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061U -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 - Google Patents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061U
KR20140003061U KR2020120010460U KR20120010460U KR20140003061U KR 20140003061 U KR20140003061 U KR 20140003061U KR 2020120010460 U KR2020120010460 U KR 2020120010460U KR 20120010460 U KR20120010460 U KR 20120010460U KR 20140003061 U KR20140003061 U KR 201400030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ire
emitting module
fire hos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3033Y1 (ko
Inventor
황선우
Original Assignee
경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filed Critical 경기도
Priority to KR2020120010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3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0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0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 펌프차량으로부터 연결된 소방 호스; 복수의 엘이디칩을 포함하며, 상기 소방 호스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모듈; 및 상기 소방 호스의 단부에 마련된 소방용 관창에 탈착 결합되어 상기 발광 모듈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광 모듈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야간 화재시 또는 건문내 화재시 건물내로 진입할 때 또는 화재진압 중 건물 외부로 긴급 탈출이 불가피할 때 통로 확인을 위하여 사용되는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LIGHT LINE OF WATER HOSE FOR FIREFIGHTING}
본 고안은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 화재시 또는 건문내 화재시 건물내로 진입할 때 또는 화재진압 중 건물 외부로 긴급 탈출이 불가피할 때 통로 확인을 위하여 사용되는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에 관한 것이다.
라이트라인(light line)은 현재 일선 소방관서에 배치되어 화재 현장에서 사용되는 것이지만, 이는 일반 산업용 라이트라인이므로, 설치 및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고 잦은 고장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많은 실정이다.
모든 소방장비는 라이트라인 뿐 아니라 화재 진압 현장의 특성상, 신속하고 안전하면서도 원활한 사용이 필수적이지만, 현재 소방관서에 보급된 일반 산업용 라이트라인은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일반 산업용 라이트라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력발전기와 라이트라인을 소방차량에서 내려서 원거리에 있는 화재현장에 근접하게 이동시킨 후 발전기를 시동하고, 발전기 콘센트에 라이트라인의 플러그를 꼽은 후 건물 내까지 라이트라인을 연장하는 것이다.
즉, 현재 사용 중인 라이트라인은 화재현장에 설치하는데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발전기와 라이트라인을 이동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전기에 의한 감전의 위험이 있으며 또한 잦은 고장으로 인하여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야간 화재시 또는 건문내 화재시 건물내로 진입할 때 또는 화재진압 중 건물 외부로 긴급 탈출이 불가피할 때 통로 확인을 위하여 사용되는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방 펌프차량으로부터 연결된 소방 호스; 복수의 엘이디칩을 포함하며, 상기 소방 호스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모듈; 및 상기 소방 호스의 단부에 마련된 소방용 관창에 탈착 결합되어 상기 발광 모듈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광 모듈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소방용 관창에 탈착 결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고, 상기 발광 모듈과 적외선 무선 통신, 라디오 주파수 무선 통신, 전선 연결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는 송신부와,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어 상기 송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신부를 통하여 상기 발광 모듈의 점등 및 소등을 명령하는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제어 유닛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상기 발광 모듈의 점등 및 소등 명령을 받아들이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 모듈은 소방 호스의 연결 금속구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제어 유닛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상기 발광 모듈의 점등 및 소등 명령 신호를 받아들이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엘이디칩을 감싸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내열 커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열 커버체는 상기 소방 호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고안은 소방 호스 상에 발광 모듈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일반 산업용 라이트 라인처럼 발전기를 시동하는 등의 일련의 번거로운 작업이 일체 필요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야간 화재 또는 건물 내부 진입시 소방용 관창에 탈착 결합된 제어 유닛을 이용하여 발광 모듈을 신속히 점등시킴으로써 화재 진압 활동 중 비상 탈출 등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탈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일반 산업용 라이트 라인에 비하여 내열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내열 커버체를 포함한 발광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유지 보수 관리에 불필요한 비용의 발생을 극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 호스(10)에 발광 모듈(20)이 점등되어지되, 발광 모듈(20)의 점등은 소방용 관창(12)의 제어 유닛(3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발광 모듈(20)은 소방 펌프차량(40)으로부터 연결된 소방 호스(10)에 배치되는 복수의 엘이디칩(21)을 포함하며, 소방 호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것이다.
제어 유닛(30)은 소방 호스(10)의 단부에 마련된 소방용 관창(12)에 탈착 결합되어 발광 모듈(20)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광 모듈(20)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방대원들은 야간 화재 또는 건물 내부 진입시 소방용 관창(12)에 탈착 결합된 제어 유닛(30)을 이용하여 소방 호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된 발광 모듈(20)을 점등시킴으로써 화재 진압 활동 중 비상 탈출 등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탈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발광 모듈(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유닛(30)에 의하여 점등되어 탈출 및 이동 경로 파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 유닛(30)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발광 모듈(20)의 점등 및 소등 명령을 받아들이는 수신부(2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발광 모듈(20)은 소방 호스(10)의 연결 금속구(13)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 유닛(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 모듈(20)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싱(31)과 송신부(32) 및 조작 버튼(33, 34)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케이싱(31)은 소방용 관창(12)에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할 송신부(32)와 조작 버튼(33, 34) 등의 일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내열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송신부(32)는 케이싱(31)에 내장되고, 발광 모듈(20)과 적외선 무선 통신, 라디오 주파수 무선 통신, 전선 연결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CPU, 메모리, 발광 모듈(20)의 엘이디칩(21) 구동회로 등을 포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조작 버튼(33, 34)은 케이싱(31)에 내장되어 송신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송신부(32)를 통하여 발광 모듈(20)의 수신부(22)를 통하여 엘이디칩(21)들의 점등 및 소등을 명령하는 것으로, 도면 부호 33은 전원을 ON시켜 발광 모듈(20)을 점등시키는 용도의 버튼을, 도면 부호 34는 전원을 OFF시켜 발광 모듈(20)을 소등시키는 용도의 버튼을 각각 나타낸다.
한편, 발광 모듈(20)은 도 2와 같이 수신부(22)와 함께, 수신부(22) 및 엘이디칩(21)을 감싸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내열 커버체(23)를 더 포함하며, 내열 커버체(23)는 소방 호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발광 모듈(20)은 소방 호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점등됨으로써 소방대원 및 구조인원들은 소방 호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점등된 발광 모듈(20)의 불빛을 따라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야간 화재시 또는 건문내 화재시 건물내로 진입할 때 또는 화재진압 중 건물 외부로 긴급 탈출이 불가피할 때 통로 확인을 위하여 사용되는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10...소방 호스
12...소방용 관창
20...발광 모듈
21...엘이디 칩
22...수신부
23...내열 커버체
30...제어 유닛
31...케이싱
32...송신부
33, 34...조작 버튼

