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602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602A
KR20140006602A KR1020120073994A KR20120073994A KR20140006602A KR 20140006602 A KR20140006602 A KR 20140006602A KR 1020120073994 A KR1020120073994 A KR 1020120073994A KR 20120073994 A KR20120073994 A KR 20120073994A KR 20140006602 A KR20140006602 A KR 20140006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stern
flat portion
azimut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0696B1 (ko
Inventor
김정후
안유원
하경진
권민재
이창열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696B1/ko
Priority to BR102013017425-4A priority patent/BR102013017425B1/pt
Priority to CN201310399974.7A priority patent/CN103538693B/zh
Publication of KR2014000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선미에 배치되며, 하면이 경사짐에 따라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는 형태를 갖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전단에 연결되며, 일정 길이만큼 수선면과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플랫부; 및 상기 플랫부의 전단에 연결되며, 하면이 경사짐에 따라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여 선저에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 유선형부를 포함하는 선미부가 선미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범위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선미의 저면에 평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아지무쓰 추진기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돌출부를 구비할 필요성을 제거하여, 마찰저항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A 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석이나 컨테이너와 같은 대형화물 또는 가스 등을 운반하기 위해서 선박을 이용한다. 이러한 선박은 수선면에 부유하여 항해하기 때문에, 전진할 시 파도에 의해 조파저항을 받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조파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선박의 선수에 구형으로 돌출되는 구상선수를 부가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구상선수를 설치할 경우, 구상선수의 상단부에 함몰 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선박이 전후로 기우는 피칭 운동 시 불필요한 저항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물의 용량이 가변되어 흘수가 변경될 경우, 구상선수가 오히려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박은 추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적인 프로펠러 대신 추진 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아지무쓰 추진기를 선미에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아지무쓰 추진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아지무쓰 추진기의 상단부가 설치되는 선체의 표면이 평평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선박은 저면이 평평하지 않은 유선형의 선체를 가짐에 따라, 아지무쓰 추진기의 설치를 위한 평면을 형성하여 주는 돌출부를 별도로 선미에 부착한 뒤 아지무쓰 추진기를 결합하여야 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돌출부는 유선형의 선체에 별도로 부착되는 부가물이기 때문에, 마찰저항 등을 증가시키는 저항 발생 요소로 작용하게 되어, 추진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미의 형태를 개량함으로써 아지무쓰 추진기가 결합되기 위한 평면이 선체에 형성되도록 하고, 복수 개의 아지무쓰 추진기가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될 수 있도록 선미의 단면을 하단이 단차진 형태로 설계하여, 마찰저항 등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미에 배치되며, 하면이 경사짐에 따라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는 형태를 갖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전단에 연결되며, 일정 길이만큼 수선면과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플랫부; 및 상기 플랫부의 전단에 연결되며, 하면이 경사짐에 따라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여 선저에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 유선형부를 포함하는 선미부가 선미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범위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선미의 저면에 평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아지무쓰 추진기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돌출부를 구비할 필요성을 제거하여, 마찰저항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선수 상부(11), 선수 중앙부(12), 선수 하부(13)를 포함하는 선수부(10)가 선수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범위까지 형성된다.
선수 상부(11)는, 정단면이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형태를 갖는다. 즉 선수 상부(11)는 상단으로 갈수록 좌우 측면이 중앙으로 모이는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선수 상부(11)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은, 선수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즉 선수 상부(11)에서 선수에 근접한 부분의 폭 감소량은, 선수 상부(11)에서 선수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부분의 폭 감소량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선수 상부(11)는 흘수선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흘수선은 만재 흘수선(30)일 수 있다. 이 경우 선수 상부(11)는 흘수 대비 50 내지 60%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수 상부(11)는 전방이 상단으로 갈수록 선미 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수 상부(11)의 전방은 수선면에 비해 60 내지 65도 기울어질 수 있으며, 흘수 대비 40 내지 50%의 길이만큼 선미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선수 상부(11)는 측면에서 볼 때, 상단이 하단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선수 중앙부(12)는, 정단면이 일정한 폭 또는 소정 범위 내에서 가변되는 폭을 가진다. 일례로 선수 중앙부(12)에서 정단면의 좌우 측변은, 수선면에 수직할 수 있고, 또는 수선면에 수직한 선과 이루는 각이 5도 이내일 수 있다.
