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939A - A fabrication method of porous particles comprising meso-macro pores - Google Patents

A fabrication method of porous particles comprising meso-macro por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939A
KR20140004939A KR1020120072397A KR20120072397A KR20140004939A KR 20140004939 A KR20140004939 A KR 20140004939A KR 1020120072397 A KR1020120072397 A KR 1020120072397A KR 20120072397 A KR20120072397 A KR 20120072397A KR 20140004939 A KR20140004939 A KR 20140004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oxide
particles
polymer particles
block copolymer
p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3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07624B1 (en
Inventor
조영상
김영국
백연경
문종우
최철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2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624B1/en
Publication of KR2014000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9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6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5/00Compounds of zirconium
    • C01G25/02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02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dividing the liquid material into drops, e.g. by spraying, and solidifying the drops
    • B01J35/6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for porous particles with meso-macro pores comprising: a step forming a polar solution including metal oxide precursors and block copolymers; a step of forming emulsion droplets containing polymer particles, metal oxide precursors and block copolymers by emulsifying the polar solution in a non-polar solution; a step of forming composite micropowders containing polymer particles, metal oxide precursors and block copolymers by removing the polar solvents contained in the droplets; and a step of forming porous particles containing macro-pores and meso-pores by the polymer particles and block copolymers contained the composite micropowders.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provide operation conditions capable of the removal of the polymer particles and block copolymers with a low-temperature process in comparison with a hot furnace used in an existing aerosols process.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110) Form a first polar solution including metal oxide precursors and polymer particles; (S120) Form a polymer particle aqueous solution including block copolymers; (S130) Form a second polar solution including polymer particles, metal oxide precursors and block copolymers by mixing the aqueous solution and polar solution; (S140) Form emulsion droplets including polymer particles, metal oxide precursors and block copolymers by emulsifying the second polar solution in a non-polar solution; (S150) Form composite micropowders including polymer particles, metal oxide precursors and block copolymers by removing polar solvents contained in the emulsion droplets; (S160) Form porous particles by removing polymer particles and block copolymers through a sintering process

Description

메조-메크로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질 입자의 제조 방법 {A Fabrication Method of Porous Particles comprising Meso-Macro pore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porous particles containing meso-macropores,

본 발명은 메조-메크로 기공을 동시에 포함하는 다공질 입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porous particles simultaneously containing meso-macropores.

일반적으로, 다공체(porous materials)란 기공을 다수 함유하는 소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기공의 크기가 50 nm 이상인 경우 메크로 기공 소재(macroporous materials)라 정의할 수 있으며, 주로, 촉매 담체(catalytic support), 센서, 광산란자(light diffuser) 및 반사체, 형광체 등에 활용되고 있다.Generally, porous materials refer to materials containing a large number of pores. When the pore size is 50 nm or more, it can be defined as macroporous materials, and mainly includes catalytic support, Sensors, light diffusers, reflectors, and phosphors.

이러한 메크로 기공을 갖는 물질의 제조 기술로는 에멀젼(emulsion), 기포(foam), 고분자 라텍스(polymer latex) 입자 등을 주형으로 활용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정을 통해 매우 규칙적인 메크로 기공을 제조할 수 있다.As a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material having macropores, there is applie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rough a process of removing emulsion, foam, polymer latex particles and the like as a mold. Through which a very regular macropore can be produced.

한편, 기공의 크기가 2 내지 50 nm인 경우 메조 기공 소재(mesoporous materials)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높은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으로 인하여, 주로, 촉매 담체 등의 물질로써 각광을 받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re size is in the range of 2 to 50 nm, it can be defined as mesoporous materials. Due to its high specific surface area, it is mainly used as a catalyst carrier or the like.

이러한 메조 기공 소재는 1990년대 중반에 미국 Mobile 사에서 메조 기공 소재인 MCM-41을 개발한 이래로 전세계적으로 메조 기공 소재에 대한 연구가 각광을 받았으며, 국내에서도 다양한 연구기관에서 관련 연구가 행하여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50 nm 이하 크기의 메조 기공 소재의 합성에 편중되어 있다.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mesoporous material, MCM-41, in the mid-1990s, meso-pore materials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worldwide for meso-pore materials,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synthesis of mesoporous materials of size 50 nm or less.

한편, 메조 기공을 갖는 소재를 촉매, 센서, 약물 전달체 등에 적용하는 과정에는 반응물이나 반응 생성물, 흡착되는 물질, 약물 등이 기공 구조 내부로 유입되거나 빠져 나오는 물질 전달(mass transfer) 과정이 수반되는데, 메조 기공의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확산(diffusion)에 의존하는 물질 전달의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Meanwhile, the process of applying a mesoporous material to a catalyst, a sensor, or a drug delivery system involves a mass transfer process in which a reactant, a reaction product, an adsorbed substance, a drug, etc. are introduced into or out of the pore structure. Because meso pore size is very small,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rate of mass transfer depending on diffusion is slowed down.

따라서 기존의 메조 기공을 갖는 소재의 촉매 활성이나 기체 흡착 용량, 약물 전달 속도 등이 포화 되거나 한계를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제약이 수반될 수 있으며, 일례로 분자량 MA를 갖는 기체 분자가 절대 온도 T에서 기공 반경이 r인 기공 소재 내부로 이동할 때 확산 계수 DA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Therefore, there may be a constraint that saturates or limits the catalytic activity, gas adsorption capacity, and drug delivery rate of a material having an existing mesopore, and for example, a gas molecule having a molecular weight M A may have an absolute temperature T The diffusion coefficient D A can be expressed as follows when moving to the inside of the pore material having the pore radius r.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즉, 작은 기공일수록 기체 분자의 확산 속도는 느려지게 되며 이는 촉매 반응 등의 화학 반응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That is, the smaller the pore size, the slower the diffusion rate of the gas molecules, which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chemical reaction such as the catalytic reaction.

메조 기공을 갖는 소재에 수반되는 물질전달 저항과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보다 큰 크기를 갖는 메크로 기공과 메조 기공을 동시에 갖는 계층적(hierarchical) 기공 구조의 메조-메크로 기공을 갖는 다공질 소재를 에어로솔 반응기를 활용하여 개발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such as mass transfer resistance accompanied with the material having mesopores,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rous material having a mesopore having a larger size and meso-macropores having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simultaneously having mesopores Has been developed using an aerosol reactor.

즉, 이러한 메조-메크로 기공을 동시에 갖는 계층적 나노 구조체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에어로솔을 자기조립틀로 활용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J. Noncrystalline Solids, vol. 285, pp. 71-79, 2001). In other words, a method of using aerosol as a self-assembly frame has been proposed as a conventional method of producing a hierarchical nano structure having such meso-macropores simultaneously (J. Noncrystalline Solids, vol. 285, pp. 71-79 , 2001).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1) 메크로 기공을 위한 고분자 재질로써 수백 nm 급의 유기질 입자와 (2) 메조 기공을 위한 유기물 재질로써 블록공중합체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This conventional method uses (1) organic particles of several hundreds of nm in size as a macromolecular material for macropores and (2) a block copolymer or a surfactant as an organic material for mesopores.

구체적으로, 상기 두 물질을 적합한 용매에 혼합하여 무기물 소재의 전구체(precursor) 물질을 첨가한 뒤, 에어로솔 반응기를 통해 미세한 액적에 포함되는 형태로 분무(atomization)하였다. 이러한 미세 액적을 고온로(high-temperature furnace)에 공급하여 액적을 구성하는 용매를 급격히 증발시키고, 액적 내부의 유기질 입자와 블록공중합체 혹은 계면활성제 및 무기물 전구체가 자기조립(self-assembly)되면서 섭씨 수백도 이상의 고온에서 유기질 입자와 블록공중합체 혹은 계면활성제가 연소(burning out)에 의해 제거되는 공정에 의하여 메조 기공과 메크로 기공을 동시에 갖는 다공질 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다. Specifically, the two materials were mixed in a suitable solvent, and a precursor material of an inorganic material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atomization in the form of being contained in a fine droplet through an aerosol reactor. The fine droplets are supplied to a high-temperature furnace to rapidly evaporate the solvent constituting the droplet. The organic particles in the droplet and the block copolymer or the surfactant and the inorganic precursor are self-assembled, Porous particles having mesopores and macropores simultaneously can be produced by a process in which organic particles and a block copolymer or a surfactant are removed by burning out at a high temperature of several hundreds or more.

