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729B1 - Combustion device - Google Patents

Combus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729B1
KR101582729B1 KR1020137024829A KR20137024829A KR101582729B1 KR 101582729 B1 KR101582729 B1 KR 101582729B1 KR 1020137024829 A KR1020137024829 A KR 1020137024829A KR 20137024829 A KR20137024829 A KR 20137024829A KR 101582729 B1 KR101582729 B1 KR 101582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bustion
furnace
burner
combust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8407A (en
Inventor
유스케 오치
고지 구라마시
겐지 기야마
히로후미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4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7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23D1/005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burning a mixture of pulverulent fuel delivered as a slurry, i.e. comprising a carry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6/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 F23C6/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in series connection
    • F23C6/045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in series connection with staged combustion in a single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3/00Arrangements of valves or dampers before the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9/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9/00Baffles or deflectors for air or combustion products; Flame shields
    • F23M9/02Baffles or deflectors for air or combustion products; Flame shields in air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201/00Staged combustion
    • F23C2201/10Furnace staging
    • F23C2201/101Furnace staging in vertical direction, e.g. alternating lean and rich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연료와 그 반송 기체의 혼합물을 화로(18) 내에 분출시키는 통 형상의 연료 노즐(3)과 상기 노즐(3)의 외주에 설치된 연소용 공기를 화로 내에 분출시키는 통 형상의 1 이상의 공기 노즐(8, 11)과 상기 노즐(8, 11)에 공통하여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윈드 박스(12)를 가지는 버너(19)를 복수개, 화로(18)의 노벽(10)에 나란하게 설치한 보일러로서, 윈드 박스(12)는 버너(19)의 축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을 향한 하나의 방향으로부터 연소용 공기가 유입하는 개구부(12a, 12b)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로부터 병진하여 유입하는 평행한 복수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칸막이 판(14)으로 구획하고, 복수의 유로 중 일부의 유로는 연소용 공기 노즐(8)의 위쪽, 나머지의 유로는 상기 노즐(8)의 아래쪽에 접속되며, 복수의 연소용 공기 유로에는, 각각 독립하게 공기의 운동량 편차용 댐퍼(15), 또한 공기 유량 조정용 댐퍼(17)을 마련하여, 버너(19)의 화염의 방향을 부하 등의 연소 조건에 따라 화로(18) 내의 상하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한다.A cylindrical fuel nozzle 3 for jetting a mixture of the fuel and its carrier gas into the furnace 18 and at least one cylindrical air nozzle 8 for jetting the combustion ai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nozzle 3 into the furnace A plurality of burners 19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8 and 11 and a wind box 12 for supplying combustion air common to the nozzles 8 and 11 are provided in parallel to the furnace wall 10 of the furnace 18 , The wind box (12) has openings (12a, 12b) through which combustion air flows from on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burner (19), and a plurality of parallel And a partition plate (14) for forming an air passage.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air nozzle (8) and the remaining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8) In the air passage for air, A vehicle damper 15 and an air flow rate adjusting damper 17 are provid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lame of the burner 19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urnace 18 according to the combustion condition such as load.

Description

연소 장치{COMBUSTION DEVICE}COMBUSTION DEVICE

본 발명은 미분탄(微粉炭) 버너를 가지는 미분탄 버닝 보일러등의 연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apparatus such as a pulverized coal burning boiler having a pulverized coal burner.

미분탄 버닝 보일러의 미분탄 버너를 이용하는 연소 방법에는, 연소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이하 NOx라고 적는다)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해서, 연료를 공기 부족 상태로 연소시킨 후, 완전 연소용의 공기를 에프터 에어포트(after-air port)로부터 공급하는 2단 연소법이 적용되고 있다.In the combustion method using the pulverized coal burner of the pulverized coal burning boiler,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nitrogen oxi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x) in the combustion exhaust gas, the fuel is burned in an air shortage state and then air for complete combustion is supplied to the after- after-air port) has been applied.

한층 더, 보일러 화로 출구의 배기가스 중의 NOx 농도를 저감 시키기 위해서는, 이하와 같은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Furthermore, in order to reduce the NOx concentration in the exhaust gas at the outlet of the boiler furnace, the following means can be used.

(1) 애프터 에어포트의 화로 설치 위치를 높게 하여, 버너와 애프터 에어포트 사이의 NOx 환원영역에 이르는 동안의 연소 가스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킨다.(1) The furnac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fter-air port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combustion gas while reaching the NOx reduction region between the burner and the after-air port.

(2) 공기 과잉율(투입공기량/이론공기량)을 가능한 한 저감하여 서멀(thermal) NOx를 종래보다 감소시킨다.(2) Reduce thermal excess NOx (input air amount / theoretical air amount) as much as possible to reduce thermal NOx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그러나, 상기 (1)의 기술은, 완전 연소영역이 화로의 하류영역(화로의 상방 부)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또, (2)에 대해서는, 이론 공기량에 근접할수록 연소 온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화로 출구의 배기가스 온도가 상승한다. 이 때문에, 보일러의 후부(後部) 열 전달면의 증기 온도 및 메탈 온도가 상승하여, 전열면 재료, 전열면 배치 등을 종래대로인 채로 한 설계에서는, 튜브 누설(tube leak)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후부 열 전달면의 설계 온도를 종래보다 높게 하지 않으면 안되어, 강도 및 내열성의 관점으로부터 재료의 고품질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technique (1), since the complete combustion region shifts to the downstream region of the furnace (the upper portion of the furnace), and since the combustion temperature increases in the vicinity of the theoretical air amount for (2)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at the outlet is increased. Therefore, the steam temperature and the metal temperature of the rear heat transfer surface of the boiler are increased, and the possibility of tube leakage is increased in the design in which the heat transfer surface material, the heat transfer surface arrangement, and the like are kept as usual . Therefore, the design temperature of the rear heat transfer surface must be made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n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aterial from the viewpoints of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상술한 버너로부터 애프터 에어포트의 화로내의 NOx 환원영역에 이르는 동안의 연소 가스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공기 과잉율(투입공기량/이론공기량)을 종래보다 저감하는 NOx 저감책을 채택하면서, 후부 열 전달면의 설계 온도를 종래와 동등하게 하기 위해, 버너의 화염의 방향을 부하 등의 연소 조건에 따라서 화로 상하 방향으로 가변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버너 화염의 방향을 하향으로 하여, 버너와 애프터 에어포트 사이의 NOx 환원영역에 있어서의 연소 가스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하면, 애프터 에어포트의 화로 설치 위치는 종래와 동등해도 되고, 버너 화염의 연소 온도가 고온이 되어도, 그 위치는 종래보다 화로내의 하방(상류)측이 되므로, 화로 출구의 배기가스 온도는 종래와 동등하게 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combustion gas during the passage from the burner to the NOx reduction region in the furnace of the after-air port, or to reduce the excess air ratio (amount of introduced air / amount of theoretical air) In order to make the design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surface equal to the conventional one, it is conceivable to make the direction of the flame of the burner vari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mbustion condition such as load. That is, if the direction of the burner flame is directed downward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NOx reduction region between the burner and the after-air port is increased, Even when the combustion temperature of the flame becomes high, the position of the flame becomes lower (upstream) side in the furnace than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exhaust gas temperature at the furnace outlet can be made equal to the conventional one.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21924호 공보에는, 가동식의 노즐을 가지는 버너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화로에 직면한 복사열이 큰 부위에 있어서, 노즐을 가동식으로 했을 경우, 노 내에 부착된 클링커(clinkers)의 낙하에 의한 손상이나, 가동성의 확보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8-121924 discloses a burner having a movable nozzle. When the nozzles are of the movable type in the region where the radiant heat is encountered in such a furna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amages due to the falling of the clinkers attached to the furnace and to secure the movability.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47713호 공보에는, 버너의 둘레방향에서 공기 유량에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화염의 방향(연소 영역)을 변화시키는 버너가 개시되어 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2-147713 discloses a burner that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flame (combustion region) by giving a deviation to the air flow r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rner.

여기서 나타나 있는 공기 유입방향이 적어도 2 방향 이상 있는 연소용 공기 노즐을 가지는 버너에서는, 화로 외벽에서 복수의 버너의 각각의 연소용 공기유로를 덕트로 접속하여, 공통의 윈드 박스(wind box)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덕트의 처리가 복잡하게 된다.In the burner having the combustion air nozzles in which the air introduction direction is at least two directions, the respective combustion air flow paths of the plurality of burners are connected by a duct at the furnace outer wall, and a common wind box is installed The processing of the duct becomes complicated.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21924호 공보: JP-A-2008-121924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47713호 공보: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147713

상술한 바와 같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21924호 공보 기재의 가동식의 노즐을 가지는 버너를 이용하는 경우는, 화로에 직면한 복사열이 큰 부위에 있어서, 노즐을 가동식으로 했을 경우에 노내에 부착한 클링커의 낙하에 의한 손상이나, 가동성의 확보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using a burner having movable nozzle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121924, in a region where the radiant heat is large in the furnace, when the nozzle is of the movable typ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amage caused by the drop and the securing of the movable property.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47713호 공보 기재의 공기 유입방향이 적어도 2 방향 이상 있는 연소용 공기 노즐을 가지는 버너도, 상술한 바와 같이 화로 외벽에 있어서 복수의 버너의 각각의 연소용 공기 유로를 공통의 덕트로 접속하고 있기 위해서는, 상기 덕트의 처리가 복잡하게 된다.Further, the burner having the combustion air nozzle having the air inlet direction of at least two directions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147713 is also applicable to the combustion air flow pa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urners on the furnace outer wall In order to connect with a common duct, the processing of the duct is complicated.

