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966A - 온수탱크 - Google Patents

온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966A
KR20140004966A KR1020120072495A KR20120072495A KR20140004966A KR 20140004966 A KR20140004966 A KR 20140004966A KR 1020120072495 A KR1020120072495 A KR 1020120072495A KR 20120072495 A KR20120072495 A KR 20120072495A KR 20140004966 A KR20140004966 A KR 20140004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tank
flow member
tan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두열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2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966A/ko
Publication of KR20140004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온수탱크에서 항상 일정한 온도의 물이 출수될 수 있는 온수탱크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온수탱크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와 내부에 수용된 물이 유출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탱크 하우징; 상기 탱크 하우징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입수부에서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는 물이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상기 출수부에서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유동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온수탱크에 의하면, 온수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이 유동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며 원심력을 통해 교반될 수 있어, 출수되는 물의 온도가 항상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온수탱크{HOT WATER TANK}
본 발명은 온수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탱크에서 일정한 온도의 물이 출수될 수 있는 온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저탕식 온수탱크는 급탕 설비에 있어서 온수의 공급량이 부하에 대해 부족하지 않도록 필요한 저탕량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온수탱크는 온수 보일러, 비데 등에 사용되어 가열장치를 통해 온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온수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비데용 온수탱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비데용 온수탱크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입수부(12)와 출수부(14)가 구비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서 유동하는 물을 열교환 방식으로 가열하는 전열체(20) 그리고,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플로트 스위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입수부(12)로 입수된 물은 전열체(20)를 지나 출수부(14)로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전열체(20)를 지나는 물의 유속이 빨라 물이 전열체(20)에 의해 충분히 가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수탱크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부(12)와 전열체(20) 사이에 배치되어 입수부(12)로 유입된 물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전열체(20) 전체에 대해서 균일하게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수구(42)가 형성된 격막부재(40)가 추가되는 기술이 있다. 이러한 격막부재(40)가 추가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0743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은 격막부재(40)가 추가로 구비된 온수탱크의 물의 유동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격막부재(40)가 추가로 구비된 온수탱크에서, 입수부(12)로 유입된 물은 전열체(20)를 지나 출수부(14)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된 물은 입수부(12)에서 출수부(14) 방향으로만 유동하게 되고, 하우징(10)의 구석부분의 물은 유동이 없이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격막부재(40)로 인해 물의 유속이 느리기 때문에 하우징(10)의 구석부분에 있는 물이 가열된 물과 교반되지 않고 정체되는 현상이 더 심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온수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의 전체적인 온도 분포가 불균일하게 되며, 정체되어 있던 낮은 온도의 물이 출수되는 경우에는 출수되는 물의 온도가 불균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불균일한 온도의 물이 출수되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온수탱크에서 항상 균일한 온도의 물이 출수될 수 있는 온수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으로서, 온수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의 교반성이 극대화된 온수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와 내부에 수용된 물이 유출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탱크 하우징; 상기 탱크 하우징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입수부에서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는 물이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상기 출수부에서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유동부재;를 포함하는 온수탱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동부재는 일단에 상기 출수부가 연결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유통구가 형성된 원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출수부 측에서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테이퍼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유통구는 상기 유동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유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입수부에서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는 물의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입수부에서 출수부로 유동하는 물이 상기 유동부재의 외주면 일측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입수부의 물 분사 방향에 대해 한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부에는 물의 유동로가 좁아져서 유동하는 물의 유속을 상승시키는 유속상승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속상승구간은 상기 유동부재가 상기 탱크 하우징의 일측면에 근접배치되어 형성된 상기 유동부재와 탱크 하우징 사이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실시예으로서 본 