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074A -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074A
KR20140008074A KR1020120075083A KR20120075083A KR20140008074A KR 20140008074 A KR20140008074 A KR 20140008074A KR 1020120075083 A KR1020120075083 A KR 1020120075083A KR 20120075083 A KR20120075083 A KR 20120075083A KR 20140008074 A KR20140008074 A KR 20140008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lay
mobile communication
cal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75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8074A/ko
Publication of KR20140008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은, 기 설정된 특정 이벤트 신호에 따라 통화 중계 기능과 메시지 중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 단말기를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하는 단계와; 통화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해당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메시지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해당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RELAYING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또는 메시지와 같은 소정 신호를 중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다양한 사용자들의 니즈에 부합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들이 포함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장착되기도 하고,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있으며, 다양한 포맷의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고, 각종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다양한 통신기기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의 일 예로써 인터넷 서핑과 같은 용도 또는 동영상 시청을 위한 PMP(Po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화면 사이즈는 표시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가독성을 보장할 정도의 크기를 유지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의 스마트폰은 일반적으로 종래의 피쳐폰에 비해 화면 사이즈가 더 큰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이유로 스마트폰은 과거 피쳐폰보다 전체적인 사이즈가 더 커지게 되었다.
한편, 많은 사람들이 복수 개의 다양한 통신 기기들을 보유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이동통신사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복수 개 소유하고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음악을 듣거나 동영상을 볼 수 있는 별도의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런데 전화가 걸려올 때를 대비하여 집안에 있을 때도 항상 상술한 바와 같은 부피가 큰 이동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있는 것은 큰 불편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거나 또는 동영상을 보고 있는 경우에는 전화가 오거나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을 즉시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그렇다고 이러한 별도의 단말기들에 모두 이동통신사의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각 이동통신사에 가입해야 하는 것은 비용적인 부분은 물론이고 큰 불편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걸려오는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를 별도의 통신 단말기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의 제시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유한 경우에 그 중 어느 하나로 수신되는 통화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받고자 하는 요구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을 소유한 경우에 제1 휴대폰을 이용하여 제1 휴대폰으로 걸려오는 전화는 물론이고 제2 휴대폰으로 걸려오는 전화도 모두 제1 휴대폰을 이용하여 받기를 원하는 요구가 있는 것이다.
반대로 제1 휴대폰을 이용하여 제2 휴대폰 번호로 전화를 걸고자 하는 요구도 있어 왔다.
그럼에도 종래에는 이처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경유하여 통화를 하거나 문자 메시지를 발/수신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되는 음성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를 다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화가 이루어지거나 문자 메시지가 발신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 설정된 특정 이벤트 신호에 따라 통화 중계 기능과 메시지 중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기능 활성화부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 단말기를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하는 등록부와; 통화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해당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통화 중계부와; 메시지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해당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중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은, 기 설정된 특정 이벤트 신호에 따라 통화 중계 기능과 메시지 중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 단말기를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하는 단계와; 통화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해당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메시지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해당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계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에서 그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경유하여 상대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계기능을 이용하여 상대 단말기와 최종 사용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음성 통화 구간에 잡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사람이 통화 내용을 엿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최종 사용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계 기능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최종 사용 단말기에게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미 중계 기능이 수행되고 있음을 안내해줄 수 있다.
그리고 문자 메시지의 중계의 경우에는 기 등록된 모든 중계 대상 단말로 전송해줌으로써 어떠한 최종 사용 단말기 근처에 있더라도 신속히 문자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포함된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포함된 전체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및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통신 시스템은 상대 단말기(300),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최종 사용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대 단말기(300)는 통신의 상대방이 조작하는 단말기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할 수도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선망에 연결되는 일반 전화에 해당할 수도 있다.
최종 사용 단말기(200)는 단말기 사용자가 음성 통화를 착/발신 하거나 또는 문자 메시지를 수/발신하기 위해 실제 조작하는 단말기를 의미하는데,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최종 사용 단말기(200)와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 wireless fidelity)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호간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최종 사용 단말기(200)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이동통신용 단말기는 물론이고, MP3, PMP 등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해당할 수도 있고, 또는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전용 단말기에 해당할 수도 있다.
즉, 최종 사용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음성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해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그 형태, 종류를 불문하고 모두 포함된다.
한편,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외부(예를 들어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기지국)로부터 통화 신호(특히 음성 통화 신호)나 문자 메시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그 수신된 통화 신호 또는 문자 메시지 신호를 최종 사용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최종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화 신호 또는 문자 메시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그 수신된 통화 신호 또는 문자 메시지 신호를 이동통신망에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때 이동통신망에 전송하는 통화 신호 또는 문자 메시지 신호의 발신 단말기 번호는 디폴트로는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2의 기능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20), 통신부(110), 기능 활성화부(130), 등록부(140), 통화 중계부(150), 메시지 중계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운드 입력부는 음성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받는 것으로서,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소리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의 구성 그 자체는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운드 출력부는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운드를 출력시키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대방과 음성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운드 출력부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 진동에 의한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피커의 구성 역시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망은 물론이고 최종 사용 단말기(200) 각각과 통신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서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통신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서는 최종 사용 단말기(200) 각각과 통신한다.
