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558A - Solid fuel burner and combustion device using same - Google Patents

Solid fuel burner and combustion device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558A
KR20140003558A KR1020137021961A KR20137021961A KR20140003558A KR 20140003558 A KR20140003558 A KR 20140003558A KR 1020137021961 A KR1020137021961 A KR 1020137021961A KR 20137021961 A KR20137021961 A KR 20137021961A KR 20140003558 A KR20140003558 A KR 20140003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flow rate
pressure detectio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쥰 가시마
히토시 오키무라
노리유키 오야쯔
유스케 오치
Original Assignee
바브콕-히다찌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브콕-히다찌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바브콕-히다찌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3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5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23D1/005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burning a mixture of pulverulent fuel delivered as a slurry, i.e. comprising a carry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8Disposition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8Disposition of burners
    • F23C5/28Disposition of burners to obtain flames in opposing directions, e.g. impacting fl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3/00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N3/002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3/00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N3/02Regulating draught by direct pressure operation of single valves or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18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rate of flow of air or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18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rate of flow of air or fuel
    • F23N5/184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rate of flow of air or fuel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5/00Measuring
    • F23N2225/04Measuring pressure
    • F23N2225/06Measuring pressure for determining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5/00Valves, nozzles or pumps
    • F23N2235/02Air or combustion gas valves or dampers
    • F23N2235/06Air or combustion gas valves or dampers at the air int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연료 노즐(10)의 외주에 연소용 기체를 화로(40)내에 분출시키는 스로트(6)와 노즐(10)의 중심축방향에 직교하는 한 방향으로부터 기체를 넣는 유입구(8)를 갖고, 유로가 노즐(10)의 중심축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스로트(6)로 연소용 기체를 보내는 덕트(2)와 덕트(2)내에 댐퍼(1)와 덕트(2)내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흐르는 연소용 기체의 차압을 검출하는 차압검출장치(32)를 설치하고, 댐퍼(1)를 덕트(2)의 유입구(8) 근방의 하류측에 설치하며, 차압검출장치(32)의 상류측 압력 검출점(31)을 댐퍼(1)의 후류측의 연소용 기체의 정체 영역(90)에, 하류측 압력 검출점(30)을 스로트(6)의 외벽에 구비하여, 검출점(31,30)에서의 압력차를 연소용 기체의 유량으로 환산해서, 댐퍼(1)를 조작하여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고체연료 버너(44)로서, 간소한 구성으로, 국부적인 편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각 버너별로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계측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고체연료 버너와 그 버너를 이용하는 연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er periphery of the fuel nozzle 10 has a throat 6 for ejecting combustion gas into the furnace 40 and an inlet 8 through which gas is introduced from on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nozzle 10. And the upstream side in the duct 2 and the damper 1 in the duct 2 and the duct 2 which sends the combustion gas to the throat 6, which is bent at right angl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of the nozzle 10, A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 32 is provided which detects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combustion gas flowing downstream, and a damper 1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inlet 8 of the duct 2,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 32 is provided.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1 at the stagnant region 90 of the combustion gas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amper 1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0 at the outer wall of the throat 6 for detection. As a solid fuel burner 44 which converts the pressure difference at points 31 and 30 into the flow rate of the gas for combustion, and operates the damper 1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gas for combustion, a simple configuration. A,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calized not affected by drift and to accurately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gas for combustion by the burners, the combustion of using the number of the solid fuel burner and the burner to control the device.

Description

고체연료 버너 및 상기 버너를 이용하는 연소장치{SOLID FUEL BURNER AND COMBUSTION DEVICE USING SAME}Solid fuel burner and combustion apparatus using said burner {SOLID FUEL BURNER AND COMBUSTION DEVICE USING SAME}

본 발명은, 주로 화력발전 플랜트에 이용되어, 미분탄 등의 고체연료를 연소시키는 버너 및 상기 버너를 이용하는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ner mainly used in a thermal power plant and combusting solid fuel such as pulverized coal and a combustion apparatus using the burner.

주로 미분탄 등의 고체연료를 연소시키는 복수의 버너를 구비하고, 버너에서의 연료의 연소 배기가스중의 NOx 저감책으로서 2단 연소 방식을 채용하는 보일러에 있어서, 공기 과잉률의 저감과 CO 등의 미연분 배출량의 저감을 양립시키기 위해, 고체연료의 유량을 각 버너에서 개별적으로 계측하고, 그에 맞은 연소용 공기를 각 버너 혹은 2단 연소용 공기 투입구(애프터 에어포트(after-air port); AAP, 오버 파이어 에어포트(over-fire air port); OFA라고도 칭한다)로부터 투입하는 기술(WO2008/133051 A1)이 알려져 있다.In a boiler mainly comprising a plurality of burners for burning solid fuel such as pulverized coal, and employing a two-stage combustion method as a measure for reducing NOx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of the fuel in the burner, the reduction of excess air ratio and CO, etc. In order to achieve a reduction in unburned emissions, the flow rate of solid fuel is measured separately at each burner, and the corresponding combustion air is recorded at each burner or two stage combustion air inlet (after-air port; AAP The technique (WO2008 / 133051 A1) which throws in from over-fire air port (also called OFA) is known.

상기 기술을 현실의 보일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버너별로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계측하여,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요구된다.In order to apply the above technique to a real boiler, it is required to precisely measure and regulate the flow rate of the gas for combustion for each burner.

한편, 보일러의 대용량화에 맞추어 버너 단체의 용량을 증대시킨 경우에도, 연료의 미착화(未着火) 영역의 확대를 억제하기 위해서 연료 노즐의 유체의 흐름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을 편평한 것으로 하는 버너에 관한 발명(WO2008/038426 A1)이 알려져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capacity of the burner unit i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large capacity of the boiler, a burner having a flat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of the fluid of the fuel nozzle in order to suppress the expansion of the unignited area of the fuel The invention (WO2008 / 038426 A1) is known.

또한, 화로내에서의 연료의 연소 위치를 바꾸어 보일러 열교환기를 흐르는 유체로의 전열량을 제어하기 위해, 버너의 연료 공급 노즐을 둘러싸는 복수로 분할된 유로를 흐르는 연소용 함산소(含酸素) 기체의 유량을 각각 조절 가능하게 하는 버너의 발명(일본 공개특허 2002-147713호 공보, WO2009/041081 A1)이 알려져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hange the combustion position of the fuel in a furnace and to control the heat transfer to the fluid which flows through a boiler heat exchanger, the combustion oxygen gas which flows through the several divided flow paths surrounding the fuel supply nozzle of a burner. The invention of the burner which can adjust the flow volume of each (Japanese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2-147713, WO2009 / 041081 A1) is known.

: WO2008/133051A1WO2008 / 133051A1 : WO2008/038426A1WO2008 / 038426A1 : 일본 공개특허 2002-147713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147713 : WO2009/041081A1WO2009 / 041081A1

버너로부터 분출되는 연소용 기체의 흐름은, 버너의 구조, 특히 연소용 기체의 유로의 형태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The flow of combustion gas blown out from the burner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structure of the burner, 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각 버너별로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계측하여, 조절하기 위해서는, 계측 수단이나 조절 수단의 전후에서, 연소용 기체가 균일하게 흐르도록 직선적인 유로를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실의 보일러에 있어서는, 다수의 버너를 노(爐)외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하여 컴팩트하게 배치해야 하는 설치상의 제약을 받는 등의 이유로, 연소용 기체의 흐름이 균일하게 되는 유로의 형태를 취하지 못하고, 국부적으로 편류(偏流)가 발생하여, 유량의 계측 및 조절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었다.In order to precisely measure and regulate the flow rate of the gas for combustion for each burner, it is preferable to form a long linear flow path so that the gas for combustion flows uniformly before and after a measuring means or a control means. However, in the actual boiler, a flow path in which the combustion gas flows uniformly is caused due to installation restrictions in which a plurality of burners must be arranged in a compact mann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a structure other than a furnace.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localization could not be taken and localization would affect the flow rate measurement and regulation.

특히, 상술한 연료 노즐의 유체의 흐름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을 편평한 것으로 하는 버너에서는, 편류가 발생하기 쉽다.In particular, in a burner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flow of the fluid of the fuel nozzle described above, drift is likely to occur.

또한, 분할된 유로를 흐르는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각각 적극적으로 조절하는 버너에서는, 대상수가 많아져, 조정폭이나 조정 빈도도 증가하므로, 더 요구도가 높은 과제로 된다.Moreover, in the burner which actively controls the flow volume of the combustion gas which flows through the divided flow path, the number of objects becomes large and adjustment width | variety and a frequency of adjustment also increase, and it becomes a more demanding subject.

본 발명의 과제는, 연소용 기체의 유로 형태가 국부적인 편류의 발생을 회피할 수 없는 현실의 보일러에 있어서도,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 상기 국부적인 편류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여 버너마다 개별적으로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계측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고체연료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even in a boiler in which the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cannot avoid the occurrence of local drift,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makes it less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local drift and burns each burner individually. It is to provide a solid fuel burner that can accurately measure and regulate the flow rate of the gas.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간소한 구성으로, 국부적인 편류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여 각 버너별로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계측하고, 조절한 후에 공기 과잉률의 저감과 CO등의 미연분 배출량의 저감을 양립시키도록 한 고체연료 버너와 그 버너를 이용하는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configura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be affected by local drift, and precisely measures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for each burner, and then adjusts and regulates the amount of air excess and reduces unburned emissions such as CO. It is to provide a solid fuel burner and a combustion device using the burner to achieve a reduction in energy consumption.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는 이하에 기재하는 본 발명에 의해서 해결할 수 있다.It can solve by this invention described below which solves the subject mentioned above.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고체연료와 그 반송 기체와의 혼합 유체를 화로(40)의 벽면으로부터 화로(40)내에 분출시키는 통 형상의 연료 노즐(10)과, 그 연료 노즐(10)의 외주(外周)에 설치되어, 연소용 기체를 화로(40)내에 분출시키는 통 형상의 연소용 기체 스로트(throat,6)와, 상기 연소용 기체 스로트(6)에 접속한 연소용 기체의 유로를 구성하는 덕트(2)와, 상기 덕트(2)내에 설치되는 연소용 기체의 유량조정수단(1)과, 상기 덕트(2)내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흐르는 연소용 기체의 압력차(차압)를 검출하는 차압검출장치(32,35)를 갖는 고체연료 버너로서, 상기 덕트(2)는, 연료 노즐(10)의 중심축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한 방향으로부터 연소용 기체를 취입하는 유입구(8)를 갖고, 연소용 기체의 유로가 상기 연료 노즐(10)의 중심축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소용 기체의 유량조정수단(1)은, 상기 덕트(2)의 유입구(8) 근방으로서, 상기 유입구(8)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압검출장치(32,35)는, 상기 유량조정수단(1)의 후류(後流)측으로서, 연소용 기체의 정체 영역(90)에 상당하는 상기 덕트(2)의 유입구(8)로부터 가장 떨어진 덕트(2)의 내벽에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을 가지며,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외벽에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갖고, 상기 차압검출장치(32,35)에서 검출된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에서의 압력차의 값을 연소용 기체의 유량으로 환산하고, 상기 유량조정수단(1)을 조작하여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제어장치(37)를 구비하는 고체연료 버너이다.Invention of Claim 1 has the cylindrical fuel nozzle 10 which ejects the mixed fluid of a solid fuel and its conveyance gas into the furnace 40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furnace 40,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uel nozzle 10. A flow path of a combustion gas throat 6 having a tubular combustion gas which is provided in the outside and blows the combustion gas into the furnace 40 and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throat 6. Pressure differenc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duct 2 constituting the air,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of the gas for combustion provided in the duct 2, and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ides of the duct 2. A solid fuel burner having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35) for detecting), wherein the duct (2) is an inlet for injecting combustion gas from on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of the fuel nozzle (10). 8) so that the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is bent at right angl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fuel nozzle 10.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of the combustion gas is provided near the inlet 8 of the duct 2, and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inlet 8,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and 35 are provided. Is the wake side of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and is loc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duct 2 furthest from the inlet 8 of the duct 2 corresponding to the stagnant region 90 of the combustion gas.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are provided, and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are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combustion gas throat 6, and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and 35 are detected. The value of the pressure difference at the side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is converted into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and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is operated to It is a solid fuel burner provided with the control apparatus 37 which adjusts flow volume.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연소용 기체 스로트(6)에 접속되는 상기 덕트(2)내의 연소용 기체의 유로가, 격벽(4)에 의해 서로 연소용 기체의 유입이 없는 복수의 유로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유로의 각각에 상기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구비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체연료 버너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paths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duct 2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throat 6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in which the gasses for combustion are not introduced into each other by the partition wall 4. The solid fuel burner of Claim 1 which is divided and provided with the said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in each of the said several flow paths.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상기 연료 노즐(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직경 방향의 연소용 기체유로 간격이 최대로 되는 상기 연소용 기체 스로트(6)에 형성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체연료 버너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downstream gas pressure detecting points 30, 34 have a maximum combustion gas throat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fuel nozzle 10, wherein the combustion gas throat ( It is a solid fuel burner of Claim 1 formed in 6).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차압검출장치(32,35)가, 상기 상류측 압력 검출점(31 또는 33)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구성하는 각 압력도관을 통해서 상기 덕트(2)내의 연소용 기체의 상류측 압력과 하류측 압력과의 차압의 값을 검출하는 구성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체연료 버너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35) are formed through the pressure ducts forming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or 33)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34). The solid fuel burner of Claim 1 which is a structure which detects the valu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upstream pressure and the downstream pressure of the combustion gas in (2).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체연료 버너(44)를 화로(40)의 벽면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 노폭 방향으로 복수열 구비한 연소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고체연료 버너(44)에 유입하는 고체연료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정 계측하는 고체연료 유량 계측수단(71)을 구비하고, 제어장치(37)는, 고체연료 유량 계측수단(71)에 의해 측정되는 고체연료 유량의 변화에 따라서, 각 고체연료 버너(44)의 차압검출장치(32,35)에서 검출되는 연소용 기체 유량에 기초하여, 연소용 기체의 유량조정수단(1)의 개도(開度)를 조정하고,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연소장치이다.Invention of Claim 5 is a combustion apparatus which provided the solid fuel burner 44 of Claim 1 in multiple stages in the up-down direction of the wall surface of the furnace 40, and a plurality of rows in the furnace width direction, Comprising: The plurality of said solid fuel burners 44 And a solid fuel flow rate measuring means 71 for individually adjusting and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solid fuel flowing into the tank), and the control device 37 changes the solid fuel flow rate measured by the solid fuel flow rate measuring means 71. In accordance with this,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of the combustion gas is adjusted based on the combustion gas flow rates detect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and 35 of the solid fuel burners 44, It is a combustion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tructure which individually controls the flow volume of the gas for combustion.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압력 검출점의 하나인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을 설정하는 연소용 기체의 정체 영역(90)(도 2, 도 3)이란, 연소용 기체의 유속이 거의 없거나, 유로내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유속이 작은 영역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gnant region 90 (Figs. 2 and 3) of the combustion gas for setting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which is one of the pressure detection points, has almost a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None, or the region with the smallest flow velocity in the flow path.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에 상당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연소용 기체의 덕트(2)의 유입구(8)로부터 가장 떨어진 덕트(2)의 내벽 근방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덕트(2)가 화로측에 가까운 전벽(前壁)(56)과 이에 평행한 위치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화로측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후벽(後壁)(57)과, 전후벽(56,57)의 능선 부분을 연결하는 측벽(55)으로 입방체의 유로를 구성하는 경우, 연소용 기체의 유입구(8)로 되는 덕트(2)의 입구 개구면에 대향하는 측벽(55)의 상기 개구면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부위가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에 해당한다.Specifically,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correspond to the inner wall of the duct 2 furthest from the inlet 8 of the duct 2 of the combustion gas. For example, the duct 2 shown in FIG. 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wall 56 close to a furnace side, and the space parallel to this, and the rear wall located in the position far from a furnace side ( 57 and the inlet opening surface of the duct 2 serving as the inlet 8 of the gas for combustion, when the cubic flow path is formed by the side walls 55 connecting the ridge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walls 56 and 57. The part farthest from the opening surface of the side wall 55 corresponds to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여기서 전벽(56)과 후벽(57)이 각각 타원형의 전체에 U자 형상(도 2 참조)으로서, 측벽(55)이 전벽(56)과 후벽(57)과의 능선의 직선부와 곡선부에 걸쳐서 연소용 기체의 유로(덕트(2))를 외부와 구획하는 도 2에 나타내는 형태이면, 측벽(55)이 이루는 곡면의 정부(頂部)가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도 1)에 상당한다.Here, the front wall 56 and the rear wall 57 each have a U-shape (see FIG. 2) in an oval shape, and the side wall 55 has a straight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at the ridge line between the front wall 56 and the rear wall 57. If it is the form shown in FIG. 2 which divides the flow path (duct 2) of the combustion gas over the outside, the top part of the curved surface which the side wall 55 makes | forms is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FIG. 1). Corresponds to).

