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763U -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763U
KR20140003763U KR2020120011636U KR20120011636U KR20140003763U KR 20140003763 U KR20140003763 U KR 20140003763U KR 2020120011636 U KR2020120011636 U KR 2020120011636U KR 20120011636 U KR20120011636 U KR 20120011636U KR 20140003763 U KR20140003763 U KR 201400037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mart device
attached
frame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기
Original Assignee
장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기 filed Critical 장명기
Priority to KR2020120011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763U/ko
Publication of KR201400037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7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스마트기기의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필름; 스마트기기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필름; 후면필름과 전면필름의 사이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의 우측면에 부착되는 우측면필름; 전면필름의 우측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의 좌측면에 부착되는 좌측면필름; 및 전면필름의 상측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상측면필름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Whole body protecting film for smart apparatus}
본 고안은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한 전신(全身)에 각각 대응되도록 부착되는 부착부들이 일체로 구성되어 스마트기기의 바디 전체에 간편하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패드 또는 태블릿 등 스마트기기는 이동간 업무 및 유비쿼터스 기능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필수품 개념으로 정착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 및 사양이 추가되어 가격 또한 고가로 형성되는데, 특히 사용자의 손 등을 이용한 터치센서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수단이 바디의 전면부에 기본으로 탑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충격으로부터 많은 필수 정보가 저장된 고가의 스마트기기를 보호하는 케이스와 디스플레이수단을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필름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케이스는 스마트기기를 케이스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 수용하거나, 플라스틱, P/C, 실리콘 등의 소재로 된 케이스에 스마트기기를 부착, 삽입한 후 별도의 커버에 접착시트,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별도로, 디스플레이수단에는 보호필름이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수단에 별도의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기기가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을 통하여 스마트기기의 전신(全身)이 보호되도록 하기 때문에, 케이스와 보호필름의 제조와 구매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두께가 얇아지는 스마트기기가 출시되고 있음에도 스마트기기가 케이스에 구비됨에 따라 스마트기기의 얇은 두께가 가지는 장점을 활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으며, 그 무게와 부피 또한 증가되어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스마트기기의 전면과 후면 및 상하좌우측면에 각각 해당 형상의 보호필름이 부착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각각의 보호필름들이 분리된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상하좌우측면의 경우 그 폭이 좁아 해당 부위에 정확하게 보호필름이 부착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마트기기의 전후, 좌우 및 상측면에 각각 해당 형상을 가지는 보호필름이 하나의 필름으로 일체 구성된 상태에서 각각의 부위에 순차적으로 부착되도록 하여 부착 작업을 간편히 하고 스마트기기의 장점을 활용하며 스마트기기의 전신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마트기기의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필름; 스마트기기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필름; 후면필름과 전면필름의 사이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의 우측면에 부착되는 우측면필름; 전면필름의 우측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의 좌측면에 부착되는 좌측면필름; 및 전면필름의 상측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상측면필름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스마트기기의 전후, 좌우 및 상측면에 각각 해당 형상을 가지는 보호필름들이 하나의 필름으로 일체 구성된 상태에서 각각의 부위에 순차적으로 부착됨으로써, 보호필름의 부착 작업을 간편히 하고 스마트기기의 두께와 무게 등과 같은 외형적인 장점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스마트기기의 전신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전신보호필름이 스마트기기의 전신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전신보호필름이 스마트기기의 전신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100)은, 스마트기기(S)의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필름(110), 스마트기기(S)의 전면 디스플레이수단(D)에 부착되는 전면필름(120), 상기 후면필름(110)과 전면필름(120)의 사이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S)의 우측면에 부착되는 우측면필름(130), 상기 전면필름(120)의 우측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S)의 좌측면에 부착되는 좌측면필름(140) 및 상기 전면필름(120)의 상측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S)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상측면필름(150)을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부들 이외에, 상기 전면필름(120)의 하측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S)의 하측면에 부착되는 하측면필름(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100)은, 상기 스마트기기(S)의 전후/좌우/상측면에 부착되는 필름들의 부착면과 상기 스마트기기(S)에 부착면의 부착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에는, 이형필름(I)이 각각 부착되어, 상기 부착면에 도포된 점착물질 등과 같은 접착제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100)은, PE, PVC, PP, PET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며, 외부로부터의 스크래치와 지문 등으로부터 스마트기기(S)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성 코팅물질이 더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필름(110)은, 스마트기기(S)의 후면에 부착되는 보호용 필름으로, 아이폰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S)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기기(S)의 후면이 알루미늄 재질의 커버와 상기 알루미늄 커버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글래스 재질의 커버로 구분되는 경우 각각의 커버에 구분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알루미늄 커버(AC)에 부착되는 제1후면필름(111)과 상기 글래스 커버(GC)에 부착되는 