, 전선이나 배선은 관로(45)를 통과하여 파이프(44)에 다다를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제5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상단은 비내력벽체 구조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하단 좌측은 비내력벽체 구조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하단 우측은 비내력벽체 구조의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비내력벽 블록(50')의 횡단면도는 도 6의 상단과 같이 도시되었으나, 도 6의 비내력벽 블록(50')은 폴딩식 구조도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내력벽체 구조(50)는 하나 이상의 비내력벽 블록(50'), 상부런너(55), 하부런너(56)을 포함할 수 있다.
비내력벽체 구조(50)는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따른 비내력벽 블록(50')들을 둘 이상 포함하고, 둘 이상의 비내력벽 블록(50')으로 이루어진 비내력벽체 구조가 상부런너(55)와, 하부런너(56)에 끼워져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비내력벽 블록(50')들을 연결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비내력벽 블록(50')들이 폴딩식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비내력벽 블록(50')들을 인접시켰을 때 비내력벽 블록(50')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비내력벽 블록(50')들 사이에 완전한 실링(sealing)을 원할 경우에는 인전합 비내력벽 블록(50') 사이의 접합면에 실링재(sealing material)를 채워 넣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훨씬 뛰어난 단열효과를 갖는 비내력벽체 구조(50)를 이룰 수 있다.
상부런너(55)는 건물의 천장구조물에 설치되고 양측단이 하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하부런너(56)는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고 양측단이 상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런너(55)와 하부런너(56)는 비내력벽 블록(50')의 폭과 대응되는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응되는 사이즈라는 것은, 상부런너(55)와 하부런너(56)의 내측폭과 비내력벽 블록(50')의 폭이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비내력벽 블록(50')들을 상부런너(55)와 하부런너(56)에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비내력벽 블록(50')의 폭이 상부런너(55)와 하부런너(56)의 폭보다 다소 좁은 경우와, 비내력벽 블록(50')이 상부런너(55)와 하부런너(56)에 견고하게 탄성 결합될 수 있도록 비내력벽 블록(50')의 폭이 상부런너(55)와 하부런너(56)의 폭보다 다소 두꺼운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비내력벽 블록(50')들을 둘 이상 포함하고, 둘 이상의 비내력벽 블록(50')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비내력벽체 구조는 배관 및 배선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여서 미관이 열악해지며, 사용 가능한 실내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상부런너(55), 하부런너(56)에 비내력벽체 구조를 밀어 넣는 것만으로도 비내력벽 블록(50')들 사이의 마감, 또는 준마감이 완료되므로, 시공에 필요한 노동력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상부런너(55) 및 상기 하부런너(56)에는, 비내력벽 블록(50')들의 가로방향에 수직하도록 형성된 배관로(54)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로홀(55a, 56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관로(54)는,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다른 비내력벽 블록에 형성된 관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상부런너(55)와 하부런너(56)에, 배관로(54)와 관로홀(55a, 56a)이 대응되도록 비내력벽 블록을 밀어넣어 비내력벽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내력벽체 구조는, 상부런너(55)와 하부런너(56)를 착탈하지 않고도 상부런너(55)와 하부런너(56)에 형성된 관로홀(55a, 56a)로 전선과 배선을 삽입하여 단열재(53) 내부로 전선과 배선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제6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상단은 비내력벽체 구조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의 하단 최좌측 및 중간의 도면은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의 하단 최우측은 비내력벽체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비내력벽 블록(60')의 횡단면도는 도 7의 상단과 같이 도시되었으나, 도 7의 비내력벽 블록(60')은 폴딩식 구조도 가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비내력벽체 구조(60)는, 두 개의 보드(61, 62)와 단열재(63)가 일체로 형성된 비내력벽 블록(60')과, 상부런너(66a) 및 하부런너(6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보드(61, 62)와 단열재(63)는, 동일한 가로, 세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단열재(63)는 그 일부가 상기 두 개의 보드(61, 62)와 소정의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함몰되어 있다. 도 7의 하단 좌측의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도를 기준으로, 단열재(63)의 최상단 및 최하단은 보드(61, 62)와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반면, 상기 최상단 및 최하단을 제외한 단열재(63)의 영역은 보드(61, 62)와 밀착되어 있다.
상부런너(66a) 및 하부런너(66b)는 제 5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체 구조(50)의 상부런너(55)와 하부런너(56)에 대응될 수 있다.