하지만, 이러한 에어로솔 공정은 분무된 미세 액적이 고온로에 주입되는 과정에서 이송 기체(carrier gas)가 요구되므로, 공정에 추가적인 기체의 소모가 요구되며, 이송 기체로써 통상 활용되는 질소 등의 기체는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aerosol process requires a carrier gas in the process of injecting the atomized fine droplets into the high-temperature furnace, additional gas consumption is required in the process, and nitrogen such as nitrogen, which is commonly used as the transfer gas, .

이를 회피하기 위하여 공기(air)와 같은 이송 기체를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에어로솔 반응기에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compressor) 등의 부가적인 설비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Even if a transfer gas such as air is utilized to avoid thi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n additional facility such as a compressor for supplying it to the aerosol reactor is required.

또한, 이러한 이송 기체에 의해 주입된 미세 액적의 고온로에서의 체류시간(retention time)이 매우 짧으므로 액적 내부의 유기질 입자를 연소에 의하여 태워 없애기 위한 조업 온도가 때로는 섭씨 1,000 도까지 이르는 등 매우 높게 요구되는 상황이다.Also, since the retention time of the fine droplet injected by the transfer gas is very short, the operating temperature for burning the organic particles in the droplet by burning is sometimes as high as 1,000 degrees centigrade This is a required situation.

그 밖에 에어로솔 공정에는 고온로에 삽입된 석영(quartz) 재질의 관이 요구되는데, 에어로솔 액적이 고온로에 투입되면서 로(furnace)의 내벽에 달라붙는 등 수율(yield)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erosol process requires a quartz tube inserted into the high-temperature furnace, which causes a disadvantage that the yield of the aerosol droplet is adhered to the inner wall of the furnace while the aerosol droplet is introduced into the high- do.

또한 에어로솔 반응기의 경우 액적을 형성하기 위한 기구로써 초음파 진동자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진동자의 주파수가 대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액적의 크기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an aerosol reactor, an ultrasonic oscillator is often used as a device for forming a droplet. However, since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or is usually fix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ize of the droplet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is manner is limited.

결국, 에어로솔 방식에 의한 메조-메크로 기공을 갖는 다공질 입자의 제조 공정에 대한 단점을 요약하자면, (1) 이송 기체 등의 추가적인 원료 손실 발생, (2) 이송 기체 주입을 위한 추가 설비의 요구, (3) 고온로의 높은 조업 온도에 따른 에너지 손실 발생, (4) 에어로솔 반응기의 내벽에 원료 물질이 들러붙어 수율 저하 발생, (5) 형성되는 액적의 크기 및 분포가 제한적이라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As a result, the drawbacks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rous particles having meso-macropores by the aerosol metho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dditional raw material loss such as transfer gas, (2) requirement for additional equipment for feed gas injection, (3) energy loss due to high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high temperature furnace, (4) raw material adheres to the inner wall of the aerosol reactor to lower yield, and (5)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droplets formed are limited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조 기공성 소재에 수반되는 물질전달 저항과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큰 크기를 갖는 메크로 기공과 메조 기공을 포함하는 기공 구조를 갖는 자기조립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disadvantages such as mass transfer resistance accompanying mesoporous materials, We suggest the assembly technique.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분자 입자, 금속 산화물 전구체 및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극성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극성 용액을 비극성 용액에 유화시켜 고분자 입자, 금속산화물 전구체 및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에멀젼 액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적에 포함된 극성 용매를 제거하여 고분자 입자, 금속 산화물 입자 및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복합 미세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미세 분말에 포함된 상기 고분자 입자 및 상기 블록공중합체를 제거하여 메크로 기공 및 메조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질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질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forming a polar solution including a polymer particle, a metal oxide precursor, and a block copolymer; Forming an emulsion droplet comprising the polymer particles, the metal oxide precursor and the block copolymer by emulsifying the polar solution in a nonpolar solution; removing the polar solvent contained in the droplet to remove the polymer particles, the metal oxide particles and the block copolymer To form a composite fine powder; And removing the polymer particles and the block copolymer contained in the composite fine powder to form porous particles including macropores and mesopor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극성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는, 고분자 입자 및 금속 산화물 전구체를 포함하는 제1극성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수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극성 용액과 상기 수용액을 혼합하여, 제2극성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인 다공질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forming the polar solu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first polar solution including polymer particles and a metal oxide precursor; Forming an aqueous solution of the polymer particles comprising the block copolymer; And mixing the first polar solution and the aqueous solution to form a second polar solu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금속 산화물 전구체는 산촉매(acid catalyst) 및 수분과 반응하여 졸-겔(sol-gel) 반응을 거쳐 지르코니아, 실리카, 타이타니아 또는 알루미나의 금속 산화물로 전이되는 다공질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porous particles in which the metal oxide precursor is transferred to a metal oxide of zirconia, silica, titania or alumina through a sol-gel reaction with an acid catalyst and moisture to provid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목적으로 하는 전구체(precursor) 물질과 블록공중합체를 혼합한 뒤, 소성(calcination) 과정을 통해 이를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 계층적 기공 구조를 갖는 다공질 입자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target precursor material and a block copolymer are mixed and then subjected to a process of removing them by a calcination process to form porous particles having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Material can be manufactured.

또한, 이러한 소성 과정에는 저온공정에 해당하여, 종래의 에어로솔 공정에서 사용되는 고온로에 비하여 저온 공정으로 고분자 입자 및 블록공중합체의 제거가 가능한 조업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ing process corresponds to the low-temperature proces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operating conditions that allow the removal of the polymer particles and the block copolymer by the low temperature process as compared with the high temperature furnace used in the conventional aerosol process.

또한, 에멀젼 자기조립틀의 방식에 의해 메조 기공과 메크로 기공을 동시에 갖는 계층적 기공 소재를 합성하는 본 발명의 경우, 에멀젼을 분산상(dispersed phase)으로 갖는 복잡유체 시스템(complex fluid system)을 대량으로 제조하여 개별 입자 수준에서 메조 기공과 메크로 기공을 동시에 갖는 다공질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synthesizing a hierarchical pore-forming material having both mesopores and macropores by a method of emulsion self-assembly, a complex fluid system having an emulsion as a dispersed phase can be mass- To prepare porous particles having mesopores and macropores simultaneously at the individual particle level.