기능 활성화부(130)는 기 설정된 특정 이벤트 신호에 따라 통화 중계 기능과 메시지 중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특정 이벤트 신호라는 것은 사용자 입력부(120)의 조작에 따른 특정 메뉴 선택 신호 또는 기 구비된 입력 버튼(미 도시함) 중 특정 버튼의 입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등록부(14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 단말기를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처럼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단말기는 상술한 최종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한다.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하기 위해 등록부(140)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각 최종 사용자 단말기의 네트워크 주소 또는 단말기 고유 번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화 중계부(150)는 통화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즉, 최종 사용 단말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해당 타 단말기(최종 사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화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통화 중계부(150)는 음성 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전환시키도록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와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구비된 사운드 출력부의 기능을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외부 잡음이 유입되거나 또는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소리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제 통화는 상대 단말기(300)와 최종 사용 단말기(200) 간에 이루어지게 되는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소리가 출력된다면 이는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 근처에 있는 다른 사람이 전화 내용을 들을 수 있게 되는데, 이처럼 사운드 입력부는 물론이고 사운드 출력부를 비활성화 시키게 되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통화 중계부(150)는 또한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예를 들어 제1 최종 사용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호 중계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다른 타 단말기(예를 들어 제2 최종 사용 단말기(200))로부터 호 중계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다른 타 단말기(즉, 제2 최종 사용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통화 중계부(150)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즉, 최종 사용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에만 전송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현재 연결된 최종 사용 단말기(200) 중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장 먼저 통화 신호 수신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최종 사용 단말기(200)에만 통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중계부(160)는 메시지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즉, 최종 사용 단말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해당 타 단말기(최종 사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메시지 중계부(160)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즉, 최종 사용 단말기(200) 모두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통신 시스템의 신호 및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상대 단말기(300)로부터 음성 통화 시도가 있는 경우의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최종 사용 단말기(200) 정보는 미리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우선,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중계 기능을 활성화시키고(단계 S1) 통화 수발신 중계가 가능하도록 설정한다(단계 S3).
또한 사용자는 최종 사용 단말기(200)를 조작하여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중계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단계 S5).
이어서 최종 사용 단말기(200)는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연결 요청을 하여(단계 S7) 연결을 유지한다(단계 S9). 여기서 최종 사용 단말기(200)와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연결을 유지한다는 것은 상호간 통신을 위해 필요한 상대 단말의 하드웨어 주소 또는 네트워크 주소 등을 저장해 놓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대 단말기(300)로부터 통화 시도 요청이 있는 경우(단계 S11)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 등록된 최종 사용 단말기(200)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S13), 등록된 최종 사용 단말기(200)들에 통화 수신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14). 이때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 등록된 최종 사용 단말기(200) 중 현재 연결을 유지하고 있는 최종 사용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 단말기와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미리 연결을 유지하고 해당 연결된 채널을 이용하여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수신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미리 연결을 유지시키지 않고 필요시에만 상호간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종 사용 단말기(200)와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상호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대 단말기(300)로부터 통화 시도 요청이 있는 경우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 등록된 최종 사용 단말기(200)에 특정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하는 최종 사용 단말기(200)로 하여금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연결 요청하도록 하거나, 해당 최종 사용 단말기(200)에 직접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호간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통화 수신 알림 정보에 특정 이벤트 신호나 직접 연결 요청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통화 수신 알림 정보를 수신한 최종 사용 단말기(200)는 통화 수신 알림 사운드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리고(단계 S15), 사용자로부터 수락을 감지하면(단계 S17) 통화 수락 정보를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19).
이때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일시 비활성상태로 전환한다(단계 S20).
이에 따라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매개로 하여 최종 사용 단말기(200)와 상대 단말기(300) 간 통화가 연결될 수 있다(단계 S21).
구체적으로 해당 최종 사용 단말기(200)가 통화 음성을 전송하면(단계 S23)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를 상대 단말기(300)에 전송하고(단계 S25), 상대 단말기(300)가 통화 음성을 전송하면(단계 S27)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를 사용자에 의해 수락된 최종 사용 단말기(200)에 전달하는 것이다(단계 S29).
즉, 실제로는 상대 단말기(300)와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결과적으로는 최종 사용 단말기(200)와 상대 단말기(300) 간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예를 들어 최종 사용 단말기(200)로부터 통화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31)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대 단말기(300)와의 호 연결을 차단하고 통화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단계 S20에서 비활성화된 마이크/스피커를 다시 활성화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4는 최종 사용 단말기(200)가 상대 단말기(300)로 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중계 기능 활성화로부터 최종 사용 단말기(200)와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 간 연결이 유지되는 단계(단계 S41~단계 S49)는 도 3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다.
최종 사용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통화 시도 요청이 있는 경우(단계 S51)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해당 요청한 단말기가 기 등록된 최종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53), 기 등록된 최종 사용자 단말기가 아닌 경우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의 에러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55).
