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542A -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542A
KR20140005542A KR1020120073058A KR20120073058A KR20140005542A KR 20140005542 A KR20140005542 A KR 20140005542A KR 1020120073058 A KR1020120073058 A KR 1020120073058A KR 20120073058 A KR20120073058 A KR 20120073058A KR 20140005542 A KR20140005542 A KR 20140005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
goods
information
user terminals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8255B1 (ko
Inventor
김세진
Original Assignee
김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진 filed Critical 김세진
Priority to KR1020120073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2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제공 웹서버가 공동명의 구매를 위한 재화데이터를 웹 페이지 형태의 게시판에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정보제공 웹서버가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n 보다 큰 수)로 구성된 사용자단말 집합체 중 제 1 사용자단말이 통신망을 통한 액세스(Access)에 따라 상기 재화데이터에 해당하는 재화에 대한 공동구매를 위한 클럽을 개설하는 제 2 단계; 공동구매서버가 상기 재화에 대한 공동구매를 위해 상기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m) 중 상기 제 1 사용자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갖는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m 보다 작은 수)로부터 미리 설정된 모집 인원수(L개, L은 n과 같거나 n보다 크고 m보다 적은 자연수)만큼의 가입 요청을 대기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동구매서버가 상기 개설된 클럽과 매칭되는 재화데이터에 해당하는 재화에 대한 구매를 대행하는 제 4 단계; 및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개설된 클럽에 가입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대해 클럽 개설에 따라 생성한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른 각 스케줄에 해당하는 날 이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각각으로 재화 수령 통지를 수행하여 상기 재화에 대한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라 사용하도록 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joint use service based on cooperative buying}
본 발명은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치품과 같은 고가의 재화에 대한 구매가 꺼려지는 경우 공동구매 방식으로 구매에 따른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른 순차적 사용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상거래와 인터넷 쇼핑몰 또는 소셜커머스를 이용한 상품에 대한 최저가로 제공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웹사이트가 등장하고 있다.
즉, 옥션, 지마켓, 11번가, 롯데닷컴, 신세계몰, 보배드림, sk엔카, 기타 수많은 웹사이트는 실수요자에게 익명의 판매자를 이용한 판매 방식으로 가격이 비싸고, 사용빈도가 낮은 사치품들도 중저가 상품과 동일한 방식으로 판매되고 있다.
예컨대, 명품백이 1,000만원이면 구매예정자는 결국 그 값을 100% 지불해야만 해당 백을 소유할 수가 있다. 특정일만 필요해 렌탈 샵을 찾으려면 렌탈 사이트마다 판매하는 모델이 다르고 대여 금액도 달라 검색하는데 매우 까다롭고, 보증금과 렌트비, 보험 여부 등이 달라 비교하기도 어렵다. 하루 렌탈비가 20만원이라고 가정하면 50일만 렌탈해도 초기구입비용과 맞먹는다. 그렇다면 30일 내지 40일 사용하고 싶은 사용자는 구입하기에도 렌탈 하기에도 난감하다.
좀더 정확한 일 예를 들면 고가의 자동차를 하루 렌트하는 비용은 466,000원이고 7일 이상 렌트할 시 할인요율이 적용되어 일일 373,000원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격일로 렌트하는 사람은 할인요율도 낮게 책정되며, 한 달(30일 가정) 렌트시 산술적으로 11,900,000원이라는 비용이 나온다. 같은 차종을 리스 또는 장기 렌트할 경우 일일 운용비용이 하루 5만원 꼴로 현저하게 줄어들어 한 달 평균비용이 1,523,000원 정도이나 1년 미만의 리스, 렌트가 불가능하여 1년 사용시 18,276,000원을 지출하게 된다. 이럴 경우 3달만 사용하려는 사용자는 고가의 자동차를 사야할지 렌트를 해야할지 애매한 경우가 발생한다.
[관련기술문헌]
1. 인터넷 전자상거래에서 3가지 공동구매방법과 사이버 머니활용법(Usage of cyber money and three methods of grouppurchasing in e-commerce(Direct dealing, agents, product on demand group purchasing methods)(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54730호)
2. 개별구매를 하면 곧 공동구매로 이어지는 역시장을 형성하는 공동구매방법(Reverse Market Forming Group-buying Method Where Individual-buying Automaticaly Progresses Group-buying)(특허출원번호 제10-2006-004222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가의 재화를 여러 사람이 함께 '공동구매'의 형식으로 구매하되, 각기 하나씩의 재화를 구매해서 대량구매에 의한 가격경쟁력을 가져오는 기존의 공동구매와 달리, 하나의 재화를 여러 사람이 함께 구매하고 돌아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구현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빈도가 낮지만 고가의 재화에 대한 비용부담을 분담하고, 구성원들이 돌려 사용하는 과정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온라인상의 협의 공간을 개설하기 위한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은, 정보제공 웹서버가 공동명의 구매를 위한 재화데이터를 웹 페이지 형태의 게시판에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정보제공 웹서버가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n 보다 큰 수)로 구성된 사용자단말 집합체 중 제 1 사용자단말이 통신망을 통한 액세스(Access)에 따라 상기 재화데이터에 해당하는 재화에 대한 공동구매를 위한 클럽을 개설하는 제 2 단계; 공동구매서버가 상기 재화에 대한 공동구매를 위해 상기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m) 중 상기 제 1 사용자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갖는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m 보다 작은 수)로부터 미리 설정된 모집 인원수(L개, L은 n과 같거나 n보다 크고 m보다 적은 자연수)만큼의 가입 요청을 대기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동구매서버가 상기 개설된 클럽과 매칭되는 재화데이터에 해당하는 재화에 대한 구매를 대행하는 제 4 단계; 및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개설된 클럽에 가입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대해 클럽 개설에 따라 생성한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른 각 스케줄에 해당하는 날 이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각각으로 재화 수령 통지를 수행하여 상기 재화에 대한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라 사용하도록 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제 3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사이에, 보증보험서버가, 상기 개설된 클럽에 가입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사이의 상기 재화에 대한 거래 중간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를 위한 공통의 보험료를 산정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각각으로 청구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공동구매서버가 상기 구매에 대한 대행 수행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구매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개설된 클럽을 구성하기 위해 가입 요청을 전송한 상기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으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한 메시지 교환에 따른 상기 재화에 대한 사용순서 합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3-1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순서 합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 생성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의한 상기 정보제공 웹서버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조회가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2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미리 설정된 모집 인원수가 상기 L개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3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모집 인원수 L개에서 부족한 사용자수에 해당하는 지분수 만큼을 구매하며 구매한 지분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4 단계; 및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 