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223A - 수돗물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수돗물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223A
KR20140010223A KR1020120077034A KR20120077034A KR20140010223A KR 20140010223 A KR20140010223 A KR 20140010223A KR 1020120077034 A KR1020120077034 A KR 1020120077034A KR 20120077034 A KR20120077034 A KR 20120077034A KR 20140010223 A KR20140010223 A KR 20140010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cold
switching means
flow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4077B1 (ko
Inventor
최은석
허인
Original Assignee
최은석
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석, 허인 filed Critical 최은석
Priority to KR1020120077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0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냉온수용 수도전을 이용하여 온수를 사용할 때 먼저 나오게 되는 냉수를 버리지 않고 수세식 변기의 용변세척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돗물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안용 냉온수수도전(10) 및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에 각각 연결된 온수공급관(11,21) 중간부에 입,출수부(31,31') 및 전환수출구부(32)를 갖는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 중 어느 하나의 전환수출구부(32)에는 수세식 변기(40)의 변기수조(41)에 용변세척용수(W)를 보충 가능하게 이루어진 보충수탱크(50)와 물이송관(51)으로 연결되어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세안용 및 욕조용 냉온수수도전(10,20)으로 공급되는 물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보충수탱크(50)로 이송 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보충수탱크(50)의 보충수(W)를 용변세척수로 활용되게 하거나 생활용수로 사용함으로써 수돗물 절수가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수돗물 절수장치{Equipment, saving tap water}
본 발명은 수돗물을 절약하게 하는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온수용 수도전을 이용하여 온수를 사용할 때 먼저 나오게 되는 냉수를 버리지 않고 수세식 변기의 용변세척용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돗물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많은 국가들에게서 생활용수 부족 현상에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생활용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일환으로 생활용수를 절약하는 방안들이 다각적으로 연구되어 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23419호 및 동 등록실용신안 제20-0191217호와 같이 생활폐수를 이용하여 수세식 변기에 쓰이는 용변세척용수로 활용하는 절수시스템들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욕조수나 세안수 또는 씽크대에서 나오는 생활폐수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활폐수를 수세식 변기 수조에 담아지게 하는데 있어서 위생상의 문제와 사용에 불편과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선행기술들과 같은 수돗물 절수장치들은 소비자들에게 불편과 번거로움을 초래하게 하므로 실제로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출원인은 불편하지 않으면서도 수돗물을 절약할 수 있는 절수시스템을 연구하기에 이르게 되었다.
KR 10-0223419 B1 1999.10.15 KR 20-0191217 Y1 2000.08.16
본 발명은 이미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냉온수용 수도전을 이용하여 온수를 사용할 때 먼저 나오게 되는 냉수를 버리지 않고 수세식 변기의 용변세척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돗물 절수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냉온수용 수도전을 이용하여 온수를 사용하는 초기에 무의미하게 버려지는 냉수를 생활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水) 자원 낭비를 줄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돗물을 절수 되게 하는데 있어서 매우 간편한 조작에 의해서 절수 되도록 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절수 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기피하지 않고 매우 실용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세안용 냉온수수도전 및 욕조용 냉온수수도전에 각각 연결된 온수공급관 중간부에 입,출수부 및 전환수출구부를 갖는 수동물흐름전환수단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수동물흐름전환수단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 중 어느 하나의 전환수출구부에는 수세식 변기의 변기수조에 용변세척용수를 보충 가능하게 이루어진 보충수탱크와 물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수동물흐름전환수단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세안용 및 욕조용 냉온수수도전으로 공급되는 물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보충수탱크로 