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195A - 반향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반향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195A
KR20140006195A KR1020120069175A KR20120069175A KR20140006195A KR 20140006195 A KR20140006195 A KR 20140006195A KR 1020120069175 A KR1020120069175 A KR 1020120069175A KR 20120069175 A KR20120069175 A KR 20120069175A KR 20140006195 A KR20140006195 A KR 20140006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cho
terminal
adaptive filter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322B1 (ko
Inventor
조성문
전혜정
신원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3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8Two-way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signal, e.g. for suppressing echoes for one or both directions of traffic
    • H04M9/082Two-way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signal, e.g. for suppressing echoes for one or both directions of traffic using echo cancell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Processing of the speech or voice signal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021/02082Noise filtering the noise being echo, reverberation of the spee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에 장착되어 반향 신호를 제거하는 반향 제거 장치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원단화자의 음성 신호를 통해 제1 기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반향 신호를 제거하는 제1 적응형 필터 및 상기 제1 단말기에 입력된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를 통해 제2 기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기가 수신하는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반향 신호를 제거하는 제2 적응형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향 제거 장치{ECHO CANCELER DEVICE}
본 발명은 반향 제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단화자 및 원단화자 모두 반향이 제거된 음성 신호를 들을 수 있게 하는 반향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향 반향(Acoustic Echo)이란, 스피커에서 나온 소리가 물체나 벽 등에 반사되어 다시 마이크로 들어가 상대방에게 들리는 현상을 말한다. 음향 반향은 특히, 전화 통신망에서 많은 문제가 되고 있다.
전화 통신망에서의 음향 반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반향 신호를 정확하게 모형화하고, 반향 경로의 특성을 정확하게 추정해야 하므로, 적응형 필터(Adaptive Filter)를 적용한 반향 제거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적응형 필터에 쓰이는 가장 대표적인 알고리즘은 최소평균자승(LMS: 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이다. 최소평균자승 알고리즘은 계수 보정을 위한 계산이 간단하고, 기울기 추적 방법에 의해 쉽게 유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 구현이 용이하다. 따라서, 최소평균자승 알고리즘을 적용한 적응형 필터를 제어기로 하여 반향을 제거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적응형 필터를 포함한 종래의 반향 제거 장치는 원단화자(Far-end talker) 측에서만 반향이 제거된 효과를 얻고, 원단화자(Far-end talker) 측의 단말기에 반향 제거 장치가 있거나, 반향 제거 장치가 있어도 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 근단화자(Near-end Talker) 측에서는 반향이 제거된 효과를 보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원단화자(Far-end talker) 측의 단말기에 반향 제거 장치가 있거나, 반향 제거 장치가 있어도 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에 상관없이 근단화자(Near-end Talker) 측에서 반향이 제거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반향 제거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2개의 적응형 필터를 이용하여 원단화자의 음성 신호에 대한 반향 신호 및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에 대한 반향 신호를 모두 제거 할 수 있는 반향 제거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에 장착되어 반향 신호를 제거하는 반향 제거 장치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원단화자의 음성 신호를 통해 제1 기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반향 신호를 제거하는 제1 적응형 필터 및 상기 제1 단말기에 입력된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를 통해 제2 기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기가 수신하는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반향 신호를 제거하는 제2 적응형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원단화자의 음성 신호와 진폭의 크기에만 차이가 있는 신호이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상기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와 진폭의 크기에만 차이가 있는 신호이다.
상기 제1 적응형 필터는 상기 제1 기준 신호와 상기 제1 반향 신호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반향 신호의 제거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적응형 필터는 상기 제2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반향 신호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상기 제2 반향 신호의 제거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제2 적응형 필터는 상기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의 지연 시간 및 상기 제2 반향 신호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제2 반향 신호를 제거한다.
상기 원단화자의 음성 신호와 상기 전단화자의 음성 신호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 적응형 필터와 제2 적응형 필터를 구비하여, 원단화자의 음성 신호에 대응한 반향 신호를 제거할 수 있고, 동시에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에 대응한 반향 신호를 제거하여 원단화자뿐만 아니라, 근단화자도 자신의 음성 신호에 대응한 반향 신호가 제거된 상태의 음성 신호를 듣게 되어 통화에 불편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둘째, 원단화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반향 제거 장치의 존재여부에 상관 없이 근단화자 및 원단화자는 자신의 음성 신호에 대한 반향 신호가 제거된 상태의 상대방 음성 신호를 듣게 되어 통화에 불편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화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여 통화하는 중 반향이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단말기(10)에 적응형 필터를 적용하여 반향 신호를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향 제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향 제거 장치의 사용 예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향 제거 장치의 반향 제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화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여 통화하는 중 반향이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제1 단말기(10), 제2 단말기(20)는 모두 반향 제거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가정한다. 제1 단말기(10)를 사용하여 통화하는 화자를 근단화자(Near-end Talker), 제2 단말기(20)를 사용하여 통화하는 화자를 원단화자(Far-end talker)라 한다.
