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812U - 골프공용 딤플 패턴 - Google Patents

골프공용 딤플 패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812U
KR20140002812U KR2020130008989U KR20130008989U KR20140002812U KR 20140002812 U KR20140002812 U KR 20140002812U KR 2020130008989 U KR2020130008989 U KR 2020130008989U KR 20130008989 U KR20130008989 U KR 20130008989U KR 20140002812 U KR20140002812 U KR 201400028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dimples
region
segment
irre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알. 매드슨
니콜라스 엠. 나르다치
Original Assignee
애쿠쉬네트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667,175 external-priority patent/US10124212B2/en
Application filed by 애쿠쉬네트캄파니 filed Critical 애쿠쉬네트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400028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8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6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5Protr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7Non-circular dimp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7Non-circular dimples
    • A63B37/0009Polygon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18Specified number of dimp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21Occupation ratio, i.e. percentage surface occupied by dimp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공 표면에 딤플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딤플은 정다면체 또는 비정형 다면체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불규칙 영역으로부터 얻은 패턴으로 배열된다. 상기 방법은 다면체의 제어점을 선택하고, 상기 제어점에 근거하여 불규칙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불규칙 영역을 딤플로 팩킹하고, 상기 골프공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불규칙 영역을 모자이크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점은 다면체 면의 중심, 상기 다면체의 정점, 상기 다면체의 모서리 상의 중간점이나 다른 점 등등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기본 다면체의 대칭이 분할선으로 인한 큰 원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면서 보존되게 한다.

Description

골프공용 딤플 패턴{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본 실용신안 출원은 2011년 10월 4일자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3/252,260호의 일부 계속 출원 및 2008년 10월 31일자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2/262,464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현재는 미국 특허 제8,029,388호인 2011년 3월 14일자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3/046,823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고, 이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고안은 골프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유하게 팩킹된 딤플 패턴을 가공 처리한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고안은 다면체에 근거하여 불규칙 영역(irregular domain)을 생성하고, 상기 불규칙 영역을 딤플로 팩킹하고, 골프공의 표면에 상기 영역을 모자이크화함(tessellating)으로써 골프공에 딤플을 배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골프공용 딤플 패턴은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 패턴, 및 구성을 가져왔다. 주로, 패턴은 볼의 초기 발사각 및 스핀 조건에 영향을 주는 특정 볼 구성, 재료 속성, 및 플레이어 특성에 근거하여 원하는 성능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조성된다. 그러므로, 패턴 개발은 적절한 공기역학 거동을 달성하는데 사용되는 이차적인 설계 단계이고, 이에 의하여 볼의 비행 특성 및 성능을 조정한다.
공중에서 볼에 의해 발생된 공기력은 볼의 속도 및 스핀의 결과이다. 이러한 힘은 양력과 항력으로 나타낼 수 있다. 양력은 비행 방향에 수직하고 회전하는 볼의 상하에서의 공기 속도 차이의 결과이다. 이러한 현상은 스피닝 구체와 원통에 대한 공기력을 연구한 후에 1853년에 이를 설명한 Magnus에 기인하고, 열역학 제1 법칙을 단순화한 베르누이 방정식으로 설명된다. 베르누이 방정식은 압력과 속도에 관련되고, 압력은 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속도 차분은, 상부에서 더 빠르게 이동하는 공기와 하부에서 더 느리게 이동하는 공기로 인해, 상부에서 낮은 공기 압력 및 볼에 상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유발한다.
항력은 의미가 비행 방향에 반대되고 양력에 직교한다. 볼에서의 항력은 압력 항력과 점성이나 표면 마찰 항력으로 이루어진 기생 항력에 기인한다. 구체는 비효율적인 공기역학 형상인 블러프 바디(bluff body)이다. 그 결과, 상기 볼 주위의 가속 흐름장은 볼 앞에 고압과 볼 뒤에 저압을 갖는 큰 압력 차분을 발생시킨다. 상기 볼 뒤의 저압 영역은 반류(wake)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압력 항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딤플은 상기 흐름장을 가압하여 흐름의 분리를 지연시키거나, 또는 상기 볼 뒤의 반류 영역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표면 마찰은 경계층 내에서 볼의 표면에 근접하여 있는 점성 영향이다.
산업계는 골프공의 공기역학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여러 노력을 보여주고 있지만, 딤플 교란 및 다른 방법은 미국 골프 협회(U.S.G.A.)인 골프 국가 단체에 의해 엄격히 통제되고 있다. U.S.G.A. 요구 사항 중 하나는 골프공이 공기역학적 대칭을 갖는 것이다. 공기역학적 대칭은 골프공이 티(tee)나 지면에 어떻게 놓여있더라고 볼이 매우 작은 변동량으로 날아가게 한다. 딤플은 골프공의 공기역학적 대칭에 불리하게 영향을 주지 않고 골프공의 최대 표면적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역학적 대칭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딤플 패턴은 기하학적 형상에 근거한다. 이는 원형, 육각형, 삼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딤플 패턴은 일반적으로 20면체, 12면체, 8면체, 정육면체, 또는 4면체를 포함하는 5개의 플라톤 입체(Platonic Solid)에 근거한다. 또 다른 딤플 패턴은 작은 십이이십면체(icosidodecahedron), 부풀린 십이이십면체(rhomicosidodecahedron), 작은 부풀린 육팔면체(rhombicuboctahedron), 다듬은 육팔면체(snub cube), 다듬은 십이이십면체(snub dodecahedron), 또는 깍은 정이십면체(truncated icosahedron)와 같은 13가지 아르키메데스 다면체(Archimedian Solid)에 근거한다. 또한, 다른 딤플 패턴은 육각형 양추에 근거한다. 대칭적인 입체 평면계의 수는 제한되기 때문에, 새로운 대칭 패턴을 창안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이러한 기하학적 형상의 일부에 근거한 딤플 패턴은 최적의 표면 범위보다 작고 다른 단점의 딤플 배열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개수, 형상, 크기, 체적, 및 배열과 같은 딤플 특성은 향상된 공기역학 특성을 갖는 골프공을 생성하기 위하여 흔히 조작된다.