중 각 지분권을 갖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해당하는 일자의 통보를 위한 사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서의 상기 구매한 지분수 만큼에 해당하는 일자의 활용을 위한 활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4 단계는,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L - n = k"를 연산하여 k에 해당하는 지분수 만큼의 상기 재화의 사용에 대한 사용권한을 직접 매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라 상기 재화에 대한 사용자 변경시 또는 재화에 대한 변경전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재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제 5-1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시마다 수신된 히스토리 정보를 반영한 상기 재화에 대한 잔존가치평가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5-2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잔존가치평가 데이터 각각에 대한 업데이트에 따라 상기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대한 별점을 부가한 뒤, 부가된 별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5-3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잔존가치평가 데이터 각각에 대한 업데이트의 원인이 된 사용자단말에 대해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간의 상기 통신망을 통한 합의를 통해 생성된 합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5-4 단계; 및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합의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재화에 대한 매각 또는 배상을 수행하는 제 5-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5-5 단계는,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합의데이터 분석결과 매각인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재화데이터에 대한 상기 정보제공 웹서버로의 전송 및 게시에 따라 상기 재화에 대한 매각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5-5 단계는,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합의데이터 분석결과 배상인 경우, 상기 잔존가치평가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의 원인이 된 사용자단말에 대한 배상책임 집행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공동명의 구매를 위한 재화데이터를 웹 페이지 형태의 게시판에 제공하여,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n 보다 큰 수)로 구성된 사용자단말 집합체 중 제 1 사용자단말이 통신망을 통한 액세스(Access)에 따라 상기 재화데이터에 해당하는 재화에 대한 공동구매를 위한 클럽을 개설하는 정보제공 웹서버; 상기 재화에 대한 공동구매를 위해 상기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m) 중 상기 제 1 사용자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갖는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m 보다 작은 수)로부터 미리 설정된 모집 인원수(L개, L은 n과 같거나 n보다 크고 m보다 적은 자연수)만큼의 가입 요청을 대기하여 상기 개설된 클럽과 매칭되는 재화데이터에 해당하는 재화에 대한 구매를 대행하는 공동구매서버; 및 상기 개설된 클럽에 가입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대해 클럽 개설에 따라 생성한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른 각 스케줄에 해당하는 날 이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각각으로 재화 수령 통지를 수행하여 상기 재화에 대한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라 사용하도록 하는 구매관리서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상기 개설된 클럽에 가입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사이의 상기 재화에 대한 거래 중간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를 위한 공통의 보험료를 산정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각각으로 청구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보증보험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개설된 클럽을 구성하기 위해 가입 요청을 전송한 상기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으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한 메시지 교환에 따른 상기 재화에 대한 사용순서 합의 데이터를 수신한 뒤, 상기 사용순서 합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 생성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의한 상기 정보제공 웹서버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조회가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미리 설정된 모집 인원수가 상기 L개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모집 인원수 L개에서 부족한 사용자수에 해당하는 지분수 만큼을 구매하며 구매한 지분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L개에서 부족한 사용자수에 대한 매수시 "L - n = k"를 연산하여 k에 해당하는 지분수 만큼의 상기 재화의 사용에 대한 사용권한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 중 각 지분권을 갖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해당하는 일자의 통보를 위한 사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서의 상기 구매한 지분수 만큼에 해당하는 일자의 활용을 위한 활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라 상기 재화에 대한 사용자 변경시 또는 재화에 대한 변경전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재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시마다 수신된 히스토리 정보를 반영한 상기 재화에 대한 잔존가치평가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잔존가치평가 데이터 각각에 대한 업데이트에 따라 상기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대한 별점을 부가한 뒤, 부가된 별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뒤, 상기 잔존가치평가 데이터 각각에 대한 업데이트의 원인이 된 사용자단말에 대해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간의 상기 통신망을 통한 합의를 통해 생성된 합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합의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재화에 대한 매각 또는 배상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합의데이터 분석결과 매각인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재화데이터에 대한 상기 정보제공 웹서버로의 전송 및 게시에 따라 상기 재화에 대한 매각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합의데이터 분석결과 배상인 경우, 상기 잔존가치평가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의 원인이 된 사용자단말에 대한 배상책임 집행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고가의 재화를 여러 사람이 함께 '공동구매'의 형식으로 구매하되, 가기 하나의 재화를 구매해서 대량구매에 의한 가격경쟁력을 가져오는 기존의 공동구매와 달리, 하나의 재화를 여러 사람이 구매해서 돌아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사용빈도가 낮지만 고가의 재화에 대한 비용부담을 분담할 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이 돌려 사용하는 과정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온라인상의 협의 공간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중 구매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중 사용자단말 집합체를 구성하는 구매관리서버에 의해 구현되는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구매관리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단말의 클럽 가입에 따른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구매관리서버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대한 재화 사용에 대한 관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사용자단말 집합체(10), 통신망(20), 공동구매/관리시스템(30), 보증보험서버(80)을 포함한다.
사용자단말 집합체(10: 10-1 내지 10-m, 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n 보다 큰 수)는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 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m 보다 적은 수)와 제 n+1 사용자단말 내지 제 m 사용자단말(10-n+1 내지 10-m)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은 하나의 재화에 대한 공동구매를 위한 클럽을 형성한 그룹을 의미하며, 제 n+1 사용자단말 내지 제 m 사용자단말(10-n+1 내지 10-m)은 해당 재화에 대한 공동구매를 위한 클럽을 형성하지 않은 그룹을 의미한다.
