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913A -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대기 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대기 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913A
KR20140001913A KR1020137013129A KR20137013129A KR20140001913A KR 20140001913 A KR20140001913 A KR 20140001913A KR 1020137013129 A KR1020137013129 A KR 1020137013129A KR 20137013129 A KR20137013129 A KR 20137013129A KR 20140001913 A KR20140001913 A KR 20140001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ntrol
transmitter
receiver
message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3820B1 (ko
Inventor
하키랏 싱
치우-? 노
루크 치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0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carrier sensing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04N21/63345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by transmitting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directed to server
    • H04N21/63775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directed to server for uploading keys, e.g. for a client to communicate its public key to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1Time-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bstract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들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지연들을 줄이는 것은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한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간의 데이터 통신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할 수 있는 시간 기간를 위해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컨텐츠 보호를 위해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기로 무선으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응답으로,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단계는,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기 위한 시간 기간을 위해 무선 채널을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간 기간은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간의 제어 메시지 교환을 위한 지연을 줄이기 위해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위해 단일 통신 기회 기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대기 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MINIMIZING LATENCIES FOR CONTENT PROTECTION IN AUDIO/VIDEO NETWORK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컨텐츠 보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들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대기 시간들(Latencies)의 최소화에 관한 것이다.
고-대역폭 디지털 컨텐츠 보호(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HDCP) 2.0과 같이 존재하는 컨텐츠 보호 메커니즘들(Mechanisms)은 디지털 시스템들에서 디바이스들 간 전송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Audio and Video Content: A/V Content)의 디지털 복사 방지 방법(Digital Copy Protection Approaches)를 제공한다. 이러한 메커니즘들은 이러한 A/V 컨텐츠의 복사 방지를 시도한다. 그러나, HDCP 2.0과 같은 메커니즘들은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프레임 교환에 대해 매우 엄격한 요구사항들을 도입하고 있다.
HDCP 프로토콜에 따르면,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는 메시지들의 쌍 간의 라운드 트립 타임(Round Trip Time: RTT)이 규정된 기간보다 적도록 요구함으로써, AV 컨텐츠에 대한 집약성(Locality)를 강요한다. 이러한 시도는 홈 네트워크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를 넘어 A/V 컨텐츠가 분포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집약성 검사를 위해, 송신기는 집약서 검사를 시작한 이후, 감시 타이머(Watchdog timer)를 설정하고, 수신기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것이 예측되는 기간 전까지의 시간 기간을 기다린다. 집약성 검사는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통신에서 시간 기간이 RTT보다 적은 경우에만 컨텐츠 보호 키가 교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RTT를 충족시키는 것은 IEEE 820.11 표준(IEEE 802.11 Standards)(예를 들면, 와이-파이(Wi-Fi) 네트워크)에 근거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과 같은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에서 어렵고 예측이 불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무선 통신 매체에 접속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랜덤 액세스 딜레이는 RTT로 도입될 수 있다. 프레임 교환 지연이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HDCP에서와 같은 RTT를 이용한 집약성 검사는 랜덤 액세스 딜레이들, 스트림 설정을 위한 긴 딜레이들이 야기되므로, 실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 방법은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한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간의 데이터 통신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할 수 있는 시간 기간(Time Period)를 위해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컨텐츠 보호를 위해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기로의 제어 요청 메시지를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 간의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에서 지연을 줄이기 위해, 상기 시간 기간이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위해 단일 통신 기회 기간(Single Transmission Opportunity Period)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는 시간 기간을 위해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 이전에 전송 기회 기간을 예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기회 기간을 예약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기회 기간을 예약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기로 전송 요청(Request-to-Send: RTS)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기회 기간을 위해 상기 통신 매체를 예약하기 위해서 상기 RTS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송신기로 송신 준비 완료(Clear-to-Send: CTS)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무선 송신기가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수신기에게 상기 무선 통신 매체의 제어를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CK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송신기는 전송 기회 기간의 나머지를 해제하기 전에 ACK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의 전송 이후 상기 전송 기회 기간의 나머지의 예약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수용할 수 있는 시간 기간, 상기 무선 수신기에서 프로세싱 지연(Processing Delay), 및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의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단일 송신 기회 기간 내에 상기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ACK를 전송한 후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무선 수신기에서의 프로세싱 지연 기간에서 무선 통신 매체의 사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무선 수신기가 더미 메시지(Dummy Message)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ACK를 전송한 후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무선 송신기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통신 기회 기간을 연장하도록 하도록 상기 무선 수신기에서의 프로세싱 지연 기간에서 무선 통신 매체의 사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무선 수신기가 더미 메시지(Dummy Message)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집약성 검사(Locality Check) 메시지 교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은, 만약 집약성 검사가 성공하면,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는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약성 검사 메시지 교환은 고대역 디지털 컨텐츠 보호(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HDCP)에 따른 검사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채널 매체는 주파수 무선 채널(Radio Frequency Wireless Channel)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내에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송신기는 오디오/비디오 소스(Source)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는 오디오/비디오 싱크(Sink)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은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내에서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송신기; 및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무선 송신기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고, 무선 채널을 통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간 데이터 통신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는 시간 기간을 위한 무선 채널을 예약하는 지연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컨텐츠 보호를 위해 상기 무선 송신기는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 수신기로의 제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것은,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 간의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에서 지연을 줄이기 위해, 상기 시간 기간이 무선 채널을 통한 통신을 위해 단일 통신 기회 기간(Single Transmission Opportunity Period)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는 시간 기간을 위해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한다.