제2후면필름(1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후면필름(111)과 제2후면필름(112)은, 좌측단부로부터 우측면필름(130)까지 소정의 폭을 가지며 절개되는 절개부(113)를 가지는데, 이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S)의 후면이 알루미늄 커버(AC)와 글래스 커버(GC)에 의해 구분되거나 또는 상기 커버들이 설치홈 등의 간격에 의해 이격된 상태를 가지더라도 상기 절개부(113)가 구분부위(ST1)에 위치되도록 하여 해당 부위를 제외한 스마트기기(S)의 후면 전체가 커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필름(110)의 해당 부위에는 스마트기기(S)의 후면에 구성되는 카메라수단, 광고용 로고부재 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해당 노출공(114)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필름(120)은, 스마트기기(S)의 전면 디스플레이수단(D)에 부착되는 보호용 필름으로, 아이폰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S)의 전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수단(D)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메인전면필름(12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필름(120)의 해당 부위에는 스마트기기(S)의 전면에 구성되는 스피커수단, 카메라수단 및 기능버튼부재 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해당 노출공(122)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면필름(130)은, 상기 후면필름(110)이 스마트기기(S)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필름(120)이 스마트기기(S)의 전면에 부착되도록 절첩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절첩되어 스마트기기(S)의 우측면에 부착되는 보호용 필름으로, 아이폰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S)의 우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기기(S)의 우측면이 전면과 배면 사이에 돌출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PR)에 의해 전면과 배면 측을 향해 단차 또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우 경사면(ST2)과 프레임(PR)에 각각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PR)에 부착되는 제1우측면필름(131)과 상기 제1우측면필름(131)의 좌우측에 절첩선(132)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경사면(ST2)에 부착되는 제2우측면필름(133)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우측면필름(133)은 상기 경사면(ST2)의 길이에 대응된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제1우측면필름(131)이 프레임(PR)에 부착되더라도 들뜸 현상 없이 경사면(ST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면필름(130)의 해당 부위에는 스마트기기(S)의 우측면에 구성되는 USIM삽입부재 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해당 노출공(134)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면필름(140)은, 상기 우측면필름(130)의 절첩을 통해 후면필름(110)이 스마트기기(S)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전면필름(120)이 스마트기기(S)의 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절첩되어 스마트기기(S)의 좌측면에 부착되는 보호용 필름으로, 아이폰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S)의 좌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기기(S)의 좌측면이 전면 사이에 돌출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PL)에 의해 전면 측을 향해 단차 또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우 경사면(ST3)과 프레임(PL)에 각각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PL)에 부착되는 제1좌측면필름(141)과 상기 제1좌측면필름(141)의 좌측에 절첩선(142)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경사면(ST3)에 부착되는 제2좌측면필름(143)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좌측면필름(143)은 상기 경사면(ST3)의 길이에 대응된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제1좌측면필름(141)이 프레임(PL)에 부착되더라도 들뜸 현상 없이 경사면(ST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좌측면필름(143)은, 스마트기기(S)의 전면과 프레임(PL)의 사이의 공간을 나타내는 경사면(ST3)에만 부착되도록 하고 있으나, 스마트기기(S)의 후면과 프레임(PL) 사이의 공간에도 부착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좌측면필름(141)의 우측에 절첩선을 통하여 별도의 제2좌측면필름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측면필름(140)의 해당 부위에는 스마트기기(S)의 좌측면에 구성되는 기능버튼부재 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해당 노출공(144) 또는 노출부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면필름(150)은, 상기 우측면필름(130)의 절첩을 통해 후면필름(110)이 스마트기기(S)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전면필름(120)이 스마트기기(S)의 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절첩되어 상기 스마트기기(S)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보호용 필름으로, 아이폰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S)의 상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기기(S)의 상측면이 전면 사이에 돌출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PU)에 의해 전면 측을 향해 단차 또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우 경사면(ST4)과 프레임(PU)에 각각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PU)에 부착되는 제1상측면필름(151)과 상기 제1상측면필름(151)의 하측에 절첩선(152)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경사면(ST4)에 부착되는 제2우측면필름(153)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우측면필름(153)은 상기 경사면(ST4)의 길이에 대응된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제1상측면필름(151)이 프레임(PU)에 부착되더라도 들뜸 현상 없이 경사면(ST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상측면필름(153)은, 스마트기기(S)의 전면과 프레임(PU)의 사이의 공간을 나타내는 경사면(ST4)에만 부착되도록 하고 있으나, 스마트기기(S)의 후면과 프레임(PU) 사이의 공간에도 부착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상측면필름(151)의 상측에 절첩선을 통하여 별도의 제2상측면필름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측면필름(150)의 해당 부위에는 스마트기기(S)의 상측면에 구성되는 전원버튼부재와 이어폰 삽입수단 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해당 노출공(154) 또는 노출부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S)의 하측면에 부착되는 하측면필름(미도시)는, 상기 상측면필름(150)과 대향될 뿐, 그 구성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는, 대부분의 스마트기기(S)의 경우 하측면에는 통상적으로 스피커수단과 전원충전 및 데이터전송을 위한 USB 또는 충전컨넥터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다른 측부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가 아주 낮으므로, 선택적으로 하측면필름(미도시)을 구성하여 하측면에 대한 보호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의 작용(스마트기기에 부착되는 방법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100)에 있어서, 후면필름(110)의 부착면에 부착된 이형필름(I)이 제거된 상태에서, 후면필름(110)이 스마트기기(S)의 후면에 부착된다.