또한 상기 측벽(55)이 이루는 곡면의 정부(頂部)는, 덕트(2)의 유로 단면적, 즉 덕트(2)의 유입구(8)로부터 연소용 기체가 직진하는 덕트(2)의 직진부에 있어서의 연소용 기체가 흐르는 방향에 직교하는 덕트 단면의 면적이 무한하게 제로에 가까운 영역이라고 할 수도 있다.Moreover, the part of the curved surface which the said side wall 55 makes | forms is in the straight part of the duct 2 in which the gas for combustion goes straight from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duct 2, ie, the inlet port 8 of the duct 2; It can also be said that the area | region of the duct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flows is infinitely close to zero.

또한, 연료 노즐(10)이, 그 중심축방향(출구부로 향하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에 있어서 장경부(長徑部)와 단경부(短徑部)를 갖는 사각 형상, 타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인 경우(도 1은 타원 형상의 예로 된다)에는, 장경부의 정점과 연료 노즐(10)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이는, 도 1의 형태에서는 격벽(중앙 칸막이)(4)과 동일 평면으로 된다)이 덕트(2)의 측벽(55)과 교차하는 선을 따른 영역이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도 1)으로 된다.Further, the fuel nozzle 10 has a square shape having a long diameter portion and a short diameter portion in the shape of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directed toward the outlet portion), In the case of an ellipse shape or an ellipse shape (FIG. 1 is an example of an ellipse shape), the plane containing the vertex of a long diameter part and the central axis of the fuel nozzle 10 (it is a partition in the form of FIG. 1 (center partition) 4) ) And the area | region along the line which cross | intersects the side wall 55 of the duct 2 becomes an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1 and 33 (FIG. 1).

한편, 다른 하나의 압력 검출점인 하류측의 압력 검출점(30,34)(도 1)는, 화로(40)의 버너 부착용의 개구(58)(도 2)에 연소용 기체 스로트(6)가 배치되는 경우에, 연소용 기체 덕트(2)가 상하로 구획되는 격벽(중앙 칸막이)(4)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정부에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도 1의 연료 노즐(10)의 단면 형상이 타원형인 예에서는,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의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직경과 단면 형상이 타원형인 연료 노즐(10)의 단경과의 차, 즉, 연료 노즐(10)의 중심축을 통과하고, 연료 노즐(1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연소용 기체의 덕트(2)의 유로의 횡단면적이 최대로 되는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부위에 있다. 바꿔 말하면, 연료 노즐(10)의 단경부와 연료 노즐(10)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이 연소용 기체 스로트(6)와 교차하는 선을 따른 영역에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FIG. 1) which are other pressure detection points are the gas throat 6 for combustion in the opening 58 (FIG. 2) for burner attachment of the furnace 40. FIG. In the case where) is arranged, the combustion gas duct 2 is at the top of the combustion gas throat 6 farthest from the partition wall (center partition) 4 partitioned vertically. In the example whe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uel nozzle 10 of FIG. 1 to be described later is elliptical, the diameter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ylindrical combustion gas throat 6 arranged in a concentric shape of the fuel nozzle 10 are elliptical. The gas for combustion gas which passes through the difference with a short diameter, ie, the central axis of the fuel nozzle 10, and has the largest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of the duct 2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uel nozzle 10. It is at the site of the lot 6. In other words, the plane including the short diameter portion of the fuel nozzle 10 and the central axis of the fuel nozzle 10 is in the region along the line intersecting with the combustion gas throat 6.

2개의 압력 검출점(도 1의 상류측 압력 검출점(31)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0); 상류측 압력 검출점(33)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4))은, 특정의 1점 또는 선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폭을 가진 영역이지만, 더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기하학적 수치 범위에 의해서도 정해진다.Two pressure detection points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1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0 of FIG. 1;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3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4) are the specific 1s. It is not limited to a point or a line, but is an area having a certain width, but more specifically, also determined by the following geometrical numerical range.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이 배치되는 개소인 연소용 기체 덕트(2)의 정체 영역(90)(도 2, 도 3)은, 연소용 기체의 유속이 거의 없거나, 덕트(2)내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유속이 낮은 영역으로서, 덕트(2)의 하류측의 덕트(2)를 상하로 분할하는 격벽(중앙 칸막이)(4)을 중심으로 연료 노즐(10)의 중심축을 통과하여, 상하로 각각 15°의 범위내의 평면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에 있다.The stagnant region 90 (FIGS. 2 and 3) of the combustion gas duct 2, which is a location where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are disposed, has almost no flow velocity of the combustion gas or the duct 2. As the region having the lowest flow rate within, it passes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fuel nozzle 10 about the partition wall (center partition) 4 which divides the duct 2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uct 2 up and down, It is in the area | region enclosed by the plane in the range of 15 degrees each up and down.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이 배치되는 개소인 연소용 기체의 스로트(6)의 정부는, 상기 스로트(6)의 직경과 연료 노즐(10)의 유로의 직경의 차가 최대로 되는 위치(도 1에서는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수직선)를 기준으로 하여, 둘레방향으로 ±2°(도 12 참조)의 범위내, 중심축방향으로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스로트길이의 2분의 1보다 하류인 측(도 11 참조)에 존재한다.As for the part of the throat 6 of the combustion gas which is the location where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are arrange | positioned, the difference of the diameter of the said throat 6 and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of the fuel nozzle 10 is the largest. Based on the position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combustion gas throat 6 in FIG. 1), the combustion gas throat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within a range of ± 2 ° (see FIG. 1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exists in the side (refer FIG. 11) downstream from the half of the throat length of (6).

(작용) (Action)

상기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작용이 있다.The said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unctions.

차압검출장치(32,35)에 의해 각각 검출된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에 있어서의 연소용 기체의 차압의 값을 소정의 환산식에 대입함으로써 연료용 기체의 유량에 환산할 수 있어, 각 버너에 연소용 기체(공기 등의 가스) 유량을 계측할 수 있다.The valu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gas for combustion in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respectively detect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and 35 is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conversion equation. By substitution, it can convert into the flow volume of the gas for fuel, and can measure the flow volume of combustion gas (gas, such as air), in each burner.

상기 소정의 환산식이란 다음과 같다.The said predetermined conversion formula is as follows.

Q=C√OPP (1)Q = C√OPP (1)

(Q: 유량, C: 정수, OP: 차압, P: 연료용 기체의 밀도)(Q: flow rate, C: integer, OP: differential pressure, P: density of fuel gas)

연소용 기체 덕트(2)는, 연소용 기체를 상기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중심축방향(화로측의 출구부로 향하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한 방향으로부터 취입하는 유입구(8)를 갖고, 연소용 기체의 유로(덕트)(2)가 상기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중심축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combustion gas duct 2 is an inlet 8 for blowing combustion gas from on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combustion gas throat 6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directed toward the exit portion on the furnace side). ), The flow path (duct) 2 of the combustion gas is formed to be bent at right angles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combustion gas throat 6.

차압검출장치(32,35)에 의해 덕트(2)내의 연소용 기체 유량을 계측하고, 그 유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덕트(2)에 생기는 편류의 영향을 억제하는데 필요한 덕트 길이를 얻으면서, 덕트(2)가 보일러 화로(40)의 벽면을 따른 윈드박스(41)내에 컴팩트하게 수납된다.Since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and 35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gas for combustion in the duct 2 and adjust the flow rate, the duct length is obtained while suppressing the influence of the drift generated in the duct 2. (2) is compactly housed in the windbox 41 along the wall of the boiler furnace 40.

 연소용 기체의 유량조정수단(1)은, 연소용 기체의 덕트(2)의 차압검출장치(32,35)의 설치부의 전류(前流)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덕트(2)의 유량조정수단(1)보다 이후의 덕트 길이를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특히 유입구(8)의 개도가 작을 때에 생겨, 커지기 쉬운 연소용 기체의 덕트 단면내의 유속 분포를 유량조정수단(1)으로 축소할 수 있다.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of the combustion gas is provided on the current side of the installation portions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and 35 of the duct 2 of the combustion gas.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duct subsequent to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of the duct 2 can be ensured to a certain extent, so that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in the cross section of the duct of the combustion gas which is particularly large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inlet 8 is small and tends to be large. Can be reduced to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또한, 개폐 등의 기계적 동작을 수반하는 유량조정수단(1)이 화로(40)내로부터 직접 복사열을 받거나, 화로(40)의 상방 등으로부터 낙하해 오는 클린커(clinker) 등과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그들에 의한 손상이나 그에 기인하는 동작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void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with mechanical operation such as opening and closing, receiving direct radiant heat from the furnace 40, or colliding with a clinker or the like falling from above the furnace 40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or malfunction caused by them.