발명은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와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유출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탱크 하우징; 상기 탱크 하우징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입수부에서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는 물이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상기 출수부에서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유동부재; 및 상기 유동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부를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입수부에서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는 물을 상기 유동부재의 외주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입수부는 상기 제1 구역에 배치되는 온수탱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유동부재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유동부재 외주면의 상기 제1 구역 측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유동부재 중심의 직하방에서 상기 유동부재의 상기 제1 구역 측 단부까지 연장된 구부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유동부재 측에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벽과의 간격 변화를 통해, 유로가 좁아지는 유속상승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2 구역 측에서 상기 탱크 하우징과 가이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분에 고인물을 상기 유동부재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벽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벽면 가이드는 상기 코너부분으로 유동하는 물이 수용되도록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동부재에 대향하는 측면에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유통구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탱크 하우징 내벽과의 사이가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유동부재는 일단에 상기 출수부가 연결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외측면에 다수의 유통구가 형성된 원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출수부 측에서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테이퍼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유통구는 상기 유동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유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온수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이 유동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며 원심력을 통해 교반될 수 있어, 출수되는 물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를 통해 유동부재의 외주면으로 물을 가이드함으로써 유동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원심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온수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의 교반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온수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수탱크의 물의 유동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온수탱크의 물의 유동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온수탱크에 포함되는 유동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온수탱크의 물의 유동을 나타내는 좌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온수탱크의 물의 유동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온수탱크의 물의 유동을 나타내는 우측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온수탱크의 좌측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탱크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좌측 단면도, 도 7은 정단면도, 도 8은 우측 단면도이고, 도 5는 온수탱크에 포함되는 유동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탱크(100)는 탱크 하우징(110), 가열수단(120), 격막부재(130), 플로트 스위치(140) 및 유동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탱크 하우징(110)에는 일측과 타측에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112)와 물이 유출되는 출수부(114)가 각각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입수부(112)는 탱크 하우징(110)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고, 출수부(114)는 탱크 하우징(110)의 타측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120)은 탱크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수단(120)은 탱크 하우징(110) 내부에 전열부가 연장되고 탱크 하우징(110)의 외부에 단자가 구비된 전열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가열수단(12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탱크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수단이면 종래의 다양한 기술로 구성될 수 있다.
전열체로 구성된 가열수단(120)은 높은 저항을 가지며, 통전시 열이 발생하여 탱크 하우징(110)에 수용된 전열체 주변의 물에 열을 전도하고, 물의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탱크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열수단(120)은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입수부(112)와 출수부(114) 사이에서 탱크 하우징(110)의 내부로 연장된 U자형 전열체로 구성되어, 입수부(112)에서 출수부(114)로 유동하며 가열수단(120)과 접촉하는 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막부재(130)는 입수부(112)와 가열수단(120) 사이에 배치되어, 입수부(112)에서 유입된 물이 출수부(114)로 곧바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입수부(112)에서 유입된 물의 유속을 감소시키며 가열수단(120)에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격막부재(130)는 다수의 통수구(132)가 형성된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수부(112)의 상부에 장착되어, 입수부(112)로 유입된 물이 곧바로 가열수단(120)으로 분사되지 않고 임시로 물의 이동을 방지하고, 통수구(132)를 통해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로트 스위치(140)는, 탱크 하우징(110)의 상단에 구비되어 탱크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부재(150)는 입수부(112)에서 출수부(114)로 유동하는 물이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출수부(114)에서 탱크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유동부재(150)는 