이송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동물흐름전환수단은, 바디 내부에 입,출수부 및 전환수출구부와 연통 되는 보올공이 있고, 상기 보올공에는 핸들과 연동 되어 회동 되고 일자수로공을 갖는 보올이 내장되고, 상기 보올공 일측에는 전환수출구부로 물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수로홈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물흐름전환수단은, 바디 내부에 입,출수부 및 전환수출구부와 각각 연통 되는 회동공간부가 있고, 상기 회동공간부 중간에는 바디에 고정된 고정단부와 대향되는 자유단부 양측에 각각 개폐부재를 구비하여 입출수부를 개폐되게 하는 바이메탈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에는 회동공간부를 우회하여 전환수출구부와 출수부가 연결 되게 하는 리턴수로공 및 상기 리턴수로공과 직각을 이루는 연결수로공을 구비하고, 상기 리턴수로공내에서 탄력부재의 탄력을 받는 이동부재에 의해서 연결수로공이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동물흐름전환수단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 중 어느 하나의 입,출수부가 욕조용 냉온수수도전의 샤워기연결관부와 샤워기호스에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안용 냉온수수도전이나 욕조용 냉온수수도전을 초기에 사용할 때 임의로 흘러버리게 되는 물을 생활용수로 활용되게 하여 수돗물을 절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우 간편한 조작에 의해서 절수 되도록 하거나 자동으로 절수 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기피하지 않고 채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실질적인 수돗물 절수가 도모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동은 물론 자동으로 절수 되게 하는데 있어서 전기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절수 작용이 되는 것이므로 전기사용료가 소요되지 않고 감전 우려가 전혀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동물흐름전환수단이 채용된 절수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물흐름전환수단이 채용된 절수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동물흐름전환수단의 종단면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X-X'선 단면으로 보인 수동물흐름전환수단의 작용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수동물흐름전환수단의 작용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물흐름전환수단의 종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물흐름전환수단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물흐름전환수단의 온수사용 초기 작용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물흐름전환수단의 리턴수로공의 작용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물흐름전환수단의 온수 흐름 작용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절수장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를 참조하면, 세안 또는 목욕을 하기 위해서 온수가 필요한 경우에 세안용 냉온수수도전(10) 또는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의 냉온수선택손잡이(10a,20a)를 조작하여 온수가 나오도록 조작하게 되면 먼저 뜨거운 물(온수)이 나오지 않고 찬물이 먼저 나오게 된다.
그 이유는, 보일러(미도시됨)가 있는 보일러실에서 냉온수수도전(10) 또는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이 있는 욕실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 경우 보일러에서 냉온수수도전(10) 또는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으로 연결되어 있는 온수공급관(11,21)에는 찬물이 들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세안용 냉온수수도전(10) 또는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의 냉온수선택손잡이(10a,20a)를 조작하여 온수가 나오도록 하는 처음에는 온수공급관(11,21)에 들어 있던 찬물이 먼저 나오게 된다.
그러나 세안 또는 목욕을 하기 위해서는 온수가 필요로 되는 것이기 때문에 처음에 나오게 되는 찬물을 그대로 하수구로 방류하여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고, 이와 같이 버리게 되는 찬물의 양은 1인으로 볼 때는 그다지 많아 보이지 않을 수도 있으나 전국적으로 볼 때는 엄청난 수돗물 낭비가 초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온수 사용을 위해 세안용 냉온수수도전(10) 또는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을 처음 틀 때 나오는 찬물을 버리지 않고 활용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세안용 냉온수수도전(10) 및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에 각각 연결된 온수공급관(11,21) 중간부에 입,출수부(31,31') 및 전환수출구부(32)를 갖는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이 연결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의 전환수출구부(32)에는 수세식 변기(40)의 변기수조(41)에 용변세척용수(W)를 보충 가능하게 이루어진 보충수탱크(50)와 물이송관(51)으로 연결되어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에 의해서 세안용 및 욕조용 냉온수수도전(10,20)으로 공급되는 물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보충수탱크(50)로 이송 되도록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욕실의 세안용 냉온수수도전(10) 및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에 