차압검출장치(32,35)는, 유량조정수단(1)의 후류측으로서, 연소용 기체의 정체 영역(90)에 상당하는 상기 덕트(2)의 유입구(8)로부터 가장 떨어진 덕트(2)의 내벽 개소를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압력 검출점(31,33)에 작용하는 동압(動壓)의 영향이 작아지고, 또한,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정부 벽면과 바닥부 벽면에 각각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배치하기 때문에, 연소용 기체의 편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연소용 기체 유량을 계측할 수 있어, 연료용 기체의 유량 계측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ng devices 32 and 35 are the downstream side of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and are the duct 2 farthest from the inlet 8 of the duct 2 corresponding to the stagnant region 90 of the combustion gas. Since the inner wall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used as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the influence of the dynamic pressure acting on the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is reduced, and the combustion gas throat 6 Since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are arranged on the top wall and the bottom wall of the c), the flow rate of the gas for fuel can be measured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drift of the gas for combustion.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with high precision.

연소용 기체 스로트(6)에 접속하는 연소용 기체의 덕트(2)가, 격벽(중앙 칸막이)(4)에 의해 2개로 분할되어 있고, 그들 분할된 유로의 각각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마련한다.The duct 2 of the combustion ga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throat 6 is divided into two by the partition (central partition) 4, and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1 of each of these divided flow paths, respectively. 33 and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34 are provided.

이에 의해, 복수의 덕트(2)를 흐르는 연소용 기체의 유량에 버너(44)의 연소용 공기 출구(7)의 상하에서 편차를 주어, 개별적으로 정밀하게 조절하여, 화로(40)내에 있어서의 화염의 형성 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연소 배기가스중의 질소산화물 NOx 농도의 저감이나 보일러 화로(40)내에 설치되는 전열관(도시하지 않음)으로의 전열량의 제어를 유효하게 행할 수 있다. 덕트(2)가 복수의 유로로 분할되면 연소용 기체의 유량의 계측, 조절의 대상이 증가하여, 유로마다 적극적으로 유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그 조정폭이나 빈도도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이용하는 구성은 중요도가 높다.As a result,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ducts 2 is varied above and below the combustion air outlet 7 of the burner 44, and is individually adjusted precisely to adjust the flow rate in the furnace 40. The position at which the flame is formed can be controlled, and the reduction of the nitrogen oxide NOx concentration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and the control of the heat transfer amount to the heat transfer pipe (not shown) provided in the boiler furnace 40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hen the duct 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the object of measurement and adjustment of the flow rate of the gas for combustion increases, and the adjustment width and frequency also increase in order to actively change the flow rate for each flow path. The configuration using the points 31 and 33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is of high importance.

또한, 연료 노즐(10)은, 연소용 기체의 편류가 생기기 쉬운 중심축방향(화로측 출구로 향하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이 장경부와 단경부를 갖는 사각 형상, 타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이어도,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직경 방향의 연소용 기체유로 횡단면적이 최대로 되는 상기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외벽면에 형성함으로써, 편류의 영향을 받지 않아,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계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el nozzle 1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an ellipse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flow direction of the fluid directed to the furnace side outlet) where the gas for combustion is easily generated, has a long diameter portion and a short diameter portion. Alternatively, the combustion gas throat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bustion gas flow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ombustion gas throat 6 is maximized even in the elliptical shape. By forming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6), it is not influenced by a drift, and the flow volume of the gas for combustion can be measured precisely.

차압검출장치(32,35)는,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구성하는 압력도관을 통해서 연소용 기체의 상류측 압력과 하류측 압력과의 차압의 값을 검출하는 것을 이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설비비용의 대폭적인 증가를 초래함 없이, 실현할 수 있다.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ng devices 32 and 35 are provided with the upstream pressure and the downstream pressure of the combustion gas through the pressure conduits constituting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By detecting the valu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it can be realized without caus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quipment cost.

특히 화로(40)의 벽면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 노폭 방향으로 복수열 구비하고, 고체연료 버너(44)에 유입하는 고체연료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계측하는 고체연료 유량 계측수단(71)을 구비하며, 고체연료 유량 계측수단(71)으로 계측되는 연료 유량의 변화에 따라서, 고체연료 버너(44)를 연소용 기체 유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일러 등의 연소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유로를 흐르는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필요한 장치의 수가 많기 때문에, 이것은 중요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연소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그 고체연료 버너(44)를 이용하는 다른 연소장치에도 이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rows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tages and a furnace width direc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wall surface of the furnace 40, and a solid fuel flow rate measuring unit 71 for individually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solid fuel flowing into the solid fuel burner 44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flow paths in a combustion apparatus such as a boiler configured to individually control the gas flow rate for combus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fuel flow rate measured by the solid fuel flow rate measurement means 71. This is important when it is required to individually and precisely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flowing through the reactor,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devices required.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combustion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t can use also for the other combustion apparatus using the solid fuel burner 44.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연소용 기체의 덕트(2)는, 연소용 기체를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중심축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한 방향으로부터 취입하는 유입구(8)를 갖고, 덕트(2)가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중심축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또한, 연소용 기체의 유량조정수단(1)은, 연소용 기체용의 덕트(2)내의 전류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덕트(2)의 길이를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고, 유량조정수단(1)에서 특히 유입구(8)의 개도가 작을 때 생겨, 커지기 쉬운 연소용 기체의 덕트 단면내의 유속 분포의 확대를 축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duct 2 of the combustion gas has an inlet 8 for blowing the combustion gas from on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combustion gas throat 6, The duct 2 is formed to be bent at right angl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combustion gas throat 6, and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of the combustion gas is a current in the duct 2 for the combustion gas. Since it is provided in the part, the length of the said duct 2 can be ensured to some extent, and the flow velocity in the duct cross section of the gas for combustion which arises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inflow opening 8 is especially small in the flow regulating means 1, and becomes easy to become large. Magn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can be reduced.

또한,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을 상기 덕트(2)내의 연료용 기체의 정체 영역(90)에 형성하였으므로,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에 작용하는 동압의 영향이 작어, 연료용 기체의 유량 계측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고, 차압검출장치(32,35)에 의해 검출된 차압의 값을 소정의 환산식(1)에 대입함으로써 연료용 기체의 유량에 환산할 수 있어, 각 버너에 연소용 기체(공기 등의 가스) 유량을 계측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연소용 기체의 편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연소용 기체 유량을 계측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are formed in the stagnant region 90 of the fuel gas in the duct 2, the influence of dynamic pressure acting on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is small. The flow rate measurement of the fuel gas can be performed with high accuracy, and the valu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and 35 can be converted into the flow rate of the fuel gas by substituting the predetermined conversion formula (1). Each burner can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gas for combustion (gas, such as air). In this way, the gas flow rate for combustion can be measured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drift of the gas for combustion.

또한, 차압검출장치(32,35)에 의해 연소용 기체 유량을 계측하고, 그 유량을 유량조정수단(1)에 의해 조절하기 때문에, 연료용 기체의 덕트(2)에 생기는 편류의 영향을 억제하는데 필요한 덕트 길이를 얻으면서, 덕트(2)가 보일러 화로(40)의 벽면을 따른 윈드박스(41)내에 컴팩트하게 수납된다.In addition, since the flow rate of combustion gas is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ng devices 32 and 35 and the flow rate is adjusted by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the influence of the drift generated in the duct 2 of the fuel gas is suppressed. The duct 2 is compactly housed in the windbox 41 along the wall of the boiler furnace 40 while obtaining the duct length necessary to make it.

또한, 유량조정수단(1)은 덕트(2)내에 있으므로 개폐 등의 기계적 동작을 수반하는 유량조정수단(1)이 화로(40)내로부터 직접 복사열을 받거나, 화로(40)의 상방 등으로부터 낙하해 오는 클린커 등이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그들에 의한 손상이나 그들에 기인하는 동작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is in the duct 2,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with mechanical operation such as opening and closing receives direct radiant heat from the furnace 40 or falls from above the furnace 40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avoid the collision of clinkers and the like, an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or malfunction caused by them.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연소용 기체의 덕트(2)가, 격벽(4)에 의해 2개의 연소용 기체유로로 분할되어, 상기 유로의 각각에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설치함에 의해, 복수의 덕트(2)를 흐르는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상하에서 개별적으로 정밀하게 조절하여, 화로(40)내에 있어서의 화염의 형성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덕트(2)가 복수의 유로로 분할되면 연소용 기체의 유량의 계측, 조절의 대상이 증가하여 유로마다 적극적으로 유량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미세한 유량 조정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invention of Claim 2,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invention of Claim 1, the duct 2 of combustion gas is divided into two combustion gas flow paths by the partition 4, and it is upstream in each said flow path. By providing the side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the flow rates of the combustion gases flowing through the ducts 2 are precisely adjusted up and down individually, and the furnace ( The position at which the flame is formed in 40 can be controlled. When the duct 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the object of measurement and adjustment of the flow rate of the gas for combustion increases, and the flow rate can be actively changed for each flow path, so that fine flow rate adjustment can be performed.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연료 노즐(10)은, 연소용 기체의 편류가 생기기 쉬운 중심축방향(화로측 출구로 향하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이 장경부와 단경부를 갖는 사각 형상, 타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이어도,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연료 노즐(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직경 방향의 연소용 기체유로 횡단면적이 최대로 되는 상기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외벽면에 형성함으로써, 편류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계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invention of Claim 3,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invention of Claim 1, the fuel nozzle 10 is orthogonal to the center axis direction (flow direction of the fluid which goes to a furnace side exit) which the flow of combustion gas tends to generate | occur | produce easily. Even if the cross-sectional shape is a rectangular shape, an ellipse shape or an ellipse shape having a long diameter part and a short diameter part, the downstream gas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are used as the combustion gas passages in the radial direction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fuel nozzle 10. By forming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said combustion gas throat 6 which has the largest cross-sectional area, it is hard to be influenced by a drift, and the flow volume of a combustion gas can be measured precisely.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차압검출장치(32,35)는,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에 각각 접속되는 압력도관을 통해서 덕트(2)내의 연소용 기체의 상류측 압력과 하류측 압력과의 차압의 값을 검출할 수 있어, 간편하게 설비비용의 대폭적인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and 35 are provided to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respectively. Through the pressure conduit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valu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upstream pressure and the downstream pressure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duct 2 can be detected, which can be realized without caus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equipment cost.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연소장치의 복수의 상기 고체연료 버너(44)에 유입하는 고체연료의 유량을 고체연료 유량 계측수단(71)으로 개별적으로 조정 계측하고, 제어장치(37)가 상기 측정되는 고체연료 유량의 변화에 따라서, 각 고체연료 버너(44)의 차압검출장치(32,35)에서 검출되는 연소용 기체 유량에 기초하여 연소용 기체의 유량조정수단(1)의 개도를 조정하여,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므로, 각각의 버너(44)의 고체연료 유량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연소용의 기체만의 조정으로 되어, 반송 기체로 반송되는 고체연료에 비해서 조정수단 등을 간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연소용 기체량에 버너(44)의 상하에서 편차를 줌으로써, 화로(40)내에서 화염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경할 수 있어, 연소 배기가스중의 질소산화물 NOx 농도의 저감이나 보일러 화로(40)내에 설치되는 전열관(도시하지 않음)으로의 전열량의 제어를 유효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5, the flow rate of the solid fuel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solid fuel burners 44 of the combustion apparatus is individually measured and measured by the solid fuel flow rate measuring means 71, and the control device 37 i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measured solid fuel flow rate,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of the combustion gas is adjusted based on the combustion gas flow rates detect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and 35 of each solid fuel burner 44. Thus, since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is individually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a change in the solid fuel flow rate of each burner 44. Moreover, adjustment of only the gas for combustion is carried out, and adjustment means etc. can be made simpler compared with the solid fuel conveyed by a carrier gas. In addition, by varying the amount of gas for combustion above and below the burner 44, the flame can be changed upward or downward in the furnace 40, thereby reducing the nitrogen oxide NOx concentration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or the boiler furnace 40 The heat transfer amount to the heat exchanger tube (not shown) provided in the insid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체연료 버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버너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버너의 화로 보일러 앞쪽에서 본 연소용 공기 덕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버너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버너를 부착한 화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도 5(a))와 측면도(도 5(b))이다.
도 6은 도 1의 버너의 편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버너의 편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버너의 편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버너의 편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버너의 댐퍼(damper) 개도와 정압력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버너의 하류측 압력 검출점의 부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버너의 하류측 압력 검출점의 부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버너의 하류측 압력 검출점의 중심축방향의 부착 위치의 정압력에 미치는 댐퍼 개도의 영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버너의 하류측 압력 검출점의 둘레방향의 부착 위치의 정압력에 미치는 댐퍼 개도의 영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버너를 이용한 화로에서의 고체연료의 공급량 제어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6은 일반적인 연소용 공기(가스) 유량 계측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일반적인 연소용 공기(가스) 유량 계측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olid fuel burne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burner of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combustion air duct seen from the front of the furnace boiler of the burner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burner of FIG. 3.
FIG. 5: is a schematic front view (FIG. 5 (a)) and a side view (FIG. 5 (b)) which show an example of the furnace with the burner of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rift of the burner of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rift of the burner of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rift of the burner of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rift of the burner of FIG.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mper opening of a burner of FIG. 1, and a positive pressure.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of the burner of FIG.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of the burner of FIG.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influence of the damper opening degree on the static pressure of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of the burner of FIG.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influence of the damper opening degree on the static pressure of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of the burner of FIG.
FIG. 15 is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of a supply amount control of solid fuel in a furnace using the burner of FIG. 1. FIG.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general combustion air (gas) flow volume measuring method.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general combustion air (gas) flow volume measur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drawing.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연료로서 고체연료, 특히 미분탄이나 목질 바이오매스 또는 미분탄이나 목질 바이오매스의 혼합물을 고체연료 버너로 연소시키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연료 종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액체 또는 기체를 주연료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연소용 가스로서는 공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반드시 공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소 배기가스의 재순환 가스나 고산소 농도 가스, 상기 각종 가스의 혼합 가스 등을 이용하는 것이라도 좋다.In the following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solid fuel, particularly pulverized coal or wood biomass, or a mixture of pulverized coal or wood biomass as a main fuel is burned by a solid fuel burner, but the fuel type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in fuel may be liquid or gas. In addition, although air is used as a gas for combustion,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only to air, You may use recycle gas of combustion exhaust gas, high oxygen concentration gas, mixed gas of the said various gases, etc.