즉 선수 중앙부(12)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종래 선형과는 달리 충분한 배수량을 확보하는 동시에, 선수파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선수 중앙부(12)는 만재 흘수선(3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고, 특히 만재 흘수선(30)이 선수 중앙부(12)의 상단과 맞닿을 수 있다. 이 경우 경하 흘수선이나 또는 추진력 향상을 위해 발라스트 워터를 실은 선박(1)의 주행 흘수선(40)은 선수 중앙부(1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선박(1)이 어떠한 상태에 있더라도 수선면은 선수 중앙부(12)에 위치하게 되므로, 선수파 형태가 불규칙하게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수 하부(13)는, 정단면이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선저에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다. 선수 하부(13)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은 선수에서 멀어질수록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선수 하부(13)는 흘수 대비 25 내지 30%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선수 하부(13)는 선수 상부(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든 종류의 흘수선이 선수 중앙부(12) 상에 놓이게 되므로, 선수 하부(13)는 경하 흘수선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선수 하부(13)는 항상 수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선수 하부(13)는 전방이 하단으로 갈수록 선미 측으로 기울어져 선저에 연결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수 하부(13)의 전방은 수선면에 비해 25 내지 30도 기울어지며, 선수 하부(13)의 전방은 흘수 대비 80 내지 100%의 길이만큼 선미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흘수는 만재 흘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선수 상부(11)의 상단보다 선수 하부(13)의 하단이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선수 하부(13)의 하단과 선저가 만나는 지점은 바텀 탄젠트(bottom tangent)일 수 있다. 바텀 탄젠트는 중앙 단면에서 선수 방향으로 평평하게 연장된 선저에서 선수부(10)의 곡선이 연결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경사부(21), 플랫부(22), 유선형부(23)를 포함하는 선미부(20)가 선미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범위까지 형성된다. 앞서 언급한 선수부(10)와 상기 선미부(20) 사이에는, 중앙단면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태가 구비될 수 있다.
경사부(21)는, 선미에 배치되며, 하면이 경사짐에 따라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는 형태를 갖는다. 경사부(21)가 선미에 배치됨에 따라 경사부(21)의 후면에는 트랜섬이 배치될 수 있다.
경사부(21)의 깊이는 일정 비율로 연속 가변될 수 있으며, 경사부(21)의 전단에는 플랫부(22)가 연결된다. 이때 경사부(21)의 하면과 플랫부(22)의 하면은 절곡 부분 없이 부드럽게 유선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랫부(22)는, 경사부(21)의 전단에 연결되며, 일정 길이만큼 수선면과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된다. 즉 플랫부(22)의 하면은 수선면과 평행할 수 있다. 플랫부(22)의 하면을 평평하게 제작하는 것은, 아지무쓰 추진기(도시하지 않음)의 설치를 위해서이다.
아지무쓰 추진기는 수선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는 아지무쓰 추진기는 필요 시 선체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지무쓰 추진기가 설치되는 일면은 수선면과 평행한 면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본 실시예는 플랫부(22)의 하면이 수선면과 평행하므로, 플랫부(22)에 아지무쓰 추진기가 직접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아지무쓰 추진기의 설치를 위해 평평한 하면을 갖는 돌출부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 공수 및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저항의 발생을 줄여 추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사각 영역이 아지무쓰 추진기 설치 공간(221)을 의미한다.
다만 플랫부(22)는, 정단면의 중앙 부분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단차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플랫부(22)의 하면은 수선면과 평행하지만, 플랫부(22)의 하면과 수선면까지의 거리는 중앙 부분에서 좌현 또는 우현으로 갈수록 가변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랫부(22)에 설치되는 아지무쓰 추진기의 높이는 설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플랫부(22)는, 중앙 부분에서 좌현 또는 우현으로 갈수록 수선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플랫부(22)에서 중앙 부분의 길이는 좌현 또는 우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이는 아지무쓰 추진기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221)을 확보하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아지무쓰 추진기가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아지무쓰 추진기보다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지무쓰 추진기를 어긋나게 배치하게 되면, 추진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플랫부(22)의 길이는 단차 형태로 가변될 수 있다. 즉 좌현 또는 우현의 일정 범위 및 중앙 부분에서는 플랫부(22)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중앙 부분에 인접한 부분에서만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아지무쓰 추진기의 설치 공간(221)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유선형부(23)는, 플랫부(22)의 전단에 연결되며, 하면이 경사짐에 따라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여 선저에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다. 유선형부(23)의 하면과 플랫부(22)의 하면은, 앞서 경사부(2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곡 부분 없이 부드럽게 유선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선형부(23)는, 선저와 연결되는 변이, 선수와 선미를 잇는 선과 수직이며 수선면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유선형부(23)와 선저가 연결되는 부분은, 중앙단면으로부터의 최단거리가 일정할 수 있다. 다만 유선형부(23)에서 플랫부(22)와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선저에 연결되는 일단까지의 길이는, 플랫부(22)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유선형부(23)는, 플랫부(22)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하면의 경사각이 가변될 수 있다. 이는 플랫부(22)의 길이가 늘어날 경우 유선형부(23)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플랫부(22)는 중앙 부분이 하방으로 돌출된 단차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유선형부(23)의 하면 경사각은 플랫부(22)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플랫부(22)에 설치되는 아지무쓰 추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지무쓰 추진기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플랫부(22)의 중앙 부분,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아지무쓰 추진기는, 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거나 또는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아지무쓰 추진기는 삼각형 또는 역삼각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랫부(22)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아지무쓰 추진기는,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는 아지무쓰 추진기보다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플랫부(22)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아지무쓰 추진기는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플랫부(22)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아지무쓰 추진기는, 하단이 선저를 포함하는 평면에 맞닿을 수 있다. 