또한, 본 발명은 다공질 입자의 형성 시 원료와 에너지의 소모가 적고 수율 저하 없이 물리적인 자기조립 과정에 의해 제조된 다공질 입자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porous particles manufactured by a physical self-assembly process without consuming less raw material and energy when the porous particles are formed and without lowering the yield.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입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입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서 사용된 폴리스티렌 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3a는 실험예 1에 의해 합성된 메조-메크로 기공을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실리카 입자를 나타낸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3b는 도 3a의 일부를 확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며, 도 3c는 실험예 1에 의해 합성된 메조-메크로 기공을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실리카 입자에 대한 입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실험예 1에 의해 합성된 메조-메크로 기공을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실리카 입자를 나타낸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4b는 도 4a의 단일 입자를 확대하여 얻어진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며, 도 4c는 도 4b의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에 대한 FFT(Fast Fourier Transform) 결과이다.
도 5a는 실험예 2에 의해 합성된 메조-메크로 기공을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실리카 입자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5b는 도 5a의 단일 입자를 확대하여 얻어진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며, 도 5c는 도 5b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을 보다 높은 배율로 확대하여 얻은 이미지이고, 도 5d는 실험예 2에 의해 합성된 메조-메크로 기공을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실리카 입자에 대한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 열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A to 1C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process for producing porous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D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for producing porous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used in Experimental Example 1. Fig.
FIG. 3A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 of a silica particle having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having meso-macropores synthesized by Experimental Example 1, FIG. 3B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image obtained by enlarging a part of FIG.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silica particles of the hierarchical pore structure having meso-macropores synthesized by Experimental Example 1. FIG.
FIG. 4A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showing silica particles of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having meso-macropores synthesized by Experimental Example 1, FIG. 4B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obtained by enlarging the single particle of FIG. 4A, 4c is an FFT (Fast Fourier Transform) result of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image of FIG. 4b.
FIG. 5A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of silica particles having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having meso-macropores synthesized by Experimental Example 2, FIG. 5B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obtained by enlarging the single particle of FIG. 5A, 5c is an image obtained by enlarging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of FIG. 5b at a higher magnification, FIG. 5d is a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of silica particles of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having meso-macro pores synthesized by Experimental Example 2,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Quot;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 RTI ID = 0.0 >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And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an element and other elem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including the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at the time of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입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입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A to 1C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process for producing porous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D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for producing porous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입자의 제조공정은 비극성 용매인 오일(기름, oil)의 연속상에 분산된 극성 용액의 에멀젼을 활용하여 제조된 것으로써, 고분자 입자 및 금속 산화물 전구체를 포함하는 제1극성 용액을 형성한다(S110).Referring to FIG. 1D, the process for preparing porous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using an emulsion of a polar solution dispersed in a continuous phase of oil (oil) as a non-polar solvent. Thereby forming a first polar solution including the precursor (S110).

이때, 상기 고분자 입자는 수십 nm에서 수 μm의 크기를 갖는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다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분자 및 공중합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일 수 있고, 구형 또는 비구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고분자 입자의 종류 및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polymer particle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 polyimide, polyacrylate, polycarbonate, polyimidazole, polyethylene oxid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ethylene glycol and derivatives thereof having a size of several tens nm to several micrometers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polymer and a copolymer, preferably polystyrene, and may have a spherical or non-spherical shap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and shape of the polymer particles It is not.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고분자 입자들은 소성(calcination) 공정에 의하여 제거되어, 직경 50nm 이상의 메크로 기공(macropore)을 형성하기 위한 주형(template) 물질로 활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particles may be removed by a calcination process and used as a template material for forming macropores having a diameter of 50 nm or more.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의 전구체는 지르코늄, 실리콘, 타이타늄 및 알루미늄 등의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알콕사이드(alkoxide) 계통의 물질로써, 산촉매 및 수분과 반응하여 졸-겔(sol-gel) 반응을 거쳐 지르코니아, 실리카, 타이타니아 및 알루미나 등의 금속 산화물로 전이될 수 있는 물질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산화물 전구체 물질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precursor of the metal oxide is an alkoxide-based material containing a metal element such as zirconium, silicon, titanium and aluminum. The precursor of the metal oxide is reacted with an acid catalyst and moisture to undergo a sol-gel reaction to form zirconia, Silica, titania, and alumina. However, the kind of the metal oxide precursor material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극성 용액을 형성하기 위한 극성 용매는 물(water), 아세톤(Acetone), 디메틸 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및 알코올(Alcohol)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극성 용매는 물(water)과 알코올의 혼합액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극성 용매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polar solvent for forming the polar solutio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cetone, dimethylformamide (DMF), and alcohol, The polar solvent may be a mixture of water and alcohol, but the polar solvent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입자로 폴리스티렌(polystyrene)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무유화제 유화 중합(emulsifier-free emulsion polymerization) 등의 방식으로 합성되거나, 상용화된 루트를 통해 얻어진 폴리스티렌(polystyrene) 입자를 원심분리 과정을 거쳐 세척하여 적절한 농도로 에탄올에 재분산하는 과정을 거쳐 폴리스티렌 입자의 분산액을 준비할 수 있다. 이때, 폴리스티렌 수용액에서의 폴리스티렌 입자의 농도는 2 내지 4wt%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using polystyrene particles as the polymer particles, polystyrene particles obtained through a route such as emulsifier-free emulsion polymerization or the like can be prepared by centrifugation And then redispersed in ethanol at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Thus, a dispersion of polystyrene particles can be prepared. 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in the polystyrene aqueous solution may be 2 to 4 wt%.

상기 원심 분리는 사용되는 폴리스티렌 입자의 종류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의 입자일수록, 보다 가혹한 원심분리 조건이 요구될 수 있다. 폴리스티렌 입자의 크기가 100 nm 수준인 경우 13,000 rpm 이상의 회전속도 및 45분 이상의 원심분리 시간의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원심분리의 조건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centrifugation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ype of polystyrene particles used, and in general, smaller particle size may require more severe centrifugation conditions. I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is 100 nm, the rotation speed may be 13,000 rpm or more and the centrifugation time may be 45 minutes or mo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centrifugation conditions.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의 전구체 물질로 실리카의 전구체인 TEOS(tetraethylortho silicate)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TEOS를 적절한 농도로 희석된 염산 수용액이 함유된 상기 폴리스티렌 입자의 분산액과 혼합하는 과정을 거쳐, 고분자 입자 및 금속 산화물의 전구체 물질을 포함하는 제1극성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스티렌 입자의 분산액과 혼합될 TEOS의 농도는 제1극성용액의 100 wt% 대비 10 내지 40wt%의 함량일 수 있다.When TEOS (tetraethylortho silicate), which is a precursor of silica, is used as the precursor material of the metal oxide, the TEOS is mixed with the dispersion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containing an aqueous hydrochloric acid solution diluted to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And a precursor material of the metal oxide. 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 of TEOS to be mixed with the dispersion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may be 10 to 40 wt% based on 100 wt% of the first polar solution.

다음으로,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수용액을 형성한다(S120).Next, an aqueous solution of the polymer particles containing the block copolymer is formed (S120).

이때, 상기 고분자 입자는 수십 nm에서 수 μm의 크기를 갖는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다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분자 및 공중합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일 수 있고, 구형 또는 비구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고분자 입자의 종류 및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polymer particle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 polyimide, polyacrylate, polycarbonate, polyimidazole, polyethylene oxid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ethylene glycol and derivatives thereof having a size of several tens nm to several micrometers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polymer and a copolymer, preferably polystyrene, and may have a spherical or non-spherical shap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and shape of the polymer particles It is not.

또한,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Pluronic 계열의 삼중블록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로써, 바람직하게는 Pluronic P103일 수 있고, 보다 다양하게는 Pluronic P123 또는 Pluronic F103 등도 활용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블록공중합체 또는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block copolymer i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block copolymers of the Pluronic series and derivatives thereof, preferably Pluronic P103, more preferably Pluronic P123 or Pluronic F103 and the like may also be used, but the kind of the block copolymer or the surfactant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상기 고분자 입자의 수용액의 100 wt% 대비 25 내지 40wt%의 함량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ock copolym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25 to 40 wt% based on 100 wt% of the aqueous solution of the polymer particles.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소성(calcination) 공정에 의하여 제거되어, 직경 2 내지 50 nm 크기의 메조 기공(mesopore)를 형성하기 위한 주형 물질로 활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copolymer is removed by a calcination process, and may be used as a template material for forming mesopores having a diameter of 2 to 50 nm.

다음으로, 상기 제1극성 용액과 상기 수용액을 혼합하여, 제2극성 용액을 형성한다(S130).Next, the first polar solution and the aqueous solution are mixed to form a second polar solution (S130).

즉, 상기 고분자입자 및 상기 금속산화물 전구체를 포함하는 제1극성용액과 상기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입자의 수용액을 혼합하여, 고분자 입자, 금속산화물 전구체 및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극성용액을 형성한다.That is, the first polar solution containing the polymer particles and the metal oxide precursor and the aqueous solution of the polymer particles including the block copolymer are mixed to form a second polar solution containing the polymer particles, the metal oxide precursor and the block copolymer .

