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668A - 보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력측정 및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보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력측정 및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668A
KR20140006668A KR1020120074167A KR20120074167A KR20140006668A KR 20140006668 A KR20140006668 A KR 20140006668A KR 1020120074167 A KR1020120074167 A KR 1020120074167A KR 20120074167 A KR20120074167 A KR 20120074167A KR 20140006668 A KR20140006668 A KR 20140006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measurement
signal
uni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9160B1 (ko
Inventor
박성수
김동건
유재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1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보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력측정 및 보정방법을 개시한다.
통신단말기로부터 측정 제어신호와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측정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청력 측정값을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청력 측정값에 근거하여 청력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측정신호 생성부; 상기 청력 측정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청력 측정을 수행하고, 수행된 상기 청력 측정에 대한 청력측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측정 수행부; 상기 청력측정 결과값을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측정결과 전송부; 및 상기 청력 측정값 및 상기 청력측정 결과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단말기가 전송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보청장치 내에서 청력측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산출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맞도록 음향신호를 보정함으로써 간단한 청력측정 및 보청장치의 보정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보청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력측정 및 보정방법{Hearing Aid}
본 실시예는 보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력측정 및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단말기가 전송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보청장치 내에서 청력측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산출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맞도록 음향신호를 보정함으로써 간단한 청력측정 및 보청장치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력측정 및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 MP3 등과 같은 음향 또는 음성의 재생이 가능한 개인 휴대형 디지털 기기 및 통신 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청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수준의 충분한 음향과 증폭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들은 음악을 청취하거나 음성통화를 수행함에 있어 주변 소음환경 등을 고려하여 대부분 볼륨을 높여 전술한 기기들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젊은 계층에서도 보청장치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다양한 디지털 기술들을 적용한 보청장치들이 출현하고 있다. 종래의 보청장치는 주변 잡음 제거 기능 및 주파수에 따른 음향신호를 보정하여 확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청력 상태에 따라 보청장치 필터를 재구성하고, 오디오 기기의 음질을 제어하는 기능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이 보청장치에 적용된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수시로 변하는 청력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보청장치의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현재의 보청장치의 유통 및 A/S 구조에서는, 보청장치 전문점에 구비된 전용 보정장비를 통해서만 주파수 변경 및 음량에 대한 재설정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초기 보청기 적응과정뿐만 아니라 정기적인 보정과정에서 전용 보정장비가 구비된 보청장치 전문점을 방문하여야 하는 불편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사양으로 존재하는 보청장치는 각 장치가 제공하는 주파수 채널 수와 주파수 대역폭 수에 따라 청력측정 및 보정에 필요한 비프음(Beep)의 주파수는 달라지게 되는데 보청장치의 성능을 고려하지 않고 청력측정에 대한 결과값을 적용하게 된다면 보청장치가 적용된 결과값에 따른 비프음의 주파수로 출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통신단말기가 전송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보청장치 내에서 청력측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산출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맞도록 음향신호를 보정함으로써 간단한 청력측정 및 보청장치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력측정 및 보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통신단말기로부터 측정 제어신호와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측정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청력 측정값을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청력 측정값에 근거하여 청력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측정신호 생성부; 상기 청력 측정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청력 측정을 수행하고, 수행된 상기 청력 측정에 대한 청력측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측정 수행부; 상기 청력측정 결과값을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측정결과 전송부; 및 상기 청력 측정값 및 상기 청력측정 결과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보청장치를 이용하여 청력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단말기로부터 측정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과정; 상기 측정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청력 측정값을 설정하는 측정값 설정과정; 상기 청력 측정값에 근거하여 청력 측정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청력 측정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청력 측정신호 생성과정;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청력측정을 수행하고, 수행된 상기 청력 측정에 대한 청력측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청력측정 수행과정; 및 상기 청력측정 결과값을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측정결과 전송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통신단말기로부터 측정 제어신호와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측정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청력 측정값을 설정하고, 상기 청력 측정값에 근거하여 청력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측정신호 생성부; 상기 청력 측정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청력 측정을 수행하고, 수행된 상기 청력 측정에 대한 청력측정 결과값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측정 수행부; 상기 청력측정 결과값을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측정결과 전송부; 및 아날로그 형태의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형태의 음향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형태의 음향신호에 상기 청력측정 결과값을 적용하여 주파수 채널, 대역폭 및 음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재설정하며, 상기 재설정된 디지털 형태의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재설정된 음향신호로 변화하여 발생시키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단말기가 전송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보청장치 내에서 청력측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산출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맞도록 음향신호를 보정함으로써 간단한 청력측정 및 보청장치의 보정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보청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청장치의 보정을 위해 전용 보정장비가 구비된 장소를 방문할 필요가 없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청력측정이 가능한 보청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청력측정이 가능한 보청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와 보청장치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청장치를 이용한 청력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청장치를 이용한 청력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청력측정이 가능한 보청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청 시스템은 통신단말기(110) 및 보청장치(120)를 포함한다.
