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671U -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671U
KR20140001671U KR2020130005185U KR20130005185U KR20140001671U KR 20140001671 U KR20140001671 U KR 20140001671U KR 2020130005185 U KR2020130005185 U KR 2020130005185U KR 20130005185 U KR20130005185 U KR 20130005185U KR 20140001671 U KR20140001671 U KR 201400016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iontophoresis
smart mobile
patch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희
이장섭
Original Assignee
최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희 filed Critical 최현희
Priority to KR2020130005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671U/ko
Publication of KR20140001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6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1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oporation, e.g.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부와 제어부를 갖고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와; 약물 또는 화장품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Hydrogel)층을 갖고 피부에 부착고정되는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와;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를 연결하여 상기 제어부와 전원부에 의해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를 작동시키는 전류 발생부를 구비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Electric Control Apparatus of Iontophoresis using Smart Mobile Device}
본 고안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범용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를 활용하여 유무선 통신을 거쳐 다운받아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피부에 부착된 마스크나 패치에 연결된 전류 발생부를 거쳐 마스크나 패치에 제공되는 미세전류의 세기와 적용시간을 적절히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가인 종래의 특수 정류장치 및 프로그래밍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저렴한 비용인 전류 발생부와 마스크나 패치 및 어플리케이션만 구입하면 보유한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서 간편하고 저렴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전류제어를 할 수 있으며, 특히 패치에 연결된 전류 발생부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간에 블루투스 칩 등의 근거리 통신기구를 활용하여 공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좀 더 편리하게 컨트롤할 수 있고, 전류 발생부를 최소화해서 신체에 거부감 없이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를 통해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기술인 경피 약물전달시스템은 일정한 혈중농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위장관에 독성을 나타내는 약물의 경우, 이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약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부를 통해 직접 전신순환계로 흡수되기 때문에 간에서 일어나는 약물이 혈류를 통해 간으로 이송되면 해독작용에 의해 분해 또는 대사되어 약효가 사라지는 현상(First pass effect)을 피할 수 있어 간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생체 이용률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투여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투여 부위가 체외표면에 있기 때문에 환자 상태에 따라 손쉽게 투여중지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제제의 크기나 용량 등을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만들 수 있어 투약 상의 조절을 비교적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사용이 간편하며 환자의 약물사용 순응도가 크기 때문에 장기 투여에 적합하다.
이에 처음으로 상용화된 경피흡수제제는 1981년 시바(Ciba)에서 발매한 트랜스덤 스콥(Transderm-Scop)으로 현기증, 구토 등을 일으키는 동요증(Motion-sickness)을 억제하는 스코폴라민(Scopolamine)을 72시간 동안 방출시킬 수 있는 제제이다. 이후로 미국 에프디에이(FDA)는 수십가지의 패치제(피부에 붙이는 제제의 일종)를 허가했으며 약 20여종의 악물이 경피흡수 제제로 개발되어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있고 2001년도에는 전세계적으로 약 40억불의 시장을 형성하였으며 향후 큰 발전을 거둘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경피 약물전달방법이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종 질환의 치료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지 않는 이유는 피부가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입이나 체내로부터의 수분의 증발을 막는 피부 장벽으로서 작용하고 있어서 일반 생체막에 비해 물질의 투과성이 매우 낮아 유효 혈중 농도가 매우 낮은 약물들인 경우에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많은 연구들이 약물의 경피흡수를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개발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런 경피 흡수촉진 방법은 피부에 자극이나 손상을 입히지 않고 피부의 흡수장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투과도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말하며, 물리적, 화학적 및 생화학적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는 화학적 방법(Chemical approach)은 여러 가지 흡수 증강 화합물(Skin permeation enhancer)을 약물과 동시에 투여하는 방법이다. 물리적 방법에는 이온영동(Iontoporesis), 전기충격(Electroporasis), 미세주사바늘을 통한 투여방법(Microneedle), 초음판(Sonophoresis), 피부처리(Stripping of stratum corneum), 피부수화(Hydration of stratum corneum) 및 열에너지 공급 등의 방법이 있다. 생화학적 방법(Biochemical approach)으로는 분해나 대사 후 활성형으로 바뀌는 약물 및 약물이 피부를 통과하는 도중 대사에 의해 소실되는 것을 막아주는 스킨메타볼리즘 인히비터(Skin metabolism inhibitors)의 동시투여를 들 수 있다.