즉, 상기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입자의 수용액이, 금속 산화물의 전구체 물질과 고분자 입자를 포함한 제1극성용액에 첨가 및 혼합되어 에멀젼 시스템의 분산상(dispersed phase)이 완성될 수 있다. That is, an aqueous solution of the polymer particles containing the block copolymer may be added to and mixed with the first polar solution containing the precursor material of the metal oxide and the polymer particles to complete the dispersed phase of the emulsion system.

이때, 완성된 에멀젼 분산상이라 함은, 고분자 입자, 블록공중합체, 금속 산화물의 전구체 물질을 포함하는 극성용액을 일컫는 것으로, 후술할 자기조립 및 소성 공정을 거쳐 메조-메크로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질 입자의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The finished emulsion dispersed phase refers to a polar solution containing a precursor material of polymer particles, block copolymers and metal oxides, and is a solution of porous particles containing meso-macropores through self-assembly and sintering, And can be utilized in manufacturing.

한편, 상기 금속 산화물의 전구체 물질이 상기 폴리스티렌 입자의 분산액과 혼합될 경우 제1극성 용액 또는 제2극성 용액에 포함된 수분과 산촉매(acid catalyst)와 반응하여 가수분해(hydrolysis) 및 축합(condensation) 반응을 거쳐 금속 산화물(metal oxide)로 전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cursor material of the metal oxide is mixed with the dispersion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rst polar or second polar solution reacts with the acid catalyst to hydrolyse and condense, And can be transferred to a metal oxide through a reaction.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 다공질 입자의 재질은 금속 산화물과 같은 무기 세라믹 물질일 수 있으며, 일례로, 금속 산화물의 전구체 물질로써 TEOS를 활용하는 경우 최종적인 다공질 입자의 재질은 실리카가 될 수 있다.Therefore, the material of the porous particles that can be manufactur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inorganic ceramic material such as metal oxide. For example, when TEOS is used as a precursor material of a metal oxide, the final porous material may be silica .

계속해서, 도 1a 및 도 1d를 참조하면, 고분자 입자, 금속 산화물 전구체 및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극성 용액을 비극성 용액에 유화시켜 고분자 입자(102), 금속산화물 전구체(103) 및 블록공중합체(104)를 포함하는 에멀젼 액적(100)을 형성한다(S140).1A and 1D, a second polar solution including a polymer particle, a metal oxide precursor, and a block copolymer is emulsified in a nonpolar solution to form a polymer particle 102, a metal oxide precursor 103, To form an emulsion droplet 100 including the aggregate 104 (S140).

이를 위해, 먼저 제2극성 용액과 비극성 용액인 소수성 오일을 혼합시킨다. 여기서, 소수성 오일로는 예를 들어, 헥사데칸(hexadecane), 실리콘 오일(silicon oil) 또는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o this end, the second polar solution is first mixed with the hydrophobic oil, which is a nonpolar solution. As the hydrophobic oil, for example, hexadecane, silicone oil or mineral oil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a를 참조하면, 액적(100)은 고분자 입자(102), 금속 산화물 전구체(103) 및 블록공중합체(104)가 극성 용매(101) 내에 분산된 상태로 소수성 오일의 연속상(oil phase)에 유화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액적을 형성하는 것은 고분자 입자와 금속 산화물 전구체 및 블록공중합체가 혼합된 극성 용액을 미세한 액적의 형태로 소수성 오일의 연속상에 유화시키는 것으로, 고분자 입자, 금속 산화물 전구체 및 블록공중합체가 혼합된 극성 용액과 소수성 오일을 혼합한 뒤, 예를 들어 볼텍스 믹서(vortex mixer) 또는 유화기(homogenizer)로 60 초간 혼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1A, a droplet 100 is formed by dispersing a polymer particle 102, a metal oxide precursor 103, and a block copolymer 104 in a polar solvent 101 in an oil phase of a hydrophobic oil, Or the like. The formation of such a droplet is carried out by emulsifying a polar solution in which a polymer particle, a metal oxide precursor and a block copolymer are mixed in a continuous phase of a hydrophobic oil in the form of a fine droplet, in which a polymer particle, a metal oxide precursor and a block copolymer For example, by mixing the polar solution and the hydrophobic oil, followed by mixing for 60 seconds with, for example, a vortex mixer or a homogenizer.

한편, 유화 시간 및 유화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보다 미세한 크기의 분산상(dispersed phase)이 함유된 에멀젼(emulsion) 또는 복잡 유체 시스템(complex fluid system)을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mulsification time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emulsifier are increased, an emulsion or a complex fluid system containing a finer size dispersed phase can be formed.

반면, 에어로솔의 경우 액적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 주파수가 대부분 1.67 MHz와 같은 수치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에멀젼 시스템에 비하여 형성되는 액적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다공질 입자의 크기 제어 또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제약이 수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erosol, since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ultrasonic vibrator that generates droplets is fixed to the same value as 1.67 MHz, it is difficult to freely control the size of droplets formed in comparison with the emulsion system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ze control of the obtained porous particles is also not free.

이때, 소수성 오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수성과 친수성을 갖는 양친성의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고분자 입자, 금속 산화물 전구체 및 블록 공중합체가 혼합된 극성 용액의 액적 표면에 흡착하여 액적 상호간의 유착(drop coalescence)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hydrophobic oil may contain a surfactant, which may be an amphiphilic block copolymer having hydrophobicity and hydrophilicity. The surfactant is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droplet of the polar solution in which the polymer particles, the metal oxide precursor and the block copolymer are mixed to prevent drop coalescence between the droplets.

본 발명에서는 계면활성제는 상용화된 블록공중합체인 ABIL EM 90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계면활성제는 상기 비극성 용매 100 wt% 대비 0.5wt% 내지 3wt%로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BIL EM 90, which is a commercialized block copolymer, can be used as the surfactant, but the kind of the surfactant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the surfacta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5 wt% to 3 wt% based on 100 wt% of the non-polar solvent.

계속해서 도 1b 및 도 1d를 참조하면, 액적에 포함된 극성 용매(101)를 제거하여 고분자 입자(112), 금속 산화물 입자(111) 및 블록공중합체(114)를 포함하는 복합 미세 분말(110)을 형성한다(S150). 1B and 1D, the polar solvent 101 contained in the droplet is removed to form a composite fine powder 110 (FIG. 1B) containing the polymer particles 112, the metal oxide particles 111 and the block copolymer 114 (S150).

즉, 상기 복합 미세 분말(110)은 도 1a의 고분자 입자, 금속 산화물 전구체 및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액적에서 극성 용매를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만약 극성 용매가 에탄올과 물의 혼합액이라고 가정한다면, 연속상(continuous phase)은 오일이 되고, 분산상(dispersed phase)은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극성 용매의 혼합액의 형태가 될 수 있다. That is, the composite fine powder 110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olar solvent from a droplet containing the polymer particles, the metal oxide precursor and the block copolymer of FIG. 1A. If the polar solvent is a mixture of ethanol and water, the continuous phase becomes an oil and the dispersed phase can be in the form of a mixture of polar solvents in which water and ethanol are mixed.

이때, 액적에 포함된 극성 용매의 혼합액을 서서히 증발시키면, 자기 조립(self-assembly) 과정에 의해, 도 1b와 같은 고분자 입자(112), 금속 산화물 입자(111) 및 블록공중합체(114)를 포함하는 복합 미세 분말(110)이 제조될 수 있다. When the mixed solution of the polar solvent contained in the droplet is gradually evaporated, the polymer particles 112, the metal oxide particles 111, and the block copolymer 114 as shown in FIG. 1B are formed by self- The composite fine powder 110 may be prepared.

