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023A - 사용자 맞춤형의 도서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의 도서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023A
KR20140004023A KR1020130076258A KR20130076258A KR20140004023A KR 20140004023 A KR20140004023 A KR 20140004023A KR 1020130076258 A KR1020130076258 A KR 1020130076258A KR 20130076258 A KR20130076258 A KR 20130076258A KR 20140004023 A KR20140004023 A KR 20140004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reading
clinic
informat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북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북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북랜드
Publication of KR20140004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06Arrangements for sorting, selecting, merging, or comparing data on individual record carriers
    • G06F7/08Sorting, i.e. grouping record carriers in numerical or other ordered sequenc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t least some of the information they car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의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따라 도서 클리닉 대상을 파악하여,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따라(추가적으로 도서 권장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 적합한 도서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형의 도서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도서를 분야별로 독서능력과 독서성향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저장ㆍ관리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회원 정보 및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 결과를 입력받아 해당 회원의 수준을 진단 및 분석하고, 회원 정보 및 회원의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를 DBMS에 저장ㆍ관리한다. 그리고,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 중 도서 클리닉 대상을 파악하고,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맞는 분야별 도서들로 구성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또한,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에게 권장하는 분야의 도서 권장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도서 목록 리스트에 반영하여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의 도서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USER-CUSTOMIZED BOOK CLICK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도서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따라 도서 클리닉 대상을 파악하여,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따라 적합한 도서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수준의 도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의 도서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서 클리닉 대상자에게 권장하는 도서 정보(도서 권장 정보)를 도서 목록에 반영하여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의 도서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도서 대여/판매를 통하여 사용자가 오프라인으로 직접 서점을 방문하는 번거로움 없이 원하는 도서를 온라인으로 대여하거나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온라인 도서 대여/판매는 도서를 전시할 매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간상의 제약사항을 극복하여 많은 분량의 도서를 대여/판매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대여/판매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서 저렴하게 도서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도서 목록을 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ㆍ관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도서 목록이 사용자가 대여/구매를 신청한 자료를 근거로 제공될 뿐, 사용자의 독서능력(예컨대, 어휘력, 이해력 등)과 독서성향(예컨대, 독서 흥미 수준, 독서태도, 독서환경 등)을 반영한 사용자 맞춤형의 도서 목록을 제공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수준의 도서를 체계적으로 대여/판매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대여/판매된 도서를 읽은 사용자의 독서능력과 독서성향이 변모되더라도,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상향 또는 하향 변모된 수준에 맞는 도서를 재대여/재판매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77538호(2007.11.12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따라 도서 클리닉 대상을 파악하여,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따라 적합한 도서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수준의 도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형의 도서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서 클리닉 대상자에게 권장하는 도서 정보(도서 권장 정보)를 도서 목록에 반영하여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형의 도서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적합한 수준의 도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따라 도서 클리닉 대상을 파악하여,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따라(추가적으로 도서 권장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 적합한 도서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형의 도서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도서를 분야별로 독서능력과 독서성향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저장ㆍ관리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회원 정보 및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 결과를 입력받아 해당 회원의 수준을 진단 및 분석하고, 회원 정보 및 회원의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를 DBMS에 저장ㆍ관리한다. 그리고,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 중 도서 클리닉 대상을 파악하고,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맞는 분야별 도서들로 구성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또한,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에게 권장하는 분야의 도서 권장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도서 목록 리스트에 반영하여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따라 클리닉 대상을 파악하여,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따라 적합한 도서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수준의 도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서 클리닉 대상자에게 권장하는 도서 정보(도서 권장 정보)를 도서 목록에 반영하여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독서 습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서 클리닉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따른 연령별/학년별 도서 유형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따른 연령별/학년별 도서 유형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따른 연령별/학년별 독서 유형 정보의 분류 근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따른 연령별/학년별 독서 유형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기초하여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설계 근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독서 연령 10세 회원에 대해 제1 도서 목록 리프트를 구성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 정보에서 권장 가능한 도서 권장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독서 연령이 10세이고 클리닉 유형C인 회원에 대해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독서 연령이 8세이고 클리닉 유형B인 회원에 대해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자동으로 구성한 화면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2의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설계 근거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
도 14는 도 12의 도서 목록 리스트에서 수동으로 도서 목록을 변경 가능함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따른 종합 분석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독서능력에 따른 세부 분석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독서성향에 따른 세부 분석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관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맞춤형 도서 클리닉 절차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서 클리닉 서버(130)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14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환경(100)은, 다수의 회원들 또는 교사들(방문 교사 포함)/학부모들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160)를 통해 맞춤형 도서 클리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으로 구성되며, 클라이언트에게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웹(WEB)/왑(WAP) 페이지를 제공한다.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환경(10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각 도서를 분야별로 독서능력과 독서성향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여 저장ㆍ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140)과, 네트워크(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110) 또는 교사 단말기(120)로부터 회원 정보 및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 결과를 입력받아 해당 회원의 수준을 진단 및 분석하고, 회원 정보 및 회원의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를 DBMS(140)에 저장ㆍ관리하며,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 중 도서 클리닉 대상을 파악하고,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맞는 분야별 도서들로 구성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110) 또는 교사 단말기(120)로 제공하는 도서 클리닉 서버(130)를 포함한다. 또한, 가맹점 단말기(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가맹점 단말기(150)는 도서 클리닉 서버(130)로부터 도서 배달 스케줄 정보를 전송받아 가맹점이 도서를 배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도서 클리닉 대상자'는, 독서능력과 독서성향에 기초해 독서 유형을 파악하여 독서 유형으로부터 파악되는 예컨대 '등급 하'(다소 부족, 매우 부족)의 회원(예컨대, 독서능력, 흥미부족 등으로 책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회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과 클리닉 유형을 파악하여 맞춤형의 도서 목록 리스트(즉,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도서 클리닉 대상자에게 권장하는 도서 정보(도서 권장 정보)를 도서 목록 리스트(제2 도서 목록 리스트)에 반영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독서 연령은 실제 연령과는 무관하게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수준에 해당하는 연령을 의미하고, 클리닉 유형은 도서 클리닉이 필요한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연령별 독서 부진 유형을 의미한다.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은 하기 도 7a 및 도 7b의 설계 근거에 의거하여 진단 교사(오프라인 방문 교사 포함)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서 클리닉 서버(130)는 소정 기간(예컨대 6개월)의 중간 단계(예컨대 3개월 경과 이후)에서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수준을 재평가하고, 재평가한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유형을 재차 파악하고,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맞는 분야별 도서들로 구성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재생성하여 네트워크(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110) 또는 교사 단말기(12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는, 도서 클리닉을 위한 소정 기간 동안, 교과별 연계도서들로 이루어진 교과필독 분야와, 목적별 주제도서들로 이루어진 테마필독 분야와, 연령별 균형도서들로 이루어진 리드스텝 분야와, 영역별 주제도서들로 이루어진 테마 분야와, 학년별 만화도서들로 이루어진 학습만화 분야와, 수준별 영어도서들로 이루어진 애니스토리 분야 중 적어도 한 분야의 도서들로 단계적 또는 반복적으로 구성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6개월 단위로, 1개월차에는 리드스텝 분야의 도서들로 구성하고, 2차월차에는 테마 분야의 도서들로 구성하며, 3개월차에는 학습만화 분야의 도서들로 구성하고, 4개월차에는 테마필독 분야의 도서들로 구성하며, 5개월차에는 테마 분야의 도서들로 구성하고, 6개월차에는 리드스텝 분야의 도서들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5개월차 및 6개월차의 테마 분야 및 리드스텝 분야의 도서들은 2개월차 및 1개월차의 도서들 보다 분야별 심화 학습이 가능한 도서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월별로 구성된 해당 분야의 도서들을 주 단위로 상세하게 배정(예컨대, 1주일에 4권씩 월 16권의 도서)할 수 있다.