통신망(2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2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7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20)은 사용자단말 집합체(10), 공동구매/관리시스템(30), 보증보험서버(8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공동구매/관리시스템(30)은 정보제공 웹서버(40), 공동구매서버(50), 구매관리서버(60), 데이터베이스(70)를 포함한다. 정보제공 웹서버(40)는 공동명의 구매를 위한 재화데이터를 웹 페이지 형태의 게시판에 제공한다. 여기서 재화데이터는 다수개가 게시되어 그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정보제공 웹서버(40)는 사용자단말 집합체(10) 중 하나의 사용자단말인 제 1 사용자단말(10-1)이 통신망(20)을 통한 액세스(Access)에 따라 게시판에 제공된 재화데이터에 대한 공동구매를 위한 클럽에 대한 개설 요청에 따라 클럽을 개설한다. 여기서 제 1 사용자단말(10-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정된 단말로,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2 내지 10-n)에 의해서도 클럽이 개설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단말에 의해서도 클럽이 개설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제공 웹서버(40)는 운용사, 협력사 또는 고객인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10-1 내지 10-m)이 직접 입력이 가능한 툴(tool)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재화를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제공 웹서버(40)는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10-1 내지 10-m)이 이미 생성된 클럽에 가입하거나 별도로 클럽을 개설할 수 있도록 하며, 웹페이지 내에서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10-1 내지 10-m) 각각이 활동한 이력이나 구매한 재화리스트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재화 거래시 타인의 신용도를 판별하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정보제공 웹서버(40)는 등록된 재화의 정보를 바탕으로 위임 또는 양도시 가격, 기능, 재화의 데미지(Damage) 등을 객관적으로 비교 및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정보제공 웹서버(40)는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10-1 내지 10-m)을 소유한 사용자들에 대해서 회원관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회원관리는 클럽으로 확정된 각 회원들의 구매이력, 구매횟수, 신용도, 사용일정 스케쥴 등이 담긴 회원정보를 클럽 회원들에게만 공개하며, 회원정보 중 일부 정보(신용도, 구매회수, 특정 재화의 취급경험에 의한 구매이력)를 클럽에 대한 가입조건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회원 간 추천에 의해 추천된 회원 또는 클럽 가입조건에 적합한 회원정보를 운영자가 검색해 추천하고, 회원들의 승인을 받아 클럽이 구성될 수도 있다.
요약하자면 정보제공 웹서버(40)는 웹페이지를 통해 특정 재화의 공동구매를 원하는 사용자들을 서로 연계해주고, 이들이 클럽을 구성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정보제공 웹서버(40)는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10-1 내지 10-m)의 각 사용자가 구매희망하는 재화를 검색하거나 게시하고, 이 재화 구매에 동참하는 회원들로 클럽 구성원을 구성하는 것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정보제공 웹서버(40)는 동일 재화를 대상으로 클럽 구성중인 클럽에 가입신청하고, 회원들간 상호 간의 회원정보를 비교 검토해 클럽 구성원이 확정되도록 서포트 한다.
추가적으로 정보제공 웹서버(40)는 회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70)에 관리 및 저장한다. 회원정보는 신용정보를 담고 있는데, 이 신용정보의 평가는 클럽을 구성하는 사용자가 된 후, 일방적인 거래취소, 고의과실로 재화의 훼손(예컨대, 훼손율 20%이상), 히스토리정보 작성의 불성실, 진품 바꿔치기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의 평가 정보는 클럽가입시, 할인율 적용시, 이벤트 응모시 등에 활용된다. 반대로, 플러스 요인이 되는 회원정보 평가기준은, 훼손율이나 분담금 연체율, 히스토리 정보를 성실히 작성한 경우와 차질없는 재화인도, 배상금 발생 상황이 없는 사용기간 누적 평가, 지인 추천, 구매횟수, 공동구매 대상 재화의 추천시 적용된다, 또한 우수회원의 경우 클럽가입시 분담금 할인, 정보제공 웹서버(40) 운영자측 지분에 의한 재화 사용기간 연장 대상, 우선선택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한편, 클럽을 구성하는 사용자들이 별다른 감점요인 없이 모두 사용기간을 마치고 새로운 사용기간을 맞이하는 때 혜택이 모든 구성원에게 적용될 수 있다.
공동구매서버(50)는 제 1 사용자단말(10-1)에 의해 개설된 클럽의 목적인 재화데이터 공동구매를 위해 제 1 사용자단말(10-1)과 관련된 정보를 갖는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2 내지 10-n) 각각으로부터 통신망(20)을 통한 미리 설정된 모집 인원수(L개, L은 n과 같거나 n보다 크고 m보다 적은 자연수) 만큼의 가입 요청을 대기한다.
여기서 공동구매서버(50)는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의 요청에 따른 공동명의로의 구매를 함께 진행하기 위해 상술한 관련된 정보에 해당하는 메일이나 SMS, SNS로 제 1 사용자단말(10-1)의 지인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공동명의 구매에 대한 약관의 동의 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공동구매서버(50)는 필요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의 각 사용자의 신용도를 담보로 하여 인증서, 신용카드 등 개인인증시 운용사는 일정금액을 저리로 대출하여 재화 매입대금으로 사용하게 하는 솔루션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통해 공동구매서버(50)는 제 1 사용자단말(10-1)에 의해 개설된 클럽과 매칭되는 재화데이터에 해당하는 재화에 대한 구매를 대행한다. 여기서 구매 대행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구매를 포함하며, 오프라인 구매일 경우 공동구매서버(50)의 관리자에 의해 수행된다.
구매관리서버(60)는 제 1 사용자단말(10-1)에 의해 개설된 클럽에 가입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에 대해 클럽 개설에 따라 생성한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른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의 각 스케줄에 해당하는 날 이전에 통신망(20)을 통해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 각각으로 재화 수령 통지를 수행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베이스(70)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보증보험서버(80)는 제 1 사용자단말(10-1)에 의해 개설된 클럽에 가입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 사이의 재화에 대한 거래 중간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를 위한 공통의 보험료를 산정하여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 각각으로 통신망(20)을 통한 청구에 따라 결제를 수행한다.
