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236A - 이명 및 난청 치료기 - Google Patents

이명 및 난청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236A
KR20140006236A KR1020120070593A KR20120070593A KR20140006236A KR 20140006236 A KR20140006236 A KR 20140006236A KR 1020120070593 A KR1020120070593 A KR 1020120070593A KR 20120070593 A KR20120070593 A KR 20120070593A KR 20140006236 A KR20140006236 A KR 20140006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nitus
earpiece
hearing loss
ear canal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서영석
김정현
이무영
유성미
Original Assignee
원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236A/ko
Publication of KR20140006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12External mou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2Optical stimulation for exciting neu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euro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이명 및 난청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간편한 구조의 LLLT 용 이어피스와 부수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단수 또는 복수파장의 저출력 레이져광을 외이도를 경유하여 내이부에 직접 조사하는 동시에; 외부적으로 측두하와부에 고정한 레이져광으로써 비교적 장파장의 레이져광을 경피부적으로 청각신경 계통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및 난청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명 및 난청 치료기{THERAPY DEVICE FOR TINNITUS AND HARDNESS OF HEARING}
이명이란 외부에 음원이 없는데도 귀에 연속적 또는 간헐성의 잡음이 들리는 것으로 자각하는 증상을 말하는데, 환자는 상기 소리가 원인이 되어 두통, 수면장애, 신경쇄약, 우울증 등에 빠져서 일상생활에 심한 장애를 받게 된다.
이명은 최근, 사회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데, 한 통계에 의하면 한국에서는 성인의 15~20%가 이명에 시달리고 있으며 4~5%는 특히 격심한 이명으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중증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명은 고령자에 갈수록 증가하는데, 한 통계에 의하면 80%이상이 40세 이상의 연령층인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현대사회의 고령화 경향을 고려할 때, 이명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은 대단히 중요한 과제라고 볼 수가 있다.
이명 및 난청의 원인은 극히 다양하고 개인차가 많은데, 대체로 중이 (tympanum), 내이(inner ear)조직 및 청신경 계통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감각신경 계통의 노화(aging)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하며 상기 외에도 과도한 소음환경에 대한 장시간 노출이 직접원인이 되기도 한다. 어느 경우이건 달팽이관(cochlea)의 유모세포(hair cell)가 질병, 노화, 과로 등에 의하여 손상 또는 퇴화하는데 수반하여 발생하는 일종의 신경-전기 신호적 잡음(spurious)이 이명의 형태로 들린다는 설이 유력하다. 그러나 다른 육체적 질병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는데, 특히 순환계의 이상을 비롯하여 정신적 불안과 스트레스 등도 꼽을 수가 있다.
따라서 이명에 대한 치료법도 매우 다양하여 지금까지는 진정제, 항경련제, 항울제, 국부마취제, 항히스타민제, 항정신병제, 근이완제(muscle relaxants) 등을 처방하는 약물요법이 주로 적용되어 왔지만 큰 효과는 얻지 못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항산화요법(antioxidant therapy), 경피적 전기자극요법(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TES), 반복식 경두개골자기자극요법(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rTMS), 음향요법(sound therapy), 이명재훈련요법(tinnitus retraining therapy:TRT), 인지행동요법(cognitive behavioral therapy)등이 약물요법과 병행되고 있는데, 역시 효과가 적거나 일시적인 것이 많다.