본 발명의 실시예인 고체연료 버너의 개략 사시도를 도 1에 나타내고, 도 5에 본 발명을 적용한 고체연료 버너(44)를 보일러 화로(40)에 조립한 경우의 개략 정면도(도 5(a))와 측면도(도 5(b))를 나타낸다.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olid fuel burne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 and a schematic front view in the case of assembling the solid fuel burner 44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FIG. 5 in a boiler furnace 40 (FIG. 5 (a)). ) And a side view (FIG. 5B).

연소용 공기는 도 5에 나타내는 보일러 화로(40)의 측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윈드박스(41)로부터 도 1에 나타내는 연소용 공기 덕트(2)를 경유하여 버너(44)내에 들어가, 화로(40)의 벽면의 개구부에 형성된 연소용 공기 스로트(6)로부터 화로(40)내로 유출되는 것이다. 또한, 미분탄과 그 반송용 공기는 도 1의 고체 연소 반송관(연료 노즐)(10)을 경유하여 화로(40)내로 분출된다.Combustion air enters into the burner 44 via the combustion air duct 2 shown in FIG. 1 from the wind box 41 provided in the outer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boiler furnace 40 shown in FIG. It flows out into the furnace 40 from the combustion air throat 6 formed in the opening part of the wall surface. In addition, the pulverized coal and its conveying air are blown into the furnace 40 via the solid combustion conveyance pipe (fuel nozzle) 10 of FIG.

고체 연소 반송관(10)의 외주측에 연소용 공기를 화로(40)내로 분출하는 연소용 공기 스로트(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소용 공기 스로트(6)에는 연소용 공기 덕트(2)로부터 연소용 공기가 공급된다. 연소용 공기 덕트(2)에는 윈드박스(41)내로부터의 연소용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유입구(8)가 구비되어 있고, 도 1에 화살표 B로 나타내는 그 공기 유입구(8)의 공기 유입방향을 버너(44)가 설치된 화로 벽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공기 유입구(8)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 화로 벽면을 향해서 연소용 공기를 연소용 공기 출구(7)로부터 화로(40)내로 분출한다. 따라서 연소용 공기 덕트(2)는 고체 연소 반송관(연료 노즐)(10)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그 공기 유입구(8)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고체 연소 반송관(10)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연소용 공기 스로트(6)에 공급된다.A combustion air throat 6 for ejecting combustion air into the furnace 40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olid combustion conveying pipe 10, and the combustion air throat 6 is provided with a combustion air duct ( Air for combustion is supplied from 2). The combustion air duct 2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8 for guiding combustion air from within the windbox 41, and shows the air inlet direction of the air inlet 8 indicated by arrow B in FIG. The burner 44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urnace wall surface, and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air inlet 8 to blow combustion air into the furnace 40 from the combustion air outlet 7 toward the furnace wall surface. do. Therefore, the combustion air duct 2 is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solid combustion conveying pipe (fuel nozzle) 10, and the air which flowed in from the air inlet 8 substantially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solid combustion conveying pipe 10. It is bent at a right angle and supplied to the combustion air throat 6.

고체 연소 반송관(10)의 출구부는, 화로(40)의 안쪽에서 보아 유로가 타원형의 구조로 되어 있지만, 스로트(6)의 출구 형상은 화로 안쪽에서 보아 가스 유로가 원형의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로트(6)의 화로 출구는 고체 연소 반송관(10)의 출구의 주위에서 상하에 큰 개구부를 갖는다.The outlet portion of the solid combustion conveying pipe 10 has an elliptical structure as seen from the inside of the furnace 40, but the outlet shape of the throat 6 has a circular structure as seen from the inside of the furnace. . Therefore, the furnace outlet of the throat 6 has a large opening up and down around the outlet of the solid combustion conveyance pipe 10.

연소용 공기 덕트(2)는, 중앙 칸막이(4)에 의해 상하로 2분할되어 있어, 연소 덕트(2)내에서 상하의 공기(연소용 가스)가 합류하지 않는다. 또한, 연소용 공기 덕트(2)의 연소용 공기 유입구(8)는, 더욱이, 상단 칸막이(3) 및 하단 칸막이(5)에 의해 구획되고, 중앙 칸막이(4)에 의해 구획된 공간과 합하여 4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그 공간에는 연소용 공기(연소용 가스)량 조정용의 댐퍼(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The combustion air duct 2 is divided into two parts up and down by the center partition 4, and the upper and lower air (combustion gas) do not merge in the combustion duct 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combustion air inlet 8 of the combustion air duct 2 is further divided by the upper partition 3 and the lower partition 5 and combined with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central partition 4. It consists of two spaces,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dampers 1 for adjusting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combustion gas).

도 2는 연소용 공기 덕트(2)의 상세 사시도이다. 연소용 공기 덕트(2)는, 연소용 공기 스로트(6)에 접속되지만, 화로 벽면에 가까운 측에 그 화로 벽면과 병렬 배치된 U자형의 전벽(56)과 그 배면의 화로 벽면에 먼 측에서, 전벽(56)에 병렬 배치되는 U자형의 후벽(57) 및 전벽(56)과 후벽(57)의 능선부끼리에 양단부가 접속되어, 연소용 공기 덕트(2)의 공간을 덮는 측벽(55)으로 이루어진다. 전벽(56)에는 연소용 공기 스로트(6)를 접속하기 위한 원형의 개구(58)가 있고, 측벽 부재(57)에는 고체연료 반송관(10)을 접속하기 위한 개구(59)가 형성되어 있다.2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bustion air duct 2. The combustion air duct 2 i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air throat 6, but the U-shaped front wall 56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urnace wall surface on the side close to the furnace wall surface and the side far from the furnace wall surface on the rear side thereof. In the U-shaped rear wall 57 and the ridges of the front wall 56 and the rear wall 57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to the front wall 56, both side walls are connected to cover the space of the combustion air duct 2 ( 55). The front wall 56 has a circular opening 58 for connecting the combustion air throat 6, and the side wall member 57 has an opening 59 for connecting the solid fuel conveying pipe 10. have.

중앙 칸막이(4)는, 연소용 공기 덕트(2)의 상기 유입구(8)의 높이 L1의 중심 위치인 높이 0.5 L1의 위치에 설치되고, 연소용 공기 유입구(8)를 상하로 2분할하고, 덕트(2)의 구성용의 전후벽(56,57)에 접합되어, 중앙 칸막이(4)에 의해 상하로 분할된 연소용 공기 덕트(2)내의 공간끼리는 연소용 공기의 유입이나 유출은 없고, 서로 독립되어 있다.The center partition 4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height 0.5 L1 which is the center position of the height L1 of the said inlet 8 of the combustion air duct 2, and divides the combustion air inlet 8 up and down two times, The spaces in the combustion air duct 2 joined to the front and rear walls 56 and 57 for construction of the duct 2 and divided up and down by the central partition 4 have no inflow or outflow of combustion air.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또한, 중앙 칸막이(4)에 의해 상하로 2분된 연소용 공기 덕트(2)내에는, 각각 상단 칸막이(3) 및 하단 칸막이(5)가 배치된다. 상단 칸막이(3)는 연소용 공기 유입구(8)의 정부로부터 높이 L3만큼 하측에 배치되고, 하단 칸막이(5)는 연소용 공기 유입구(8)의 바닥부로부터 높이 L4만큼 상측에 설치되어, 각각 중앙 칸막이(4)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높이 L3과 높이 L4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지만, 댐퍼(1)의 날개의 가스 흐름 방향의 길이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ombustion air duct 2 divided up and down by the center partition 4, the upper partition 3 and the lower partition 5 are arrange | positioned, respectively. The upper partition 3 is disposed below the height L3 from the top of the combustion air inlet 8, and the lower partition 5 is installed upward by the height L4 from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air inlet 8, respectively. It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central partition 4. Although the said height L3 and the height L4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it is necessary to be more than the length of the gas flow direction of the blade | wing of the damper 1.

상단 칸막이(3)와 하단 칸막이(5)의 가스 흐름 방향의 길이 L6도 임의로 결정할 수 있지만, 연소용 공기가 출구(7)로부터 화로(40)내로 유출되기 위해서는, 중앙 칸막이(4)가 길이 L5 미만으로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칸막이 부재로서 상단 칸막이(3) 및 하단 칸막이(5)를 2개 이용했지만, 임의의 개수를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length L6 in the gas flow direction of the upper partition 3 and the lower partition 5 can also be arbitrarily determined, in order for the combustion air to flow out of the outlet 7 into the furnace 40, the central partition 4 is of length L5. It is necessary to make less.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wo upper partitions 3 and two lower partitions 5 are used as the partition members, any number can be used.

도 3은, 보일러 앞쪽(보일러 화로(40)의 전측 노벽)에서 본 연소용 공기 덕트(2)의 정면도이다. 연소용 공기 덕트(2)의 구성 부재인 측벽(55)의 단면이 반원 형상인 부분의 곡률 반경 r2는 연소용 공기 스로트(6)의 반경 r1보다 크게 할(r2>r1)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소용 공기 출구(7)에 있어서의 편류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3 is a front view of the combustion air duct 2 seen from the front of the boiler (front furnace wall of the boiler furnace 40). The radius of curvature r2 of the semicircular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ide wall 55, which is a constituent member of the combustion air duct 2, needs to be larger than the radius r1 of the combustion air throat 6 (r2 > r1). This has the effect of alleviating the drift in the combustion air outlet 7.

도 4에 도 3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연소용 공기(연소용 가스) 유입구(8)로부터 연소용 공기 덕트(2)에 유입된 연소용 공기(20)는 직각으로 구부러져, 연소용 공기 스로트(6)와 고체연료 반송관(10)의 사이의 공간을 흘러, 연소용 공기 출구(7)로부터 화로(40)내로 유출된다. 연소용 공기 스로트(6)와 고체연료 반송관(10)의 사이의 공간에 관해서도, 중앙 칸막이(4)에 의해 연소용 공기 출구(7)까지 상하로 2분할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소용 공기 출구(7)의 상하에서 연소용 공기량에 편차를 주어, 화염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경함으로써, 연소 배기가스중의 질소산화물 NOx 농도의 저감이나 보일러 화로(40)내에 설치되는 전열관(도시하지 않음)으로의 전열량의 제어에 유효하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Combustion air 20 introduced into combustion air duct 2 from combustion air (combustion gas) inlet 8 is bent at a right angle, so that combustion air throat 6 and solid fuel conveying pipe 10 It flows through the space between and flows out into the furnace 40 from the combustion air outlet 7. The space between the combustion air throat 6 and the solid fuel conveying pipe 10 is also divided into two parts up and down by the central partition 4 to the combustion air outlet 7. As a result,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is varied above and below the combustion air outlet 7 and the flame is changed upward or downward, thereby reducing the nitrogen oxide NOx concentration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or being installed in the boiler furnace 40. It is effectiv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to a heat transfer pipe (not shown).