제1 단말기(10) 및 제2 단말기(20)는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e) 폰, GSM 폰, CDMA-2000 폰, WCDMA 폰과 같은 통상적인 이동 전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MBS(Mobile Broadcast System) 폰 일 수 있다.
제1 단말기(10) 및 제2 단말기(20)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11, 21)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2,22)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원단화자(X)에 의해 음성 신호(A)가 제2 단말기(20)의 마이크를 통해 제1 단말기(10)로 전송된다. 제1 단말기(10)는 음성 신호(A)를 수신하여 제1 단말기(10)의 스피커(12)로 음성 신호(A)를 출력한다. 스피커(12)로 출력된 음성 신호(A)는 외부의 물체나 벽 등에 의해 진폭이 감소되어, 음성 신호(a)로 변환될 수 있다. 변환된 음성 신호(a)는 제1 단말기(10)의 마이크(11)로 입력될 수 있고, 제1 단말기(10)의 마이크(11)로 입력된 음성 신호(a)는 제2 단말기(20)로 전송되고, 제2 단말기(20)의 스피커(21)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원단화자(X)는 음성 신호(A)보다 진폭이 감소되어 변형된 음성 신호(a)를 자신이 사용하는 제2 단말기(20)의 스피커(22)로부터 들을 수 있다. 즉, 여기서 변환된 음성 신호(a)가 바로 반향 신호이고, 반향 신호로 인해 원단화자(X)는 근단화자(Y)와의 통화를 수행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특히, 근단화자(Y)의 통화 음성 신호와 반향 신호가 동시에 제2 단말기(20)의 스피커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원단화자(X)는 더욱 더 통화에 혼란을 느낄 수 있다.
도 2는 제1 단말기(10)에 적응형 필터를 적용하여 반향 신호를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향 제거 장치(11)는 제1 단말기(10)에 설치될 수 있다.
반향 제거 장치는 통화 검출부(13a), 적응형 필터(13b)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검출부(13a)는 원단화자(X)의 음성 신호(A)와 근단화자(Y)의 음성 신호(B)가 동시에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1 단말기(10)가 동시통화 모드 또는 단일통화 모드인지 검출할 수 있다. 즉, 통화 검출부(13a)는 원단화자(X)의 음성 신호(A)와 근단화자(Y)의 음성 신호(B) 중 어느 하나의 음성 신호만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가 단일통화 모드에 있음을 검출할 수 있고, 원단화자(X)의 음성 신호(A) 및 근단화자(Y)의 음성 신호(B) 모두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가 동시통화 모드에 있음을 검출할 수 있다.
적응형 필터(13b)는 통화 검출부(13a)로부터 동시통화 모드 또는 단일통화 모드인지 여부에 대한 통화모드 정보를 수신하여 필터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적응형 필터(13b)는 제2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A)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적응형 필터(13b)는 통화 검출부(13a)로부터 통화모드 정보에 따라 결정된 필터 계수와 수신한 음성 신호(A)를 이용하여 기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기준 신호는 수신한 음성 신호(A)를 다른 음성 신호와 구분 지을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준 신호는 음성 신호(A)의 파형을 유지하면서, 음성 신호(A)보다 진폭의 크기가 작은 또는 음성 신호(A)보다 진폭의 크기가 큰 음성 신호일 수 있다.