최근, 저출력 레이져광을 환부에 조사하여 광 에너지의 광화학적효과를 이용함으로써 각종의 질병을 치유하고 생체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저출력 레이져 요법(Low Level Laser Therapy: LLLT)이 여러 임상 분야에 이용되기 시작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을 이명치료와 난청해소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LLLT는 수10~수백mW 수준의 원적외선~근적외선 영역의 저출력 레이져광(Low Level Laser Light : 레이져광)을 생체조직에 조사하여 광 에너지가 지닌 특유의 광화학적 효과를 질병치료에 이용하는 것으로써 비전문가가 시술하는 경우에도 부작용이 없고 안전하며, 간편성, 경제성 등에 있어서도 종래의 여러 방식보다 우수하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범위의 광이 생체조직에 조사되면 그 광 에너지(photon)가 세포내의 세포막과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내부의 시토크롬 C 산화효소(Cytochrome C Oxidase:CCO)과 포르피린(Porphyrin)에 흡수되어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를 발생하여 세포막과 미토콘드리아 막의 전위경사를 조성하게 되는데, 이것이 세포막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ATP(Adenosine Triphosphate)레벨을 개선한다. 상기 결과는 모세혈관의 생성 증가, DNA의 생성촉진, 혈액의 산소담지량(酸素擔持量)의 증가, 콜라겐의 생성촉진, 임파류의 활동증가, 육아발생(tissue granulation)의 촉진, 식세포 작용 (phagocytosis)의 활성화 등으로 나타나서 결과적으로 세포조직의 면역력의 향상, 손상조직의 치유, 노화에 의한 퇴화의 방지와 재생(rejuvenation)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따라서 상기 요법을 달팽이관(cochlea)을 포함한 내이 조직에 적용하면 이명과 난청의 주요원인인 달팽이관의 퇴화가 방지되고 나아가 손상된 청각유모세포의 재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최근의 실험결과에서 확인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이명의 가장 큰 원인은 청각신경 계통의 기능저하 내지는 퇴화에 있으며, 상기 중에서도 달팽이관의 유모세포 손상 내지 기능퇴화로 인한 청력이상이 주된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LLLT를 청각신경계통에 적용하면 이명이나 난청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그동안 그 실용화를 위한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
Michael Seidman, MD 등은 ALC (Acetyl-L-Carnitine)와 ALA(Alpha Lipoic Acid)가 노화(aging)에 따른 달팽이관의 손상을 방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상기 효과는 미토콘드리아의 대사능력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레이져광을 내이 부분에 조사하면 이 부분의 미토콘드리아를 자극함으로써 ATP의 생성을 촉진시켜 달팽이관을 포함한 청각조직 전반을 활성화하게 되고 퇴화를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난청과 이명이 치유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직이, 독일의 Bad Fussing LLLT 연구센터의 Luts Wilden, MD 는 635 ~ 830nm 파장의 레이져광을 내이조직에 조사하여 달팽이관(cochlea)의 손상세포가 치유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상기 결과 고령자의 대부분이 앓고 있는 난청과 이명 문제를 LLLT로써 해결할 수 있음을 밝힌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을 위해서는 레이져광을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달팽이관을 포함한 내이조직에 조사할 필요가 있는데, 아직은 그 시술에 고도의 전문성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최적 파장과 출력의 조정이 어려워 일반 비전문가용으로 보급시키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력과 이명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달팽이관과 청각신경조직은 두부내의 내이조직 깊숙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 레이져광을 효과적으로 조사한다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따라서 비전문인이라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장착, 사용할 수 있는 기구의 개발이 필요해진다.
일반적으로 LLLT에 적합한 광선은 원적색광(far-red light)에서 근적외선(near-infrared) 범위의 파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범위의 광선은 조직속의 수분이나 혈액을 잘 통과하여 그 중의 35%이상이 미토콘드리아의 CCO에 흡수되어 ATP의 생성에 기여한다. 지금까지의 여러 실험에 의하면 특히 610 ~ 625nm, 660 ~ 690nm, 750 ~ 770nm, 그리고 815 ~ 860nm의 파장을 지닌 광이 광-생체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 조사 에너지 량은 생체조직 면적 1cm^2 당, 4 ~ 6J을 매일 1 ~ 2회씩 인가할 때 가장 좋은 효과가 나타나며 상기 수준 이상의 조사량은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도 밝혀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는 치료 부위의 조직에 직접 조사되는 에너지를 말하는 것이고 경피부 조사(trans cutaneous application)의 경우에는 피부에서 환부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표피, 지방층, 골격 등에 의한 감쇄량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가 없다.
