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701U - 연등 걸이구조 - Google Patents

연등 걸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701U
KR20140004701U KR2020130001025U KR20130001025U KR20140004701U KR 20140004701 U KR20140004701 U KR 20140004701U KR 2020130001025 U KR2020130001025 U KR 2020130001025U KR 20130001025 U KR20130001025 U KR 20130001025U KR 20140004701 U KR20140004701 U KR 201400047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assembly
lantern
rotated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근
Original Assignee
박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근 filed Critical 박용근
Priority to KR2020130001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701U/ko
Publication of KR201400047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7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등의 걸이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등본체 상부의 고정대에 가로대를 형성하고 그 가로대에 결합공을 형성하여 후크가 형성된 걸고리를 직접 고정하거나 또는 별도의 조립부재를 끼운으로 조립하여 고정대와 걸고리가 축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걸고리와 고정대가 서로 회전되도록 하고, 따라서 연등이 줄에 매달린 상태에서 연등본체의 회전이 이루어져 연등이 외부환경에 설치된 상태에서 바람이나 기타 외력이 발생되는 경우 연등이 최대한 제자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하여 유연성 있게 움직임되어 바람에 대한 마찰저항을 줄이고 연등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등 걸이구조{The fixing structure of lamp for buddhism}
본 고안은 연등의 걸이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등을 줄에 매달기 위한 걸이수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연등이 매달린 상태에서 연등이 바람에 유연하게 흔들림 되어 연등이 훼손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등은 불교행사시 연도나 사찰 등의 경내에 설치하여 불을 밝히는 불교용품으로서 여러 개의 연등이 한 줄에 일렬로 나열되게 걸려져 불자나 방문객이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연등은 대부분 설치 위치가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므로 비바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고, 따라서 줄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설치하지만, 비바람의 경우 바람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람의 세기가 너무 세서 연등이 바람에 휘날리면서 손상되거나 연등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 것이다.
특히, 사찰이 위치한 장소는 도심보다는 비도심인 경우가 더 많은데, 이러한 곳은 비바람을 막아줄 수 있는 장애물이 거의 없어서 바람의 세기가 더욱 세고, 또한 바람이 부는 방향이 매우 불규칙하여 연등이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연등을 철사와 같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고정하였으나, 이러한 것은 불규칙한 바람 방향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휘어지거나 꺾이면서 쉽게 끊어지고, 현재 대부분의 연등은 걸고리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걸어 매달아서 전체가 함께 유동되지 않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측면에서 바람이 불면 연등이 걸려있는 줄까지 유동되게 흔들어 여러 개의 연등이 함께 휘날리면서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연등에는 시주자의 이름을 표기한 등표를 붙여서 매다는데, 연등이 떨어질 경우 시주자의 이름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떨어지지 않고 견디는 경우에도 연등이 장시간 바람에 시달리어 훼손되면서 연등이 찌그러져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등이 사방(전,후,좌,우)로 절첩되도록 한 연등의 걸이구조(등록실용신안 20-0461669호)를 제안하였으나, 이러한 것의 문제가 바람이 조금만 불어도 사방으로 절첩되면서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즉, 연등의 경우에는 불교행사시에 설치하면 적게는 수십 개에서부터 많게는 수천개 이상까지 한 장소에 설치되는데, 이렇게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연등이 모두 개별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매우 산만한 분위기를 연출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불교행사는 종교의 특성상 엄숙하고 안정된 분위기 연출이 중요한데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분위기를 저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각각의 연등의 움직임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그 연등에 걸려있는 등표가 휘날리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등표가 강한 바람으로 손상되거나, 또는 연등은 걸려진 상태에서 연등의 격한 움직여 의하여 등표만 떨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등이 회전될 수 있도록 걸이구조를 개선하여 바람이나 기타 외력이 발생되는 경우 연등이 최대한 제자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하여 유연성 있게 움직임되어 바람에 대한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등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여러 개의 연등이 함께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연등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걸이구조가 연등을 회전시키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간단한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상에서의 