한편, 극성 용매가 증발하게 되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의 전구체 물질(103)은 졸-겔 반응을 거쳐 마이크로 미터 크기 이하의 금속 산화물 기질로 형성된다. 이때, 금속 산화물 기질은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polar solvent evaporates, the precursor material 103 of the metal oxide undergoes a sol-gel reaction to form a metal oxide substrate having a micrometer size or less. At this time, the metal oxide substrate may be formed into a sphe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이러한 액적에 포함된 극성 용매의 증발 및 자기조립 공정에는 직접적인 가열 장치 또는 마이크로파를 통한 국부적(localized)이고 선택적인(selective) 가열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액적을 구성하는 액적의 증발에 직접적인 가열 장치를 활용할 경우 섭씨 60 도 내지 100 도의 일정한 온도에서 에멀젼 시스템을 교반함과 동시에 가열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적을 구성하는 알코올 및 수분과 같은 극성 분자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국부적이고 선택적인 가열이 가능하므로, 가열 및 자기조립 공정에 있어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마이크로파의 생성에는 가정용 전자 렌지로부터 실험실용 또는 산업용 전자 렌지 등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e evaporation and self-assembly processes of polar solvents included in these droplets can utilize direct heating or localized selective heating through microwaves. When a direct heating device for evaporating the droplets constituting the droplet is utilized, the emulsion system may be stirred and heated at a constant temperature of 60 to 100 degrees centigrade. In addition, the polar molecules such as alcohol and moisture constituting the liquid droplet can be locally and selectively heated by microwaves, so that energy consumption in the heating and self-assembly processes can be reduced. For the generation of microwaves, a variety of laboratory microwave ovens or industrial microwave ovens can be used.

한편,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록공중합체(114)는 상기 고분자입자(112)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블록공중합체(114a), 상기 고분자입자(112)의 내부로 침투한 제2블록공합체(114b) 및 상기 고분자입자(112)의 경계에 접하는 제3블록공중합체(114c)를 포함할 수 있다.1B, the block copolymer 114 includes a first block copolymer 114a spaced apart from the polymer particles 112, a first block copolymer 114a penetrating into the polymer particles 112, 2 block copolymer 114b and a third block copolymer 114c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oundary between the polymer particles 112. [

계속해서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면, 복합미세 분말에 포함된 고분자 입자 및 블록공중합체를 제거하여 다수의 기공(121, 124)을 포함하는 다공질 입자(120)를 형성한다(S140). 이때, 상기 다공질 입자(120)는 다수의 메크로 기공(macropore, 121)과 다수의 메조 기공(mesopore, 124)을 동시에 포함하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다공질 입자(120)로 형성될 수 있다.1C and 1D, the polymer particles and the block copolymer included in the composite fine powder are removed to form porous particles 120 including a plurality of pores 121 and 124 (S140). At this time, the porous particles 120 may be formed of porous particles 120 having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macropores 121 and a plurality of mesopores 124.

즉, 고분자 재질의 입자가 제거되어, 그 빈 공간이 주형(template)으로 작용하여 다공질 입자(120)에 50 nm 이상의 직경을 갖는 메크로 기공(121)이 형성되게 되며, 블록공중합체가 제거되어, 그 빈 공간이 주형으로 작용하여 다공질 입자(120)에 2 내지 50 nm 크기의 직경을 갖는 메조 기공(124)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방법을 통하여 메조 기공과 메크로 기공을 동시에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다공질 입자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the particles of the polymer material are removed, and the empty space acts as a template to form the macro pores 121 having a diameter of 50 nm or more in the porous particles 120, and the block copolymer is removed, Mesopores 124 having a diameter of 2 to 50 nm are formed in the porous particles 120 by the empty space serving as a mol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duce porous particles of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having mesopores and macropores simultaneously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상기 고분자 입자와 상기 블록공중합체를 제거하는 것은 복합미세 분말의 복합체로부터 소성(calcination) 과정을 통해 메크로 기공의 주형 물질인 고분자 입자와 메조 기공의 주형 물질인 블록공중합체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소성 과정에는 섭씨 400도 내지 600도의 온도에서 가동되는 로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에어로솔 공정에서 사용되는 고온로에 비하여 비교적 저온에서 유기물의 제거가 가능한 조업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moval of the polymer particles and the block copolymer is accomplished by selectively removing only the polymer particles as the template material of the macropores and the block copolymer as the template material of the mesopores through the calcination process from the complex of the fine particles . In this firing process, a furnace operating at a temperature of 400 ° C. to 600 ° C. can be utilized, which can apply operating conditions that allow the removal of organic matter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s compared with a high temperature furnace used in an aerosol process.

한편,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조 기공(124)은 상기 메크로 기공(121)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메조 기공(124a), 상기 메크로 기공(121)과 결합하여 연속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제2메조 기공(124b) 및 상기 메크로 기공(121)의 경계에 접하는 제3메조 기공(124c) 포함할 수 있다.1C, the mesopores 124 may include a first mesopore 124a spaced apart from the mesopores 121, and a second mesopore 124b formed by joining the mesopores 121 to form a continuous space. And a third mesopore 124c in contact with the boundary between the mesopores 121,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입자의 제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험예는 다음과 같다.Next, the production of the porous particl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experimental example is as follows.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실험예 1은 오일(oil)을 연속상으로 제조된 에멀젼 액적으로부터 메조-메크로 기공을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다공질 입자를 제조한 것이다.Experimental Example 1 is a preparation of porous particles of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having meso-macropores from an emulsion droplet prepared in a continuous oil phase.

먼저, 고분자 입자로 폴리스티렌(polystyrene)을 사용하였으며, 무유화제 유화 중합(emulsifier-free emulsion polymerization) 등의 방식으로 합성되거나, 상용화된 루트를 통해 얻어진 폴리스티렌 입자를 원심분리 과정을 거쳐 세척하여 적절한 농도로 에탄올에 재분산하는 과정을 거쳤다. 원심분리 조건은 13,000 rpm에서 45 분 정도를 실시하였으며, 초음파 분쇄(sonication)를 거쳐 에탄올에 재분산된 폴리스티렌 입자의 농도는 약 5 wt %에 해당하였다. 다음으로, 0.1 N의 염산 수용액을 10배 희석하여 0.01 N의 염산 수용액으로 제조한 뒤, 상기 에탄올에 분산된 폴리스티렌 입자와 혼합하는 과정을 거쳤다. First, polystyrene was used as the polymer particle, and the polystyrene particles synthesized by emulsifier-free emulsion polymerization or obtained through the commercialized route were centrifuged and washed at a proper concentration And then redispersed in ethanol. The centrifugation was carried out at 13,000 rpm for 45 minutes. After ultrasonic sonication, the concentration of polystyrene particles redissolved in ethanol was about 5 wt%. Next, a 0.1 N hydrochloric acid aqueous solution was diluted 10-fold to prepare a 0.01 N hydrochloric acid aqueous solution, and then mixed with the polystyrene particles dispersed in ethanol.

다음으로, 금속 산화물의 전구체 물질로써 TEOS(tetraethyl orthosilicate)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TEOS를 희석된 염산 수용액과 혼합된 상기 폴리스티렌 입자의 에탄올 분산액과 혼합하는 과정을 거쳤다. 혼합 시간은 약 1시간 동안 마그네틱 바(magnetic bar)를 활용한 격렬한 교반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희석된 염산 수용액과 혼합된 상기 폴리스티렌 입자의 에탄올 분산액의 무게는 약 1.8376 g, 상기 TEOS의 무게는 약 0.65 g이었다.Next,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was used as a precursor of the metal oxide, and the TEOS was mixed with the ethanol dispersion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mixed with the diluted hydrochloric acid aqueous solution. The mixing time was about 1 hour by vigorous stirring using a magnetic bar and the weight of the ethanol dispersion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mixed with the dilute hydrochloric acid aqueous solution was about 1.8376 g and the weight of the TEOS was about 0.65 g.

다음으로, 상용화된 양친성 블록공중합체인 Pluronic P103을 폴리스티렌 입자의 수용액과 혼합하는 과정을 거쳤다. 상기 폴리스티렌 입자의 수용액은 상기 폴리스티렌 입자의 에탄올 분산액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약 100 nm의 직경을 갖는 입자로 선정하였다. 혼합된 최종 수용액에서 Pluronic P103의 농도는 약 20.5 wt %, 폴리스티렌 입자의 농도는 4 wt % 였다. Next, Pluronic P103, which is a commercially available amphiphilic block copolymer, was mixed with an aqueous solution of polystyrene particles. The aqueous solution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was selected as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about 100 nm having the same size as the ethanol dispersion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In the final mixed solution, the concentration of Pluronic P103 was about 20.5 wt% and the concentration of polystyrene particles was 4 wt%.

