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309A -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309A
KR20140006309A KR1020120072166A KR20120072166A KR20140006309A KR 20140006309 A KR20140006309 A KR 20140006309A KR 1020120072166 A KR1020120072166 A KR 1020120072166A KR 20120072166 A KR20120072166 A KR 20120072166A KR 20140006309 A KR20140006309 A KR 20140006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line communication
support plate
meter reading
remote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7794B1 (ko
Inventor
정봉수
강중석
손영철
임유석
Original Assignee
강중석
한국전력공사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중석, 한국전력공사,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중석
Priority to KR1020120072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794B1/ko
Priority to AU2013285813A priority patent/AU2013285813B2/en
Priority to CN201380035435.3A priority patent/CN104428824B/zh
Priority to PCT/KR2013/005842 priority patent/WO2014007503A1/ko
Publication of KR2014000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단이 송곳타입으로 외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전도체성 탐침나사와, 탐침나사가 관통되는 제1나사홀이 형성된 커플러부(coupler)와, 커플러부에 전선으로 연결된 방수 커넥터(waterproof connector) 및 제1나사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탐침나사가 관통되는 제2나사홀이 형성되며, 하면에 탐침나사의 선단에 의해 피어싱(piercing)되는 전력케이블(power cable)이 접촉되고, 전력케이블을 체결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밴드가 관통되는 제1요홈부가 체결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양단에 각각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이 간편하고, 파지부분에 커플링을 설계하여 전원출력이 아닌 PLC신호만을 출력하여 전기적으로 안전하며,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전력 케이블에 사용할 수 있으며, 전주 미관 저해하지 않으면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주용 및 한전용 전기 계량기함 모두에 적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Instrumentation device for remote telemeter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공이 간편하고, 전기적으로 안전하며,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전력 케이블에 사용할 수 있으며, 전주 미관 저해하지 않으면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주용 및 한전용 전기 계량기함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검침 시스템이라 함은 멀리 떨어진 지점의 측정 대상으로부터 측정 결과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데이터를 단말기에서 처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원격 검침은 통신기술, 센싱기술 및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정보통신서비스로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공해감시, 방법, 방재, 전력, 상수도 및 가스계통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격 검침 시스템은 사용되는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선로가 없는 무선방식과, 통신선로가 있는 유선방식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상기 유선방식은 사용되는 통신설로의 종류에 따라 전력선방식, 케이블방식, 전용선방식 및 전화선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이때, 상기 전력선방식은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전력회사에서 가정이나 공장 또는 사무실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선을 신호 전송로로 활용하여 검침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상기 전력선통신은 상용 교류신호를 전송매체로 하여 전력선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식으로서, 상용 교류전력인 60Hz의 정현파와 통신신호(예를 들어 수십 KHz)를 다중화하여 동시에 전송하므로, 전력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는 곳에서는 어디에나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 적용되고 있는 전력선통신 방식은 전력선에 통신신호를 부가하거나, 전력선으로부터 통신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전력선에 연결된 프로브(Probe)가 변압기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거나 수용가에서는 가전기기 또는 전등 등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변압기 또는 가전제품으로부터 코로나(Corona)와 같은 다양한 고조파와 노이즈(Noise)가 발생하여 전력량 검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원격검침 자체가 되지 않거나 검침된 데이터 자체에 오류가 생기고 있다. 그나마 전력사용이 없는 새벽 시간대에 검침률이 좀 더 나아지는 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이즈 필터의 사용을 시도하였으나, 통신신호와 노이즈가 함께 감쇄되어 현실적으로 전력선 통신에 의한 원격검침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는 전주(P)에 설치된 전력 케이블을 피어싱하는 프로브(10)(probe)와, 상기 프로브(10)와 전주(P)의 하부측에 설치된 함체(50)를 연결하는 전선(20)과, 상기 전선(20)의 외경을 감싸는 플렉시블 전선관(30)과, 상기 전선관(30)을 지지하는 금속의 필름밴드(4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함체(50)에는 PLC신호만을 추출하기 위한 커플러(60)와, 누전차단기(70)가 수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는 전주(P)에 복잡한 부품들이 설치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미관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각종의 여러 부품들의 설치로 인해 시공이 복잡하고 난해하면서 이러한 부품들의 설치로 인해 시공 비용이 매우 높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전력 케이블을 피어싱하다 보니 프로브(P)의 나사와 전력 케이블 간에 간극으로 인해 