상부런너(66a)와 하부런너(66b)의 내측폭은, 예를 들어, 단열재(63)와 보드(61, 6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에 상부런너(66a)와 하부런너(66b)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체 구조(60)는, 상부런너(66a)와 하부런너(66b)가 비내력벽 블록의 단열재(63)와 보드(61, 6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에 삽입되도록 상기 비내력벽 블록을 밀어넣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비내력벽 블록을 상부런너(66a)와 하부런너(66b)에 밀어넣을 때, 상기 비내력벽 블록의 단열재(63)와 보드(61, 62)는 상부런너(66a)와 하부런너(66b)의 이동으로 인해(즉, 마찰로 인해) 마모될 수 있다. 이러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레일(6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내력벽 블록과 상부런너(66a)와 하부런너(66b) 사이에 레일(65)을 끼울 수 있다. 즉, 단열재(63)와 보드(61, 6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과 상기 상부런너의 사이, 및 상기 간격과 상기 하부런너의 사이 각각에 끼워지는 레일(6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일(65)은 상부런너(66a) 및 하부런너(66b) 각각과 단열재(63) 또는 보드(61, 62)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65)과 상기 상부런너(66a)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단열재(63)와 상기 상부런너(66a)와의 마찰력보다 작고, 상기 레일(65)과 상기 하부런너(66b)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단열재와 상기 하부런너(66b)와의 마찰력보다 작을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65)은 것으로 셀로판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일(65)은 비내력벽 블록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비내력벽 블록을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비내력벽 블록에 착탈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65)은 비내력벽 블록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비내력벽 블록의 최상단 및 최하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단열재(63)와 보드(61, 6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을 감쌀 수 있을 정도의 형상, 예를 들어, "
Figure pat00001
"가질 수 있다.
한편, 비내력벽 블록이 복수 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들 사이의 연결을 조인트 몰딩(joint molding)을 통해 견고히 할 수 있고, 도 7의 우측 하단과 같은 종단면도를 기준으로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들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 사이를 표면마감재로 마감하여 보다 견고한 비내력벽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런너(66a)의 상단과 하부런너(66b)의 하단에는, 흡음몰딩(67) 작업이 추가될 수 있다. 흡입몰딩(67)은 상부런너(66a)의 폭과 하부런너(66b)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제7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 및 비내력벽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상단은 비내력벽체 구조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의 하단은 비내력벽체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내력벽 블록은 제1보드(71), 제1단열재(72), 제1세로홈(72a), 제2보드(73), 제2단열재(74), 제2세로홈(74a), 배관로(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드(71), 제2보드(73) 각각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제1보드(11), 제2보드(12) 각각에 대응된다.
제1단열재(72)는 상기 제1보드(71)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드(7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단열재(72)에는 세로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함몰된 제1세로홈(72a)이 가로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2단열재(74)는 상기 제1단열재(72)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보드(73)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단열재(74)에는 상기 제1세로홈(7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세로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함몰된 제2세로홈(74a)이 가로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내력벽 블록은 상기 제1세로홈(72a)과 상기 제2세로홈(74a)이 서로 마주하여 파이프형상의 배관로(75)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비내력벽 블록이 도 8의 상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 나란히 배치될 때 그 사이에 ㄷ자 형상의 브라켓(76)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단열재(72)의 적어도 일부는 제1보드(71)와 소정의 제1간격(a)을 가지며, 제2단열재(74)의 적어도 일부는 제2보드(73)와 소정의 제2간격(b)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76)이 이웃하는 양 비내력벽 블록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 중 일방의 블록의 제1 간격(a)및 제2간격(b)에 삽입되고, 타방의 블록의 제1및 제2보드사이(c,d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을 일체로 연결함에 따라 비내력벽체 구조(70)를 이룰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마주하는 판넬 사이에 배치된 브라켓에 의해 형성된 비내력벽 블록 및 비내력벽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상단은 비내력벽체 구조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9의 하단은 비내력벽체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내력벽 블록은 제1보드(81), 제2보드(82), 단열재(83), 배관로(84)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보드(81), 제2보드(83), 제1브라켓(86) 각각은 도 8에 도시된 제1보드(71), 제2보드(73), 브라켓(76)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단열재(83)는 제1보드(81)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드(81)와 제2보드(8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열재(83)의 내부에 세로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관로(8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내력벽 블록은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판넬 사이에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제1브라켓(8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보드(81), 제2보드(82), 단열재(83), 배관로(84)를 포함하는 판넬을 서로 마주하게 배열하고, 그 사이에 제1브라켓(85)을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브라켓(85)에 의해 판넬과 판넬 사이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비내력벽 블록은 마주하는 판넬의 일면 중 어느 한 면에는 흡음재(8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비내력벽체 구조(80)는 도 8의 브라켓(76)에 대응되는 제 2브라켓(86)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브라켓(86)에 의해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이 일체로 연결되어 비내력벽체 구조(8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0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상단은 비내력벽체 구조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의 하단은 비내력벽체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내력벽체 구조(90)는 제1보드(91), 제2보드(92), 단열재(93), 배관로(94), 브라켓(9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보드(91) 및 제2보드(92) 각각은 제 7실시예에 따른 제1보드(71), 제2보드(72) 및 단열재(73) 각각에 대응된다.