상기 전송 기회 기간은 상기 전송 기회 기간을 예약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기로 전송 요청(Request-to-Send: RTS)을 전송하고, 상기 전송 기회 기간을 위해 상기 무선 채널을 예약하기 위해서 상기 RTS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송신기로 송신 준비 완료(Clear-to-Send: CTS)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 전에 예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무선 송신기가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에게 상기 무선 통신 매체의 제어를 승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CK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 후, 상기 전송 기회 기간 예약의 나머지를 해제하기 전에 ACK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송신기는 전송 기회 기간의 나머지를 해제하기 전에 ACK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통신 매체의 예약은,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수용할 수 있는 시간 기간, 상기 무선 수신기에서 프로세싱 지연(Processing Delay), 및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의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단일 송신 기회 기간 내에 상기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ACK를 전송한 후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통신 기회 기간을 연장하도록 하도록 상기 무선 수신기에서의 프로세싱 지연 기간에서 무선 통신 매체의 사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무선 수신기가 더미 메시지(Dummy Message)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ACK를 전송한 후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무선 송신기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통신 기회 기간을 연장하도록 하도록 상기 무선 수신기에서의 프로세싱 지연 기간에서 무선 통신 매체의 사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무선 수신기가 더미 메시지(Dummy Message)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집약성 검사 메시지(Locality Check Message) 교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집약성 검사가 성공하면,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는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약성 검사 메시지 교환은 고대역 디지털 컨텐츠 보호(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HDCP)에 따른 검사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채널은 무선 채널 주파수(a Radio Frequncy)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내에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송신기는 HDCP 송신기를 포함하는 오디오/비디오 소스(Source)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는 HDCP 송신기를 포함하는 오디오/비디오 싱크(Sink)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은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내의 상기 무선 채널을 통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기에 있어서,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물리(Physical: PHY) 계층을 포함하고, 무선 채널을 통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간 데이터 통신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는 시간 기간을 위한 무선 채널을 예약하는 지연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컨텐츠 보호를 위해 상기 무선 송신기는 상기 무선 수신기로의 제어 요청 메시지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것은,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 간의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에서 지연을 줄이기 위해, 상기 시간 기간이 무선 채널을 통한 통신을 위해 단일 통신 기회 기간(Single Transmission Opportunity Period)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는 시간 기간을 위해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기에 있어서,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송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물리(Physical: PHY) 계층을 포함하고,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간 데이터 통신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는 시간 기간을 위한 무선 채널을 예약하는 지연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컨텐츠 보호를 위해 상기 무선 송신기는 상기 무선 수신기로의 제어 요청 메시지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것은,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 간의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에서 지연을 줄이기 위해, 상기 시간 기간이 무선 채널을 통한 통신을 위해 단일 통신 기회 기간(Single Transmission Opportunity Period)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는 시간 기간을 위해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무선 A/V 디바이스들간의 컨텐츠 보호 메시지 교환의 집약성(Locality) 검사를 위한 시간을 줄이기 위한 컨텐츠 보호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컨텐츠 보호 프로세스는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두 디바이스들 간의 컨텐츠 통신의 보호를 위해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무선 디바이스들 간의 프레임 교환에서의 지연을 줄인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보호를 위한 제어 메시지 교환에서의 지연 감소를 구현하는, 소스(Source) 오디오/비디오(Audio/Video: A/V) 디바이스 및 목적지 AV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의 블록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을 도시한다.
도 1B는 집약성 검사를 구현하는 집약성 검사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TCP/IP) 스택(Stack)을 구현하는 무선 스테이션의 전형적인 통신 모듈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데이터 통신 보호를 위한 지연 감소를 이용한 제어 메시지 교환의 타임 라인(Time Line)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데이터 통신 보호를 위한 지연 감소를 이용한 제어 메시지 교환의 타임 라인(Time Line)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데이터 통신 보호를 위한 지연 감소를 이용한 제어 메시지 교환의 타임 라인(Time Line)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A에 관한 무선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 보호를 위한 지연 감소를 이용한 제어 메시지 교환의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B에 관한 무선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 보호를 위한 지연 감소를 이용한 제어 메시지 교환의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C에 관한 무선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 보호를 위한 지연 감소를 이용한 제어 메시지 교환의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유용한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정보 프로세싱 시스템을 도시하는 높은 레벨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들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지연들을 줄이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Wi-Fi(Wi-Fi 얼라이언스는 IEEE 802.11 표준을 기반으로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디바이스들의 상호 운용성을 위한 특정 기준들을 제공하는 산업 협회이다.) 기술들을 구현하는 무선 네트워크들과 같은 무선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들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지연들을 최소화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Wi-Fi 디스플레이는 Wi-Fi 기술들의 응용이다.
일 실시예로서, 무선 소스 디바이스 및 무선 싱크 디바이스 간 오디오/비디오(Audio/Video: A/V)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무선 소스 및 싱크 디바이스들은 전송 기회를 기간을 획득하기 위해 무선 채널에 대해 주장한다. 무선 채널에 접속하려고 시도하면 무선 네트워크 내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숫자에 의존적으로 전송 기회 기간을 획득하는 것에는 예측할 수 없는 지연이 발생한다. 이러한 지연은 HDCP 프로토콜의 사용과 같은 컨텐츠를 보호하는 보호를 정착시키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내의 무선 디바이스들 간의 메시지 교환에 영향을 미친다.
HDCP 프로토콜에 따르면,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는 메시지 쌍 간에 라운드 트립 타임(Round Trip Time: RTT)이 규정된 기간보다 적도록 요구함으로써, A/V 컨텐츠에 대한 집약성을 강요한다. 이러한 시도는 홈 네트워크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를 넘어 A/V 컨텐츠가 분포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집약성 검사를 위해 송신기는, 집약성 검사를 시작한 후, 감시 타이머(Watchdog Timer)를 설정하고, 수신기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것이 예측되는 기간 전까지의 시간 기간을 기다린다. 집약성 검사는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통신에서 시간 기간이 RTT보다 적은 경우에만 컨텐츠 보호 키가 교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RTT를 충족시키는 것은 IEEE 820.11 표준(IEEE 802.11 Standards)(예를 들면, 와이 파이(Wi-Fi) 네트워크)에 근거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과 같은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에서 어렵고 예측이 불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무선 통신 매체에 접속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랜덤 액세스 딜레이는 RTT로 도입될 수 있다. 프레임 교환 지연이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HDCP에서와 같은 RTT를 이용한 집약성 점검은 랜덤 액세스 딜레이들, 스트림 설정을 위한 긴 딜레이들이 야기되므로, 실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보호를 위한 제어 메시지 교환에서의 지연 감소를 구현하는, 소스(Source) 오디오/비디오(Audio/Video: A/V) 디바이스 및 목적지 AV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의 블록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을 도시한다. 도 1B는 컨텐츠 보호와 관련된 패킷들(HDCP 제어 메시지(Control msg))의 교환을 위한 HDCP 2.0을 사용하는 TCP/IP의 프로토콜 스택(10)을 도시한다. 컨텐츠 보호 메시지 프레임 교환 지연은 무한정하므로, 연결이 끊기거나, 사용자의 만족이 부족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네트워크/인터넷 계층(Network/Internet Layer), 링크 계층(Link Layer): 가장 높은 계층부터 가장 낮은 계층까지를 포함하는 TCP/IP 모델의 계층들은 물리적(Physical) 및 데이터(Data) 링크(Link) 서브 계층들(Sub-layers)을 포함한다. TCP/IP 계층들은 오픈 시스템 아키텍쳐 (Open System Architecture: OSI)에 느슨하게 맵핑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무선 A/V 디바이스들 간 집약성 검사 컨텐츠 보호 메시지 교환(Locality Check Content)을 위한 시간을 줄이기 위한 컨텐츠 보호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컨텐츠 보호 프로세스는 무선 통신 매체(예를 들면, 주파수(Radio Frequency) 무선 채널)을 통한 두 디바이스들 간의 컨텐츠 통신의 보호를 위해 무선 네트워크 내의 무선 디바이스들 간의 프레임 교환에서 지연을 줄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교환과 관련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지연을 줄이기 위해, 컨텐츠 프로텍션 프로세스는 무선 채널에서 전송을 위해 단일 전송 기회(즉, IEEE 802.11 내의 TXOP((Transmission Opportunity)) 내에서 요청 및 응답 프레임을 교환하기 위해 충분한 긴 기간을 수용할 수 있는 무선 채널을 예약한다. 전송 기회 기간(Transmission Opportunity Period)의 예약은 연속적인 요청 및 응답 프레임에 뒤따르는 송신 요구(Request-to-Send: RTS) 및 송신 준비 완료(Clear-to-Send: CTS)를 전송함으로써 달성된다. Wi-Fi 디스플레이 기술은 IEEE 802.11 성능들을 구비한 무선 디바이스들을 활용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보호 프로세스는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게 유용하다.