도 2는 도 1의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중 구매관리서버(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중 사용자단말 집합체(10)를 구성하는 구매관리서버(60)에 의해 구현되는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구매관리서버(60)는 송수신부(61) 및 제어부(62)를 포함하며, 제어부(62)는 스케줄 정보 생성모듈(62a), 지분확보모듈(62b), 히스토리 관리모듈(62c), 사용관리모듈(62d), 매각처리모듈(62e) 및 배상처리모듈(62f)을 구비한다.
스케줄 정보 생성모듈(62a)은 제 1 사용자단말(10-1)에 의해 개설된 클럽을 구성하기 위해 가입 요청을 전송한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2 내지 10-n)으로부터 통신망(20)을 통한 메시지 교환에 따른 재화에 대한 사용순서 합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61)를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순서 합의 데이터는 클럽 구성시 가입을 희망하는 회원들이 사전에 사용순서를 합의하고, 이 순서에 따라 실제 사용하기 위해 생성이 필요로 하며, 재화의 멸실시까지 또는 일정 기준에 의한 물품 매각시까지 사용순서가 진행되도록 한다.
이후, 스케줄 정보 생성모듈(62a)은 합의 데이터에 따라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 생성하여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에 의한 정보제공 웹서버(50)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조회가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
여기서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는 정보제공 웹서버(40)를 통해 클럽 회원들 간의 공유 되고,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를 바탕으로 회원 간 사용권 교환, 일부 기간 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지분확보모듈(62b)은 제 1 사용자단말(10-1)에 의해 개설된 클럽의 목적인 재화데이터 공동구매를 위해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2 내지 10-n)에 포함된 사용자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모집 인원수(L개)만큼의 가입 요청을 대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집 인원수가 L개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지분확보모듈(62b)은 모집 인원수 L개에서 부족한 사용자수에 해당하는 지분수 만큼을 구매하여 지분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 즉 구매관리서버(60)는 "L - n = k"를 연산하여 k에 해당하는 지분수 만큼의 재화 사용에 대한 사용권한을 직접 매수하는 것이다.
지분확보모듈(62b)은 공동구매서버(50)에 의해 생성된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 중 각 지분권을 갖는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에 해당하는 일자의 통보를 위한 사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 이와 함께, 구매관리서버(60)는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서 구매한 지분수 만큼에 해당하는 일자의 활용을 위한 활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 이벤트 정보는 각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 중 각 지분권을 갖는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에 대해 설정된 날자 전에 통지를 요청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며, 활용 이벤트 정보는 클럽 외 타 회원에게 대여하면서 홍보에 이용하거나, 클럽회원 중 우수회원에게 사용권을 일부 양도하는 이벤트를 진행하라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클럽에서 5인을 모집중, 3인만 모집된 상태인 경우, 해당 재화의 가치가 높은 고가의 물건이거나, 관심을 많이 받는 재화로 구매시 광고효과가 큰 물품일 경우, 부족한 2인에 대해 운영자 측인 구매관리서버(60)에서 2인에 해당하는 지분을 구입해 5인의 클럽구성을 완료하고, 각 사용자에게 주어진 사용권(기간)에서 운영자측 사용권은 클럽 외 타 회원에게 대여하면서 홍보에 이용하거나, 클럽회원 중 우수회원에게 사용권을 일부 양도하는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다.
히스토리 관리모듈(62c)은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라 재화에 대한 사용자 변경시 또는 재화에 대한 변경전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로부터 재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히스토리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61)를 제어한다.
히스토리 관리모듈(62c)은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 각각으로부터 한 번의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시마다 수신된 히스토리 정보를 반영한 재화에 대한 잔존가치평가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
즉, 하나의 회원의 사용기간 만료로 다른 회원에게 물품이 인도되는 시점에서, 구매관리서버(60) 운영자 측에서 히스토리 정보를 기초로 재화의 훼손상태, 사용상태, 진품 여부, 수선 등의 잔존가치평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클럽을 구성하는 사용자들은 재화의 구매전 또는 사용 중 어느 때라도, 재화의 훼손 정도, 잔존가치평가 결과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면 외부 매각 또는 특정 사용자에게로 매각되면서 클럽은 해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매관리서버(60) 운용자는 사용자가 물품을 사용하면서 물품의 손실, 멸실, 수리내역, 사용후기 등으로 이루어진 ‘히스토리 정보’를 작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해당 클럽의 회원들에게만 공개되고, 외부에는 공개되지 않도록 한다. 그 이유는 재화의 파손, 멸실 등의 정보가 공개될 경우 사용자의 생활패턴, 생활환경 등의 개인정보와 함께, 재화의 매각시 불리하게 작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히스토리 관리모듈(62c)은 재화가 사용자들에게 돌고 도는 와중에 재화가 진품인지 의심에 대한 확인 요청이 있을 경우, 또는 사용자들이 사전에 약속한 사용시간에 맞춰 사용되고 있는 재화의 진품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고가의 핸드백의 경우, 운영자 측에서만 확인 가능한 특수도료 또는 마이크로칩, 일련번호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전 표시하고, 사용자들의 사용과정에서 이 표시들을 확인해 진품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경우 차량 내부에 고정 장착된 위치추적 표시기 또는 GPS 기록기 등의 장비를 통해 차량의 진품여부 및 부정사용 여부를 확인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재화의 진품여부 확인은 구매관리서버(60) 운영자 측에게 1차로 제공되어 재화의 고유번호/제조번호, 진품보증서 등을 확인 후, 해당 정보를 클럽을 구성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사전 단계로 구매관리서버(60) 운영자 측은 사용자들에게 물품이 인도되는 시점에서 운영자 측의 확인을 반드시 거쳐 진품여부를 확인한다.