통신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무선 단말기(Wireless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통신단말기(11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보청장치(12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한편, 통신단말기(11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청력 측정 애플리케이션(112)을 구동하며, 청력 측정 애플리케이션(112)을 통해 보청장치(120)와 연결되어 측정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청력 측정 애플리케이션(112)은 통신단말기(11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통신단말기(110)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통신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한 VM(Virtual Machine) 및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구동된 청력 측정 애플리케이션(112)을 통해 보청장치(120)와 연결되어 측정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보청장치(120)로부터 청력측정 결과값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통신단말기(11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보청장치(120)에 연결되어 측정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통신단말기(110) 및 보청장치(120)의 소형화 및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지그비(Zigbee), ULP(Ultra Low Power)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블루투스, 무선랜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방식의 통신도 가능하다.
한편, 측정 제어신호는 통신단말기(110)에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된 신호로서 보청장치(120)의 설정을 제어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예컨대, 측정 제어신호는 측정 주파수 채널, 대역폭 및 측정 음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통신단말기(110)에 포함된 청력 측정 애플리케이션(112)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청력 측정을 수행하는 보청장치(120)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러한, 청력 측정 애플리케이션(112)은 iOS, 안드로이드(Android), 윈도 폰 7(Windows Phone 7) 등과 같은 각종 OS(Operating System) 환경에 맞게 구현 또는 제작될 수 있다.
보청장치(120)는 일종의 확성 장치로서 잘 알려져 있듯이 난청을 보충하기 위해 귀에 장착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보청장치(130)는 통신단말기(130)와 연결되어 청력측정을 수행하고 청력측정이 완료되면,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전기신호를 청력측정 결과값에 따라 주파수 채널 및 음량을 설정하고, 음향신호로 다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청장치(120)는 청력측정 모듈(130) 및 보청 수행모듈(140)을 포함한다.
청력측정 모듈(130)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단말기(110)와 연결되어 청력측정을 수행하는 모듈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력측정 모듈(130)은 통신단말기(110)와 접속신호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하여 연결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생성된 측정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측정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청력 측정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측정 제어신호는 청력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주파수 채널, 대역폭 및 측정 음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청력측정 모듈(130)은 청력 측정값에 근거하여 소리신호인 청력 측정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청력측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청력 측정신호는 청력을 측정하기 위한 비프음(Beep)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력측정이 가능하다면 그 어떤 신호로도 구현가능하다. 여기서, 청력측정 모듈(130)은 사용자가 통신단말기(110)를 통해 인지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청력 측정신호를 청력측정 결과값으로 생성하고, 사용자가 통신단말기(110)를 통해 인지 응답신호를 전송하지 않거나 미인지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청력 측정신호의 값을 변경하여 청력측정을 수행한다. 또한, 청력측정 모듈(130)은 생성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통신단말기(1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전송한다.
