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342A - 커플링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플링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342A
KR20140009342A KR1020137023956A KR20137023956A KR20140009342A KR 20140009342 A KR20140009342 A KR 20140009342A KR 1020137023956 A KR1020137023956 A KR 1020137023956A KR 20137023956 A KR20137023956 A KR 20137023956A KR 20140009342 A KR20140009342 A KR 20140009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rotation
subassembly
axis
coup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더블유. 키메스
패트릭 제이. 엠씨클리어
Original Assignee
민즈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218,817 external-priority patent/US8888637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3/370,507 external-priority patent/US9303699B2/en
Application filed by 민즈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민즈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09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12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hinged pawl co-operating with teeth, cog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12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hinged pawl co-operating with teeth, cogs, or the like
    • F16D41/125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hinged pawl co-operating with teeth, cogs, or the like the pawl movement having an axial compon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12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hinged pawl co-operating with teeth, cogs, or the like
    • F16D41/1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hinged pawl co-operating with teeth, cogs, or the like the effective stroke of the pawl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커플링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장치는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구동 및 피동 부재, 및 선택적으로 부재들을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트럿을 포함한다. 어셈블리는, 통전될 때 자속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 유도 코일을 가진 고정자를 구비한 제1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어셈블리는 커플링 장치의 부재들 중 하나의 부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서브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커플링 장치에 결합될 때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서브어셈블리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플링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ELECTROMECHANICAL ASSEMBLY TO CONTROL THE OPERATING MODE OF A COUP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제어 가능한 일방향 클러치(one-way clutch, OWC)와 같은 커플링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1년 2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1/463,208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2012년 2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번호 제13/370,50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또한 2011년 8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번호 제13/218,817호의 일부계속출원이다.
본 발명은 커플링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개관
통상적인 일방향 클러치(OWC)는 내주링, 외주링, 및 두 링 사이의 잠금 장치로 구성된다. 일방향 클러치는 일 방향으로 잠금하고 타 방향으로 자유회전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차량 자동 변속기에 자주 사용되는 2가지 유형의 일방향 클러치는:
- 일방향 클러치의 내륜과 외륜(inner and outer race) 사이의 스프링 하중식 롤러들로 구성되는 롤러형(몇몇 응용들에서는 스프링 없이도 사용된다); 및
- 일방향 클러치의 내륜과 외륜 사이에 위치하는 비대칭형 쐐기들로 구성되는 스프래그형을 포함한다.
일방향 클러치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기어 전환 동안 구동 토크(즉, 동력 흐름)의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타력 주행(coasting) 동안 엔진 제동을 허용하기 위해 변속기에서 사용된다.
제어 가능한 또는 선택 가능한 일방향 클러치(즉, OWC)는 전통적인 일방향 클러치 설계들로부터 출발한다. 선택 가능한 OWC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결합하여 제2 세트의 잠금 부재를 추가한다. 추가적인 잠금 부재들의 세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OWC에 다수의 기능을 추가한다. 설계의 필요성에 따라, 제어 가능한 OWC는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 또는 고정 샤프트들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 OWC는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오버러닝할 수 있다. 제어 가능한 OWC는 외부 제어식 선택 또는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러한 선택 메커니즘은 상이한 작동 모드들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927,455호는 양방향 오버러닝 폴 타입(pawl-type) 클러치를 개시하고, 미국 특허 제6,244,965호는 평면 오버러닝 커플링을 개시하며, 미국 특허 제6,290,044호는 자동 변속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선택 가능한 일방향 클러치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7,258,214호 및 제7,344,010호는 오버러닝 커플링 어셈블리를 개시하고, 미국 특허 제7,484,605호는 오버러닝 반경방향 커플링 어셈블리 또는 클러치를 개시한다.
적절히 설계된 제어 가능한 OWC는 “오프” 상태에서 0에 가까운 기생 손실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또한 전기기계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고, 유압 펌프 및 밸브들의 기생 손실 또는 복잡성을 갖지 않는다.
기타 관련된 미국 특허 공개는: 제2011/0140451호; 제2011/0215575호; 제2011/0233026호; 제2011/0177900호; 제2010/0044141호; 제2010/0071497호; 제2010/0119389호; 제2010/0252384호; 제2009/0133981호; 제2009/0127059호; 제2009/0084653호; 제2009/0194381호; 제2009/0142207호; 제2009/0255773; 제2009/0098968호; 제2010/0230226호; 제2010/0200358호; 제2009/0211863호; 제2009/0159391호; 제2009/0098970호; 제2008/0223681호; 제2008/0110715호; 제2008/0169166호; 제2008/0169165호; 제2008/0185253호; 제2007/0278061호; 제2007/0056825호; 제2006/0138777호; 제2006/0185957호; 제2004/0110594호; 및 하기 미국 특허 제7,942,781호; 제7,806,795호; 제7,690,455호; 제7,491,151호; 제7,484,605호; 제7,464,801호; 제7,349,010호; 제7,275,628호; 제7,256,510호; 제7,223,198호; 제7,198,587호; 제7,093,512호; 제6,953,409호; 제6,846,257호; 제6,814,201호; 제6,503,167호; 제6,193,038호; 제4,050,560호; 제4,340,133호; 제5,597,057호; 제5,918,715호; 제5,638,929호; 제5,362,293호; 제5,678,668호; 제5,070,978호; 제5,052,534호; 제5,387,854호; 제5,231,265호; 제5,394,321호; 제5,206,573호; 제5,453,598호; 제5,642,009호; 제6,075,302호; 제6,065,576호; 제6,982,502호; 제7,153,228호; 제5,924,510호; 및 제5,918,715호를 포함한다.