한편, 도서 클리닉은 독서능력과 독서성향에 기초해 독서 유형을 파악하여 독서 유형으로부터 파악되는 예컨대 '등급 하'(다소 부족, 매우 부족)의 회원(예컨대, 독서능력, 흥미부족 등으로 책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회원)을 대상자로 하므로, 독서 연령이 7~8세 회원에 대해서는 리드스텝, 학습만화 및 유아필독 분야의 도서들로 구성하고, 독서 연령이 9세 이상인 회원에 대해서는 리드스텝 및 학습만화 분야의 도서들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월 단위 또는 주 단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처럼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는 도서 클리닉 대상자에 대해서 소정 주기로 반복되는 도서 대여/판매 스케줄 목록인 것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110) 및 교사 단말기(120)의 종류로는 PC 뿐만 아니라, 노트북, 핸드헬드(Hand-held) PC, PDA,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 인터넷 단말기, 방송 수신기, DMB폰 등으로 대체 가능하며,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유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해 맞춤형 도서 클리닉 서비스가 가능한 한, 그 종류에 구애받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160)는 LAN 또는 WAN 등의 유선통신매체, WiFi/WiBro, 이동통신 시스템 등의 무선통신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MS Windows 기반 컴퓨터, Mac OS X 기반 컴퓨터, iOS 기반 단말기, Android 기반 단말기 등 모든 종류의 인터넷 지원 기기가 될 수 있다.
맞춤형 도서 클리닉 서비스 대상인 회원은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110)를 통해 회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다. 회원이 온라인/오프라인 진단지의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을 직접 입력하면, 도서 클리닉 서버(130)에서 회원의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를 생성하여 DBMS(14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회원이 온라인 진단지의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입력하거나, 오프라인 진단지의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 결과를 일괄적으로 입력하면, 도서 클리닉 서버(130)는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의 수준을 진단 및 분석하고, 회원의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를 생성하여 DBMS(140)로 전달한다.
또한, 회원을 대신하여, 학부모가 설문내용에 대한 회원(자녀)의 응답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학부모는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110)를 통해 회원 정보를 입력하여 감독회원으로 등록해둔다. 학부모가 온라인/오프라인 진단지의 설문내용에 대한 회원(자녀)의 응답을 직접 입력하면, 도서 클리닉 서버(130)에서 회원의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를 생성하여 DBMS(14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학부모가 온라인 진단지의 설문내용에 대한 회원(자녀)의 응답을 실시간으로 입력하거나, 오프라인 진단지의 설문내용에 대한 회원(자녀)의 응답 결과를 일괄적으로 입력하면, 도서 클리닉 서버(130)는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의 수준을 진단 및 분석하고, 회원의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를 생성하여 DBMS(140)로 전달한다.
또한, 회원을 대신하여, 교사(방문교사 포함)가 설문내용에 대한 회원(학생)의 응답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교사는 교사 단말기(120)를 통해 회원 정보를 입력하여 감독회원으로 등록해둔다. 교사가 온라인/오프라인 진단지의 설문내용에 대한 회원(학생)의 응답을 직접 입력하면, 도서 클리닉 서버(130)에서 회원의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를 생성하여 DBMS(14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교사가 회원(학생)의 가정을 방문하여 수거한 오프라인 진단지의 설문내용에 대한 회원(자녀)의 응답 결과를 일괄적으로 입력하면, 도서 클리닉 서버(130)는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의 수준을 진단 및 분석하고, 회원의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를 생성하여 DBMS(140)로 전달한다.
회원의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를 알게 되면,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회원의 독서 유형을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진단지의 설문내용은, 독서능력 진단 항목과 독서성향 진단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독서능력 진단 항목은, 어휘 이해력, 문장 이해력, 내용 이해력 등을 진단할 수 있는 문항들로 구성될 수 있고, 독서성향 진단 항목은, 독서 흥미/동기, 독서 태도, 독서 경험, 독서 환경 등을 진단할 수 있는 문항들로 구성될 수 있다. 설문내용의 예로서, 각 문항은 오지선다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어휘 이해력은, 어휘의 사전적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의미 이해(예컨대, 단어의 의미 파악하기, 주어진 단어와 같은 뜻 단어 찾기(유의어), 주어진 단어와 반대 뜻 단어 찾기(반의어) 등), 개념 이해(예컨대, 어휘를 속성에 따라 추상적인 상위개념 및 구체적인 하위개념으로 범주화하여 이해하기 등), 쓰임 이해(예컨대, 서로 비슷한 뜻으로 연결된 낱말 찾기, 상위 개념의 낱말 찾기, 보기와 관련 있는 낱말 찾기(특수어) 등) 등을 평가요소로 가질 수 있다.
또한, 문장 이해력은, 문장의 의미를 정확히 알고 상황에 어울리는 적절한 문장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핵심어(예컨대, 문장이나 단락에서 중심이 되는 낱말, 구, 문장을 찾아 핵심을 파악하기, 동음이의어 찾기, 의미를 잘못 쓴 문장 찾기 등), 문맥의미(예컨대, 의성어와 의태어 찾기, 중심 내용이 담긴 문장 찾기, 속담의 뜻 이해하기, 지시어 찾기 등), 중심의미 찾기(예컨대, 문맥에 맞는 문장 찾기, 같은 의미의 비유법 찾기, 문장의 의미 이해하기 등), 문장의 호응(예컨대, 글의 명확한 이해와 전달을 위해 문장의 구조를 이해하고 적용하기 등) 등을 평가요소로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용 이해력은,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글에 드러나 있지 않은 내용을 추측하고 글 내용, 구조, 형식, 인물의 마음에 대해 생각과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사실적 이해(글의 내용을 잘 이해하고 주어진 정보를 잘 찾는 것으로서, 예컨대 동시의 중심생각 찾기, 글쓴이의 생각 찾기(사실과 의견), 문맥 순서 이해하기 등), 추론적 이해(자신의 배경지식과 문맥을 활용하여 글에 드러나지 않은 내용을 이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중심 내용 및 특징 찾기, 추론적으로 이해하기, 추론을 통해 창의하기 등), 감상적 이해(글을 비판적으로 읽고 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평가하며 글 내용에 대해 정서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내용의 사실 이해하기, 추론적으로 이해하기, 내용의 사실 이해하기 등) 등을 평가요소로 가질 수 있다.
또한, 독서 흥미/동기는 책과 책 읽기에 대한 관심 정도/마음가짐을 평가요소로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책 읽기가 즐겁고 재미있는지, 새로운 책을 보면 읽고 싶은 생각이 드는지, 책에서 좋아하는 내용이 나오면 읽고 싶은지, 주변에서 추천하는 도서나 권장도서 목록에 관심을 갖고 살펴본 적이 있는지, 칭찬을 들으면 책 읽기에 관심이 더 생기는지, 학교 공부를 잘하기 위해서 책읽기를 하는지, TV를 보거나 컴퓨터 게임을 하는 것보다 책 읽는 것을 더 좋아하는지 등을 설문항목으로 들 수 있다.
또한, 독서 태도는 독서에 대한 태도와 자세(예컨대, 책을 다루는 자세 및 책 읽을 때의 방법이나 습관 등 독서와 관련된 모든 행위), 독서에 대한 가치인식(예컨대, 책과 책 읽기에 대한 중요성과 유용성을 깨닫는 정도) 등을 평가요소로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자신의 수준에 맞는 책을 골라 읽는지, 주변에서 추천하는 필독서나 권장도서를 참고하여 읽는지, 시간을 정해서 계획적으로 책을 읽는지, 정신을 집중해서 책을 읽는지, 시간가는 줄 모르고 책을 읽기도 하는지, 모르는 것이나 궁금한 것이 있으면 책에서 찾아 보는지, 책을 읽으면 학교 성적이 올라간다고 생각하는지 등을 설문항목으로 들 수 있다.
또한, 독서 경험은 독서 계획과 실행(예컨대, 책 읽기에 대한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정도), 독서활동 경험수준(예컨대, 책을 얼마나 많이 읽는지에 대한 양적 수준과 책을 읽을 때 얼마나 꼼꼼하게 읽는지에 대한 질적 수준) 등을 평가요소로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친구들보다 책을 많이 읽는지, 책을 표지부터 끝까지 꼼꼼하게 읽는지, 중요한 내용이 나오면 밑줄을 긋거나 표시를 하면서 읽는지, 어려운 낱말이 나오면 사전에서 찾거나 주변의 도움을 받는지, 이야기 책을 읽을 때 인물의 마음이나 성격을 생각하면 읽는지, 정보 책을 읽을 때 일의 차례나 방법을 파악하며 읽는지, 책이 다소 어렵고 지루하더라도 끝까지 읽는지, 책을 읽고 주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는지 등을 설문항목으로 들 수 있다.