각각 연결된 온수공급관(11,21) 중간부에 입,출수부(31,31') 및 전환수출구부(32)를 갖는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이 연결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의 전환수출구부(32)에는 수세식 변기(40)의 변기수조(41)에 용변세척용수(W)를 보충 가능하게 이루어진 보충수탱크(50)와 물이송관(51)으로 연결되어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에 의해서 세안용 및 욕조용 냉온수수도전(10,20)으로 공급되는 물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보충수탱크(50)로 이송 되도록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세안용 냉온수수도전(10) 및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에 각각 연결된 온수공급관(11,21) 중간부에 입,출수부(31,31') 및 전환수출구부(32)를 갖는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 중 어느 하나의 전환수출구부(32)에는 수세식 변기(40)의 변기수조(41)에 용변세척용수(W)를 보충 가능하게 이루어진 보충수탱크(50)와 물이송관(51)으로 연결되어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세안용 및 욕조용 냉온수수도전(10,20)으로 공급되는 물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보충수탱크(50)로 이송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부호 14 및 24는 냉수공급관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이 채용된 경우를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은, 바디(33) 내부에 입,출수부(31,31') 및 전환수출구부(32)와 연통 되는 보올공(3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올공(34)에는 핸들(37)과 연동 되어 회동 되고 일자수로공(35)을 갖는 보올(36)이 내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보올공(34) 일측에는 전환수출구부(32)로 물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수로홈부(38)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입,출수부(31,31')가 상호 대향 되도록 일자상으로 구성되고, 그 중간부에 전환수출구부(32)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37)을 도 6의 (a) 도시와 같이 입,출수부(31,31')와 같이 나란하게 되는 상태로 조작하게 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수공급관(11)으로 물이 흐르게 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핸들(37)을 회전시켜 도 6의 (b)와 같이 직각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보올(36)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90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일자수로공(35)이 전환출구부(32)와 일직선 상태가 됨으로써 물이 유도수로홈부(38)와 일자수로공(35)을 통해 전환수출구부(32) 쪽으로 흐르게 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온수 사용을 위해 세안용 냉온수수도전(10) 또는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을 처음 틀 때에는 핸들(37)를 조작하여 온수공급관(11)으로 통과되려는 찬물(냉수)이 도 5의 도시와 같이 전환수출구부(32)로 전환되게 하여 흐르도록 한다.
그리고 어느 일정 시간 후에는 전환수출구부(32) 쪽으로 흐르던 것을 차단하고 온수공급관(11)으로 흐르도록 핸들(37)을 조작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주택이나 아파트의 경우 보일러에서 세안용 냉온수수도전(10) 또는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까지 배관된 온수공급관(11)에 있던 찬물이 모두 배수되는 시간은 약 10-15초 정도이나, 대개의 경우 세안용 냉온수수도전(10) 또는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을 사용하는 사람은 자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온수공급관(11)에 있던 찬물이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모두 배수된 후에 온수가 나오게 되는지를 대부분 가늠하고 있다.
그러므로 10-15초 정도 또는 온수가 나오는 시간을 가늠한 시간 동안 기다린 후에는 다시 핸들(37)를 회전시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수공급관(11)으로 물이 흐르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때는 찬물이 전환수출구부(32)를 통해서 보충수탱크(50)로 흘러들어간 상태이기 때문에 온수공급관(11)으로 온수가 공급되게 됨으로써 세면대(S)에 설치된 세안용 냉온수수도전(10), 또는 욕조(미도시된) 위쪽의 벽체에 주로 설치되는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으로는 온수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시 도 1를 참조하면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의 전환수출구부(32)로 흐르게 되는 찬물은 물이송관(51)을 통해서 보충수탱크(50)로 흘러들어 가게 되어 저장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의 전환수출구부(32)로 토출되는 수압력을 가진 것이기 때문에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보다 보충수탱크(50)가 설치된 높이가 높더라도 물이송관(51)으로 흐르는 찬물은 보충수탱크(50)로 입수되게 된다. 상기 물이송관(51)은 파이프일 수도 있고 비닐호스가 채용될 수도 있다. 부호 51a는 한쌍의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들과 각각 연결되는 물이송관(51)을 어느 한 지점에서 연결하여 보충수탱크(50)로 이송 되도록 하기 위한 T형엘보우를 나타낸다.