리니어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가 “롤링되지 않는(unrolled)” 전기 모터이며, 그에 따라 토크(회전)를 생성하는 대신에 그 길이를 따라 선형력을 생성한다. 가장 일반적인 작동 모드는 인가된 힘이 전류 및 자기장에 선형 비례하는 로렌츠형 액추에이터(Lorentz-type actuator)로서 작동하는 것이다. 미국 공개 출원 제2003/0102196호는 양방향 리니어 모터를 개시한다.
금속 사출 성형(metal injection molding, MIM)은 미세 분말 금속을 측정량의 바인더 물질과 혼합하여, 사출 성형으로 알려진 공정을 통해 플라스틱 가공 기기에 의해 취급될 수 있는 ‘공급원료(feedstock)’를 구성하는 금속가공 공정이다. 성형 공정은 복잡한 부품들이 단일 작업에 의해 고체적으로 형상화될 수 있게 한다. 최종 제품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업계 및 응용에서 사용되는 컴포넌트 아이템이다. MIM 공급원료 흐름의 성질은 유동학이라 불리는 물리학에 의해 정의된다. 현재 기기 능력으로 인해, 가공은 몰드 내의 “샷(shot)”당 100g 미만의 통상적인 체적을 이용하여 성형될 수 있는 제품들로 제한되어 있다. 유동학은 이러한 “샷”이 다수의 공동에 분배될 수 있게 하여, 작고 복잡한 고체적 제품들에 대해 비용효율적이 된다(이러한 제품들을 대안적인 방법이나 고전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면 상당히 고비용일 것이다). MIM 공급원료 내에서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금속들을 분말 야금으로 지칭하며, 이들은 일반적인 금속 응용 및 특이한 금속 응용에 대한 업계 표준에서 발견되는 동일한 합금 성분을 포함한다. 후속 조절 작업을 성형된 형상에 수행하는데, 여기서 바인더 물질이 제거되고, 금속 입자들이 금속 합금의 바람직한 상태로 융합된다.
클레비스 체결구는 클레비스, 클레비스 핀, 탱으로 이루어진 3부품 체결구 시스템이다. 클레비스는 클레비스 핀을 수용하는 홀이 갈퀴의 단부에 구비된 U자형 부품이다. 클레비스 핀은 볼트와 유사하지만, 단지 일부만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코터 핀용 십자홀을 구비하여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탱은 클레비스 사이에 끼워맞춤되어 클레비스 핀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는 부품이다. 간단한 클레비스와 핀의 끼워맞춤 조합은 일반적으로 샤클(shackle)로 불리지만, 클레비스와 핀은 샤클이 취할 수 있는 다수의 형태 중 하나에 불과하다.
클레비스는 농업 기기, 요트 기기, 및 자동차, 항공, 건설업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체결구에서 사용된다. 이들은 또한 모델 항공기의 서보 장치에 제어면과 기타 부속품을 부착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체결구의 일부로서, 클레비스는 몇몇 축들에서의 회전을 허용하는 반면 다른 축들에서의 회전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을 위해, “커플링(coupling)”이라는 용어는, 일 플레이트가 변속기의 토크 전달 요소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플레이트가 다른 토크 전달 요소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변속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커플링”, “클러치”, “브레이크”와 같은 용어들은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플링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플링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커플링 장치는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구동 및 피동 부재, 및 선택적으로 부재들을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트럿을 포함한다. 어셈블리는, 통전될 때 자속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 유도 코일을 가진 고정자를 구비한 제1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어셈블리는 커플링 장치의 부재들 중 하나의 부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서브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커플링 장치에 결합될 때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서브어셈블리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로드는 선택적인 미소변위 스트럿 운동(small displacement strut movement)을 위해 커플링 장치의 스트럿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자유단을 구비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또한 커플링 장치의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의 제1 위치와, 커플링 장치의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축을 따른 선택적인 양방향 전환 운동(bi-directional shifting movement)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로드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코일이 통전될 때 자기 제어력이 액추에이터에 인가되어, 액추에이터로 하여금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게 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액추에이터가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회전축을 따라 액추에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편향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액추에이터가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회전축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액추에이터에 대응하는 편향력들을 가하기 위한 한 쌍의 이격된 편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커플링 장치의 부재들 중 하나의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서브어셈블리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는 회전축을 따른 전환 운동 중에 액추에이터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액추에이터의 제1 및 제2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허브 상에 지지되는 한 쌍의 이격된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액추에이터의 내표면과 허브의 외표면 사이에 개재되며,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일 세트의 이격된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회전축을 따른 액추에이터의 전환 운동 중에 가이드 핀들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고, 가이드 핀들은 허브 상에서 액추에이터를 안내할 수 있다.