Thurm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562,552호는 20면체 딤플 패턴을 갖는 골프공을 개시하고 있고, 20면체의 각 삼각 면은 20면체 면마다 3개의 삼각 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면의 모서리를 각각 양분하는 3개의 직선에 의해 분할되고, 상기 딤플은 20면체 면에 일관되게 배열된다.
Macke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046,742호는 6각형과 5각형으로 구성된 32변 다면체로 팩킹된 딤플을 갖는 골프공을 개시하고 있고, 상기 딤플 팩킹은 각 6각형 및 각 5각형에서 동일하다.
Lee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98,733호는 6개의 정삼각형으로 각각 분할된 10개의 "구체형" 6각형으로 형성된 골프공을 개시하고 있고, 각 삼각형은 삼각형의 정점과 상기 정점에 대향하는 변의 중간점 사이에서 연장되는 이등분선에 의해 분할되고, 상기 이등분선은 향상된 대칭을 달성하도록 지향된다.
Winfield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682,442호는 딤플 패턴에 예측가능한 변화를 도입하기 위하여 딤플용 팩킹 요소로서 다각형의 이용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다각형은 볼의 폴(pole)에서 분할선으로 연장된다. 상기 다각형으로부터 딤플로 채워지지 않은 임의의 공간은 다른 딤플로 채워진다.
일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실제 분할선, 복수의 허위 분할선, 및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는 외면을 갖는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딤플은 정육면체에 근거하여 중간점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으로 형성되는 두개의 불규칙 영역의 다수 복제부에 배열된다. 상기 불규칙 영역은 균일한 패턴으로 상기 볼의 외면을 커버하고 비직선형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불규칙 영역의 다수 복제부의 각각의 비직선형 세그먼트 중 하나는 상기 실제 분할선의 일부 또는 상기 복수의 허위 분할선 중 하나의 일부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골프공 표면에 복수의 딤플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중간점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을 이용하여 정육면체에 근거한 제1 및 제2 불규칙 영역을 생성하는 것, 상기 제1 및 제2 불규칙 영역을 구체에 맵핑(mapping)하는 것, 상기 제1 및 제2 불규칙 영역을 딤플로 팩킹하는 것, 및 상기 구체를 균일한 패턴으로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불규칙 영역을 모자이크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점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은 상기 정육면체의 단일 면을 제공하고 상기 면은 정점에서 제2 모서리에 연결된 제1 모서리를 포함하는 것, 상기 제2 모서리의 중간점과 함께 상기 제1 모서리의 중간점을 비직선형 세그먼트와 연결하는 것, 상기 세그먼트의 복제부를 상기 면의 중심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상기 세그먼트와 복제부가 상기 중심을 완전히 둘러싸며 상기 세그먼트와 복제부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 상기 제1 불규칙 영역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세그먼트의 후속 복제부를 상기 정점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세그먼트와 후속 복제부가 상기 정점을 완전히 둘러싸며 상기 세그먼트와 후속 복제부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 상기 제2 불규칙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는 외면을 갖는 골프공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딤플은 중간점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을 이용하여 정육면체에 근거한 제1 및 제2 불규칙 영역을 생성하는 것, 상기 제1 및 제2 불규칙 영역을 구체에 맵핑하는 것, 상기 제1 및 제2 불규칙 영역을 딤플로 팩킹하는 것, 및 상기 구체를 균일한 패턴으로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불규칙 영역을 모자이크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배열된다.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고 그와 함께 이해될 것이고,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도면에서 유사한 부품을 나타내는데 이용되는 첨부된 도면에서,
도 1a는 본 고안의 방법에 의해 배열된 딤플을 갖는 골프공을 도시하고 있고; 도 1b는 다면체 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1c는 도 1b의 다면체 면에서 본 고안의 요소를 도시하고 있고; 도 1d는 딤플로 팩킹되고 도 1c의 두 요소로 형성된 본 고안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그 위에 제어점을 갖는 다면체의 단일 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다면체 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3b는 딤플로 팩킹된 본 고안의 요소를 도시하고 있고; 도 3c는 도 3b의 요소로 형성된 딤플로 팩킹된 본 고안의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3d는 도 3c의 영역으로 형성된 본 고안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골프공을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두개의 다면체 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4b는 도 4a의 두 다면체 면에서 본 고안의 제1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4c는 3개의 다면체 면에서 본 고안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4d는 도 4c의 영역으로 형성된 본 고안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골프공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다면체 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5b는 다면체 면에서 본 고안의 제1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5c는 3개의 다면체 면에서 본 고안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5d는 도 5c의 영역으로 형성된 본 고안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골프공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다면체 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6b는 도 6a의 다면체 면에서 본 고안의 영역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고; 도 6c는 본 고안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6d는 도 6c의 영역으로 형성된 본 고안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골프공을 도시하고 있다.
도 7a는 다면체 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7b는 도 7a의 다면체 면에서 본 고안의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7c는 본 고안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골프공을 도시하고 있다.
도 8a는 다면체 면에서 본 고안의 제1 요소를 도시하고 있고; 도 8b는 도 8a의 다면체 면에서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요소를 도시하고 있고; 도 8c는 도 8b의 제1 및 제2 요소로 구성된 본 고안의 두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8d는 도 8c의 두 영역에 근거한 본 고안의 단일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8e는 도 8d의 영역으로 형성된 본 고안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골프공을 도시하고 있다.