또한, 독서 환경은, 물리적 환경(책을 읽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물리적인 환경(시간, 양, 횟수, 공간 등)), 심리/사회적 환경(책을 읽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심리/사회적 환경) 등을 평가요소로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학교에 들어가지 전에 부모님이 자주 책을 읽어 주셨는지, 부모님과 읽은 책에 대해 자주 이야기를 하는지, 가족들의 책 읽는 모습을 자주 보는지, 집에서 집중해서 책을 읽을만한 곳이 있는지, 읽고 싶은 책이 집안에 많이 있는지, 학교 공부와 학원 공부를 하고 나서도 책 읽을 시간이 많이 있는지, 학교에는 학급 문고나 도서관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는지, 집 주변에 책을 편하게 읽고 고를 수 있는 도서관이나 서점이 있는지 등을 설문항목으로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서 클리닉 서버(130)는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 중 도서 클리닉 대상을 파악하고,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맞는 분야별 도서들로 구성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생성하고 해당 회원에게 권장하는 분야의 도서 권장 정보를 입력받아 제1 도서 목록 리스트에 반영하여 수정된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네트워크(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110) 또는 교사 단말기(120)로 제공한다.
도서 권장 정보는,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로부터 해당 영역의 도서들이 반영된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는 소정 주기로 반복되는 도서 대여/판매 스케줄 목록인 제1 도서 목록 리스트에서 도서 권장 정보를 반영한 것이다.
도서 권장 정보는,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전달받은 교사가 회원에게 권장하는 영역(예컨대, 창작동화, 환상동화, 명작동화, 전래동화, 생활동화, 명품동화, 사회영역, 과학영역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도서 클리닉 서버(130)는 도서 목록 리스트(제1 또는 제2 도서 목록 리스트)에서 회원 또는 교사/학부모가 선택한 도서의 정보를 수신받아 도서 대여/판매에 관한 정보를 구성하여 DBMS(140)에 저장ㆍ관리한다. 또한, 도서 클리닉 서버(130)는 회원의 도서 대여/판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의 독서 이력 정보를 구성하여 DBMS(140)에 저장ㆍ관리하고 회원에게 대여/판매한 도서에 대한 독후 활동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110) 또는 교사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회원에게 대여/판매한 도서에 대한 독후 활동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110) 또는 교사 단말기(120)를 통해 수신받아, 회원의 독후 활동 내용을 DBMS(140)에 누적하여 저장ㆍ관리하고, 회원의 독후 활동 내용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기(학부모 단말기)(110) 또는 교사 단말기(120)로 독서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서 클리닉 서버(130)는, 웹/왑 서버(210), 회원 관리부(220), 도서 클리닉부(230), 독서 관리부(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DBMS(14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141), 회원 데이터베이스(142),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143)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141)는 도서 클리닉 서버(130)와 접속되어 도서 클리닉 서버(130)에서 요구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인출하여 전송하거나, 도서 클리닉 서버(130)를 거쳐 저장 요구된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 경로를 제공한다.
회원 데이터베이스(142)는 복수의 레벨로 분류된 회원의 정보를 저장한다. 회원의 정보는 회원의 실제 연령/학년, 독서 연령, 성별, 독서능력 정보, 독서성향 정보, 클리닉 유형 정보, 도서 권장 정보 등을 포함한다. 회원 레벨은 일반 회원 및 감독 회원(회원을 대행한 교사나 학부모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 회원은 독서 및 독후 활동을 하고, 독서이력관리 및 독서진단을 제공받는 회원을 의미한다. 감독 회원은 일반 회원의 독서 및 독후 활동을 감독하고, 일반회원의 독서 및 독후 활동에 따라 일반 회원에게 맞는 독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회원(교사나 학부모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회원이 어린이인 경우 어린이를 일반 회원으로 등록하고 어린이의 부모나 교사를 감독 회원으로 등록시켜 감독 회원에게 일반 회원이 도서 클리닉 서버(130)에서의 독서 및 독후 활동에 대해서 감독 및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서의 대여/구매 횟수, 독후 활동 정도 등의 소정의 기준에 기초하여 일반 회원은 다수의 레벨로 분류될 수 있으며, 회원 레벨에 따라 차등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회원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되는 독서능력 정보 및 독서성향 정보, 독서 연령, 클리닉 유형 정보, 도서 권장 정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를 파악하면 회원의 독서 유형 정보를 알 수 있고, 해당 회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맞는 도서들로 구성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에 교사가 선택한 도서 권장 정보를 반영하여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143)는 보유하고 있는 전체 도서들에 대한 각각의 도서 정보와, 도서 정보를 각종 분야별로 분류한 분야별 도서 정보(교과필독 분야, 테마필독 분야, 리드스텝 분야, 테마 분야, 학습만화 분야, 애니스토리 분야 등), 연령별/학년별로 독서능력과 독서성향을 분류한 독서 유형 정보를 저장한다. 독서 유형 정보는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로부터 파악된다.
특히,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143)는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연령별/학년별 독서 부진 유형을 나타내는 클리닉 유형에 대응하는 도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클리닉 유형 정보는, 하기 도 7a 및 도 7b의 설계 근거에 의거하여 진단 교사(오프라인 방문 교사 포함)가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독서 유형 정보를 분류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도서 클리닉 대상자를 구분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서 유형 정보는 연령별/학년별로 독서능력 5단계(최상위(매우 우수), 상위(우수), 중간(보통), 하위(다소 부족), 최하위(매우 부족))와 독서성향 5단계(1등급(매우 우수), 2등급(우수), 3등급(보통), 4등급(다소 부족), 5등급(매우 부족))의 25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유형"은 최상위(매우 우수) 독서능력과 5등급(매우 부족) 독서성향을 갖는 회원들의 집합이고, "E 유형"은 최상위(매우 우수) 독서능력과 1등급(매우 우수) 독서성향을 갖는 회원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또한, "G 유형"은 상위(우수) 독서능력과 4등급(다소 부족) 독서성향을 갖는 회원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또한, "M 유형"은 중간(보통) 독서능력과 3등급(보통) 독서성향을 갖는 회원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또한, "S 유형"은 하위(다소 부족) 독서능력과 2등급(우수) 독서성향을 갖는 회원들의 집합이다. 또한, "Y 유형"은 최하위(매우 부족) 독서능력과 1등급(매우 우수) 독서성향을 갖는 회원들의 집합이고, "U 유형"은 최하위(매우 부족) 독서능력과 5등급(매우 부족) 독서성향을 갖는 회원들의 집합이다.
각 유형별(A~Y 유형)로 해당 독서능력과 독서성향을 갖는 회원에게 대여/판매되는 소정 분야의 도서들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을 각각 5단계로 나누어 독서 유형 정보를 2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독서 유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3×3(9가지 유형), 3×5(15가지 유형), 3×7(21가지 유형), 4×4(16가지 유형), 5×3(15가지 유형), 5×7(35가지 유형), 6×6(36가지 유형), 7×7(49가지 유형) 등 m×n(여기서, m과 n은 1보다 큰 자연수임) 형태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제2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서 유형 정보를 다시 연령별/학년별로 등급을 r개(여기서, r은 2 이상의 자연수임)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중/하로 그룹핑하여 구분할 수 있다. 예컨대,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이 매우 부족한 "U 유형", 독서능력이 다소 부족하고 독서성향이 매우 부족한 "P 유형", 독서성향이 다소 부족하고 독서능력이 매우 부족한 "V 유형",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이 다소 부족한 "Q 유형"을 등급 '하'로 분류한다. 또한, 등급 '하' 유형에는 독서능력은 보통이지만 독서성향이 매우 부족한 K 유형이나, 독서성향은 보통이지만 독서능력이 매우 부족한 "W 유형"을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이 매우 우수한 "E 유형", 독서능력이 우수하고 독서성향이 매우 우수한 "J 유형", 독서성향이 우수하고 독서능력이 매우 우수한 "D 유형",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이 우수한 "I 유형"을 등급 '상'으로 분류한다. 또한, 등급 '상' 유형에는 독서능력은 보통이지만 독서성향이 매우 우수한 "O 유형"이나, 독서성향은 보통이자만 독서능력이 매우 우수한 "C 유형"을 포함시킬 수 있다.
