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334U - Welding equipment having cable holder - Google Patents

Welding equipment having cable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334U
KR20140003334U KR2020120010915U KR20120010915U KR20140003334U KR 20140003334 U KR20140003334 U KR 20140003334U KR 2020120010915 U KR2020120010915 U KR 2020120010915U KR 20120010915 U KR20120010915 U KR 20120010915U KR 20140003334 U KR20140003334 U KR 201400033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welding
rope
trun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9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준형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0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334U/en
Publication of KR201400033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34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걸이대를 구비한 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 상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부와, 부착부에 연결된 제1 연결부와, 제1 연결부와 로프의 상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와, 로프의 하부에 연결된 제3 연결부와, 제3 연결부에 연결되며 용접 케이블을 걸기 위한 케이블 트렁크를 포함하는 케이블 걸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용접 작업시 작업자가 들어야 하는 용접 케이블의 무게를 감소시키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용접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ing apparatus having a cable hanger an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a work surface,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ope, And a cable trunk that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unit and includes a cable trunk for hooking the welding cable. This reduces the weight of the welding cable that the operator has to hold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the welding operation.

Description

케이블 걸이대를 구비한 용접 장치{Welding equipment having cable holder}[0001] Welding equipment having cable holder [0002]

본 고안은 케이블 걸이대를 구비한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ing apparatus having a cable hanger.

선박을 제조함에 있어서 용접 장치는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다. Welding equipment is very wide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ships.

일반적으로 용접 장치는 용접기와 용접 토치를 포함하며, 용접기와 용접 토치는 용접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용접 케이블은 용접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는 도체부와, 용접부위를 외부 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보호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호스부와, 도체부 및 가스 호스브를 일체형으로 보호해주는 외장부를 포함한다. 작업자는 용접 토치와 용접 케이블을 손으로 들고 작업을 수행하는데, 용접 케이블의 무게로 인해 쉽게 피로를 느낄 수 있고, 장시간 작업을 하는 경우, 손이나 어깨 및 팔에서 통증을 느낄 수 있다. Generally, the welding apparatus includes a welding machine and a welding torch, and the welding machine and the welding tor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elding cable. The welding cable includes a conductor portion for supplying a current necessary for welding, a gas hose portion for supplying a protective gas for protecting the welding portion from the outside air, and an outer portion for integrally protecting the conductor portion and the gas hose. The worker carries the welding torch and the welding cable by hand. The weight of the welding cable makes it easy to feel fatigue. If you work for a long time, you can feel pain in your hand, shoulder and arm.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접을 용이하게 하는 케이블 걸이대를 구비한 용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lding apparatus having a cable hanger for facilitating welding.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걸이대를 구비한 용접 장치는, 용접기와, 상기 용접기에 용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용접 토치와, 상기 용접 케이블을 작업 상면에 걸도록 구성된 케이블 걸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elding apparatus includes a welding machine, a welding torch connected to the welding machine through a welding cable, and a cable hanger configured to hang the welding cab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걸이대를 구비한 용접 장치는, 용접 작업시 작업자가 들어야 하는 용접 케이블의 무게를 감소시키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용접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weld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cable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weight of the welding cable to be held by the operator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the welding oper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걸이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 트렁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케이블 걸이대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걸이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케이블 걸이대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ble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able trunk of Fig. 1 in detail.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cable hanger of FIG. 1;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ble r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cable hanger of FIG.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which are to be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걸이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ble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걸이대(100)는 부착부(11), 제1 연결부(12), 제2 연결부(13a), 로프(14), 제3 연결부(13b) 및 케이블 트렁크(15)를 포함한다.
1, the cable ra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ttachment portion 11, a first connection portion 12,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3a, a rope 14, (13b) and a cable trunk (15).

부착부(11)는 작업 상면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작업 상면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부착부(11) 내에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착부(11)의 상부에 홀들을 형성하고, 홀 내에 자석을 고정시킨다. 그러면, 부착부(11) 내에 고정된 자석으로 인해 작업 상면에 부착부(11)를 부착시킬 수 있다. 또는, 작업 상면이 비금속(예를 들면, 시멘트, 나무 등의 재질)인 경우에는 못이나 볼트를 이용하여 부착부(11)를 작업 상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The attaching portion 11 is a device for attach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For example, when the working surface is made of metal, a magnet may be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11. [ More specifically,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1, and the magnets are fixed in the holes. Then, the mounting portion 11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due to the magnet fixed in the mounting portion 11. [ Alternatively, when the work surface is made of a nonmetal material (e.g., cement, wood, or the like), the attachment portion 11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using nails or bolts.