이중에서 물리적 방법 투과증진법인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는 생리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전류를 피부에 가함으로써 전기적인 반발력 및 전기삼투압 작용에 의해 전하를 가진 약물 및 중성 약물의 경피 흡수를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약물의 종류에 따라 패치제 같은 단순 확산에 의한 방법에 비해 5 ~ 50배의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패치에 의해서는 투여량을 전류세기 및 전류적용시간을 조절하여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전문 의료 인력의 도움 없이 약물의 투여를 환자가 손쉽게 온, 오프(ON/OFF)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즉,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의 원리는 주로 통전에 의해 양극 및 음극 간에 생긴 전계중을 플러스로 차지한 분자가 양극에서 나와 음극으로, 마이너스로 차지한 분자가 음극에서 나와 양극으로 이동하는 힘에 의거하여 약제분자의 피부 배리어 투과를 촉진하는 것이다. 이온토포레시스에 있어서 일반적인 형태에는 전원, 약제리저버(reservoir)전극, 전해질리저버 전극이 포함된다. 전극에는 은이나 염화은으로 대표되는 활성전극과 카본, 백금 및 티탄 등의 비활성전극이 있다. 비활성전극은 통전 중에 애노드측에서는 수소이온 및 산소가스가 발생하고, 캐소드측에서는 히드록실 이온 및 수소가스가 아래의 반응식과 같이 발생한다. 이들의 비활성 전극에 의하여 생성되는 수소이온이나 히드록실이온은 피부자극을 유발하거나, 약제수율의 저하를 야기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애노드측: 2H2 O 4H+ O2 4e-
캐소드측: 2H2 O 2e- 20H_ H2
또한, "항주름제로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0.001 내지 5 중량%와 레티닐 팔미테이트 0.001 내지 5 중량%를 리포좀에 캡슐화하여 안정성 및 경피흡수성을 증대시키고 이를 하이드로겔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시트 제형으로 제조한 주름 방지형 시트 조성물"이 구비하여 항주름 성분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비타민 A 유도체들을 리포좀에 캡슐화시킴으로써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리포좀과 피부막과의 구조적 친화성을 이용해 경피흡수율을 증대시키고 이를 기존의 화장품 제형에서 기대할 수 없었던 고수분 함유 하이드로겔 시트 제형에 적용하여 주름 억제의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종래기술로 특허등록 제10-0428491호가 등록공고된바 있다.
그러나, 소비자가 이런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가인 특수 정류장치 및 프로그래밍 장치를 갖는 별도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구입하여야 하는바, 소비자가 직접 구입하여 사용하기에는 소요되는 비용이 너무 고가인 관계로 활성화가 무척 더디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런 고가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구입하였어도 이 장치를 소비자나 환자의 증상이나 병세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기에는 그 작동방법을 배우고 익히기에는 적지 않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또한, 지속적인 기능의 업그레이드에는 한계가 있으며, 지속적인 기능의 업그레이드를 위해서는 적지 않은 비용의 유지관리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범용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를 활용하여 유무선 통신을 거쳐 다운받아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피부에 부착된 마스크나 패치에 연결된 전류 발생부를 거쳐 마스크나 패치에 제공되는 미세전류의 세기와 적용시간을 적절히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가인 종래의 특수 정류장치 및 프로그래밍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저렴한 비용인 전류 발생부와 마스크나 패치 및 어플리케이션만 구입하면 보유한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서 간편하고 저렴하면서도 효율적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패치에 연결된 전류 발생부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간에 블루투스 칩등의 근거리 통신기구를 활용하여 공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좀 더 편리하게 컨트롤할 수 있고, 전류 발생부를 최소화해서 신체에 거부감 없이 착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어부를 갖고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와; 약물 또는 화장품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Hydrogel)층을 갖고 피부에 부착고정되는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와;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를 연결하여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이온토포레시스의 마스크 또는 패치를 작동시키는 전류 발생부를 구비한다.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의 제어부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어플, 앱; Application)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류 발생부는, 그 일측이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의 내장된 블루투스 또는 근거리 통신 구성물과, 내부에 있는 블루투스 또는 근거리통신칩 간의 통신을 통해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작동신호를 보내 제어작동 하여, 전류 발생부가 충전지 또는 건전지나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직접 연결된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 등에 적절한 작동신호 전류를 보낸다.