단열재(93)는 제1보드(91)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드(91)와 제2보드(9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단열재(93)의 내부에 세로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관로(94)가 형성된다.
이러한 둘 이상의 비내력벽 블록을 위에서 아래로 적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비내력벽체 구조(90)를 이룰 수 있다.
즉 비내력벽 블록의 단열재는 상기 비내력벽 블록의 함몰부(93a)가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돌출부(93b)가 형성되어, 상단에 배치되는 비내력벽 블록의 돌출부(93b)가 하단에 배치되는 비내력벽 블록의 함몰부(93a)에 삽입될 수 있고 그 결과 바닥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비내력벽 블록이 적층되어 비내력벽체 구조(90)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비내력벽체 구조(90)는 브라켓(95)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브라켓(95)의 형상은 도 8에 도시된 브라켓(76)의 형상과 상이하지만 그 역할과 기능은 동일하다.
즉 브라켓(95)은 이웃하는 양 비내력벽 블록 사이에 위치하는데, 이때 단열재(93)는, 비내력벽 블록이 이웃하게 되는 경우 상기 이웃하는 양 비내력벽 블록 중 일방 블록의 단열재와 타방 블록의 단열재 사이에 상기 브라켓(95)의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홈(e)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95)이 상기 홈(e)에 삽입되어 상기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을 일체로 연결하여 비내력벽체 구조(90)를 이룰 수 있다.
물론 비내력벽 블록이 폴딩식 구조를 갖고 있어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을 일체로 결합하여 비내력벽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이 일체로 형성된 비내력벽체 구조는 위에서 아래로 적층되어 비내력벽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마주하는 비내력벽 블록 사이에 배치된 브라켓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비내력벽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상단은 비내력벽체 구조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의 하단 좌측은 비내력벽체 구조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의 하단 우측은 비내력벽체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내력벽체 구조(100)는 제1보드(101), 제2보드(102), 단열재(103), 관로(104), 제1브라켓(105'), 제2브라켓(10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보드(101), 제2보드(102), 단열재(103), 관로(104), 제1브라켓(105') 각각은 도 9의 제1보드(81), 제2보드(82), 단열재(83), 배관로(84) 및 브라켓(85)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비내력벽체 구조(100)는 도 9에 서술된 비내력벽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비내력벽 블록이 적층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하단 좌측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위치하는 비내력벽 블록의 공간(즉 제1브라켓(105')에 의해 형성된 제1보드(101)와 제2보드(102) 사이의 공간)에는, 하단에 위치하는 비내력벽 블록의 연결부재(109)가 삽입되어 수직의 방향으로 적층된 비내력벽체 구조(10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09)는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하방에 위치하는 비내력벽 블록의 상단부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비내력벽체 구조(100)를 이루는 비내력벽 블록 중 최상단의 블록과 최하단의 블록은 상부런너(107)와 하부런너(108)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비내력벽체 구조(100)는 도 9에 서술된 비내력벽 블록을 포함하고, 또한 제2브라켓(10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내력벽 블록의 단열재는, 비내력벽 블록이 이웃하게 되는 경우 상기 이웃하는 양 비내력벽 블록 중 일방 블록의 단열재와 타방 블록의 단열재 사이에 제2브라켓(105)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홈이 형성되어, 제2브라켓(105)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이 일체로 연결된 비내력벽체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이 일체로 연결된 비내력벽체 구조는 위에서 아래로 적층되어 또 다른 비내력벽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비내력벽 블록 11: 제1보드
12: 제2보드 13: 단열재
14: 제1관로

Claims (20)

  1. 직사각형 형상의 제1보드;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드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보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보드의 세로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1보드와 제2보드 사이에 상기 제1보드의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 이상 배치되는 단열재; 및
    이웃하는 상기 단열재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 블록.
