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319U -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319U
KR20140001319U KR2020120007494U KR20120007494U KR20140001319U KR 20140001319 U KR20140001319 U KR 20140001319U KR 2020120007494 U KR2020120007494 U KR 2020120007494U KR 20120007494 U KR20120007494 U KR 20120007494U KR 20140001319 U KR20140001319 U KR 201400013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plate
coupled
guide ring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규
김윤섭
지만화
박종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7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319U/ko
Publication of KR201400013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3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6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positioning the molten material, e.g. confining it to a desired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 작업시 떨어지는 용접불똥이 용접 캐리지로 더 이상 떨어지는 것을 막아 용접 캐리지의 손상을 방지하고, 흑유리를 통해 토치의 아크불꽃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눈에 대한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측은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싼채로 결합되는 가이드링;상기 가이드링의 곡률을 따라 설치된 레일;상기 가이드링의 내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판스프링;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드라이빙 유닛과, 상기 드라이빙 유닛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방을 향해 경사각이 조절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에 결합된 토치를 포함하는 용접 캐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파이프용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캐리지의 일측에는 토치의 아크에 의한 용접불똥이 용접 캐리지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아크차단판이 설치되며, 상기 아크차단판은, 상기 토치가 통과되는 장공(長空)의 위빙공이 형성된 위빙판;상기 위빙판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되 위빙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판;일단부는 용접캐리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직판에 결합되어 용접 캐리지 상에서 수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Overhead type auto welding device attaching arc blocking panel}
본 고안은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불똥이 용접 캐리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토치의 아크불꽃 상태가 흑유리를 통해 체크될 수 있도록 한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의 용접 공정은 전체 선박 건조 공정의 약 60%를 점유하는 중요한 공정 중의 하나로서, 선박생산은 여러 형상의 선체블록들을 독립적으로 제작한 다음, 이들 블록들을 도크(Dock)에서 서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대형 선박 1척을 건조하는데에는 대략 250~400개의 선체블록들이 만들어지며, 선체블록 내부에는 용접 셀이 약 200개(셀마다 수직 용접부 2개 존재) 정도가 존재하므로 1척의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무수히 많은 수직교차부들을 용접해야 한다.
한편, 선박블록 제조시 비교적 평활한 면을 갖는 강판의 하방으로 파이프 등의 배관이 용접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의 경우 오버헤드 용접을 수행해야 한다.
오버헤드 용접이란 강판의 하방으로 파이프 등의 배관이 용접되는 경우 작업자는 상방을 응시한 채 용접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용접 자세를 말한다.
이때, 오버헤드 용접은 위보기 용접이라 불리기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버헤드 용접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일반적으로 모체인 강판(10)에 하향돌출 형성되는 배관(20)을 오버헤드 용접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상기 배관(20)을 인력 또는 받침대 등을 이용해 지지한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모체인 강판(10)에 고정시킨다.
이때, 작업자의 오버헤드 용접자세는 매우 불안정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게 됨은 물론,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용접 토치를 들고 계속적으로 팔을 위쪽으로 뻗어 장시간 작업함에 따른 피로감을 가중시켰으며, 작업 시간에 있어서도 장시간의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어 작업 생산성이 떨어졌던 것이다.