Wi-Fi 디스플레이 기술과 관련된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연 요구들을 만족시키면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지연을 줄이기 위해 기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다른 무선 시스템들에서의 컨텐츠 보호에서도 유용하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의해 컨텐츠 보호를 위한 시간을 줄이기 위한 컨텐츠 보호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아래와 같은 용어들이 사용된다: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는 무선으로 오디오 비디오(Audio Video: AV) 컨텐츠를 송신하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무선 채널을 포함한다.
Wi-Fi 디스플레이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는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으로 오디오 비디오(Audio Video: AV) 컨텐츠를 수신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컨텐츠 보호는 저작권이 달린(Copy-Righted) 컨텐츠들을 보호하기 위한 필요조건(Requirement)이다.
컨텐츠 보호 송신기 또는 Wi-Fi 디스플레이 소스는 보호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컨텐츠 보호 수신기 또는 Wi-Fi 싱크는 보호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20)은 무선 소스 디바이스(22)(예를 들면,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 및 무선 싱크 디바이스(24)(예를 들면, Wi-Fi 디스플레이 싱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레임 구조는 디바이스(22 및 24)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프레임 구조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들(22 및 24)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디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및 물리(Physical: PHY) 계층 내의 프레임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송신기 디바이스 내에서, MAC 계층은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MAC Service Data Unit: MSDU)을 수신하고,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AC Protocol Data Unit: MPDU)를 구성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에 MAC 헤더(MAC Header)를 덧붙인다. MAC 헤더는 소스 주소(Source Address: SA) 및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 DA)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MPDU는 PHY 서비스 데이터 유닛(PHY Service Data Unit: PSDU)의 일부이고, PHY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HY Protocol Data Unit: PPDU)를 구성하기 위해서 PHY 헤더(즉, PHY 프리엠블(Preamble))을 덧붙이기 위해 송신기와 같은 무선 스테이션 내의 PHY 계층으로 전송된다. PHY 헤더는 코딩(Coding)/변조(Modulation) 방식을 포함하는 전송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PHY 계층은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비트들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하드웨어(Hardware)를 포함한다. 송신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기 디바이스로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PPDU에 프리엠블(Preamble)이 붙여지고, 프리엠블은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 및 동기화 정보(Synchronization Information)을 포함한다.
무선 소스 디바이스(22)는 PHY 계층(22A)(예를 들면 Wi-Fi PHY), MAC 계층(22B)(예를 들면, Wi-Fi MAC), HDCP 송신기 계층(22C) 및 어플리케이션 계층(22D)를 포함하고, 어플리케이션 계층(22D)는 오디오/비디오 계층(22E)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계층(22D) 및 오디오/비디오 계층(22E)의 일 실시예는 A/V 데이터를 비디오 스트림들(Video Streams)을 패킷화(Packetizing)하기 위해 A/V 데이터를 전처리(Pre-Process) 하고, 그 후, MAC 계층에 의해 MAC 패킷들로 변환한다. 어플리케이션 계층(22D)는 추가적으로 패킷들의 전송을 위해 무선 채널에 접속하기 위해 스트림 전송 요청 및 제어 명령을 보내는 AV/C 제어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PHY 계층(22A)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스(Baseband Process)의 제어 하에 신호들을 전송/수신하는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통신 라디오(Radio)를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스는 제어 정보 및 오디오/비디오 정보를 통신하도록 해준다.
무선 싱크 디바이스(24)는 PHY 계층(24A)(예를 들면 Wi-Fi PHY), MAC 계층(24B)(예를 들면, Wi-Fi MAC), HDCP 수신기 계층(24C) 및 어플리케이션 계층(24D)를 포함하고, 어플리케이션 계층(24D)는 오디오/비디오 계층(24E)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계층(24D) 및 오디오/비디오 계층(24E)는 수신된 MAC 패킷들 내의 비디오 정보들을 스트림들(Streams)로 디-패킷화하기(De-Packetizing) 위해 A/V 데이터를 후처리(Post-Processong) 한다. 디-패킷화는 패킷화의 반대 작업이다. 어플리케이션 계층(24D)는 추가적으로 패킷들의 전송을 위해 무선 채널에 접속하기 위해 스트림 전송 요청 및 제어 명령을 보내는 AV/C 제어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PHY 계층(24A)는 PHY 계층(22A)와 유사하다. 추가적으로(또는 대신에) 전형적인 무선 전송에서, 방향성 전송(예를 들면, 빔포밍을 통해, 방향성 안테나들)이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MAC/PHY 계층들은 안테나 트레이닝(Antenna Tranining) 및 빔 스위칭 제어(Beaming Switching Control)을 수행할 수 있다.