  2. 직사각형 형상의 제1보드;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드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보드;
    상기 제1보드의 가로 길이보다 작은 가로 길이와 상기 제1보드의 세로 길이보다 작은 세로 길이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 사이에 상기 제1보드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각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 이상 배치되는 단열재;
    가로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단열재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단열재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 블록.
  3. 직사각형 형상의 제1보드;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드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보드;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드와 제2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단열재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각각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되고, 사방으로 파이프연결홈이 형성된 배선박스; 및
    상기 사방으로 형성된 파이프연결홈에 각각 끼워지는 복수 개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박스와 상기 파이프는 서로 관통형성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 블록.
  4. 직사각형 형상의 제1보드;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드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보드;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드와 제2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양끝단에 세로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된 세로홈;
    상기 단열재 내부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세로홈으로부터 상기 단열재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둘 이상의 관통관;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를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관통관과 관통형성된 관로연결홀; 및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의 일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관로연결홀에 끼워져서 상기 관로연결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된 관로연결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 블록.
  5. 둘 이상의 제4항의 비내력벽 블록으로 구성되는 비내력벽 블록으로서, 하나 이상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의 상기 세로홈에 위치하여 상기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 블록.
  6. 동일한 가로, 세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대향하는 두 개의 보드 사이에 상기 가로, 세로 길이를 갖는 단열재가 배치되는 제1보드;
    상기 제1보드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의 대향하는 두 개의 보드 사이에 상기 가로, 세로 길이를 갖는 단열재가 배치되는 제2보드; 및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 사이에, 상기 제1보드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각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 이상 배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이웃하는 브라켓에 의해 관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 블록.
  7. 건물의 천장구조물에 설치되고 양측단이 하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상부런너;
    상기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고 양측단이 상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하부런너; 및
    제1항 내지 제5항에 따른 비내력벽 블록을 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상부런너와 상기 하부런너에 상기 비내력벽 블록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체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런너 및 상기 하부런너 각각은, 상기 비내력벽 블록의 가로방향에 수직하도록 형성된 배관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로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비내력벽체 구조는,
    상기 배관로와 상기 관로홀이 관통되도록 상기 상부런너와 상기 하부런너에 상기 비내력벽 블록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체 구조.
  9. 동일한 가로, 세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대향하는 두 개의 보드 와 상기 두 개의 보드 사이에 상기 가로, 세로 길이를 갖는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된 비내력벽 블록;
    건물의 천장구조물에 설치되고 양측단이 하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상부런너; 및
    상기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고 양측단이 상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하부런너;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두 개의 보드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상기 간격에 상기 상부런너와 상기 하부런너를 끼움으로써 상기 상부런너와 상기 하부런너에 상기 비내력벽 블록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체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런너와 상기 하부런너에 상기 비내력벽 블록을 끼우기 위해, 상기 간격과 상기 상부런너의 사이, 및 상기 간격과 상기 하부런너의 사이 각각에 끼워지는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체 구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상부런너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단열재와 상기 상부런너와의 마찰력보다 작고,
    상기 레일과 상기 하부런너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단열재와 상기 하부런너와의 마찰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체 구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간격에 삽입가능하여 상기 단열재로부터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체 구조.
  13. 직사각형 형상의 제1보드;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드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보드;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드의 일면에 형성된 제1단열재; 및
    상기 제1단열재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보드의 일면에 형성된 제2단열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단열재에는 세로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함몰된 제1세로홈이 가로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2단열재에는 상기 제1세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세로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함몰된 제2세로홈이 가로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세로홈과 상기 제2세로홈이 서로 마주하여 파이프형상의 배관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 블록.
  14. 둘 이상의 제 13항의 비내력벽 블록; 및
    하나 이상의 ㄷ자 형상의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열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보드와 소정의 제1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2단열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보드와 소정의 제2간격을 가지고,
    상기 브라켓은 이웃하는 양 비내력벽 블록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 중 일방의 블록의 제1 및 제2간격에 삽입되고, 타방의 블록의 제1및 제2보드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체 구조.