특히, 배관과 같은 원기둥 형태의 둘레를 따라 오버헤드 용접을 실시하는 경우 작업자의 작업 위치 변환이 까다로워 오버헤드 용접 자세에 의한 작업 피로도가 더욱 가중될 수 있으며,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는 작업성이 더욱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불똥이 작업자의 머리를 향해 떨어지게 되어 심리적 불안감은 물론 시야 확보에 방해가 되어 용접 품질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를 이용하여 오버헤드 용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가 제공되었다.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둘레에 결합되는 원형의 가이드링(100)과, 가이드링(100)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링(100)을 따라 주행하면서 오버헤드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 캐리지(5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는 가이드링(100)을 파이프(P)의 외주면에 결합시킨 후, 상기 가이드링(100)을 따라 용접 캐리지(500)가 주행하면서 용접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오버헤드 용접에 대한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오버헤드 용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용접불똥이 하방으로 떨어져 용접 캐리지에 손상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즉, 용접 작업 방향의 특성상, 용접불똥은 하방으로 낙하되는데, 상기 용접불똥이 용접 캐리지에 지속적으로 접촉되면서 용접 캐리지에 대한 손상 및 오동작을 발생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둘째, 작업자가 토치의 아크불꽃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토치의 아크불꽃을 직접 보거나 용접 안경을 착용한 후에 아크불꽃 상태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자의 눈에 대한 피로도를 증가시키며, 용접 안경 착용에 대한 번거로움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06-0131388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07-0066238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버헤드 용접시 발생하는 용접불똥이 용접 캐리지로 덜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은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싼채로 결합되는 가이드링;상기 가이드링의 곡률을 따라 설치된 레일;상기 가이드링의 내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판스프링;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드라이빙 유닛과, 상기 드라이빙 유닛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방을 향해 경사각이 조절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에 결합된 토치를 포함하는 용접 캐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파이프용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캐리지의 일측에는 토치의 아크에 의한 용접불똥이 용접 캐리지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아크차단판이 설치되며, 상기 아크차단판은, 상기 토치가 통과되는 장공(長空)의 위빙공이 형성된 위빙판;상기 위빙판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되 위빙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판;일단부는 용접캐리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직판에 결합되어 용접 캐리지 상에서 수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한 쌍의 수직판 중 어느 하나의 수직판만 지지하도록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판의 내측면에는 각각 흑유리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판의 외측면에는 결합공을 형성하는 결합부재가 설치되고,상기 지지부는,용접캐리지로부터 상방을 향해 결합된 제1고정바와, 상기 제1고정바의 단부에 결합되되 결합부재의 결합공에 삽입된 제2고정바와, 결합공에 삽입된 제2고정바를 가압하여 결합부재의 유동을 구속하는 나비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오버헤드 용접 과정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는 용접불똥이 용접 캐리지로 더 이상 떨어지지 않도록 토치 둘레에 위빙판 및 수직판이 설치됨으로써, 용접 캐리지에 대한 손상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수직판의 내측면에 각각 흑유리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흑유리를 통해 토치의 아크불꽃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불꽃 상태 확인을 위한 작업자의 눈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버헤드 용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가 파이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가 파이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는 오버헤드 용접시 아크차단판으로 하여금 아크가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 작업자에게 피해가 가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 캐리지에 대한 오동작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는 가이드링(100)과, 레일(200)과, 판스프링(300)과, 마그네트(400)와, 용접 캐리지(500)와 아크차단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링(100)은 용접 캐리지(5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파이프(P)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가이드링(100)의 내경은 파이프(P)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반원의 형태 한 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링(100)의 일측은 서로 힌지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링(100)의 타측에는 체결수단(11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가이드링(100)은 힌지 결합된 일측을 중심으로 가이드링(100)의 타측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110)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링(110)의 타측을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이때, 체결수단(110)의 예로서, 토글 클램프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레일(200)은 용접 캐리지(500)가 주행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가이드링(100)의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레일(200)은 가이드링(100)의 상,하단부 테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후술하는 용접 캐리지(500)의 드라이빙 유닛이 가이드링(100)을 따라 주행될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다음으로, 판스프링(300)은 가이드링(100)의 내경과 가이드링(100)이 설치되고자 하는 파이프(P)의 외경 사이에 발생한 오차 범위를 보상하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링(100)의 내측면을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즉, 파이프(P)의 외경 사이즈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링(100)이 각각 제공되는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상기 파이프(P)의 외경과 가이드링(100)의 내경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에 대한 오차를 상기 판스프링(300)이 보완하는 것이다.