사용관리모듈(62d)은 각 잔존가치평가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에 따른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에 대한 별점을 부가한 뒤, 부가된 별점을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
즉, 사용관리모듈(62d)은 사용자들이 재화를 사용 중 손망실 등의 이유로 재화의 계속적 사용이 어렵게 된 경우나, 구매관리서버(60) 운영자측 잔존가치평가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가 계속적 사용이 어려운 평가를 받은 경우나, 다음 사용순서의 사용자로부터 사용거부가 된 경우, 해당 원인을 제공한 사용자에게는 벌점을 부가하고, 이 벌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벌점 이상을 부여받은 사용자는 타 클럽에서 진행하는 회원가입시 이 정보가 다른 회원들에게 제공된다.
또한, 사용관리모듈(62d)은‘히스토리 정보'를 평소 정직하고 정확하게 작성해 타 사용자들로부터 신뢰도 평가점수를 많이 획득한 사용자의 경우, 재화를 사용하면서 발생한 손망실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작성해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다른 사용자들의 용인(묵과)을 모두 얻게 되면 손망실에 대한 배상책임과 수선비용 전부부담의 책임을 일부 감면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관리모듈(62d)은 각 잔존가치평가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의 원인이 된 사용자단말에 대해 클럽에 가입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 간의 통신망(20)을 통한 합의를 통해 생성된 합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61)를 제어한다.
매각처리모듈(62e)은 사용자관리모듈(62d)에 의해 수신된 합의데이터를 분석하여 재화데이터를 나타내는 재화에 대한 매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매각을 의미하는 경우 통신망(20)을 통해 재화데이터에 대한 정보제공 웹서버(40)로의 전송하도록 송수신부(61)를 제어함으로써, 정보제공 웹서버(40)를 통한 재화데이터 게시를 통한 재화데이터에 해당하는 재화에 대한 매각을 수행한다.
매각처리모듈(62e)은 재화의 훼손과 분실이 일어나면 훼손과 분실의 책임있는 사용자에게 손해배상금을 지급받거나, 이와 별도로 동일한 재화를 클럽을 구성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해, 클럽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
배상처리모듈(62f)은 사용자관리모듈(62d)에 의해 수신된 합의데이터를 분석하여 재화데이터를 나타내는 재화에 대한 배상을 의미하는 경우 각 잔존가치평가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의 원인이 된 사용자단말에 대한 배상책임 집행을 수행한다.
한편, 배상처리모듈(62f)은 기존 클럽의 사용자들과, 기존 클럽의 사용자 중 어느 한 명의 추천으로 클럽가입이 새로 승인된 사용자가 있는 경우, 클럽가입을 승인한 사용자에게 기존 클럽의 분담금으로 1 내지 5%를 할인해주고, 이 부분은 구매관리서버(60) 운영자 측에서 보상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클럽 가입의 안정성 확보와, 이러한 구매 방식의 홍보 수고를 덜어준 것과, 이렇게 구성원이 확정되어 클럽이 만들어진 것에 대한 구매관리서버(60) 운영자 측의 이익을 회원들에게 일부 보존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배상처리모듈(62f)은 기본적으로 클럽에서 구매한 재화의 사용에 있어서, 손망실, 파손에 대한 책임은 재화를 사용한 사용자 개인에게 1차적인 배상책임이 있으며, 클럽구성원 모집당시, 추천에 의해 구성원이 된 회원에 의해서 재화의 손망실, 파손이 일어날 경우에는 당사자 회원과 이 회원을 구성원으로 추천한 회원이 연대하여 물품의 손해배상 책임을 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100 만원에 상당하는 명품백을 구매하는 클럽, 클럽의 구성원 1, 2, 3, 4, 5는 각기 20 만원씩 부담해야하나, 4가 5를 추천하고, 1, 2, 3이 이를 승인해서 구성된 클럽인 경우, 1, 2, 3, 4는 부담금 20 만원 중 소정의 할인혜택(1~5%)이 부여되며, 4와 5는 5~10%의 할인 적용된 금액을 분담금으로 지급하고, 할인으로 인해 부족분은 운영자측에서 지불하게 된다. 한편, 구성원 5가 물품을 이용하던 중 재화의 손망실, 파손이 일어나면, 구성원 5와 이를 추천한 구성원 4가 연대해서 배상책임을 진다.
그리고 구매 재화의 멸실, 손상에 대한 기준과 대처방안에 대해 살펴보면, 클럽 내의 사용자 모집시 배상기준을 설정하고, 사용자 간의 합의에 의해 조정 후 결정한다. 재화의 가치평가액 기준으로 0~29%에 달하는 손해(훼손)가 발생할 경우, 과실이 있는 사용자는 해당 손해액을 구매관리서버(60) 운영자 측에 제공하고, 구매관리서버(60) 운영자는 이 금액을 나머지 회원에게 분배한다.
한편, 30% 이상 손해(훼손) 발생하며, 과실 있는 사용자가 지불한 보상금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분배하는 한편,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클럽탈퇴와 함께 환불요청이 발생하면, 과실 있는 회원은 손해배상액과 별개로 환불 요청한 회원들의 지분(분담금)을 80~90%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불해 매입하도록 한다.
이 경우 구매관리서버(60) 운영자는 나머지 부분 10~20%의 지분(분담금)을 지원해 클럽의 존속을 유도한다.
그리고 클럽을 구성하는 사용자들 중 개인사정에 의해 클럽을 탈퇴할 경우, 탈퇴하는 사용자가 대체 사용자를 구하고 탈퇴가 이루어지는 것이 기본이고, 탈퇴하는 사용자의 사용 기간이 도래하기 전까지 대체 사용자를 영입하지 못한 경우에는 탈퇴하는 사용자는 지불한 분담금의 30~70% 수준만을 환불해주고, 구매운영서버(60) 운영자 측에서 이 대체 회원의 지분을 인수한다.