상기 전류 발생부는, 그 일측이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의 연결단자부 또는 이어폰연결부에 통전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원부와 제어부로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 등에 조절전류를 보내 제어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류 발생부의 전원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받거나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다.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는; 이온토포레시스에 의해 약물이온을 투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작용측 전극구조체 및 비작용측 전극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이들 작용측 전극구조체 및 비작용측 전극구조체에는 다른 극성으로 접속되는 직류 전원이 형성되고; 상기 작용측 전극구조체는, 적어도 상기 직류 전원에 있어서의 상기 약물이온과 동종의 극성에 접속된 작용측 전극과, 이 작용측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약물이온이 되는 약물을 보유하는 약액보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비작용측 전극구조체는, 적어도 상기 직류 전원에 있어서의 상기 약물이온과 반대의 극성에 접속된 비작용측 전극과, 이 비작용측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해액을 보유하는 전해액 보유부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제어부인 어플리케이션(어플, 앱; Application)을 갖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이온토포레시스의 마스크 또는 패치를 작동시키는 전류 발생부를 구비하되,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이온토포레시스의 마스크 또는 패치의 활용 의약품 또는 화장품의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아이디나 식별기록을 중앙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환자나 사용자의 기록, 환자나 사용자 관리에 활용되며, 의사나 관리자가 이온토포레시스의 마스크 또는 패치의 약물 투입시간, 주기, 적절량 등을 통신으로 원격 조절한다.
상기 전류 발생부 내부에는 근거리통신망칩 이외에 필요에 따라 상기 좀 더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 마이콤 및 이와 관련된 기타 전자 소자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범용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를 활용하여 유무선 통신을 거쳐 다운받아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패치와 연결된 전류 발생부와 유무선으로 제어하여 마스크나 패치에 제공되는 미세전류의 세기와 적용시간을 적절히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가인 종래의 특수 정류장치 및 프로그래밍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저렴한 비용인 전류 발생부와 마스크나 패치 및 어플리케이션만 구입하면 보유한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서 간편하고 저렴하면서도 효율적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인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중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중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류 발생부가 유선으로 결합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인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중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류 발생부가 분리되어 무선으로 작동되는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중 근거리통신망칩을 갖는 전류 발생부가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중 근거리통신망칩과 마이콤을 갖는 전류 발생부가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인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중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다른 실시예의 전류 발생부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인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중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작동순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인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중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사용자아이디를 묻는 작동순서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는, 전원부(11)와 제어부(12) 및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통신칩(15)을 갖고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10)와, 약물 또는 화장품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Hydrogel)층을 갖고 피부에 부착고정되는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와,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및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20)를 연결하여 상기 제어부(12) 의해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20)를 작동시키는 전류 발생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10)의 제어부(12)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내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어플, 앱; Application)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는, 이온토포레시스에 의해 약물이온을 투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작용측 전극구조체(22) 및 비작용측 전극구조체(23)로 이루어지되, 이들 작용측 전극구조체(22) 및 비작용측 전극구조체(23)에는 다른 극성으로 접속되는 직류 전원이 형성되고, 상기 작용측 전극구조체(22)는, 적어도 상기 직류 전원에 있어서의 상기 약물이온과 동종의 극성에 접속된 작용측 전극(22a)과, 이 작용측 전극(2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약물이온이 되는 약물을 보유하는 하이드로겔층인 약액보유부(2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비작용측 전극구조체(23)는, 적어도 상기 직류 전원에 있어서의 상기 약물이온과 반대의 극성에 접속된 비작용측 전극(23a)과, 이 비작용측 전극(2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해액을 보유하는 하이드로겔층인 전해액 보유부(23b)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상기 작용측 전극(22a) 및 비작용측 전극(23a)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섬유형상의 