물의 이동경로에 구비되어, 물의 이동방향 및 유속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유동부재(150)는 이동하는 물이 자체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심축이 물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탱크 하우징(110)의 상하측에 구비된 출수부(114)와 입수부(112), 그리고 격막부재(130)로 인해, 입수부(112)에서 유입된 물은 탱크 하우징(110)에서 수직으로 상승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유동부재(150)는 탱크 하우징(110)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유동부재(1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출수부(114)가 연결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유통구(152)가 형성된 원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는 원통의 일단에 형성되어 유동부재(150)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는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구에는 탱크 하우징(110)의 출수부(114)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재(150)는 원통형 본체의 일단에 탱크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플랜지(154)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54)에 유동부재(150)의 내부와 연통되는 출수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탱크 하우징(110)에 수용된 물은 유동부재(15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출수부(114)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유동부재(150) 내부로의 물의 유입은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통구(15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유동부재(150)는 출수부(114) 측에서 탱크 하우징(110)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테이퍼질 수 있다. 즉, 유동부재(15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부재(150)가 원뿔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은 출수부(114) 측으로 갈수록 더 큰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더 활발한 유동을 통해 교반된 물이 출수부(114)를 통해 출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유통구(152)는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유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은 유동부재(150)의 내부로 비스듬히 유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동부재(150)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도 원심력을 가지고 회전유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재(150)는 입수부(112)의 물 분사 방향에 대해 한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입수부(112)에서 출수부(114)로 유동하는 물이 유동부재(150)의 외주면 일측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동부재(150)의 직하방에서 물이 분사되는 경우에는 물이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의 양측으로 유입되어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을 따라 물이 회전유동하기 어려우므로, 유동부재(150)는 입수부(112)와 같은 수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탱크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물의 유동로가 좁아져서 유동하는 물의 유속이 상승되는 유속상승구간(V)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속상승구간(V)은 유동부재(150)가 탱크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근접배치되어 형성된 유동부재(150)와 탱크 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재(150)는 탱크 하우징(110)과의 간격이 탱크 하우징(110)의 상측면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좁게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좁게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유로가 좁은 유속상승구간(V)이 될 수 있다.
이때, 입수부(112)에서 출수부(114)로 이동하는 물은 유동부재(150)의 하방 및 측방의 넓은 공간에서, 유속상승구간(V)을 통과할 때 유로가 좁아지므로, 유속이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하는 물의 유속이 빨라지는 경우에, 물은 더 넓은 범위까지 이동될 수 있고,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원심력이 더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탱크(100)에서, 입수부(112)로 유입된 물은 격막부재(130)의 통수구(132)를 상승하게 되고, 가열수단(120)을 통해 가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열된 물은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유동하게 되고,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유동하던 물은 유통구(152)를 통해 유동부재(1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유동부재(15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은 출수부(114)에서의 출수동작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출수를 위해 출수부(114)에서 물을 흡입하는 힘이 작용하면,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유동하는 물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태로 유동될 수 있고, 유동부재(150)의 내부에 유입된 물도 나선형태로 유동하며 출수부(114)로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탱크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은 전체적으로 교반될 수 있다. 특히,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재(150)에 의한 물의 원심력으로 인해 탱크 하우징(110)의 구석부분에 존재하는 물도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탱크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물은 탱크 하우징(110)의 구석부분 및 가열수단(120) 부근에서 거의 균일한 온도를 가질 수 있게 되고, 출수부(114)를 통해 유출되는 온수도 항상 균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동부재(150)의 출수부(114) 측에서 더 큰 원심력이 발생하도록, 유동부재(150)가 원뿔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구성되어 출수되는 물이 더 큰 원심력에 의해 교반됨으로써, 탱크 하우징(110) 내부 전체에 수용된 물과 거의 유사한 온도로 출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탱크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온수탱크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을 나타내기 위한 좌측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탱크(100-1)에는 탱크 하우징(110)의 내측에 가이드 부재(200)가 추가로 포함된다.