도 9a는 다면체 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9b는 도 9a의 다면체 면에서 본 고안의 요소를 도시하고 있고; 도 9c는 본 고안의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된 도 9b의 두 요소를 도시하고 있고; 도 9d는 도 9c의 요소에 근거한 본 고안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9e는 도 9d의 영역으로 형성된 본 고안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골프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a는 사방형 12면체의 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10b는 도 10a의 면에서 본 고안의 세그먼트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c는 도 10b의 세그먼트 및 본 고안의 영역을 형성하는 세그먼트의 복제부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d는 도 10c의 세그먼트에 근거한 본 고안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10e는 도 10d의 영역으로 형성된 본 고안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골프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a는 구체에 투영된 8면체 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11b는 도 11a의 8면체 면에서 본 고안의 제1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11c는 구체에 투영된 본 고안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11d는 구체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된 도 11c의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11e는 본 고안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골프공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f는 본 고안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골프공의 다른 부분을 도시하고 있고; 도 11g는 본 고안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골프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a는 구체에 투영된 20면체 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12b는 도 12a의 20면체 면에서 본 고안의 제1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12c는 구체에 투영된 본 고안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12d는 구체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된 도 12c의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12e는 본 고안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골프공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f는 본 고안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골프공의 다른 부분을 도시하고 있고; 도 12g는 본 고안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골프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a는 구체에 투영된 정육면체 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13b는 도 13a의 정육면체 면에서 본 고안의 제1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13c는 구체에 투영된 본 고안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13d는 구체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된 도 13c의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13e는 딤플로 팩킹된 본 고안의 제1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13f는 딤플로 팩킹된 본 고안의 제2 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 13g는 본 고안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골프공을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은 정다면체 또는 비정형(non-regular) 다면체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불규칙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패턴으로 골프공 표면에 딤플을 배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다면체의 제어점을 선택하고, 상기 제어점을 비직선형 스케치 라인과 연결하고, 상기 스케치 라인을 불규칙 영역을 생성하기 위한 제1 방식으로 패턴화하고, 상기 스케치 라인을 부가적인 불규칙 영역을 생성하기 위한 제2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패턴화하고, 상기 불규칙 영역(들)을 딤플로 팩킹하고, 상기 골프공의 표면을 균일한 패턴으로 커버하도록 상기 불규칙 영역(들)을 모자이크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점은 다면체 면의 중심, 상기 다면체의 정점, 상기 다면체의 모서리 상의 중간점 또는 다른 지점, 및 등등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기본 다면체의 대칭이 성형 공정으로부터 분할선으로 인한 큰 원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면서 보존되게 한다.
도 1a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딤플(12)을 포함하는 골프공(10)을 포함한다. 도 1d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딤플(12)은 불규칙 영역(14)을 딤플(12)로 팩킹하여 배열된다. 불규칙 영역(14)은 골프공(10)의 표면에 모자이크화될 때에 종래의 볼보다 표면에 더 큰 대칭 정도(order of symmetry)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생성된다. 상기 영역(14)의 불규칙 형상은 성형 공정으로부터 골프공 분할선의 모습과 영향을 부가적으로 최소화하여, 딤플을 배열하는데 있어서 규칙적으로 형성된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유연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을 위해, "불규칙 영역(irregular domain)"이란 용어는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세그먼트가 직선이 아닌 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불규칙 영역은 여기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방법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각 방법은 구체를 정다면체의 정점으로 외접하는 것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특유 영역을 생성한다. 기점(0,0,0)을 갖는 대응하는 다면체의 정점에 근거한 상기 외접된 구체의 정점은 아래의 표 1에 규정되어 있다.
대응하는 다면체 정점에 근거한 외접된 구체의 정점
다면체의 유형 정점
4면체 (+1,+1,+1); (-1,-1,+1); (-1,+1,-1); (+1,-1,-1)
정육면체 (±1,±1,±1)
8면체 (±1,0,0); (0,±1,0); (0,0,±1)
12면체 (±1,±1,±1); (0,±1/Φ,±Φ); (±1/Φ,±Φ,0);
(±Φ,0,±1/Φ)*
20면체 (0,±1,±Φ); (±1,±Φ,0); (±Φ,0,±1)*
Figure utm00001
각 방법은 상기 골프공의 표면에 대칭적으로 패턴화되게 영역을 위해 취해지는 특유 세트의 규칙을 갖는다. 각 방법은 적어도 두개의 제어점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다. 정다면체 또는 비정형 다면체의 하나 이상의 면으로부터 취해진 이러한 제어점은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유형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유형은 다면체 면의 중심(C); 정다면체 면의 정점(V); 및 다면체 면의 모서리의 중간점(M)이다. 도 2는 다면체(본 경우에 정12면체)의 예시적인 면(16) 및 면(16) 상의 중심(C), 중간점(M), 정점(V), 및 모서리(E) 각각 하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두개의 제어점(C, M, 또는 V)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일 수 있다. 따라서, 정다면체에 사용하기 위한 6 유형의 방법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1. 중심에서 중간점으로(C->M);
2. 중심에서 중심으로(C->C);
3. 중심에서 정점으로(C->V);
4. 중간점에서 중간점으로(M->M);
5. 중간점에서 정점으로(M->V); 및
6. 정점에서 정점으로(V->V).
각 방법은 그의 상세에서는 다르지만, 이들은 모두 동일한 기본 스키마를 취한다. 첫째, 비선형 스케치 라인이 두 제어점을 연결하여 그려진다. 이러한 스케치 라인은 원호, 스플라인, 둘 이상의 직선이나 아치형 라인이나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둘째, 상기 스케치 라인은 후술할 바와 같이 영역을 생성하기 위한 구체적 방식의 방법으로 패턴화된다. 셋째, 필요한 경우에, 상기 스케치 라인은 제2 영역을 생성하기 위한 제2 방식으로 패턴화된다.