한편, 보충수탱크(50)로 입수된 찬물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이하에서는 보충수(W)라고 명칭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보충수탱크(5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세식 변기(40)의 변기수조(41)로 보충수(W)를 보충 가능하도록 배출관(52)으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52) 끝단부에는 변기수조(41)의 용변세척용수(P)의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부구(53a)을 가진 볼탑급수장치(5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볼탑급수장치(53)는 부구(53a)가 밑으로 내려가면 물이 급수되고 다시 부구(53a)가 상부로 올라가면 급수되던 물이 자동으로 차단되게 하는 장치로서, 이미 공지된 알려진 장치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보충수탱크(50) 상부에는 보충수(W)가 넘쳤을 때 외부로 빠져나가는 드레인(55)을 구비하고, 일측 하부에는 수도꼭지(54)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충수탱크(50)의 보충수(W)는 평상시에는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다가 변기수조(41)의 용변세척용수(P)가 배수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비워지는 상태가 되면 보충수탱크(50)의 보충수(W)가 변기수조(41) 내부로 자동으로 들어가게 된다.
즉, 변기수조(41)의 용변세척용수(P)가 수세식 변기(40)로 배수되는 상태가 되면 볼탑급수장치(53)는 부구(53a)가 밑으로 내려가게 되면서 보충수(W) 급수 되는 동시에 수조입수관(42)을 통해서도 물이 변기수조(41) 내부로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조입수관(42)을 통해서 물이 변기수조(41) 내부로 자동으로 들어오게 하는 장치도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변기수조(41)의 용변세척용수(P)가 점차 차오르게 되어 적정 수위 상태가 되면 수조입수관(42)을 통해서 들어오던 물이 자동으로 차단되면서 부구(53a)가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볼탑급수장치(53)가 자동으로 차단되어 배출관(52)을 통해 변기수조(41)로 보충되던 보충수(W)의 배출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기수조(41)의 용변세척용수(P)가 수세식 변기(40)로 배수되는 상태가 되면 보충수탱크(50)의 보충수(W)가 변기수조(41) 내부로 자동으로 들어가게 되어 보충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변기수조(41)로 보충되는 보충수(W) 양만큼 수돗물이 절수 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가 채용된 상태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은, 바디(330) 내부에 입,출수부(31,31') 및 전환수출구부(32)와 각각 연통 되는 회동공간부(33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회동공간부(331) 중간에는 바디(330)에 고정된 고정단부(333)와 대향되는 자유단부(334) 양측에 각각 개폐부재(335)를 구비하는 바이메탈(332)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이메탈(332)은 열팽창율이 다른 2종의 금속판을 마주 붙인 것으로서, 온도의 변화에 비례하여 상당히 크게 변형하는 성질을 가진 것이며, 이미 알려져 있는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바디(330)에는 회동공간부(331)를 우회하여 전환수출구부(32)와 출수부(31')가 연결 되게 하는 리턴수로공((336) 및 상기 리턴수로공(336)과 직각을 이루는 연결수로공(337)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리턴수로공(336) 내에서 탄력부재(338)의 탄력을 받는 이동부재(339)에 의해서 연결수로공(337)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부호 338a는 탄력부재(338)의 탄력을 조절하기 위한 체결나사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 욕실이나 건물 화장실의 실내에 노출되어 있는 온수공급관(11,21)으로 흐르는 물의 온도 차이에 의해서 동작 되는 것으로서, 냉온수수도전(10,20)을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욕실이나 건물 화장실의 실내에 있게 되는 온수공급관(11,21)의 물 온도와 욕실이나 건물 화장실의 실외에 있게 되는 온수공급관(11,21)의 온도 및 보일러에 대기하고 있는 물(온수)의 온도는 각각 차이를 가지게 된다.
