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407U - 발아현미 제조용기 - Google Patents

발아현미 제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407U
KR20140006407U KR2020140003340U KR20140003340U KR20140006407U KR 20140006407 U KR20140006407 U KR 20140006407U KR 2020140003340 U KR2020140003340 U KR 2020140003340U KR 20140003340 U KR20140003340 U KR 20140003340U KR 20140006407 U KR20140006407 U KR 201400064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germinated
germinated brown
germ tube
g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297Y1 (ko
Inventor
김억종
Original Assignee
김억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억종 filed Critical 김억종
Publication of KR201400064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4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2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에서 손쉽고 효율적으로 작은 공간에서 발아현미를 그날그날 필요한 양 만큼씩만 만들어서 싱싱하고 간편하게 공급받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무동력의 발아현미제조용기에 관한 것으로, 순서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숫자와 문자로 이루어진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가 색인된 현미발아통뚜껑과 현미발아통본체로 형성되고 물빠짐구멍이 있는 현미발아통이, 현미불리는물통과 바닥에 물흐름구멍이 있는 현미발아통보관고로 형성된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에 상기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에 따라서 순서대로 안치되게 되고, 현미발아통이 안치된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는 물받이홀이 있는 발아현미제조외부용기의 위에서 끼워놓아 형성되는 발아현미제조용기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효과로는 가정에서 매일매일 필요한 양만큼 일정하게 발아현미를 싱싱하게 공급 받을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효율적이다. 또한 발아현미의 맛의 변질과 영양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 이상 많은 양을 만들게 되는 것을 피 할 수 있다.그러므로 필요이상 많은 양의 발아현미를 만들어서 별도로 냉장고에 보관하는 불편함도 없으며 전기를 사용하지도 않는 무동력의 발아현미제조용기로 비용도 절약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발아현미제조용기 {A Container for mak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본 고안은 발아현미제조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발아현미를 만드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가정에서 발아현미를 만들 때 편의상 한 번에 많은 양의 현미를 발아시킨 후에 냉장고 등에 보관한 후 일부씩 꺼내어 발아현미밥을 짓고 있다. 이때에 부엌에 물과 현미가 들어 있는 큰 그릇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니 불편하고, 한 번에 많은 양의 현미를 발아시키게 되므로 취사에 사용되고 남은 발아현미는 말려서 보관하든지 아니면 냉장고에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냉장고에 수일간 보관해야하는 경우 발아현미의 맛이나 영양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장에서 발아현미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건조시킨 발아현미도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데 일반현미보다 고가에 거래되어 경제적인 부담도 되고 있다. 또한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거나 물의 온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현미를 발아시키는 기구들이 시중에서 판매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기구들은 역시 고가에 판매되고 있으며, 그러한 기구들은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사용료가 발생하고 작동 중 소음이 있으며 전기사용의 안전에도 주의가 요구되는 문제점 있다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KR 1006754050000(2007.01.22.)
본 고안은 가정에서 손쉽고 효율적으로 작은 공간에서 발아현미를 그날그날 필요한 양 만큼씩만 만들어서 간편하고 싱싱하게 공급되도록 하면서 전기도 사용하지 않는 실용적인 무동력의 발아현미제조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가정에서 발아현미를 만들기 위한 발아현미제조용기에 관한 것으로,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가 색인된 현미발아통뚜껑(6)과 현미발아통본체(5)로 형성되고 물빠짐구멍(10)이 있는 현미발아통(4)이, 현미불리는물통(8)과 바닥에 물흐름구멍(13)이 있는 현미발아통보관고(9)로 형성된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3)의 안에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에 따라서 순서대로 안치되고, 상기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3)는 물받이홀(12)이 있는 발아현미제조외부용기(2)의 위에서 끼워놓아 형성되는 발아현미제조용기(1)를 특징으로 하며,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는 순서를 알 수 있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숫자와 문자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가정에서 매일매일 간편하게 필요한 양만큼씩 일정하게 발아현미를 싱싱하게 공급 받을 수 있으므로 발아현미의 맛의 변질과 영양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 이상 많은 양의 발아현미를 만드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 이상의 많은 양의 발아현미를 만들어서 취사에 사용 후 남은 발아현미를 별도로 냉장고에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그리고 고가에 유통되는 발아현미를 구입하지 않고도 직접 발아현미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전기를 사용하는 기계장치가 아니므로 그에 따른 비용과 불편함도 없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용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용기의 정면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외부용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외부용기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외부용기의 정면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의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의 정면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뚜껑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현미발아통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현미발아통의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현미발아통의 정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의한 현미발아통뚜껑의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의한 현미발아통본체의 