프레임 교환과 관련된 컨텐츠 보호에서 지연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보호 프로세스(예를 들면, 링크 계층 또는 아이피/네트워크/인터넷(IP/Network/Internet) 계층 내에 구현된 프로세스), 및 무선 채널에서 전송을 위해 단일 전송 기회(즉, IEEE 802.11 내의 TXOP((Transmission Opportunity)) 내에서 요청 및 응답 프레임을 교환하기 위해 충분한 긴 기간을 수용할 수 있는 무선 채널을 예약한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보호 프로세스는 도 1A에서 도시된 지연 제어 모듈들(22F 및 24F)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들(22F 및 24F)은 HDCP 계층들(22C 및 24C)에 각각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들(22F 및 24F)는 MAC 계층들(22B 및 24B)에 각각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들(22F 및 24F)는 MAC 계층들(22B 및 24B) 및 HDCP 계층들(22C 및 24C)에 에 구현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보호를 위해서, 소스 디바이스(22) 및 싱크 디바이스(24)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통신에 이어 집약성 검사를 사용하여 컨텐츠 보호가 가능하도록 소스 디바이스(22)(예를 들면, 송신기)로부터 싱크 디바이스(24)(예를 들면, 수신기)로 무선 채널을 통해 집약성, 키 등과 같은 타임-크리티컬(Time Critical) HDCP 제어 메시지들(프레임들)(23)을 교환한다. HDCP 송신기 및 HDCP 수신기는 HDCP 제어 메시지들 쌍 간의 라운드 트립 타임(Round Trip Time: RTT)이 규정된 기간보다 적도록 요구함으로써, AV 컨텐츠에 대한 집약성(Locality)를 강요한다. 이러한 시도는 홈 네트워크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를 넘어 A/V 컨텐츠가 분포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HDCP 제어 메시지들(23)은 일반적으로 소스(22)로부터 싱크(24)로의 요청 프레임 및 싱크(24)로부터 소스(22)로의 응답 프레임과 같은 두번의 교환을 포함한다. 도 1A는 HDCP 계층(22C)가 MAC 계층(22B) 위에 있고, HDCP 계층(24C)가 MAC 계층(24B)에 있을 때의 경우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받지 않으며, 각 HDCP 계층들(22C, 24C)는 TCP/IP 스택(Stack) 위에 있을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보호 프로세스 내의 컨텐츠 보호 제어 프레임 교환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기와 같이 도 3A의 컨텐츠 보호 프로세스(40)에 따른 제어 메시지 교환 타임 라인(30)을 도시한다.
프로세스 블록 41: 컨텐츠 보호 송신기(예를 들면, 소스 무선 스테이션(22))는 최소한 요청 및 응답 프레임 교환들을 커버하는데 충분히 긴 시간 기간을 위한 무선 채널을 예약하기 위해 RTS(41A)를 전송한다.
프로세스 블록 42: 컨텐츠 보호 수신기(예를 들면, 싱크 무선 스테이션(24))는 RTS에 대해 RTS를 수신했음을 알리고, RTS에 따른 시간 기간을 위해 레거시(Legacy) 무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이웃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다른 무선 스테이션들)로부터 무선 채널을 예약하기 위해 CTS(42A)로 응답한다.
프로세스 블록 43: 컨텐츠 보호 송신기는 제어 요청 프레임(43A)(예를 들면, HDCP 제어 요청 프레임)을 송신하고, 또한 컨텐츠 보호 수신기에게 무선 채널을 위한 전송 접속을 승인한다(요청 프레임의 MAC 헤더 내의 RDG 비트를 1로 설정함으로써).
프로세스 블록 44: 컨텐츠 보호 수신기는 제어 응답 프레임(45A)를 전송하기 전에 ACK(44A)를 전송한다.
프로세스 블록 45: 컨텐츠 보호 수신기가 무선 채널로 접속할 권한을 가졌기 때문에, 컨텐츠 보호 수신기는 제어 응답 프레임(45A)(예를 들면, HDCP 제어 응답 프레임)을 컨텐츠 보호 송신기에게 전송한다. 응답은 ACK(44A)로부터의 짧은 인터프레임 공간(Short Interframe Space: SIFS)(IEEE 802.11 표준 내의 SIFS) 또는 축소된 인터프레임 공간(Reduced Interframe Space: RIFS) 구간 뒤에 전송될 수 있다. 응답 프레임(45A)에서, 컨텐츠 보호 송신기에게 무선 채널의 제어를 주기 위해 프레임 내의 더 많은 PPDU 비트들이 0으로 설정된다.
프로세스 블록 46: 컨텐츠 보호 송신기는 응답 프레임(45A)에 대한 응답으로 ACK(46A)를 전송한다.
프로세스 블록 47: 컨텐츠 보호 송신기는 무선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하지 않는 전송 기회 기간(Unused Transmission Opportunity Period)을 돌려주기(풀어주기(Release)) 위해 CF-END 프레임(47A)를 송신한다.
이처럼, 송신기(소스) 및 수신기(싱크) 간 컨텐츠 보호를 위한 양방향 제어 메시지 교환의 한 라운드(Round)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프로세스 블록 47에서 컨텐츠 보호 송신기 대신에 컨텐츠 보호 수신기가 사용하지 않는 전송 기회 기간을 돌려주기 CF-END 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TXOP의 나머지의 해제는 송신기 또는 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송 기회 기간을 결정하기 위해, 특별한 경우에는 컨텐츠 보호 수신기(예를 들면, 무선 싱크 디바이스(24))는 SIFS + ACK 기간 내에 컨텐츠 보호 제어 응답 프레임을 생성하지 못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컨텐츠 보호 송신기(예를 들면, 무선 소스 디바이스(22))는 제어 메시지 응답(예를 들면, HDCP 제어 메시지 응답)을 생성할 때 컨텐츠 보호 수신기에서 발생하는 지연을 정밀하게 결정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 컨텐츠 보호 수신기는 컨텐츠 보호 수신기에서 프로세싱 지연(Processing delay)를 조작함으로써, 전송 기회 기간을 연장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보호 제어 프레임 교환을 도시하며, 컨텐츠 보호 송신기(소스 디바이스)는 컨텐츠 보호 수신기(싱크 디바이스)에서의 프로세싱 지연을 위한 추정을 가지고, 컨텐츠 보호 수신기는 제어 응답을 생성하기 전에 더미 프레임(Dummy Frame)(예를 들면, QoS-Null 프레임)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기와 같이 도 3B의 컨텐츠 보호 프로세스(40)에 따른 제어 메시지 교환 타임 라인(30)을 도시한다.