자칫 전기적 감전현상이 발생하는 매우 위험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대형의 직경을 가지는 전력 케이블까지 피어싱하기 위해 처음부터 대형의 프로브(10) 한가지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소가 협소한 한전용 전기 계량기함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작은 직경부터 큰 직경의 전력 케이블을 피어싱하는 각기 다른 크기의 프로브(10)를 제작하여 운영하기에는 운영비용이 상승할 수밖에 없고, 한전용 전기 계량기함용 소형 프로브(10)를 별도 제작하게 되면, 이 또한 운영 비용이 상승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47597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48770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시공이 간편하고, 전기적으로 안전하며,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전력 케이블에 사용할 수 있으며, 전주 미관 저해하지 않으면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주용 및 한전용 전기 계량기함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선단이 송곳타입으로 외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전도체성 탐침나사, 상기 탐침나사가 관통되는 제1나사홀이 형성된 커플러부(coupler), 상기 커플러부에 전선으로 연결된 방수 커넥터(waterproof connector) 및 상기 제1나사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탐침나사가 관통되는 제2나사홀이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탐침나사의 선단에 의해 피어싱(piercing)되는 전력 케이블(power cable)이 접촉되고, 상기 전력 케이블을 체결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밴드가 관통되는 제1요홈부가 상기 체결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양단에 각각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은 하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은 하면에 소정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의 상부 양단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요홈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하부에 형성된 터널 형태의 상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은 내경면에 복수의 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에는 상기 제1요홈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요홈부가 형성된 한 쌍의 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플러부는 BNC 또는 RF 타입의 입출력단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밴드의 재질은 플라스틱 및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공이 간편하고, 파지부분에 커플링을 설계하여 전원출력이 아닌 PLC신호만을 출력하여 전기적으로 안전하며,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전력 케이블에 사용할 수 있으며, 전주 미관 저해하지 않으면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주용 및 한전용 전기 계량기함 모두에 적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는 탐침나사(100), 커플러부(200), 방수 커넥터(300) 및 지지판(40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탐침나사(100)는 전주 또는 한전용 전기 계량기함에 설치된 전력 케이블(C)에 피어싱되어 전력 케이블(C) 내부에 위치한 전선에 직접 접촉하여 PLC(Power Line Communication : 전력선통신)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신호추출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탐침나사(100)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경면에는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력 케이블(C)을 피어싱하기 위해 선단이 송곳타입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탐침나사(100)가 전력 케이블(C)의 PLC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탐침나사(10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전력 케이블(C)의 외부 피복을 관통하여 내부 전선에 상기 탐침나사(100)가 직접 접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커플러부(200)(coupler)는 상기 탐침나사(100)가 관통되는 제1나사홀(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부(200)에는 방수 커넥터(300)가 전선에 의해 연결되어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400)은 상기 전력 케이블(C)이 지지판(400)의 하면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상기 지지판(400)에 전력 케이블(C)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4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지지판(400)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된 상기 전력 케이블(C)이 상기 탐침나사(100)에 의해 피어싱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400)에는 상기 탐침나사(100)가 관통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C)의 피어싱을 가능하게 하는 제2나사홀(4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나사홀(410)은 당연 상기 제1나사홀(210)에 마주보며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케이블(C)이 상기 지지판(400)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지지판(400)에 고정되는 것은 소정의 체결밴드(500)를 이용함으로써 전력 케이블(C)이 상기 지지판(400)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400)에는 제1요홈부(4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요홈부(42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요홈부(420)는 상기 지지판(400)의 상부측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밴드(500)가 상기 전력 케이블(C)을 감싸는 방향으로 길게 소정의 홈이 파여있는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체결밴드(500)가 상기 전력 케이블(C)을 감싸면서 상기 지지판(400)에 상기 전력 케이블(C)을 체결하기 위해 제1요홈부(420)의 일면, 즉 지지판(400)의 일면에 각각 상기 체결밴드(5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소정의 관통홀(421)이 형성된다.