사시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용기(1)의 사시도인데, 이는 발아현미제조외부용기(2) 안에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3)가 위로부터 끼워서 들어 있고, 그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3)에 형성된 현미불리는물통(8)과 현미발아통보관고(9) 안에 현미발아통(4)이 안치되어 있는 발아현미제조용기(1)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용기(1)의 평면도인데, 이는 현미불리는 물통(8) 안에 현미가 채워진 현미발아통(4) 하나가 들어가서 현미를 물속에서 불리고 있으며, 현미발아통보관고(9)에는 현미불리는물통(8) 안에서 이미 물에 불리는 과정을 거친 현미발아통(4) 네 개가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의 순서대로 놓여져서 현미를 발아시키고 있는 모양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용기의 정면투시도인데, 이는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3)가 발아현미제조외부용기(2) 안에 위에서 끼워서 들어 있고, 발아현미제조외부용기(2) 안의 아래 부분에 물받이홀(12)이 형성됨을 보여 주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외부용기(2)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외부용기(2)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외부용기(2)의 정면 투시도인데, 이는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3)가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중간위치에 지지턱(11)이 있어서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3)가 지지되어 아랫부분에 물받이홀(12)이 형성됨으로써 현미발아통(4)으로 부터 흐르는 물을 받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의 모양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3)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3)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3)의 정면투시도인데, 이는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3)가 현미불리는물통(8)과 현미발아통보관고(9)로 나누어 형성되어 있고, 현미불리는물통(8)은 물을 담아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현미발아통보관고(9)는 현미발아통(4)에서 빠지는 물이 물받이홀(12)로 흘러 저장될 수 있도록 물흐름구멍(13)이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뚜껑의 사시도인데, 이는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3)를 덮어 외부의 오염을 차단하는 효과와 함께 현미발아통(4)의 수분 증발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뚜껑(14)을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현미발아통(4)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현미발아통(4)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현미발아통(4)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에 의한 현미발아통뚜껑(6)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고안에 의한 현미발아통본체(5)의 사시도인데, 이는 현미발아통(4)이 현미발아통본체(5)와 현미발아통뚜껑(6)으로 결합하여 형성되어 있고, 현미발아통본체(5)와 현미발아통뚜껑(6)에는 물빠짐구멍(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현미발아통뚜껑(6)에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가 색인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는 순차적으로 손쉽게 발아현미를 공급받기 위하여 그 제조과정을 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즉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는 현미발아통(4)을 구분하여서 놓여지는 위치 즉 안치되는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는 지표 및 통제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안치되는 장소의 통제가 필요한 이유는 현미발아통(4) 속에 들어있는 현미는 시간이 지날수록 그 발아정도가 다르므로 현미를 먼저 담은 현미발아통(4)과 나중에 담은 현미발아통(4)을 구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 순서대로 통제하여 현미발아통보관고(9)의 제일 마지막 위치에 놓여진 현미발아통(4)에서 발아현미를 꺼내어 밥을 짓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꺼내어 비우게 된 현미발아통(4)은 다시 현미를 충전한 후 현미불리는물통(8)에 있는 기존 현미발아통(4)과 교체하여 안치하고 동시에 현미불리는물통(8)에서 나온 현미발아통(4)은 순차적으로 현미발아통보관고(9)로 이동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그 발아현미를 제조하는 과정을 열거하면 첫 단계로 현미를 깨끗이 세척한 다음 현미발아통본체(5)에 넣어서 현미발아통뚜껑(6)을 닫은 다음 현미불리는물통(8)의 물속에 넣고 1일 정도 불린 다음에 꺼내어 흐르는 물에 현미발아통(4)을 통째로 헹구어서 현미발아통보관고(9)로 이동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에 맞추어 순서대로 안치 자리를 이동하여 보관한다. 이때 현미발아통(4) 모두를 통째로 흐르는 물에 헹구어서 안치를 하면 현미발아를 더욱 촉진하게 된다. 이렇게 현미발아통보관고(9)에서는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에 따라 맞추어서 자리 이동을 하게 되므로 각 현미발아통(4)의 그 시일 경과 상황을 알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또한 그 순서에 따라서 발아현미의 발아상태의 정도차이가 있게 되는데, 발아의 크기가 적당할 때 현미발아통보관고(9)의 최종위치에 놓인 현미발아통(4) 부터 순차적으로 꺼내어 밥을 짖게 되는 것이다. 또한 현미의 발아 속도에 따라 또한 밥을 짓는 회수에 따라 현미발아통(4)의 개수를 늘리고 줄이고 하며 현미발아통(4)속의 현미량을 조정하여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사용하면 효율적이고 편리하다. 그리고 현미발아통(4)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관리 통제하기 위하여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는 누구나 순서를 알 수 있는 아라비아숫자, 로마자, 특수문자, 한글문자, 한문문자와 같은 각 나라의 문자 중에서 순서를 알 수 있는 문자로 구성 되는데, 예를 들면 아라비아숫자인 1,2,3,포함하는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 로마문자 A,B,C,a,b,c를 포함하는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 특수문자 Ⅰ,Ⅱ,Ⅲ,ⅰ,ⅱ,ⅲ 포함하는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 한글문자인 가,나,다, 하나, 둘, 셋, ㄱㄴㄷ 첫째, 둘째, 셋째,를 포함하는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 한문문자인 一, 二,三,을 포함하는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 등 인데 이와 같이 각 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순서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그 순서를 알 수 있는 숫자와 문자로 구성한다.
1. 발아현미제조용기
2. 발아현미제조외부용기
3.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
4. 현미발아통
5. 현미발아통본체
6. 현미발아통뚜껑
7.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
8. 현미불리는물통
9. 현미발아통보관고
10. 물빠짐구멍
11. 지지턱
12. 물받이홀
13. 물흐름구멍
14.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뚜껑