고정자는 이격된 핑거들 및 인접한 핑거들 사이에 수용된 전자기 유도 코일을 구비한 강자성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내부 부품, 및 한 쌍의 강자성 받침링(backing ring) 사이에 개재된 자기 환상링을 구비한 외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제어력은 핑거들 및 대응하는 받침링들이 정렬되도록 자기적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영구 자석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고정자는 한 쌍의 이격된 전자기 유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플링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커플링 장치는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구동 및 피동 부재, 및 선택적으로 부재들을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순방향 스트럿과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 스트럿을 포함한다. 어셈블리는, 통전될 때 제1 자속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기 유도 코일을 가진 제1 고정자, 및 통전될 때 제2 자속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기 유도 코일을 가진 제2 고정자를 구비한 제1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어셈블리는 커플링 장치의 부재들 중 하나의 부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서브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커플링 장치에 결합될 때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서브어셈블리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로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로드는 선택적인 미소변위 순방향 스트럿 운동을 위해 커플링 장치의 순방향 스트럿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자유단을 구비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또한 커플링 장치의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액추에이터의 제1 위치와, 커플링 장치의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액추에이터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축을 따른 선택적인 양방향 전환 운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로드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제1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코일이 통전될 때 제1 자기 제어력이 제1 액추에이터에 인가되어, 제1 액추에이터로 하여금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게 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로드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제2 로드는 선택적인 미소변위 역방향 스트럿 운동을 위해 커플링 장치의 역방향 스트럿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자유단을 구비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또한 커플링 장치의 제3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액추에이터의 제1 위치와, 커플링 장치의 제4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액추에이터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축을 따른 양방향 전환 운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로드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코일이 통전될 때 제2 자기 제어력이 제2 액추에이터에 인가되어, 제2 액추에이터로 하여금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게 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제1 액추에이터가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회전축을 따라 제1 액추에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편향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편향 부재, 및 제2 액추에이터가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회전축을 따라 제2 액추에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편향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편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제1 액추에이터가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회전축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제1 액추에이터에 대응하는 편향력들을 가하기 위한 제1 쌍의 이격된 편향 부재, 및 제2 액추에이터가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회전축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제2 액추에이터에 대응하는 편향력들을 가하기 위한 제2 쌍의 이격된 편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커플링 장치의 부재들 중 하나의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서브어셈블리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는 회전축을 따른 대응하는 전환 운동 중에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제1 액추에이터의 제1 및 제2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허브 상에 지지되는 제1 쌍의 이격된 멈춤부, 및 제2 액추에이터의 제1 및 제2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허브 상에 지지되는 제2 쌍의 이격된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의 내표면과 허브의 외표면 사이에 개재되며,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일 세트의 이격된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들은 회전축을 따른 액추에이터들의 전환 운동 중에 가이드 핀들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가이드 핀들은 허브 상에서 액추에이터들을 안내할 수 있다.
각각의 고정자는 이격된 핑거들 및 인접한 핑거들 사이에 수용된 전자기 유도 코일을 구비한 강자성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액추에이터는 내부 부품, 및 한 쌍의 강자성 받침링 사이에 개재된 자기 환상링을 구비한 외부 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자기 제어력들은 핑거들 및 대응하는 받침링들이 정렬되도록 자기적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
각각의 액추에이터는 영구 자석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각각의 고정자는 한 쌍의 이격된 전자기 유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는 이를 통해 전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 각각의 제1 로드가 상기 개구를 통해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제어 가능한 커플링 어셈블리의 제1 서브어셈블리 및 왕복 로드를 포함하는 전기기계 어셈블리의 부분 절개 단면 사시도로, 전기기계 어셈블리의 왕복 로드는 커플링 어셈블리의 작동 모드를 제어한다.
도 2는 도 1의 어셈블리들의 다른 부분 절개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어셈블리들의 확대된 부분 절개 전단면도이다.
도 4는 커플링 어셈블리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왕복 로드를 도시하는 도 1 및 도 2의 어셈블리들의 확대된 부분 절개 전단면도이다.
도 5는 커플링 어셈블리의 제1 서브어셈블리, 전기기계 어셈블리의 제1 및 제2 세트의 로드, 및 대응하는 순방향 및 역방향 스트럿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커플링 어셈블리의 제2 서브어셈블리, 제2 전기기계 어셈블리의 제3 및 제4 세트의 로드, 및 대응하는 순방향 및 역방향 스트럿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클레비스 형상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 스트럿 및 상호연결된 로드의 부분 절개 하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스트럿의 상부 사시도이다.