등급 '상/중/하'의 분류 근거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따른 연령별/학년별 독서 유형은 4세부터 13세(초등학교 6학교에 해당함)까지 등급을 상/중/하로 구분한다. 다만, 3세 연령에 대해서는 상/중/하로 구분함이 없이 공통으로 등급 '중'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14세(중학교 1학년에 해당함)부터 16세(중학교 3학년에 해당함)까지는 연령/학년을 구분하지 않고 중학생 전체에 대해 등급을 상/중/하로 구분하고, 17세(고등학교 1학년에 해당함)부터 19세(고등학교 3학년에 해당함) 역시 연령/학년을 구분하지 않고 고등학생 전체에 대해 등급을 상/중/하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세부터 고등학생(19세에 해당)까지 전체 37개의 기본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따른 연령별/학년별 독서 유형은 이러한 구분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독서 유형을 분류하는 근거를 살펴보면, 초등학교 2학년에 해당하는 연령 9세의 등급 '하'는 "스스로 책을 읽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책에 대한 관심도가 낮은 아이"가 이에 해당되며, 등급 '하'에 해당하는 회원은 소리를 내지 않고 책을 읽는 묵독에 다소 어려움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일정 속도로 바르게 책을 읽는데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등급 '하'는 독서경험이 부족하고 다양한 어휘를 습득하는 것이 부족한 유형이므로, 연령 9세의 등급 '하'에 해당하는 회원에 대해서는 기존 연령대보다 다소 낮은 단계의 맞춤한 도서를 기반으로 해당 회원이 흥미를 가지고 있는 영역을 편성하여 지속적인 독서습관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령 9세의 등급 '중'은 "비교적 책을 잘 읽고, 책읽기에 관심을 나타내는 아이"가 이에 해당되며, 등급 '중'에 해당하는 회원은 소리를 내지 않고 책을 읽는 묵독이 어느 정도 가능하나 빠른 속도로 바르게 이해하며 책을 읽기에는 다소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등급 '중'은 독서경험이 다소 부족한 유형이므로, 연령 9세의 등급 '중'에 해당하는 회원에 대해서는 기존 연령대에 맞춤한 도서를 기반으로 해당 회원이 흥미를 가지고 있는 영역을 편성하여 지속적인 독서습관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또한, 연령 9세의 등급 '상'은 "책을 유창하게 잘 읽고, 책읽기에 자신감이 높으며 높은 흥미를 보이는 아이"가 이에 해당되며, 등급 '상'에 해당하는 회원은 소리를 내지 않고 책을 읽는 묵독이 가능하며 어느 정도 빠른 속도로 바르게 이해하며 책을 읽을 수 있다. 따라서, 등급 '상'은 독서경험이 많아 풍부하고 다양한 어휘를 습득할 수 있는 유형이므로, 연령 9세의 등급 '상'에 해당하는 회원에 대해서는 기존 연령대 보다 윗 단계의 맞춤한 도서를 기반으로 해당 회원이 흥미를 가지고 있는 영역을 편성하여 지속적인 독서습관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회원의 독서 유형을 "m×n 유형"으로 구분하거나(제1 실시예, 도 3 참조), 각 유형을 그룹핑하여 등급 '상/중/하'로 구분할 수도 있다(제2 실시예, 도 4 참조).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따라 독서 유형을 등급 '상/중/하'로 구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연령별/학년별로 등급을 5단계(예컨대, 등급 A(매우 우수), 등급 B(우수), 등급 C(보통), 등급 D(다소 부족), 등급 E(매우 부족)), 7단계(예컨대, 등급 1(매우 우수), 등급 2(우수), 등급 3(조금 우수), 등급 4(보통), 등급 5(다소 부족), 등급 6(부족), 등급 7(매우 부족)) 등으로 구분할 수도 있고, 그 외 다양한 형태로도 변형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참고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m×n 유형을 바탕으로 한 독서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연령별/학년별로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할 수도 있고, 제2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등급 상/중/하를 바탕으로 한 독서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연령별/학년별로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서 목록 리스트는 교과필독/유아필독 분야, 리드스텝 분야, 학습만화 분야 등의 도서들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서 목록 리스트는 회원의 실제 연령 및 독서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기초하여 구성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와는 상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거하여 회원의 독서 유형 정보를 분류하면, 도서 클리닉부(230)는 도서 클리닉 대상자를 파악한다. 예컨대, 도서 클리닉부(230)는 독서능력과 독서성향에 기초해 독서 유형을 파악하여, 제2 실시예에 따라 독서 유형으로부터 파악되는 예컨대 '등급 하'(다소 부족, 매우 부족)의 회원(예컨대, 독서능력, 흥미부족 등으로 책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회원)을 도서 클리닉 대상자로 선정한다. 또는, 제1 실시예에 따라 "U 유형", "P 유형", "V 유형", "Q 유형"의 회원을 도서 클리닉 대상자로 선정한다.
진단 교사(오프라인 방문 교사 포함)는 회원의 독서 연령을 결정하고, 도 7a 및 도 7b에 기초해 회원의 클리닉 유형을 결정하여,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 정보를 도서 클리닉부(230)로 전달한다. 그러면, 도서 클리닉부(230)는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맞는 분야별 도서들로 구성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생성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하는 설계 근거를 살펴보면, 초등학교 3학년에 해당하는 독서 연령 10세의 '유형A'는 "이야기가 있는 내용의 책만 읽으려는 아이"가 이에 해당되며, 유형A에 해당하는 회원은 이야기 구조가 있는 영역의 책 읽기에만 관심을 보이기 때문에 자칫 편향된 독서 패턴을 보일 수 있으므로, 지식정보 영역의 도서를 균형있게 안배하여 읽을 수 있도록 역사와 과학 영역의 편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독서 연령 10세의 '유형B'는 "깊이 있는 독서가 부족한 아이"가 이에 해당되며, 유형B에 해당하는 회원은 책을 읽거나 학습을 하는 과정에서 집중력이 다소 부족한 아동이므로, 해당 연령대보다 다소 낮은 단계의 도서를 기반으로 이야기가 가미된 위인전과 사회, 역사, 과학 분야의 주제를 다룬 창체활동 등을 편성하여 깊이 있는 독서를 유도할 수 있도록 편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독서 연령 10세의 '유형C'는 "읽은 책의 내용을 정리하지 못하는 아이"가 이에 해당되며, 유형C에 해당하는 회원은 단순히 책만 눈으로 읽는 활동을 반복하는 것보다 자신이 이해하고 생각한 바를 정리하고 표현해 보는 것이 중요하고, 책을 읽은 후 책의 내용을 스스로 정리해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유형C의 회원에 대해서는 전래나 신화, 고전 등 비교적 주제가 뚜렷한 도서를 편성해 사고력 확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독서 연력 10세의 '유형D'는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읽기를 어려워 하는 아이"가 이에 해당되며, 배경지식은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독서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유형D에 해당하는 회원은 모든 이야기의 기반이 되는 신화와 전래동화, 역사가 중요한 밑거름이 되는 만큼 배경지식을 키우고 다른 영역의 책읽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도 3(제1 실시예) 또는 도 4(제2 실시예)의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따른 연령별/학년별 독서 유형 정보(등급 상/중/하)에 기초하여 선정된 도서 클리닉 대상자에 대해, 독서 연령과 클리닉 유형에 따라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구분을 위하여 '제3 실시예'라 칭함]. 독서 연령별/학년별로 클리닉 유형에 따라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기본 설계 단계 코드를 참조한다. 기본 설계 단계 코드의 예로, 독서 연령 7세 회원에 대해서는 리드스텝 분야(B,C,D), 학습만화(M1)와 유아필독 분야(HB,HK)의 도서들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하고, 초등학교 3학년 정도의 독서 연령 10세 회원에 대해서는 리드스텝 분야(D1,D+,E), 학습만화 분야(M2,M3)의 도서들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독서 연령 10세 회원에 대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리드스텝 D1/D+/E, 학습만화 M2/M3)는 독서 연령 9세 회원에 대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리드스텝 D/D1/D+, 학습만화 M1/M2)의 도서들 보다 분야별 심화 학습이 가능한 도서들(예컨대, 리드스텝 E, 학습만화 M3 등)로 구성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라,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기초하여 독서 연령 10세 회원의 유형C에 대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독서 연령이 10세이고 클리닉 유형C인 회원에 대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는, 연령별 균형도서들로 이루어진 리드스텝 분야(D1,D+,E)의 도서들과, 학년별 만화도서들로 이루어진 학습만화 분야(M2,M3)의 도서들을 소정 주기(예컨대, 월 단위 또는 분기 단위, 년 단위 등)로 반복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6개월(24주) 단위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독서 연령이 10세이고 클리닉 유형C인 회원의 6개월(24주) 단위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는, 1,2,5,6,9,10,13,14,17,18,21,22주차: 학습만화(M3), 3,4,7,8,11,12,15,16,19,20,23,24차: 리드스텝(D+)으로 도서 목록이 구성된다. 주 단위로 해당 분야의 다수 도서가 배정될 수 있다.