또는 배상처리모듈(62f)은 이 탈퇴하는 사용자의 지분을 클럽 내 다른 사용자에게 할인(50% 수준)판매하여 클럽에서 자체 인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러 상황들을 통해 클럽내 구매운영서버(60) 운영자 측이 지분을 참여하게 된 경우, 구매운영서버(60) 운영자 측은 이 확보 지분을 재대여하거나, 클럽내 우수회원들을 대상으로 운영자측 보유 지분(사용기간)을 포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스케줄 정보 생성모듈(62a)에서 제공하는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스케줄 정보 생성모듈(62a)은 도 3의 좌측 상단의 클럽 구성원 아이콘과 사용순서 및 현재 사용자를 구현한다. 여기서 구성원은 1T 내지 5T로 가정한다.
그리고 스케줄 정보 생성모듈(62a)은 구성원 아이콘 선택시 회원정보와 각 회원이 작성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한 상세내용을 제공하며, 현재 사용기간 중인 구성원은 폴더가 깜박이도록 구현한다.
도 3에서 1T와 2T의 관계는 동일색상 아이콘으로 표시되므로 둘은 추천관계에 있으며, 분담금 납입시 할인요율을 적용받으며, 연대보증에 해당한다. 하단의 ‘모델/대여일 검색’은 한 명의 사용자가 재화를 사용하고 있는 중이라도 다른 사용자가 급하게 사용해야할 경우, 사용하고 싶은 날짜를 검색하면 해당 기간 동안 누가 사용하게 될지를 구현하기 위해 형성된다. 한편, 다른 사용자는 해당기간 사용자의 아이콘을 눌러 재화 사용의 요청/제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사용기간 중 사용하지 않는 날을 클럽 구성원 또는 다른 클럽의 회원 또는 일반회원에게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이 정보로 물품사용을 신청한 회원에게 재대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재대여가 일어날 경우, 클럽 내 다른 구성원에게 재대여와 관련된 정보 즉, 대여하는 회원의 회원정보, 기간, 수익금액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승인을 받아야 재대여가 이루어지며, 재대여한 회원에 의해 물품의 손망실, 파손이 일어날 경우 재대여한 회원과, 재대여를 주도한 클럽회원이 연대하여 보상책임을 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 정보 생성모듈(62a)은 사용이 허가된 재화의 전체 사용기간(기본구간), 재화 사용자가 자신의 물품사용 기간의 확정적으로 알린 구간(확정기간), 기본구간에서 확정기간을 제외한 기간으로, 사용자가 물품사용 계획이 없는 기간(제안구간)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안구간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재화를 재대여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즉, 스케줄 정보 생성모듈(62a)은 캘린더 상으로 기본구간, 확정기간, 제안구간을 각각 설정하고, 제안기간 중 재화의 사용권유를 클럽 내 사용자 또는 일반회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재대여 정보는 클럽내 사용자 일부를 선택해서 또는 전체에게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고, 재대여를 원하는 사용자와 친분이 있는 클럽의 특정회원에게만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정보제공 웹서버(40)는 공동명의 구매를 위한 재화데이터를 웹 페이지 형태의 게시판에 제공한다(S10). 여기서 재화데이터는 다수개가 게시되어 그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S10) 이후, 사용자단말 집합체(10: 10-1 내지 10-m, 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n 보다 큰 수) 중 하나의 사용자단말인 제 1 사용자단말(10-1)이 통신망(20)을 통해 정보제공 웹서버(40)에 액세스(Access)에 따라 단계(S10)에서 게시판에 제공된 재화데이터에 대한 공동구매를 위한 클럽을 개설한다(S20). 여기서 제 1 사용자단말(10-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정된 단말로,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2 내지 10-n: 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m 보다 적은 수)에 의해서도 클럽이 개설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단말에 의해서도 클럽이 개설가능하다.
단계(S20) 이후, 공동구매서버(50)가 단계(S20)에 의해 개설된 클럽의 목적인 재화데이터 공동구매를 위해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2 내지 10-n)에 포함된 사용자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모집 인원수(L개)만큼의 가입 요청을 대기한다(S30).
단계(S30) 이후, 보증보험서버(80)는 클럽에 가입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 사이의 재화에 대한 거래 중간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를 위한 공통의 보험료를 산정하여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 각각으로 청구하여 결제를 수행한다(S40).
단계(S40) 이후, 공동구매서버(50)는 단계(S20)에서 개설된 클럽과 매칭되는 재화데이터에 해당하는 재화에 대한 구매를 대행한다(S50). 여기서 구매 대행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구매를 포함하며, 오프라인 구매일 경우 공동구매서버(50)의 관리자에 의해 수행된다.
구매관리서버(60)는 단계(S20)에서 개설된 클럽에 가입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에 대해 클럽 개설에 따라 생성한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른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의 각 스케줄에 해당하는 날 이전에 통신망(20)을 통해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 각각으로 재화 수령 통지를 수행한다(S60).
도 5는 도 4의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구매관리서버(60)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단말의 클럽 가입에 따른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구매관리서버(60)는 도 4의 단계(S20)에서 개설된 클럽을 구성하기 위해 가입 요청을 전송한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2 내지 10-n)으로부터 통신망(20)을 통한 메시지 교환에 따른 재화에 대한 사용순서 합의 데이터를 수신한다(S31).
구매관리서버(60)는 단계(S31)의 합의 데이터에 따라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 생성하여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에 의한 정보제공 웹서버(50)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조회가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S32).
단계(S32) 이후, 구매관리서버(60)는 도 4의 단계(S30)에서의 미리 설정된 모집 인원수가 L개(L은 n과 같거나 n보다 크고 m보다 적은 자연수)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
단계(S33) 이후, 구매관리서버(60)는 모집 인원수 L개에서 부족한 사용자수에 해당하는 지분수 만큼을 구매하여 지분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S34). 즉 구매관리서버(60)는 "L - n = k"를 연산하여 k에 해당하는 지분수만큼의 재화 사용에 대한 사용권한을 직접 매수하는 것이다.