금속 및 그 염화물 중 하나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전류 발생부(30)는, 그 일측이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10)의 연결단자부(13) 또는 에어폰연결부(14)에 삽입되거나 하여 통전연결되는 단자통전부(32,33)가 함께 또는 별도로 형성되고, 그 타측은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에 연결되는 음극과 양극의 극성을 갖는 연결선(34,35)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전원부(11)와 제어부(12)로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20)에 전원과 작동신호를 보내 제어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전류 발생부(30)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12)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콤(31)을 더 형성시켜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기능들을 보다 자동으로 작동실행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류 발생부(30)의 일측에는 보다 원활한 전기적인 작동을 위해서 충전지 또는 건전지(38)가 내장되고, 보조전원입력부(36)가 형성되어 별도전원부(36a)의 외부전원이 외부에서 투입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10)와, 전류 발생부(30)와 피부에 부착하여 미용성분이나 약물성분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타입의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로 구성되어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10)가 유무선 통신을 통해서 이온토포레시스와 관련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디스플레이에 설치된 제어부(12)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먼저 사용자가 자동과 수동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동을 선택하면, 사용하는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의 의약품이나 화장품의 종류를 선택하고, 그 적용유무를 선택하면서 그 작동시간 및 작동전류의 세기 또는 펄스의 변위 등을 설정하며, 사용자 아이디(ID)를 묻으며, 사용자가 등록된 아이디를 입력하면 이를 인지하여 상기 전류 발생부(30)에 의해 연결된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의 의약품이나 화장품을 피부에 주입시키며, 이때 사용자의 정보 및 적용하거나 애용한 기록을 서버에 기록시키고 종료된다.
또한, 사용자가 자동을 선택하면, 사용하는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 제품에 인쇄된 큐알코드(QR코드; Quick Response Code)의 정보를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일측의 카메라(16)로 읽어 감지하며, 이 제품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최종버전을 서버에서 찾아 다운로드하여 실행시키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아이디(ID)를 묻으며, 사용자가 등록된 아이디를 입력하면 이를 인지하여 상기 전류 발생부(30)에 의해 연결된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의 의약품이나 화장품을 피부에 주입시키며, 이때 사용자의 정보 및 적용하거나 애용한 기록을 서버에 기록시키고 종료되고, 신규 사용자일 경우에는 사용자 신규등록을 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가 미리 저장된 기록에 없을 경우에는 알람을 작동시켜 알리고 바로 종료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전류 발생부(30)를 통해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20)로 전달되는 출력전류량 및 작동시간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보낼 수 있어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중 하나인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는 시중에서 저렴한 가격의 전류 발생부(30)와 애플리케이션 및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20)만을 구입하면, 누구나 손쉽게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에 함유된 약물이나 화장품을 사용자의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 침투시키는 방법을 보다 저렴하면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 :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11 : 전원부 12 : 제어부 13 : 연결단자부 14 : 이어폰연결부 15 : 근거리통신망칩 16 : 카메라 20 :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 22 : 작동측 전극구조체 22a : 작용측 전극 22b : 약액 보유부 23 : 비작동측 전극구조체 23a : 비작동측 전극 23b : 전해액 보유액 30 : 전류 발생부 31a,31b : 블루투스 온오프 스위치 31c: 블루투스 동작다이오드 32,33 : 단자통전부 34,35 : 연결선 36 : 보조전원입력부 36a : 별도전원부 37: 마이콤 38 : 충전지 또는 건전지

Claims (6)

  1.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고, 그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12)는 어플리케이션(어플, 앱; Application) 형태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10);
    약물 또는 화장품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Hydrogel)층을 갖고 피부에 부착고정되는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 및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와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20)를 연결하여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의해 상기 이온토포레시스의 마스크 또는 패치(20)를 작동시키는 전류 발생부(30)를 구비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
  2. 제어부(12)를 갖고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10);
    약물 또는 화장품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Hydrogel)층을 갖고 피부에 부착고정되는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 및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와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20)를 연결하여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의해 상기 이온토포레시스의 마스크 또는 패치(20)를 작동시키는 전류 발생부(30)는, 그 일측이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10)의 내장된 블루투스 또는 근거리 통신 구성물과, 내부에 있는 블루투스 또는 근거리통신칩(15) 간의 통신을 통해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작동신호를 보내 제어작동 하여, 전류 발생부(30)가 충전지 또는 건전지(38)나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직접 연결된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에 작동신호 전류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