본 발명의 과제는, 버너의 화염의 방향을 부하 등의 연소 조건에 따라 화로내의 상하 방향으로 가변함으로서 후부 열 전달면의 설계 온도를 종래와 동등하게 할 수 있는 연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bustion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the designing temperature of the rear heat transfer surface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flame of the burn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urnac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condition such as load.

상기 과제는, 다음의 해결 수단으로 해결된다.The above problem is solved by the following solution.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연료와 그 반송 기체의 혼합물을 화로(18) 내에 분출시키는 통 형상의 연료 노즐(3)과 상기 연료 노즐(3)의 외주에 설치된 연소용 기체를 화로(18) 내로 분출시키는 통 형상의 1 이상의 연소용 기체 노즐(8, 11)과, 상기 연소용 기체 노즐(8, 11)에 연소용 기체를 공급하는 윈드 박스(12)를 가지는 버너(19)를 복수개, 화로(18)의 노벽(10)에 배열 설치한 연소 장치로서,
(a) 상기 윈드 박스(12)는, 모든 버너(19)에 공통하여 버너(19)의 축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향한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연소용 기체가 병진하여 유입하는 평행한 복수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획되어 유입하는 연소용 기체 유입용 개구부(12a, 12b)를 가지며, (b) 상기 연소용 기체 유입용 개구부(12a, 12b)에는, 화로(18)의 외부로부터 연소용 기체가 정리되어 공급되도록, 윈드 박스(12)가 설치되는 노벽(10)의 외측에 마련되는 단일의 덕트(16) 내에 상기 연소용 기체 유입용 개구부(12a, 12b)가 설치되고, (c) 상기 윈드 박스(12)의 연소용 기체 유입용의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일부의 유로는 상기 연소용 기체 노즐(8, 11)의 위쪽, 나머지 유로는 연소용 기체 노즐(8, 11)의 아래쪽에 접속되며, (d) 상기 연소용 기체용의 복수의 유로에는, 각각 독립하게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제1 유량 조정 수단(15a, 15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장치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s characterized in that a cylindrical fuel nozzle (3) for jetting a mixture of fuel and its carrier gas into a furnace (18) and a combustion ga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fuel nozzle (3) A plurality of burners 19 having one or more tubular combustion gas nozzles 8 and 11 for jetting and a wind box 12 for supplying a combustion gas to the combustion gas nozzles 8 and 11, (10) of the combustion chamber (18)
(a) The wind box 12 forms a plurality of parallel flow paths which are common to all the burners 19 and which flow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urner 19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B) a combustion gas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furnace 18 to the combustion gas inlet openings 12a and 12b to be supplied and supplied to the combustion gas inlet openings 12a and 12b, 12b are provided in a single duct 16 provided outside the furnace wall 10 on which the wind box 12 is installed so as to allow the combustion chamber 12 to be opened, )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for introducing the combustion gas of the combustion gas nozzles (8, 11) ar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gas nozzles (8, 11) and the remaining flow paths below the combustion gas nozzles (8, 11) and d) a plurality of flow paths for the combustion gas, Adjusting the first amount of flow adjustment means for a combus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15a, 15b) is installed.

삭제delete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단일의 덕트(16)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복수의 상기 윈드 박스(12)가 나열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연소 장치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s the combus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windboxes (12) are installed i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single duct (16).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제1 유량 조정 수단(15a, 15b)의 상류측에 개개의 버너(19)로 유입하는 상기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 수단(17a, 17b)이 각각의 윈드 박스(12)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연소 장치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low rate regulating means (17a, 17b)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flowing into the respective burners (19)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flow rate regulating means (15a, 15b) Is installed in each of the wind boxes (12).

본 발명의 연소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연소용 기체 노즐(8, 11)에는 각각 연소용 기체 유량 조정용의 제1 유량 조절 수단(15)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제1 유량 조절 수단(15)의 개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버너(19)로부터 화로 내에 분출하는 연소용 기체의 운동량을 상하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의 유량 조절 수단(15)을 조정해 연소용 기체 노즐(8 또는 11)로부터 화로(18) 내에 분출하는 공기 유량을 버너(19)의 위쪽에 비해 아래쪽으로부터의 운동량(공기 분출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화염을 하향으로 편향(偏向)시킬 수 있다. 화염을 하향으로 편향시키는 것에 의하여, 화로(18) 내의 최대 열부하영역이 하방으로 이행하여, 화로(18)의 열흡수가 증가하고, 화로 출구 배기가스 온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버너(19)의 하방에 화염을 편향시킴으로써 버너(19)의 연소영역을 하방으로 이행시키는 것에 의하여, 버너(19)와 버너(19)의 하류측의 노벽(10)에 마련한 애프터 에어포트(24) 사이의 화로(18) 내에 있어서의 NOx 환원영역의 체류 시간이, 화염의 분출 방향을 수평으로 했을 경우보다 길어져, 배기가스 중의 NOx 농도가 종래 기술보다 저감한다.In the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mbustion gas nozzles (8, 11) are provided with the first flow rate regulating means (15)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The amount of motion of the combustion gas ejected from the burner 19 into the furnace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up and down. The amount of air to be blown into the furnace 18 from the combustion gas nozzles 8 or 11 by adjusting the first flow rate control means 15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amount of movement from the lower side Air flow rate), the flame can be deflected downward. By deflecting the flame downward, the maximum heat load area in the furnace 18 shifts downward, the heat absorption of the furnace 18 increas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furnace exit exhaust gas can be reduced. The burner 19 and the burner 19 are arranged in the furnace wall 10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burner 19 by shifting the burning region of the burner 19 downward by deflecting the flame below the burner 19, The retention time of the NOx reduction region in the furnace 18 between the fuel injection valve 24 and the fuel injection valve 24 is longer than that in the case where the flame ejection direction is horizontal and the NOx concentration in the exhaust gas is lower than that in the prior art.

또, 제1 유량 조절 수단(15)의 상류측에 제2 유량 조절 수단(17)을 마련함으로써, 개별의 버너(19)에 공급하는 공기량을 조정할 수 있다.The amount of air to be supplied to the individual burners 19 can be adjusted by providing the second flow rate adjusting means 17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flow rate adjusting means 15. [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a) 버너(19)로부터 화로(18) 내로 분출하는 연소용 기체에 상하 방향으로 운동량의 편차를 주는 것으로 화염을 편향시켜, 화로(18)의 열흡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화로(18)의 후부 열 전달면의 온도 제어 기기의 삭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 (b) 기존 설치한 연소 장치를 개조하는 경우에 후부 열 전달면의 증기 온도 및 메탈 온도를 종래로부터 변경함이 없이, 애프터 에어포트 설치 위치 및 공기 과잉율의 변경에 의한 NOx 저감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c) 화로(18) 내의 하방을 향하여 화염을 편향시킴으로써 버너(19)의 연소영역을 하방으로 이행시켜, 버너(19)와 애프터 에어포트(24) 사이의 NOx 환원영역의 체류 시간을, 화염의 분출 방향을 수평으로 했을 경우보다 길게 하여 배기가스 중의 NOx 농도를 종래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 (a) a flame is deflected by giving a fluctuation of a momentum in a vertical direction to a combustion gas ejected from the burner into the furnace to control heat absorption of the furnace can do.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n the rear heat transfer surface of the furnace 18. [ (B) NOx reduction technology by changing the after-air port installation position and excess air ratio without changing the steam temperature and the metal temperature of the rear heat transfer surface conventionally when the existing installed combustion apparatus is modified can do. (C) By deflecting the flame downward in the furnace 18, the combustion region of the burner 19 is shifted downward,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NOx reduction region between the burner 19 and the after- , It is possible to make the NOx concentration in the exhaust gas lower than in the conventional case by making it longer than that in the case where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flame is horizontal.