요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들이 본원에 개시된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 및 대안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면들이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작성된 것은 아니다; 몇몇 도면들은 특정한 구성요소들의 상세를 보여주기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에 개시된 특정한 구조적, 기능적 상세는 제한의 의도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가 본 발명을 다양하게 채용하도록 교시하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예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공통 회전축(18)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구동 및 피동 부재(14, 16)를 각각 구비한 커플링 장치(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2로 나타냄)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나타냄)가 도시되어 있다. 구동 부재(14)는 포켓 플레이트일 수 있고, 피동 부재(16)는 노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커플링 장치 또는 어셈블리(12)는, 선택적으로 부재들(14, 16)을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며 어셈블리(12)의 작동 모드를 변화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바람직하게는 2개의) 순방향 스트럿(20)과 적어도 하나의(바람직하게는 2개의) 역방향 스트럿(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럿들(20)은 축(18) 주위에서 90˚ 간격으로 이격된다.
어셈블리(10)는, 통전될 때 제1 자속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1 전자기 유도 코일(26)을 가진 제1 고정자(24)를 구비한 제1 서브어셈블리(22)를 포함한다. 서브어셈블리(22)는 또한, 통전될 때 제2 자속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2 전자기 유도 코일(30)을 가진 제2 고정자(28)를 구비한다.
어셈블리(10)는 또한 커플링 장치(12)의 부재들 중 하나의 부재(14 또는 16, 바람직하게는 14)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서브어셈블리(32)를 포함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32)는 커플링 장치(12)에 결합될 때 회전축(18)을 중심으로 부싱(33)에 의해 제1 서브어셈블리(22)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제2 서브어셈블리(32)는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1 로드(34)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로드(34)는 선택적인 미소변위 순방향 스트럿 운동을 위해 커플링 장치(12)의 순방향 스트럿(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자유단(36)을 구비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32)는 또한 커플링 장치(12)의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액추에이터(38)의 제1 위치와, 커플링 장치(12)의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액추에이터(38)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축(18)을 따른 선택적인 양방향 전환 운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로드(34)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제1 액추에이터(38)를 포함한다. 2개의 제1 로드(34)가 구비된 경우, 제1 로드들은 서로 180˚ 이격된다. 제1 및 제2 모드는 잠금 및 잠금해제(즉, 자유 회전) 모드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코일(26)이 통전될 때 제1 자기 제어력이 제1 액추에이터(38)에 인가되어, 제1 액추에이터(38)로 하여금 회전축(18)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게 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32)는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2 로드(40)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제2 로드(40)는 선택적인 미소변위 역방향 스트럿 운동을 위해 커플링 장치(12)의 역방향 스트럿(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자유단(42)을 구비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32)는 또한 커플링 장치(12)의 제3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액추에이터(44)의 제1 위치와, 커플링 장치(12)의 제4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액추에이터(44)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축(18)을 따른 양방향 전환 운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로드(40)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제2 액추에이터(44)를 포함한다. 2개의 제2 로드가 구비된 경우, 제2 로드들은 서로 180˚ 이격되지만, 제1 로드들(34)과는 90˚이격된다. 제3 및 제4 모드는 잠금 및 잠금해제(즉, 자유 회전) 모드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코일(30)이 통전될 때 제2 자기 제어력이 제2 액추에이터(44)에 인가되어, 제2 액추에이터(44)로 하여금 회전축(18)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게 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32)는 제1 액추에이터(38)가 회전축(18)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회전축(18)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제1 액추에이터(38)에 대응하는 편향력들을 가하기 위한 제1 쌍의 이격된 편향 스프링 또는 부재(46, 48)를 포함한다. 각각의 액추에이터(38 또는 44)의 각각의 면에는, 각각의 연결 로드들(34, 40)과 이들의 각각의 스프링들을 위한 클리어런스 홀들과 스프링 포켓들이 구비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들(38, 44)이 움직일 때, 이들은 그 면들 및 대응하는 로드들(34, 40)의 단부들 사이에 갇혀 있는 각각의 스프링들을 밀거나 당기게 된다.
제2 서브어셈블리(32)는 또한 제2 액추에이터(44)가 회전축(18)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회전축(18)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제2 액추에이터(44)에 대응하는 편향력들을 가하기 위한 제2 쌍의 이격된 편향 스프링 또는 부재(50, 52)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들(38, 44)의 축방향 운동은 스프링들(46, 48, 50, 52)을 통해 스트럿들(20)에 편향 하중을 부과하고, 그에 따라 스트럿들(20)이 맞물림 또는 맞물림해제된다. 고정자들(24, 28) 내의 전류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대응하는 액추에이터(38 또는 44)를 “오프”에서 “온”으로 전후로 움직이게 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32)는 커플링 장치(12)의 부재들(14, 16) 중 하나의 부재(바람직하게는, 부재(14))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허브(54)를 포함한다. 허브(54)는 회전축(18)을 중심으로 부싱(33)에 의해 제1 서브어셈블리(22)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허브(54)는 회전축(18)을 따른 대응하는 전환 운동 중에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38, 44)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32)는 제1 액추에이터(38)의 제1 및 제2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허브(54) 상에 지지되는 제2 쌍의 이격된 멈춤부(56, 58)를 포함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32)는 또한 제2 액추에이터(44)의 제1 및 제2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허브(54) 상에 지지되는 제2 쌍의 이격된 멈춤부(60, 62)를 포함한다.