프로세스 블록 61: 컨텐츠 보호 송신기(예를 들면, 소스 무선 스테이션(22))는 컨텐츠 보호 수신기(예를 들면, 싱크 무선 스테이션(24))에서의 컨텐츠 보호 프로세싱 지연(Dp)을 포함하는 최소한 요청 및 응답 프레임 교환들을 커버하는데 충분히 긴 시간 기간을 위한 무선 채널을 예약하기 위해 RTS(51)를 전송한다.
프로세스 블록 62: 컨텐츠 보호 수신기(예를 들면, 싱크 무선 스테이션(24))는 RTS에 대해 RTS를 수신했음을 알리고, RTS에 따른 시간 기간을 위해 이웃하는 무선 디바이스들로부터 무선 채널을 예약하기 위해 CTS(52)로 응답한다.
프로세스 블록 63: 컨텐츠 보호 송신기는 요청 프레임(53)을 송신하고, 또한 요청 프레임(53)의 MAC 헤더 내의 RDG 비트를 1로 설정함으로써 컨텐츠 보호 수신기에게 무선 채널을 위한 전송 접속을 승인한다.
프로세스 블록 64: 컨텐츠 보호 수신기는 더 많은 PPDU 비트들을 1로 설정한 ACK(54)를 전송한다.
프로세스 블록 65: 컨텐츠 보호 수신기가 무선 채널로 접속할 권한을 가졌기 때문에, 컨텐츠 보호 수신기는 제어 응답 프레임(예를 들면, HDCP 제어 응답 프레임)을 컨텐츠 보호 송신기에게 전송한다. 그러나, 응답 프레임은 SIFS/RIFS 시간에 전송될 수 없고, 무선 채널 아이디얼(Wireless Channel Ideal)을 유지하는 것이 다른 무선 스테이션들이 실수로 채널을 잡을 가능성을 가진다. 수신기는 Dp 기간에 무선 채널 사용(Wireless Channel Busy)를 유지하기 위해 QoS-NULL 프레임(55)와 같은 더미 프레임을 송신한다.
프로세스 블록 66: Dp 이후, 컨텐츠 보호 송신기는 컨텐츠 보호 송신기에게 무선 채널의 제어를 돌려주기 위해 프레임 내의 더 많은 PPDU 비트를 0으로 설정한 제어 응답 프레임(56)(예를 들면, HDCP 제어 응답)을 전송한다.
프로세스 블록 67: 컨텐츠 보호 송신기는 응답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CK(57)를 전송한다.
프로세스 블록 68: 컨텐츠 보호 송신기는 무선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하지 않는 전송 기회 기간(Unused Transmission Opportunity Period)을 돌려주기(풀어주기(Release)) 위해 CF-END 프레임(58)를 송신한다. 이처럼, 컨텐츠 보호를 위한 양방향 제어 메시지 교환의 한 라운드가 완료된다
이처럼, 컨텐츠 보호를 위한 양방향 제어 메시지 교환의 한 라운드(Round)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프로세스 블록 68에서 컨텐츠 보호 송신기 대신에 컨텐츠 보호 수신기가 사용하지 않는 전송 기회 기간을 돌려주기 CF-END 를 전송할 수도 있다.
특별한 경우에, 컨텐츠 보호 송신기(예를 들면, 소스 디바이스(22))는 컨텐츠 보호 수신기(예를 들면, 싱크 디바이스(24))에서 발생하는 Dp를 추정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보호 수신기는 이어지는 제어 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HDCP 제어 응답 메시지) 및 이에 따르는 ACK를 커버하기 위해 컨텐츠 보호 수신기에서 프로세싱 지연(Processing delay)를 조작함으로써, NAV 값을 연장(기간 필드를 설정함으로써)한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기와 같이 도 3C의 컨텐츠 보호 프로세스(80)에 따른 제어 메시지 교환 타임 라인(70)을 도시한다.
프로세스 블록 81: 컨텐츠 보호 송신기(예를 들면, 소스 무선 스테이션(22))는 최소한 컨텐츠 보호 요청 및 응답 프레임들을 커버하는데 충분히 긴 시간 기간을 위한 무선 채널을 예약하기 위해 RTS(71)를 전송한다.
프로세스 블록 82: 컨텐츠 보호 수신기(예를 들면, 싱크 무선 스테이션(24))는 RTS(71)에 대해 RTS(71)를 수신했음을 알리고, RTS에 따른 시간 기간을 위해 이웃하는 무선 디바이스들로부터 무선 채널을 예약하기 위해 CTS(72)로 응답한다.
프로세스 블록 83: 컨텐츠 보호 송신기는 요청 프레임(예를 들면, HDCP 제어 요청 프레임)(73)을 송신하고, 또한 요청 프레임(73)의 MAC 헤더 내의 RDG 비트를 1로 설정함으로써 컨텐츠 보호 수신기에게 무선 채널을 위한 전송 접속을 승인한다.
프로세스 블록 84: 컨텐츠 보호 수신기는 더 많은 PPDU 비트들을 1로 설정한 ACK(54)를 전송한다.
프로세스 블록 85: 컨텐츠 보호 수신기가 무선 채널로 접속할 권한을 가졌다. 제어 응답 프레임(예를 들면, HDCP 제어 응답 프레임)이 즉시 전송될 수 없기 때문에, 컨텐츠 보호 수신기는 Dp 기간에 무선 채널 사용(Wireless Channel Busy)를 유지하기 위해 QoS-NULL 프레임와 같은 더미 프레임(75)을 송신한다. 다른 제 3의 파티의 무선 스테이션에서는 더미 프레임의 기간 필드(Duration Field)는 NAV 타임이 연장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2C에서, 더미 프레임의 수신이 t 시간 유닛들로 NAV를 연장한다. RTS 프레임(71)의 전송은 NAV를 t 시간 유닛들로 설정한다. TXOP 를 연장할 때, 강화된 분산 채널 접속 전송 기회 기간(An Enhanced Distrubuted Channel Access Transmission Opportunity Period: EDCA TXOP)의 기간(즉, IEEE 802.11 에 따른 EDCA TXOP)은 접속 카테고리(Access Category: AC)를 위해 접속 지점(Access Point: AP) 무선 스테이션의 dot11QAPEDCATXOPLimit MIB 변수(Variable) 및 AP 스테이션이 아닌(Non-AP Station)에서의 dot11EDCATableTXOPLimit MIB 테이블에 의해 정해져 있다. EDCA는 TXOP를 위해 채널에 대해 비-경쟁(Contention-Free) 접속을 제공한다. TXOP는 스테이션이 가능한 많은 프레임을 보낼 수 있는 동안의 규정된 시간 간격이다(전송 기간이 TXOP의 최대 기간을 넘어서 연장되지 않는 한).