  3. 제어부(12)를 갖고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10);
    약물 또는 화장품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Hydrogel)층을 갖고 피부에 부착고정되는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 및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와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20)를 연결하여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의해 상기 이온토포레시스의 마스크 또는 패치(20)를 작동시키는 전류 발생부(30)는, 그 일측이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Smart Mobile Device)(10)의 연결단자부(13) 또는 이어폰연결부(14)에 통전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전원부(11)와 제어부(12)로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20) 등에 조절전류를 보내 제어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류 발생부(30)의 전원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받거나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마스크 또는 패치(Iontophoresis Mask or Patch)(20)는;
    이온토포레시스에 의해 약물이온을 투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작용측 전극구조체(22) 및 비작용측 전극구조체(23)로 이루어지되;
    이들 작용측 전극구조체(22) 및 비작용측 전극구조체(23)에는 다른 극성으로 접속되는 직류 전원이 형성되고;
    상기 작용측 전극구조체(22)는, 적어도 상기 직류 전원에 있어서의 상기 약물이온과 동종의 극성에 접속된 작용측 전극(22a)과, 이 작용측 전극(2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약물이온이 되는 약물을 보유하는 하이드로겔층인 약액보유부(2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비작용측 전극구조체(23)는, 적어도 상기 직류 전원에 있어서의 상기 약물이온과 반대의 극성에 접속된 비작용측 전극(23a)과, 이 비작용측 전극(2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해액을 보유하는 하이드로겔층인 전해액 보유부(23b)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
  5. 제어부(12)인 어플리케이션(어플, 앱; Application)을 갖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의해 이온토포레시스의 마스크 또는 패치(20)를 작동시키는 전류 발생부(30)를 구비하되,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이온토포레시스의 마스크 또는 패치(20)의 활용 의약품 또는 화장품의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아이디나 식별기록을 중앙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환자나 사용자의 기록, 환자나 사용자 관리에 활용되며, 의사나 관리자가 이온토포레시스의 마스크 또는 패치(20)의 약물 투입시간, 주기, 적절량 등을 통신으로 원격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발생부(30) 내부에는 근거리통신망칩(15) 이외에 마이콤(37) 및 이와 관련된 기타 전자 소자를 더 구비하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
KR2020130005185U 2013-06-26 2013-06-26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 KR201400016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185U KR20140001671U (ko) 2013-06-26 2013-06-26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185U KR20140001671U (ko) 2013-06-26 2013-06-26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564 Division 2013-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671U true KR20140001671U (ko) 2014-03-20

Family

ID=5244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185U KR20140001671U (ko) 2013-06-26 2013-06-26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67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5015B2 (en) Methods and architecture for power optimization of iontophoretic transdermal drug delivery
JP6377385B2 (ja) 生体組織貼付用キット及び生体組織貼付用パッチ
JP4414517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デバイス構造体
CA2413806C (en) Electrokinetic delivery device
US8190252B2 (en) Iontophoretic system for transdermal delivery of active agents for therapeutic and medicinal purposes
KR200403033Y1 (ko) 피부팩용 휴대형 피부미용기기
JP2007000342A (ja) 複数薬剤の投与量および投与時期を制御する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KR20140034396A (ko)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
JPH11507274A (ja) 電気的移送式作用剤投与方法と装置
JPH10510179A (ja) 電気輸送式搬送装置
JP2004535220A5 (ko)
CN106999711A (zh) 离子电渗接触透镜
JP2020534054A (ja) 化粧剤の経皮送達のためのイオン導入システム、キットおよび方法
WO2006124639A1 (en) Permeabilization of biological membranes
US20130253412A1 (en) Roller-ball applicator for transdermal iontophoretic delivery
KR101505476B1 (ko) 미세 전류 인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장치
KR101418082B1 (ko)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20070027582A (ko) 항응고제의 경피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1671U (ko)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의 전류제어장치
KR20080110980A (ko)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용 전원장치
Levin Advances in radio-frequency transdermal drug delivery
KR20130049942A (ko) 크림도포가 가능한 이온도입기
KR20200108766A (ko) 산화-환원반응을 이용한 장치 및 그를 사용하여 약물을 전달하는 방법
EP0813879A2 (en) Drug administration composition for iontophoresis
JP2002345977A (ja) イオン導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