제2 서브어셈블리는(32)는 또한,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38, 44)의 각각의 내표면들(66)과 허브(54)의 외표면(68) 사이에 개재되며, 회전축(18)을 따라 연장되는 일 세트의 이격된 가이드 핀(64)을 포함한다. 내표면들(66)과 외표면(68)에는, 가이드 핀들(64)을 고정하기 위한 V자형 홈들 또는 노치들이 형성된다. 액추에이터들(38, 44)은 회전축(18)을 따른 액추에이터들(38, 44)의 전환 운동 중에 가이드 핀들(64)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가이드 핀들(64)은 허브(54) 상에서 액추에이터들(38, 44)을 안내한다. 허브(54)는 또한 가이드 핀들(64)에 오일을 분배한다.
각각의 고정자(24, 28)는 이격된 핑거들(72) 및 인접한 핑거들(72) 사이에 수용된 전자기 유도 코일(26, 30)을 구비한 강자성 하우징(70)을 포함한다.
각각의 액추에이터(38, 44)는 환상 내부 부품(74), 및 이와 연결되며, 한 쌍의 강자성 받침링(80) 사이에 개재된 자기 환상링(78)을 구비한 환상 외부 부품(76)을 포함한다. 자기 제어력들은 코일 통전 시에 핑거들(72) 및 대응하는 받침링들(80)이 정렬되도록 자기적으로 편향시킨다. 이러한 힘들은 각각의 액추에이터(38 또는 44)를 “온”, “오프” 위치에 래칭한다. 링들(78, 80)은 각각의 액추에이터들(38, 40)을 움직이도록 각각의 고정자들(24, 28)에 의해 작동된다.
제2 액추에이터(44)는 이를 통해 전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바람직하게는 2개의) 개구(45)를 가지며, 각각의 제1 로드(35)는 상기 개구를 통해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중공의 원통형 부싱(47)이 양방향 전환 운동 중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45) 내에서 각각의 제1 로드(34)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플링 어셈블리 또는 장치(12)는 제1 및 제2 클러치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어 가능한 클러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어셈블리(12)는 구동 또는 제1 클러치 부재(14), 피동 또는 제2 클러치 부재(16), 및 구동 또는 제3 클러치 부재(82)를 포함하고, 이들 모두는 공통 회전축(18)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제1 클러치 부재(14)는 회전축(18)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축방향에 대향하도록 배향되는 제1 결합면(84)을 구비한다. 제3 클러치 부재(82)는 회전축(18)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축방향에 대향하도록 배향되는 제3 결합면(86)을 구비한다. 제2 클러치 부재(16)는, 제1 결합면(84)과 반대편에 있으며, 회전축(18)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축방향에 대향하도록 배향되는 제2 결합면(88)을 구비한다. 제2 클러치 부재(16)는 또한, 제3 결합면(86)과 반대편에 있으며, 회전축(18)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축방향에 대향하도록 배향되는 제4 결합면(90)을 구비한다.
제1 결합면(84)은 회전축(18) 주위에서 이격되는 제1 세트의 포켓(92)을 구비한다. 제1 세트의 각각의 포켓(92)은 제1 세트의 스트럿(20) 중 하나의 스트럿(20)을 수용한다.
제2 결합면(88)은,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14, 16)가 축(18)을 중심으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세트의 포켓(92)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때 스트럿들(20)에 의해 맞물리는 제1 세트의 잠금 형성부(94)를 구비한다.
제3 결합면(86)은 회전축(18) 주위에서 이격되는 제2 세트의 포켓(96)을 구비한다. 제2 세트의 각각의 포켓(96)은 제2 세트의 스트럿(20) 중 하나의 스트럿(20)을 수용한다. 제2 세트의 포켓(96) 내에 수용된 각각의 스트럿(20)은 제1 전기기계 어셈블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 및 작동을 가진 제2 전기기계 어셈블리의 각각의 로드(97)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 그에 따라, 로드들(97)을 제외한 제2 전기기계 어셈블리는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다.
제4 결합면(90)은, 제2 및 제3 클러치 부재(16, 82)가 축(18)을 중심으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세트의 포켓(96)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때 제2 세트의 스트럿(20)에 의해 맞물리는 제2 세트의 잠금 형성부(98)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14, 16)는 각각 제1 클러치 서브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제2 및 제3 클러치 부재(16, 82)는 각각 제2 클러치 서브어셈블리를 형성한다.
제1 클러치 부재(14)는, 회전축(18) 주위에서 이격되며 제1 세트의 포켓(92)의 각각의 포켓(92)과 소통되어, 각각의 포켓(92) 내의 각각의 스트럿(20)에 (바람직하게는 로드들(34, 40)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세트의 유로(100)를 구비하고, 그에 따라 각각의 스트럿(20)은 제1 세트의 잠금 형성부(94)와 접촉하도록 움직여서,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14, 16)가 축(18)을 중심으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서로 회전하도록 각각 결합시킨다.