지금까지의 임상보고에 의하면 대체로 50~500mW/cm^2범위의 광출력을 치료부위에 근접한 피부면에 지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수주일에서 수개월 동안 매일 인가하는 방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달팽이관을 포함하는 내이 조직에 대한 LLLT에서는 레이져광 조사기를 외이도를 통해 도입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체내조직에 대한 LLLT 와 같은 경피부조사가 아니고 환부에 대한 직접 조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것을 위해서는 레이져광 조사 유닛을 외이도를 통해 달팽이관의 최근접 거리까지 안전하게 삽입할 수 있는 구조의 이어피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 상기 이어피스는 외이도에 삽입하면 완전히 음향통로를 차단하기 때문에 치료 중에는 외부 음향을 들을 수가 없다. 따라서 이어피스를 착용 중에도 외부 음향을 들을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이명이 심한 환자는 난청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LLLT 이어피스에 보청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장시간의 치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명 및 난청은 달팽이관부 만이 아니고 그 주변의 넓은 조직의 퇴화나 이상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달팽이관부 부근의 보다 광범위한 혈관, 신경조직의 기능 활성화를 위해 측두부 전반에 대한 LLLT를 적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이명치료가 될 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외이도 밖의 귓불 밑에 추가로 또 하나의 레이져광 조사 유닛를 장착하여 경피조사(transcutaneous application)를 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가 있다. 이때는 투과성이 큰 비교적 장파장의 레이져광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를 위한 장치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외이도에 극소형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LD)가 부착된 이어피스를 삽입하여 달팽이관과 그 주변 조직에 레이져광을 직접 조사하는 동시에, 귓불 밑 측두하와(側頭下窩)부에도 또 하나의 LD를 장착하여 경피적(transcateous)으로 청각기관 전역에 레이져광을 폭 넓게 조사함으로써 청각계 신경조직 전반을 활성화 내지는 재생(rejuvenati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두하와 부분은 두개골이 없기 때문에 레이져광의 경피부 투과조사방식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 LLLT형 이명 및 난청치료기는 600~860nm 영역의 파장을 지닌 LD를 1 내지 2개를 외이도에 알맞게 삽입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이어피스와, 이와는 별도로 귓불 밑의 측두하와(側頭下窩)부에 장착할 800~1000nm 범위의 LD 1 개로 된 LD유닛을 부착한 헤드셋 또는 이어세트와 이들을 구동하고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 이명 및 난청 치료기가 달팽이관을 포함한 내이 부분 전역에 레이져광이 조사되는 모양을 나타낸 모형도이다.
외이도용 이어피스는 외이도에 알맞게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된 친피부성의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관 끝에 소형 LD를 장착하는 방식과 LD는 컨트롤러 속에 내장해 두고 그 광출력을 광파이버를 통해 이어피스 끝으로 유도하고 광파이버 선단에서 확산 렌즈를 통하여 직접 조사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외이도용 이어피스는 사용 중에는 외이도가 이어피스에 의해 막혀서 외부 소리를 들을 수가 없기 때문에 본 이어피스에는 사용 중에도 외부 소리가 들어올 수 있도록 음향공이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명환자는 난청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외이도 삽입 이어피스에는 소형 보청장치를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귓불 밑 측두하와(側頭下窩)부에 경피부형 LLLT를 위한 LD유닛을 장착하게 되는데, 이것을 위해서는 비교적 장파장의 800~1000nm 범위의 LD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LLT에 의한 이명 치료 경과는 비교적 완만하여 수 주에서 수 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조사기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명이 심한 환자를 위해서는 별도로 마스킹 요법을 병행하면 치료 시초부터 이명을 경감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심리치료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이명이 있는 환자에게 적절한 합성 음향을 들리게 하면 이명이 차폐되어 이명을 느끼지 않게 된다는 것은 음향의 마스킹 효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 현상을 이용한 이명 마스킹요법도 공지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한 이명 차단작용은 마스킹 음향이 인가되고 있는 동안만 작용하고 마스킹 음원을 제거하면 이명이 재발한다는 것이 결점이다. 