상기 Pluronic P103과 폴리스티렌 입자의 수용액의 혼합액을 상기 TEOS와 희석된 염산 수용액과 혼합된 상기 폴리스티렌 입자의 에탄올 분산액에 첨가하여 약 30분간 격렬히 교반하여 본 실시예에서 사용될 분산상(dispersed phase)의 준비를 마쳤다. The mixed solution of Pluronic P103 and an aqueous solution of polystyrene particles was added to the ethanol dispersion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mixed with the hydrochloric acid aqueous solution diluted with TEOS and stirred vigorously for about 30 minutes to prepare dispersed phases to be used in this embodiment .

상기 분산상을 연속상인 헥사데칸(hexadecane)과 같은 오일에 유화하는 공정을 거쳐 상기 폴리스티렌 입자의 에탄올 분산액과 상기 폴리스티렌 입자의 수용액과 상기 양친성 블록공중합체인 Pluronic P103과 상기 금속 산화물의 전구체 물질인 TEOS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포함된 미세한 액적을 형성하였다.  The dispersed phase is emulsified in an oil such as hexadecane, which is a continuous phase, and an ethanol dispersion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an aqueous solution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Pluronic P103 as the amphiphilic block copolymer and TEOS as a precursor substance of the metal oxide And uniformly mixed to form fine droplets contained therein.

계면활성제로 상용화된 물질인 ABIL EM 90을 활용하였으며, ABIL EM 90이 2 wt % 혼합된 헥사데칸과 상기 분산상을 3:1의 부피비로 혼합한 뒤, 유화기(homogenizer)를 활용하여 강한 전단응력을 가한 후, 미세한 액적을 얻을 수 있었다. ABIL EM 90, a commercialized surfactant, was used. Hexadecane with 2 wt% of ABIL EM 90 was mixed with the dispersed phase at a volume ratio of 3: 1 and then a strong shear stress , A fine droplet was obtained.

본 실험예에서는 유화기의 조업 조건으로 21,000 rpm에서 40 초, 30,000 rpm에서 20 초의 교반 조건을 활용하였으며, 다만, 상기 폴리스티렌 입자와 TEOS 및 블록공중합체인 Pluronic P103의 혼합 용액의 농도에 따라 유화 조건은 다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In this experimental example, stirring conditions of 21,000 rpm for 40 seconds and 30,000 rpm for 20 seconds were used as operating conditions of the emulsifier. However, the emulsification conditions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mixed solution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TEOS and the block copolymer Pluronic P103 You can change it differently.

유화를 거쳐 얻어진 상기 미세 액적으로부터 에탄올과 수분을 증발시켜 액적이 수축하는 힘을 활용하여 액적 내부에 포함된 상기 폴리스티렌 입자와 TEOS 및 블록공중합체 Pluronic P103을 자기조립하는 공정을 거쳤다. 이러한 액적의 증발 및 자기조립 공정을 위해, 온도 센서 및 제어기가 장착된 가열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And the self-assembly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TEOS, and the block copolymer Pluronic P103 contained in the droplet was performed by utilizing the force of evaporating the ethanol and moisture from the fine droplets obtained through emulsification to shrink the droplet. For this liquid droplet evaporation and self-assembly process, a heating system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ensor and a controller was utilized.

다음으로, 폴리스티렌 입자와 TEOS 및 블록공중합체 Pluronic P103의 복합체로부터 소성(calcination) 과정을 통해 폴리스티렌 입자와 블록공중합체 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였다. 이러한 소성 과정에는 섭씨 500 도의 온도에서 가동되는 박스로(box furnace)를 활용하였다. 금속 산화물의 전구체 물질인 상기 TEOS는 분산상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수분해된 상태에 도달하는데, 로에서 가열하는 과정에서 공기와 접촉 후 산화되어 실리카(산화 실리콘, SiO2)로 변환되게 된다.Next, only the polystyrene particles and block copolymer were selectively removed from the composite of polystyrene particles and TEOS and the block copolymer Pluronic P103 through a calcination process. This firing process utilized a box furnace operating at a temperature of 500 ° C. The TEOS, which is a precursor of the metal oxide, reaches a hydrolyzed state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dispersed phase. The TEOS is converted into silica (silicon oxide, SiO 2 ) after being contacted with air in heating process in the furnace.

도 2는 실험예 1에서 사용된 폴리스티렌 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2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used in Experimental Example 1. Fig.

도 2를 참조하면, 세척 및 재분산 과정을 거쳐 얻어진 폴리스티렌 입자는 다공질 입자를 구성하는 메크로 기공(macropore)의 주형(template)이 되는 물질로써, 비교적 균일한 크기의 폴리스티렌 입자들이 평균 입도 100 nm의 크기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세척 과정을 통해 입자의 표면에서 계면활성제 등이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다.2, the polystyrene particles obtained through the washing and redispersing process are templates of macropores constituting porous particles. Polystyrene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uniform size have a mean particle size of 100 nm And the surfactant and the like were removed from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through the cleaning process.

도 3a는 실험예 1에 의해 합성된 메조-메크로 기공을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실리카 입자를 나타낸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3b는 도 3a의 일부를 확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며, 도 3c는 실험예 1에 의해 합성된 메조-메크로 기공을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실리카 입자에 대한 입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3A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 of a silica particle having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having meso-macropores synthesized by Experimental Example 1, FIG. 3B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image obtained by enlarging a part of FIG.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silica particles of the hierarchical pore structure having meso-macropores synthesized by Experimental Example 1. FIG.

먼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폴리스티렌의 제거에 의해 메크로 기공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메조 기공(mesopore)의 주형 물질인 블록공중합체 P103의 제거에 의해 형성된 메조 기공은 매우 미세하므로, 주사전자현미경으로는 관찰되지 않았다.  3A and 3B, it can be seen that a part of the macropore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removal of the polystyrene, and the meso pores formed by removing the block copolymer P103, which is a template material of the mesopore, The pores are so fine that they were not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다음으로, 도 3c를 참조하면, 합성된 메조-메크로 기공을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도는 약 265 nm의 서브 마이크론(sub-micron) 수준이며, 대부분의 다공질 입자들은 실험예 1에서 활용된 메크로 기공의 주형 물질인 폴리스티렌 입자의 직경인 100 nm보다 큰 입도를 갖음을 확인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3C,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silica particles having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having synthesized meso-macropores is about 265 nm at a sub-micron level,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article size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which is the template material of the macropores utilized, is larger than 100 nm.

도 4a는 실험예 1에 의해 합성된 메조-메크로 기공을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실리카 입자를 나타낸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4b는 도 4a의 단일 입자를 확대하여 얻어진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며, 도 4c는 도 4b의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에 대한 FFT(Fast Fourier Transform) 결과이다. FIG. 4A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showing silica particles of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having meso-macropores synthesized by Experimental Example 1, FIG. 4B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obtained by enlarging the single particle of FIG. 4A, 4c is an FFT (Fast Fourier Transform) result of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image of FIG. 4b.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도 3a 및 도 3b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으로는 완전히 관찰되기 어려운 메크로 기공이 도 4a 및 4b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하여 보다 명확히 관찰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메크로 기공의 크기는 약 100 nm 정도로 주형으로 활용된 폴리스티렌 입자의 크기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A and 4B, it can be seen that macro-pores, which are hardly observed i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photographs of FIGS. 3A and 3B, are more clearly observed through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photographs of FIGS. 4A and 4B, Is about 100 nm, which is similar to the size of polystyrene particles used as a template.

한편, 도 4b의 확대된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으로부터 미세한 크기의 메조 기공의 존재와 상기 메조 기공들이 규칙적으로 정렬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약 10 nm 수준임을 관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from the enlarge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of FIG. 4 (b) that the presence of fine meso pores and the meso pores are regularly aligned, and that the size is about 10 nm.