또한, (d) 하나의 화로 벽면(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윈드 박스(12)에 공급하는 연소용 기체를 정리하여 단일의 덕트(16)로부터 공급할 수 있어, 복수의 버너(19)로의 연소용 기체 공급 계통을 단순한 구조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d) the combustion gas to be supplied to the wind box 12 provided outside the single furnace wall surface 10 can be collectively supplied from the single duct 16, and the combustion gas to be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burners 19 It is possible to make the gas supply system simple.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단일의 덕트(16)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복수의 상기 윈드 박스(12)를 노벽(10)의 외측에 나열하여 설치한 것에 의해, 복수의 윈드 박스(12)와 덕트(16)의 건설이 간단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2,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a plurality of the wind boxes (12) are arranged inside or outside a single duct (16) The construction of the plurality of windboxes 12 and the ducts 16 is simplified.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하나의 윈드 박스(12)에 설치되는 제1 유량 조절 수단(15)에 의해 버너(19) 상하의 연소용 기체의 운동량에 편차를 줄 수 있고, 제1 유량 조절 수단(15)의 상류측에 제2 유량 조절 수단(17)을 마련함으로써, 개별의 버너(19)에 공급하는 연소용 기체량을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3,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or 2, the first flow rate control means (15) provided in one wind box (12) It is easy to adjust the amount of combustion gas to be supplied to the individual burners 19 by providing the second flow rate regulating means 17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flow rate regulating means 15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탄 보일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미분탄 버너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윈드 박스의 사시도(도 3(a))와, 상기 윈드 박스에 관한 풍동(風洞)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도 3(b))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도 4(a))와 도 2의 B-B선 단면도(도 4(b))의 윈드 박스의 일례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도 5(a))와 도 2의 B-B선 단면도(도 5(b))의 윈드 박스의 일례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윈드 박스를 연소 기체 반송용 덕트와 접속하여, 연소용 공기의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계되는 윈드 박스를 연소 기체 반송용 덕트 내에 설치하여, 연소용 공기의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의 윈드 박스의 일례이다.
도 9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의 윈드 박스의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윈드 박스를 연소 기체 반송용 덕트와 접속하여, 연소용 공기의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윈드 박스를 연소 기체 반송용 덕트 내에 설치하여, 연소용 공기의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의 윈드 박스의 일례이다.
도 1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의 윈드 박스의 일례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윈드 박스를 연소 기체 반송용 덕트와 접속하여, 연소용 공기의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윈드 박스를 연소 기체 반송용 덕트 내에 설치하여, 연소용 공기의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2의 A-A선 단면도(도 16(a))와 도 2의 B-B선 단면도(도 16(b))의 윈드 박스의 일례이다.
도 17은, 도 2의 A-A선 단면도(도 17(a))와 도 2의 B-B선 단면도(도 17(b))의 윈드 박스의 일례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윈드 박스를 연소 기체 반송용 덕트 내에 설치하여, 연소용 공기의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윈드 박스를 연소 기체 반송용 덕트와 접속하여, 연소용 공기의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ulverized coal boil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a pulverized coal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Fig. 3 (a)) of a wind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b) showing a result of a wind tunnel test on the wind box.
4 is an example of a wind box of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Fig. 4 (a)) and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 (Fig. 4 (b)).
5 is an example of a wind box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Fig. 5 (a))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 (Fig.
6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supplying combustion air by connecting a wind box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mbustion gas carrier duct.
7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supplying air for combustion by providing a wind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uct for carrying combustion gas.
8 is an example of a wind box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9 is an example of a wind box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0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supplying combustion air by connecting a wind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mbustion gas transportation duct.
11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supplying combustion air by installing a wind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uct for carrying combustion gas.
12 is an example of a wind box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3 is an example of a wind box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 14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supplying combustion air by connecting a wind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mbustion gas carrier duct.
Fig. 15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supplying combustion air by providing a wind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uct for carrying combustion gas. Fig.
Fig. 16 is an example of a wind box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Fig. 16 (a))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 (Fig. 16 (b)).
Fig. 17 is an example of a wind box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Fig. 17 (a)) and Fig. 2 taken along line B-B in Fig. 17 (b).
18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supplying air for combustion by providing a wind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uct for carrying combustion gas.
19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supplying combustion air by connecting a wind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mbustion gas carrier duct.

도 1에는 본 발명에 관한 미분탄 보일러 시스템을 나타내며, 도 2에는 도 1의 미분탄 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미분탄 버너(19)의 단면도이며, 도 3에는 미분탄 버너(19)의 윈드 박스(12)의 사시도(도 3(a))와, 상기 윈드 박스(12)에 관한 풍동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도 3(b))이다.1 is a sectional view of a pulverized coal burner 19 relating to the pulverized coal boiler system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 box 12 of a pulverized coal burner 19 (FIG. 3 (a)), and a view (FIG. 3 (b)) showing a wind tunnel test result on the wind box 12.

한편, 본 발명의 연료로서는, 미분탄에 한정하지 않고, 기류 반송 가능한 정도로 미분화된 고체연료이면, 그 종류나 조성은 묻지 않는다. 또 연료 반송용 기체 및 연소용 기체로서, 주로 공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반드시 공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연소 배기가스나 공기 또는 산소와 연소 배기가스와의 혼합기체 등 , 보일러 등의 연소 장치의 연료 반송용 기체 및 연소용 기체로서 이용되는 것이면, 그 종류나 조성을 묻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fu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ulverized coal, but the type and composition of the pulverized fuel are not required as long as the pulverized solid fuel is as fine as possible to carry airflow. In addition, although air is mainly used as the fuel carrier gas and the combustion gas,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ir, but may be a mixture gas of combustion exhaust gas, air or oxygen and combustion exhaust gas, The kind and composition thereof are not required as long as it is used as a fuel carrier gas and a combustion gas of a combustion apparatus.

도 1에 도시된 미분탄 보일러 시스템은, 보일러 화로(18)의 노벽(10)에 복수단 설치된 버너(19)에 미분탄과 연소용 공기를 공급해 미분탄을 연소시켜 노벽(10)을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수관(水管)벽 및 화로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과열기 등의 열교환기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킨다.The pulverized coal boiler system shown in FIG. 1 is a system in which pulverized coal and combustion air are supplied to a burner 19 provided at a plurality of stages in a furnace wall 10 of a boiler furnace 18 to combust the pulverized coal to form the furnace wall 10 Heat pipes such as a water pipe wall and a superheater installed in the furnace are heated to generate steam.

버너(19)에 공급하는 미분탄은 벙커(20) 내의 석탄을 밀(21)로 분쇄하고 미분탄으로 하여, 블로어(23)로 미분탄을 기류 반송하여 버너(19)에 공급한다. 또 버너(19)와 애프터 에어포트(24)에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는 블로어(25)에 의해 덕트(16)을 경유해 공급되며, 미분탄 버너(19)에는 보일러 노벽(10)의 외측에 배치된 윈드 박스(12)로부터 연소용 공기가 공급된다.The pulverized coal supplied to the burner 19 is obtained by pulverizing the coal in the bunker 20 with the mill 21 and pulverizing it into pulverized coal and pulverizing the pulverized coal to the blower 19 by the blower 23. The combustion air to be supplied to the burner 19 and the after-air port 24 is supplied to the pulverized coal burner 19 via the duct 16 by the blower 25 and is disposed outside the boiler furnace wall 10 The air for combustion is supplied from the wind box 12 which is the burner.

미분탄 버너(19)의 중심축애 기름 분무 노즐(7)과 그 외주에 미분탄과 반송용 공기의 고기(固氣) 2상류(1)가 흐르는 연료 노즐(3)을 배치, 상기 연료 노즐(3)의 외주에 연소용 공기(2)를 분출하는 2차 공기 노즐(8)과 3차 공기 노즐(11)이 설치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차 공기 노즐(11)의 외주 벽은 윈드 박스(12)로 구성되어 있다. A fuel nozzle 3 in which the pulverized coal and two upstream flows 1 of the air for conveying fuel flow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ral furnace oil spray nozzle 7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19, A secondary air nozzle 8 and a tertiary air nozzle 11 for spraying the combustion air 2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mbustion chamber 2. As shown in Fig. 2,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tertiary air nozzle 11 is constituted by a wind box 12.

또, 기름 분무 노즐(7)은 버너(19)의 기동시 또는 저부하 연소시에 조연(助燃)을 위해서 사용한다. 연료 노즐(3)의 노즐 내경을 좁히기 위한 벤츄리(venturi: 6)를 연료 노즐(3)의 내주 벽에 배치하고, 미분탄 농축기(5)를 연료 노즐(3)의 출구부 부근의 기름 분무 노즐(7)의 외주에 마련한다. 연료 노즐(3)과 2차 공기 노즐(8)을 구분하는 격벽의 선단(노즐(3, 8)의 출구부)에 보염기(4)를 설치하고, 또한 2차 공기 노즐(8)과 3차 공기 노즐(11)을 구분하는 격벽의 선단(노즐(8, 11)의 출구부)에 유체를 버너(19)의 중심축으로부터 확산하는 방향으로 향한 가이드 슬리브(13)를 설치한다.The oil spray nozzle 7 is used for auxiliary combustion when the burner 19 is started or when low-load combustion is performed. A venturi 6 for narrowing the nozzle inner diameter of the fuel nozzle 3 is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fuel nozzle 3 and the pulverizer concentrator 5 is connected to an oil spray nozzle 7). The flame stabilizing device 4 is provided at the tip end (the outlet of the nozzles 3 and 8) of the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fuel nozzle 3 and the secondary air nozzle 8 and the secondary air nozzles 8 and 3 A guide sleeve 13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diffusing the flui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burner 19 at the tip of the partition (the outlet of the nozzles 8 and 11) of the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car air nozzles 11.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버너(19)는, 기름 분무 노즐(7), 연료 노즐(3), 2차 공기 노즐(8), 3차 공기 노즐(11) 및 3차 공기 노즐(11)의 외주벽을 구성하는 윈드 박스(12)로 구성되며, 이 버너(19)가 화로(18)의 노벽(10)에 설치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burner 19 is provided with an oil mist nozzle 7, a fuel nozzle 3, a secondary air nozzle 8, a tertiary air nozzle 11 and a tertiary air nozzle 11, And a wind box 12 constituting an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furnace 18. The burner 19 is provided on the furnace wall 10 of the furnace 18. [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도면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본 실시예의 미분탄 버너(19)의 윈드 박스(12)의 사시도를 도 3(a)에 나타내며, 도 2의 A-A선 단면도(도 4(a))와 도 2의 B-B선 단면도(도 4(b))를 도 4에 나타낸다. 한편, 도 4 이하의 도면에 표시한 검은 색 화살표는 연소용 공기의 유입 방향을 나타낸다.A perspective view of the wind box 12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19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hown in Fig. 3 (a),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4 (b)) i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black arrows shown in Fig. 4 and subsequent drawings indicate the inflow direction of the combustion air.