특히, 가이드링(100)의 내경이 파이프(P)의 외경에 비해 클 경우, 가이드링(100)의 내측에 설치된 판스프링(300)이 파이프(P)의 외주면에 밀착함으로써, 가이드링(10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마그네트(400)는 가이드링(100)의 체결수단(110)과 더불어 파이프(P)의 외주면에 가이드링(100)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그네트(400)는 가이드링(100)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설치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링(100)에는 상방을 향한 설치대(120)가 가이드링(100) 둘레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마그네트(400)는 상기 설치대(120)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P)에 가이드링(100)이 결합되었을 경우, 마그네트(400)는 가이드링(100) 상방의 파이프(P) 외주면에 부착됨으로써, 가이드링(100)이 파이프(P)의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다음으로, 용접 캐리지(500)는 파이프(P)의 상단부와 이 파이프(P)의 상단부가 용접되기 위한 구조물 간에 오버헤드 용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링(100)에 설치된 레일(200)에 결합된다.
즉, 용접 캐리지(500)는 가이드링(100)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면서 파이프(P)의 상단부 둘레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용접 캐리지(500)는 가이드링(100) 상에 한 쌍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링(100) 상에 용접 캐리지(500) 두 개가 설치됨으로써, 각각의 용접 캐리지(500)의 주행 구간은 가이드링(100)의 반(半)에 해당된다.
이는, 각각의 용접 캐리지(500)가 가이드링(100)의 둘레 반만 따라 주행되면서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원활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가이드링(100)에 용접 캐리지(500)가 한 개만 설치된다면, 한 개의 용접 캐리지(500)가 가이드링(100) 둘레를 따라 한바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용접 캐리지(500)에 연결되어 있는 용접 와이어 및 케이블 등이 꼬이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용접 캐리지(5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용접 와이어 및 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맨아워가 증가되고 작업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용접 캐리지(500)는 레일(200)을 따라 주행하는 드라이빙 유닛(510)과, 드라이빙 유닛(5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클램프(520)와, 상기 클램프(520)에 설치되어 오버헤드 용접에 대한 경사각이 이루어진 후,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토치(530)를 포함한다.
이때, 드라이빙 유닛(510)에는 레일(200)의 상,하단부에 각각 결합된 이동부재(511)와, 드라이빙 유닛(510)의 주행속도 및 주행 방향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512)가 설치된다.
이러한 용접 캐리지(500)에 대한 구성은 공지된 용접 캐리지(500)와 동일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아크차단판(600)은 오버헤드 용접시 토치(530)로부터 발생하는 아크불꽃과, 토치(530)에 의한 용접시 발생하는 용접불똥을 차단하여 용접캐리지(500)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눈에 대한 피로도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아크차단판(600)은 용접캐리지(500)에 상에서 토치(530)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된다.
아크차단판(6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빙판(610)과, 수직판(620)과, 지지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빙판(610)은 토치(530)에 의한 용접 작업시 발생하는 용접불똥이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 및 토치(530)의 위빙 공간을 제공한다.
위빙판(610)은 금속의 사각 플레이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빙판(610)의 중앙에는 위빙판(610)을 관통하는 위빙공(611)이 형성된다.
위빙공(611)은 토치(530)가 배치되는 부위이며, 위빙공(611) 상에서 토치(530)의 위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위빙공(611)은 장공(長空)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직판(620)은 위빙판(610)과 더불어 아크불꽃 및 용접불똥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위빙판(61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수직판(620)의 재질 역시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으로 제공된다.
또한, 수직판(620)은 위빙판(61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수직판(620)의 내측면에는 각각 흑유리(621)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오버헤드 용접시 작업자가 아크불꽃 상태를 확인하게 하기 위함인데, 아크불꽃을 흑유리(621)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눈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수직판(620) 중 하나의 수직판(620) 외측면에는 결합부재(622)가 설치된다.
결합부재(622)는 지지부(630)에 대한 수직판(620)의 결합을 위해 제공되며, 상기 결합부재(622)는 결합공(622a)을 형성한다.
결합공(622a)은 후술하는 제2고정바가 삽입되기 위한 구성이며, 위빙판(610)의 경사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622)는 수직판(620)에 한 쌍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622)의 일측에는 결합공(622a)과 통하게 형성된 볼트공(622b)이 형성된다.