즉, 일반적으로 약 160 square milimeter 이상의 전력 케이블(C)이 체결밴드(500)를 통해 상기 지지판(400)에 체결되는데, 전력 케이블(C)이 접촉하는 지지판(400)의 하면을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하여 전력 케이블(C)의 외경을 감싸는 형태로 하여 전력 케이블(C)이 지지판(4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체결밴드(500)를 이용하여 전력 케이블(C)이 지지판(400)에 체결되는 구조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약 160 square milimeter 이상의 전력 케이블(C)을 요철(430)이 형성된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지지판(400)의 하면에 밀착시킨다.
그런 다음, 한 쌍의 체결밴드(500)가 마련되면, 상기 체결밴드(500)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C)이 상기 지지판(400)에 체결되도록 하는데, 이때 체결밴드(500)는 상기 제1요홈부(420)에 형성된 관통홀(421)을 통과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C)을 감싼다.
이렇게 되면, 상기 체결밴드(500)로 인해 상기 전력 케이블(C)이 상기 지지판(400)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체결밴드(500)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판(400)의 하면과 상기 전력 케이블(C)의 외경면이 보다 넓은 면으로 접촉할 수 있고, 지지판(400)의 하면이 곡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력 케이블(C)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밴드(500)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전력 케이블(C)이 상기 지지판(400)에 보다 밀착된 형태로 체결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곡면으로 이루어진 지지판(400)의 하면에는 소정의 요철(4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력 케이블(C)과 지지판(400) 사이에 요철(430)이 형성됨으로써, 전력 케이블(C)이 지지판(400)의 하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둘 사이가 보다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판(400)의 상부에 양방향으로 개방된 터널 형태로 이루어진 상판(600)이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600)의 다리를 이루는 양쪽 하부에는 상기 제1요홈부(42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부(610)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결합부(610)의 형태는 중앙부위 양쪽이 안쪽방향으로 절곡된 블록형태(block type)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제1요홈부(420)의 관통홀(421)을 통해 상기 제1결합부(610)가 상기 제1요홈부(420)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지지판(400)에 상기 상판(600)이 블록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는 상술한 약 160 square milimeter 이상의 전력 케이블(C)이 상기 체결밴드(500)로 상기 지지판(400)에 하면측에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약 60 square milimeter 미만의 전력 케이블(C)을 체결하기 위함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지지판(400)의 상면과 상기 상판(600)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전력 케이블(C)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지지판(400)과 상기 상판(600)에 의해 상기 전력 케이블(C)이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판(600)의 내경면에는 복수의 돌기(620)가 더 형성되어 있어 전력 케이블(C)이 지지판(400)의 상면과 상판(600) 사이에서 견고하게 체결 및 고정되게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판(400)과 상기 상판(600) 사이에 별도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 중판(7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중판(700)이 상기 지지판(400)과 상기 상판(600) 사이에 더 위치함으로써 약 60 square milimeter 초과 내지 약 160 square milimeter 미만의 전력 케이블(C)을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중판(700)의 형태를 살펴보면, 하부는 상기 상판(6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610)와 동일한 형태의 제2결합부(7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는 상기 지지판(400)의 제1요홈부(420)와 동일한 형태의 제2요홈부(7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중판(700)의 하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710)가 상기 지지판(400)의 제1요홈부(420)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지지판(400)에 상기 중판(700)이 체결되고, 상기 중판(700)의 상부에 형성된 제2요홈부(720)에 상기 상판(6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610)가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판(400), 중판(700) 및 상판(600)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커플러부(200)는 BNC 또는 RF 타입의 입출력단자(220)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탐침나사(100)를 통해 탐침된 PLC신호를 데이터수집유닛(DCU : Data Concentration Unit)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부(200)에 별도로 BNC 또는 RF 타입의 입출력단자(220)가 설치된다. 