연소용 공기 덕트(2)는, 중앙 칸막이(4)에 의해 연소용 공기 출구(7)까지 상하로 2분할되어 있다. 중앙 칸막이(4)에 의해, 연소용 공기 출구(7)의 상하에서 연소용 공기량에 편차를 주고, 보일러 화로(40)내에서 화염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경함으로써, 연소 배기가스중의 질소산화물 NOx 농도의 저감이나 보일러 화로(40)내에 설치되는 전열관(도시하지 않음)으로의 전열량의 제어를 유효하게 행할 수 있다.The combustion air duct 2 is divided into two parts, up and down, by the central partition 4 to the combustion air outlet 7. By the central partition 4,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is varied above and below the combustion air outlet 7, and the flame is changed upward or downward in the boiler furnace 40, so that nitrogen oxides NOx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are chang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concentration and to control the amount of heat transfer to the heat transfer pipe (not shown) provided in the boiler furnace 40.

중앙 칸막이(4)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2분할된 연소용 공기 덕트(2)내의 연소용 공기의 유량은 각각 압력도관인 상류측 압력 검출점(31)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0)의 압력 측정치의 편차 및 상류측 압력 검출점(33)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4)의 압력 측정치의 편차를 계측한다.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air in the combustion air duct 2 divided into two parts up and down with the central partition 4 interposed between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1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0, which are pressure conduits, respectively. The deviation of the pressure measurement value and the deviation of the pressure measurement value between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3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4 are measured.

연소용 공기의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압력도관인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은, 연소용 공기 덕트(2)의 정체 영역(90)(도 3)에 부착된다. 여기서, 정체 영역(90)이란 도 2의 도색 부분과 도 3의 사선부로 나타내는 영역(90)에 나타나는 영역이며, 개구(58)의 중심을 통과하여, 연소용 공기 스로트(6)의 중심축을 원점으로서 중앙 칸막이(4)를 사이에 두고, 상하에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각도 θ1, θ2로 형성되는 가상면에 의해 제한된 영역(전후벽(56,57) 및 측벽(55)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이며, 정체 영역(90)내에 압력도관인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을 임의로 부착할 수 있다. 경사각도 θ1이나 θ2의 값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which are pressure conduits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air, are attached to the stagnant region 90 (Fig. 3) of the combustion air duct 2. Here, the stagnant region 90 is a region that appears in the region 90 represented by the painted portion in FIG. 2 and the oblique portion in FIG. 3, and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opening 58 to define a central axis of the air throat 6 for combustion. A space surrounded by the front and back walls 56 and 57 and the side wall 55 with an imaginary surface formed with the inclination angles θ 1 and θ 2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bove and below with the center partition 4 interposed as the origin. ), And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which are pressure conduits, can be arbitrarily attached to the stagnant region 90. The values of the inclination angles θ1 and θ2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다른 한쪽의 압력도관인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은, 연소용 공기 스로트(6)의 반경 r1과 고체연료 반송관(10)의 출구 반경 r3의 차가 최대로 되는 위치인 연소용 공기 스로트(6)의 정부와 바닥부에 각각 설치된다.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은, 동압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도 1에 나타내는 연소용 공기 스로트(6)의 벽면에 대해서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의 길이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향하게 해서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which are the other pressure conduits are positions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dius r1 of the combustion air throat 6 and the exit radius r3 of the solid fuel conveying pipe 10 becomes the maximum. It is provided in the top part and the bottom part of the combustion air throat 6, respectively.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ar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of the combustion air throat 6 shown in FIG. 1 so as not to be affected by dynamic pressure. It is attached so as to face in the direction.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으로부터는 연소용 공기 덕트(2)내를 흐르는 연소용 공기의 상류측 유체 압력(고압측 압력)이 도출되고,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으로부터는 연소용 공기의 하류측 유체 압력(저압측 압력)이 도출된다. 압력도관인 상하류측 압력 검출점(30,31)은 차압검출장치(32)에 접속되고, 또한 상하류측 압력 검출점(33,34)은 차압검출장치(35)에 접속되어, 그들의 차압이 상술의 소정의 유량 환산식(1)에 대입되어, 연소용 공기의 유량이 산출된다.From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an upstream fluid pressure (high pressure side pressure) of the combustion air flowing in the combustion air duct 2 is derived, and from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Is the downstream fluid pressure (low pressure side pressure) of the combustion air.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ide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1, which are pressure conduits, are connected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 32, and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ide pressure detection points 33 and 34 are connected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 35,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thereof is described above. Is substituted into the predetermined flow rate conversion equation (1) to calculate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air.

상하류측 압력 검출점(30,31;33,34)을 구성하는 압력도관의 재질이나 직경은,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재질에 대해서는 연소용 공기의 온도(약 300℃)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하류측 압력 검출점(30,31;33,34)을 구성하는 압력도관의 직경은 연소용 공기에 포함되는 더스트에 의한 막힘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퍼지 시스템 등을 적용하는 것도 유효하다.The material and diameter of the pressure conduit constituting the upstream and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31, 33, and 34 may be any ones, but the material needs to consider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air (about 300 ° C). .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pressure conduit constituting the upstream and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31, 33, 34 needs to consider the clogging caused by dust contained in the combustion air, and it is also effective to apply a purge system or the like.

도 5는, 본 발명을 조립한 버너(44)를 이용한 화로(40)의 개략도이다. 화로(40)에 윈드박스(41)가 설치되어 있고, 복수개의 2단 연소용 공기(연소용 가스) 포트(42)와 본 발명을 적용한 버너(44)가 설치되어 있다. 화로(40)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체연료는 고체연료 반송관(10)으로부터 각 버너(44)에 접속된다.5 is a schematic view of the furnace 40 using the burner 44 incorpo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 wind box 41 is provided in the furnace 40, and a plurality of two-stage combustion air (combustion gas) ports 42 and a burner 44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provided. The solid fuel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furnace 40 is connected to each burner 44 from the solid fuel conveying pipe 10.

도 5에서는, 화로(40)의 보일러 앞쪽에 버너(44)가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화로(40)의 보일러 앞쪽과 보일러 뒤쪽에 설치한 대향 연소용 버너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2단 연소용 공기(연소용 가스) 포트(42)를 2단 설치한 예를 도 5에 나타내고 있지만, 그 단수는 1단으로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도 5에서는 일렬로 6개의 포트(42)를 설치하고 있지만, 임의의 수를 설정할 수 있다.In FIG. 5, although the burner 44 is shown in front of the boiler 40 of the furnace 4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so for the counter combustion burner etc. which were provided in the boiler front of the furnace 40, and the back of a boiler. have. 5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stages of the two-stage combustion air (combustion gas) ports 42 are provided, but the number of stages can be applied in one stage, and in FIG. 5, the six ports 42 in a row. ), But you can set any number.

범용되는 연소용 공기(연소용 가스)의 유량 계측장치의 일례를 도 16, 도 17에 나타낸다. 도 16은, 피토관(pitot tube)(61)을 이용한 유량 계측장치의 일례이다. 유로(60)중에 피토관(61)이, 유체의 흐름(22)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전체 압력 검출구멍(62)의 도입구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전체 압력 검출구멍(62)과 정압 검출구멍(63)에서 검출된 유체 압력은, 차압검출장치(67)에 보내져서, 소정의 유량 환산식(1)에 대입하여 유량을 산출한다.16 and 17 show examples of the flow rate measuring device of the combustion air (combustion gas) that is used for general purposes. FIG. 16 shows an example of a flow rate measuring device using a pitot tube 61. The pitot tube 61 is provided in the flow path 60 toward the inlet of the whole pressure detection hole 62 in the direction which opposes the flow 22 of a fluid. The fluid pressure detected by the total pressure detecting hole 62 and the static pressure detecting hole 63 is sent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ng device 67, and substituted into the predetermined flow rate conversion equation (1) to calculate the flow rate.

도 17은, 오리피스(orifice)를 이용한 연소용 공기(연소용 가스)의 유량 계측장치의 일례이다. 오리피스(64)는, 유로(60)중에서 유체의 흐름(22)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압력도관(65,66)은, 각각 오리피스(64)를 사이에 두고 상류측과 하류측에 설치된다. 압력도관(65,66)에서 검출된 유체 압력은 차압검출장치(67)에 보내져, 상기한 소정의 유량 환산식(1)에 대입하여 유량을 산출한다.17 is an example of a flow rate measuring device for combustion air (combustion gas) using an orifice. The orifice 64 is attach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22 of the fluid in the flow path 60. The pressure conduits 65 and 66 are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with the orifice 64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luid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conduits 65 and 66 is sent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 67, and substituted into the predetermined flow rate conversion equation (1) to calculate the flow rate.

피토관(61)에서는, 버너(44)내에서 필요로 하는 충분한 직관 길이를 취하지 못하여, 연료 유량의 계측 정밀도는 낮아, 편류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다수의 피토관(61)을 이용하고, 유로(60)내가 있는 단면을 복수 개소 계측하여 유량 계측 정밀도를 높게 할 수도 있지만, 비용이 비싼 것이 난점이다. 또한, 오리피스(64)를 이용하는 경우, 유량 계측이기 때문에 여분의 압력 손실이 발생하여, 연소용 공기를 각 버너(44)로 반송하기 위한 팬 등의 동력이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In the pitot pipe 61, the sufficient straight pipe length required in the burner 44 is not taken, and the measurement accuracy of fuel flow rate is low, and it is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drift. Although many pitot pipes 61 are used and the cross section in the flow path 60 can be measured in several places, flow measurement accuracy can be made high, but it is difficult to cost. In addition, when the orifice 64 is used, excess pressure loss occurs because of the flow rate measurement, and the power of the fan or the like for conveying the combustion air to each burner 44 increases, which is not preferable.

상기 범용의 유량 계측장치에 대해서, 본 발명의 유량 계측장치는 버너 구조에 기인하는 연소용 공기(가스)의 압력 손실을 상하류측 압력 검출점(30,31)과 차압검출장치(32) 또는 상하류측 압력 검출점(33,34)과 차압검출장치(35)에서 각각 검출하고, 연소용 공기(가스) 유량으로 환산하는 것으로, 유량 계측을 위한 여분의 압력 손실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적절한 차압 검출 위치를 선정함으로써, 검출되는 차압은 연소용 공기량의 조정용 댐퍼(1)를 조작함에 의한 플로우 패턴의 변화나 편류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고정밀의 유량 계측이 가능하다.With respect to the general-purpose flow rate measuring device, the flow rate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pressure loss of the combustion air (gas) due to the burner structure to the upstream and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1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ng device 32 or upstream and downstream. By detecting by the side pressure detection points 33 and 34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apparatus 35, respectively, and converting into the combustion air (gas) flow volume, the extra pressure loss for a flow measurement does not arise. In addition, by selecting an appropriat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position, the detected differential pressure is not influenced by changes in flow patterns and drift caused by operating the damper 1 for adjusting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다음으로 버너 연소용 공기의 편류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drift of the burner combustion air will be described.

도 6은, 연소용 공기 덕트(2)의 연소용 공기 유입구(8) 근처에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조정 댐퍼(1)의 회전축(1a,1b,1c 및 1d)을 연결하여 얻을 수 있는 수직선(52)과 연소용 공기량 조정 댐퍼(1)가 이루는 각도 δ가 30°인 경우의 버너(44)를 보일러 앞쪽에서 본 도면이며, 도 7은, 연소용 공기 출구(7)의 유량 편차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6 is a vertical line which can be obtained by connecting the rotary shafts 1a, 1b, 1c and 1d of the plurality of adjustment dampers 1 arranged in parallel near the combustion air inlet 8 of the combustion air duct 2 ( 52 is a view of the burner 44 when the angle δ formed by the combustion air amount adjusting damper 1 is 30 ° from the front of the boiler, and FIG. 7 schematically shows the flow rate variation of the combustion air outlet 7. It is shown as.

연소용 공기량 조정용 댐퍼(1)는, 측벽(55)과 상단 칸막이(3)로 구분된 공간(50a), 상단 칸막이(3)와 중앙 칸막이(4)로 구분된 공간(50b), 중앙 칸막이(4)와 하단 칸막이(5)로 구분된 공간(50c), 하단 칸막이(5)와 측벽(55)으로 구분된 공간(50d)에 각각 댐퍼(1a,1b,1c,1d)가 부착되어 있다.The air volume adjustment damper 1 for combustion has the space 50a divided into the side wall 55 and the upper partition 3, the space 50b divided into the upper partition 3, and the center partition 4, and the center partition ( Dampers 1a, 1b, 1c, and 1d are attached to the space 50c, which is divided into 4) and the lower partition 5, and the space 50d, which is divided into the lower partition 5 and the side walls 55, respectively.