한편, 제4 실시예에 따라 제1 도서 목록 리스트에 교사가 선택한 도서 권장 정보를 반영하여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 정보에서 권장 가능한 도서 권장 정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0에서 독서 연령 7세부터 13세(초등학교 6학교에 해당함) 회원에 대해서는 도서 권장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독서 연령 6세 이하 및 독서 연령 14세 이상의 회원에 대해서는 별도로 도서 권장 영역을 선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일 예로, 독서 연령 10세 회원의 경우, 해당 회원에게 권장하는 분야의 도서 권장 정보는, 유형A에 대해서 역사(세계역사 문화탐험(TM)), 과학(생활속 과학탐구(TN))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유형B에 대해서 창체활동(창의적 체험활동(SC1)), 위인(나의 첫 멘토(MC1))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유형C에 대해서 창작동화(함께 나누는 이야기(TH)), 전래/신화(신화와 민담 마주하기(TL))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그리고 유형D에 대해서 전래/신화(신화와 민담 마주하기(TL)), 역사(세계역사 문화탐방(TM))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비록, 도 10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독서 연령 6세 이하 및 독서 연령 14세 이상의 회원에 대해서도 도서 권장 영역을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만약 교사가 선택한 도서 권장 정보가 창작동화(TM) 및 전래/신화(TL)인 경우, 도9의 독서 연령이 10세이고 클리닉 유형C인 회원에 대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작동화(TH)와 전래/신화(TL)를 주기적으로 반영한 제2 도서 목록 리스트(2,6,10,14,18,22주차에 창작동화(TH)를, 4,8,12,16,20,24주차에 전래/신화(TL)를 반영함)로 수정ㆍ변경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는 도서의 대여/판매 기간 중 학년이 변경되는 경우, 리드스텝, 학습만화 분야 등을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독서 연령이 8세이고 클리닉 유형B인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서 연령(10세), 클리닉 유형(유형B)을 입력하면, 전래동화(FB1), 창작동화(TH)를 주기적으로 반영한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매월 1,2주차는 전래동화로 도서 목록이 구성되고, 3,4주차는 창작동화로 도서 목록이 구성됨)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주 단위로 해당 분야의 다수 도서가 배정될 수 있다.
도 12의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설계 근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서 연령이 8세이고 클리닉 유형B인 회원은 책을 스스로 읽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아동이므로 해당 연령대 보다 다소 낮은 단계의 도서를 기반으로 자신감과 흥미를 불러 일으키고 전래동화와 창작영역의 도서를 편성해 책 읽기가 쉽고 재미있다는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는 임의적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생성된 제2 도서 목록 리스트에서 리드스텝 분야(D,D1)의 도서만으로 도서 목록을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주기를 매주 단위로 설정하면, 1주차부터 24주차까지 D, D1의 리드스텝 분야의 도서들이 반복적으로 구성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맞춤형 도서 클리닉 서비스를 원하는 회원(또는 회원을 대행한 교사나 학부모가 될 수 있음)은 자신의 단말기(110,120)로 도서 클리닉 서버(130)의 웹/왑 서버(210)와 네트워크(160)를 통해 통신을 하며, 여기서 네트워크(160)는 인터넷, 전용선 등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인터넷, 이동통신망 및 위성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웹/왑 서버(210)는 사용자(회원 또는 교사/학부모)의 로그인 요청이 있는 경우, 회원 관리부(220)의 회원 인증부(221)를 통해 해당 사용자를 인증 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맞춤형 도서 클리닉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웹/왑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110) 또는 교사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회원 관리부(220)는 네트워크(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110) 또는 교사 단말기(120)로부터 회원 정보(이름, 성별, 연령/학년, 주소 등) 및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 결과를 입력받아, 진단 및 분석부(222)에서 생성한 회원의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를 회원 정보와 함께 DBMS(140)의 회원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ㆍ관리한다. 또한, 제4 실시예를 위하여, 회원 관리부(220)는 해당 회원에게 권장하는 분야의 도서 권장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정보와 함께 DBMS(140)의 회원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ㆍ관리한다.
회원 관리부(220)는 회원 인증부(221), 진단 및 분석부(22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회원 인증부(221)는 도서 클리닉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웹/왑 페이지 중에서 도서 클리닉 서버(130)에 방문한 사용자(회원 또는 교사/학부모)가 회원 전용 웹/왑 페이지 또는 회원 가입 페이지를 선택하면, 회원 인증 페이지를 제공하여 해당 회원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110) 또는 교사 단말기(120)를 통하여 수신한 후, 회원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회원 인증부(221)는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또는 회원을 대행한 교사/학부모)이 아닌 경우 해당 회원 레벨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접속 권한을 부여한다. 반면에, 방문한 사용자가 회원(또는 회원을 대행한 교사/학부모)이 아닌 경우 회원 가입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회원 가입을 원하면 소정의 절차에 따라 회원 가입을 진행한다. 회원인증 및 회원 가입은 일반적으로 웹/왑 상에서 사용되는 공개된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회원의 인증 방법 및 회원 가입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진단 및 분석부(222)는 방문한 회원 또는 교사/학부모가 회원 인증부(211)에 자신의 단말기(110,120)를 이용하여 신규가입 요청 정보를 송신하면, 온라인 진단지(진단 프로그램)를 단말기(110,120)로 송신하여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 결과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해당 회원의 독서능력 정보 및 독서성향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오프라인 진단지의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 결과를 일괄적으로 입력받아, 해당 회원의 독서능력 정보 및 독서성향 정보를 생성한다. 온라인/오프라인 진단 프로그램(진단지)의 설문내용에 포함되는 독서능력 진단 항목과 독서성향 진단 항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독서능력을 5단계(최상위(매우 우수), 상위(우수), 중간(보통), 하위(다소 부족), 최하위(매우 부족))로 구분하고, 독서성향을 5단계(1등급(매우 우수), 2등급(우수), 3등급(보통), 4등급(다소 부족), 5등급(매우 부족))로 구분하는 경우,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 결과를 진단 및 분석부(222)에서 분석하여 해당 회원이 어느 단계에 있는지를 진단하고 그 결과값(일예로 회원A는 하위(다소 부족) 독서능력과 2등급(우수) 독서성향을 가짐)을 회원 데이터베이스(142)의 해당 회원에 매칭시켜 저장한다. 이때, 회원A에 대한 독서능력 점수인 80.1점(예컨대, 만점이 120점인 경우 '하위(다소 부족)' 단계에 해당함)과 독서성향 점수인 108.1점(예컨대, 만점이 120점인 경우 '2등급(상위)' 단계에 해당)이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진단 및 분석부(222)는 해당 연령/학년에 해당하는 전체 회원의 평균과 상위 10% 평균을 분석하여 그 결과값을 회원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해 둠으로써, 해당 회원의 수준을 참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진단 및 분석부(222)는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 결과를 분석하여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에 대한 세부 분석결과와 종합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회원 A의 독서능력을 분석한 결과값이 80.1점(하위에 해당)이고 독서성향을 분석한 결과값이 108.1점(2등급에 해당)인 경우, 도 15와 같이 하위(다소 부족) 독서능력과 2등급(우수) 독서성향을 갖고 있음을 종합 분석결과(S 유형 및 총평)를 통해 제시하고, 이와 더불어 도 16과 같이 하위(다소 부족) 독서능력에 대한 세부 분석결과, 즉 점수 및 백분율과 세부평을 제시하고 해당 연령/학년의 상위 10% 평균, 전체 평균을 함께 제시하여 해당 회원 A의 독서능력에 관한 수준을 쉽게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7과 같이 2등급(우수) 독서성향에 대한 세부 분석결과, 즉 점수 및 백분율과 세부평을 제시하고 해당 연령/학년의 상위 10% 평균, 전체 평균을 함께 제시하여 해당 회원 A의 독서성향에 관한 수준을 쉽게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5 내지 도 17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라 독서능력 및/또는 독서성향에 따른 분석결과를 보여주지만, 제2 실시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특히 진단 및 분석부(222)는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대한 세부 분석결과와 종합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서 클리닉부(230)는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 중 도서 클리닉 대상을 파악하고, 교사가 입력한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맞는 분야별 도서들로 구성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110) 또는 교사 단말기(120)로 제공한다. 또한, 도서 클리닉부(230)는 제4 실시예에 따라 교사가 선택한 도서 권장 정보를 입력받아 제1 도서 목록 리스트에 반영하여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110) 또는 교사 단말기(1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서 클리닉부(230)는 도서 대여/판매에 따른 비용결제, 도서의 대여기간 및 판매내역 등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도서 클리닉부(230)는 도서 목록 리스트 생성 및 제공부(231), 대여/판매 관리부(23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라, 도서 목록 리스트 생성 및 제공부(231)는 회원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143)에 저장된 도서 목록 중에서 해당 회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맞는 도서들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는 소정 기간 동안(예컨대 6개월) 분야별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독서 연령이 9세인 회원에 대해서 리드스텝 및 학습만화 분야의 도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라, 도서 목록 리스트 생성 및 제공부(231)는 해당 회원에게 권장하는 분야의 도서 권장 정보를 제1 도서 목록 리스트에 반영하여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생성한다. 일 예로, 도서 권장 정보가 창작동화(TH) 및 전래/신화(TL)인 경우, 창작동화(TH) 및 전래/신화(TL)를 제1 도서 목록 리스트 상에 소정 주기(예컨대, 매월 1,2주차 등)로 반영하여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구성한다.