즉, 평상시에는 욕실이나 건물 화장실의 실내에 있게 되는 온수공급관(11,21)의 물은 실내기온(온도)에 의해 실외에 있게 되는 온수공급관(11,21)의 온도 보다는 좀더 높은 온도를 가지는 상태이므로 실내에 노출되어 있는 온수공급관(11,21)의 물 온도보다 실외에 배관 되어 있는 온수공급관의 물은 상대적으로 더욱 온도가 낮은 상태를 가지게 되고, 동계절에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실내에 있는 온수공급관(11,21)의 물을 중온 상태의 물이라고 하고, 실외에 있는 온수공급관의 물은 저온상태의 찬물이라고 하며, 보일러에 있는 물은 고온상태의 온수라고 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은 평상시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구(31)와 연결된 회동공간부(331)에는 중온 상태의 물이 존재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바이메탈(332)이 중립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약간 출수부(31') 쪽으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는 물 흐름이 없는 상태이다. 즉, 냉수공급관(14,24)은 수도관(미도시됨)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나, 온수공급관(14,24)은 보일러(미도시됨)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사용을 위해 보일러를 가동시켜야 만이 온수이송펌프(미도시됨)가 가동되는 것이 채용되어 온수공급관(14,24)으로 온수가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온수이송펌프가 가동되어야 만이 수압력이 발생 되어 온수공급관(11,21)으로 물이 흐르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보일러가 가동되지 않는 평상시에 도 7과 같이 바이메탈(332)이 중립상태를 유지하게 되어도 온수공급관(14,24)의 물은 보충수탱크(50) 쪽으로 흐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바이메탈(332)이 중립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세안용 냉온수수도전(10)이나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의 냉온수선택손잡이(10a,20a)를 조작하여 온수가 나오도록 틀게 되면 출수부(31') 쪽으로 물이 배출되면서 입수부(31) 쪽으로는 저온상태의 찬물이 회동공간부(331)로 들어오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바이메탈(332)은 저온상태의 찬물의 찬 온도에 반응 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온수수도전(10,20)과 연결된 출수부(31') 쪽으로 휘어져서 그 출수부(31')를 개폐부재(335)가 막아서 폐쇄하게 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보일러에서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까지 연결되어 있는 온수공급관(11,21)에 들어있는 저온의 찬물이 전환수출구부(32) 쪽으로 흐르게 됨에 따라 보충수탱크(50)로 물이송관(51)을 통해 이송되게 된다.
한편,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이 채용되는 경우 보충수탱크(50)는 드레인(55)이 없는 상태의 보충수탱크(50)가 채용된다.
따라서, 보충수탱크(50) 내에 찬물이 완전히 차게 되면 더 이상 찬물이 이송되는 흐름이 차단되기 때문에 회동공간부(331) 내로 뜨거운 온수가 유입되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 바이메탈(332)이 출수부(31')를 계속 차폐함에 따라 온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충수탱크(50) 내에 찬물이 완전히 차게 되면 더 이상 물이송관(51)으로 흐를 수 없게 되므로 이때는 전환수출구부(32)에 있던 찬물이 리턴수로공(336)으로 흘러들어 가게 된다.
그리고 리턴수로공(336)으로 흐르게 되는 찬물은 수압력을 가진 상태로 흐르는 것이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부재(339)를 가압하여 이동되게 함으로써 연결수로공(337)을 통해서 출수부(31')로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보충수탱크(50)내에 찬물이 모두 차게 되는 상태가 되어도 찬물 흐름은 계속 진행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회동공간부(331)에 고온의 온수가 유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리턴수로공(336)으로 찬물이 흐르지 않게 되는 상태가 되면 이동부재(339)를 가압하던 수압력이 상실되므로 탄력부재(338)의 탄력에 의해서 이동부재(339)가 이동되어 연결수로공(337)을 다시 차폐하게 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온수공급관(11,21)에 들어있는 저온의 찬물이 모두 빠져나가게 되면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의 회동공간부(331)에는 보일러에서 이송된 고온의 온수가 유입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바이메탈(332)은 고온의 온수가 가지고 있는 뜨거운 온도에 반응을 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게 되어 개폐부재(335)가 전환수출구부(32)를 막아서 폐쇄하게 된다.