보청 수행모듈(140)는 아날로그 형태인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음향신호에 청력측정 모듈(130)에서 생성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적용하여 보정을 수행하고, 보정된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청력측정이 가능한 보청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청장치(120)는 청력측정 모듈(130) 및 보청 수행모듈(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청력측정 모듈(130)은 단말 통신부(210), 제어부(212), 저장부(214), 측정신호 생성부(216), 측정 수행부(218) 및 측정결과 전송부(219)를 포함하고, 보청 수행모듈(140)는 음향수신부(220), A/D 변환부(222), 보정부(224), D/A 변환부(226) 및 음향송신부(228)를 포함한다.
청력측정 모듈(130)은 청력 측정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청력측정 모듈(130)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단말 통신부(210)는 외부 장치 예컨대 통신단말기(110)와 연결되어 보청장치(120)와 외부장치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통신부(210)는 통신단말기(110)로부터 접속신호를 수신하고, 접속신호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기 위해 절전(Sleep) 모드에서 동작(Active) 모드로 변경하여 응답신호를 통신단말기(110)에 전송한다.
단말 통신부(210)가 통신단말기(110)와 연결되면, 통신단말기(110)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생성된 측정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측정 제어신호는 보청장치(120)의 측정 주파수 채널, 대역폭 및 측정 음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한편, 단말 통신부(210)는 통신단말기(110)로부터 보청장치(110)에 기 설정된 설정값에 대한 조회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보청장치(110)에 기 설정된 주파수 채널, 주파수 대역폭 및 음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한 설정값을 통신단말기(110)에 전송한다.
제어부(212)는 보청장치(12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보청 수행모듈(140)의 잡음제거, 음향보정을 위한 주파수의 이득(Gain)값 조정, 청력 측정 관련 파라미터의 전달 및 저장 등과 같은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2)는 단말 통신부(210)에서 수신된 측정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청력 측정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제어부(212)는 측정 주파수 채널, 대역폭 및 측정 음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한 설정을 수행한다. 예컨대, 측정 제어신호가 측정 주파수를 200 Hz, 음량을 6 단계로 설정하기를 요구하는 경우, 제어부(212)는 보청장치(110)를 측정 주파수를 200 Hz, 음량을 6 단계인 청력 측정값으로 변경하여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30)는 제어부(212)에서 설정된 청력 측정값을 저장하고, 측정 수행부(219)에서 산출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부(230)는 통신단말기(110) 또는 보청 수행모듈(140)로부터 청력 측정값 또는 청력측정 결과값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청력 측정값 또는 청력측정 결과값을 제공할 수도 있다.
측정신호 생성부(216)는 제어부(212)에서 설정된 청력 측정값에 근거하여 청력 측정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청력 측정신호는 청력을 측정하기 위한 비프음(Beep)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력측정이 가능하다면 그 어떤 신호로도 구현가능하다.
측정 수행부(218)는 측정신호 생성부(216)에서 생성된 청력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청력측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 수행부(218)는 통신단말기(110)로부터 청력측정 시작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청력 측정신호를 소리신호인 아날로그 측정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청력측정을 시작한다. 한편, 측정 수행부(218)는 사용자가 통신단말기(110)를 통해 인지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청력 측정신호를 청력측정 결과값으로 생성한다. 여기서, 측정 수행부(218)는 사용자가 통신단말기(110)를 통해 인지 응답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 청력 측정신호의 값을 변경하여 청력측정을 수행한다.
측정결과 전송부(219)는 측정 수행부(218)에서 생성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통신단말기(110)에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전송한다.
보청 수행모듈(140)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를 보정하는 모듈이다. 보청 수행모듈(140)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음향수신부(220)는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음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음향수신부(220)는 음향신호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기신호인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음향수신부(22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D 변환부(222)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A/D 변환부(222)는 음향에 대한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보정부(224)에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A/D 변환부(222)는 전압-주파수 변환방식, 전압-시간 변환방식 및 디지털 펄스 방식 등 중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신호를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부(224)는 A/D 변환부(222)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증폭하며, 청력측정 모듈(130)로부터 청력측정 결과값을 수신하고, 디지털 음향신호에 적용하여 보정한다.