또, 도 4에는 중유 노즐(7), 미분탄 노즐(3)은 나타나 있지 않으며, 윈드 박스(12)의 원통 형상의 관통공 내에 중유 노즐(7)과 미분탄 노즐(3)이 설치된다. 상기 관통공의 노벽은 2차 공기용 노즐(8)의 외벽을 구성한다.4 does not show the heavy oil nozzle 7 and the pulverized coal nozzle 3 and the heavy oil nozzle 7 and the pulverized coal nozzle 3 are provided in the cylindrical through hole of the wind box 12. The furnace wall of the through hole constitutes the outer wall of the nozzle 8 for the secondary air.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분탄 버너(19)의 중심축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소용 공기의 입구(12a, 12b)를 형성한 윈드 박스(12)가 배치되며, 상기 윈드 박스(12)에 형성된 관통공에 마치 삽입된 것처럼 2차 공기용 노즐(8)이 배치되어 있다.4, a windbox 12 having inlet ports 12a, 12b for combustion air i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axis direction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19, The secondary air nozzle 8 is disposed as if it is inserted into the formed through hole.

또한 윈드 박스(12)에는, 2개의 연소용 공기 입구(12a, 12b)가 형성되며, 2개의 연소용 공기 입구(연소용 기체 개구부)(12a, 12b)를 나누는 칸막이 판(14)이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 판(14)은 윈드 박스(12)의 상기 관통공을 구성하는 2차 공기 노즐(8)의 외벽을 2분하는 개소의 외측에 접속하고 있다.The wind box 12 is provided with two combustion air inlets 12a and 12b and a partition plate 14 for dividing two combustion air inlets (combustion gas openings) 12a and 12b , And the partition plate (14)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portion dividing the outer wall of the secondary air nozzle (8) constituting the through hole of the wind box (12).

칸막이 판(14)으로 상하로 2분된 윈드 박스(12) 내부의 연소용 공기 입구(12a, 12b)의 근방에는 윈드 박스(12) 내에 도입되는 연소용 공기의 흐름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고, 연소용 공기가 흐르는 면적을 변경하는 상하의 댐퍼(15a, 15b)를 각각 설치하고, 2개의 댐퍼(15a, 15b)의 회전 각도를 각각 따로따로 조정하는 것으로 미분탄 버너(19)로부터 분출하는 연소용 공기의 운동량에 윈드 박스(12) 내부의 상하로 편차를 줄 수 있다.Around the combustion air inlets (12a, 12b) inside the wind box (12), which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by a partition plate (14), has a rotation axis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flow of combustion air introduced into the wind box And the upper and lower dampers 15a and 15b for changing the area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air flows are separately provided and the rotational angles of the two dampers 15a and 15b are separately adjusted, The amount of air movement can be varied up and down within the wind box 12.

예를 들면, 상방의 댐퍼(15a)를 닫힘동작시키고, 하방의 댐퍼(15) b를 개방동작시킴으로써, 버너(19)의 하방의 연소용 공기의 분출량이 증가하고, 버너(19) 하방의 연소용 공기의 운동량이 증가함으로써 보일러 화로(18) 내에서의 화염을 하향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damper 15a is closed, and the lower damper 15b is opened to increase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blown down below the burner 19, So that the flame in the boiler furnace 18 can be deflected downward.

한편, 댐퍼(15a, 15b)의 평면을 연소용 공기의 흐름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윈드 박스(12)의 입구 개구부로부터 길이 L1 만큼 상기 박스(12)의 안쪽에 댐퍼(15a, 15b)를 배치하고 있다.The dampers 15a and 15b are arranged inside the box 12 by a length L1 from the inlet opening of the wind box 12 in a state in which the planes of the dampers 15a and 15b are arranged along the flow of the combustion air. Respectively.

풍동 시험에 의해 3차 공기 노즐(11)로부터 화로 내로 분출하는 3차 공기의 버너(19)의 상하의 운동량에 편차를 주는 시험을 한 화염 하방 편향시의 3차 공기유로 출구 속도 분포의 결과를 도 3(b)에 나타낸다. 이 풍동 시험에 의해 상하 회동식 댐퍼(15a, 15b)의 회동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버너(19) 하방의 연소용 공기의 운동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버너(19) 위쪽의 화로(18) 내에 화염을 편향시키는 경우에는, 상방의 회동식 댐퍼(15a)를 개방동작시키고, 하방의 회동식 댐퍼(15b)를 닫힘동작시킨다.The results of the velocity distribution of the tertiary air passage outlet velocity at the time of downward deflection of the flame, which was subjected to the test for giving a deviation to the vertical momentum of the burner 19 of the tertiary air blown into the furnace from the tertiary air nozzle 11 by the wind tunnel test, 3 (b).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ombustion air below the burner 19 was increased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vertically pivotable dampers 15a and 15b by the wind tunnel test. When the flame is deflected in the furnace 18 above the burner 19, the upper rotary damper 15a is opened and the lower rotary damper 15b is closed.

미분탄 버너(19)에는 가이드 슬리브(13)를 선단에 가지는 2차 공기 노즐(8)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연소용 공기를 단계적으로 분출할 수 있는 구조가 되고 있다. 상기 2차 공기 노즐(8)의 외주부에는 개구부(8a)를 상하로 2개 마련하고 있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8a)로부터 2차 공기 노즐(8) 내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슬라이드식 댐퍼(9a, 9b) 등과 같은 공기량 조정 기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pulverized coal burner 19 is provided with the secondary air nozzle 8 having the guide sleeve 13 at the tip there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19 has a structure capable of spraying the combustion air step by step. Two openings 8a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ary air nozzle 8 to adjust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opening 8a into the secondary air nozzle 8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air amount adjusting mechanism such as slide type dampers (9a, 9b) or the like.

예를 들면 위쪽의 회동식 댐퍼(15a)를 닫힘동작시키고, 아래쪽의 회동식 댐퍼(15b)를 개방동작시키는 것으로 버너(19)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연소용 공기의 분출량을 증가시킬 때에, 2차 공기 노즐(8)의 상부 개구부(8a)를 슬라이드식 댐퍼(9 a)로 완전히 닫음으로써, 위쪽의 2차 공기 노즐(8)와 3차 공기 노즐(11)로의 공기유입을 막아, 2차 공기 노즐(8)로부터 화로(18)내에 분출하는 공기의 운동량을 둘레방향으로 거의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염성을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pper rotary damper 15a is closed and the lower rotary damper 15b is opened to increase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from below the burner 19, The upper opening 8a of the air nozzle 8 is completely closed by the slide type damper 9a to prevent the inflow of air into the upper secondary air nozzle 8 and the tertiary air nozzle 11, The momentum of the air jetted from the nozzle 8 into the furnace 18 can be kept substantially uniform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maintenance property can be maintained.

한편, 2차 공기 노즐(8)의 상부 개구부(8a)를 슬라이드식 댐퍼(9a)로 완전히 닫아도, 닫지 않아도 2차 공기 노즐(8)에 어딘가로부터 연소용 공기가 유입하고만 있으면, 2차 공기 노즐(8)로부터 화로(18) 내로 분출하는 공기의 운동량을 2차 공기 노즐(8)의 둘레방향으로 거의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화로(18) 내에서의 화염의 아래쪽에의 편향을 약하게 하고 싶지 않다면, 2차 공기 노즐(8)의 상부 개구부(8a)를 슬라이드식 댐퍼(9a)로 완전히 닫는 것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upper opening 8a of the secondary air nozzle 8 is completely closed by the slide type damper 9a and the combustion air flows into the secondary air nozzle 8 from somewhere without closing it, The momentum of the air ejected from the nozzle 8 into the furnace 18 can be maintained substantially uniform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air nozzle 8 but the deflection of the flame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furnace 18 is weakened It is necessary to completely close the upper opening 8a of the secondary air nozzle 8 with the slide type damper 9a.

상기 연소용 공기의 유입량의 조절에 의해 보염성을 유지하면서, 버너(19)의 상반분과 하반분의 연소용 공기의 운동량에 편차를 주는 것만으로, 화로(18) 내의 화염의 방향을 편향시킬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윈드 박스(12) 내를 칸막이 판(14)로 2분한 연소용 공기 입구(12a, 12b)를, 다시 2분하고, 각 연소용 공기 입구(12a, 12b)에 각각 댐퍼(15aa, 15ab)와 댐퍼(15ba, 15bb)를 마련했을 경우도 똑같이 버너(19)의 상반분과 하반분의 연소용 공기의 운동량에 편차를 주어 화로(18)내의 화염의 방향을 편향시킬 수 있다.It is possible to deflect the direction of the flame in the furnace 18 only by varying the momentum of the combustion air for the upper half and the lower half of the burner 19 while maintaining the resistivity by controlling the inflow amount of the combustion air have. The combustion air inlets 12a and 12b which are divided into two by the partition plate 14 in the wind box 12 shown in Fig. 5 are again divided into two portions, and the respective combustion air inlets 12a and 12b are supplied with dampers 15a And 15ab and the dampers 15ba and 15bb are provided, the momentum of the combustion air for the upper half and the lower half of the burner 19 can be varied to deflect the direction of the flame in the furnace 18. [

본 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윈드 박스(12)를 가지는 버너(19)를 보일러 화로(18)의 노벽(10)에 설치하고, 노벽(10)의 외측에 마련한 덕트(16)로부터 연소용 공기를 버너(19)에 공급한다. 다만, 덕트(16)의 배치는 보일러 구조 및 상기 버너(19)의 노벽(10)에의 설치 각도에 의존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윈드 박스(12)를 가지는 버너(19)를 덕트(16)의 내부에 각각 배치하여도, 버너(19)의 상반분과 하반분의 연소용 공기의 운동량에 편차를 주어 화로(18) 내의 화염의 방향을 편향시킬 수 있다.6, the burner 19 having the wind box 12 is installed in the furnace wall 10 of the boiler furnace 18, and the duct 16 provided outside the furnace wall 10 And the combustion air is supplied to the burner 19.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duct 16 depends on the structure of the boiler and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urner 19 on the furnace wall 10. 7, even if the burner 19 having the wind box 12 is disposed in the duct 16,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ombustion air for the upper half and the lower half of the burner 19 varies To deflect the direction of the flame in the furnace 18.