제3 클러치 부재(82)는, 회전축(18) 주위에 이격되며 제2 세트의 포켓(96)의 각각의 포켓(92)과 소통되어, 각각의 포켓(96) 내의 각각의 스트럿(20)에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은 피동 로드들(97)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세트의 유로(미도시)를 구비하고, 그에 따라 각각의 스트럿(20)은 제2 세트의 잠금 형성부(98)와 접촉하도록 움직여서, 제2 및 제3 클러치 부재(16, 82)가 축(18)을 중심으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서로 회전하도록 각각 결합시킨다.
제1 및 제2 세트의 스트럿(20)의 각각의 스트럿(20)은 각각의 포켓(92 또는 96)의 외부로 피벗 운동 가능한 단부(106)를 구비한다.
제2 클러치 부재(16)는 제1 및 제3 클러치 부재(14, 82)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단부벽(110)을 구비한 하우징(108)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어셈블리는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제1 세트의 스트럿(20)은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 스트럿(20)과 적어도 하나의 순방향 스트럿(20)을 포함한다. 제1 요소(112)가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14, 16) 사이에서 각각 지지된다. 제1 요소(112)는 이를 통해 전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14)를 가지며, 상기 개구(114)는 제1 세트의 순방향 및 역방향 스트럿(20)이 이를 통해 연장될 수 있게 하고,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14, 16)가 축(18)을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각각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클러치 부재(14, 16)를 각각 서로 잠금할 수 있게 한다.
제2 세트의 스트럿(20)은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 스트럿(20)과 적어도 하나의 순방향 스트럿(20)을 포함한다. 제2 요소(116)가 제2 및 제3 클러치 부재(16, 82) 사이에서 각각 지지된다. 제2 요소(116)는 이를 통해 전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18)를 가지며, 상기 개구(118)는 제2 세트의 순방향 및 역방향 스트럿(20)이 이를 통해 연장될 수 있게 하고, 제2 및 제3 클러치 부재(16, 82)가 축(18)을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각각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및 제3 클러치 부재(16, 82)를 각각 서로 잠금할 수 있게 한다.
제1, 제2, 제3, 제4 결합면(84, 88, 86, 90) 각각은 대략 편평하며, 대략 축방향에 대향한다. 제1, 제2, 제3, 제4 결합면(84, 88, 86, 90) 각각은 대략 환상이며, 회전축에 대해 대략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평면 일방향 클러치 또는 장치(12)를 위한 클레비스-형상의 스트럿들(20) 중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스트럿(20)은 부재와 맞물리도록 경사진 제1 단부면(120), 및 제1 단부면(120)의 정반대편에 위치하며 부재와 맞물리도록 경사진 제2 단부면(122)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트럿(20)은 또한 단부면들(120, 122) 사이에 본체부(124)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한 쌍의 이격된 측면(126)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트럿(20)은 한 쌍의 이격된 돌출 레그부(128)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레그부(128)는 일 측면(126)에 근접한 본체부(124)로부터 연장된다. 각각의 레그부(128)는 로드들(34, 40 또는 97)의 왕복 운동에 응답하여 스트럿(20)의 회전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레그부들(128) 사이에 축핀(pivot pin; 132)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개구(130)를 가진다. 로드들(34, 40 또는 97)의 자유단(134)이 축핀(132)을 통해 스트럿(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개구(130)는 바람직하게는 로드(34, 40 또는 97)의 왕복 운동에 응답하여 스트럿(20)의 회전 및 병진 운동 모두를 허용하기 위해 축핀(132)을 수용하기 위한 타원형 개구이다. 각각의 스트럿(20)은 또한, 제1 단부면(120)에 근접한 본체부(124)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정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경사진 이어(136)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트럿(20)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사출 성형 스트럿과 같은 사출 성형 스트럿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상기에 설명되었지만, 이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형태들을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오히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제한이 아닌 예시를 위한 용어들이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남 없이 다양한 변경들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다양하게 구현된 실시예들의 특징들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형성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다.