또한, 도 4c를 참조하면, 중앙의 점(spot)들을 통해 메조 기공이 규칙적으로 정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4C, it can be seen that the mesopores are regularly arranged through the central spots.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실험예 2는 후술할 바를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에 분산상을 제조할 때 사용된 폴리스티렌 입자의 에탄올 분산액의 농도를 실시예 1에 비하여 3배 증가시켜 사용하였다.Experimental Example 2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except for the following, and more specifically, the concentration of the ethanol dispersion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used in the initial stage of the dispersion phase was increased by 3 times Respectively.

이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메조-메크로 기공을 동시에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다공질 실리카 입자로부터 메크로 기공의 분율을 좀 더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This is for the purpose of further increasing the fraction of macropores from the porous silica particles having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simultaneously having meso-macropores finally obtained.

도 5a는 실험예 2에 의해 합성된 메조-메크로 기공을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실리카 입자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5b는 도 5a의 단일 입자를 확대하여 얻어진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며, 도 5c는 도 5b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을 보다 높은 배율로 확대하여 얻은 이미지이고, 도 5d는 실험예 2에 의해 합성된 메조-메크로 기공을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실리카 입자에 대한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 열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5A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of silica particles having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having meso-macropores synthesized by Experimental Example 2, FIG. 5B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obtained by enlarging the single particle of FIG. 5A, 5c is an image obtained by enlarging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of FIG. 5b at a higher magnification, FIG. 5d is a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of silica particles of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having meso-macro pores synthesized by Experimental Example 2, Fig.

도 5a를 참조하면, 약 100 nm 직경의 메크로 기공과 10 nm 직경의 메조 기공이 동시에 존재하는 메조-메크로 기공 구조의 실리카 입자들을 관찰할 수 있으며, 도 5b를 참조하면, 실험예 2에 따른 실리카 입자는 실험예 1에 따른 실리카 입자에 비하여, 많은 수의 메크로 기공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5c를 참조하면, 메크로 기공의 골격을 구성하는 부위에 작은 크기의 메조 기공들이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silica particles having meso-macropore structure in which macropores having a diameter of about 100 nm and mesopores having a diameter of 10 nm are present at the same time can be observed. Referring to FIG. 5B, It can be seen that the particles have a larger number of macro pores than the silica particle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Referring to FIG. 5C, mesopores of small size are regularly formed at the sites constituting the macropore pores .

또한, 도 5d를 참조하면, 실험예 2를 통해 합성된 메조-메크로 기공을 동시에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실리카 입자의 TGA 열분석 결과로부터 섭씨 600 도에서 소성(calcination) 공정을 통해 소성 전의 시료가 갖는 무게 100 wt %에 비하여 44 wt %의 무게를 갖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입자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D, TGA thermal analysis of the silica particles having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simultaneously having meso-macropores synthesized through Experimental Example 2 showed that the sample before firing was calcined at 600 deg. It can be seen that the particles having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having a weight of 44 wt% as compared with the weight of 100 wt% can be produc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목적으로 하는 전구체(precursor) 물질과 블록공중합체를 혼합한 뒤, 소성(calcination) 과정을 통해 이를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 계층적 기공 구조를 갖는 다공질 입자 소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입자는 광산란 물질, 다공질 촉매 및 기체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cursor precursor and the block copolymer are mixed and then subjected to a calcination process to remove the precursor material and the block copolymer. Thus, a porous particle material having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And the porous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 light scattering material, a porous catalyst and a gas sensor.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메크로 기공을 통하여, 물질 전달이 수반되는 화학 반응 등의 공정에서 반응물이나 반응 생성물에 대한 물질전달 저항을 적게 발생시킬 수 있으며, 메조 기공을 통하여, 넓은 비표면적을 유지할 수 있어, 이러한 특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동시 응용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ass transfer resistance to reactants or reaction products in a process such as a chemical reaction accompanied by mass transfer through macropores, and can maintain a wide specific surface area through mesopores And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 to various fields requiring such characteristics.

또한, 이러한 소성 과정에는 저온공정에 해당하여, 종래의 에어로솔 공정에서 사용되는 고온로에 비하여 저온 공정으로 유기질 입자의 제거가 가능한 조업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ing process corresponds to the low-temperature proces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erating condition that enables removal of the organic particles by the low-temperature process as compared with the high temperature furnace used in the conventional aerosol process.

또한, 에멀젼 자기조립틀의 방식에 의해 메조 기공과 메크로 기공을 동시에 갖는 계층적 기공 소재를 합성하는 본 발명의 경우, 에멀젼을 분산상(dispersed phase)으로 갖는 복잡유체 시스템(complex fluid system)을 대량으로 제조하여 개별 입자 수준에서 메조 기공과 메크로 기공을 동시에 갖는 다공질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synthesizing a hierarchical pore-forming material having both mesopores and macropores by a method of emulsion self-assembly, a complex fluid system having an emulsion as a dispersed phase can be mass- To prepare porous particles having mesopores and macropores simultaneously at the individual particle level.

또한, 본 발명은 다공질 입자의 형성 시 원료와 에너지의 소모가 적고 수율 저하 없이 물리적인 자기조립 과정에 의해 제조된 다공질 입자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porous particles manufactured by a physical self-assembly process without consuming less raw material and energy when the porous particles are formed and without lowering the yield.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에멀젼 액적 101 : 극성 용매
102 : 고분자 입자 103 : 금속 산화물 전구체
104 : 블록공중합체 110 : 복합 미세 분말
111 : 금속 산화물 기질 112 : 고분자 입자
114 : 블록공중합체 120 : 다공질 입자
121 : 메크로 기공 124 : 메조 기공
100: Emulsion droplet 101: Polar solvent
102: polymer particle 103: metal oxide precursor
104: block copolymer 110: composite fine powder
111: metal oxide substrate 112: polymer particle
114: block copolymer 120: porous particles
121: Macro pore 124: Meso pore

Claims (10)

고분자 입자, 금속 산화물 전구체 및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극성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극성 용액을 비극성 용액에 유화시켜 고분자 입자, 금속산화물 전구체 및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에멀젼 액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적에 포함된 극성 용매를 제거하여 고분자 입자, 금속 산화물 입자 및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복합 미세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미세 분말에 포함된 상기 고분자 입자 및 상기 블록공중합체를 제거하여 메크로 기공 및 메조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질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질 입자의 제조 방법.
Forming a polar solution comprising polymer particles, a metal oxide precursor, and a block copolymer;
Emulsifying the polar solution into a nonpolar solution to form an emulsion droplet comprising polymer particles, a metal oxide precursor and a block copolymer;
Removing the polar solvent contained in the droplet to form a composite fine powder including polymer particles, metal oxide particles and block copolymer; And
Removing the polymer particles and the block copolymer included in the composite fine powder to form porous particles including macropores and mesopor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는,
고분자 입자 및 금속 산화물 전구체를 포함하는 제1극성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수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극성 용액과 상기 수용액을 혼합하여, 제2극성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인 다공질 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rming of the polar solution comprises:
Forming a first polar solution comprising polymer particles and a metal oxide precursor;
Forming an aqueous solution of the polymer particles comprising the block copolymer; And
And mixing the first polar solution and the aqueous solution to form a second polar solu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입자는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다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분자 및 공중합체인 다공질 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lymer particles are at least on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 polyimide, polyacrylate, polycarbonate, polyimidazole, polyethylene oxid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ethylene glycol and derivatives thereof,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의 전구체는 지르코늄, 실리콘, 타이타늄 또는 알루미늄의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알콕사이드(alkoxide) 계통의 물질인 다공질 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cursor of the metal oxide is an alkoxide-based material containing a metal element of zirconium, silicon, titanium or aluminu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전구체는 산촉매 및 수분과 반응하여 졸-겔(sol-gel) 반응을 거쳐 지르코니아, 실리카, 타이타니아 또는 알루미나의 금속 산화물로 전이되는 다공질 입자의 제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tal oxide precursor is transferred to a metal oxide of zirconia, silica, titania or alumina through a sol-gel reaction in reaction with an acid catalyst and mois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Pluronic 계열의 삼중블록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다공질 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copolymer i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block copolymers of Pluronic series and derivatives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미세 분말에 포함된 고분자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소성 공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소성 공정은 섭씨 400도 내지 600도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다공질 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ing step of removing the polymer particles contained in the composite fine powder, wherein the firing step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400 to 600 degrees centigra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액을 형성하기 위한 극성 용매는 물(water), 아세톤(Acetone), 디메틸 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및 알코올(Alcohol)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다공질 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lar solvent for forming the polar solu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cetone, dimethylformamide (DMF), and alcohol.
다수의 메크로 기공과 다수의 메조 기공을 동시에 포함하는 계층적 기공 구조의 다공질 입자에 있어서,
상기 메조 기공은 상기 메크로 기공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메조 기공, 상기 메크로 기공과 결합하여 연속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제2메조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질 입자.
In the porous particles having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macropores and a plurality of mesopores simultaneously,
The mesopores are porous particles including first mesopores spaced apart from the macropores, and second mesopores which form a continuous space by combining with the macropor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입자는 상기 메크로 기공의 경계에 접하는 제3메조 기공을 더 포함하는 다공질 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porous particle further comprises a third mesopores in contact with the boundary of the macropores.
KR1020120072397A 2012-07-03 2012-07-03 A Fabrication Method of Porous Particles comprising Meso-Macro pores KR1014076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397A KR101407624B1 (en) 2012-07-03 2012-07-03 A Fabrication Method of Porous Particles comprising Meso-Macro po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397A KR101407624B1 (en) 2012-07-03 2012-07-03 A Fabrication Method of Porous Particles comprising Meso-Macro po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939A true KR20140004939A (en) 2014-01-14
KR101407624B1 KR101407624B1 (en) 2014-06-16