상기 기본 스키마가 6가지 방법의 각각에 대해 일관되지만, 각 방법은, 개별적으로 상기 방법의 각각을 참조하여 후술될 바와 같이, 두 제어점 사이에서 스케치 라인으로부터 상기 영역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이한 단계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에서 정점으로의 방법
도 1a-1d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중심에서 정점으로의 방법은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하나의 영역을 산출한다. 상기 영역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1. 정다면체가 선택되고(도 1a-1d는 20면체를 사용함);
2. 상기 정다면체의 단일 면(16)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고;
3. 면(16)의 중심(C) 및 면(16)의 제1 정점(V1)은 임의의 비선형 스케치 라인과 연결되고, 이하 세그먼트(18)로 지칭됨;
4. 세그먼트(18)의 복제부(copy)(20)가 중심(C)에 대하여 회전되어, 복제부(20)는 중심(C)을 정점(V1)에 인접한 정점(V2)과 연결한다. 상기 두 세그먼트(18 및 20) 및 정점(V1 및 V2)을 연결하는 모서리(E)는 도 1c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22)를 형성하고;
5. 요소(22)는 모서리(E)의 중간점(M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 1d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14)을 생성한다.
영역(14)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경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영역(14)의 상이한 개수는 제어점(C 및 V1)에 대한 근거로서 선택된 정다면체에 따라 발생할 것이다. 아래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는데 사용된 영역(14)의 개수는 다면체의 면당 모서리의 개수(PE)와 상기 선택된 다면체의 면의 개수(PF)를 곱하고 2로 나눈 수와 같다.
중심에서 정점으로의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특정 다면체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한 영역
다면체의 유형 면의 개수, PF 모서리의 개수, PE 영역(14)의 개수
4면체 4 3 6
정육면체 6 4 12
8면체 8 3 12
12면체 12 5 30
20면체 20 3 30
중심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
도 3a-3d를 참조하면, 상기 중심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은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될 수 있는 단일의 불규칙 영역을 산출한다. 상기 영역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1. 정다면체가 선택되고(도 3a-3d는 12면체를 사용함);
2. 상기 정다면체의 단일 면(16)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고;
3. 면(16)의 중심(C) 및 면(16)의 제1 모서리(E1)의 중간점(M1)은 세그먼트(18)와 연결되고;
4. 세그먼트(18)의 복제부(20)가 중심(C)에 대하여 회전되어, 복제부(20)는 중심(C)을 제1 모서리(E1)에 인접한 제2 모서리(E2)의 중간점(M2)과 연결한다. 상기 두 세그먼트(16 및 18) 및 중간점(M1 및 M2) 사이에서 모서리(E1)와 모서리(E2)의 부분은 요소(22)를 형성하고;
5. 요소(22)는 요소(22)에 포함되고 영역(14)을 생성하기 위하여 모서리(E1 및 E2)를 연결하는 면(16)의 정점(V)에 대하여 패턴화된다.
영역(14)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골프공(10) 둘레에 모자이크화되는 경우,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영역(14)의 상이한 개수는 제어점(C 및 M1)에 대한 근거로서 선택된 정다면체에 따라 발생할 것이다. 아래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는데 사용된 영역(14)의 개수는 상기 선택된 다면체의 정점의 개수(PV)와 같다.
중심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특정 다면체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한 영역
다면체의 유형 정점의 개수, PV 영역(14)의 개수
4면체 4 4
정육면체 8 8
8면체 6 6
12면체 20 20
20면체 12 12
중심에서 중심으로의 방법
도 4a-4d를 참조하면, 중심에서 중심으로의 방법은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될 수 있는 두개의 영역을 산출한다. 상기 영역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1. 정다면체가 선택되고(도 4a-4d는 12면체를 사용함);
2. 상기 정다면체의 두 인접한 면(16a 및 16b)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고;
3. 면(16a)의 중심(C1) 및 면(16b)의 중심(C2)은 세그먼트(18)와 연결되고;
4. 세그먼트(18)의 복제부(20)가 중심(C1 및 C2) 사이에서 중간점(M)을 중심으로 180도로 회전되어, 복제부(20)는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C1)을 중심(C2)과 연결한다. 상기 두 세그먼트(16 및 18)는 제1 영역(14a)을 형성하고;
5. 세그먼트(18)는 정점(V)을 중심으로 동일하게 회전되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4b)을 형성한다.
제1 영역(14a)과 제2 영역(14b)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경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영역(14a 및 14b)의 상이한 개수는 제어점(C1 및 C2)에 대한 근거로서 선택된 정다면체에 따라 발생할 것이다. 아래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는데 사용된 제1 및 제2 영역(14a 및 14b)의 개수는 제1 영역(14a)에 대한 PF*PE/2 및 제2 영역(14b)에 대한 PV이다.