실시예 2Example 2

본 실시예에서는, 도 8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너(19)의 중심축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에 있는 상방으로부터만 연소용 공기가 유입하는 윈드 박스(12)를 설치하고, 상기 윈드 박스(12)내에 복수의 칸막이 판(14) 및 회동식 댐퍼(15)를 마련하고 있어, 댐퍼(15)를 조정하는 것으로 화로 내에 분출하는 연소용 공기의 운동량을 상하로 편차를 줄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8 and 9, a wind box 12 into which combustion air flows is provided from ab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burner 19,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14 and a rotatable damper 15 are provided within the furnace 12 so that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ombustion air jetted into the furnace can be varied up and down by adjusting the damper 15.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너(19)의 중심축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에 있는 상방의 연소용 공기 입구(12a, 12b)의 1방향으로부터만 연소용 공기가 유입하는 윈드 박스(12)를 3분할하도록 칸막이 판(14)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윈드 박스(12)의 3 분할된 공기 유입로의 상류측에 공기량 조정기의 댐퍼(15a, 15b, 15b)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 그 때문에 버너(19)의 위쪽에는 윈드 박스(12)의 중앙부로부터 공기가 유입하고, 버너(19)의 아래쪽에는 윈드 박스(12)의 좌우로부터 공기가 유입한다.As shown in Fig. 8, in this embodiment, the combustion air flows in only one direction of the upper combustion air inlets 12a and 12b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burner 19, A partition plate 14 is provided to divide the partition plate 12 into three parts. Dampers 15a, 15b and 15b of the air quantity regulator are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three divided air inflow paths of the wind box 12, respectively. For this reason, air flows in from the center of the wind box 12 to the upper side of the burner 19, and air flows from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wind box 12 to the lower side of the burner 19.

도 9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너(19)의 중심축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에 있는 상방의 연소용 공기 입구(12a, 12b)의 1방향에서만 연소용 공기가 유입하는 윈드 박스(12)를 4 분할하도록 칸막이 판(14)을 2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윈드 박스(12)의 중앙부의 연소용 공기 입구(12a)를 2 분할하고, 각각의 공기유입로의 상류측에 공기량 조정기의 댐퍼(15b, 15aa, 15ab, 15b)를 마련하고 있다.도 9에 나타내는 경우도 버너(19)의 위쪽에는 윈드 박스(12)의 위쪽 중앙부로부터 공기가 유입하고, 버너(19)의 아래쪽에는 윈드 박스(12)의 좌우로부터 공기가 유입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wind box 12 in which the combustion air flows in only one direction of the upper combustion air inlets 12a, 12b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burner 19 Two partition plates 14 are provided so as to be divided into four. The combustion air inlet 12a at the center of the wind box 12 is divided into two and the dampers 15b, 15aa, 15ab and 15b of the air quantity regulator are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respective air inflow passages. 9, air flows in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wind box 12 to the upper side of the burner 19, and air flows into the lower side of the burn box 19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 box 12.

도 8과 도 9에 나타내는 윈드 박스(12)에 있어서, 예를 들면 중앙부의 연소용 공기 입구(12a) 근처의 댐퍼(15a) 또는 댐퍼(15aa, 15ab)를 닫힘동작시키고, 좌우의 연소용 공기 입구(12b, 12b) 근처의 다른 2개의 댐퍼(15b, 15b)를 개방동작시키는 것으로 버너(19)의 하방의 연소용 공기의 분출량이 증가하고, 버너(19)의 아래쪽으로의 연소용 공기류의 운동량이 증가하여 화로(18) 내에서의 화염을 하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풍동 시험에서 3차 공기의 버너(19)의 상하의 운동량에 편차를 주는 시험을 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낸 대로이다.The damper 15a or the dampers 15aa and 15ab in the vicinity of the combustion air inlet 12a in the center of the wind box 12 shown in Figs. 8 and 9 are closed and the left and right combustion air The other two dampers 15b and 15b near the inlets 12b and 12b are opened to increase the blowing amount of the combustion air below the burner 19 and the combustion airflow The flame in the furnace 18 can be changed downward. In the wind tunnel test, a test was conducted in which the amount of vertical motion of the burner 19 of the tertiary air was varied,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3개 또는 4개의 댐퍼(15)에 의한 윈드 박스(12) 내로의 연료용 공기의 유입량의 조정에 의해, 화로(18) 내의 버너(19) 아래쪽의 운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화로 내의 버너(19)의 위쪽에 화염을 편향시키는 경우도 상기 운전의 반대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motion under the burner 19 in the furnace 18 can be increased by adjusting the inflow amount of the fuel air into the wind box 12 by the three or four dampers 15 have. In the case of deflecting the flame above the burner 19 in the furnace, the opposite operation of the above operation can be performed.

윈드 박스(12) 내에는 가이드 슬리브(13)를 선단에 가지는 2차 공기 노즐(8)을 설치하고 있어, 연소용 공기를 단계적으로 분출할 수 있는 구조가 되고 있다. 상기 2차 공기 노즐(8)의 외벽에는 개구부(8a)를 형성하고 있고, 2차 공기 노즐(8)로 공기량을 조정할 수 있는 도 2에 나타내는 슬라이드식 댐퍼(9a, 9b)와 같은 공기량 조정 기구를 이용해 상기 개구부(8a)의 개구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중앙부의 연소용 공기 입구(12a) 근처의 댐퍼(15a)를 닫힘동작시키고, 좌우의 연소용 공기 입구(12b, 12b) 근처의 2개의 댐퍼(15b, 15b)를 개방동작시키는 것으로 화로(18) 내의 하방의 연소용 공기의 분출량이 증가할 때에, 윈드 박스(12)의 위쪽에 있는 2차 공기 노즐(8)의 개구부(8a)를 슬라이드식 댐퍼(9a, 9b)에 의해 전부 닫음으로써, 버너(19) 상방의 3차 공기 노즐(11)로의 유입을 막아, 2차 공기 노즐(8)로부터의 화로(18) 내로 분출하는 공기의 운동량은 둘레방향으로 거의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염성을 유지할 수 있다.A secondary air nozzle 8 having a guide sleeve 13 at its tip end is provided in the wind box 12, so that the air for combustion can be blown out step by step. An opening 8a is formed in the outer wall of the secondary air nozzle 8 and an air amount adjusting mechanism such as the slide type damper 9a or 9b shown in FIG. 2, which can adjust the air amount by the secondary air nozzle 8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aperture of the opening 8a. The damper 15a near the central combustion air inlet 12a shown in Fig. 8 is closed and the two dampers 15b and 15b near the left and right combustion air inlets 12b and 12b are opened The opening 8a of the secondary air nozzle 8 at the upper side of the wind box 12 is inserted into the slide type damper 9a or 9b when the amount of the combustion air blown down in the furnace 18 increases, The amount of the air blown into the furnace 18 from the secondary air nozzle 8 is substantially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air into the tertiary air nozzle 11 above the burner 19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reservability.

상기 운전에 의해 보염성을 유지하면서, 3차 공기의 버너(19) 상하의 운동량에 편차를 주는 것만으로, 화염을 편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들 구조 및 운전 방법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윈드 박스(12)의 중앙부의 연소용 공기 입구(12a)를 2 분할하고, 그 근처에 댐퍼(15aa, 15ab)를 설치한 경우도 댐퍼 조정 방법에 의해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t is possible to deflect the flame merely by giving a deviation to the momentum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urner 19 of the tertiary air while maintaining the resistivity by the above operation. As shown in Fig. 9, the structure and the operation method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case where the combustion air inlet 12a at the center of the wind box 12 is divided into two and the dampers 15aa and 15ab are provided in the vicinity thereof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본 실시예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윈드 박스(12)를 가지는 버너(19)를 보일러 화로(18)의 노벽(10)의 외측에 설치하고, 윈드 박스(12)에 접속하는 덕트(16)에 도시한 유입 방향으로부터 연소용 공기를 넣는 구조이다. 다만, 덕트(16)의 배치는 보일러 구조 및 상기 버너(19)의 노벽(10)으로의 설치 각도에 의존한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윈드 박스(12)를 가지는 버너(19)를 덕트(16)의 내부에 각각 배치해도 동일한 운용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10, a burner 19 having the wind box 12 is installed outside the furnace wall 10 of the boiler furnace 18 and a duct (not shown) connected to the wind box 12 16) in which the combustion air is introduced from the inflow direction.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duct 16 depends on the structure of the boiler and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urner 19 to the furnace wall 10. 11, the same operating method can be implemented by disposing the burners 19 having the wind box 12 inside the duct 16. [

실시예 3Example 3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본 실시예는, 상기 버너(19)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 방향의 하방의 연소용 공기 입구(12a, 12b)로부터만 마셔 연소용 공기가 유입하는 윈드 박스(12)를 설치하고, 상기 윈드 박스(12) 내를 복수의 칸막이 판(14)으로 나누어, 칸막이 판(14)으로 구분된 윈드 박스(12)의 각 연소용 공기 노즐내에 댐퍼(15b, 15a, 15b;15b, 15aa, 15ab, 15b)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댐퍼(15b, 15a, 15b;15b, 15aa, 15ab, 15b의 개폐도를 조정함으로써, 버너(19)로부터 화로(18)을 향해서 분출하는 연소용 공기의 운동량을 버너(19)의 상하로 편차를 주는 구조를 가진다.12 and 13 show the wind box 12 in which the combustion air flows only from the combustion air inlets 12a and 12b downwar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burner 19. [ The inside of the wind box 1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14 and the dampers 15b, 15a, 15b and 15b are disposed in the respective combustion air nozzles of the wind box 12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14. [ 15b, 15aa, 15ab and 15b of the burners 19 and 15a and 15b, 15b, 15a, 15b and 15b,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air is devi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urner 19.