한편, 보정부(224)는 아날로그 신호인 음향을 디지털화하는 음향 코딩에 사용되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집적회로는 디지털 신호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사칙연산을 반복하여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회로를 의미한다. 보정부(224)는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연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A 변환부(226)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D/A 변환부(226)는 사용자에게 음향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보정부(224)에서 보정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D/A 변환부(226)는 A/D 변환부(222)가 수행하는 동작의 반대인 역변환 과정을 의미한다.
음향송신부(228)는 은 D/A 변환부(226)에서 변환된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바꿔 주는 모듈을 의미한다. 예컨대, D/A 변환부(226)로부터 전기신호인 아날로그 음향신호가 수신된 경우, 음향송신부(228)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음향송신부(228)는 리시버(Receiver) 즉,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와 보청장치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패킷은 타입 정보(310), 코드 정보(320) 및 데이터 정보(3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은 패킷 내부에 설정된 값에 따라 통신단말기(110)와 보청장치(120) 간에 송수신되는 모든 신호 및 정보로 구현될 수 있다.
타입 정보(310)로는 '0' 또는 '1'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0'은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을 의미하고, '1'은 명령에 따른 응답을 수행하는 데이터 타입을 의미한다. 여기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은 통신단말기(110)에서 보청장치(120)로 전송되는 접속신호, 조회정보, 시작/종료 정보, 인지 응답신호 및 설정값 제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령에 따른 응답을 수행하는 데이터 타입은 명령에 대한 정상 수행 또는 비정상 수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코드 정보(320)는 데이터 패킷에 따른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코드이다. '0'은 통신단말기(110)와 보청장치(120) 간에 접속신호를 수행하는 코드를 의미하고, '1'은 보청장치(120)의 설정정보 조회, '2' 및 '3'은 청력 측정의 모드 변경, '4' 및 '5'는 보청장치(120)의 청력측정 시작 및 종료, '6'은 청력측정 결과값의 요청, '7'은 청력신호 인지에 대한 응답신호 및 '8'은 보청장치(120)에 대한 측정 제어신호를 나타내어 신호를 구현할 수 있다.
데이터 정보(330)는 환경 설정 및 청력측정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코드 정보(320)가 '8'로 설정된 측정 제어신호일 경우, 데이터 정보(330)는 측정 제어신호의 실제 설정에 대한 정보인 측정 주파수 200 Hz, 음량 6 단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청장치를 이용한 청력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보청장치(120)는 통신단말기(110)로부터 접속신호를 수신하면, 통신단말기(110)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보청장치(120)를 절전(Sleep) 모드를 동작(Active) 모드로 전환한다(S410).
보청장치(120)는 접속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통신단말기(110)에 전송한다(S414).
데이터통신 설정 루틴(Routine)을 거쳐, 보청장치(120)가 통신단말기(110)와 상호 연결되면(S418), 보청장치(120)에 기 설정된 설정값을 통신단말기(110)에 전송하여 동기화한다(S420). 예컨대, 보청장치(110)에 기 설정된 주파수 채널, 주파수 대역폭 및 음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한 설정값을 통신단말기(110)에 전송하여 통신단말기(110)에 저장된 설정값을 갱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보청장치(120)는 통신단말기(110)와 연결되면 자동으로 설정값을 전송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단말기(110)로부터 설정정보 조회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설정값을 통신단말기(1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보청장치(120)는 통신단말기(110)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입력된 측정 제어신호를 수신하면(S424), 측정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청력 측정값을 보청장치(120)에 설정한다(S428).
보청장치(120)는 설정된 청력 측정값에 근거하여 청력 측정신호를 생성한다(S430). 여기서, 청력 측정신호는 청력을 측정하기 위한 비프음(Beep)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력측정이 가능하다면 그 어떤 신호로도 구현가능하다.
단계 S430 이후의 과정은 도 5에서 이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청장치를 이용한 청력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430에 이어서, 보청장치(120)는 통신단말기(110)로부터 청력측정 시작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434), 청력 측정신호를 아날로그 측정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438).