제1 연결부(12)는 부착부(11)의 하부에 연결되며, 링(ring)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12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attachment part 11 and may be in the form of a ring.

제2 연결부(13a)는 로프(14)의 한쪽 끝에 연결되며, 제1 연결부(12)에 로프(14)를 걸기 위한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a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pe 14 and may have a ring shape for connecting the rope 14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 [

로프(14)는 용접 작업시 끊어지지 않을 정도의 재질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나일론으로 만들 수 있다.
The rope 14 can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not be broken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for example, made of nylon.

제3 연결부(13b)는 로프(14)의 다른 한쪽 끝에 연결되며, 제2 연결부(13a)와 같이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3b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pe 14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lik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a.

케이블 트렁크(15)는 용접 케이블(16)을 걸기 위한 원통 형태의 트렁크로 이루어지며, 제3 연결부(13b)에 연결된다. 케이블 트렁크(15)는 원통, 링 또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able trunk 15 is formed of a trunk in the form of a cylinder for hooking the welding cable 16,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3b. The cable trunk 15 may be in the form of a cylinder, ring or annulus.

상술한 장치 중에서, 케이블 트렁크(15)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mong the above-mentioned devices, the cable trunk 1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2는 도 1의 케이블 트렁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able trunk of Fig. 1 in detai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렁크(15)는 서로 대칭 형태로 이루어진 제1 고정부(T1)와 제2 고정부(T2)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T1)와 제2 고정부(T2)는 용접 케이블(16)을 감싸는 트렁크(LT)를 포함하며, 트렁크(LT)의 상부에는 제3 연결부(13b)에 연결하기 위한 홀이 형성된다. 특히, 트렁크(LT)의 개구부(CHO)의 지름은 용접 케이블(16)의 지름보다는 약간 크게 하여, 용접 작업시 용접 케이블(16)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제1 고정부(T1)와 제2 고정부(T2)에는 제1 고정부(T1)와 제2 고정부(T2)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홀들(HO)이 포함된다. 홀들(HO)을 통해 볼트(BO)를 넣고 너트(NU)로 고정시키면 제1 고정부(T1)와 제2 고정부(T2) 사이에 용접 케이블(16)을 걸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cable trunk 15 includes a first fixing portion T1 and a second fixing portion T2 which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first fixing portion T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T2 include a trunk LT surrounding the welding cable 16. A hole for connecting to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3b is formed on the trunk LT, . In particular, the diameter of the opening CHO of the trunk L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elding cable 16, so that the welding cable 16 can move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The first fixing portion T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T2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HO for fixing the first fixing portion T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T2. The welding cable 16 can be hooked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T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T2 by inserting the bolts BO through the holes HO and fixing the bolts BO with the nuts NU.

도 3은 도 1의 케이블 걸이대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cable hanger of FIG.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케이블(16)이 걸린 케이블 걸이대(100)를 작업 상면(OW)에 부착시키고 용접기(EW) 및 용접 토치(TO)를 이용하여 용접부위(JO)에 용접을 하면, 작업자(MA)는 용접 케이블(16)을 가볍게 들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welding is performed to the welding area JO by attaching the cable rack 100 with the welding cable 16 to the work top surface OW and using the welding machine EW and the welding torch TO , The worker MA can carry out the work while holding the welding cable 16 lightly.