도 12에 나타내는 본 실시예는 버너(19)의 중심축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의 아래쪽의 1방향으로부터만 연소용 공기가 유입하는 윈드 박스(12)를 3분할하도록 칸막이 판(14, 14)를 마련한 구조가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윈드 박스(12)의 3 분할된 공기 유입로(12b, 12a, 12b)의 상류부에 공기량 조정기의 댐퍼(15b, 15a, 15b)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 그 때문에 버너(19)의 아래쪽에는 윈드 박스(12)의 중앙부의 연소용 공기 입구(12a)로부터의 공기가 유입하고, 버너(19)의 위쪽에는 윈드 박스(12)의 좌우의 연소용 공기 입구(12b, 12b)로부터 공기가 유입한다.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 12 divides the partition plates 14 and 14 so as to divide the wind box 12 into which the combustion air flows from only one direction below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burner 19 It is the structure that it provided. Dampers 15b, 15a and 15b of the air quantity regulator are provided at upstream portions of the three divided air inflow passages 12b, 12a and 12b of the wind box 12, respectively. The air from the combustion air inlet 12a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wind box 12 flows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rner 19 and the air for combustion from the left and right burning air inlets (12b, 12b).

이렇게 하여, 예를 들면 윈드 박스(12)의 중앙부의 연소용 공기 입구(12a)근처의 댐퍼(15a)를 개방동작시키고, 좌우의 연소용 공기 입구(12b, 12b) 근처의 댐퍼(15b, 15b)를 닫힘동작시키는 것으로 버너(19)의 아래쪽의 연소용 공기의 분출량이 증가하고, 버너(19)의 아래쪽으로의 연소용 공기의 운동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화로(18) 내의 화염을 하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풍동 시험에서 3차 공기의 상하의 운동량에 편차를 주어 시험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내는 대로이다.In this way, for example, the damper 15a near the combustion air inlet 12a at the center of the wind box 12 is opened and the dampers 15b, 15b near the left and right combustion air inlets 12b, The amount of the combustion air blown ou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urner 19 increases and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air for combustion to the lower side of the burner 19 increases to change the flame in the furnace 19 downward have. In the wind tunnel test, the test results were given by varying the amount of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tertiary air as shown in FIG.

3개의 댐퍼(15b, 15a, 15b)의 개폐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버너(19)의 아래쪽의 운동량을 증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화로(18) 내에서 버너(19)의 위쪽에 화염을 편향하는 경우도 상기 운전의 반대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urner 19 can be increas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ree dampers 15b, 15a and 15b, In the case of deflection, the opposite op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can be performed.

윈드 박스(12) 내에는 가이드 슬리브 (13)를 가지는 2차 공기 노즐(8)을 마련하고 있어 연소용 공기를 버너(19) 출구로부터 확대할 방향으로 분출하는 구조가 되고 있다. 또 상기 2차 공기 노즐(8)에는 개구부(8a)(도 2)를 형성하고 있어 도 2에 나타내는 슬라이드식 댐퍼(9)를 마련해 개구부(8a)로부터의 공기 유입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윈드 박스(12)의 중앙부의 연소용 공기 입구(12a) 근처의 댐퍼(15a)를 닫힘동작시키고, 좌우의 연소용 공기 입구(12b, 12b) 근처의 댐퍼(15b, 15b)를 개방동작시키는 것으로 버너(19)의 상방의 연소용 공기의 분출량이 증가할 때에, 윈드 박스(12)의 아래쪽에 있는 2차 공기 노즐(8)의 개구부(8a)를 슬라이드식 댐퍼(9)에 의해 전부 닫힘으로 함으로써, 버너(19)의 아래쪽의 3차 공기 노즐(11)로의 공기 유입을 막아, 2차 공기 노즐(8)로부터 화로(18)내로 향해서 분출하는 공기의 운동량을 둘레방향으로 거의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운전에 의해 보염성을 유지하면서, 3차 공기 분출량을 조정해 버너(19)의 상하로 공기의 운동량에 편차를 주는 것만으로, 화염을 편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들 구조 및 운전 방법은 도 13과 같이 윈드 박스(12)의 아래쪽 양측으로 연소용 공기 입구(12b, 12b)를 마련하여 중앙부의 연소용 공기 입구(12a)를 2 분할하고, 각각의 공기 유입로의 상류측에 댐퍼(15b, 15aa, 15ab, 15b)를 마련했을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어 상기 댐퍼(15b, 15aa, 15ab, 15b)의 조정 방법에 의해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 secondary air nozzle 8 having a guide sleeve 13 is provided in the wind box 12 so that the combustion air is ejected from the burner 19 in an enlarged direction. The secondary air nozzle 8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opening 8a (Fig. 2), an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lide damper 9 shown in Fig. 2 so as to adjust the inflow amount of air from the opening 8a. The damper 15a near the combustion air inlet 12a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wind box 12 is closed and the dampers 15b and 15b near the left and right combustion air inlets 12b and 12b are opened The opening 8a of the secondary air nozzle 8 at the lower side of the wind box 12 is moved by the slide type damper 9 when the amount of the combustion air spouting above the burner 19 increas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air into the tertiary air nozzle 11 under the burner 19 and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blown from the secondary air nozzle 8 into the furnace 18 to be substantially uniform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reservability. It is possible to deflect the flame by merel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blown up and down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tertiary air blowing while maintaining the resistivity by the above operation. 13, the combustion air inlets 12b and 12b are provided on both sides below the wind box 12 to divide the central combustion air inlet 12a into two parts, 15a, 15ab, 15b are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dampers 15b, 15aa, 15ab, 15b. Thus,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by adjusting the dampers 15b, 15aa, 15ab, 15b.

본 실시예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윈드 박스(12)를 가지는 버너(19)를 보일러 노벽(10)에 설치하고, 노벽(10)의 외측에 마련한 덕트(16)로부터 연소용 공기를 버너(19)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덕트(16)의 배치는 보일러 구조 및 상기 버너(19)의 설치 각도에 의존한다. 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윈드 박스(12)를 가지는 버너(19)를 덕트(16)의 내부에 각각 배치해도 같은 운용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14, a burner 19 having the wind box 12 is installed on the boiler furnace wall 10, and air for combustion is supplied from a duct 16 provided outside the furnace wall 10 To the burner (19).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duct 16 depends on the structure of the boiler and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urner 19. As shown in Fig. 15, the same operating method can be implemented by disposing the burners 19 having the wind box 12 inside the ducts 16, respectively.

상기 본 실시예 3에 의하면, 화로(18) 내의 화염을 하향으로 편향하는 것으로 화로(18)의 최대 열부하영역이 하방으로 이행하므로 화로의 열흡수가 증가하여, 화로(18)의 출구 배기가스 온도를 저감 할 수 있어, 다시 버너(19)의 연소영역을 하방으로 이행시켜, 버너(19)와 애프터 에어포트(24) 사이의 화로(18) 내에서의 NOx 환원영역의 체류 시간을, 연소영역을 버너(19)의 상하 방향으로 균등하게 형성시키는 경우보다 연장하여 NOx 농도를 저감할 수 있는 미분탄 버너(19)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maximum thermal load area of the furnace 18 is shifted downward by deflecting the flame in the furnace 18 downward, the heat absorption of the furnace is increased, and the outlet exhaust gas temperature The combustion region of the burner 19 is moved downward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NOx reduction region in the furnace 18 between the burner 19 and the af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ulverized coal burner 19 which can extend the length of the burner 19 eve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reduce the NOx concentration.

실시예 4Example 4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로부터 3의 구성에 더하여, 댐퍼(15)의 상류측에 각각의 버너(19)에 유입하는 연소용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개별의 버너(19)의 공급 공기량 조정기인 제2 댐퍼(17)를 마련한 구성이다.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n tha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each burner 19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air flowing into each burner 19 on the upstream side of the damper 15 And a second damper 17 serving as a regulator are provided.

보일러 노벽(10)에 복수 배치되어 있는 버너(19)에 공급되는 연료에는 분포가 생길 수 있으므로, 연료 공급량에 알맞은 연소용 공기 유량이 되도록 1개 1개의 버너(19)마다 연소용 공기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다.The fuel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burners 19 disposed on the furnace furnace wall 10 may be distributed. Therefore,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air may be adjusted for each burner 19 so as to be the combustion air flow rate suitable for the fuel supply amount .