물론 플랫부(22)는 중앙 부분이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이므로, 아지무스 추진기 자체의 높이가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플랫부(22)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아지무쓰 추진기는, 선저를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일정한 폭을 갖는 선수 중앙부(12)에 흘수가 놓이도록 하여, 선수파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조파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미에 수선면과 평행한 평면을 갖는 플랫부(22)를 구비함으로써 아지무쓰 추진기를 별도의 돌출부 없이 선체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마찰 저항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선박 10: 선수부
11: 선수 상부 12: 선수 중앙부
13: 선수 하부 20: 선미부
21: 경사부 22: 플랫부
221: 아지무쓰 추진기 설치 공간 23: 유선형부
30: 만재 흘수선 40: 주행 흘수선

Claims (8)

  1. 선미에 배치되며, 하면이 경사짐에 따라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는 형태를 갖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전단에 연결되며, 일정 길이만큼 수선면과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플랫부; 및
    상기 플랫부의 전단에 연결되며, 하면이 경사짐에 따라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여 선저에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 유선형부를 포함하는 선미부가 선미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범위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부는,
    정단면의 중앙 부분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단차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부는,
    중앙 부분에서 좌현 또는 우현으로 갈수록 수선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형부는,
    상기 플랫부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하면의 경사각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부에 설치되는 아지무쓰 추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지무쓰 추진기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플랫부의 중앙 부분,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아지무쓰 추진기는,
    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부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상기 아지무쓰 추진기는, 상기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는 상기 아지무쓰 추진기보다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20073994A 2012-07-06 2012-07-06 선박 KR101810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994A KR101810696B1 (ko) 2012-07-06 2012-07-06 선박
BR102013017425-4A BR102013017425B1 (pt) 2012-07-06 2013-07-05 Navio
CN201310399974.7A CN103538693B (zh) 2012-07-06 2013-07-08 船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994A KR101810696B1 (ko) 2012-07-06 2012-07-06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602A true KR20140006602A (ko) 2014-01-16
KR101810696B1 KR101810696B1 (ko) 2018-01-26

Family

ID=4996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994A KR101810696B1 (ko) 2012-07-06 2012-07-06 선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10696B1 (ko)
CN (1) CN103538693B (ko)
BR (1) BR102013017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6360B (zh) * 2016-07-19 2021-12-17 现代重工业株式会社 包括减摩装置的船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4878C2 (de) * 1995-04-22 1997-07-10 Blohm Voss Ag Propellerantrieb für Wasserfahrzeuge
FI115041B (fi) * 2000-01-28 2005-02-28 Abb Oy Aluksen moottoriyksikkö
RU2196698C2 (ru) * 2001-01-09 2003-01-20 Кеслер Анатол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ормовая оконечность судна с движительно-рулевым комплексом
FI20030556A0 (fi) * 2003-04-11 2003-04-11 Abb Oy Menetelmä ja laitteisto laivan ohjaamiseksi
KR200415507Y1 (ko) 2006-02-23 2006-05-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속도 향상을 위한 쓰러스터의 스케그
JP2007223557A (ja) * 2006-02-27 2007-09-06 Mitsubishi Heavy Ind Ltd ツイン・スケグ船
JP4216858B2 (ja) * 2006-03-22 2009-01-28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
CN101475057A (zh) * 2009-02-01 2009-07-08 肖鑫生 360°全回转船舶对转桨推进装置
CN102390508A (zh) * 2011-08-25 2012-03-28 肖鑫生 360°全回转舷内外(双机)对转桨推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3017425A2 (pt) 2015-06-30
CN103538693B (zh) 2016-05-11
BR102013017425B1 (pt) 2022-04-19
KR101810696B1 (ko) 2018-01-26
CN103538693A (zh)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6856B2 (ja) 商用貨物船
JP6118880B1 (ja) 船舶
JP6590813B2 (ja) 改良船体形状を有する船舶
JP3571023B2 (ja) 船舶の船首形状
CN102317147A (zh) 球根状艏舷的配置和方法
JP4414793B2 (ja) 船舶
KR20140008575A (ko) 선박
JP5638215B2 (ja) 風圧抵抗の少ない船舶及びその設計方法
JP4009643B2 (ja) 船舶の船首形状
KR20140006602A (ko) 선박
US9205891B2 (en) Transom-stern-type stern shape of vessel
KR101011186B1 (ko) Lng 선박의 트윈선수 벌브 형상 구조
CN216070386U (zh) 围壁、构筑物、上层建筑和大型船舶
KR20140078272A (ko) 선박
US9003989B2 (en) Full form ship'S hull with reduced wave making resistance
JP5896598B2 (ja) 船舶
JP6903851B2 (ja) 船舶
JP2020164037A (ja) 船舶
JP6210895B2 (ja) 船舶
KR102475676B1 (ko) 방향타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4654014B2 (ja) 大型低速肥大船
KR101259081B1 (ko) 벌브를 구비한 선박
KR102475677B1 (ko) 방향타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0544899B1 (ko) 에어포일형 핀이 구비된 차인 선형
KR20200126237A (ko) 직선화된 선수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 부유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