적응형 필터(13b)는 상기 기준 신호와 제1 단말기(10)의 스피커(12)를 거쳐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A)에 대한 반향 신호(a)를 비교하여, 반향 신호(a)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응형 필터는 기준 신호와 반향 신호(a)를 비교하여, 제1 단말기(10)의 마이크에서 출력된 반향 신호(a)가 기준 신호와 일치하는 경우, 반향 신호(a)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단말기(20)는 반향 신호(a)가 제거된 근단화자(Y)의 음성 신호(B)만을 수신할 수 있고, 원단화자(X)는 자신의 음성 신호(A)에 대한 반향 신호(a)를 들을 수 없다. 즉, 원단화자(X)는 반향 신호(a)가 제거된 근단화자(Y)의 음성 신호(B)를 들을 수 있어, 통화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2 단말기(20)에 반향 제거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또는 제2 단말기(20)에 반향 제거 장치가 구비되어 있더라도 반향 신호를 제거하는 성능이 다소 떨어지는 경우, 근단화자(Y)는 자신이 입력한 음성 신호(B)에 대한 반향 신호를 들을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원단화자(X) 측의 제2 단말기(20)에 반향 제거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또는 제2 단말기(20)에 성능이 떨어지는 반향 제거 장치가 구비된 경우라도, 근단화자(Y)도 자신의 음성 신호에 대한 반향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향 제거 장치를 사용하여 원단화자(X)의 음성 신호로 인해 발생하는 반향 신호 및 근단화자(Y)의 음성 신호로 인해 발생하는 반향 신호를 모두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향 제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향 제거 장치의 사용 예를 보여준다. 특히, 도 4는 제2 단말기(200)에 반향 제거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이고, 도 5는 제2 단말기(200)에 반향 제거 장치가 구비된 경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향 제거 장치(150)는 제1 적응형 필터(151) 및 제2 적응형 필터(1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향 제거 장치(150)는 도 2에서 설명한 통화 검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반향 제거 장치(150)는 원단화자(X)의 음성 신호로 인해 발생하는 제1 반향 신호 및 근단화자(Y)의 음성 신호로 인해 발생하는 제2 반향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한다.
제1 적응형 필터(151)는 제2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제1 기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적응형 필터(153)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에 대한 제1 반향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기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기준 신호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의 파형을 유지하면서, 진폭의 크기에만 차이가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제1 적응형 필터(151)는 생성된 제1 기준 신호와 제1 단말기(100)의 스피커(130)를 거쳐 마이크(110)로 입력되는 제1 반향 신호를 비교하여, 제1 기준 신호와 제1 반향 신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비교결과, 제1 기준 신호와 제1 반향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제1 적응형 필터(151)는 제1 반향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제1 단말기(100)의 마이크(110)에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적응형 필터(151)는 제1 반향 신호가 제거된 상태에서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원단화자(X)의 음성 신호(A)는 제1 단말기(100)에 수신된다. 제1 적응형 필터(151)는 음성 신호(A)에 대한 제1 반향 신호(a)가 마이크(11)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제1 반향 신호(a)를 제거할 수 있고, 근단화자(Y)의 음성 신호(B)만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설명하면, 제1 적응형 필터(151)는 제1 단말기(100)의 스피커(130)를 통해 입력되는 제1 반향 신호이외의 외부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외부 잡음은 제1 반향 신호 및 근단화자(Y)의 음성 신호를 제외한 제1 단말기(100)의 주변 환경에 의한 소음일 수 있다.
제2 적응형 필터(153)는 근단화자(Y)의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제2 기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2 적응형 필터는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에 대한 제2 반향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근단화자(Y)의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기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반향 신호는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가 제2 단말기(200)의 스피커로 출력될 시, 생성된 신호로 제2 단말기(200)의 마이크로 입력되어 제1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신호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기준 신호는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의 파형을 유지하면서, 진폭의 크기에만 차이가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제2 적응형 필터(153)는 생성된 제2 기준 신호와 제2 단말기(200)의 스피커를 거쳐 마이크로 입력되는 제2 반향 신호를 비교하여, 제2 기준 신호와 제2 반향 신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제2 기준 신호와 제2 반향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제2 적응형 필터(153)는 제2 반향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제2 단말기(200)의 마이크에 원단화자(X)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적응형 필터(153)는 제2 반향 신호가 제거된 상태에서 원단화자의 음성 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적응형 필터(153)는 제1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근단화자(Y)의 음성 신호(B)를 수신하여, 제2 기준 신호를 생성한다. 제2 적응형 필터(153)는 음성 신호(B)에 대한 제2 반향 신호(b)가 제2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제2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제2 반향 신호(b)를 제거할 수 있고, 원단화자(X)의 음성 신호(A)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적응형 필터(153)는 음성 신호(B) 및 제2 반향 신호(b)에 대한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제2 반향 신호(b)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음성 신호(B)가 제2 단말기(200)로 전송되어 음성 신호(B)에 대한 제2 반향 신호(b)가 제1 단말기(100)로 전송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므로, 제2 적응형 필터(153)는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제2 반향 신호(b)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지연 시간은 음성 신호(B)는 통신망을 통해 제2 단말기(200)로 전송될 때 걸리는 시간, 제2 단말기(200)의 수신 경로를 거쳐 스피커(230)에 출력되기까지 걸리는 시간, 스피커(230)를 거쳐 제2 반향 신호(b)가 마이크(210)로 입력되기까지 걸리는 시간, 마이크(210)에 출력되고, 제2 단말기(200)의 송신 경로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 통신망을 통해 제2 반향 신호(b)가 제1 단말기(100)로 전송될 때 걸리는 시간 등을 모두 포함하는 시간일 수 있다.