단계(S34) 이후, 구매관리서버(60)는 단계(S32)에서 생성된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 중 각 지분권을 갖는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에 해당하는 일자의 통보를 위한 사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 이와 함께, 구매관리서버(60)는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서 단계(S34)에서 구매한 지분수 만큼에 해당하는 일자의 활용을 위한 활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S35).
도 6은 도 4의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구매관리서버(60)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대한 재화 사용에 대한 관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구매관리서버(60)는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라 재화에 대한 사용자 변경시 또는 재화에 대한 변경전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로부터 재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히스토리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수신한다(S61).
단계(S61) 이후, 구매관리서버(60)는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 각각으로부터 한 번의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시마다 수신된 히스토리 정보를 반영한 재화에 대한 잔존가치평가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S62).
구매관리서버(60)는 단계(S62)에 따른 각 잔존가치평가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에 따른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에 대한 별점을 부가한 뒤, 부가된 별점을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S63).
단계(S63) 이후, 구매관리서버(60)는 단계(S62)에서 생성된 잔존가치평가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의 원인이 된 사용자단말에 대해 클럽에 가입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10-1 내지 10-n) 간의 통신망(20)을 통한 합의를 통해 생성된 합의 데이터를 수신한다(S64).
구매관리서버(60)는 단계(S64)에서 수신된 합의데이터를 분석하여 재화데이터를 나타내는 재화에 대한 매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5).
단계(S65)의 판단결과 매각인 경우, 구매관리서버(60)는 통신망(20)을 통해 재화데이터에 대한 정보제공 웹서버(40)로의 전송에 따른 정보제공 웹서버(40)를 통한 재화데이터 게시를 통한 재화데이터에 해당하는 재화에 대한 매각을 수행한다(S66).
한편, 단계(S65)의 판단결과 매각이 아닌 경우, 구매관리서버(60)는 분석된 합의데이터가 배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7).
단계(S67)의 판단결과 합의데이터가 배상을 의미하는 경우 구매관리서버(60)는 단계(S62)에서 생성된 잔존가치평가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의 원인이 된 사용자단말에 대한 배상책임 집행을 수행한다(S68).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사용자단말 집합체
20: 통신망
30: 공동구매/관리시스템
40: 정보제공 웹서버
50: 공동구매서버
60: 구매관리서버
61: 송수신부
62: 제어부
62a: 스케줄 정보 생성모듈
62b: 지분확보모듈
62c: 히스토리 관리모듈
62d: 사용관리모듈
62e: 매각처리모듈
63f: 배상처리모듈
70: 데이터베이스
80: 보증보험서버

Claims (17)

  1. 정보제공 웹서버가 공동명의 구매를 위한 재화데이터를 웹 페이지 형태의 게시판에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정보제공 웹서버가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n 보다 큰 수)로 구성된 사용자단말 집합체 중 제 1 사용자단말이 통신망을 통한 액세스(Access)에 따라 상기 재화데이터에 해당하는 재화에 대한 공동구매를 위한 클럽을 개설하는 제 2 단계;
    공동구매서버가 상기 재화에 대한 공동구매를 위해 상기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m) 중 상기 제 1 사용자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갖는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m 보다 작은 수)로부터 미리 설정된 모집 인원수(L개, L은 n과 같거나 n보다 크고 m보다 적은 자연수)만큼의 가입 요청을 대기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동구매서버가 상기 개설된 클럽과 매칭되는 재화데이터에 해당하는 재화에 대한 구매를 대행하는 제 4 단계; 및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개설된 클럽에 가입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대해 클럽 개설에 따라 생성한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른 각 스케줄에 해당하는 날 이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각각으로 재화 수령 통지를 수행하여 상기 재화에 대한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라 사용하도록 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사이에,
    보증보험서버가, 상기 개설된 클럽에 가입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사이의 상기 재화에 대한 거래 중간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를 위한 공통의 보험료를 산정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각각으로 청구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공동구매서버가 상기 구매에 대한 대행 수행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구매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개설된 클럽을 구성하기 위해 가입 요청을 전송한 상기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으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한 메시지 교환에 따른 상기 재화에 대한 사용순서 합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3-1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순서 합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 생성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의한 상기 정보제공 웹서버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조회가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2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미리 설정된 모집 인원수가 상기 L개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3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모집 인원수 L개에서 부족한 사용자수에 해당하는 지분수 만큼을 구매하며 구매한 지분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4 단계; 및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 중 각 지분권을 갖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해당하는 일자의 통보를 위한 사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서의 상기 구매한 지분수 만큼에 해당하는 일자의 활용을 위한 활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3-4 단계는,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L - n = k"를 연산하여 k에 해당하는 지분수 만큼의 상기 재화의 사용에 대한 사용권한을 직접 매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라 상기 재화에 대한 사용자 변경시 또는 재화에 대한 변경전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재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제 5-1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시마다 수신된 히스토리 정보를 반영한 상기 재화에 대한 잔존가치평가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5-2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잔존가치평가 데이터 각각에 대한 업데이트에 따라 상기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대한 별점을 부가한 뒤, 부가된 별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5-3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잔존가치평가 데이터 각각에 대한 업데이트의 원인이 된 사용자단말에 대해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간의 상기 통신망을 통한 합의를 통해 생성된 합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5-4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합의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재화에 대한 매각 또는 배상을 수행하는 제 5-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5-5 단계는,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합의데이터 분석결과 매각인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재화데이터에 대한 상기 정보제공 웹서버로의 전송 및 게시에 따라 상기 재화에 대한 매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5-5 단계는,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합의데이터 분석결과 배상인 경우, 상기 잔존가치평가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의 원인이 된 사용자단말에 대한 배상책임 집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9. 공동명의 구매를 위한 재화데이터를 웹 페이지 형태의 게시판에 제공하며,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n 보다 큰 수)로 구성된 사용자단말 집합체 중 제 1 사용자단말이 통신망을 통한 액세스(Access)에 따라 상기 재화데이터에 해당하는 재화에 대한 공동구매를 위한 클럽을 개설하는 정보제공 웹서버;