또한, 도서 목록 및 리스트 생성 및 제공부(231)는 해당 회원에게 제공된 제1 또는 제2 도서 목록 리스트 중에서 회원이 과거에 대여/구매한 도서에 대해서는 별도의 표시를 하여 회원에게 중복으로 도서가 대여/판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서 목록 리스트 생성 및 제공부(231)는 회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도서 대여/판매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110) 또는 교사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도서 대여/판매 프로그램은 회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 정보에 따라 주별, 월별 등 소정의 기간별로 필요한 독서량 및 도서의 종류를 결정하고 이에 맞게 도서를 대여/판매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서 목록 리스트 생성 및 제공부(231)는 회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을 참조하여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제공하거나 도서 권장 정보를 제1 도서 목록 리스트에 반영한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른 도서 목록 리스트를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원이 기쁠 때 읽으면 좋은 책, 슬플 때 읽으면 좋은 책, 친구와 다투었을 때 읽으면 좋은 책, 입학할 때 읽으면 좋은 책 등으로 분류한 도서 목록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회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110) 또는 교사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서 목록 리스트 생성 및 제공부(231)는 도서의 주제, 작가 등으로 분류하여 도서 목록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대여/판매 관리부(232)는 회원이 도서를 대여하였을 경우 대여 기간을 회원에게 통보하고 대여된 도서가 대여 기간 내에 반납이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도서 대여 정보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회원별로 저장되어 관리된다. 또한, 대여/판매 관리부(232)는 회원이 도서를 구매한 경우, 판매 정보(도서명 등)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회원별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대여/판매 관리부(232)는 대여된 도서가 반납되지 않았을 경우 대여 기간 만료되기 소정 기일 전에 회원에게 도서 대여 기간의 연장 여부 및 연장에 따른 비용 안내를 이메일, 전화 등을 통하여 통보한다. 또한, 대여/판매 관리부(232)는 회원의 도서 반납에 연체가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정보를 회원 관리부(220)로 전송한다. 회원의 도서 반납 연체가 된 경우 회원이 도서 클리닉 서버(130)에 접속시 회원 인증부(221)에서 회원에게 도서 반납 연체 정보를 통보한다. 회원 도서 반납 연체 정도에 따라서 도서 클리닉 서버(130)의 서비스를 제한할 수 있다.
독서 관리부(240)는 독서 이력 관리부(241), 독후 활동 관리부(242), 독서 진단부(243), 도서 등록부(24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독서 이력 관리부(241)는 회원 관리부(220)로부터 회원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독서 이력 관리부(241)는 도서 클리닉부(230)로부터 회원이 대여/구매한 도서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독서 이력 관리부(241)는 회원이 대여/구매한 도서를 회원 데이터베이스(142)로부터 검색하여 해당 도서가 속하는 분야의 정보를 회원이 대여/구매한 도서 정보와 함께 입력받는다. 도서의 분야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원의 연령별, 상황별, 유형별 등으로 분류되고, 도서의 주제별, 작가별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독서 이력 관리부(241)는 회원의 정보, 회원이 대여/구매한 도서 정보 및 해당 도서가 속하는 분야의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또는, 회원의 정보, 회원이 대여/구매한 도서 정보 및 해당 도서가 속하는 분야의 정보를 연관시켜 회원 데이터베이스(142)에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독서 이력 관리부(241)는 회원 관리부(220)를 통해 인증된 회원 또는 교사/학부모가 단말기(110,120)를 이용하여 독서 이력을 요청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회원의 대여/구매한 도서 목록 정보를 검색 및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단말기(110,120)로 전송한다. 도서 목록 정보는 각 도서의 간략한 설명을 담은 텍스트 또는 각 도서의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독서 이력 관리부(410)에 저장된 회원의 독서 이력 정보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하여 시간 및 장소에 관계없이 회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독서 이력 정보는 회원의 도서 대여/판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독후 활동 관리부(242)는 회원이 대여/구매한 도서의 목록의 정보를 독서 이력 관리부(241)로부터 읽어내어 각 도서별로 복수의 단계로 독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다단계의 독후 활동 서비스 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도 18 내지 도 20과 같이 주제 영역별 독서량, 연계 교과과정 독서량, 최근 6개월 독서량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단계별로 회원의 독후 활동의 참여도에 따라서 서비스 이용에 인센티브, 예를 들어, 도서 대여/대출에 사용할 수 있는 사이버 머니 제공, 회원에게 아바타, 성장시킬 수 있는 캐릭터(예를 들어, 나무 등)의 기본 이미지를 부여하고, 독후 활동 정도에 따라 아바타 옷의 제공, 나무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등의 시각적인 독후 활동을 보여줌으로써 독서의 흥미를 높일 수 있다.
독후 활동의 제1 단계에서는 독서 이력 관리부(241)를 통하여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제공되는 회원의 대여/구매 도서 목록과 함께 해당 도서에 대한 흥미도를 선택할 수 있는 이모티콘(아주 재미있었다, 재미있었다, 보통이다, 별로 재미없었다 등을 나타냄)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회원은 각 도서마다 이모티콘을 선택하여 독후 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도서에 대해서 느낌을 텍스트로 적을 수 있는 텍스트 필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회원은 각 도서를 읽은 후 간단한 느낌을 텍스트 필드에 기재하여 독후 활동을 할 수 있다.
독후 활동 관리부(242)는 회원이 제1 단계의 독후 활동을 할 때마다 소정의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부여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회원은 사이버 머니, 아바타 옷 등을 제공받거나 회원에게 제공된 나무 등을 소정 크기만큼 자라게 할 수 있다.
한편, 독후 활동의 제1 단계에서는 실질적으로 회원이 독서를 했는지에 대해서 정확하게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회원의 독후 활동을 통하여 회원의 독서 유무를 판단하고 독서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독후 활동을 제2 단계에서 제공한다. 제2 단계에서는 회원이 구매/대여한 도서에 대해서 독후감 쓰기, 책에 등장하는 주인공에게 편지 쓰기, 책 속의 등장인물에게 상장 주기, 줄거리 쓰기, 독서 퀴즈 등의 독후 활동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계의 독후 활동과 마찬가지로 독후 활동 관리부(242)는 제2 단계의 독후 활동에 참여한 회원에게 참여 정도에 따라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독후 활동 관리부(242)는 제2 단계에서 실시되는 독후 활동의 종류에 따라 차등적으로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감독 회원은 독후 활동 관리부(242)에 접속하여 일반 회원이 독서를 실질적으로 했는지를 독후 활동 내용을 근거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일반 회원이 독후 활동한 내용에 대해서 평가를 할 수 있다.