그러나 환자에 따라서는 마스킹 음원이 제거된 후에도 상당시간 이명이 들리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LLLT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마스킹 음원이 제거된 후의 이명 차폐시간이 더 길어진다는 보고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어피스 내에 마스킹 음원을 내장하여 LLLT와 함께 마스킹 요법을 병용함으로서 환자로 하여금 치료초기부터 이명이 제거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심리요법의 효과도 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스킹 음원의 주파수와 파형, 강도 등은 환자에 따라 최적치가 정의되어 있으므로 상기 경우에는 외부에 마스킹 음원 컨트롤러를 두고 항상 최적값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이어피스용 LD와 외장용 LD는 각각 독립된 전원 컨트롤러로써 구동되는데, 이 컨트롤러에는 각각 LD의 조사출력, 조사시간 및 동작순서 등을 미리 입력시켜 놓고 필요에 따라 자동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모든 구성품은 비전문인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헤드세트 또는 이어세트형으로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LD를 외이도에 삽입하여 달팽이관과 그 주변 조직에 레이져광을 직접 조사하거나 귓불 밑 측두하와(側頭下窩)부에도 또 하나의 LD를 장착하여 경피적(transcateous)으로 내이부 전역에 레이져광을 고르게 조사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청각계 신경조직을 활성화 내지는 재생(rejuvenation)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가 있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청각계 신경조직의 활성화 내지 재생을 촉진시킴으로서 이명이나 난청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이명 및 난청 레이져광 치료기를 장착한 경우의 LLLL의 조사범위를 설명한 모형도
도2는 본 발명의 외이도 삽입용 단일 LD 조사형 이어피스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외이도 삽입용 단일 LD 조사형 이어피스에 보청기를 첨가한 경우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이명 및 난청 레이져광 치료기의 이어피스 및 외부유닛을 구비한 구조도
도5는 본 발명의 이명 및 난청 레이져광 치료기의 장착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이명 및 난청 레이져광 치료기에 컨트롤러를 구비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외이도 삽입용 복수 LD 조사형 이어피스에서 복수개의 LD-광파이버 조명 세트를 사용한 경우의 이어피스 단면도와 컨트롤러의 표시도
도8은 도7의 외이도 삽입용 복수 LD 조사형 이어피스에서 광 복합기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레이져광을 조합하여 단일 LD-광파이버 조명 형식을 사용한 경우의 이어피스 단면도와 컨트롤러의 표시도
도9는 도7 내지 도8의 외이도 삽입형 복수 LD 조사형 이어피스에서 마스킹 음향 발생기를 사용한 경우의 이어피스 단면도와 컨트롤러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적용한 경우의 총체적인 이명 치료 진전도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치료기는 도1에서와 같이 외이도에 직접 삽입하여 달팽이관과 그 주변 조직에 레이져광을 직접 조사하는 외이도 삽입유닛(10, 20, 30)과 귓불 밑 측두하와(側頭下窩)부에 장착하여 경피적으로 내이부 전역에 레이져광을 광범위하게 조사하는 외부유닛(40)으로 구성된다.
이하 실시예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2 내지 도6에 본 실시예 1에 따른 이명 및 난청 치료 장치를 도시하였다.
이어피스는 도2와 같이 외이도에 가볍게 삽입할 수 있도록 제작한 친피부성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관(101)으로 되어 있으며 그 한 쪽 끝에 레이져 다이오드 LD(11)를 장착하고 전원선(172)으로써 컨트롤러에 접속이 된다.
LD(11)는 610nm~780nm 파장 범위 중에서 임상 실험을 통해 가장 효과가 큰 파장으로 공지되어 있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660nm 파장형과 780nm 파장형의 LD중에서 택일하고 그 광 출력은 50~300mW/cm^2 범위에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이어피스는 외이도에 삽입하여도 외부의 음향이 들어올 수 있도록 음향공(16)을 뚫어 놓는다.