여기서, 제1 댐퍼(15)만이라도, 그 개방도를 1개 1개의 버너(19)마다 조절하면, 연소용 공기 유량을 조절할 수 있지만, 본래, 버너(19)의 상하의 연소용 공기의 운동량에 편차를 줄 목적으로 설치된 제1 댐퍼(15)에 상기 연료 공급량에 알맞은 연소용 공기 유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중복하여 갖게 하면, 그 제어가 어려워진다. Although only the first damper 15 can regulate the opening degree for each one burner 19,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air can be adjusted. However,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ombustion air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urner 19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first damper 15 provided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amount of fuel supplied to the first damper.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각각 다른 2개의 기능을 분담하는 제1 댐퍼(15)와 제2 댐퍼(17)을 독립하여 마련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amper 15 and the second damper 17, which share the two different functions, are provid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도 16과 도 17은, 실시예 1(도 4, 5)에서 설명한 버너(19)의 상하의 공기 운동량에 편차를 주는 제1 댐퍼(15a, 15b)에 더하여, 제1 댐퍼(15a, 15b)의 상류측에 각 버너(19)에 유입하는 연소용 공기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 2 댐퍼(17a, 17b)를 설치한 구성을 나타낸다.16 and 17 are diagram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dampers 15a and 15b which give variations in the amount of air motion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urner 19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Figs. 4 and 5) And second dampers 17a and 17b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air flowing into the respective burners 19 are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버너(19)의 상하의 연소용 공기 운동량에 편차를 주는 제1 댐퍼(15a, 15b) 중의 위쪽의 제1 댐퍼(15a)를 닫힘동작시키고, 아래쪽의 제1 댐퍼(15b)를 개방동작시킴으로써 버너(19)의 아래쪽의 연소용 공기의 분출량이 증가하고, 버너(19)의 하방에의 연소용 공기의 운동량이 증가하면, 화로(18) 내에서의 화염이 하향으로 편향 하는(도 3(b) 참조).The upper first damper 15a of the first dampers 15a and 15b which gives variations to the upper and lower air movement amounts of the burners 19 are closed and the first damper 15a 15b are opened to increase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blown out under the burner 19 and increas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ombustion air below the burner 19 so that the flame in the furnace 18 is directed downward (See Fig. 3 (b)).

제1 댐퍼(15a, 15b)의 상류에 제2 댐퍼(17a, 17b)를 마련하는 것으로, 버너(19)의 상하의 연소용 공기의 운동량의 편차를 억제하는 일 없이, 각각의 버너(19)에 유입하는 연소용 공기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The second dampers 17a and 17b are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dampers 15a and 15b so that the fluctuation of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combustion air of the burner 19 is suppressed, The flow rate of the incoming combustion air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개별의 윈드 박스(12) 내에서 각각의 버너(19)의 상하의 연소용 공기 운동량에 편차를 주는 조절기로서의 제1 댐퍼(15a, 15b)가 제2 댐퍼(17a, 17b)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고, 제2 댐퍼(17a, 17b)가 배치되는 장소를 묻지 않는다.The first dampers 15a and 15b as the regulators for causing variations in the amounts of air motion for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spective burners 19 in the respective wind boxes 12 are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dampers 17a and 17b And the place where the second damper 17a, 17b is disposed is not referred to.

또한, 제1 댐퍼(15a, 15b) 및 제2 댐퍼(17a, 17b) 모두 도시한 버터플라이형의 댐퍼 대신에 적층한 복수의 다공판을 슬라이드시켜 개공(開孔) 면적을 조절하도록 한 것을 이용해도 좋고, 기체 유량의 조절 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그 구조는 묻지 않는다.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aminated plates are slid in place of the butterfly type damper shown in both of the first dampers 15a and 15b and the second dampers 17a and 17b to adjust the opening area Or the gas flow rate control function, its structure is not required.

본 실시예에서는, 윈드 박스(12) 내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가이드 슬리브(13)를 가지는 2차 공기 노즐(8)을 설치하고 있어, 연소용 공기를 버너(19)의 출구로부터 화로(18) 내를 향해서 확대되면서 분출하는 구조가 되고 있다. 2차 공기 노즐(8)은 개구부(8a)를 형성하고 있어, 2차 공기 노즐(8)로의 공기량을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댐퍼(9)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a secondary air nozzle 8 having a guide sleeve 13 as shown in Fig. 2 is provided in the wind box 12, so that combustion air is blown from the outlet of the burner 19 18), which is enlarged toward the inside. The secondary air nozzle 8 forms an opening 8a an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lide type damper 9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air to the secondary air nozzle 8. [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윈드 박스(12) 내의 상방의 제1 댐퍼(15a)를 닫힘동작시키고, 하방의 제1 댐퍼(15b)를 개방동작시키는 것으로 버너(19)의 하방의 연소용 공기의 분출량이 증가할 때에, 윈드 박스(12) 내의 상방에 있는 2차 공기 노즐(8)의 개구부(8a)를 슬라이드식 댐퍼(9a)에 의해 전부 닫음으로써, 윈드 박스(12) 내의 상방의 3차 공기 노즐(11)로의 연소용 공기의 유입을 막아, 2차 공기 노즐(8)로부터의 화로(18)내로 분출하는 연소용 공기의 운동량은 버너(19)의 둘레방향으로 거의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염성을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first damper 15a in the wind box 12 shown in Fig. 16 is closed and the lower first damper 15b is opened to open the combustion air The opening 8a of the secondary air nozzle 8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wind box 12 is completely closed by the slide type damper 9a, The amount of motion of the combustion air blown into the furnace 18 from the secondary air nozzle 8 can be kept substantially uniform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rner 19 by preventing the inflow of the combustion air into the car air nozzle 1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resistivity.

상기 제 1 댐퍼(15a, 15b)와 슬라이드식 댐퍼(9a)의 조작에 의해, 버너(19)에서의 보염성을 유지하면서, 버너(19)의 상하의 3차 공기의 운동량에 편차를 주는 것만으로, 화로(18) 내의 화염을 편향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dampers 15a and 15b and the slide type damper 9a can be performed only by varying the momentum of the upper and lower tertiary air of the burner 19 while maintaining the resistivity of the burner 19 , The flame in the furnace 18 can be deflected.

이들의 구조 및 운전 방법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윈드 박스(12) 내의 연소용 공기 입구(12a, 12b)를 각각 2 분할하고, 각 연소용 공기 입구(12a, 12b)에 제1 댐퍼(15aa, 15ab;15ba, 15bb)와 제2 댐퍼(17aa, 17ab;17ba, 17bb)를 마련하는 댐퍼 조정 방법에 의해, 버너(19)의 상하의 연소용 공기의 운동량의 편차를 억제하는 일 없이, 각각의 버너(19)에 유입하는 연소용 공기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17, the combustion air inlets 12a and 12b in the wind box 12 are each divided into two, and the combustion air inlets 12a and 12b are connected to the first damper 15aa And 15bb and the second dampers 17aa and 17ab and 17ba and 17bb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urner 19 without restraining the deviation of the momentum of the upper and lower combustion air of the burner 19,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air flowing into the burner 19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본 실시예에서도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윈드 박스(12)를 가지는 버너(19)를 덕트(16)의 내부에 각각 배치한다. 화로벽(10)의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 열을 지어 배치한 버너(19)의 개별 공기량을 도 16 및 도 17의 제2 댐퍼(17)(17a, 17b 및 17aa, 17ab;17ba, 17bb)을 윈드 박스(12)내에 마련하는 것으로 조정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8, the burners 19 having the wind box 12 are arranged in the duct 16, respectively. The individual air quantities of the burners 19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urnace wall 10 are shown as the second dampers 17 (17a, 17b and 17aa, 17ab; 17ba, 17bb) Can be adjusted by being provided in the wind box (12).

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상기 윈드 박스(12)를 가지는 버너(19)를 보일러의 노벽(10)의 외측에 설치하고, 화로(18)의 외부로부터의 연소용 공기를 덕트(16)를 경유해 각각의 윈드 박스(12)를 가지는 버너(19)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As shown in Fig. 19, a burner 19 having the wind box 12 shown in Figs. 16 and 17 is provided outside the furnace wall 10 of the boiler, The air may be supplied to the burners 19 having the respective wind boxes 12 via the ducts 16.