Claims (2)

  1. 가정에서 발아현미를 만들기 위한 발아현미제조용기에 관한 것으로,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가 색인된 현미발아통뚜껑(6)과 현미발아통본체(5)로 형성되고 물빠짐구멍(10)이 있는 현미발아통(4)이,
    현미불리는물통(8)과 바닥에 물흐름구멍(13)이 있는 현미발아통보관고(9)로 형성된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3)의 안에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에 따라서 순서대로 안치되고,
    발아현미제조내부용기(3)는 물받이홀(12)이 있는 발아현미제조외부용기(2)의 위에서 끼워놓아 형성되는 발아현미제조용기(1).
  2. 제1항에 있어서,
    발아현미제조순서문자(7)는 순서를 알 수 있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숫자와 문자
KR2020140003340U 2013-06-14 2014-04-24 발아현미 제조용기 KR20048129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4861 2013-06-14
KR2020130004861 2013-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407U true KR20140006407U (ko) 2014-12-24
KR200481297Y1 KR200481297Y1 (ko) 2016-09-08

Family

ID=56958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340U KR200481297Y1 (ko) 2013-06-14 2014-04-24 발아현미 제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29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975Y1 (ko) * 2005-06-20 2005-09-15 정운화 발효식품 및 새싹채소 제조장치
KR100675405B1 (ko) 2005-06-21 2007-01-30 김성현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975Y1 (ko) * 2005-06-20 2005-09-15 정운화 발효식품 및 새싹채소 제조장치
KR100675405B1 (ko) 2005-06-21 2007-01-30 김성현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297Y1 (ko)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lmer How to brew: everything you need to know to brew great beer every time
KR101961291B1 (ko) 개량된 급수구조를 갖는 다단식 식물 재배장치
CN104357310B (zh) 一种热水洗窖养护窖池的方法
CN105886307A (zh) 采用酒糟泥的白酒陈酿工艺方法
CN204653250U (zh) 一种水培装置
KR200481297Y1 (ko) 발아현미 제조용기
KR101053885B1 (ko) 병배 재배방법
CN206629670U (zh) 一种一次性种植销售一体化豆芽罐
CN208540467U (zh) 一种养鱼种植多功能花盆
CN205830685U (zh) 微循环花盆
CN205740963U (zh) 新型蒸馏酒生产装置
CN204378697U (zh) 一种智能泡茶装置
CN207803074U (zh) 植物水培柜
CN208708466U (zh) 一种土鸡养殖自动喂水装置
CN102653710B (zh) 五米液酿制方法及其专用设备
CN106105834A (zh) 微循环花盆
CN206079940U (zh) 一种防护式陶瓷水果盘
CN102870578A (zh) 苗菜的生产工艺
CN214433456U (zh) 一种绿茶冲泡架
CN107898421A (zh) 一种竹制餐具沥水架
CN217118066U (zh) 一种咖啡手冲产品组合件
CN203789058U (zh) 螺丝菜杀青浸泡装置及螺丝菜杀青浸泡系统
US1910614A (en) Coffee urn
KR102125700B1 (ko) 달걀삶는기구
CN215122565U (zh) 一种越夏水果甜玉米幼苗栽培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