Claims (4)

  1. 소방 펌프차량(40)으로부터 연결된 소방 호스(10);
    복수의 엘이디칩(21)을 포함하며, 상기 소방 호스(10)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모듈(20); 및
    상기 소방 호스(10)의 단부에 마련된 소방용 관창(12)에 탈착 결합되어 상기 발광 모듈(20)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광 모듈(20)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30)은,
    상기 소방용 관창(12)에 탈착 결합되는 케이싱(31)과,
    상기 케이싱(31)에 내장되고, 상기 발광 모듈(20)과 적외선 무선 통신, 라디오 주파수 무선 통신, 전선 연결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는 송신부(32)와,
    상기 케이싱(31)에 내장되어 상기 송신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신부(32)를 통하여 상기 발광 모듈(20)의 점등 및 소등을 명령하는 조작 버튼(33, 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20)은,
    상기 제어 유닛(30)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상기 발광 모듈(20)의 점등 및 소등 명령을 받아들이는 수신부(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 모듈(20)은 소방 호스(10)의 연결 금속구(13)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20)은,
    상기 제어 유닛(30)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상기 발광 모듈(20)의 점등 및 소등 명령 신호를 받아들이는 수신부(22)와,
    상기 수신부(22) 및 상기 엘이디칩(21)을 감싸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내열 커버체(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열 커버체(23)는 상기 소방 호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
KR2020120010460U 2012-11-15 2012-11-15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 KR200473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460U KR200473033Y1 (ko) 2012-11-15 2012-11-15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460U KR200473033Y1 (ko) 2012-11-15 2012-11-15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061U true KR20140003061U (ko) 2014-05-27
KR200473033Y1 KR200473033Y1 (ko) 2014-06-09

Family

ID=5148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460U KR200473033Y1 (ko) 2012-11-15 2012-11-15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0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257B1 (ko) * 2021-03-16 2021-09-07 주식회사 희승이엔지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탈출겸용 소방호스
KR102541516B1 (ko) * 2023-04-25 2023-06-13 주식회사 조이테크 소방용 수관 라이트 라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33B1 (ko) * 2016-01-22 2017-06-28 주식회사 포비드림 비상 응급 호출 기능을 갖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라이트 라이프 라인 장치
KR101776280B1 (ko) 2017-05-29 2017-09-19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소방용 수관 라이트 라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693Y1 (ko) * 2005-04-18 2005-07-01 강용근 피난 유도 커플링
KR200455036Y1 (ko) * 2009-07-28 2011-08-12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방차의 방수량 및 방수압력 원격조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257B1 (ko) * 2021-03-16 2021-09-07 주식회사 희승이엔지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탈출겸용 소방호스
KR102541516B1 (ko) * 2023-04-25 2023-06-13 주식회사 조이테크 소방용 수관 라이트 라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033Y1 (ko)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11773B (zh) 指示器布置、调节器释放按钮和呼吸设备
KR200473033Y1 (ko)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
US9576459B2 (en) Evacuation guidance notification device and system
ES2436302T3 (es) Sistema de iluminación que comprende una pluralidad de dispositivos de iluminación
KR20170088544A (ko) 무선 재난 화재 감지 및 방범 예방을 겸용하기 위한 휴대 조명등을 구비하는 사회 안전망 시스템
JP2008204393A (ja) 照明システム
KR101783825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729521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101213673B1 (ko) 근접 위치식별 시스템
KR101751433B1 (ko) 비상 응급 호출 기능을 갖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라이트 라이프 라인 장치
KR200408961Y1 (ko) 소방용 조명통신보조기구
KR101658710B1 (ko)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CN204840753U (zh) 一种智能消火栓箱
KR102032333B1 (ko) 건설현장용 비상유도 경보장치
KR101776280B1 (ko) 소방용 수관 라이트 라인
KR20140075119A (ko) 화재 감지수단이 탑재된 led 조명 통합 관리시스템
KR101783826B1 (ko)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JP5911143B2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KR100534550B1 (ko) 레이저를 이용한 화재진압용 관창
KR101796077B1 (ko) 발광소자를 구비한 소방용 호스 연결장치 및 그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N204229583U (zh) 消防报警应急灯
CN109899739A (zh) 一种楼道应急消防灯
CN211097242U (zh) 灭火逃生瓶底座反馈装置
CN204460029U (zh) 新型路线指引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