중심에서 중심으로의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특정 다면체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한 영역
다면체의 유형 정점의 개수, PV 제1 영역(14a)의 개수 면의 개수, PF 모서리의 개수, PE 제2 영역(14b)의 개수
4면체 4 6 4 3 4
정육면체 8 12 6 4 8
8면체 6 9 8 3 6
12면체 20 30 12 5 20
20면체 12 18 20 3 12
중간점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
도 5a-5d, 11a-11g, 12a-12g, 및 13a-13g를 참조하면, 중간점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은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두개의 영역을 산출한다. 상기 영역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1. 정다면체가 선택되고(도 5a-5d는 12면체를 사용하고, 도 11a-11g는 8면체를 사용하고, 도 12a-12g는 20면체를 사용하고, 도 13a-13g는 정육면체를 사용함);
2. 상기 정다면체의 단일 면(16)이 도 5a, 11a, 12a, 및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에 투영되고;
3. 면(16)의 제1 모서리(E1)의 중간점(M1) 및 제1 모서리(E1)에 인접한 제2 모서리(E2)의 중간점(M2)은 도 5a, 11a, 12a, 및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18)와 연결되고;
4. 세그먼트(18)는 면(16)의 중심(C) 둘레에 360/PE와 같은 회전 각도로 패턴화되어 도 5b, 11b, 12b, 및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4a)을 형성하고;
5. 중간점(M1 및 M2) 사이에서 제1 모서리(E1)와 제2 모서리(E2)의 부분과 함께 세그먼트(18)는 도 5b, 11b, 12b, 및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22)를 형성하고;
6. 요소(22)는 도 5c, 11c, 12c, 및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4b)을 생성하기 위하여 모서리(E1 및 E2)를 연결하는 정점(V)에 대하여 패턴화된다(도 12c, 12d, 및 13d에서, 상기 제2 영역의 각 섹션은 14b로 나타나 있음). 상기 제2 영역을 형성하는 패턴에서 세그먼트의 개수는 PF*PE/PV와 같다.
제1 영역(14a)과 제2 영역(14b)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경우, 도 5d, 11d, 12d, 및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영역(14a 및 14b)의 상이한 개수는 제어점(M1 및 M2)에 대한 근거로서 선택된 정다면체에 따라 발생할 것이다. 아래의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는데 사용된 제1 및 제2 영역(14a 및 14b)의 개수는 제1 영역(14a)에 대한 PF 및 제2 영역(14b)에 대한 PV이다.
도 11a-11g에 도시된 실시예의 특정 양상에서, 세그먼트(18)는 골프공(10)의 실제나 허위(false) 분할선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위에서 단계 4 및 6에 의해 생성된 세그먼트의 각 복제부와 함께 세그먼트(18)는 상기 영역이 볼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경우에 상기 볼의 실제 및 3개의 허위 분할선을 생성한다.
도 12a-12g에 도시된 실시예의 특정 양상에서, 위에서 단계 4 및 6에 의해 생성된 세그먼트의 각 복제부와 함께 세그먼트(18)는 상기 영역이 볼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경우에 상기 볼의 실제 분할선 및 5개의 허위 분할선을 생성한다.
도 13a-13g에 도시된 실시예의 특정 양상에서, 위에서 단계 4 및 6에 의해 생성된 세그먼트의 각 복제부와 함께 세그먼트(18)는 상기 영역이 볼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경우에 상기 볼의 실제 분할선 및 3개의 허위 분할선을 생성한다.
중간점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특정 다면체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한 영역
다면체의 유형 면의 개수, PF 제1 영역(14a)의 개수 정점의 개수, PV 제2 영역(14b)의 개수
4면체 4 4 4 4
정육면체 6 6 8 8
8면체 8 8 6 6
12면체 12 12 20 20
20면체 20 20 12 12
중간점에서 정점으로의 방법
도 6a-6d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점에서 정점으로의 방법은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된는 하나의 영역을 산출한다. 상기 영역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1. 정다면체가 선택되고(도 6a-6d는 12면체를 사용함);
2. 상기 정다면체의 단일 면(16)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고;
3. 면(16)의 모서리(E1)의 중간점(M1) 및 모서리(E1) 상의 정점(V1)은 세그먼트(18)와 연결되고;
4. 세그먼트(18)의 복제부(20)가 면(16)의 중간점(M2)과 정점(V2)마다 하나인 면(16)의 중심(C)에 대하여 패턴화되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14)의 일부를 형성하고;
5. 그리고 나서, 세그먼트(18)와 복제부(20)는 그들의 각 중간점을 중심으로 180도로 회전되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14)을 완성한다.
영역(14)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경우,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영역(14)의 상이한 개수는 제어점(M1 및 V1)에 대한 근거로서 선택된 정다면체에 따라 발생할 것이다. 아래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는데 사용된 영역(14)의 개수는 PF이다.
중간점에서 정점으로의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특정 다면체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한 영역
다면체의 유형 면의 개수, PF 영역(14)의 개수
4면체 4 4
정육면체 6 6
8면체 8 8
12면체 12 12
20면체 20 20
정점에서 정점으로의 방법
도 7a-7c를 참조하면, 상기 정점에서 정점으로의 방법은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두개의 영역을 산출한다. 상기 영역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1. 정다면체가 선택되고(도 7a-7c는 20면체를 사용함);
2. 상기 정다면체의 단일 면(16)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고;
3. 면(16)의 제1 정점(V1) 및 제1 정점(V1)에 인접한 제2 정점(V2)은 세그먼트(18)와 연결되고;
4. 세그먼트(18)는 면(16)의 중심(C) 둘레에 패턴화되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4a)을 형성하고;
5. 정점(V1 및 V2) 사이에서 모서리(E1)와 함께 세그먼트(18)는 요소(22)를 형성하고;
6. 요소(22)는 모서리(E1)의 중간점(M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2 영역(14b)을 형성한다.
제1 영역(14a)과 제2 영역(14b)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경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영역(14a 및 14b)의 상이한 개수는 제어점(V1 및 V2)에 대한 근거로서 선택된 정다면체에 따라 발생할 것이다. 아래의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는데 사용된 제1 및 제2 영역(14a 및 14b)의 개수는 제1 영역(14a)에 대한 PF 및 제2 영역(14b)에 대한 PF*PE/2이다.