[산업상 이용 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본 발명은 화염 편향과 열흡수 제어 기능, 개별 버너(19)의 연소용 기체 유량 조절 기능을 부가하는 것으로, 한층 더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이 높아진다.The present invention adds flame deflection, heat absorption control function, and combustion gas flow rate control function of the individual burner 19, which further increases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1 고기(固氣) 이상류   2 연소용 공기
3 연료 노즐       4 보염기
5 미분탄 농축기     6 벤츄리
7 중유 노즐       8 2차 공기 노즐
9 슬라이드식 댐퍼    10 보일러 노벽
11 3차 공기 노즐    12 윈드 박스
13 가이드 슬리브    14 칸막이 판
15(15a, 15aa, 15ab, 15b, 15ba, 15bb) 댐퍼( 제1 유량 조정 수단)
16 덕트       
17(17a, 17aa, 17ab, 17b, 17ba, 17bb) 댐퍼( 제2 유량 조정 수단)
18 보일러 화로      19 버너
20 벙커(bunker)     21 밀(mill)
23 블로어        24 애프터 에어포트
25 블로어
1 Meat (solid 气) or more 2 Air for combustion
3 fuel nozzle 4 base
5 Pulverized coal concentrator 6 Venturi
7 Heavy oil nozzle 8 Secondary air nozzle
9 Slide damper 10 Boiler furnace
11 Third air nozzle 12 Wind box
13 guide sleeve 14 partition plate
15 (15a, 15aa, 15ab, 15b, 15ba, 15bb) Damper (first flow rate adjusting means)
16 ducts
17 (17a, 17aa, 17ab, 17b, 17ba, 17bb) Damper (second flow rate adjusting means)
18 Burners 19 Burners
20 bunker 21 mill (mill)
23 Blower 24 after-air port
25 Blower

Claims (4)

연료와 그 반송 기체의 혼합물을 화로(18) 내에 분출시키는 통 형상의 연료 노즐(3)과 상기 연료 노즐(3)의 외주에 설치된 연소용 기체를 화로(18) 내에 분출시키는 통 형상의 1 이상의 연소용 기체 노즐(8,11)과 상기 연소용 기체 노즐(8,11)에 연소용 기체를 공급하는 윈드 박스(12)를 가지는 버너(19)를 복수개, 화로(18)의 노벽(10)에 배열하여 설치한 연소 장치로서,
(a) 상기 윈드 박스(12)는, 모든 버너(19)에 공통하여 버너(19)의 축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향한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연소용 기체가 병진하여 유입하는 평행한 복수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획되어 유입하는 연소용 기체 유입용 개구부(12a, 12b)를 가지고,
(b) 상기 연소용 기체 유입용 개구부(12a, 12b)에는, 화로(18)의 외부로부터 연소용 기체가 정리되어 공급되도록, 윈드 박스(12)가 설치되는 노벽(10)의 외측에 마련되는 단일의 덕트(16) 내에 상기 연소용 기체 유입용 개구부(12a, 12b)가 설치되고,
(c) 상기 윈드 박스(12)의 연소용 기체 유입용의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일부의 유로는 상기 연소용 기체 노즐(8,11)의 위쪽, 나머지 유로는 연소용 기체 노즐(8,11)의 아래쪽에 접속되며,
(d) 상기 연소용 기체용의 복수의 유로에는, 각각 독립하게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제1 유량 조정 수단(15a, 15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장치.
A tubular fuel nozzle 3 for jetting a mixture of the fuel and its carrier gas into the furnace 18 and a combustion ga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uel nozzle 3 are jetted into the furnace 18, A plurality of burners 19 having combustion gas nozzles 8 and 11 and a wind box 12 for supplying a combustion gas to the combustion gas nozzles 8 and 11 are connected to the furnace wall 10 of the furnace 18. [ As a combustion device,
(a) The wind box 12 forms a plurality of parallel flow paths which are common to all the burners 19 and which flow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urner 19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12a, 12b) for introducing gas to be inflowed,
(b) The combustion gas inlet openings 12a and 12b are provided outside the furnace wall 10 in which the wind box 12 is installed so that the combustion gas is uniformly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furnace 18 The combustion gas introduction openings (12a, 12b) are provided in a single duct (16)
(c) a part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for introducing the combustion gas into the wind box (12) is located above the combustion gas nozzles (8, 11) and the remaining flow paths are the combustion gas nozzles ),
(d) A plurality of flow paths for the combustion gas are provided with first flow rate adjusting means (15a, 15b)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덕트(16)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복수의 상기 윈드 박스(12)가 배열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장치.2. The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wind boxes (12) are arranged inside or outside the single duct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량 조정 수단(15a, 15b)의 상류측에 개개의 버너(19)로 유입하는 상기 연소용 기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 수단(17a, 17b)이 각각의 윈드 박스(12)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장치.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low rate regulating means (17a)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flowing into the individual burners (19)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flow rate regulating means (15a, 15b) , 17b) ar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wind boxes (12). 삭제delete
KR1020137024829A 2011-02-22 2011-02-22 Combustion device KR10158272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00976 WO2012114370A1 (en) 2011-02-22 2011-02-22 Combus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407A KR20140008407A (en) 2014-01-21
KR101582729B1 true KR101582729B1 (en) 2016-01-05

Family

ID=4672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829A KR101582729B1 (en) 2011-02-22 2011-02-22 Combustion device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340659A1 (en)
EP (1) EP2679899B1 (en)
JP (1) JP5743115B2 (en)
KR (1) KR101582729B1 (en)
AU (1) AU2011360560B2 (en)
CA (1) CA2827903C (en)
PL (1) PL2679899T3 (en)
WO (1) WO201211437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5901B2 (en) 2014-12-09 2019-08-13 Mtd Products Inc Blower/vacuum
CN105202568B (en) * 2015-10-14 2017-05-10 北京高能时代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Secondary air device of domestic waste grate furnace
CN108087867A (en) * 2018-01-11 2018-05-29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It is a kind of to be used to balance underload nitrogen oxides and the low nitrogen burning system and method for carbonated drink parameter
CN109185872B (en) * 2018-10-17 2023-09-19 烟台龙源电力技术股份有限公司 Secondary air system of boiler
CN109185871B (en) * 2018-10-17 2023-09-15 烟台龙源电力技术股份有限公司 Secondary air system of boiler
JP7141574B1 (en) * 2021-08-10 2022-09-26 コロナ株式会社 Blower burner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510A (en) 2002-02-28 2003-09-10 Babcock Hitachi Kk Combustor and wind box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924A (en) * 1977-06-09 1979-01-12 Kobe Steel Ltd Combustion method and system for small nitrogen oxide production
US4551090A (en) * 1980-08-25 1985-11-05 L. & C. Steinmuller Gmbh Burner
JPS61101226U (en) * 1984-12-04 1986-06-27
JPH0729335B2 (en) * 1989-04-24 1995-04-05 キタノ製作株式会社 Molding method and mold for handle such as toothbrush
JP3054420B2 (en) * 1989-05-26 2000-06-19 株式会社東芝 Gas turbine combustor
JPH0543924A (en) * 1991-08-15 1993-02-23 Kobe Steel Ltd Secondary combustion blow-refining method
JPH0735302A (en) * 1993-07-22 1995-02-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Method for warming always mill of coal fired boiler
JPH09101015A (en) * 1995-10-03 1997-04-15 Babcock Hitachi Kk Combustion device and adhered slag removing device thereof
JPH09133345A (en) * 1995-11-06 1997-05-20 Mitsubishi Heavy Ind Ltd Burner
JP3009370B2 (en) * 1997-03-07 2000-02-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ulverized coal burner, pulverized coal boiler and pulverized coal combustion method
JP4301422B2 (en) * 2000-11-07 2009-07-22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Combustion burner, combustion apparatus equipped with the burner, and combustion method using the burner
US6699031B2 (en) * 2001-01-11 2004-03-02 Praxair Technology, Inc. NOx reduction in combustion with concentrated coal streams and oxygen injection
JP4898393B2 (en) 2006-11-09 2012-03-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Burner structure
JP4969464B2 (en) * 2008-01-08 2012-07-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Burner structure
JP5190509B2 (en) * 2008-04-10 2013-04-24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Solid fuel burner, combustion apparatus using solid fuel burn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5344897B2 (en) * 2008-12-12 2013-11-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Swirl combustion boiler
JP2010249362A (en) * 2009-04-13 2010-11-04 Ihi Corp Burner
JP2011033287A (en) * 2009-08-04 2011-02-17 Mitsubishi Heavy Ind Ltd Pulverized coal burner
JP5490924B2 (en) * 2011-01-21 2014-05-14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Solid fuel burner and combustion apparatus using the bur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510A (en) 2002-02-28 2003-09-10 Babcock Hitachi Kk Combustor and wind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679899T3 (en) 2021-07-05
JPWO2012114370A1 (en) 2014-07-07
AU2011360560B2 (en) 2015-11-05
EP2679899A1 (en) 2014-01-01
KR20140008407A (en) 2014-01-21
CA2827903A1 (en) 2012-08-30
CA2827903C (en) 2016-07-12
WO2012114370A1 (en) 2012-08-30
US20130340659A1 (en) 2013-12-26
EP2679899B1 (en) 2021-04-07
EP2679899A4 (en) 2018-01-24
JP5743115B2 (en)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729B1 (en) Combustion device
KR101421744B1 (en) Pulverized coal-fired boiler and pulverized coal combustion method
KR101660051B1 (en) Solid Fuel Burner, Combustion Apparatus Using Solid Fuel Bur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Combustion Apparatus
EP0836048B1 (en) Burner
US8176911B2 (en) Regulating overfire air in a boiler using an overfire air tube damper
KR20100061471A (en) Solid-fuel burner, combustion device using solid-fuel bur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combustion device
JP5490924B2 (en) Solid fuel burner and combustion apparatus using the burner
CN104508372A (en) Solid-fuel burner
IT9009370A1 (en) PERFECTED BURNER FOR OIL AND COMBUSTIBLE GASES WITH LOW NITROGEN OXIDE PRODUCTION.
JPS60211207A (en) Furnace, burner and method for burning powdered coal
JP5908091B2 (en) Solid fuel burner and method of operating combustion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olid fuel burner
US11305302B2 (en) Nozzle assembly for a solid fuel burner and method of operating a nozzle assembly for a solid fuel burner
JP2010270990A (en) Fuel burner and turning combustion boiler
JP2011052871A (en) Combustion device
US20230213185A1 (en) Combustion system for a boiler with fuel stream distribution means in a burner and method of combustion
JP2007232328A (en) Air port for dual-stage combustion, its operation method, and boiler
WO2023120395A1 (en) Ammonia combustion burner and boiler
UA50718C2 (en) Method for decreasing content of nitrogen oxides in exhaust gases of industrial steam boilers and burner for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