Family

ID=5014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397A KR101407624B1 (en) 2012-07-03 2012-07-03 A Fabrication Method of Porous Particles comprising Meso-Macro por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624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9457A1 (en) * 2014-02-07 2015-08-1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low temperature crystallization and interconnection of metal oxide by steam treatment
KR101589657B1 (en) * 2014-10-22 2016-01-2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eparing hierarchically-porous inorganic oxi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 ion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875454B1 (en) * 2016-05-25 2018-07-06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particles in continuous process using rotating cylinder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film using the same
KR101877124B1 (en) * 2016-09-07 2018-07-1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rst Synthesis of Uniformly Ordered Mesoporous TiO2-B and Its Optical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KR20180132240A (en) * 2017-06-02 2018-12-12 (주)아모레퍼시픽 Method for preparing macroporous inorganic particles
WO2019209071A1 (en) * 2018-04-26 2019-10-31 ㈜아모레퍼시픽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inorganic particle and light-reflecting composition comprising porous inorganic particle
KR20210062451A (en) * 2019-11-21 2021-05-3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Manufacturing method of mesoporous silica materials having double shell for adsorping CO2 and NOx using amine functional group
KR20220020757A (en) * 2020-08-12 2022-02-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High toughness based hierarchical porous structur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WO2023284240A1 (en) * 2021-07-15 2023-01-19 深圳先进技术研究院 Hollow silica spherical particl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9272B2 (en) 2004-12-20 2008-10-21 Varian, Inc. Ultraporous sol gel monoliths
KR100932949B1 (en) * 2008-07-14 2009-12-21 한국기계연구원 Porous ceramic ball including hierarchically porous structure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DE102009053782A1 (en) * 2009-11-19 2011-06-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Porous SiO2 xerogel with characteristic pore size, its drying-stable precursors and its application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527A (en) * 2014-02-07 2015-08-1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Steam-assisted Facile Low-temperature Crystallization and Interconnection of metal oxide
WO2015119457A1 (en) * 2014-02-07 2015-08-1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low temperature crystallization and interconnection of metal oxide by steam treatment
KR101589657B1 (en) * 2014-10-22 2016-01-2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eparing hierarchically-porous inorganic oxi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 ion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875454B1 (en) * 2016-05-25 2018-07-06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particles in continuous process using rotating cylinder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film using the same
KR101877124B1 (en) * 2016-09-07 2018-07-1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rst Synthesis of Uniformly Ordered Mesoporous TiO2-B and Its Optical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JP2020525375A (en) * 2017-06-02 2020-08-27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Amorepacific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porous inorganic particles
KR20180132240A (en) * 2017-06-02 2018-12-12 (주)아모레퍼시픽 Method for preparing macroporous inorganic particles
US11390530B2 (en) 2017-06-02 2022-07-19 Amorepacific Cornoration Method for preparing porous inorganic particles
WO2019209071A1 (en) * 2018-04-26 2019-10-31 ㈜아모레퍼시픽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inorganic particle and light-reflecting composition comprising porous inorganic particle
CN112040923A (en) * 2018-04-26 2020-12-04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Method for preparing porous inorganic particles and composition for light reflection comprising porous inorganic particles
KR20190124507A (en) * 2018-04-26 2019-11-05 (주)아모레퍼시픽 Method for preparing porous inorganic particle and composition for light reflection comprising inorganic particle
CN112040923B (en) * 2018-04-26 2023-06-13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Method for preparing porous inorganic particles and composition for light reflection comprising porous inorganic particles
KR20210062451A (en) * 2019-11-21 2021-05-3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Manufacturing method of mesoporous silica materials having double shell for adsorping CO2 and NOx using amine functional group
KR20220020757A (en) * 2020-08-12 2022-02-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High toughness based hierarchical porous structur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WO2023284240A1 (en) * 2021-07-15 2023-01-19 深圳先进技术研究院 Hollow silica spherical particl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624B1 (en)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624B1 (en) A Fabrication Method of Porous Particles comprising Meso-Macro pores
US8334013B2 (en) Mesoporous metal oxide microspheres and method for forming same
EP170619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icro emulsions
JP6013341B2 (en) Method for producing foamy inorganic monolithic material and use of the material
JP2005510436A (en) Mesoporous materials and methods
Jeong et al. Microfluidic synthesis of atto-liter scale double emulsions toward ultrafine hollow silica spheres with hierarchical pore networks
CN102381715A (en) Large-pore-wall cage-shaped silica hollow sphe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0002452B (en) Hollow porous silica microsphere,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Baatti et al. A two-step Sol-Gel method to synthesize a ladder polymethylsilsesquioxane nanoparticles
Sun et al. General microemulsion synthesis of organic–inorganic hybrid hollow mesoporous silica spheres with enlarged pore size
Krawiec et al. Tubular and rodlike ordered mesoporous silicon (oxy) carbide ceramics and their structural transformations
Han et al. Synthesis of mesoporous silica microspheres by a spray-assisted carbonation microreaction method
Comite Preparation of silica membranes by sol-gel method
Liu et al. Preparation of monodisperse mesoporous carbon microspheres from poly (furfuryl alcohol)–silica composite microspheres produced in a microfluidic device
Fukamachi et al. Synthesis of silica nanotube using myelin figure as template and their formation mechanism
CN106082248A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different-shape silicon dioxide microsphere
Singh et al. Density fractionated hollow silica microspheres with high-yield by non-polymeric sol–gel/emulsion route
Smitha et al. Synthesis of mesoporous hydrophobic silica microspheres through a modified sol–emulsion–gel process
Fu et al. Facile preparation of silica hollow microspheres by precipitation-phase separation method
Lv et al. Effect of the drying process on the preparation of porous silica microspheres
Cao et al. Synthesis of polymer–inorganic patchy microcapsules with tunable patches
CN112156730B (en) Preparation method of high-purity monodisperse porous silicon oxide spheres
KR20160035122A (en) Porous Silica Spheres Having Various Pore Structural Tunabilit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Su et al. Effect of drying technique on the morphologic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mesoporous silica synthesized in the microreactor
KR102042321B1 (en) Method for preparing silica particle having improved surface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