독서 진단부(243)는 독후 활동 관리부(242)에서 독후 활동을 한 회원들에 대해서 소정 기간 동안 회원의 레벨별로 또는 회원의 발달 단계별로 회원들의 전체 독서량, 주제별 독서량 및 각 도서에 대한 독후 활동의 통계를 내고, 회원들의 전체 통계를 각 회원과 막대 그래프 등을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를 보여준다. 예로서, 독서 진단부(243)는 회원의 독서량을 연령대의 평균 독서량, 상위 10%의 평균 독서량 등을 그래프로 제공하여 각 회원의 독서량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독서 진단부(243)는 회원이 학생일 경우 독서 영역별, 예를 들어 언어영역, 수리영역, 사회영역, 과학영역, 예체능영역별로 독서량을 그래프로 제공하여 회원이 부족한 독서영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독서 진단부(243)는 비교 결과에 따라 각 회원에게 부족한 독서영역 또는 주제에 대해 필요한 도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독서 진단부(243)는 회원의 독서량, 주제별 독서량 및 독후 활동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가중치를 주어 독서 지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독서 진단부(243)는 독서 지수 산출시 독서량에 가중치를 50%, 주제별 독서량에 30% 및 독후 활동에 20%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회원의 레벨에서 사전 설정된 독서량, 주제별 독서량 및 독후 활동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독서 지수를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한 독서 지수를 회원에게 제공하여 회원의 독서 활동을 수치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독서 진단부(243)는 회원이 읽은 도서가 회원의 연령대에 적합한 도서인가를 사전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예컨대 회원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판단하고, 판단 결과 해당 도서가 회원에게 적합하지 않으면, 동일한 주제를 가지며 회원의 연령대에 맞는 도서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독서 진단부(243)에서 진단한 결과는 이메일, 모바일 등을 이용하여 회원 또는 전문 상담가에게 전달된다.
도서 등록부(243)는 회원이 도서를 대여 또는 구매하지 않은 도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도서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도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도서인 경우 해당 도서의 정보를 독서 이력 관리부(241)로 전송하여 회원이 독후 활동 및 독서 진단에 필요한 정보로 이용된다. 반면에, 회원이 등록한 도서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도서에 대한 소정의 분류 과정을 통하여 도서 클리닉부(230) 및 독서 관리부(240)에 등록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맞춤형 도서 클리닉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회원 또는 교사/학부모가 단말기(110,120)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접속하면(S210), 해당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인지를 인증한다(S220).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회원이면, 이전에 획득하여 저장된 회원의 독서 유형을 검색하고, 독서 유형에 기초하여 도서 클리닉 대상 여부를 결정한다. 도서 클리닉 대상자인 경우(예컨대, 제1 실시예에 따라 "U 유형", "P 유형", "V 유형", "Q 유형"의 회원,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라 독서 유형으로부터 파악되는 예컨대 '등급 하'(다소 부족, 매우 부족)의 회원), 진단 교사가 입력한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맞는 도서들로 구성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 또는 독서 프로그램을 단말기(110,120)로 전송한다(S230). 또한, 도서 권장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제1 도서 목록 리스트에 반영하여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회원이 아닌 경우, 회원 가입할 것인지를 확인하여 가입을 원할 경우 소정의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S222). 회원 가입이 완료되면, 진단 프로그램(설문지)을 단말기(110,120)로 전송하여 신규 회원의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다(S224).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독서능력 정보, 독서성향 정보를 진단 및 분석하고,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 정보로부터 해당 회원의 독서 유형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독서 유형을 참조하여 도서 클리닉 대상자 여부를 확인하고, 도서 클리닉 대상자인 경우 교사가 판단한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을 입력받는다. 일실시예에서는, 회원 가입 단계(S222) 외에도, 소정 기간(예컨대 6개월)의 중간 단계(예컨대 3개월 경과 이후)에서 S224 단계를 수행하여 해당 회원의 수준을 재평가함으로써, 기존 회원들에 대해서도 독서능력 및 독서성향을 재진단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신규로 가입한 회원의 독서 유형 정보를 획득하면, 기존 회원과 동일하게 신규 회원의 독서 연령과 클리닉 유형 정보를 이용하여 사전 설정되어 저장된 도서 목록 리스트를 검색하여 회원에게 적합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단말기(110,120)로 전송한다(S530). 또한, 해당 회원에게 권장하는 분야의 도서 권장 정보를 제1 도서 목록 리스트에 반영하여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회원/학부모 또는 교사는 대여/구매할 도서를 단말기(110,120)에 제공된 제1 또는 제2 도서 목록 리스트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도서를 주제별, 적합한 연령별 등으로 분류되어 제공되는 도서 목록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
회원/학부모, 교사가 임의의 도서를 대여/구매를 하면(S240), 회원이 대여/구매한 도서 정보, 회원 정보 및 해당 도서의 분야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한다(S250). 회원의 대여/구매한 도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도서별로 독후 활동에 관한 서비스 정보를 단말기(110,120)로 전송한다(S260). 전술한 바와 같이, 독후 활동 서비스는 두 단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단계에서는 해당 도서에 대한 느낌을 이모티콘을 선택하여 표시하거나 한 줄의 텍스트를 기재하여 독후 활동을 할 수 있다. 제2 단계의 독후 활동은 독후감 쓰기, 상장 주기, 편지 쓰기, 독서 퀴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회원의 독후 활동 내용은 회원의 독서 이력과 연관되어 저장된다.
계속해서, 소정 기간 동안의 회원의 독후 활동 내용을 바탕으로 회원의 독서량 및 유형별, 주제별 독서량 등을 사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비교결과 값과 이를 이용한 회원의 독서 지수를 회원에게 제공한다(S270). 이후, 비교 결과값과 독서 지수를 바탕으로 회원이 필요한 독서량, 분야 등을 포함하는 독서 프로그램을 회원에게 제공한다(S280).
본 발명에서는 회원 A의 도서 목록 리스트와 동일한 도서 목록 리스트를 가진 다른 회원이 있더라도, 동일 분야의 중복되는 도서들이 많기 때문에 대여/판매되는 도서가 겹쳐질 확률은 매우 적다. 더불어, 회원 A의 도서 목록 리스트와 동일한 도서 목록 리스트를 가진 다른 회원들을 묶어 로테이션 방식으로 배달 계획 정보를 작성할 수도 있다. 즉, 회원 A,B,C가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로 해당 도서를 독서하도록 도서 목록 리스트 및 도서 배달 스케줄이 작성되었다면, 먼저 회원 A에게 1단계의 도서를 배달하고, 다음번에 2단계의 도서를 배달하며, 이때 회수한 1단계의 도서는 회원 B에게 배달된다. 그 다음번에 같은 방법으로 회원 C가 1단계, 회원 B가 2단계, 회원 A가 3단계 도서를 보게 된다.