볼트공(622b)은 후술하는 나비볼트가 결합되는 부위로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지지부(630)는 위빙판(610) 및 수직판(620)을 용접 캐리지(5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630)의 일단부는 용접캐리지(500)에 결합되고, 지지부(630)의 타단부는 수직판(62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630)는 제1고정바(631)와, 제2고정바(632)와, 나비볼트(633)를 포함한다.
제1고정바(631)는 용접캐리지(500)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방을 향해 설치된다.
제2고정바(632)는 제1고정바(631)에 위빙판(610) 및 수직판(62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1고정바(631)와 결합부재(622)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제2고정바(632)는 제1고정바(631)의 단부에 결합된 후, 결합부재(622)의 결합공(622a)을 통해 삽입되어 설치된다.
나비볼트(633)는 결합부재(622)의 볼트공에 나사 결합되어, 결합공(622a)에 삽입된 제2고정바(632)를 가압하여 제2고정바(632) 상에서 결합부재(622)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나비볼트(633)는 결합부재(622)로부터 제2고정바(632)가 이탈되거나 제2고정바(632) 상에서 결합부재(622)가 설치된 수직판(620)이 회전되는 것을 구속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체결수단(110)을 풀어 가이드링(100)의 타측을 벌린다.
다음으로, 오버헤드 용접을 수행하고자 하는 파이프(P)의 둘레면에 가이드링(100)을 감싼 후, 체결수단(110)을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가이드링(100)의 내측에 설치된 판스프링(300)은 수축이 되면서 파이프(P)의 외주면에 밀착이 됨으로써, 파이프(P)에 대한 가이드링(10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가이드링(100)의 상방으로 설치된 마그네트(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외주면에 부착됨으로써, 레일(200)을 주행하는 용접 캐리지(500)의 진동 등에 의해 가이드링(100)이 낙하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다음으로, 용접캐리지(500)에 아크차단판(600)을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용접캐리지(500)의 일측에 설치된 제1고정바(631)의 단부에 제2고정바(632)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2고정바(632)를 일측의 수직판(620)에 설치된 결합부재(622)의 결합공(622a)에 삽입시킨다.
이때, 토치(530)는 위빙판(610)의 위빙공(611)을 통과해 노출된다.
이때, 수직판(620)은 결합공(622a)에 삽입된 제2고정바(632)를 기준으로 유동될 수 있으므로, 수직판(620)을 회전하거나 유동시켜 위빙판(61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후, 위빙판(610)의 위치 조절이 완료되면, 볼트공(622b)을 통해 나비볼트(633)를 결합하여 상기 나비볼트(633)의 단부로 하여금 결합공(622a)에 삽입된 제2고정바(632)를 가압시킨다.
이에 따라, 수직판(620)은 제2고정바(632) 상에 구속되며, 아크차단판(600)에 대한 설치가 완료된다.