케이블 걸이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cable rack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걸이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ble r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걸이대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케이블 걸이대에 로프 고정부(20)를 추가한 장치이다. As shown in FIG. 4, the cable r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a device in which the rope fixing portion 20 is added to the cable rack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걸이대(200)는 부착부(11), 제1 연결부(12), 제2 연결부(13a), 로프(14), 제3 연결부(13b), 케이블 트렁크(15) 및 로프 고정부(20)를 포함한다.
The cable rack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ttachment portion 11, a first connection portion 12,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3a, a rope 14, a third connection portion 13b, a cable trunk 15 And a rope fixing portion 20. [

부착부(11)는 작업 상면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작업 상면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부착부(11) 내에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착부(11)의 상부에 홀들을 형성하고, 홀 내에 자석을 고정시킨다. 그러면, 부착부(11) 내에 고정된 자석으로 인해 작업 상면에 부착부(11)를 부착시킬 수 있다. 또는, 작업 상면이 비금속(예를 들면, 시멘트, 나무 등의 재질)인 경우에는 못이나 볼트를 이용하여 부착부(11)를 작업 상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The attaching portion 11 is a device for attach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For example, when the working surface is made of metal, a magnet may be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11. [ More specifically,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1, and the magnets are fixed in the holes. Then, the mounting portion 11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due to the magnet fixed in the mounting portion 11. [ Alternatively, when the work surface is made of a nonmetal material (e.g., cement, wood, or the like), the attachment portion 11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using nails or bolts.

제1 연결부(12)는 부착부(11)의 하부에 연결되며, 링(ring)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12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attachment part 11 and may be in the form of a ring.

제2 연결부(13a)는 로프(14)의 한쪽 끝에 연결되며, 제1 연결부(12)에 로프(14)를 걸기 위한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a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pe 14 and may have a ring shape for connecting the rope 14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 [

로프(14)는 용접 작업시 끊어지지 않을 정도의 재질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나일론으로 만들 수 있다.
The rope 14 can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not be broken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for example, made of nylon.

제3 연결부(13b)는 로프(14)의 다른 한쪽 끝에 연결되며, 제2 연결부(13a)와 같이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3b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pe 14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lik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a.

케이블 트렁크(15)는 용접 케이블(16)을 걸기 위한 원통 형태의 트렁크로 이루어지며, 제3 연결부(13b)에 연결된다. 케이블 트렁크(15)는 원통, 링 또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able trunk 15 is formed of a trunk in the form of a cylinder for hooking the welding cable 16,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3b. The cable trunk 15 may be in the form of a cylinder, ring or annulus.

로프 고정부(20)는 로프(14)의 길이를 작업하기 용이하게 가변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는 서로 포개어 지도록 하고, 포개어 졌을 때 로프(14)가 통과하도록 제1 고정부(21)에는 두 개의 제1 홀들(H1)을 만들고 제2 고정부(22)에도 두 개의 제2 홀들(H2)을 만든다. 제1 홀들(21)과 제2 홀들(22)은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가 서로 포개어 졌을 때 서로 겹쳐지도록 한다. The rope fixing portion 20 includes a first fixing portion 21 and a second fixing portion 22 as a device for easily varying the length of the rope 14 for work. The first fixing part 21 and the second fixing part 2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fixing part 21 is formed with two first holes H1 so that the rope 14 passes when the first fixing part 21 and the second fixing part 22 are overlapped, And two second holes (H2) are also formed in the second fixing portion (22). The first holes 21 and the second holes 22 overlap each other when the first fix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2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로프 고정부(20)를 사용하여 로프(14)의 길이를 가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method of varying the length of the rope 14 using the rope fixing portion 20 is as follows.

제1 홀들(H1)과 제2 홀들(H2)이 서로 포개어져 두 개의 홀들이 만들어지도록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를 포갠 후, 하나의 홀에는 로프(14)를 일 방향으로 통과시키고 다른 하나의 홀에는 로프(14)를 타방향으로 통과시킨다. 그리고, 두 개의 홀들 사이를 지나는 로프(14)의 길이를 조절하면 제2 연결부(13a)와 제3 연결부(13b) 간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The first fixing part 21 and the second fixing part 22 are stacked so that the first holes H1 and the second holes H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form two holes, And passes the rope 14 through the other hole in the other directio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pe 14 passing between the two holes, the length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a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3b can be varied.