이는 상기 BNC 또는 RF단자를 통해 데이터수집유닛으로 PLC신호가 전송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인 계측장치를 N상 및 R상으로 이루어진 단산용 전주에 적용할 경우, N상에는 BNC 또는 RF 타입의 입출력단자(220)를 구비한 커플러부(200)가 마련되고, R상에는 BNC 또는 RF 타입의 입출력단자(220)가 없는 커플러부(20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N상과 R상 간에는 방수 커넥터(30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N상, R상, S상 및 T상으로 이루어진 3상용 전주에 적용될 경우에는, N상은 탐침나사(100)를 통해 탐침된 PLC신호를 데이터수집유닛(DCU : Data Concentration Unit)에 전송하기 위한 BNC 또는 RF 타입의 입출력단자(220)를 구비한 커플러부(200)가 마련되고, 나머지 R상, S상 및 T상에는 상기 BNC 또는 RF 타입의 입출력단자(220)가 제외된 커플러부(20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커플러부(200)는 방수 커넥터(300)를 통해 서로 병렬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인 계측장치가 한전용 전기 계량기함에 적용되는 일례를 살펴보면, BNC 또는 RF 타입의 입출력단자(220)를 구비하지 않은 N상의 커플러부(200)와 동일한 형태의 R상의 커플러부(200)가 방수 커넥터(300)를 통해 소정의 모뎀에 연결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한전용 전기 계량기함이 아닌 전주용에 본 발명인 계측장치가 설치될 경우에는 BNC 또는 RF 타입의 입출력단자(220)를 구비한 N상의 커플러부(200)와 BNC 또는 RF 타입의 입출력단자(220)를 구비하지 않은 커플러부(2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탐침나사 200: 커플러부
210: 제1나사홀 220: 입출력단자
300: 방수 커넥터 400: 지지판
410: 제2나사홀 420: 제1요홈부
430: 요철 500: 체결밴드
600: 상판 610: 제1결합부
620: 돌기 700: 중판
710: 제2결합부 720: 제2요홈부
C: 전력 케이블

Claims (8)

  1. 선단이 송곳타입으로 외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전도체성 탐침나사(100);
    상기 탐침나사(100)가 관통되는 제1나사홀(210)이 형성된 커플러부(200)(coupler);
    상기 커플러부(200)에 전선으로 연결된 방수 커넥터(300)(waterproof connector); 및
    상기 제1나사홀(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탐침나사(100)가 관통되는 제2나사홀(410)이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탐침나사(100)의 선단에 의해 피어싱(piercing)되는 전력 케이블(C)(power cable)이 접촉되고, 상기 전력 케이블(C)을 체결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밴드(500)가 관통되는 제1요홈부(420)가 상기 체결밴드(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양단에 각각 형성된 지지판(400)을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00)은 하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00)은 하면에 소정의 요철(4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00)의 상부 양단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요홈부(4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결합부(610)가 하부에 형성된 터널 형태의 상판(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600)은 내경면에 복수의 돌기(62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00)과 상기 상판(600)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에는 상기 제1요홈부(4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결합부(71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61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요홈부(720)가 형성된 한 쌍의 중판(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부(200)는 BNC 또는 RF 타입의 입출력단자(2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밴드(500)의 재질은 플라스틱 및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KR1020120072166A 2012-07-03 2012-07-03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KR101417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166A KR101417794B1 (ko) 2012-07-03 2012-07-03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AU2013285813A AU2013285813B2 (en) 2012-07-03 2013-07-02 Measurement device for remote meter reading based on power line communication
CN201380035435.3A CN104428824B (zh) 2012-07-03 2013-07-02 基于电力线通信的远程抄表用计量装置
PCT/KR2013/005842 WO2014007503A1 (ko) 2012-07-03 2013-07-02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166A KR101417794B1 (ko) 2012-07-03 2012-07-03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881A Division KR101417795B1 (ko) 2014-04-30 2014-04-30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309A true KR20140006309A (ko) 2014-01-16