그리고, 탱크 하우징(110), 가열수단(120), 격막부재(130), 플로트 스위치(140) 및 유동부재(150)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탱크(100)에 포함되는 탱크 하우징(110), 가열수단(120), 격막부재(130), 플로트 스위치(140) 및 유동부재(1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200)는 유동부재(150)를 기준으로 탱크 하우징(110)의 내부를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구획하며, 입수부(112)에서 출수부(114)로 유동하는 물을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역은 가이드 부재(200)에 의해 구획되는 탱크 하우징(110)의 뒤쪽에 해당하며, 제2 구역은 탱크 하우징(110)의 앞쪽에 해당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구역의 물은 주로 하강하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고, 제2 구역의 물은 주로 상승하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00)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 간에 물이 유통되지 않도록 양단이 탱크 하우징(110)의 내측 양단에 접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하우징(110)의 내측 양단거리보다 짧은 폭으로 구성되어 제1 구역과 제2 구역 간에 물이 유통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도, 제2 구역에서 입수부(112)에서 출수부(114)로 상승하는 물이 제1 구역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가이드 부재(200)의 양단과 탱크 하우징(110)의 내측 양단 간의 간격은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탱크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물이 제1 구역과 제2 구역 간에 교류될 수는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재(15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며, 유동부재(150) 외주면의 제1 구역 측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가이드 부재(200)는 유동부재(150) 중심축의 직하방에서 유동부재(150)의 제1 구역 측 단부까지 연장된 S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곡면을 가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탱크(100-1)에서, 가이드 부재(200)는 입수부(112)에서 출수부(114)로 이동하는 물의 전부가 가이드 부재(200)의 외주면 일측을 향해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 부재(200)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탱크(100)에서 입수부(112)에서 출수부(114)로 이동하는 물이 유동부재(150)의 일측으로만 유동하지 않고 타측으로도 유동하여 물의 회전유동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점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200)는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원심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00)는 유동부재(150) 측에서 탱크 하우징(110)의 내벽과의 간격 변화를 통해 유로가 좁아지는 유속상승구간(V)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200)가 유동부재(150)의 직하방에서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의 일측을 향해 구부러지며 형성되므로, 가이드 부재(200)와 탱크 하우징(110)의 내측 전면과의 간격은 입수부(112) 측보다 유동부재(150) 측에서 더 좁아지게 되는데, 이 구간을 통과 하는 물은 유로가 좁아짐으로 인해 유속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부재(150)의 상측에서 유속상승구간(V)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탱크(100-1)에서 탱크 하우징(110)에 수용된 물은 두 군데의 유속상승구간(V)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원심력을 유지하기 위해, 유동부재(150)에 의해 형성되는 유속상승구간(V)이 가이드 부재(200)에 의해 형성되는 유속상승구간(V)보다 좁은 유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드 부재(200)에는 제2 구역 측에 탱크 하우징(110)과 가이드 부재(200)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분에 고인물을 유동부재(150)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벽면 가이드(21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탱크 하우징(110)과 가이드 부재(200)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분이란, 도 9에서 탱크 하우징(110)의 바닥면과 이 바닥면에 수직 결합된 가이드 부재(200)에 의해 형성되는 구석부분을 말한다.
상기 벽면 가이드(210)는 상기 코너부분으로 유동하는 물이 수용되도록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방에 개방된 격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벽멱 가이드에서 유동부재(150)에 대향하는 측면 즉, 유동부재(150)의 상부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유출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벽면 가이드(210)는 벽면 가이드(210)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탱크 하우징(110)의 내벽 즉, 바닥면과의 사이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벽면 가이드(210)는 가이드 부재(200)에 의해 탱크 하우징(110)의 바닥과 가이드 부재(200)가 형성하는 코너부분에 물이 머무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코너부분으로 유입된 물은 상부에서의 지속적으로 회전유동하는 물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회전유동하는 물에 섞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데, 벽면 가이드(210) 부재(200)는 상기 코너부분의 상부에서 회전유동하는 물의 힘에 의해 코너부분 존재하는 물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격리시킴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온수탱크(100-1)에서, 입수부(112)로 유입된 물은 가이드 부재(200)에 의해 유동부재(150)의 외주면 일측으로 유동할 수 있고, 유동부재(15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유동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역에서 가이드 부재(200)와 탱크 하우징(110)이 만나는 구석부분을 이동하는 물은 벽면 가이드(210)의 하단 간격을 통해 벽면 가이드(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벽면 가이드(210)에 유입된 물은 벽면 가이드(210)의 상단에 형성된 유출구(212)를 통해 유동부재(150)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100-1: 온수탱크
110: 탱크 하우징 112: 입수부
114: 출수부 120: 가열수단
130: 격막부재 132: 통수구
140: 플로트 스위치 150: 유동부재
152: 유통구 154: 플랜지
200: 가이드 부재 210: 벽면 가이드
212: 유출구 V: 유속상승구간

Claims (15)

  1.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와 내부에 수용된 물이 유출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탱크 하우징;
    상기 탱크 하우징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입수부에서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는 물이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상기 출수부에서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유동부재;
    를 포함하는 온수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는,
    일단에 상기 출수부가 연결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유통구가 형성된 원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출수부 측에서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탱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구는 상기 유동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유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입수부에서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는 물의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입수부에서 출수부로 유동하는 물이 상기 유동부재의 외주면 일측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입수부의 물 분사 방향에 대해 한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탱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부에는 물의 유동로가 좁아져서 유동하는 물의 유속을 상승시키는 유속상승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속상승구간은 상기 유동부재가 상기 탱크 하우징의 일측면에 근접배치되어 형성된 상기 유동부재와 탱크 하우징 사이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탱크.