제1 적응형 필터(151) 및 제2 적응형 필터(153)는 반향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최소평균자승(LSM: Least Mean Square), 정규화된 최소평균자승(NLMS: Normalized Least Mean Square), 아핀 추정(APA: Affine Projection Algorithm) 등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각 알고리즘은 공지 기술이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에 적응형 필터(250)를 구비한 경우를 예시하였고, 이 경우에도 도 4와 같은 과정에 의해 근단화자(Y) 및 원단화자(X)는 자신의 음성 신호에 대한 반향 신호가 제거된 상태의 상대방 음성 신호를 들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향 제거 장치(150)는 제1 적응형 필터와 제2 적응형 필터를 구비하여, 원단화자의 음성 신호에 대응한 반향 신호를 제거할 수 있고, 동시에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에 대응한 반향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원단화자뿐만 아니라, 근단화자도 자신의 음성 신호에 대응한 반향 신호가 제거된 상태의 음성 신호를 듣게 되어 통화에 불편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원단화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반향 제거 장치의 존재여부에 상관 없이 근단화자 및 원단화자는 자신의 음성 신호에 대한 반향 신호가 제거된 상태의 상대방 음성 신호를 듣게 되어 통화에 불편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향 제거 장치의 반향 제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향 제거 방법은 도 3 내지 도 5의 내용과 결부시켜 설명한다.
먼저, 제1 적응형 필터(151)는 원단화자(X)의 음성 신호(A)를 수신한다(S101).
제1 적응형 필터(151)는 수신한 음성 신호(A)를 저장한다(S103).
제1 적응형 필터(151)는 저장된 음성 신호(A)를 이용하여 제1 반향 신호(a)를 제거하기 위한 제1 기준 신호를 생성한다(S105). 일 실시 예에서 제1 기준 신호는 원단화자(X)의 음성 신호(A)의 파형과 진폭의 크기만 다른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기준 신호는 제1 반향 신호(a)를 감쇄시키는 파형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그 후, 제1 반향 신호(a)가 제1 단말기(100)의 마이크(110)를 거쳐 반향 제거 장치(150)로 입력되는 경우, 제1 적응형 필터(151)는 제1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제1 반향 신호(a)를 제거한다(S107). 일 실시 예에서 제1 적응형 필터(151)는 제1 기준 신호와 제1 반향 신호(a)를 비교하여, 두 신호의 파형이 일치하는 경우, 제1 반향 신호(a)를 제거할 수 있다.
그 후, 제2 적응형 필터(153)는 근단화자(Y)의 음성 신호(B)를 수신한다(S109).
제2 적응형 필터(153)는 수신한 음성 신호(B)를 저장한다(S111).
제2 적응형 필터(153)는 저장된 음성 신호(B)를 이용하여 제2 반향 신호(b)를 제거하기 위한 제2 기준 신호를 생성한다(S113). 일 실시 예에서 제2 기준 신호는 근단화자(Y)의 음성 신호(B)의 파형과 진폭의 크기만 다른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기준 신호는 제2 반향 신호(b)를 감쇄시키는 파형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적응형 필터(153)는 제2 기준 신호와 제2 반향 신호(b)를 비교하여, 두 신호의 파형이 일치하는 경우, 제2 반향 신호(b)를 제거할 수 있다.