작업성을 높이고 사용시에는 간편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보관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연등본체 상부의 고정대에 가로대를 형성하고, 그 가로대에 후크가 형성된 걸고리를 축결합 하여 걸고리와 고정대가 서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연등이 줄에 걸린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바람에 대한 마찰저항을 줄여 연등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때 상기 걸고리의 하단에 조립부를 형성하면서 고정대의 가로대에는 결합공을 형성하여 조립부를 결합공에 직접 고정하거나 또는 별도의 조립부재를 끼움으로써 축결합이 이루어지면서도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고리는 측면에 절첩홈을 내입되게 형성하고, 그 절첩홈을 후크와 직교한 면에 형성하여 걸고리가 연등을 매다는 줄에 감싸도록 걸린 상태에서 후크의 감싸는 방향과는 서로 다른 축으로 절첩홈에 의하여 절첩되어 연등이 사방으로 움직임 되도록 하여 회전 및 절첩운동에 의하여 연등이 유연성있게 움직임 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바람이 약하게 불 경우에는 연등이 회전하면서 연등과 바람과의 마찰력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연등이 전,후,좌,우 사방으로 기울어짐을 최소화하여 바람 등의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연등이 무질서하게 흔들리면서 산만한 분위기가 조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걸이구조의 조립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연등을 고정하는 의 각 구성부품을 바람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연등이 바람의 방향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임되면서 연등이 걸려진 줄 전체에 가해지는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걸이구조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연등을 대량으로 보관하는 경우에도 그 보관부피를 최소화하고,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구성하는 각 부품을 용이하게 분해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등의 훼손에 따른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연등 걸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연등 걸이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a는 도 2의 연등 걸이구조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연등 걸이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3의 연등 걸이구조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연등 걸이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4의 연등 걸이구조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연등 걸이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a는 도 5의 연등 걸이구조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
도 5b는 도 5의 걸고리의 절첩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등본체(10)의 상부에 조립되는 고정대(20)에 걸고리(30)가 형성되어 연등을 줄에 매달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연등 걸이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등본체(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대(20)에 가로대(21)를 형성하고 그 가로대(21)에 걸고리(30)를 축 결합함으로써 연등이 걸고리(30)에 형성된 후크(31)에 의하여 줄에 걸린 상태에서 걸고리(30)는 회전되지 않고 연등본체(10)만 회전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여러 개의 연등이 줄에 걸린 상태에서 바람이 불 경우에 각각의 연등이 개별적으로 회전하면서 바람에 대한 마찰저항을 줄여 연등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대(20)와 걸고리(20)가 축 결합되는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20)에 형성된 가로대(21)의 중앙부에 결합공(22)을 형성하고, 걸고리(30)의 하단은 삽입부(32a)와 걸림면(32b)으로 이루어지는 조립부(32)를 형성하여 조립부(32)가 결합공(22)에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면서 조립된 상태에서는 걸고리(30)가 이탈되지 않고 연등본체(1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강제 끼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22) 또는 조립부(32)에 절개부(23,33)를 형성하면 고정대(20)와 걸고리(30)의 강제 끼움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걸림면(32b)의 폭을 더욱 넓게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조립이 용이하므로 조립의 작업성을 높임은 물론, 조립된 상태에서 넓게 형성되는 걸림면(32b)의 폭에 의하여 걸고리(30)가 고정대(20)로부터 임의로 빠지는 것을 더욱 방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연등본체(10)가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고리(30)의 외주면에는 조립부(32)의 상측에 돌출테(34)를 형성하면 걸고리(30)가 결합공(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립부(32)의 걸림면(32b)과 돌출테(34)의 사이에 가로대(21)의 결합공(22)이 위치되고, 따라서 걸림면(32b)과 돌출테(34)에 의하여 가로대(21)의 상,하 유동이 제한되면서 걸고리(30)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고리(30)는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30)의 측면에 내입되게 절첩홈(35)을 형성하면 걸고리(30)가 좌,우측으로 절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걸고리(30)에 형성된 후크(31)에 의하여 연등본체(10)가 전,후방으로 절첩되는데, 걸고리(3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절첩홈(35)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좌,우 