도 5는 도 4의 케이블 걸이대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cable hanger of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케이블(16)이 걸린 케이블 걸이대(200)를 작업 상면(OW)에 부착시키고 용접기(EW) 및 용접 토치(TO)를 이용하여 용접부위(JO)에 용접을 하면, 작업자(MA)는 용접 케이블(16)을 가볍게 들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케이블 걸이대(200)는 로프(도 4의 14)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2 연결부(도 4의 13a)와 제3 연결부(도 4의 13b) 간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MA)는 용접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cable gantry 200 with the welding cable 16 is attached to the work top surface OW and welded to the welded portion JO using a welding machine EW and a welding torch TO , The worker MA can carry out the work while holding the welding cable 16 lightly. 4)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3b in Fig. 4)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pe (14 in Fig. 4), so that the worker MA ) Can more easily perform the welding ope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무거운 용접 케이블을 걸 수 있는 케이블 걸이대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는 무거운 용접 케이블을 힘들게 들지 않고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can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by providing a cable hanger for hanging a heavy welding cable, by which a worker can easily perform a welding operation without heavy burdens on a heavy welding cable.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200: 케이블 걸이대
11: 부착부 12: 제1 연결부
13a: 제2 연결부 13b: 제3 연결부
14: 로프 15: 케이블 트렁크
20: 로프 고정부
100, 200: cable hanger
11: attachment part 12: first connection part
13a: second connecting portion 13b: third connecting portion
14: Rope 15: Cable trunk
20: rope fixing portion

Claims (3)

용접기;
상기 용접기에 용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용접 토치; 및
상기 용접 케이블을 작업 상면에 걸도록 구성된 케이블 걸이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걸이대를 구비한 용접 장치.
welding machine;
A welding torch connected to the welder through a welding cable; And
And a cable gang comprising a cable gang configured to hook the welding cable over the work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걸이대는,
상기 작업 상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부;
상기 부착부에 연결된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로프의 상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
상기 로프의 하부에 연결된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3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용접 케이블을 걸기 위한 케이블 트렁크를 포함하는 케이블 걸이대를 구비한 용접 장치.
The cable rack according to claim 1,
An attachment configured to attach to the work surface;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attachment part;
A second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rope;
A thir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pe; And
And a cable trunk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and including a cable trunk for hanging the welding c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걸이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3 연결부 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로프에 연결된 로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걸이대를 구비한 용접 장치.
The cable rack according to claim 2,
And a rope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rope so as to adjust a height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KR2020120010915U 2012-11-27 2012-11-27 Welding equipment having cable holder KR2014000333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915U KR20140003334U (en) 2012-11-27 2012-11-27 Welding equipment having cable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915U KR20140003334U (en) 2012-11-27 2012-11-27 Welding equipment having cable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34U true KR20140003334U (en) 2014-06-05

Family

ID=5244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915U KR20140003334U (en) 2012-11-27 2012-11-27 Welding equipment having cable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334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207A (en) * 2020-01-02 2021-07-12 김병조 End cap to hold the cut cable in pl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207A (en) * 2020-01-02 2021-07-12 김병조 End cap to hold the cut cable in pl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900B1 (en) Fixing device of hydraulic pipe of construction machine
JP4546949B2 (en) Insulator attachment method, insulator removal method and split pin attachment used therefor
JP5358488B2 (en) Attaching jigs for bird harm prevention tools, mounting methods for bird harm prevention tools
KR200455466Y1 (en) Underground power cable support
JP5557762B2 (en) Rope flaw detector mounting fixture
KR20140003334U (en) Welding equipment having cable holder
CN204038927U (en) Construction machinery and equipment and the safety device for aloft work thereof
KR20140047421A (en) Hanger for electric wire
KR2013007621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indicator
JP2014099965A (en) Machine tool and work rod
JP5886217B2 (en) Mounting tool for overhead wire loading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overhead wire loading device using the same
JP4761961B2 (en) Nest protection device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KR20130035441A (en) Chain pin disassembling zig
KR101537238B1 (en) Array tool of cable
JP2018074955A (en) Bird damage prevention tool
JP5655340B2 (en) Electric power cable grounding jig and grounding method
US9333595B2 (en) Tool holder
CN207375482U (en) A kind of bigness scale growth device
JP2014045612A (en) Earth hook with curing cover
KR20140006145U (en) Center indicating device
KR101560160B1 (en) Carbon dioxide gas welding cable guard member
KR20110001111U (en) Cable hanger
KR20150000195U (en) Apparatus for hanging cable
KR20120003641U (en) Upper Arm Prop For Overhead Working
KR20160006041A (en) spot wel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