단계(S103) 및 단계(S111)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S109) 내지 단계(S115)의 과정은 단계(S101)의 전 단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향 제거 장치(150)는 제1 적응형 필터와 제2 적응형 필터를 구비하여, 원단화자의 음성 신호에 대응한 반향 신호를 제거할 수 있고, 동시에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에 대응한 반향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원단화자뿐만 아니라, 근단화자도 자신의 음성 신호에 대응한 반향 신호가 제거된 상태의 음성 신호를 듣게 되어 통화에 불편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원단화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반향 제거 장치의 존재여부에 상관 없이 근단화자 및 원단화자는 자신의 음성 신호에 대한 반향 신호가 제거된 상태의 상대방 음성 신호를 듣게 되어 통화에 불편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제1 단말기
110: 마이크
130: 스피커
150: 반향 제거 장치
151: 제1 적응형 필터
153: 제2 적응형 필터
200: 제2 단말기
210: 마이크
230: 스피커
250: 적응형 필터
X: 원단화자
Y: 근단화자

Claims (5)

  1. 제1 단말기에 장착되어, 반향 신호를 제거하는 반향 제거 장치에 있어서,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원단화자의 음성 신호를 통해 제1 기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반향 신호를 제거하는 제1 적응형 필터; 및
    상기 제1 단말기에 입력된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를 통해 제2 기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기가 수신하는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반향 신호를 제거하는 제2 적응형 필터를 포함하는 반향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상기 원단화자의 음성 신호와 진폭의 크기에만 차이가 있는 신호이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상기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와 진폭의 크기에만 차이가 있는 신호인 반향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응형 필터는 상기 제1 기준 신호와 상기 제1 반향 신호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반향 신호의 제거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적응형 필터는 상기 제2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반향 신호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상기 제2 반향 신호의 제거여부를 결정하는 반향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응형 필터는 상기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의 지연 시간 및 상기 제2 반향 신호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제2 반향 신호를 제거하는 반향 제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의 지연 시간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되는 시간, 상기 제2 단말기의 수신 경로 및 송신 경로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향 신호의 지연 시간은 상기 근단화자의 음성 신호가 상기 제2 단말기의 스피커를 거쳐 마이크로 입력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포함하는 반향 제거 장치.
KR1020120069175A 2012-06-27 2012-06-27 반향 제거 장치 KR101915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175A KR101915322B1 (ko) 2012-06-27 2012-06-27 반향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175A KR101915322B1 (ko) 2012-06-27 2012-06-27 반향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95A true KR20140006195A (ko) 2014-01-16
KR101915322B1 KR101915322B1 (ko) 2018-11-05

Family

ID=5014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175A KR101915322B1 (ko) 2012-06-27 2012-06-27 반향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32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65B1 (ko) 2010-04-19 2011-07-04 신두식 스피커의 차등신호를 이용한 이어마이크폰의 에코현상 제거기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322B1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023B1 (ko) 적응형 잡음 제거 시스템에서 잡음 방지 생성기 응답 및 2차 경로 응답의 시퀀싱된 적응
KR102124761B1 (ko) 적응형 잡음 제거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 톤 검출 및 2차 경로 응답 모델의 적응
KR102032112B1 (ko) 잡음 제거 개인용 오디오 디바이스에서 2차 경로 적응형 응답의 잡음 버스트 적응
KR102124760B1 (ko) 이어스피커 채널들 중에서 적응형 잡음 제거(anc)의 조정된 제어
EP2988301B1 (en) Echo suppression device and echo suppression method
KR102031537B1 (ko) 적응형 잡음 제거(anc)를 갖는 개인용 오디오 디바이스들에서 주파수 및 방향 의존 주변 사운드 조절
KR101540896B1 (ko)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의 마스킹 신호 생성
US8811602B2 (en) Full duplex speakerphone design using acoustically compensated speaker distortion
KR20160055871A (ko) 부 경로를 트레이닝하기 위해 내부 백색 잡음을 적응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적응형 잡음 소거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WO2009117084A2 (en) System and method for envelope-based acoustic echo cancellation
CN105308942A (zh) 回波消除
US9191519B2 (en) Echo suppressor using past echo path characteristics for updating
CN103534942A (zh) 处理音频信号
TWI506620B (zh) 通訊裝置及其語音處理方法
US9373338B1 (en) Acoustic echo cancellation processing based on feedback from speech recognizer
US9491306B2 (en) Signal processing control in an audio device
US8406430B2 (en) Simulated background noise enabled echo canceller
US8126160B2 (en) Use of non-audible band to relay information for echo cancellation in a distributed media system
CN111210799A (zh) 一种回声消除方法及装置
US9392365B1 (en) Psychoacoustic hearing and masking thresholds-based noise compensator system
CN106297816B (zh) 一种回声消除的非线性处理方法和装置及电子设备
US20230058981A1 (en) Conference terminal and echo cancellation method for conference
KR101915322B1 (ko) 반향 제거 장치
WO2012105940A1 (en) Speech quality enhancement in telecommunication system
JP4735419B2 (ja) 音声通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