  8.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와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유출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탱크 하우징;
    상기 탱크 하우징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입수부에서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는 물이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상기 출수부에서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유동부재; 및
    상기 유동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부를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입수부에서 상기 출수부로 유동하는 물을 상기 유동부재의 외주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입수부는 상기 제1 구역에 배치되는 온수탱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유동부재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유동부재 외주면의 상기 제1 구역 측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탱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유동부재 중심의 직하방에서 상기 유동부재의 상기 제1 구역 측 단부까지 연장된 구부러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탱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유동부재 측에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벽과의 간격 변화를 통해, 유로가 좁아지는 유속상승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탱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2 구역 측에서 상기 탱크 하우징과 가이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분에 고인물을 상기 유동부재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벽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온수탱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가이드는,
    상기 코너부분으로 유동하는 물이 수용되도록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동부재에 대향하는 측면에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유통구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탱크 하우징 내벽과의 사이가 이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탱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는,
    일단에 상기 출수부가 연결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외측면에 다수의 유통구가 형성된 원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출수부 측에서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탱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구는 상기 유동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유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탱크.
KR1020120072495A 2012-07-03 2012-07-03 온수탱크 KR20140004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495A KR20140004966A (ko) 2012-07-03 2012-07-03 온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495A KR20140004966A (ko) 2012-07-03 2012-07-03 온수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966A true KR20140004966A (ko) 2014-01-14

Family

ID=5014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495A KR20140004966A (ko) 2012-07-03 2012-07-03 온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9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307B1 (ko) * 2020-09-14 2021-09-23 홍주리더스 주식회사 식수 냉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307B1 (ko) * 2020-09-14 2021-09-23 홍주리더스 주식회사 식수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02016022915B1 (pt) Máquina de lavar
CN103276564A (zh) 洗衣机用自动投放洗涤剂系统
EP3136014B1 (en) Heat exchanger having circulation guide
CN105105623A (zh) 蒸汽烹饪器具
CN102954589A (zh) 热水器进水管组件和具有其的热水器
CN107881711B (zh) 洗衣机注水槽上盖水路结构及洗衣机
KR20230127232A (ko) 인라인 히터
KR102548269B1 (ko) 정수기
KR20140004966A (ko) 온수탱크
CN203501464U (zh) 导流件及具有导流件的电热水器
JP2013160425A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CN108625115B (zh) 一种洗涤剂盒以及全自动洗衣机
KR20120003597A (ko) 전기 보일러
KR101826786B1 (ko) 비데 온수탱크용 가열장치
KR20170119356A (ko) 온수기용 버퍼탱크
US10952590B2 (en) Dishwasher
JP6041245B2 (ja) 洗濯機
KR101349382B1 (ko) 냉각수단이 구비된 가이드 핀
CN109665480B (zh) 水处理装置
KR102031084B1 (ko)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순간식 온수기
KR100819518B1 (ko) 온수공급장치의 저장탱크
CN204535098U (zh) 热水器的进水管和具有其的热水器
KR101574264B1 (ko) 무동력순환식 난방장치
CN104110852A (zh) 热水器的进水管和具有其的热水器
KR101320405B1 (ko) 가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