정점에서 정점으로의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특정 다면체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한 영역
다면체의 유형 면의 개수, PF 제1 영역(14a)의 개수 면당 모서리의 개수, PE 제2 영역(14b)의 개수
4면체 4 4 3 6
정육면체 6 6 4 12
8면체 8 8 3 12
12면체 12 12 5 30
20면체 20 20 3 30
전술한 6가지 방법은 두 제어점을 각각 이용하였지만, 두 제어점보다 많은 수에 근거하여 불규칙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나 그 이상의 제어점이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인 제어점의 사용은 불규칙 영역에 대한 잠재적인 상이한 형상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불규칙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3개의 제어점으로서 중간점(M), 중심(C), 및 정점(V)을 이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중간점에서 중심으로 정점으로의 방법
도 8a-8e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점에서 중심으로 정점으로의 방법은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하나의 영역을 산출한다. 상기 영역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1. 정다면체가 선택되고(도 8a-8e는 20면체를 사용함);
2. 상기 정다면체의 단일 면(16)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고;
3. 면(16)의 모서리(E1) 상의 중간점(M1), 면(16)의 중심(C), 모서리(E1) 상의 정점(V1)은 세그먼트(18)와 연결되고, 세그먼트(18) 및 중간점(M1)과 정점(V1) 사이에서 모서리(E1)의 일부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소(22a)를 형성하고;
4. 세그먼트(18)의 복제부(20)가 중심(C)에 대하여 회전되어, 복제부(20)는 중심(C)을 모서리(E1)에 인접한 모서리(E2) 상의 중간점(M2)과 연결하며 중심(C)을 모서리(E1 및 E2)의 교차점에서 정점(V2)과 연결하고, 중간점(M1)과 중심(C) 사이에서 세그먼트(18)의 일부, 정점(V2)과 중심(C) 사이에서 복제부(20)의 일부, 및 중간점(M1)과 정점(V2) 사이에서 모서리(E1)의 일부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요소(22b)를 형성하고;
5. 제1 요소(22a)와 제2 요소(22b)는 모서리(E1)의 중간점(M1)의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영역(14)을 형성하고,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영역(14)은 세그먼트(18)와 복제부(20)의 부분 및 세그먼트(18)의 회전(18')에 의해서만 경계를 이룬다.
영역(14)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경우,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영역(14)의 상이한 개수는 제어점(M, C, 및 V)에 대한 근거로서 선택된 정다면체에 따라 발생할 것이다. 아래의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는데 사용된 영역(14)의 개수는 다면체의 면당 모서리의 개수(PE)와 상기 선택된 다면체의 면의 개수(PF)를 곱한 수와 같다.
중간점에서 중심으로 정점으로의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특정 다면체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한 영역
다면체의 유형 면의 개수, PF 모서리의 개수, PE 영역(14)의 개수
4면체 4 3 12
정육면체 6 4 24
8면체 8 3 24
12면체 12 5 60
20면체 20 3 60
전술한 방법은 오직 제어점으로서 중심(C), 정점(V), 및 중간점(M)의 이용에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였지만, 다른 제어점이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점은 상기 선택된 다면체 면의 모서리(E) 상의 임의의 점(P)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제어점이 사용되는 경우, 부가적인 유형의 영역이 생성될 수 있지만, 상기 불규칙 영역(들)을 생성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불규칙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모서리 상의 점(P) 및 중심(C)을 이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중심에서 모서리로의 방법
도 9a-9e를 참조하면, 상기 중심에서 모서리로의 방법은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하나의 영역을 산출한다. 상기 영역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1. 정다면체가 선택되고(도 9a-9e는 20면체를 사용함);
2. 상기 정다면체의 단일 면(16)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고;
3. 면(16)의 중심(C) 및 모서리(E1) 상의 점(P1)은 세그먼트(18)와 연결되고;
4. 세그먼트(18)의 복제부(20)가 중심(C)에 대하여 회전되어, 복제부(20)는 중심(C)을 모서리(E1)에 인접한 모서리(E2) 상의 점(P2)과 연결하고, 점(P1)이 모서리(E1)에 대하여 동등하게 위치됨에 따라 점(P2)은 모서리(E2)에 대하여 동등하게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점(P1 및 P2) 사이에서 각각 모서리(E1 및 E2)의 부분과 두개의 세그먼트 및 모서리(E1 및 E2)를 연결하는 정점(V)은 도 9b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22)를 형성하고;
5. 도 9b-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것이든 요소(22) 내에 위치되는 모서리(E1)의 중간점(M1) 또는 모서리(E2)의 중간점(M2)을 중심으로 요소(22)가 회전되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14)을 형성한다.
영역(14)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경우,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영역(14)의 상이한 개수는 제어점(C 및 P1)에 대한 근거로서 선택된 정다면체에 따라 발생할 것이다. 아래의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는데 사용된 영역(14)의 개수는 다면체의 면당 모서리의 개수(PE)와 상기 선택된 다면체의 면의 개수(PF)를 곱하고 2로 나눈 수와 같다.
중심에서 모서리로의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특정 다면체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한 영역
다면체의 유형 면의 개수, PF 모서리의 개수, PE 영역(14)의 개수
4면체 4 3 6
정육면체 6 4 12
8면체 8 3 12
12면체 12 5 30
20면체 20 3 30
전술한 방법의 각각은 정다면체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카탈란 다면체(Catalan Solid) 등과 같은 비정형 다면체에 사용될 수도 있다. 불규칙 영역을 얻는데 사용된 방법은 비정형 입체의 비정형 면 형상을 처리하기 위하여 대체로 일부 수정을 필요로 할 것이다. 카탈란 다면체, 구체적으로 사방형 12면체에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사방형 12면체를 위한 정점에서 정점으로의 방법
도 10a-10e를 참조하면, 사방형 12면체에 근거한 정점에서 정점으로의 방법은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하나의 영역을 산출한다. 상기 영역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1. 상기 사방형 12면체의 단일 면(16)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고;
2. 면(16)의 제1 정점(V1) 및 제1 정점(V1)에 인접한 제2 정점(V2)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18)와 연결되고;
3. 도 10c에 모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18)의 제1 복제부(20)가 정점(V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복제부(20)는 정점(V2)을 면(16)의 정점(V3)에 연결하고, 세그먼트(18)의 제2 복제부(24)가 중심(C)에 대하여 회전되어 상기 제2 복제부(24)는 정점(V3)과 면(16)의 정점(V4)을 연결하고, 세그먼트(18)의 제3 복제부(26)가 정점(V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3 복제부(26)는 정점(V1)을 정점(V4)에 연결하고, 이에 따라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14)을 형성한다.