KR101417794B1 KR101417794B1 (ko) 2014-07-09

Family

ID=4988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166A KR101417794B1 (ko) 2012-07-03 2012-07-03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417794B1 (ko)
CN (1) CN104428824B (ko)
AU (1) AU2013285813B2 (ko)
WO (1) WO201400750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795B1 (ko) * 2014-04-30 2014-08-0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KR101899091B1 (ko) * 2017-03-31 2018-09-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mi 주상변압기 부하 측정 및 전원공급 프로브
KR20210045642A (ko) 2019-10-17 2021-04-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체형 스페이서,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및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3116B (zh) * 2020-11-13 2023-03-21 苏州楚焱新能源有限公司 一种电力系统检测通信系统
KR102351540B1 (ko) * 2021-10-28 2022-01-14 주식회사 동명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305B1 (ko) * 1997-09-20 2000-04-15 최대용 Catv 전송망의 상향대역 측정봉
KR20020068453A (ko) * 2001-10-30 2002-08-27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배전 저압선의 전압/전류 측정용 프로브
CN1981198A (zh) * 2004-07-05 2007-06-13 Ipps株式会社 电力使用量计测装置以及电力管理系统
JP4912068B2 (ja) * 2006-08-01 2012-04-04 中国電力株式会社 電圧測定装置
US8816698B2 (en) * 2007-03-19 2014-08-2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detecting faults in electrical wi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00017U (ko) * 2009-06-26 2011-01-03 손정아 가변체결형 전압측정 프로브
KR101072838B1 (ko) * 2010-01-05 2011-10-14 동일계전 (주) 전자식 전력량계
KR20110056463A (ko) * 2011-05-02 2011-05-30 (주)플레넷아이엔티 부하측정용 감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795B1 (ko) * 2014-04-30 2014-08-0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KR101899091B1 (ko) * 2017-03-31 2018-09-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mi 주상변압기 부하 측정 및 전원공급 프로브
KR20210045642A (ko) 2019-10-17 2021-04-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체형 스페이서,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및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85813B2 (en) 2016-04-14
AU2013285813A1 (en) 2015-01-29
CN104428824A (zh) 2015-03-18
WO2014007503A1 (ko) 2014-01-09
KR101417794B1 (ko) 2014-07-09
CN104428824B (zh)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794B1 (ko)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US8659286B2 (en) Apparatus for calibrated non-invasive measurement of electrical current
US9575101B2 (en) Power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9500716B2 (en) Power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KR101417795B1 (ko)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CN203881834U (zh) 一种交直流电流无线监测设备
JP2007282452A (ja) 配電線の断線検出システム
CN110940938A (zh) 一种用户电表与变压器连接关系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203658476U (zh) 一种高压核相器
CN104568211A (zh) 开关柜触头和母排连接点温升在线监测装置及工作方法
KR101757834B1 (ko)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CN205622318U (zh) 用电监测系统及配电网络
CN204190345U (zh) 110kV及以上带漏电检测型交叉互联保护接地箱
CN205809149U (zh) 变压器铁芯接地电流在线监测装置
KR101510119B1 (ko) 전력선 통신용 복합 케이블
CN201860014U (zh) 一种具有延长功能的接线板
CN204651520U (zh) 智能精确测温可分离式电缆连接器
KR102530357B1 (ko) 전력선통신 검침 장치
CN107040286A (zh) 一种增强型电力载波信号传感器
CN105372457A (zh) 一种电容型设备带电检测末屏取样装置
CN206992687U (zh) 一种基于电力线通讯技术的电力管理装置
CN204597144U (zh) 一种具有测温功能的可分离式电缆连接器
CN210534244U (zh) 一种便携式避雷针检测装置
CN203774709U (zh) 电源分配单元和连接模块
CN104062483B (zh) 分布式高压电缆屏蔽层电流监测系统及其电流监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