프로세스 블록 86: Dp 이후, 컨텐츠 보호 송신기는 컨텐츠 보호 송신기에게 무선 채널의 제어를 돌려주기 위해 프레임 내의 더 많은 PPDU 비트를 0으로 설정한 제어 응답 프레임(76)(예를 들면, HDCP 제어 응답)을 전송한다.
프로세스 블록 87: 컨텐츠 보호 송신기는 응답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CK(77)를 전송한다.
프로세스 블록 88: 컨텐츠 보호 수신기는 Dp의 값을 알기 때문에, 컨텐츠 보호 수신기는 Dp에 근거한 정확한 양에 의해 TXOP를 연장한다. 그러므로 대개의 경우, TXOP가 낭비되지 않으며, CF-END 메시지를 보낼 필요도 없다. 그러나, 만약 필요한 경우 도 3B의 프로세스 블록 68과 유사하게, 컨텐츠 보호 송신기는 CF-END 프레임을 보낼 수 있다. 이처럼, 컨텐츠 보호를 위한 양방향 제어 메시지 교환의 한 라운드가 완료된다.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이 끝난 후, 제어 메시지 교환 집약성 검사가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즉, 무선 메시지 교환에서의 RTT가 HDCP 프로토컬에 따른 시간 제한 보다 짧은 경우), 소스 및 싱크는 무선 채널을 통해 그들 사이에서 A/V 데이터의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A, 2A, 2B, 2C, 3A, 3B, 3C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프로세스는 메시지 교환 프로세스 및, 소스 및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A/V 데이터 전송 전에 집약성 검사에서 무선 소스 및 싱크 디바이스 간의 제어 메시지 교환에서 지연을 줄이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보호와 관련된 요청 및 응답 프레임들을 수용하기 위한 전송 기회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무선 싱크 및 무선 소스 간의 프레임 교환 시간과 관련된 컨텐츠 보호 지연들을 줄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접속 보호 방법 및 시스템을 포함하고, 무선 소스 디바이스(예를 들면, Wi-Fi 디스플레이 소스)는 TXOP를 획득하고, 요청 제어 메시지(예를 들면, HDCP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TXOP의 제어를 무선 싱크(예를 들면, Wi-Fi 디스플레이 싱크)에게 명백하게 승인한다. 무선 싱크는 더미 프레임(예를 들면, QoS-NULL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응답(예를 들면, HDCP 응답 프레임)을 지연하고, 선택적으로 제어 메시지 응답을 커버하도록 TXOP를 연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보호 매커니즘들에서의 구현 비용을 줄인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예시 구조들은 무선 디바이스들에서, 무선 송신기들, 무선 수신기들, 무선 트랜시버(Wireless Transciever), 무선 네트워크들 등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Program Instruction), 소프트웨어 모듈들(Software Modules), 마이크로 코드(Microcode),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미디어인 컴퓨터 프로그램 상품(Computer Program Product), 논리 회로들(Logic Circuit), 어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펌웨어(Firmware), 가전 제품(Consumer Electronic Devices) 등, 많은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완전히 하드웨어로 형성된 실시예, 완전히 소프트웨어로 형성된 실시예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둘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유용한 컴퓨터 시스템(200)을 포함하는 정보 프로세싱 시스템을 도시하는 높은 레벨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컴퓨터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211)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전기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Electronic Display Device)(212)(그래픽(Graphics), 텍스트 및 다른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메인 메모리(Main Memory)(213)(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 저장 디바이스(214)(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탈착 가능한 저장 디바이스(Removable Storage Device)(215)(예를 들면, 탈착 가능한 저장 드라이브(Removable Storage Drive), 탈착 가능한 메모리 모듈(Removable Memory Module), 마그네틱 테이프 드라이브(Magnetic Tape Drive), 광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k Drive),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가 안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rface)(216)(예를 들면, 키보드, 터치스크린, 키패드,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 및 통신 인터페이스(217)(예를 들면, 모뎀(Modem),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더넷 카드(Ethernet Card)와 같은), 통신 포트 또는 퍼스널 컴퓨터 메모리 카드 국제협회(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Association: PCMCIA) 슬롯(Slot) 및 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7)은 컴퓨터 시스템 및 외부 디바이스들 간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시스템(200)은 추가적으로 전술된 디바이스들/모듈들(211 내지 217)이 연결된 통신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108)(예를 들면, 통신 버스(Communication Bus), 크로스-오버 바(Cross-Over Bar) 또는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17)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는, 신호를 운송하고, 유선(Wire) 또는 케이블(Cable), 광섬유(Fiber Optics), 전화선(Phone Line), 핸드폰 링크(Cellular Phone link), 주파수 링크 및/또는 다른 통신 채널들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통신 링크들을 통해 전기적, 전자기적, 광학적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07)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다른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블록 다이어그램 및/또는 플로우차트들을 나타내는 컴퓨터 프로그램 지시어(Computer Program Instruction)는 컴퓨터,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또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생산하기 위해 일련의 동작들을 야기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에 적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 장치들(시스템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의 플로우차트 도면 및/또는 블록 다이어그램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도면/다이어그램들의 각 블록, 또는 그들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지시어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계 지시어(Machine Instruction)들을 생산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지시어들이 제공되고, 이러한 지시어들이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고, 플로우챠트 및/또는 블록 다이어그램 내의 특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들을 생성한다. 플로우차트/블록 다이어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로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블록들 내에 알려진 기능들은 도면들에서 알려진 순서와는 다르게, 또는 동시에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컴퓨터 사용가능 매체(Computer Usable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메인 메모리, 제 2 메모리, 탈착 가능한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디스크 및 신호들과 같은 미디어를 나타낸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은 컴퓨터 시스템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이 데이터, 지시어, 메시지 또는 메시지 패킷들 및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허락한다. 예를 들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롬(Read Only Memory: ROM),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Disk Drive Memory), CD-ROM 및 다른 영구적인 저장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들 사이에 데이터 및 컴퓨터 지시어들과 같은 정보를 운반하는데 유용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지시어들은 플로우챠트 및/또는 블록 다이어그램 블록 또는 블록들 내에 특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하는 지시어들을 포함하는 제조 기사를 생성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지시어를 저장하도록, 컴퓨터,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특별한 방식의 기능들을 위한 다른 장치들을 지시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들(Computer Programs)(즉, 컴퓨터 제어 로직(Computer Control Logic))는 메인 메모리 및/또는 제 2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실행될 때, 컴퓨터 시스템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가 컴퓨터 시스템의 특징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들읜 컴퓨터 시스템의 컨트롤러(Controller)들로 나타난다.