Claims (21)

  1. 커플링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로, 상기 커플링 장치는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구동 및 피동 부재, 및 선택적으로 상기 부재들을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트럿을 포함하는 전기기계 어셈블리에 있어서,
    통전될 때 자속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 유도 코일을 가진 고정자를 구비한 제1 서브어셈블리; 및
    상기 커플링 장치의 부재들 중 하나의 부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서브어셈블리로,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커플링 장치에 결합될 때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서브어셈블리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각각이 선택적인 미소변위 스트럿 운동을 위해 상기 커플링 장치의 스트럿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자유단을 구비한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 및 상기 커플링 장치의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의 제1 위치와, 상기 커플링 장치의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을 따른 선택적인 양방향 전환 운동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이 통전될 때 자기 제어력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인가되어, 상기 액추에이터로 하여금 상기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게 하는 제2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상기 회전축을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편향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상기 회전축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대응하는 편향력들을 가하기 위한 한 쌍의 이격된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커플링 장치의 부재들 중 하나의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서브어셈블리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을 따른 전환 운동 중에 상기 액추에이터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허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제1 및 제2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상기 허브 상에 지지되는 한 쌍의 이격된 멈춤부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내표면과 상기 허브의 외표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일 세트의 이격된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전축을 따른 상기 액추에이터의 전환 운동 중에 상기 가이드 핀들 상에서 슬라이딩하며, 상기 가이드 핀들은 상기 허브 상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안내하는,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이격된 핑거들 및 인접한 핑거들 사이에 수용된 전자기 유도 코일을 구비한 강자성 하우징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내부 부품, 및 한 쌍의 강자성 받침링 사이에 개재된 자기 환상링을 구비한 외부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 제어력은 상기 핑거들 및 대응하는 받침링들이 정렬되도록 자기적으로 편향시키는,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영구 자석 액추에이터인,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한 쌍의 이격된 전자기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11. 커플링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로, 상기 커플링 장치는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구동 및 피동 부재, 및 선택적으로 상기 부재들을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순방향 스트럿과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 스트럿을 포함하는 전기기계 어셈블리에 있어서,
    통전될 때 제1 자속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기 유도 코일을 가진 제1 고정자, 및 통전될 때 제2 자속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기 유도 코일을 가진 제2 고정자를 구비한 제1 서브어셈블리; 및
    상기 커플링 장치의 부재들 중 하나의 부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서브어셈블리로,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커플링 장치에 결합될 때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서브어셈블리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각각이 선택적인 미소변위 순방향 스트럿 운동을 위해 상기 커플링 장치의 순방향 스트럿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자유단을 구비한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로드, 및 상기 커플링 장치의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액추에이터의 제1 위치와, 상기 커플링 장치의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액추에이터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을 따른 선택적인 양방향 전환 운동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로드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제1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코일이 통전될 때 제1 자기 제어력이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인가되어, 상기 제1 액추에이터로 하여금 상기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게 하며,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각각이 선택적인 미소변위 역방향 스트럿 운동을 위해 상기 커플링 장치의 역방향 스트럿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자유단을 구비한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로드, 및 상기 커플링 장치의 제3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액추에이터의 제1 위치와, 상기 커플링 장치의 제4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액추에이터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을 따른 양방향 전환 운동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로드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제2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코일이 통전될 때 제2 자기 제어력이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인가되어, 상기 제2 액추에이터로 하여금 상기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게 하는 제2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상기 회전축을 따라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편향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편향 부재,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상기 회전축을 따라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편향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상기 회전축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대응하는 편향력들을 가하기 위한 제1 쌍의 이격된 편향 부재,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상기 회전축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대응하는 편향력들을 가하기 위한 제2 쌍의 이격된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커플링 장치의 부재들 중 하나의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서브어셈블리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을 따른 대응하는 전환 운동 중에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허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제1 및 제2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상기 허브 상에 지지되는 제1 쌍의 이격된 멈춤부,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제1 및 제2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상기 허브 상에 지지되는 제2 쌍의 이격된 멈춤부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의 내표면과 상기 허브의 외표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일 세트의 이격된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상기 회전축을 따른 상기 액추에이터들의 전환 운동 중에 상기 가이드 핀들 상에서 슬라이딩하며, 상기 가이드 핀들은 상기 허브 상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들을 안내하는, 어셈블리.
  17.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자는 이격된 핑거들 및 인접한 핑거들 사이에 수용된 전자기 유도 코일을 구비한 강자성 하우징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각각의 액추에이터는 내부 부품, 및 한 쌍의 강자성 받침링 사이에 개재된 자기 환상링을 구비한 외부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 제어력들은 상기 핑거들 및 대응하는 받침링들이 정렬되도록 자기적으로 편향시키는, 어셈블리.
  19.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액추에이터는 영구 자석 액추에이터인, 어셈블리.
  20.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자는 한 쌍의 이격된 전자기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이를 통해 전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 상기 각각의 제1 로드가 상기 개구를 통해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어셈블리.