도 6에서는, 상기 수직선(52)과 댐퍼(1)의 날개의 연장선(53)이 이루는 각도 δ가 30°(댐퍼 개도 30°)이다. 이때의 연소용 공기 덕트(2)내에서의 연소용 공기의 흐름(21)은 도 7에 나타내는 유량의 차이가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소용 공기 출구(7)의 영역 (나)에서는 유량이 많아지고, 출구(7)의 영역 (가)에서는 유량이 적다. 출구(7)의 영역 (다)에서는 유량이 적고, 출구(7)의 영역 (라)에서는 유량이 많다. 이것이 연소용 공기의 편류이다.In FIG. 6, the angle δ formed between the vertical line 52 and the extension line 53 of the blade of the damper 1 is 30 ° (damper opening degree 30 °). The flow 21 of combustion air in the combustion air duct 2 at this time differs in the flow volum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7, the flow rate increases in the region (b) of the combustion air outlet 7, and the flow rate is small in the region (a) of the outlet 7. The flow rate is small in the region (C) of the outlet 7, and the flow rate is large in the region (D) of the outlet 7. This is the drift of the combustion air.

도 8과 도 9는, 상기 수직선(52)과 연소용 공기량 조정용 댐퍼(1)의 연장선(53)이 이루는 각도 δ가 90°(댐퍼 개도 90°)인 경우의 버너(44)를 보일러 앞쪽에서 본 모습과 연소용 공기 출구(7)의 유량 편차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각도 δ가 변화함으로써, 연소용 공기의 흐름(21)이 도 6의 댐퍼 개도 30°인 경우와 다르다. 따라서, 연소용 공기 출구(7)의 유량 편차도 댐퍼 개도 30°인 경우와 달리 유량 편차는 연소용 공기 출구(7)의 영역 (나)와 상기 출구(7)의 영역 (다)에서 커지고, 출구(7)의 영역 (가)와 출구(7)의 영역 (다)에서 작아진다.8 and 9 show the burner 44 when the angle δ formed between the vertical line 52 and the extension line 53 of the damper 1 for adjusting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is 90 ° (damper opening degree 90 °) from the front of the boiler. This figure and the flow rate variation of the combustion air outlet 7 are shown typically. By changing the angle δ, the flow 21 of combustion air is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the damper opening degree of FIG. 6 is 30 degrees. Therefore, unlike the case where the flow rate variation of the combustion air outlet 7 and the damper opening degree are 30 degrees, the flow rate variation becomes large in the region (b) of the combustion air outlet 7 and the region (c) of the outlet 7, It becomes small in the area | region (a) of the exit 7 and the area | region (c) of the exit 7.

댐퍼(1)는, 버너 공기비를 소정의 값으로 되도록 자동 제어되기 때문에, 수직선(52)과 댐퍼(1)가 이루는 각도 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압력도관인 상하류측 압력 검출점(30,31;33,34)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은 댐퍼(1)의 축류(縮流)의 영향이 없는 정체 영역(90)(도 2, 도 3)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Since the damper 1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set the burner air ratio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upstream and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which are pressure conduits, are not affected by the angle δ formed between the vertical line 52 and the damper 1. 31; 33, 34 are preferred.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need to be provided in the stagnant region 90 (FIGS. 2 and 3) without the influence of the axial flow of the damper 1.

실물 크기의 모델을 사용한 검토의 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가로축은, 도 6, 도 8중의 수직선(52)에 대한 연소용 공기량 조정용 댐퍼(1)의 개도(%)이며, 세로축은 동일 유량에 있어서의 버너 압력 손실에 대한 정압력의 비(무차원)이다. 상기 도 3에 나타내는 정체 영역(90)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는 각도 θ1, θ2가 θ1=θ2≤15°의 범위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상기 각도 θ1, θ2의 범위에서는, 정압력/버너 압력 손실의 값은 거의 일정하다. 이것은, 유속은 거의 0이기 때문이고, 상기 각도 θ1, θ2가 θ12≤15°의 범위를 정체 영역(90)으로 하였다. 따라서,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은, 이 범위에 포함되는 연소용 공기(연소용 가스) 덕트(2)의 구성 부재인 측벽(55)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The result of examination using the full scale model is shown in FIG.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opening degree (%) of the damper 1 for adjusting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52 in FIGS. 6 and 8,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ratio of the static pressure to burner pressure loss at the same flow rate (dimensionless). to be. In the range of angles which appear in the range of stagnation region 90 shown in FIG. 3 θ 1, θ 2 is θ1 = θ2≤15 °, the said angle range of θ 1, θ 2, which is actually used, the static pressure The value of burner pressure loss is nearly constant. This is because the flow velocity is almost zero, and the angles θ 1 and θ 2 were defined as the stagnant region 90 in the range of θ 1 = θ 2 ≦ 15 °. Therefore,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can be provided in arbitrary positions of the side wall 55 which is a structural member of the combustion air (combustion gas) duct 2 contained in this range.

다음으로, 압력도관인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의 위치에 대해서 검토한다.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연소용 공기(가스)의 편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영역에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Next, the positions of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which are pressure conduits are examin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in the region which is not affected by the drift of the combustion air (gas) shown in FIGS. 6 to 9.

도 11은, 연소용 공기 스로트(6)의 중심축방향의 하류측 압력 검출점(30)의 부착 위치(81~83)를 지시하는 모식도이며, 도 12는, 상기 스로트(6)의 둘레방향의 하류측 압력 검출점(30)의 부착 위치(84~87)를 지시하는 모식도이다. 하류측 압력 검출점 부착 위치(81~83)(도 11)는 반경 방향으로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attachment position 81-83 of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0 of the combustion air throat 6 in the center axis direction, and FIG. 12 is a figure of the said throat 6, FIG.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instruct | indicates the attachment position 84-87 of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0 of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downstream side pressure detecting point attachment positions 81 to 83 (Fig. 11) are in the radial direction.

(스로트(6)의 반경 r1)-(연료 노즐(10)의 반경 r3)(Radius r1 of throat 6)-(Radius r3 of fuel nozzle 10)

이 최대로 되는 연소용 공기 스로트(6)의 정부에 설치되고, 하류측 압력 검출점 부착위치(82)는, 상기 스로트(6)의 길이 L10의 중간 길이(0.5×L10)의 위치에 설치되며, 하류측 압력 검출점 부착 위치(81)는 상기 스로트(6)의 하류측, 하류측 압력 검출점 부착 위치(83)는 상기 스로트(6)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 압력 검출점 부착 위치(84,85,86,87)는 상기 스로트(6)의 중심축방향의 길이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고, 하류측 압력 검출점 부착 위치(85,86)는, 스로트(6)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해서, 상기 스로트(6)의 반경 방향의 경사각도 θ3=2°이며, 하류측 압력 검출점 부착 위치(84,87)는 상기 스로트(6)의 반경 방향의 상기 경사각도 θ3=20°이다.Is provided on the up-state combustion air throat (6) is in,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attachment location 82, the intermediate length (0.5 × L 10) of the length L 10 of the said throat (58) (6) The downstream side pressure detection point attachment position 81 is provided downstream,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ure detection point attachment position 83 is provided upstream of the said throat 6.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downstream side pressure detection point attachment positions 84,85,86,87 are provided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length of the center 6 direction of the said throat 6, and a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attachment is provided. The positions 85 and 86 are the inclination angles θ 3 = 2 °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hroat 6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throat 6, and the position with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84 Denotes the inclination angle θ 3 = 20 °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hroat 6.

실물 크기의 모델을 사용해서 검토한 결과를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의 가로축은, 도 6, 도 8중의 수직선(52)과 연소용 공기(연소용 가스)량 조정용 댐퍼(1)가 이루는 각도(댐퍼 개도)이며, 세로축은 동일 유량에 있어서의 정압력/버너 압력 손실이다.13 and 14 show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using the full-size model. The horizontal axis of FIG. 13 and FIG. 14 is an angle (damper opening degree) which the vertical line 52 of FIG. 6, FIG. 8 and the damper 1 for combustion air (combustion gas) quantity adjustment make, and the vertical axis | shaft in the same flow volume Positive pressure / burner pressure loss.

도 13에 의하면, 상기 스로트(6)의 중심축방향에 있어서 하류측 압력 검출점 부착 위치(81,82)에서, 사용하는 댐퍼 개도 범위내에서 정압력은 거의 일정하다. 도 14에 의하면, 상기 스로트(6)의 둘레방향에서는, 하류측 압력 검출점 부착 위치(82,85,86)에서, 사용하는 댐퍼 개도 범위 약 10~80%의 범위내에서 정압력/버너 압력 손실은 거의 일정하다. 사용하는 댐퍼 개도 범위내에서, 정압력/버너 압력 손실은 조금 차이가 있지만, 도 1에 나타내는 버너의 차압검출장치(32,35)에서 검출하는 차압은, 100Pa 이상이기 때문에 유량 계측 정밀도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According to FIG. 13, the static pressure is substantially constant within the damper opening degree range to be used in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attachment positions 81 and 82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of the throat 6. According to FIG. 14,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aid throat 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82, 85, 86), the positive pressure / burner within the range of about 10 to 80% of the damper opening degree range to be used. The pressure loss is almost constant. Although the static pressure / burner pressure loss is slightly different within the damper opening degree range to be used,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and 35 of the burner shown in FIG. Is less.

이와 같이, 도 1에 나타내는 버너에 있어서의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의 부착 위치의 범위는, 상기 스로트부(6)의 중심축방향에 관해서는, 부착 위치를 PL로 하면, 상기 스로트(6)의 길이 L의 중심점으로부터 하류측인 0.5L10≤PL≤L10의 범위에 부착된다. 상기 스로트(6)의 둘레방향은, 도 12에 나타내는 0°≤θ34≤2°의 범위에 부착되는 것으로 한다.Thus, the range of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in the burner shown in FIG. 1 makes PL into an attachment position regarding the center-axis direction of the said throat part 6, the switch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length L of the funnel (6) is attached to the range on the downstream side of 0.5L 10 ≤PL≤L 10.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aid throat 6 shall be affixed in the range of 0 degrees <= (theta) 3 = (theta) 4 < = 2 degrees shown in FIG.

또한, 도 15에는 고체연료 계측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내고, 고체연료는 고체연료 분쇄장치(70)(예를 들면 견형(堅型) 밀 등)에 의해, 소정의 입경까지 분쇄되고, 각 버너(44)에 고체연료 반송관(10)을 통해 반송 기체에 의해 반송된다. 고체연료 반송관(10)에는, 고체연료 계측수단(71)(예를 들면, 정전하식, 마이크로파식 등의 계측기가 있다)이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연소장치의 복수의 상기 고체연료 버너(44)에 유입되는 고체연료의 유량을 고체연료 유량 계측수단(71)으로 개별적으로 조정 계측하고, 제어장치(37)가 상기 측정되는 고체연료 유량의 변화에 따라서, 각 고체연료 버너(44)의 차압검출장치(32,35)에서 검출되는 연소용 기체 유량에 기초하여, 연소용 기체의 유량조정수단(1)의 개도를 조정하여,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므로, 각각의 버너(44)의 고체연료 유량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FIG.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olid fuel measuring means. The solid fuel is pulverized to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by a solid fuel pulverizing device 70 (for example, a grinding mill or the like). The burner 44 is conveyed by the conveying gas through the solid fuel conveying pipe 10. The solid fuel conveying pipe 10 is provided with a solid fuel measuring means 71 (for example, there are measuring devices such as electrostatic charge type and microwave type). In this way, the flow rate of the solid fuel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solid fuel burners 44 of the combustion device is individually measured and measured by the solid fuel flow rate measuring means 71, and the control device 37 measures the solid fuel flow rat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combustion,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of the combustion gas is adjusted based on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detect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and 35 of the respective solid fuel burners 44. Since the flow rate of the gas is individually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a change in the solid fuel flow rate of each burner 44.

또한, 버너 부하에 대한 제어는, 연소용의 기체만의 조정으로 충분하며, 반송 기체로 반송되는 고체연료에 비해서 조정수단 등을 간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화로(40)내에서 연소용 기체량에 버너(44)의 상하에서 편차를 줌으로써, 화염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경할 수 있어, 연소 배기가스중의 질소산화물 NOx 농도의 저감이나 보일러 화로(40)내에 설치되는 전열관(도시하지 않음)으로의 전열량의 제어를 유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칸막이(4)에 의해 연소용 공기 출구(7)까지 상하로 2분할됨에 의해, 연소용 공기 출구(7)의 상하에서 연소용 공기량에 편차를 주어 보일러 화로(40)내에서의 화염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경함으로써, 연소 배기가스중의 질소산화물 NOx 농도의 저감이나 보일러 화로(40)내에 설치되는 전열관(도시하지 않음)으로의 전열량의 제어를 유효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control of a burner load is sufficient only by adjustment of the gas for combustion, and it can make simple adjustment means etc. compared with the solid fuel conveyed by carrier gas. In addition, by varying the amount of combustion gas in the furnace 40 up and down of the burner 44, the flame can be changed upward or downward, thereby reducing the nitrogen oxide NOx concentration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or the boiler furnace 40 The heat transfer amount to the heat exchanger tube (not shown) provided in the insid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In addition, the central partition 4 divides the combustion air outlet 7 up and down by two, so that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is varied above and below the combustion air outlet 7 to cause the flame in the boiler furnace 40. By changing the direction upward or downwar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nitrogen oxide NOx concentration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and control the amount of heat transfer to a heat transfer pipe (not shown) provided in the boiler furnace 40.