비록 본 발명은 특정 버전(Version)들을 참조하여 기재되었으나, 다른 버전 또한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는 명세서에 포함된 명세서에서 선호되는 버전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30)

  1.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한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간의 데이터 통신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할 수 있는 시간 기간(Time Period)를 위해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컨텐츠 보호를 위해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기로의 제어 요청 메시지를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 간의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에서 지연을 줄이기 위해, 상기 시간 기간이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위해 단일 통신 기회 기간(Single Transmission Opportunity Period)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는 시간 기간을 위해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 이전에 전송 기회 기간을 예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기회 기간을 예약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기회 기간을 예약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기로 전송 요청(Request-to-Send: RTS)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기회 기간을 위해 상기 통신 매체를 예약하기 위해서 상기 RTS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송신기로 송신 준비 완료(Clear-to-Send: CTS)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무선 송신기가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수신기에게 상기 무선 통신 매체의 제어를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CK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송신기는 전송 기회 기간의 나머지를 해제하기 전에 ACK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의 전송 이후 상기 전송 기회 기간의 나머지의 예약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수용할 수 있는 시간 기간, 상기 무선 수신기에서 프로세싱 지연(Processing Delay), 및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의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단일 송신 기회 기간 내에 상기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ACK를 전송한 후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무선 수신기에서의 프로세싱 지연 기간에서 무선 통신 매체의 사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무선 수신기가 더미 메시지(Dummy Message)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ACK를 전송한 후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무선 송신기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통신 기회 기간을 연장하도록 하도록 상기 무선 수신기에서의 프로세싱 지연 기간에서 무선 통신 매체의 사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무선 수신기가 더미 메시지(Dummy Message)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집약성 검사(Locality Check) 메시지 교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만약 집약성 검사가 성공하면,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는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약성 검사 메시지 교환은 고대역 디지털 컨텐츠 보호(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HDCP)에 따른 검사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매체는 주파수 무선 채널(Radio Frequency Wireless Channel)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기는 오디오/비디오 소스(Source)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는 오디오/비디오 싱크(Sink)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은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내에서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송신기; 및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무선 송신기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고,
    무선 채널을 통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간 데이터 통신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는 시간 기간을 위한 무선 채널을 예약하는 지연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컨텐츠 보호를 위해 상기 무선 송신기는 상기 무선 수신기로의 제어 요청 메시지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것은,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 간의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에서 지연을 줄이기 위해, 상기 시간 기간이 무선 채널을 통한 통신을 위해 단일 통신 기회 기간(Single Transmission Opportunity Period)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는 시간 기간을 위해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기회 기간은 상기 전송 기회 기간을 예약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기로 전송 요청(Request-to-Send: RTS)을 전송하고, 상기 전송 기회 기간을 위해 상기 무선 채널을 예약하기 위해서 상기 RTS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송신기로 송신 준비 완료(Clear-to-Send: CTS)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 전에 예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무선 송신기가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에게 상기 무선 통신 매체의 제어를 승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CK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 후, 상기 전송 기회 기간 예약의 나머지를 해제하기 전에 ACK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송신기는 전송 기회 기간의 나머지를 해제하기 전에 ACK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매체의 예약은,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수용할 수 있는 시간 기간, 상기 무선 수신기에서 프로세싱 지연(Processing Delay), 및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의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단일 송신 기회 기간 내에 상기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ACK를 전송한 후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통신 기회 기간을 연장하도록 하도록 상기 무선 수신기에서의 프로세싱 지연 기간에서 무선 통신 매체의 사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무선 수신기가 더미 메시지(Dummy Message)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상기 ACK를 전송한 후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무선 송신기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통신 기회 기간을 연장하도록 하도록 상기 무선 수신기에서의 프로세싱 지연 기간에서 무선 통신 매체의 사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무선 수신기가 더미 메시지(Dummy Message)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집약성 검사 메시지(Locality Check Message) 교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만약 집약성 검사가 성공하면,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는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집약성 검사 메시지 교환은 고대역 디지털 컨텐츠 보호(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HDCP)에 따른 검사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채널은 무선 채널 주파수(a Radio Frequncy)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내에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기는 HDCP 송신기를 포함하는 오디오/비디오 소스(Source)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는 HDCP 송신기를 포함하는 오디오/비디오 싱크(Sink)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은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내의 상기 무선 채널을 통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9. 무선 송신기에 있어서,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물리(Physical: PHY) 계층을 포함하고,
    무선 채널을 통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간 데이터 통신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는 시간 기간을 위한 무선 채널을 예약하는 지연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컨텐츠 보호를 위해 상기 무선 송신기는 상기 무선 수신기로의 제어 요청 메시지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것은,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 간의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에서 지연을 줄이기 위해, 상기 시간 기간이 무선 채널을 통한 통신을 위해 단일 통신 기회 기간(Single Transmission Opportunity Period)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는 시간 기간을 위해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신기.
  30. 무선 수신기에 있어서,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송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물리(Physical: PHY) 계층을 포함하고,
    무선 채널을 통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간 데이터 통신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는 시간 기간을 위한 무선 채널을 예약하는 지연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은,
    컨텐츠 보호를 위해 상기 무선 송신기는 상기 무선 수신기로의 제어 요청 메시지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것은,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 간의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에서 지연을 줄이기 위해, 상기 시간 기간이 무선 채널을 통한 통신을 위해 단일 통신 기회 기간(Single Transmission Opportunity Period)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어 메시지 교환을 수용하는 시간 기간을 위해 무선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기.