외부유닛(40)은 경피형 LLLT를 위한 조사기이므로 피부와 지방층 등에 의한 감쇄가 적은 장파장의 LD를 사용한다. 그러나 적외선 영역이 되면 생체효과 보다 열 효과가 커짐으로 대체로 800 ~ 1000nm 파장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808nm 파장형을 사용 채택하고 그 광출력은 50~800mW/cm^2의 범위가 되도록 한다.
외이도 삽입형 이어피스(10)와 외부유닛(40)은 도4와 같이 가요성 재료로 된 이어 후크(50)에 고정하여 도5와 같이 환자의 치료를 원하는 측의 귀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두 귀가 모두 치료를 요하는 경우에는 도6과 같이 대칭으로 접속하여 사용한다.
치료시에는 컨트롤러(70)에 의해 각에 인가되는 구동전력의 파형, 길이, 시간 간격을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한다.
청력이 많이 저하되어 있는 환자를 위해서는 도3과 같이 보청장치를 내장하는 구조로 만든 이어피스 20 을 사용한다. 상기에서는 외부 음향은 취음공(14)을 통해서 증폭기(151)에 입력이 되어, 증폭된 후, 스피커(15)에서 출력되고 출력공(16)을 통해서 외이도에 전달된다.
실시예 2.
상기와 같이 LLLT를 위한 조사광은 피조사 생체조직의 위치, 부위 등에 따라서 최적 파장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단일파장으로 조사하는 것 보다는 복수개의 상이한 파장의 광을 동시에 조사하는 것이 보다 좋은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LD를 좁은 이어피스 끝에 고정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LD 유닛은 외부에 위치시키고 그 광출력을 광파이버로서 외이도에 유도하여 이어피스 끝에서 방출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도7은 2개의 상이한 파장의 레이져광을 사용하는 경우인데, 여기서 LD(113,114)는 외부의 컨트롤러 유닛(200) 속에 내장해 두고, 상기 광 출력을 각각 독자적인 광파이버(115)로써 이어피스(103) 끝으로 유도한 후, 두 개의 광파이버 단말(111,112)에서 각각 방출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컨트롤러부(200)의 전원은 컨트롤러부 전원선(173)에 의해서 공급되거나 전지 (116)을 컨트롤러부(200)에 내장하여 휴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LD는 610nm~780nm 범위에서 가급적 서로 출력광의 스텍터가 중첩되지 않도록 선정하되 바람직하게는 지금까지의 임상사례에서 유효성이 공시되어 있는 파장 중에서 선정한다. 또, 그 광출력은 파이버의 단말에서 대체로 10~500mW/cm^2 의 범위가 되도록 한다.
컨트롤러(116)는 각각의 LD(113, 114)에 인가되는 구동전력의 파형, 길이, 시간 간격을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실시예 3.
도8은 3개의 상이한 파장의 레이져광을 사용하는 경우인데, 여기서는 각각 LD(114)가 독자적인 광파이버를 사용하지 않고 광 복합기(117)을 이용하여 복합한 후, 단일 광파이버(115)로써 이어피스(103)끝까지 유도한 후, 단일 광파이버 단말(112)에서 방출한다.
여기서 3개의 LD는 610nm~780nm 범위 중에서 가급적 서로 출력광의 스텍터가 중첩되지 않도록 선정하되 바람직하게는 지금까지의 임상사례에서 유효성이 공시되어 있는 파장 중에서 선정하고 그 복합 광출력은 파이버의 단말에서 대체로 10~500mW/cm^2 의 범위가 되도록 한다.
컨트롤러(116)는 각 LD(114n)에 인가되는 구동전력의 파형, 길이, 시간 간격을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각 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 4 는 위 실시예 2에 마스킹 치료법을 추가한 것으로써 도9와 같이 이어피스 내부에 마스킹 음원을 내장하여 LLLT 치료 중에도 마스킹 음향을 외이도에 인가하여 즉석에서 이명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LLLT의 효과는 길게는 수개월 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마스킹 치료법을 병용하면 치료초기에도 이명이 경감되는 것을 느끼게 되고, LLLT 치료가 진전되는데 따라 마스킹 음원을 제거한 후에도 마스킹 효과가 지속되는 링깅 효과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이명치료가 가능해 진다.