상기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접속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10: 사용자 단말기 120: 교사 단말기
130: 도서 클리닉 서버 140: DBMS
150: 가맹점 단말기 160: 네트워크
210: 웹/왑 서버 220: 회원 관리부
230: 도서 클리닉부 240: 독서 관리부

Claims (23)

  1.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으로서,
    각 도서를 분야별로 독서능력과 독서성향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여 저장ㆍ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
    네트워크를 통해 회원 정보 및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 결과를 입력받아 해당 회원의 수준을 진단 및 분석하고, 회원 정보 및 회원의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를 상기 DBMS에 저장ㆍ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및
    상기 독서능력 정보와 상기 독서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 중 도서 클리닉 대상을 파악하고,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맞는 분야별 도서들로 구성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도서 클리닉부를 포함하는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클리닉부는,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에게 권장하는 분야의 도서 권장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도서 목록 리스트에 반영하여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는, 소정 주기로 반복되는 도서 대여 또는 판매 스케줄 목록인,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는, 도서 클리닉을 위한 소정 기간 동안, 교과별 연계도서들로 이루어진 교과필독 분야와, 목적별 주제도서들로 이루어진 테마필독 분야와, 연령별 균형도서들로 이루어진 리드스텝 분야와, 영역별 주제도서들로 이루어진 테마 분야와, 학년별 만화도서들로 이루어진 학습만화 분야와, 수준별 영어도서들로 이루어진 애니스토리 분야 중 적어도 한 분야의 도서들로 단계적 또는 반복적으로 구성하는,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부는, 상기 소정 기간의 중간 단계에서 해당 회원의 수준을 재평가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도서 클리닉부는, 재평가한 상기 독서능력 정보와 상기 독서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 중 도서 클리닉 대상을 파악하고,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맞는 분야별 도서들로 구성된 도서 목록 리스트를 재생성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능력 정보는 m 단계로 구분하고, 상기 독서성향 정보는 n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회원의 독서 유형을 m×n의 형태로 파악하며,
    m과 n은 각각 1보다 큰 자연수인,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 유형은, 연령별 또는 학년별로 m×n 유형으로 정의되는,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 유형은, m×n 유형을 r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등급을 구분하며,
    여기서 r은 2보다 큰 자연수인,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권장 정보는,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전달받은 교사가 회원에게 권장하는 도서 영역의 정보인,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능력 정보는, 회원의 수준을 진단 및 분석하는데 필요한 해당 회원의 어휘력 및 이해력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독서성향 정보는, 회원의 수준을 진단 및 분석하는데 필요한 해당 회원의 독서흥미 수준, 독서태도, 독서환경에 관한 정보인,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클리닉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도서 목록 리스트에서 회원 또는 교사/학부모가 선택한 도서의 정보를 수신받아 도서 대여/판매에 관한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DBMS에 저장ㆍ관리하는,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회원의 도서 대여/판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의 독서 이력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DBMS에 저장ㆍ관리하고 회원에게 대여/판매한 도서에 대한 독후 활동 서비스 정보를 회원 또는 교사/학부모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독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 관리부는, 상기 회원 또는 교사/학부모의 단말기를 통해 회원에게 대여/판매한 도서에 대한 독후 활동 내용을 수신받아 회원의 독후 활동 내용을 상기 DBMS에 누적하여 저장ㆍ관리하고, 회원의 독후 활동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회원 또는 교사/학부모의 단말기로 독서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는, 맞춤형 도서 클리닉 시스템.
  14. 맞춤형 도서 클리닉 방법으로서,
    각 도서를 분야별로 독서능력과 독서성향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저장ㆍ관리하는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회원 정보 및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 결과를 입력받아 해당 회원의 수준을 진단 및 분석하고, 회원 정보 및 회원의 독서능력 정보와 독서성향 정보를 상기 DBMS에 저장ㆍ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독서능력 정보와 상기 독서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 중 도서 클리닉 대상을 파악하고,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맞는 분야별 도서들로 구성된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도서 클리닉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에게 권장하는 분야의 도서 권장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도서 목록 리스트에 반영하여 제2 도서 목록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도서 클리닉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는, 소정 주기로 반복되는 도서 대여 또는 판매 스케줄 목록인, 맞춤형 도서 클리닉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목록 리스트는,
    도서 관리를 위한 소정 기간 동안, 교과별 연계도서들로 이루어진 교과필독 분야와, 목적별 주제도서들로 이루어진 테마필독 분야와, 연령별 균형도서들로 이루어진 리드스텝 분야와, 영역별 주제도서들로 이루어진 테마 분야와, 학년별 만화도서들로 이루어진 학습만화 분야와, 수준별 영어도서들로 이루어진 애니스토리 분야 중 적어도 한 분야의 도서들로 단계적 또는 반복적으로 구성하는, 맞춤형 도서 클리닉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능력 정보는 m 단계로 구분하고, 상기 독서성향 정보는 n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회원의 독서 유형을 m×n의 형태로 파악하며,
    m과 n은 각각 1보다 큰 자연수인, 맞춤형 도서 클리닉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 유형은, 연령별 또는 학년별로 m×n 유형으로 정의되는, 맞춤형 도서 클리닉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 유형은, m×n 유형을 r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등급을 구분하며,
    여기서 r은 2보다 큰 자연수인, 맞춤형 도서 클리닉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권장 정보는, 제1 도서 목록 리스트를 전달받은 교사가 회원에게 권장하는 도서 영역의 정보인, 맞춤형 도서 클리닉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의 중간 단계에서 해당 회원의 수준을 재평가하고, 재평가한 상기 독서능력 정보와 상기 독서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 중 도서 클리닉 대상을 파악하고, 해당 도서 클리닉 대상자의 독서 연령 및 클리닉 유형에 맞는 분야별 도서들로 구성된 도서 목록 리스트를 재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도서 클리닉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능력 정보는, 회원의 수준을 진단 및 분석하는데 필요한 해당 회원의 어휘력 및 이해력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독서성향 정보는, 회원의 수준을 진단 및 분석하는데 필요한 해당 회원의 독서흥미 수준, 독서태도, 독서환경에 관한 정보인, 맞춤형 도서 클리닉 방법.
KR1020130076258A 2012-07-02 2013-07-01 사용자 맞춤형의 도서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40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1597 2012-07-02
KR1020120071597 2012-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023A true KR20140004023A (ko) 2014-01-10

Family

ID=501402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260A KR20140004024A (ko) 2012-07-02 2013-07-01 사용자 맞춤형 도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0076258A KR20140004023A (ko) 2012-07-02 2013-07-01 사용자 맞춤형의 도서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260A KR20140004024A (ko) 2012-07-02 2013-07-01 사용자 맞춤형 도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0040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2602A (zh) * 2019-04-02 2019-07-09 海南颖川科技有限公司 少儿数字阅读指引设备
KR20200094825A (ko) * 2019-01-21 2020-08-10 박경숙 인공지능 기반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독서 코칭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132B1 (ko) * 2019-03-11 2021-07-16 박연식 전방향독서법을 통한 독서심리상담의 분류방법
KR102223929B1 (ko) * 2019-09-09 2021-03-08 주식회사 단감소프트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N110674448A (zh) * 2019-09-27 2020-01-10 浙江树联智能科技有限公司 图书推送方法及装置
KR102107848B1 (ko) * 2019-10-15 2020-05-07 주식회사이씨오 도서 추천 서비스 방법
KR102395728B1 (ko) * 2020-03-31 2022-05-09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퍼소나 모델을 활용하여 도서 추천을 수행하는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
KR102576484B1 (ko) * 2021-04-07 2023-09-08 주식회사 피씨엔씨 협업필터링과 도서 기반 추천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도서 추천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533563B1 (ko) * 2021-08-30 2023-05-17 권나윤 모바일 어플 기반 독서 지원 시스템
CN117453896B (zh) * 2023-12-22 2024-06-18 江西拓世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针对儿童的陪伴ai数字人的管控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825A (ko) * 2019-01-21 2020-08-10 박경숙 인공지능 기반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독서 코칭 시스템 및 방법
CN109992602A (zh) * 2019-04-02 2019-07-09 海南颖川科技有限公司 少儿数字阅读指引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024A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ong et al. The psychology research handbook: A guide for graduate students and research assistants
Zhang et al. Integrating ethics and career futures with technical learning to promote AI litera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 exploratory study
Cilesiz Educational computer use in leisure context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adolescents’ experiences at Internet cafes
Law et al. Human computation
Wa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sports training system for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education
KR20140004023A (ko) 사용자 맞춤형의 도서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
Choo et al. Web work: Information seeking and knowledge work on the World Wide Web
Davis et a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pencer Card sorting: Designing usable categories
Kinley et al. Modeling users' web search behavior and their cognitive styles
Chen et al. Mining students' learning patterns and performance in Web-based instruction: a cognitive style approach
Ahn Human computation
Bydžovská Course Enrolment Recommender System
Zhou et al. Discovery of action patterns and user correlations in task-oriented processes for goal-driven learning recommendation
Wu et al. How cognitive styles affect the learning behaviors of online problem-solving based discussion activity: A lag sequential analysis
US20100266999A1 (en) User-directed, context-based learning systems and methods
Gena et al. The evaluation of a social adaptive website for cultural events
Pan et al. A MultiView courses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Melro et al. What else can be learned when coding? A configurative literature review of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computational thinking
Roshchina TWIN: Personality-based Recommender System
Davidsen et al. Web Site Design with the Patron in Mind: A-Step-by-Step Guide for Libraries
Minetou et al. Investigation of the use of navigation tools in web-based learning: A data mining approach
Zaina et al. Adaptive learning in the educational e-LORS system: an approach based on preference categories
De Paula The construction of usefulness: How users and context create meaning with a social networking system
Valenza Discovering a descriptive taxonomy of attributes of exemplary school library web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