KR1020137013129A 2010-11-22 2011-11-21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대기 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853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621710P 2010-11-22 2010-11-22
US61/416,217 2010-11-22
PCT/KR2011/008861 WO2012070811A2 (en) 2010-11-22 2011-11-21 Method and system for minimizing latencies for content protection in audio/video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913A true KR20140001913A (ko) 2014-01-07
KR101853820B1 KR101853820B1 (ko) 2018-05-02

Family

ID=4606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129A KR101853820B1 (ko) 2010-11-22 2011-11-21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대기 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87580B2 (ko)
EP (1) EP2643958B1 (ko)
KR (1) KR101853820B1 (ko)
CN (1) CN103329609B (ko)
WO (1) WO201207081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2456B2 (en) * 2009-10-27 2013-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ontent protection locality check with adaptive timelin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794949B2 (en) 2010-07-30 2017-10-1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istributed rate allocation and collision detection in wireless networks
US8855088B2 (en) * 2010-12-22 2014-10-07 Intel Corporation Reverse protocol for low latency wireless applications
WO2012122508A2 (en) * 2011-03-09 2012-09-13 Board Of Regents Network rout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30034061A1 (en) * 2011-08-02 2013-02-07 Broadcom Corporation Reverse direction protocol implementation
US9345040B2 (en) 2012-07-10 2016-05-17 Broadcom Corporation Securing transmit openings
US9144094B2 (en) 2012-10-29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a wireless display session between a computing device and a vehicle head unit
US9036478B2 (en) 2013-01-11 2015-05-19 Broadcom Corporation Securing transmit openings by the requester
US9161275B2 (en) * 2013-03-08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802.11 media access
US20150063251A1 (en) * 2013-08-30 2015-03-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xtending a reverse direction grant on a wireless network
US9560674B2 (en) * 2014-09-22 2017-01-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Virtual busy-tone for full-duplex wireless networks
KR102216451B1 (ko) * 2014-10-01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0263750B2 (en) 2014-12-23 2019-04-16 Intel Corporation Cross indication of queue size in a reverse direction protocol
WO2019139665A1 (en) * 2018-01-12 2019-07-18 Marvel World Trad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of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s
US20190289543A1 (en) * 2018-03-15 2019-09-19 Qualcomm Incorporated Sniff early termination indica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for wireless devices
US11076158B2 (en) * 2019-09-09 2021-07-27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WiFi latency using transmit opportunity and du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4288B1 (en) * 1999-05-17 2001-11-27 Intel Corporation Cipher core in a content protection system
US7184401B2 (en) 2001-02-05 2007-02-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Link-aware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CN1233180C (zh) 2001-11-24 2005-12-21 Lg电子株式会社 分组传输调度技术
US7428216B2 (en) 2002-01-15 2008-09-23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licy and admission control in packet-based communication systems
US8005055B2 (en) 2003-07-23 2011-08-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managing conges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613300B2 (en) 2003-09-26 2009-11-03 Genesis Microchip Inc. Content-protected digital link over a single signal line
JP4768729B2 (ja) * 2004-05-07 2011-09-0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媒体の分散的予約方法
US20060268886A1 (en) 2005-05-04 2006-11-3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WLAN control frames
US20070058559A1 (en) 2005-09-15 2007-03-1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of assigning priority to detection messages
US7688819B2 (en) 2006-03-06 2010-03-30 Cisco Technology, Inc. Faster routing protocol convergence using efficient message markup
US20070258419A1 (en) 2006-05-04 2007-11-08 Hitachi, Ltd. Network adaptive priority managemen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20080019347A1 (en) * 2006-07-18 2008-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data over wireless network
KR100919417B1 (ko) * 2006-08-25 2009-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대화형 방송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684430B2 (en) 2006-09-06 2010-03-23 Hitachi, Ltd. Frame-based aggregation and prioritized channel access for traffic ov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7948961B2 (en) * 2007-01-26 2011-05-24 Sibeam, Inc. Wireless proximity estimation
US8744081B2 (en) 2007-03-22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content protection in a wireless digital system
US8023976B2 (en) 2007-05-03 2011-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ccurate clock synchronization for communication networks
CN101582818A (zh) * 2008-05-12 2009-11-18 株式会社Ntt都科摩 在混合无线网络中减少控制信令开销的方法及装置
US8259949B2 (en) 2008-05-27 2012-09-0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
US8358670B2 (en) * 2008-12-30 2013-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acket
US8369257B2 (en) * 2008-12-31 2013-02-05 Stmicroelectronics, Inc. Reliable and deterministic communication protocol
US8582456B2 (en) 2009-10-27 2013-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ontent protection locality check with adaptive timelin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27937A1 (en) 2012-05-24
KR101853820B1 (ko) 2018-05-02
EP2643958B1 (en) 2018-08-15
CN103329609A (zh) 2013-09-25
WO2012070811A2 (en) 2012-05-31
WO2012070811A3 (en) 2012-09-27
EP2643958A4 (en) 2016-06-29
US8687580B2 (en) 2014-04-01
CN103329609B (zh) 2017-02-08
EP2643958A2 (en)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820B1 (ko)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한 대기 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966520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10201015B2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s and methods
US200902256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round trip time test
US20080232335A1 (en) Enhanced Network Allocation Vector Mechanism for Optimal Reuse of the Spectru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50089045A1 (en) Method of providing priority-based discriminated services in wireless LAN environment
US7975074B2 (en) Data transmitting method with multiple token mechanism in wireless token ring protocol
US2019023920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network allocation vect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JP7015806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7244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packets o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2008028430A (ja) 送信装置
US8594122B2 (en) Transmit announcement indication
TWI416903B (zh) 於多重網路上進行通信之方法及裝置
US20070133430A1 (en) Periodic media reservation method for QoS data having periodic transmission characteristic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070133431A1 (en) Media access control method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20080099602A (ko) 무선 네트워크의 전송 보호 방법
JP2006129044A (ja) 無線パケット制御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端末
KR101657884B1 (ko) 통신 자원의 효율 개선을 위한 rts/cts 핸드쉐이킹 방법
Awais et al. Hybrid WLAN Markov Chain to Handle TCP and UDP Traffic
KR20090017313A (ko) 무선 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2283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Selvakennedy Performance Analysis of DCF Access Schemes over IEEE 802.11 A Physical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