이후, 우측면필름(130)의 부착면에 부착된 이형필름(I)이 제거된 상태에서, 우측면필름(130)이 후면필름(110)으로부터 절첩되면서 스마트기기(S)의 우측면에 부착된다.
이후, 전면필름(120)의 부착면에 부착된 이형필름(I)이 제거된 상태에서, 전면필름(120)이 우측면필름(130)으로부터 절첩되면서 스마트기기(S)의 전면에 부착된다.
이후, 좌측면필름(140)의 부착면에 부착된 이형필름(I)이 제거된 상태에서, 좌측면필름(140)이 전면필름(120)으로부터 절첩되면서 스마트기기(S)의 좌측면에 부착된다.
이후, 상측면필름(150)의 부착면에 부착된 이형필름(I)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측면필름(150)이 전면필름(120)으로부터 절첩되면서 스마트기기(S)의 상측면에 부착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스마트기기(S)의 하측면을 제외한 전신에 전신보호필름(100)의 부착 후, 상기 부착면에 대향되는 노출면에 부착된 이형필름(I)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에 의하면, 스마트기기의 전후, 좌우 및 상측면에 각각 해당 형상을 가지는 보호필름들이 하나의 필름으로 일체 구성된 상태에서 각각의 부위에 순차적으로 부착됨으로써, 보호필름의 부착 작업을 간편히 하고 스마트기기의 두께와 무게 등과 같은 외형적인 장점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스마트기기의 전신을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스마트기기(S)의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필름(110);
    스마트기기(S)의 전면 디스플레이수단(D)에 부착되는 전면필름(120);
    후면필름(110)과 전면필름(120)의 사이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S)의 우측면에 부착되는 우측면필름(130);
    전면필름(120)의 우측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S)의 좌측면에 부착되는 좌측면필름(140); 및
    전면필름(120)의 상측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S)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상측면필름(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전면필름(120)의 하측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S)의 하측면에 부착되는 하측면필름(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마트기기(S)에 부착되는 필름들의 부착면과 상기 스마트기기(S)에 부착면의 부착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에는,
    이형필름(I)이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들은,
    PE, PVC, PP, PET 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후면필름(110)은,
    스마트기기(S) 후면의 알루미늄 커버(AC)에 부착되는 제1후면필름(111);
    스마트기기(S) 후면의 글래스 커버(GC)에 부착되는 제2후면필름(112); 및
    좌측단부로부터 우측면필름(130)까지 소정의 폭을 가지며 절개되어 제1후면필름(111)과 제2후면필름(112)을 구분하는 절개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우측면필름(130)은,
    스마트기기(S)의 우측면에 돌출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PR)에 부착되는 제1우측면필름(131)과;
    제1우측면필름(131)의 좌우측에 절첩선(132)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S)의 프레임(PR)과 스마트기기(S)의 전면 및 배면측과의 경사면(ST2)에 부착되는 제2우측면필름(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좌측면필름(140)은,
    스마트기기(S)의 좌측면에 돌출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PL)에 부착되는 제1좌측면필름(141)과;
    제1좌측면필름(141)의 좌측에 절첩선(142)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S)의 전면과 프레임(PL)의 경사면(ST3)에 부착되는 제2좌측면필름(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측면필름(150)은,
    스마트기기(S)의 상측면에 돌출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PU)에 부착되는 제1상측면필름(151)과;
    제1상측면필름(151)의 하측에 절첩선(152)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마트기기(S)의 전면과 프레임(PL)의 경사면(ST4)에 부착되는 제2우측면필름(1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KR2020120011636U 2012-12-11 2012-12-11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KR201400037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636U KR20140003763U (ko) 2012-12-11 2012-12-11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636U KR20140003763U (ko) 2012-12-11 2012-12-11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763U true KR20140003763U (ko) 2014-06-19

Family

ID=5244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636U KR20140003763U (ko) 2012-12-11 2012-12-11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76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9451B1 (ja) 保護フィルム貼着用器具及びこれを利用した保護フィルムの貼着方法
ES2769871T3 (es) Decoración intercambiable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422194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170130606A (ko) 일체형 모바일 디바이스 패키징 및 가상현실 헤드셋
KR200468374Y1 (ko)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US20140224676A1 (en) Low profile protective cover configurable as a stand with integrated battery
KR20140134071A (ko) 점착식 물품거치대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US795093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overing lid for covering insert hole
KR20110011257U (ko) 거치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20160254835A1 (en) Integrated screen and perimeter prot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146442B1 (ko) 휴대용 단말기 커버
CN103519530A (zh) 行动电话保护套结构
KR200476664Y1 (ko)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20130007270U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140003763U (ko) 스마트기기용 전신보호필름
KR20047214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CN202386000U (zh) 手机保护套
KR101506572B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조립체
TWM484331U (zh) 手機保護套
KR101422196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130002185U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CN215990903U (zh) 一种改进手机壳
KR20140004981U (ko)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