다음으로, 가이드링(100)의 레일(200)에 아크차단판(600)이 설치된 용접 캐리지(500)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컨트롤부(512)를 조작하여 클램프(520)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고 드라이빙 유닛(510)에 대한 주행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여 토치(530)로 하여금 오버헤드 용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토치(530)를 통한 용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는 용접불똥은 위빙판(610) 및 수직판(620)에 막혀 더 이상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게 되며, 수직판(620) 내측면에 설치된 흑유리(621)를 통해 아크불꽃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용접불똥에 의한 용접 캐리지(500)의 손상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눈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는 토치가 오버헤드 용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낙하되는 용접불똥이 용접캐리지로 더 이상 낙하되지 않도록 차단하며, 흑유리를 통해 아크불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용접불똥에 의한 용접 캐리지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크불꽃 상태를 체크해야하는 작업자의 눈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가이드링 110 : 체결수단
120 : 설치대 200 : 레일
300 : 판스프링 400 : 마그네트
500 : 용접캐리지 510 : 드라이빙 유닛
511 : 이동부재 512 : 컨트롤부
520 : 클램프 530 : 토치
600 : 아크차단판 610 : 위빙판
611 : 위빙공 620 : 수직판
621 : 흑유리 622 : 결합부재
622a : 결합공 622b : 볼트공
630 : 지지부 631 : 제1고정바
632 : 제2고정바 633 : 나비볼트

Claims (4)

  1. 일측은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싼채로 결합되는 가이드링;상기 가이드링의 곡률을 따라 설치된 레일;상기 가이드링의 내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판스프링;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드라이빙 유닛과, 상기 드라이빙 유닛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방을 향해 경사각이 조절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에 결합된 토치를 포함하는 용접 캐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파이프용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캐리지의 일측에는 토치의 아크에 의한 용접불똥이 용접 캐리지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아크차단판이 설치되며, 상기 아크차단판은,
    상기 토치가 통과되는 장공(長空)의 위빙공이 형성된 위빙판;
    상기 위빙판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되 위빙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판;
    일단부는 용접캐리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직판에 결합되어 용접 캐리지 상에서 수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한 쌍의 수직판 중 어느 하나의 수직판만 지지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의 내측면에는 각각 흑유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의 외측면에는 결합공을 형성하는 결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용접캐리지로부터 상방을 향해 결합된 제1고정바와, 상기 제1고정바의 단부에 결합되되 결합부재의 결합공에 삽입된 제2고정바와, 결합공에 삽입된 제2고정바를 가압하여 결합부재의 유동을 구속하는 나비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



KR2020120007494U 2012-08-23 2012-08-23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 KR201400013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494U KR20140001319U (ko) 2012-08-23 2012-08-23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494U KR20140001319U (ko) 2012-08-23 2012-08-23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19U true KR20140001319U (ko) 2014-03-06

Family

ID=5244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494U KR20140001319U (ko) 2012-08-23 2012-08-23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3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2763A (zh) * 2021-03-30 2021-07-30 山西华尧重工有限公司 具有多级调节夹持机构的塔吊管道焊接机具及其操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2763A (zh) * 2021-03-30 2021-07-30 山西华尧重工有限公司 具有多级调节夹持机构的塔吊管道焊接机具及其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883B1 (ko) 격자지보 자동용접장치
KR101801383B1 (ko) 금속부품 고정용 클램프장치
CN107042379A (zh) 一种圆盘连杆自动焊机
KR20140026756A (ko) 파이프용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
KR20140000911U (ko) 티그 용접용 스프링이 설치된 와이어 송급장치
CN107825037B (zh) 多功能可拆装孔系定位焊接装置
KR20140001319U (ko) 아크차단판이 설치된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
KR20120118808A (ko) 터닝롤러를 이용한 파이프 용접용 자동 접지장치
CN103394932B (zh) H型、箱型构件及十字柱端铣固定夹具
KR101794944B1 (ko) 용접용 밀착지그
KR20180080529A (ko) 파이프 자동 용접장치
KR20140006148U (ko) 파이프 고정용 지그장치
KR200479618Y1 (ko) 링플랜지 용접용 지그장치
KR20140026757A (ko) 사선 위빙이 가능한 파이프용 오버헤드 자동용접장치
KR20140003958U (ko) 파이프 취부용 지지장치
KR101749746B1 (ko) 포지셔너 방식 티그용접장치
KR20140006149U (ko) 파이프 고정용 지그장치
KR20130001446U (ko) 포지셔너를 구비한 자동 용접 장치
KR20140004008U (ko) 서포트 파이프 절단용 가이드 부재
KR20120007417U (ko) 데크 관통 피스 고정 장치
KR200284902Y1 (ko) 배관 고정용 지그
KR101550109B1 (ko) 용접토치 높이 보정 기능을 구비한 노즐투쉘 서클자동용접장치
CN210451500U (zh) 一种门槛焊接粘接装置
KR20140002132U (ko) 강관 용접을 위한 자동용접기의 레일받침대
KR102043791B1 (ko) 각형 강관 제작용 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