영역(14)이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되는 경우,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의 영역이 상기 사방형 12면체의 면마다 하나인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상기 불규칙 영역(들)이 상기 방법 중 임의의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된 후에, 상기 영역(들)은 골프공(10)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사용가능하기 위하여 딤플로 팩킹될 수 있다. 도 11e-11g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8면체에 근거한 중간점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도 11e는 딤플로 팩킹된 제1 영역(14a) 및 제2 영역(14b)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고, 상기 제1 영역(14a)의 딤플은 문자 a로 나타나 있다. 도 11f는 딤플로 팩킹된 제2 영역(14b) 및 제1 영역(14a)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고, 상기 제2 영역(14b)의 딤플은 문자 b로 나타나 있다. 도 11g는 딤플로 팩킹되고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된 제1 영역(14a) 및 제2 영역(14b)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e-12g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20면체에 근거한 중간점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도 12e는 딤플로 팩킹된 제1 영역(14a) 및 제2 영역(14b)을 도시하고 있고, 상기 제1 영역(14a)의 딤플은 문자 a로 나타나 있다. 도 12f는 딤플로 팩킹된 제2 영역(14b) 및 제1 영역(14a)을 도시하고 있고, 상기 제2 영역(14b)의 딤플은 문자 b로 나타나 있다. 도 12g는 딤플로 팩킹되고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e-13g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정육면체에 근거한 중간점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도 13e는 딤플로 팩킹된 제1 영역(14a) 및 제2 영역(14b)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f는 딤플로 팩킹된 제2 영역(14b) 및 제1 영역(14a)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g는 딤플로 팩킹되고 골프공(1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모자이크화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딤플이 팩킹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떠한 딤플도 라인 세그먼트와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딤플이 팩킹된다.
상기 영역을 팩킹하기 위하여 선택된 딤플 형상이나 프로파일에는 제한이 없다. 본 고안은 일 실시예에서 대략 원형 딤플을 포함하지만, 임의의 원하는 특성 및/또는 속성을 갖는 딤플 또는 돌출(브램블(bramble))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딤플은 상이한 깊이와 둘레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딤플은 오목형 반구체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딤플은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현수형, 다각형,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딤플은 직선형, 곡선형, 또는 경사형 모서리나 변을 가질 수 있다. 요약하면,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유형의 딤플이나 돌출(브램블)은 본 고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a, 1d, 11e-11g, 12e-12g, 및 13e-1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딤플은 각 영역 내에 모두 적합할 수 있거나, 또는 각 독립적 영역 상의 딤플 배열이 특정 골프공의 표면에서 그 영역의 모든 복제부에 걸쳐 일관되게 남아 있는 한, 도3c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딤플은 하나 이상의 영역 사이에 공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모자이크식 세공은 약 60%보다 많게, 바람직하게는 약 70%보다 많게, 더 바람직하게는 약 80%보다 많게 골프공 표면을 커버하는 딤플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영역은 딤플로 팩킹되지 않을 수 있고, 대신에 상기 불규칙 영역의 경계는 리지(ridge)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불규칙 영역을 갖는 골프공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역이나 하나 이상 세트의 영역은 채널의 표면 범위를 증가시키도록 중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불규칙 영역의 경계는 리지나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영역은 딤플로 팩킹될 수 있다.
상기 영역(들)이 골프공의 표면에 패턴화되는 경우, 그의 형상 및 기본 다면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영역의 배열은 그에 따른 골프공이 12와 같거나 이를 초과하는 높은 정도의 대칭을 갖는다. 본 고안의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골프공의 대칭 정도는 상기 불규칙 영역이 근거하는 정다각형 또는 비정형 다각형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5개의 정다면체에 근거하여 생성된 골프공에 대한 대칭 정도 및 유형은 아래의 표 10에 나타나 있다.