    상기 재화에 대한 공동구매를 위해 상기 제 1 내지 제 m 사용자단말(m) 중 상기 제 1 사용자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갖는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m 보다 작은 수)로부터 미리 설정된 모집 인원수(L개, L은 n과 같거나 n보다 크고 m보다 적은 자연수)만큼의 가입 요청을 대기하여 상기 개설된 클럽과 매칭되는 재화데이터에 해당하는 재화에 대한 구매를 대행하는 공동구매서버; 및
    상기 개설된 클럽에 가입한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대해 클럽 개설에 따라 생성한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른 각 스케줄에 해당하는 날 이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각각으로 재화 수령 통지를 수행하여 상기 재화에 대한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라 사용하도록 하는 구매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구매관리서버가 제공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설된 클럽에 가입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사이의 상기 재화에 대한 거래 중간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를 위한 공통의 보험료를 산정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각각으로 청구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보증보험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개설된 클럽을 구성하기 위해 가입 요청을 전송한 상기 제 2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으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한 메시지 교환에 따른 상기 재화에 대한 사용순서 합의 데이터를 수신한 뒤, 상기 사용순서 합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 생성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의한 상기 정보제공 웹서버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조회가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미리 설정된 모집 인원수가 상기 L개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모집 인원수 L개에서 부족한 사용자수에 해당하는 지분수 만큼을 구매하며 구매한 지분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L개에서 부족한 사용자수에 대한 매수시 "L - n = k"를 연산하여 k에 해당하는 지분수 만큼의 상기 재화의 사용에 대한 사용권한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 중 각 지분권을 갖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해당하는 일자의 통보를 위한 사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서의 상기 구매한 지분수 만큼에 해당하는 일자의 활용을 위한 활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구매일정 스케줄 정보에 따라 상기 재화에 대한 사용자 변경시 또는 재화에 대한 변경전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재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시마다 수신된 히스토리 정보를 반영한 상기 재화에 대한 잔존가치평가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잔존가치평가 데이터 각각에 대한 업데이트에 따라 상기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에 대한 별점을 부가한 뒤, 부가된 별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뒤,
    상기 잔존가치평가 데이터 각각에 대한 업데이트의 원인이 된 사용자단말에 대해 상기 제 1 내지 제 n 사용자단말 간의 상기 통신망을 통한 합의를 통해 생성된 합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합의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재화에 대한 매각 또는 배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합의데이터 분석결과 매각인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재화데이터에 대한 상기 정보제공 웹서버로의 전송 및 게시에 따라 상기 재화에 대한 매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상기 합의데이터 분석결과 배상인 경우, 상기 잔존가치평가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의 원인이 된 사용자단말에 대한 배상책임 집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0120073058A 2012-07-04 2012-07-04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448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058A KR101448255B1 (ko) 2012-07-04 2012-07-04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058A KR101448255B1 (ko) 2012-07-04 2012-07-04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542A true KR20140005542A (ko) 2014-01-15
KR101448255B1 KR101448255B1 (ko) 2014-10-10

Family

ID=5014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058A KR101448255B1 (ko) 2012-07-04 2012-07-04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2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800A (ko) * 2019-08-26 2021-03-08 장효준 아이디 공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D916895S1 (en) 2019-01-31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KR102636677B1 (ko) * 2023-11-10 2024-02-14 주식회사 이글루토이 피규어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926B1 (ko) * 2019-04-02 2021-03-04 이제희 캠핑카 공유 관리 시스템 및 캠핑카 공유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7409A (ko) * 2001-06-20 2002-12-31 한훈주 네트워크를 이용한 물품의 한시적 교환사용 및 공유사용,공동사용, 대여사용을 위한 중개 서비스 사업 방법 및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KR20030005788A (ko) * 2001-07-10 2003-01-23 김응정 인터넷을 이용한 물품구매 및 재분배 방법
KR20070016181A (ko) * 2007-01-15 2007-02-07 이광석 보험료 공동납입하여 보험상품을 유지하는 방법
KR20090001771A (ko) * 2007-05-18 2009-01-09 김연호 공동 구매 상품의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공동구매 상품의 공유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6895S1 (en) 2019-01-31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KR20210024800A (ko) * 2019-08-26 2021-03-08 장효준 아이디 공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36677B1 (ko) * 2023-11-10 2024-02-14 주식회사 이글루토이 피규어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255B1 (ko) 2014-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567B1 (ko)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2714922B (zh) 信息处理装置
US200700277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sales information exchange
JP2009527841A (ja) 双方向検索とモニタリングを用いた広告管理及び検索システム
US20110196776A1 (en) Method for facilitating exchange of consumer data
CN114757793A (zh) 一种基于场景接入的信息处理方法、服务器及设备
JP2002532785A (ja) 動的品質管理条件付購入申込(cpo)管理システム
CN107845017A (zh) 一种实现全民创业的电子商务方法
KR101185968B1 (ko) 차량 대여를 수반하는 중고차 거래 시스템 및 중고차 거래 방법
KR102094690B1 (ko) 위탁 판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303391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nting property
EP1271370A1 (en) System for anonymity electronic commerce having crediting function and method
US200500276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rline ticket sales
EP3217351A1 (en) Asset management system having convergence-type profit structure by linking real estate and movable assets
KR101448255B1 (ko) 공동구매 기반의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사용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40111406A (ko) 차량 전문 평가에 의한 중고차 판매 시스템
US200802012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the Right to Broker Real Property Transfers
US20090276362A1 (en) Real estate commission bid system
KR101949034B1 (ko) 부동산 통합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부동산 업무진행 방법
KR20130037762A (ko) 대출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9566B1 (ko) 기술가치 평가 방법
KR101779080B1 (ko) 가맹점 공동 중개를 위한 부동산 정보 공유 방법
KR101243976B1 (ko) 오프라인 할인 쿠폰방을 이용하는 할인 쿠폰 제공 시스템 및 할인 쿠폰 제공 방법
KR20010106812A (ko) 사이버 재테크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16960A (ko) 부동산 중개 정보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사경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