  15. 직사각형 형상의 제1보드와,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드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보드와,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드와 제2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세로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관로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판넬;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마주하는 상기 판넬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브라켓; 을 포함하고,
    마주하는 상기 판넬의 일면 중 어느 한 면에는 흡음재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 블록.
  16. 둘 이상의 제 15항의 비내력벽 블록; 및
    하나 이상의 ㄷ자 형상의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및 제2보드 각각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2브라켓은 이웃하는 양 비내력벽 블록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 중 일방의 블록의 상기 간격에 삽입되고, 타방의 블록의 제1및 제2보드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체 구조.
  17. 직사각형 형상의 제1보드와,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드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보드와,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드와 제2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세로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관로로 이루어진 둘 이상의 비내력벽 블록; 및
    하나 이상의 I자 형상의 브라켓; 을 포함하는 비내력벽체 구조로서,
    상기 단열재는, 비내력벽 블록이 이웃하게 되는 경우 상기 이웃하는 양 비내력벽 블록 중 일방 블록의 단열재와 타방 블록의 단열재 사이에 상기 브라켓의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체 구조.
  18. 직사각형 형상의 제1보드와,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드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보드와,
    상기 제1보드와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드와 제2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세로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관로로 이루어진 비내력벽 블록을 둘 이상 포함하는 비내력벽체 구조로서,
    상기 둘 이상의 비내력벽 블록은 상하로 적층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체 구조.
  19. 둘 이상의 제 15항의 비내력벽 블록; 및
    I자 형상이고 상기 제1브라켓과는 상이한 제2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는, 비내력벽 블록이 이웃하게 되는 경우 상기 이웃하는 양 비내력벽 블록 중 일방 블록의 단열재와 타방 블록의 단열재 사이에 상기 브라켓의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웃하는 비내력벽 블록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체 구조.
  20. 둘 이상의 제 15항의 비내력벽 블록을 포함하는 비내력벽체 구조로서,
    상기 둘 이상의 비내력벽 블록은 상하로 적층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체 구조.
KR1020120080201A 2012-07-16 2012-07-23 비내력벽 블록 및 비내력벽체 구조 KR201400108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322 2012-07-16
KR20120077322 2012-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842A true KR20140010842A (ko) 2014-01-27

Family

ID=5014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201A KR20140010842A (ko) 2012-07-16 2012-07-23 비내력벽 블록 및 비내력벽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08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908B1 (ko) 2015-05-19 2016-01-29 주식회사 스마일테크 건축용 충진재를 이용한 광폭형 외장단열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10026830A (ko) * 2019-09-02 2021-03-1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욕실 건식 벽체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908B1 (ko) 2015-05-19 2016-01-29 주식회사 스마일테크 건축용 충진재를 이용한 광폭형 외장단열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10026830A (ko) * 2019-09-02 2021-03-1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욕실 건식 벽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8822A1 (en) Prefabricated building panels and structures, building,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same
EP2663700A2 (en) Variable-geometry modular structure composed of thermo-acoustic caissons, particularly for buildings
NZ588004A (en) Prefabricated self-supporting construction panel with insulation and ribs on one side for enabling concrete to be formed on panel
US10214905B2 (en) Composite structure members for construction of multi-floor structures
KR100698848B1 (ko) 바닥패널
KR20140010842A (ko) 비내력벽 블록 및 비내력벽체 구조
JP6386968B2 (ja) 建物の断熱構造
KR20120000702A (ko)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311880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RU83267U1 (ru) Облицовочная утепляющ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200374953Y1 (ko) 조적식용 벽돌구조
KR20160100773A (ko) 조립식 벽체유닛의 결합구조
KR101057766B1 (ko) 건축물용 패널
KR200398407Y1 (ko) 바닥패널
KR200459623Y1 (ko)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KR102282046B1 (ko) 건축용 내벽체 및 건축용 내벽체의 시공방법
CA3102330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ilding structures
JP2020518747A (ja) 連結式建設用ブロック
KR20120006062U (ko) 구운 황토벽돌
AU2007231542A1 (en) Precast wall panel
KR101907524B1 (ko) 건축물 내벽
JP6906272B2 (ja) 断熱材固定具、及び床断熱構造
KR101140629B1 (ko) 건축물의 방음과 단열이 가능한 타일 적층식 단열구조물
JP2012241341A (ja) 建物
KR101346574B1 (ko) 커튼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