보청장치(120)는 청력 측정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소정의 시간 내에 입력받는 경우(S440), 측정 주파수 및 측정된 신호세기 레벨을 포함하는 청력측정 결과값을 생성하여 저장한다(S450).
보청장치(120)는 기 저장된 측정 주파수 리스트에서 청력측정 결과값에 대응하는 측정 주파수를 삭제한다(S452). 여기서, 삭제된 측정 주파수는 사용자의 복원 요청 또는 청력 측정 애플리케이션(112)의 리셋(Reset) 기능에 따라 복원이 가능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의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에 따라 복원 설정이 가능하다.
보청장치(120)는 청력측정 결과값에 근거하여 삭제된 측정 주파수를 확인하고 측정 주파수 리스트에서 더 이상 측정할 측정 주파수가 없는 경우, 청력 측정을 종료한다(S454).
한편, 단계 S440을 확인한 결과, 보청장치(120)는 청력 측정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가 소정의 시간 내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 청력 측정신호의 세기를 한 레벨 증가시켜 발생하고(S448), 이러한 과정을 응답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여기서, 청력 측정신호의 세기에 대한 레벨이 최대인 경우, 최대 레벨을 청력 측정결과값으로 저장하는 단계 S450을 수행한다.
도 4 내지 5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54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 내지 5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410 내지 단계 S454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 내지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분야에 적용되어, 통신단말기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보청장치 내에서 청력측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산출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맞도록 음향신호를 보정함으로써 간단한 청력측정 및 보청장치의 보정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보청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10: 통신단말기 120: 보청장치
130: 청력측정 모듈 140: 보청 수행모듈
210: 단말 통신부 212: 제어부
214: 저장부 216: 측정신호 생성부
218: 측정 수행부 219: 측정결과 전송부
220: 음향수신부 222: A/D 변환부
224: 보정부 226: D/A 변환부
228: 음향송신부

Claims (10)

  1. 통신단말기로부터 측정 제어신호와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측정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청력 측정값을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청력 측정값에 근거하여 청력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측정신호 생성부;
    상기 청력 측정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청력 측정을 수행하고, 수행된 상기 청력 측정에 대한 청력측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측정 수행부;
    상기 청력측정 결과값을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측정결과 전송부; 및
    상기 청력 측정값 및 상기 청력측정 결과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디지털 음향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음향신호에 상기 저장된 청력측정 결과값을 적용하여 보정하는 보정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잡음제거, 음향보정을 위한 주파수의 이득(Gain)값 조정, 청력 측정 관련 파라미터의 전달 및 저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보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단말기와 통신하되, 상기 근거리 통신은 소형화 및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LP(Ultra Low Power) 기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행부는,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의 인지에 따른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청력측정 결과값을 생성하되,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의 인지에 따른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미인지 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한 단계 증가시켜 출력하고,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의 레벨이 최대이면 해당 레벨을 청력측정 결과값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보청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청장치에 기 설정된 설정값에 대한 조회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보청장치에 기 설정된 주파수 채널, 주파수 대역폭 및 음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보청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제어신호는,
    상기 청력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통신단말기에서 측정 주파수 채널, 대역폭 및 측정 음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보청장치.
  8. 보청장치를 이용하여 청력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단말기로부터 측정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과정;
    상기 측정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청력 측정값을 설정하는 측정값 설정과정;
    상기 청력 측정값에 근거하여 청력 측정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청력 측정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청력 측정신호 생성과정;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청력측정을 수행하고, 수행된 상기 청력 측정에 대한 청력측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청력측정 수행과정; 및
    상기 청력측정 결과값을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측정결과 전송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측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청력측정 수행과정은,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의 인지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청력측정 결과값을 생성하되,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의 인지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미인지 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한 단계 증가시켜 출력하고, 상기 아날로그 음향신호의 레벨이 최대이면 해당 레벨을 청력측정 결과값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측정 방법.