마스킹 치료용 음향은 마스킹 음향 발생기(300)에서 미리 세팅된 주파수, 강도, 파형의 음향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는 신호선(302)를 경유하여 이어피스(103) 내의 소형 스피커(301)에 공급이 된다. 소형 스피커(301)의 출력은 이어피스 끝단의 음향공(16)을 통하여 외이도에 방출이 되고 이 음향은 이명의 원천인 청각신경 계통에 작용하여 마스킹 효과로서 이명을 치료하게 된다. 동시에 광파이버 단말(111, 112)에서 방출된 레이져광이 달팽이관 부근에 조사되기 때문에 LLLT치료도 병행된다.
도10은 실시예 4를 적용한 경우의 총체적인 이명 치료 진전도를 표시한 것이다. 즉, 치료초기에는 LLLT의 효과가 잘 들어나지 않기 때문에 마스킹 효과에 의해 이명이 감소되고, 치료기간이 경과할수록 LLLT에 의해 현저하게 이명이 감소해져서, 일정 기간 후에는 마스킹 음원이 없어도 이명이 경감 내지 제거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마스킹 음은 이명 환자의 특성에 따라 주파수, 파형, 강도 등의 최적합한 음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외부의 마스킹 음향 발생기(300)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10, 20, 30 : 외이도 삽입유닛 40 : 외부유닛
50 : 이어 후크 60 : 전원선
70 : 컨트롤러 171, 172 : 전원선
16 : 음향공 101, 102 : 실리콘 관
11 : LD 103 : 이어피스
151 : 증폭기 14 : 취음공
15 : 스피커 16 : 음향공
111, 112 : 광파이버 단말 113, 114 : LD
116 : 컨트롤러 115 : 광파이버
200 : 컨트롤러부 173 : 컨트롤러부 전원선
117 : 광 복합기 300 : 마스킹 음향 발생기
302 : 신호선 301 : 소형 스피커

Claims (11)

  1. 단파장 또는 복수파장의 저출력 레이져광을 외이도를 경유하여 내이부에 직접 조사하는 동시에; 외부적으로 측두하와부에 고정한 레이져광으로써 비교적 장파장의 레이져광을 경피부적으로 청각신경 계통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및 난청 치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외이도 조사광은 외이도에 삽입하기 적합한 구조로 된 이어피스 끝에 단수 또는 복수개의 소형 LD를 장착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및 난청 치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외이도 조사광은 외부 컨트롤러에 마련된 단수 또는 복수개의 레이져광으로부터 각각 광파이버를 통해서 외이도에 삽입하기 적합한 구조로 된 이어피스까지 전송된 후, 직접 광파이버 말단으로부터 내이부에 방출되도록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및 난청 치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외이도 조사광은 외부 컨트롤러에 마련된 단수 또는 복수개의 레이져광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광 복합기로써 복합하여 단일 광파이버로써 이어피스까지 전송된 후, 직접 광파이버 말단으로부터 내이부에 방출되도록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및 난청 치료기.
  5. 제 2 내지 4항에 있어서,
    이어피스에는 치료 중에 있어서도 외부 음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취음공이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및 난청 치료기.
  6. 제 2 내지 4항에 있어서,
    이어피스에는 치료 중에 있어서도 외부 음향이 고막에 도달될 수 있도록 음향공이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및 난청 치료기.
  7. 제 2 내지 4항에 있어서,
    이어피스에 난청환자를 위하여 보청기능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및 난청 치료기.
  8. 제 2 내지 4항에 있어서,
    이어피스에 마스킹 음원을 추가하여 이명이나 난청 치료에 LLLT 효과와 함께 마스킹 요법을 병용함으로서 그 상승작용으로 보다 효과적인 이명이나 난청 치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및 난청 치료기.