측방향으로 절첩되기 때문에 연등본체(10)가 결국에는 전,후,좌,우 사방으로 움직임되어 연등이 줄에 걸린 상태에서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유연성 있게 움직임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첩홈(35)은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31)가 줄에 매달려 회동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측면에 형성할 수 있지만, 이는 후크(31)의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에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후 방향으로 더욱 유연성 있게 움직임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절첩홈(35)에 의하여 연등을 보관할 때 걸고리(30)를 접어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절첩홈(35)은 상,하측으로 복수의 절첩홈(35)이 나열되어지도록 다단으로 형성하면 연등본체(10)가 외력에 의하여 움직일 경우 더욱 유연성 있게 움직임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관시에도 걸고리(30)를 더욱 쉽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고리(30)는 가로대(21)의 결합공(22)에 조립된 상태에서 결합공(22)에 대응되는 부분의 직경이 결합공(22)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하면 도 2b와 같이 걸고리(30)의 외경과 결합공(22)의 내경 사이에 이격공간(36)이 형성되어 연등이 소정의 각도로 절첩되면서 연등의 움직임을 더욱 유연성 있게 움직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걸고리(30)를 고정대(20)에 조립하여 회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는, 이렇게 걸고리(30)의 하단에 조립부(32)를 형성하면서 고정대(20)의 가로대(21)에는 결합공(22)을 형성하여 조립부(32)를 결합공에 직접 고정하거나 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조립부재(40)를 끼움으로써 축결합이 이루어지면서도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가로대(21)에 형성된 결합공(22)을 관통하게 걸고리(30)와 조립부재(40)를 조립함으로써 연등본체(1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고정대(20)는 가로대(21)의 중앙부에 결합공(22)을 형성하면서 걸고리(30)의 하단에는 조립부(32)를 형성하여 그 조립부(32)에 조립부재(40)가 결합 고정되도록 하고, 조립부재(40)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41)를 형성하여 플랜지부(41)가 가로대(21)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조립부(32)와 조립부재(40)가 결합공(22)을 관통하게 조립되어 연등본체(1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립부(32)는 도 4 및 도 4a와 같이 삽입부(32a)와 걸림면(32b)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조립부재(40)는 상측으로 실린더부(42)를 형성하여 조립부(32)가 실린더부(42)의 내측에 걸림 고정되게 원터치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걸고리(30)와 조립부재(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연등본체(1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조립부(32)가 도 5 및 도 5a와 같이 구형상으로 이루어진 볼헤드(32c)를 형성하여 조립부(32)가 실린더부(42)의 내측에 걸림 고정되게 원터치 결합되도록 하면 걸고리(30)와 조립부재(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연등본체(10)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조립부(32)가 삽입부(32a)와 걸림면(32b)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끼움 고정하면 고정대(20)와 걸고리(30) 간에 회전 작동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조립부(32)를 구형상의 볼헤드(32c)로 형성하면 고정대(20)와 걸고리(30) 간에 회전 작동이 이루어짐은 물론, 고정대(20)와 걸고리(30)가 소정의 각도로 절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립부(32)를 볼헤드(32c)로 형성할 경우, 조립부재(40)의 실린더부(43)에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회동홀더부(43)를 형성하면 걸고리(30)를 회동홀더부(43)에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접어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여러 개의 연등을 보관할 경우에 연등의 적층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고리(30)에 형성된 후크(31)는 그 형상을 상,하로 길게 형성하면서 그 내측으로 다단으로 요철부(31a)를 형성하면 걸고리(30)를 간단하게 줄에 끼워 매달 수 있게 되면서도 걸고리(30)가 줄에 매달린 상태에서 요철부(31a)에 의하여 걸림되어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10: 연등본체
20: 고정대 21: 가로대
22: 결합공 23: 절개부
30: 걸고리 31: 후크
31a: 요철부
32: 조립부 32a: 삽입부
32b: 걸림면
33: 절개부 34: 돌출테
35: 절첩홈 36: 이격공간
40: 조립부재 41: 플랜지부
42: 실린더부 43: 회동홀더부

Claims (10)

  1. 연등본체(10) 상부의 고정대(20)에 가로대(21)가 형성되고, 그 가로대(21)에는 연등 매다는 줄에 걸기 위하여 후크(31)가 형성된 걸고리(30)가 결합되고, 상기 걸고리(30)는 고정대(20)의 가로대(21)에 축 결합 되어 연등이 줄에 걸린 상태에서 걸고리(30)는 회전되지 않고 연등본체(10)만 회전작동할 수 있게 되는 연등 걸이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20)는 가로대(21)의 중앙부에 결합공(22)이 형성되고, 걸고리(30)의 하단은 삽입부(32a)와 걸림면(32b)으로 이루어지는 조립부(32)가 형성되어 조립부(32)가 결합공(22)에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면서 이탈이 방지되어 연등본체(1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걸이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22) 또는 조립부(32)에 절개부(23,33)가 형성되어 고정대(20)와 걸고리(30)의 