그러므로 회동공간부(331)로 유입되는 고온의 온수는 출수부(31') 쪽으로 흐르게 되어 세안용 냉온수수도전(10) 또는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온수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회동공간부(331)에 있는 온수 온도가 서서히 낮아지게 됨에 바이메탈(332)은 다시 도 7과 같이 중립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온수 사용 초기에 회동공간부(331)의 물이 저온의 찬물일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바이메탈(332)이 출수부(31') 쪽으로 휘어져서 도 9의 도시와 같이 개폐부재(335)가 출수부(31')를 폐쇄하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온수를 사용할 때에는 보일러를 온수 사용 상태로 조작해 놓고 사용하게 되므로 이때에는 온수이송펌프(미도시됨)가 가동됨으로써 온수공급관(14,24)으로 물이 흐르게 됨에 따라 온수공급관(11,21)의 찬물은 보충수탱크(50)로 흘러들어 가게 됨으로써 고온의 온수가 회동공간부(331)로 유입되어 뜨거운 물 온도에 반응하여 바이메탈(332)이 전환수출구부(32) 쪽으로 휘어져서 개폐부재(335)가 전환수출구부(32)를 폐쇄함에 따라 고온의 온수는 출수부(31') 쪽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보충수탱크(50)로 흘러들어간 찬물, 즉 보충수(W)는 변기수조(41)의 용변세척용수(P)를 보충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보충수탱크(50)의 보충수(W) 역할 및 동작은 이미 앞서 설명된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게 작용 되는 것이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이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에 설치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다른 실시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 경우는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이 샤워기 쪽으로 흐르는 부분에 연결되도록 채용된 상태로서,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의 입,출수부(31,31')가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의 샤워기연결관부(22)와 샤워기호스(23)에 각각 연결되게 하여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물이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 쪽으로 흐르지 않게 하고 샤워기 쪽으로 흐르게 하면서 이미 앞서 설명된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과 동일하게 작동시키게 되면 찬물이 보충수탱크(50)로 흘러들어가게 되는 것으로서, 이미 설명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의 경우에도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 대신에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의 입,출수부(31,31')가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의 샤워기연결관부(22)와 샤워기호스(23)에 각각 연결되게 하여 구비되도록 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 중 어느 하나의 입,출수부(31,31')가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의 샤워기연결관부(22)와 샤워기호스(23)에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도록 이루어지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온수공급관(11,21)에서 나오는 찬물을 반드시 수세식 변기수조(41)의 용변세척보충수(P)를 보충하는 보충수(W)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의해 보충수탱크(50)에 채워지게 되는 보충수(W)는 깨끗한 수돗물이기 때문에 수도꼭지(54)를 이용하여 보충수(W)가 나오게 하여 손을 닦는데 사용하거나 또는 욕실청소용 또는 걸레 세척수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보충수탱크(50)를 수세식 변기(40)에 설치하지 않고 별도로 개별 설치하여 세안용 물이나 기타 세척수로 사용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서는 주방용 냉온수수도전(미도시됨)에 채용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반드시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 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세안용 냉온수수도전 20:욕조용 냉온수수도전
11,21:온수공급관 14,24:냉수공급관
22:샤워기연결부 23:샤워기호스
30,30':수동물흐름전환수단 31:입수부
31':출수부 32:전환수출구부
33:바디 34:보올공
35:일자수로공 36:보올
37:핸들 38:유도수로홈부
40:수세식 변기 41:변기수조
50:보충수탱크 51:물이송관
52:배출관 53:볼탑급수장치
54:수도꼭지 55:드레인
300,300':자동물흐름전환수단 330:바디
331:회동공간부 332:바이메탈
333:고정단부 334:자유단부
335:개폐부재 336:리턴수로공
337:연결수로공 338:탄력부재
339:이동부재 P:변기세척용수
W:보충수 S:세면대

Claims (5)