  9. 제1내지 2항에 있어서
    이어피쓰 선단에 부착시킬 LD는 파장이 610nm~780nm 범위에 들어가 있으며 그 출력이 10~500mW/cm^2 범위에 있는 것
  10. 제1항에 있어서
    귓불 하부에 부착할 LD는 파장이 800~1000nm 범위에 들어가 있으며 그 출력은 50~800mW/cm^2 범위에 있는 것
  11. 제3항 및 4항에 있어서
    복합사용할 복수개의 LD는 파장이 610nm~780nm 범위내에 들어 있되 가급적 각 각의 스펙터가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선정하고, 광파이버 선단의 복사전력이 10~500mW/cm^2의 범위에 있는 것.
KR1020120070593A 2012-06-29 2012-06-29 이명 및 난청 치료기 KR20140006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593A KR20140006236A (ko) 2012-06-29 2012-06-29 이명 및 난청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593A KR20140006236A (ko) 2012-06-29 2012-06-29 이명 및 난청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36A true KR20140006236A (ko) 2014-01-16

Family

ID=5014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593A KR20140006236A (ko) 2012-06-29 2012-06-29 이명 및 난청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23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677U (ko) 2015-01-22 2016-08-02 홍기선 이명 예방 및 치료기
WO2017208041A1 (en) * 2016-05-31 2017-12-07 Tamás Rózsa A low-power laser therapeutic device and its application
KR102314195B1 (ko) * 2021-06-23 2021-10-18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외이도 트리트먼트 장치
KR20230030369A (ko) * 2021-08-25 2023-03-06 유한회사 청텍 귀 질환 치료용 저출력 광조사 시스템
KR20230030370A (ko) * 2021-08-25 2023-03-06 유한회사 청텍 귀 질환 치료용 골전도 헤드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677U (ko) 2015-01-22 2016-08-02 홍기선 이명 예방 및 치료기
WO2017208041A1 (en) * 2016-05-31 2017-12-07 Tamás Rózsa A low-power laser therapeutic device and its application
KR102314195B1 (ko) * 2021-06-23 2021-10-18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외이도 트리트먼트 장치
KR20230030369A (ko) * 2021-08-25 2023-03-06 유한회사 청텍 귀 질환 치료용 저출력 광조사 시스템
KR20230030370A (ko) * 2021-08-25 2023-03-06 유한회사 청텍 귀 질환 치료용 골전도 헤드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445B1 (ko) 광음악요법을 위한 이어폰
CN108114378B (zh) 一种育发装置
CN106413810B (zh) 用于脑的非侵入式神经刺激治疗的系统和装置
Izzo et al. Optical parameter variability in laser nerve stimulation: a study of pulse duration, repetition rate, and wavelength
KR20190040685A (ko)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이명/난청 치료기
US20130041432A1 (en) Device for promoting growth of eyebrow hair
WO1996036396A2 (de) Therapiegerät mit einer laserbestrahlungsvorrichtung
KR20140006236A (ko) 이명 및 난청 치료기
KR101452917B1 (ko)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자기장 및 레이저의 복합자극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모예방 및 치료장치
KR101194961B1 (ko) 개방형 귀 치료 모듈
KR20150032994A (ko) 피부개선 및 발모용 광 요법 장치
Richter et al. Infrared neural stimulation in the cochlea
KR101483843B1 (ko) 전자계 펄스를 이용한 이명/난청 치료기
KR20210149767A (ko) 생체자극 광치료용 장치
WO2000035534A1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therapy
CN114209982A (zh) 基于声光互调和耦合刺激的无创神经调控系统及控制方法
US20130172960A1 (en) Method for low-level laser irradiation for hearing loss restoration
KR101483844B1 (ko) 전자계 펄스를 이용한 이명/난청 치료기
GB2441007A (en) Auricular therapy apparatus
JP2024510375A (ja) 認知症症状緩和装置
CN201676079U (zh) 声频激光耳病治疗系统
KR102574402B1 (ko) 인체케어용 광조합모듈 및 인체케어장치
Moser et al. Hearing the Light
US20210299463A1 (en) A hearing loss allevia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of same
KR102260917B1 (ko) 난청과 이명의 개선 및 예방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