 본 실시예에서는, 횡단면이 편평 형상의 연료 노즐(10)을 사용하여, 버너 구조의 설명을 행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편평 형상에 한하지 않고, 횡단면이 원형인 연료 노즐(10)에 대해서도, 상술한 계측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xample, the burner structure was demonstrated using the fuel nozzle 10 of a flat cross s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flat shape but also the fuel nozzle 10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can use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method.

연료 노즐(10)의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 연료 노즐(10)과 연소용 공기 스로트(6)가 형성하는 연소용 공기 출구(7)의 단면 형상은 동심 원형이기 때문에, 편평 형상의 것과 비교하면 편류는 일어나지 않는다.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fuel nozzle 10 is circula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mbustion air outlet 7 formed by the fuel nozzle 10 and the combustion air throat 6 is concentric, and thus compared with the flat shape. No drift occurs.

그러나, 연소용 공기 입구(8)로부터 유입된 연소용 공기는, 연소용 공기 덕트(2)내에서 반드시 균일하게 동심원 형상의 연소용 공기 스로트(6)로부터 배출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combustion air which flowed in from the combustion air inlet 8 is not necessarily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combustion air throat 6 uniformly concentric in the combustion air duct 2.

도 8을 이용하여, 연료 노즐(10)을 횡단면 원형인 연료 노즐(10)로 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연소용 공기 입구(8)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조정용 댐퍼(1)에 의해 흐름이 흐트러진다. 도 6중의 수직선(52)과 댐퍼(1)의 날개의 연장전(53)이 이루는 각도 δ가 30°인 경우, 공기류는 연직 방향 하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조정용 댐퍼(1)의 하류에 가까운 연소용 공기 출구(7)로부터의 공기 유량이 많아진다.The case where the fuel nozzle 10 is made into the fuel nozzle 10 of circular cross section is demonstrated using FIG. The air which flows in from the combustion air inlet 8 flows by the adjustment damper 1. When the angle δ formed between the vertical line 52 in FIG. 6 and the extension line 53 of the blade of the damper 1 is 30 °, the air flows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combustion is close to the downstream of the damper 1 for adjustment. The air flow rate from the air outlet 7 increases.

이와 같이 연료 노즐(10)의 횡단면 형상이 편평이라도 원형이라도 마찬가지로 연소용 공기 출구(7)의 공기 유량에 편차가 생긴다.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uel nozzle 10 is flat or circular, a variation occurs in the air flow rate of the air outlet 7 for combustion.

다음으로 횡단면이 원형인 연료 노즐(10)의 상류측 압력 검출점(도시하지 않지만, 도 1의 횡단면이 편평형의 연료 노즐(10)의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에 상당한다)의 설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형인 연료 노즐(10)도 편평형의 연료 노즐(10)과 동일하게 댐퍼(1)의 개도에 의한 편류의 영향을 받는다.Next,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of the fuel nozzle 10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not shown, but the cross section of FIG. 1 corresponds to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of the flat fuel nozzle 10). The installation position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circular fuel nozzle 10 is also affected by the drift caused by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 similarly to the flat fuel nozzle 10.

상류측 압력 검출점의 부착 위치(PL)는, 도 11의 편평형의 연료 노즐(10)과 같으므로,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연소용 공기 덕트(2)로부터 연소용 공기 스로트(6)를 향하여 흐를 때의 공기 축류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스로트(6)의 길이 L10에 대해서 공기가 흐르는 방향으로 0.5L10≤PL≤L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둘레방향의 상기 부착 위치 θ3, θ4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θ3=θ4≤2°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류측 압력 검출점의 정압력의 변화가 사용하는 댐퍼 개도 범위내에서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횡단면이 원형인 연료 노즐(10)의 경우도 편평형의 연료 노즐(10)의 경우와 같은 범위에 상류측 압력 검출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attachment position PL of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lat fuel nozzle 10 of FIG. 11, it demonstrates using FIG. With respect to the length L 10 of the air an axial flow, the throat (6) to avoid the influence of it flows toward the air throat (6) for burning combustion from for a pneumatic duct (2) shown in Figure 1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flowing 0.5 L 10 ≤PL≤L the range of 10 and preferably, as shown in the mounting position θ 3, θ4 is 1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0 ° ≤θ 3 = θ4≤2 ° range is preferred. This is because the change of the static pressure at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is hardly within the damper opening degree rang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fuel nozzle 10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in the same range as in the case of the flat fuel nozzle 10.

또한, 하류측 압력 검출점(도 1에 나타내는 편평형의 연료 노즐(10)에 설치하는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에 상당하므로,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은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정부 벽면과 바닥부 벽면에 각각 하류측 압력 검출점이 배치된다. 하류측 압력 검출점이 배치되는 개소인 연소용 기체의 스로트(6)의 정부를 기준으로 하여, 둘레방향으로 ±2°(도 12 참조)의 범위내, 중심축방향으로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스로트길이의 2분의 1보다 하류인 측(도 11 참조)에 존재한다. 또한,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정부 벽면과 바닥부 벽면에 각각 하류측 압력 검출점이 배치되므로, 연소용 기체의 편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연소용 기체 유량을 계측할 수 있어, 연료용 기체의 유량 계측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it corresponds to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provided in the flat fuel nozzle 10 shown in FIG. 1, and is demonstrated using FIG. 1) is a combustion gas switch.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are arranged on the top wall and the bottom wall of the lot 6, respectively. The combustion gas throat in the center axis direction within a range of ± 2 ° (see FIG. 1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government of the throat 6 of the combustion gas, which is a location where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is disposed. It exists in the side (refer FIG. 11) downstream from the half length of the throat length of 6). In addition, sinc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are arranged on the top wall and the bottom wall of the combustion gas throat 6, the gas flow rate for combustion can be measured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drift of the combustion gas. The flow rate measurement of can be performed with high accuracy.

또한, 횡단면 원형인 연료 노즐(10)의 경우도, 도시하지 않지만 도 1에 나타내는 차압검출장치(32,35)에 상당하는 차압검출장치를 구비하여, 상류측 압력 검출점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에서의 압력차의 값을 연소용 기체의 유량으로 환산하고, 연소용 공기 덕트 안에의 연소용 공기유입량을 댐퍼 조작에 의해 조정하는 제어장치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fuel nozzle 10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also provided with a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and 35 shown in FIG. 1,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nd an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and a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The control device which converts the value of the pressure difference in into the flow volume of combustion gas, and adjusts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inflow into a combustion air duct by damper operation is also provided.

다음으로, 횡단면이 편평형 또는 원형인 연료 노즐(10)을 구비한 버너의 중앙 칸막이(4)가 없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ase where there is no center partition 4 of the burner provided with the fuel nozzle 10 whose cross section is flat or circular is demonstrated.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연소용 공기 덕트(2)를 상하로 완전하게 2분할하고, 연소용 공기의 계측점도 상측과 하측으로 분할된 연소용 공기 덕트(2)의 2개소에 각각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중앙 칸막이(4)가 없는 경우, 도 1의 압력 검출점(30,31,33,34)에 상당하는 계측점은 한 개소로 줄이게 된다. 압력 검출점의 설치 위치에 관해서는, 댐퍼(1)의 편류의 영향이 나오지 않는 위치에 설치해야 하는 것이다.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combustion air duct 2 was completely divided into two parts up and down, and the measurement points of the combustion air needed to be installed in two places of the combustion air duct 2 divided in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 However, when there is no center partition 4, the measurement points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31, 33, 34 in Fig. 1 are reduced to one place. Regard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ressure detection point, it is necessary to install it at a position where the influence of the drift of the damper 1 does not occur.

여기서, 댐퍼(1)의 개도에 의한 연소용 공기의 편류의 영향을 상정한다. 하류측 압력 검출점(도시하지 않음, 도 1의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에 상당한다.)의 설치 위치에 대해서 검토한다. 도 9의 영역(나)나 영역(다)에 있는 연소용 공기 출구(7)의 좌측, 즉, 연소용 공기 유입구(8)로부터 가까운 쪽의 연소용 공기 출구(7)에 있어서는, 댐퍼(1)에 의한 편류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부적합하다. 한편, 연소용 공기 출구(7)의 우측, 즉 연소용 공기 입구(8)로부터 먼 쪽(영역 (가), ㅇ영역(라))에 있어서도, 영역(나), 영역(다)의 유량 편차의 영향에 의해, 댐퍼(1)의 개도에 기초하여 공기 유량이 다르다. 연소용 공기 스로트(6)의 정부에 있어서는, 댐퍼(1)에 의한 유량 편차가 없고, 상하의 언밸런스는 적기 때문에, 댐퍼(1)의 개도에 관계없이, 유량 편차가 작다.Here, the influence of the drift of the combustion air by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 is assume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not shown, corresponds to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in Fig. 1) will be examined. In the combustion air outlet 7 on the left side of the combustion air outlet 7 in the region (b) or region (c) of FIG. 9, that is, near the combustion air inlet 8, the damper 1 It is not suitable because it is affected by the drift caused by). On the other hand, also on the right side of the combustion air outlet 7, that is, the far side from the combustion air inlet 8 (areas (a) and (d)), the flow rate deviation of the zone (b) and the zone (c) By the influence of, the air flow rate differs based on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 In the stationary part of the combustion air throat 6, there is no flow rate variation by the damper 1, and there is little unbalance in the top and bottom, so that the flow rate variation is small regardless of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

따라서, 하류측 압력 검출점(도시하지 않음)은 연소용 공기 스로트(6)의 정부 또는 바닥부에 부착하면 좋다. 메인터넌스성이나 부착하기 쉬운 점을 고려하면, 상기 정부에 부착하는 편이 좋다.Therefore,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top or bottom of the combustion air throat 6. In consideration of maintenance property and easy attachment, it is better to attach to the above-mentioned government.

또한, 상류측 압력 검출점(도시하지 않음)의 부착 위치는 한 개소로 된다. 중앙 칸막이(4)가 있는 경우는, 상측, 하측 각각의 연소 공기 덕트(2)내의 정체 공간(90)(도 2 참조)을 최하류에 설치하였다. 중앙 칸막이(4)가 없는 경우도, 연소용 공기 덕트(2)의 최하류 도달전에 대부분의 연소용 공기는 스로트(6)로 유출되기 때문에, 연소용 공기의 흐름이 거의 없는 정체 영역이 생긴다. 정체 영역이면, 댐퍼(1)의 개도에 관계없이 정압력이 안정된다. 따라서, 하류측 압력 검출점은, 도 1에 있어서의 연소용 공기 덕트(2)의 최하류에서 압력 검출점(30,34)이 설치되어 있던 영역에 1개 설치한다.In addition, the attachment position of an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not shown) becomes one place. When there existed the center partition 4, the stagnant space 90 (refer FIG. 2) in the combustion air duct 2 of each of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was provided in the downstream. Even when there is no center partition 4, since most of the combustion air flows out into the throat 6 before reaching the downstream of the combustion air duct 2, there is a stagnant area with little flow of combustion air. . In the stagnant region, the static pressure is stabilized regardless of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 Therefore, on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is provided in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were provided in the most downstream of the combustion air duct 2 in FIG.

중앙 칸막이(4)로 연소 공기 덕트(2)를 상하 2분할한 경우에, 중앙 칸막이(4)와 연소 공기 덕트(2)가 교차하는 덕트 중심부(연소 공기 덕트(2)의 반원형부의 정부)가, 연소용 공기 입구(8)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고, 정체 영역내에서도 정압력이 가장 안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류측 검출점은, 연소용 공기 덕트(2)의 반원형부의 정부(도 1의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에 상당하는 위치)가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combustion air duct 2 is divided up and down by the central partition 4, the center of the duct (the semi-circular part of the combustion air duct 2) where the central partition 4 and the combustion air duct 2 intersect is In the position farthest from the combustion air inlet 8, the static pressure is most stable even within the stagnant region. Therefore, the upstream detection point is preferably a part of the semicircular portion of the combustion air duct 2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in FIG. 1).