KR1020137023956A 2011-02-14 2012-02-14 커플링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 KR201400093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63208P 2011-02-14 2011-02-14
US61/463,208 2011-02-14
US13/218,817 US8888637B2 (en) 2010-12-10 2011-08-26 Vehicle drive system including a transmission
US13/218,817 2011-08-26
US13/370,507 2012-02-10
US13/370,507 US9303699B2 (en) 2010-12-10 2012-02-10 Electromechanical assembly to control the operating mode of a coupling apparatus
PCT/US2012/025046 WO2012112550A1 (en) 2011-02-14 2012-02-14 Electromechanical assembly to control the operating mode of a coupl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342A true KR20140009342A (ko) 2014-01-22

Family

ID=4956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956A KR20140009342A (ko) 2011-02-14 2012-02-14 커플링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76045A4 (ko)
JP (1) JP6021229B2 (ko)
KR (1) KR20140009342A (ko)
CN (1) CN103403384B (ko)
WO (1) WO20121125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9685A4 (en) * 2013-09-26 2017-06-28 Means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s of a coupling assembly, and electric motor disconnect and pass through assembli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7724B2 (en) * 2010-12-10 2015-09-08 Means Industries, Inc. Electromechanical apparatus for use with a coupling assembly and controllable coupling assembly including such apparatus
JP2016530464A (ja) * 2013-08-27 2016-09-29 ミーンズ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ク. オーバーランニング結合組立体及びオーバーランニング結合の動作モードを制御する磁気システム並びにこのシステムを有する磁気制御組立体
CN107076225B (zh) * 2014-10-02 2018-10-09 博格华纳公司 多模式离合器装置
US9482297B2 (en) * 2015-04-01 2016-11-01 Means Industries, Inc. Controllable coupling assembly having forward and reverse backlash
US10590999B2 (en) * 2017-06-01 2020-03-17 Means Industries, Inc. Overrunning, non-friction, radial coupling and control assembly and switchable linear actuator device for use in the assembly
CN110354338B (zh) * 2018-09-03 2024-04-26 上海北昂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旋转分配及注射功能的泵阀一体装置
CN109114129B (zh) * 2018-09-28 2019-06-04 陈娟 一种智能安全联轴器及其工作方法
EP3861226A4 (en) * 2018-10-04 2022-06-29 Means Industries, Inc. Coupling and control assembly having an internal latching mechanism
US10995803B2 (en) * 2018-12-04 2021-05-04 Means Industries, Inc. Electromagnetic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mode of a non friction coupling assembly and coupling and magnetic control assembly hav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6109A (en) * 1958-12-23 Axial flux electromagnetic machinery
US2969134A (en) * 1955-06-03 1961-01-24 Ite Circuit Breaker Ltd Solenoid operated positive drive clutch
US2966975A (en) * 1955-06-22 1961-01-03 Ite Circuit Breaker Ltd Electro-magnetic clutch
JPH09196128A (ja) * 1996-01-23 1997-07-29 Seiko Epson Corp 電気自動車の変速駆動装置及び変速駆動方法
US5996758A (en) * 1998-01-09 1999-12-07 Dana Corporation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bi-directional one-way clutch apparatus
US6814201B2 (en) * 2003-02-13 2004-11-09 Borgwarner, Inc. Bi-directional axially applied pawl clutch assembly
US7717437B2 (en) * 2007-05-08 2010-05-18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Actuator for disconnectable stabilizer bar system
US8196724B2 (en) * 2008-02-04 2012-06-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electable one-way clutch in an electro-mechanical transmission
US8276725B2 (en) * 2009-07-20 2012-10-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C Selectable one-way clut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9685A4 (en) * 2013-09-26 2017-06-28 Means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s of a coupling assembly, and electric motor disconnect and pass through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21229B2 (ja) 2016-11-09
WO2012112550A1 (en) 2012-08-23
EP2676045A4 (en) 2018-03-07
CN103403384A (zh) 2013-11-20
EP2676045A1 (en) 2013-12-25
CN103403384B (zh) 2016-04-20
JP2014510881A (ja)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3699B2 (en) Electromechanical assembly to control the operating mode of a coupling apparatus
KR20140009342A (ko) 커플링 장치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기계 어셈블리
US8646587B2 (en) Strut for a controllable one-way clutch
US8813929B2 (en) Controllable coupling assembly
US10619681B2 (en) Overrunning, non-friction coupling and control assemblies and switchable linear actuator device and reciprocating electromechanical apparatus for use therein
US11035423B2 (en) Non-friction coupling and control assembly, engageable coupling assembly and locking member for use in the assemblies
US9435387B2 (en) Device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mode of a coupling assembly, coupling and control assembly and electric motor disconnect and pass through assemblies
US10533618B2 (en) Overrunning, non-friction coupling and control assembly, engageable coupling assembly and locking member for use in the assemblies
CN111094781B (zh) 超越、非摩擦的径向的连接和控制组件及用于该组件的可切换的线性致动装置
US9377061B2 (en) Electromagnetic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mode of an overrunning coupling assembly and overrunning coupling and control assembly including the system
KR20130006491A (ko)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오버러닝 커플링 및 제어 어셈블리
US11953060B2 (en) Coupling and control assembly
CN110249150B (zh) 超越、非摩擦连接和控制组件及其中使用的可切换的线性致动装置和往复式机电设备
EP304968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s of a coupling assembly, and electric motor disconnect and pass through assemblies
US20220106991A1 (en) Bearing Assembly for Translator of Linear Actuator of Clutch Assembly
WO2020163686A1 (en) Non-friction coupling and control assembly, engageable coupling assembly and locking member for use in the assemblies
CN113251085A (zh) 电动态联接和控制组件和其中使用的可切换的线性致动器装置
WO2015047938A1 (en) Electromagnetic system for overrunning coupl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