  10. 통신단말기로부터 측정 제어신호와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측정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청력 측정값을 설정하고, 상기 청력 측정값에 근거하여 청력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측정신호 생성부;
    상기 청력 측정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청력 측정을 수행하고, 수행된 상기 청력 측정에 대한 청력측정 결과값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측정 수행부;
    상기 청력측정 결과값을 상기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측정결과 전송부; 및
    아날로그 형태의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형태의 음향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형태의 음향신호에 상기 청력측정 결과값을 적용하여 주파수 채널, 대역폭 및 음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재설정하며, 상기 재설정된 디지털 형태의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재설정된 음향신호로 변화하여 발생시키는 보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장치.
KR1020120074167A 2012-07-06 2012-07-06 보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력측정 및 보정방법 KR101369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167A KR101369160B1 (ko) 2012-07-06 2012-07-06 보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력측정 및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167A KR101369160B1 (ko) 2012-07-06 2012-07-06 보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력측정 및 보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668A true KR20140006668A (ko) 2014-01-16
KR101369160B1 KR101369160B1 (ko) 2014-03-06

Family

ID=5014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167A KR101369160B1 (ko) 2012-07-06 2012-07-06 보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력측정 및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1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014B1 (ko) * 2014-06-27 2014-10-16 (주)마이크로텍시스템 블루투스를 이용한 스마트 사용자 보조 장치
WO2016159739A1 (ko) * 2015-04-03 2016-10-06 주식회사 더열림 셀프 청력검사 및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및 이를 이용한 셀프 청력검사 및 피팅 시스템
KR101995670B1 (ko) * 2017-06-14 2019-07-02 핑 자오 지향성 채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323A (ko) * 2004-05-13 2005-11-21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청력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0933713B1 (ko) * 2008-03-25 2009-12-24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75723B1 (ko) 2010-08-12 2012-08-22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보청장치 및 제어방법
KR20130047903A (ko) * 2011-11-01 2013-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보청 장치 및 그 튜닝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014B1 (ko) * 2014-06-27 2014-10-16 (주)마이크로텍시스템 블루투스를 이용한 스마트 사용자 보조 장치
WO2016159739A1 (ko) * 2015-04-03 2016-10-06 주식회사 더열림 셀프 청력검사 및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및 이를 이용한 셀프 청력검사 및 피팅 시스템
US10455337B2 (en) 2015-04-03 2019-10-22 The Yeolrim Co., Ltd. Hearing aid allowing self-hearing test and fitting, and self-hearing test and fitting system using same
KR101995670B1 (ko) * 2017-06-14 2019-07-02 핑 자오 지향성 채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160B1 (ko)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84029B (zh) 一种蓝牙配对连接方法及系统、蓝牙设备和终端
US10805708B2 (en) Headset sound channel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related device
CN109951602B (zh) 一种振动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7452395B (zh) 一种语音信号回声消除装置及电视机
KR101175723B1 (ko) 보청장치 및 제어방법
US201502488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 active noise cancellation unit
CN111343540B (zh) 一种钢琴音频的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416299A (zh) 具有用于控制至少一个助听器的操作的应用软件的个人通信设备
CN107633849A (zh) 蓝牙设备音量调整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225315B (zh) 一种音频播放装置、音频播放方法及电子设备
KR101369160B1 (ko) 보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력측정 및 보정방법
CN105323682B (zh) 一种数模混合麦克风及耳机
CN204813896U (zh) 可携式听力检测装置
CN112235856A (zh) 一种蓝牙信号发射功率的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3916511A (zh) 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CN104769966A (zh) 受话装置
CN111800699B (zh) 音量调节提示方法、装置、耳机设备及存储介质
CN109754796A (zh) 使用多个麦克风执行功能的方法和电子装置
CN106817324B (zh) 频响校正方法及装置
KR2007011252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루프백을 이용한 음질 테스트방법 및 장치
CN108391208B (zh) 信号切换方法、装置、终端、耳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4027207A1 (en) Acoustic node for configuring an industrial device
CN113808566B (zh) 振动噪音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30047903A (ko) 보청 장치 및 그 튜닝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및 시스템
CN111510075B (zh) 一种功率放大器的电压调整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