  1. 세안용 냉온수수도전(10) 및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에 각각 연결된 온수공급관(11,21) 중간부에 입,출수부(31,31') 및 전환수출구부(32)를 갖는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 중 어느 하나의 전환수출구부(32)에는 수세식 변기(40)의 변기수조(41)에 용변세척용수(W)를 보충 가능하게 이루어진 보충수탱크(50)와 물이송관(51)으로 연결되어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세안용 및 욕조용 냉온수수도전(10,20)으로 공급되는 물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보충수탱크(50)로 이송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 절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30')은, 바디(33) 내부에 입,출수부(31,31') 및 전환수출구부(32)와 연통 되는 보올공(34)이 있고, 상기 보올공(34)에는 핸들(37)과 연동 되어 회동 되고 일자수로공(35)을 갖는 보올(36)이 내장되고, 상기 보올공(34) 일측에는 전환수출구부(32)로 물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수로홈부(38)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 절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300')은, 바디(330) 내부에 입,출수부(31,31') 및 전환수출구부(32)와 각각 연통 되는 회동공간부(331)가 있고, 상기 회동공간부(331) 중간에는 바디(330)에 고정된 고정단부(333)와 대향되는 자유단부(334) 양측에 각각 개폐부재(335)를 구비하여 입출수부(31,31')를 개폐되게 하는 바이메탈(332)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 절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330)에는 회동공간부(331)를 우회하여 전환수출구부(32)와 출수부(31')가 연결 되게 하는 리턴수로공((336) 및 상기 리턴수로공(336)과 직각을 이루는 연결수로공(337)을 구비하고, 상기 리턴수로공(336)내에서 탄력부재(338)의 탄력을 받는 이동부재(339)에 의해서 연결수로공(337)이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 절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물흐름전환수단(30')이나 자동물흐름전환수단(300') 중 어느 하나의 입,출수부(31,31')가 욕조용 냉온수수도전(20)의 샤워기연결관부(22)와 샤워기호스(23)에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 절수장치.
KR1020120077034A 2012-07-16 2012-07-16 수돗물 절수장치 KR101374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034A KR101374077B1 (ko) 2012-07-16 2012-07-16 수돗물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034A KR101374077B1 (ko) 2012-07-16 2012-07-16 수돗물 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223A true KR20140010223A (ko) 2014-01-24
KR101374077B1 KR101374077B1 (ko) 2014-03-13

Family

ID=5014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034A KR101374077B1 (ko) 2012-07-16 2012-07-16 수돗물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0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26B1 (ko) * 2005-04-20 2007-11-21 강인미 물 절약 시스템 및 물 절약 방법
KR100865415B1 (ko) 2008-03-21 2008-10-24 이양숙 급수제어가 가능한 수도관 분기용 급수장치
KR20090011182U (ko) * 2009-10-06 2009-11-02 박희홍 물 절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077B1 (ko)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5456A (en) Diverter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fresh water
WO2009131399A3 (ko)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CN201379479Y (zh) 节水型立体卫生间设备
KR101742568B1 (ko) 온수 공급 제어장치
CA2957690C (en) Flushing station for a ring-pipe or series-pipe system, ring-pipe system as well as series-pipe system
CN108778078B (zh) 排出转向污水和连续循环清洁水系统
KR20090113961A (ko)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US9890960B2 (en) Water saving apparatus
KR100940258B1 (ko) 지역난방열 또는 중앙공급난방열을 이용한냉,온수공급시스템
US6243891B1 (en) Water handling system and valve
KR101374077B1 (ko) 수돗물 절수장치
CN202157384U (zh) 卫生间节水装置
BR102014008516A2 (pt) Sistema integrado de recuperação de água limpa e de energia térmica de encanamentos de água aquecida
CN209837174U (zh) 冲洗一体节水系统
AU2013202532B2 (en) Water saving apparatus
CN102304937A (zh) 卫生间节水装置
CN207727649U (zh) 一种卫生间用节水设备
KR102085962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RU2459046C2 (ru) Санузел и способ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CN201831765U (zh) 能防止冷水浇头的淋浴器
JP2013076239A (ja) 捨て水無し節水装置
KR20200021271A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RU10406U1 (ru) Система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здания
CN203247655U (zh) 家用节水系统
CN217004651U (zh) 一种回收滞留热水管道内冷水的回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