조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걸이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30)는 가로대(21)의 결합공(22)에 조립된 상태에서 결합공(22)에 대응되는 부분의 직경이 결합공(22)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이격공간(36)을 갖도록 되면서 연등의 절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걸이구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30)는 측면에 절첩홈(35)이 내입되게 형성되어 걸고리(30)의 절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걸이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20)는 가로대(21)의 중앙부에 결합공(22)이 형성되면서 걸고리(30)의 하단에는 조립부(32)가 형성되어 그 조립부(32)에 조립부재(40)가 결합 고정되고, 조립부재(40)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41)가 형성되어 가로대(21)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조립부(32)와 조립부재(40)가 결합공(22)을 관통하게 조립되어 연등본체(1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걸이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32)는 삽입부(32a)와 걸림면(3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부재(40)는 상측으로 실린더부(42)가 형성되어 조립부(32)가 실린더부(42)의 내측에 걸림 고정되게 원터치 결합되어 걸고리(30)와 조립부재(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연등본체(1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걸이구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32)는 구형상으로 이루어진 볼헤드(32c)가 형성되어, 조립부(32)가 실린더부(42)의 내측에 걸림 고정되게 원터치 결합되어 걸고리(30)와 조립부재(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연등본체(10)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회전 작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걸이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42)는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회동홀더부(43)가 형성되어 걸고리(30)를 접어 보관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걸이구조.
  10. 제 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30)는 측면에 절첩홈(35)이 내입되게 형성되어 걸고리(30)의 절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걸이구조.
KR2020130001025U 2013-02-07 2013-02-07 연등 걸이구조 KR201400047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25U KR20140004701U (ko) 2013-02-07 2013-02-07 연등 걸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25U KR20140004701U (ko) 2013-02-07 2013-02-07 연등 걸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701U true KR20140004701U (ko) 2014-08-18

Family

ID=5244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025U KR20140004701U (ko) 2013-02-07 2013-02-07 연등 걸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70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546B1 (ko) * 2016-05-23 2016-06-17 윤재봉 연등 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등
KR102117664B1 (ko) 2019-07-22 2020-06-01 민경동 기능성 잡초 제거기
CN112515456A (zh) * 2020-12-17 2021-03-19 江西渡海科技有限公司 一种可有效避灰的牌位放置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546B1 (ko) * 2016-05-23 2016-06-17 윤재봉 연등 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등
KR102117664B1 (ko) 2019-07-22 2020-06-01 민경동 기능성 잡초 제거기
CN112515456A (zh) * 2020-12-17 2021-03-19 江西渡海科技有限公司 一种可有效避灰的牌位放置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06575S1 (en) Lighting fixture
US9970609B2 (en) Arrangements of decorative elements, lighting fixtures, and methods for providing illumination
ES2643888T3 (es) Dispositivo de iluminación, elemento de inserción y recepción
USD877959S1 (en) Lighting fixture
US20070084568A1 (en) Window blind structure
KR20140004701U (ko) 연등 걸이구조
US20070247854A1 (en) Ceiling fan
US20170198871A1 (en) Reconfigurable Lighting System
US9212813B2 (en) Moisture-proof spotlight
US11215345B2 (en) Motorized recessed spotlight
CN110574705A (zh) 一种宠物玩具
KR200476895Y1 (ko) 연등 걸이구조
KR200461669Y1 (ko) 연등 걸이구조
US5857765A (en) Lighting fixture
US4277822A (en) Knockdown shade assembly for lighting fixture
US8333489B1 (en) Lampshade system for recessed lighting fixtures
US5205644A (en) Relampable chandelier basket
CA2452147C (en) Lamp shade assembly
CN209944155U (zh) 可变形灯具
KR20150003087U (ko) 연등걸이구조
JP4403148B2 (ja) 提灯
US7234848B2 (en) Adjustable lampshade
JP6734127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及び巻き取り装置
US20070121330A1 (en) Lamp shade system
US6575604B2 (en) Bulb holder for decorative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