이때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현재 다른 최종 사용 단말기(200) 대한 상대 단말기(300)와의 통화 호 중계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또 다른 최종 사용 단말기(200)로부터 호 중계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호 중계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또 다른 최종 사용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판단결과 통화 시도를 요청한 단말기가 기 등록된 최종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경우(단계 S53)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대 단말기(300)에 호 발신 처리를 수행하는데(단계 S57), 이때 해당 호 발신 신호의 발신지 전화번호는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또는 호 발신 신호의 발신지 전화번호에는 해당 통화를 시도하는 최종 사용 단말기(20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코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대 단말기(300)로부터 호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59)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 구비된 마이크/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고(단계 S60), 최종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 단말기(300) 간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후의 과정은 도 3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외부 즉, 상대 단말기(300)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다.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중계 기능 활성화(단계 S81) 및 문자 메시지 수발신 중계를 설정한다(단계 S83). 여기서 문자 메시지를 수발신할 수 있는 최종 사용자 단말기의 등록이 미리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최종 사용 단말기(200) 역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기 위한 중계 기능 이용을 설정할 수 있고(단계 S85),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연결 요청을 하여(단계 S87) 상호간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단계 S89).
이 상태에서 상대 단말기(300)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발송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단계 S91)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최종 사용 단말기(200)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S93), 해당하는 최종 사용 단말기(200) 모두에 그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전달한다(단계 S95).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최종 사용 단말기(200)는 수신된 메시지를 일시 저장하고(단계 S97), 메시지 수신 상태를 소리 또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단계 S99).
한편, 도 6은 최종 사용 단말기(200)에서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경유하여 메시지가 발송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최종 사용 단말기(200)가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면(단계 S111)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그 요청한 단말기가 기 등록된 최종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한 후에(단계 S113), 에러처리(단계 S115) 또는 메시지 전달을 처리한다(단계 S117).
여기서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상대 단말기(300)에 전송하는 메시지의 발신 전화번호는 디폴트로는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고, 또는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는 최종 사용 단말기(20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코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소정의 프로그램 또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중계 이동통신 단말기 200 : 최종 사용 단말기
300 : 상대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사용자 입력부 130 :기능 활성화부
140 : 등록부 150 : 통화 중계부
160 : 메시지 중계부

Claims (9)

  1.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a) 기 설정된 특정 이벤트 신호에 따라 통화 중계 기능과 메시지 중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b)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 단말기를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하는 단계와;
    (c) 통화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해당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d) 메시지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해당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통화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 실제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시점에는 음성 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전환시키도록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와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구비된 사운드 출력부의 기능을 비활성화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통화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호 중계 연결을 유지한 경우에,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다른 타 단말기로부터 호 중계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다른 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통화 중계 기능 및 메시지 중계 기능이 모두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는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중 응답신호를 전송한 어느 하나에만 전송하고,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는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모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5. 기 설정된 특정 이벤트 신호에 따라 통화 중계 기능과 메시지 중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기능 활성화부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 단말기를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하는 등록부와;
    통화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해당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통화 중계부와;
    메시지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해당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계부는 통화 중계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 실제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시점에는 음성 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전환시키도록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와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구비된 사운드 출력부의 기능을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계부는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호 중계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다른 타 단말기로부터 호 중계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다른 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통화 중계 기능 및 메시지 중계 기능이 모두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화 중계부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중 응답신호를 전송한 어느 하나에만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 중계부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단말로 등록된 타 단말기 모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20075083A 2012-07-10 2012-07-10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8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83A KR20140008074A (ko) 2012-07-10 2012-07-10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83A KR20140008074A (ko) 2012-07-10 2012-07-10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074A true KR20140008074A (ko) 2014-01-21

Family

ID=5014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083A KR20140008074A (ko) 2012-07-10 2012-07-10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80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42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KR101123118B1 (ko) 동시대기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장치 및 방법
CN113411793A (zh) 一种蓝牙通信的方法及终端
KR20160035987A (ko) 통신 단말들간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3780751B (zh) 将手机来电通话进行共享的系统和方法
KR100653162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 거부 방법
US9172792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100015955A1 (en) Call management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KR100793299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발신 장치 및 방법
CN114422984A (zh) 车载通话方法和车载设备
US10075832B2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038780B2 (en) System for switching and outputting sender-controlled incoming ringtone and method therefor
WO2012155565A1 (zh) 一种多模通信方法、终端和系统
CN113286281B (zh) 紧急呼叫方法和相关装置
KR1007249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PTT(Push―To―Talk)방식의 통화 알림 장치및 방법
TW201427382A (zh) 通訊轉接系統及方法
CN106657533B (zh) 通话处理方法及装置
KR101748369B1 (ko) 통신 단말 장치,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 단말 장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8074A (ko)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GB24532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ting a sounder device
KR10222835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N103517217A (zh) 一种对集群终端进行业务控制的方法及相应终端
KR20070032555A (ko) 근거리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 통화방법 및 장치
KR101767425B1 (ko) 단말 장치 연동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20130223601A1 (en) Terminal, ser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communication function while ca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