1 : 연소용 공기 유량 조정용 댐퍼 2 : 연소용 공기 덕트
3 : 상단 칸막이 4 : 격벽(중앙 칸막이)
5 : 하단 칸막이 6 : 연소용 공기 스로트
7 : 연소용 공기 출구 8 : 연소용 공기류 입구
10 : 고체연료 반송관(연료 노즐) 11 : 반송 공기·연료 출구
20~22 : 공기의 흐름 31, 33 : 상류측 압력 검출점
30, 34 : 하류측 압력 검출점 32, 35 : 차압검출장치
37 : 제어장치 40 : 화로
41 : 윈드박스 42 : 2단 연소용 공기 포트
44 : 버너
50 : 연소용 공기 덕트를 구분한 공간
52 : 수직선 53 : 댐퍼의 날개의 연장선
55 : 측벽 56, 57 : 전벽
58 : 연소용 공기(가스) 스로트 접속을 위한 개구
59 : 연소 반송관을 접속하기 위한 개구
60 : 유로 61 : 피토관
62, 63, 65, 66 : 압력도관 64 : 오리피스
67 : 차압검출장치 70 : 고체연료의 분쇄장치
71 : 고체연료 유량 계측수단
81~87 : 하류측 압력 검출점 부착 위치
90 : 정체 영역
1: damper for adjusting air flow rate for combustion 2: air duct for combustion
3: upper partition 4: bulkhead (center partition)
5: lower partition 6: air throat for combustion
7 combustion air outlet 8 combustion air flow inlet
10: solid fuel return pipe (fuel nozzle) 11: return air, fuel outlet
20 ~ 22: Air flow 31, 33: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0, 34: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2, 35: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
37: control device 40: brazier
41: Windbox 42: Air port for two stage combustion
44: burner
50: space where the air duct for combustion is divided
52: vertical line 53: extension line of the blade of the damper
55: side wall 56, 57: front wall
58: opening for air (gas) throat connection for combustion
59: opening for connecting the combustion conveying pipe
60: Euro 61: pitot tube
62, 63, 65, 66: pressure conduit 64: orifice
67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 70 solid fuel grinding device
71: solid fuel flow measurement means
81 ~ 87: Position of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90: congestion area

Claims (5)

고체연료와 그 반송 기체와의 혼합 유체를 화로(40)의 벽면으로부터 화로(40)내에 분출시키는 통 형상의 연료 노즐(10)과,
상기 연료 노즐(10)의 외주에 설치되어, 연소용 기체를 화로(40)내에 분출시키는 통 형상의 연소용 기체 스로트(throat,6)와,
상기 연소용 기체 스로트(6)로 접속된 연소용 기체의 유로를 구성하는 덕트(2)와,
상기 덕트(2)내에 설치되는 연소용 기체의 유량조정수단(1)과,
상기 덕트(2)내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흐르는 연소용 기체의 압력차를 검출하는 차압검출장치(32,35)를 갖는 고체연료 버너로서,
상기 덕트(2)는, 연료 노즐(10)의 중심축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한 방향으로부터 취입하는 유입구(8)를 갖고, 연소용 기체의 유로가 상기 연료 노즐(10)의 중심축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소용 기체의 유량조정수단(1)은, 상기 덕트(2)의 유입구(8) 근방으로서, 상기 유입구(8)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압검출장치(32,35)는, 상기 유량조정수단(1)의 후류(後流)측으로서, 연소용 기체의 정체 영역(90)에 상당하는 상기 덕트(2)의 유입구(8)로부터 가장 떨어진 덕트(2)의 내벽에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을 가지며, 연소용 기체 스로트(6)의 외벽에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갖고,
상기 차압검출장치(32,35)에서 검출된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에서의 압력차의 값을 연소용 기체의 유량으로 환산하고, 상기 유량조정수단(1)을 조작하여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제어장치(3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버너.
A cylindrical fuel nozzle 10 which ejects the mixed fluid of the solid fuel and the conveying gas into the furnace 40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furnace 40,
A cylindrical combustion gas throat 6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uel nozzle 10 to blow off combustion gas into the furnace 40;
A duct 2 constituting a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throat 6;
A flow rate adjusting means 1 of the gas for combustion installed in the duct 2,
A solid fuel burner having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35) for detect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combustion gases flowing upstream and downstream in the duct (2),
The duct 2 has an inlet port 8 that is blown in from on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fuel nozzle 10, and a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is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fuel nozzle 10. Is formed to be bent,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of the combustion gas is provided near the inlet 8 of the duct 2, and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inlet 8,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ng devices 32 and 35 are located on the wake side of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from the inlet 8 of the duct 2 corresponding to the stagnant region 90 of the combustion gas. It has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on the inner wall of the duct 2 which is furthest away, and has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on the outer wall of the gas throat 6 for combustion,
The value of the pressure difference at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1 and 33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and 34 detect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and 35 is converted into the flow rate of the gas for combustion, and And a control device (37)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gas for combustion by operating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용 기체 스로트(6)에 접속되는 상기 덕트(2)내의 연소용 기체의 유로가, 격벽(4)에 의해 상호 연소용 기체의 유입이 없는 복수의 유로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유로의 각각에 상기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버너.
2. The flow path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duct 2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throat 6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low paths through which the gas for mutual combustion is not introduced by the partition wall. Become,
And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1,33)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 (30,34) ar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상기 연료 노즐(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직경 방향의 연소용 기체유로 간격이 최대로 되는 상기 연소용 기체 스로트(6)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버너.The combustion gas throat (6)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on points (30, 3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as flow path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fuel nozzle (10). Solid fuel bur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검출장치(32,35)는, 상기 상류측 압력 검출점(31,33)과 하류측 압력 검출점(30,34)을 구성하는 각 압력도관을 통해서 상기 덕트(2)내의 연소용 기체의 상류측 압력과 하류측 압력과의 차압의 값을 검출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버너.The pressure difference detecting device (32, 35)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ng device (32, 35) is formed through the pressure ducts forming the upstream pressure detecting points (31, 33) and the downstream pressure detecting points (30, 34). 2) A solid fuel burner characterized by detecting a value of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an upstream pressure and a downstream pressure of a combustion gas in 2). 제 1 항에 기재된 고체연료 버너(44)를 화로(40)의 벽면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 노(爐)폭 방향으로 복수열 구비한 연소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고체연료 버너(44)에 유입되는 고체연료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정 계측하는 고체연료 유량 계측수단(71)을 구비하고,
제어장치(37)는, 고체연료 유량 계측수단(71)에 의해 측정되는 고체연료 유량의 변화에 따라서, 각 고체연료 버너(44)의 차압검출장치(32,35)에서 검출되는 연소용 기체 유량에 기초하여 연소용 기체의 유량조정수단(1)의 개도(開度)를 조정하여,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A combustion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ows of the solid fuel burner (44) according to claim 1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all surface of the furnace (40) and a plurality of rows in the furnace width direction.
It is provided with a solid fuel flow rate measuring means 71 for individually adjusting and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solid fuel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solid fuel burners 44,
The control device 37 is a combustion gas flow rate detect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on devices 32 and 35 of each solid fuel burner 44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olid fuel flow rate measured by the solid fuel flow rate measuring means 71. And a configuration for individuall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 of the gas for combustion and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gas for combustion.
KR1020137021961A 2011-01-21 2012-01-16 Solid fuel burner and combustion device using same KR2014000355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0544 2011-01-21
JP2011010544 2011-01-21
PCT/JP2012/000203 WO2012098848A1 (en) 2011-01-21 2012-01-16 Solid fuel burner and combustion device u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58A true KR20140003558A (en) 2014-01-09

Family

ID=4651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961A KR20140003558A (en) 2011-01-21 2012-01-16 Solid fuel burner and combustion device using sam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91770A1 (en)
EP (1) EP2667094A1 (en)
JP (1) JP5490924B2 (en)
KR (1) KR20140003558A (en)
WO (1) WO201209884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2670B2 (en) * 2009-11-11 2014-03-18 Trane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rnace
PL2679899T3 (en) * 2011-02-22 2021-07-05 Mitsubishi Power, Ltd. Combustion device
WO2014027611A1 (en) * 2012-08-14 2014-02-20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Solid fuel burner and method for operating combustion device provided with solid fuel burner
JP5867742B2 (en) * 2012-08-14 2016-02-2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Combustion device with solid fuel burner
EP3279562B1 (en) 2015-03-31 2020-08-19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Combustion burner and boiler
RU2661993C1 (en) 2015-03-31 2018-07-23 Мицубиси Хитачи Пауэр Системз, Лтд. Combustion burner and boiler equipped with such burner
JP6632226B2 (en) * 2015-06-12 2020-01-2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Burner, combustion device, boiler and burner control method
JP6642912B2 (en) 2015-09-11 2020-02-1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Combustion burner and boiler provided with the same
US11428407B2 (en) 2018-09-26 2022-08-30 Cowles Operating Company Combustion air proving apparatus with burner cut-off capability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CN115087834A (en) * 2020-02-10 2022-09-20 杰富意钢铁株式会社 Radiant tube burner, radiant tube and design method of radiant tube burner
CN116624871B (en) * 2023-07-18 2023-10-24 广东金美达实业有限公司 Integrated gas circui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0109A (en) * 1978-10-28 1980-05-07 Babcock Hitachi Kk Burner device
JPS5835325A (en) * 1981-08-26 1983-03-02 Ebara Corp Air ratio measuring device for burner
JPS60181557U (en) * 1984-05-14 1985-12-02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Burner combustion device
US4645450A (en) * 1984-08-29 1987-02-24 Control Techtronics, Inc. System and proces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 and fuel to a burner
US5048761A (en) * 1990-03-14 1991-09-17 The Babcock & Wilcox Company Pulverized coal flow monitor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JPH0921507A (en) * 1995-07-05 1997-01-21 Hitachi Ltd Pulverized coal firing method and its apparatus and air swirling device
US5576495A (en) * 1995-10-23 1996-11-19 The Babcock & Wilcox Company Two phase flow meter
JP2000257811A (en) * 1999-03-03 2000-09-22 Hitachi Ltd Method and device for burning pulverized coal, and pulverized coal burning burner
DE10037234A1 (en) * 2000-07-31 2002-02-21 Rational Ag Combustion system for a cooking device and cooking device with such a combustion system
JP4301422B2 (en) 2000-11-07 2009-07-22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Combustion burner, combustion apparatus equipped with the burner, and combustion method using the burner
WO2006007111A2 (en) * 2004-07-01 2006-01-19 Nikon Corporation A dynamic fluid control system for immersion lithography
CA2664769C (en) 2006-09-27 2013-03-19 Babcock-Hitachi Kabushiki Kaisha Burner, and combustion equipment and boiler comprising burner
FR2908882B1 (en) * 2006-11-17 2008-12-26 Thales Sa DEVICE FOR MEASURING THE TOTAL PRESSURE OF A FLOW AND METHOD USING THE DEVICE
US20110197831A1 (en) * 2007-04-13 2011-08-18 Babcock-Hitachi Kabushiki Kaisha Pulverized Coal Burning Boiler
US7810400B2 (en) * 2007-07-24 2010-10-12 Cidra Corporate Services Inc. Velocity based method for determining air-fuel ratio of a fluid flow
JP2009079794A (en) * 2007-09-25 2009-04-16 Babcock Hitachi Kk Solid fuel burner, combus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its operation method
JP5190509B2 (en) * 2008-04-10 2013-04-24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Solid fuel burner, combustion apparatus using solid fuel burn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E102008030650B4 (en) * 2008-06-27 2011-06-16 PROMECON Prozeß- und Meßtechnik Conrads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el-to-air ratio of pulverized coal in a coal fired power 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7094A1 (en) 2013-11-27
US20130291770A1 (en) 2013-11-07
JPWO2012098848A1 (en) 2014-06-09
WO2012098848A1 (en) 2012-07-26
JP5490924B2 (en)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3558A (en) Solid fuel burner and combustion device using same
CN101371077B (en) Pulverized coal-fired boiler and pulverized coal combustion method
EP2998651B1 (en) Boiler and method for operating boiler
US10712009B2 (en) Burner head of a burner and gas turbine having a burner of this type
US5145359A (en) Burner for thermic generators
KR20110000572A (en) Solid fuel burner, combustion apparatus using solid fuel bur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combustion apparatus
CN105203290A (en) Ultra-supercritical octagonal circle cutting coal-fired power plant boiler cold-state dynamic field test method
CN110100133B (en) Mixing device and burner head for a burner with reduced NOx emissions
KR101582729B1 (en) Combustion device
CN103471101A (en) Multi-spray-nozzle bulky combustion low-NOx gas combustor
CN103807852A (en) Secondary air distributing device and method of pulverized coal boiler
CN213019736U (en) Primary air pipe pulverized coal concentration adjusting part and coal mill pulverized coal distributor
CA2959134C (en) Low nox turbine exhaust fuel burner assembly
CN108204603A (en) Burner assembly, the gas turbine equipment including it and the method that operates this equipment
CN105992913A (en) In-stream burner module
CN107255274A (en) A kind of low nitrogen burner for gas boiler
JP2011052871A (en) Combustion device
JP5392319B2 (en) Coke oven fuel gas mixing device
JP6874568B2 (en) Combustion system
CN114870662B (en) Flue gas mixer
JP2011202841A (en) Burner and boiler including the burner
Zhou Advances in measurements and simulation of gas-particle flows and coal combustion in burners/combustors
JP3137711B2 (en) Combustion air supply device
CN205678667U (en) A kind of burner taking into account oxygen-enriched combusting and air burning and boiler combustion system
RU2665375C1 (en) Solid fuel bur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