다면체의 기능으로서 본 고안의 골프공의 대칭
다면체의 유형 대칭 유형 대칭 정도(Symmetrical Order)
4면체 키랄(Chiral) 4면체 대칭 12
정육면체 키랄 8면체 대칭 24
8면체 키랄 8면체 대칭 24
12면체 키랄 20면체 대칭 60
20면체 키랄 20면체 대칭 60
이러한 높은 정도의 대칭은 더 균등한 딤플 분포, 높은 팩킹 효율에 대한 가능성, 및 볼 분할선을 감추기 위한 향상된 수단을 포함하는 여러 이점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딤플 패턴은 높은 정도의 대칭의 결과로서 향상된 비행 안정성 및 대칭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불규칙 영역은 볼의 표면을 완전히 커버하지 않고, 딤플로 채워질 수 있거나 채워질 수 없는 영역 사이에 개방된 공간이 있다. 이에 의하여 비대칭성이 볼에 통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딤플 패턴은 심리스(seamless) 골프공에 딤플을 팩킹하는데 특히적합한다. 또한, 심리스 골프공 및 이를 생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849,007호 및 제7,422,529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수치 하한 및 수치 상한이 본 명세서에 제시된 경우, 이들 값의 임의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우선권 문헌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모든 특허, 출판물, 시험 절차, 및 기타 참고문헌은 이러한 내용물이 본 고안과 이러한 통합이 허용되는 모든 권한에 대해 모순되지 않을 정도로 참조로서 완전히 통합된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특정되게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변형이 본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명백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 및 설명에 대해 제한되게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청구범위는 본 고안과 관련되는 동등물로서 당업자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모든 특징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있는 특허가능한 신규한 모든 특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실제 분할선, 복수의 허위 분할선, 및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는 외면을 갖고,
    상기 딤플은 정육면체에 근거하여 중간점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으로 형성되며 균일한 패턴으로 상기 외면을 커버하는 두개의 불규칙 영역의 다수 복제부에 배열되고, 상기 불규칙 영역은 비직선형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불규칙 영역의 다수 복제부의 각각의 비직선형 세그먼트 중 하나는 상기 실제 분할선의 일부 또는 상기 복수의 허위 분할선 중 하나의 일부를 형성하는
    골프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의 외면은 336개의 딤플을 포함하는 골프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의 외면은 360개의 딤플을 포함하는 골프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의 외면은 384개의 딤플을 포함하는 골프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의 외면은 390개의 딤플을 포함하는 골프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의 외면은 320개의 딤플을 포함하는 골프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의 외면은 302개의 딤플을 포함하는 골프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의 외면은 432개의 딤플을 포함하는 골프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의 외면은 342개의 딤플을 포함하는 골프공.
  10. 골프공 표면에 복수의 딤플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중간점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을 이용하여 정육면체에 근거한 제1 및 제2 불규칙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불규칙 영역을 구체에 맵핑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불규칙 영역을 딤플로 팩킹하는 단계와,
    상기 구체를 균일한 패턴으로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불규칙 영역을 모자이크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점에서 중간점으로의 방법은,
    상기 정육면체의 단일 면을 제공하는데, 상기 면은 정점에서 제2 모서리에 연결된 제1 모서리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2 모서리의 중간점과 함께 상기 제1 모서리의 중간점을 비직선형 세그먼트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세그먼트의 복제부를 상기 면의 중심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상기 세그먼트와 복제부가 상기 중심을 완전히 둘러싸며 상기 세그먼트와 복제부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 상기 제1 불규칙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세그먼트의 후속 복제부를 상기 정점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세그먼트와 후속 복제부가 상기 정점을 완전히 둘러싸며 상기 세그먼트와 후속 복제부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 상기 제2 불규칙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프공 표면에 복수의 딤플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
  11.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는 외면을 갖고, 상기 딤플은 청구항 10항의 방법에 의해 배열되는, 골프공.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그의 복제부, 및 그의 후속 복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불규칙 영역이 상기 골프공의 표면 위에 모자이크화되는 경우에 상기 골프공의 실제 분할선 및 3개의 허위 분할선을 형성하는 골프공.
KR2020130008989U 2012-11-02 2013-11-01 골프공용 딤플 패턴 KR2014000281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67,175 US10124212B2 (en) 2008-10-31 2012-11-02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13/667,175 2012-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812U true KR20140002812U (ko) 2014-05-12

Family

ID=5196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989U KR20140002812U (ko) 2012-11-02 2013-11-01 골프공용 딤플 패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02812U (ko)
CN (1) CN203971325U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9512A (en) * 1986-11-19 1989-09-26 Bridgestone Corporation Golf ball
US5046742A (en) * 1988-11-15 1991-09-10 Gary T. Mackey Golf ball
JPH0833739A (ja) * 1994-02-07 1996-02-06 Acushnet Co 複数のディンプルが形成された球面を有するゴルフボール
JPH08141111A (ja) * 1994-11-28 1996-06-04 Kumho & Co Inc ゴルフボール
US5562552A (en) * 1994-09-06 1996-10-08 Wilson Sporting Goods Co. Geodesic icosahedral golf ball dimple pattern
JP2004209258A (ja) * 2003-01-06 2004-07-29 Acushnet Co 飛行性能が改善されたゴルフボール
US20100113187A1 (en) * 2008-10-31 2010-05-06 Nardacci Nicholas M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9512A (en) * 1986-11-19 1989-09-26 Bridgestone Corporation Golf ball
US5046742A (en) * 1988-11-15 1991-09-10 Gary T. Mackey Golf ball
JPH0833739A (ja) * 1994-02-07 1996-02-06 Acushnet Co 複数のディンプルが形成された球面を有するゴルフボール
US5562552A (en) * 1994-09-06 1996-10-08 Wilson Sporting Goods Co. Geodesic icosahedral golf ball dimple pattern
JPH08141111A (ja) * 1994-11-28 1996-06-04 Kumho & Co Inc ゴルフボール
JP2004209258A (ja) * 2003-01-06 2004-07-29 Acushnet Co 飛行性能が改善されたゴルフボール
US20100113187A1 (en) * 2008-10-31 2010-05-06 Nardacci Nicholas M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971325U (zh)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4212B2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9504877B2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9440115B2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8029388B2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9849341B2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20130072325A1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9833664B2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9855465B2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20190269976A1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KR200488033Y1 (ko) 골프공용 딤플 패턴
US10398942B2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20230211209A1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11918859B2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JP5827531B2 (ja) ゴルフボールのディンプルパターン
KR20140002812U (ko) 골프공용 딤플 패턴
US20170246509A1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10376740B2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20230347211A1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10293212B2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20230256300A1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20170225040A1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20170225041A1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JP6466530B2 (ja) ゴルフボールのディンプルパターン
US9795833B2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JP2019188167A (ja) ゴルフボールのディンプルパタ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