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959U - Assembly Type Block Toy - Google Patents

Assembly Type Block To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959U
KR20140000959U KR2020120006897U KR20120006897U KR20140000959U KR 20140000959 U KR20140000959 U KR 20140000959U KR 2020120006897 U KR2020120006897 U KR 2020120006897U KR 20120006897 U KR20120006897 U KR 20120006897U KR 20140000959 U KR20140000959 U KR 201400009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linker
cylindrical
unit block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8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주)루크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크북스 filed Critical (주)루크북스
Priority to KR2020120006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959U/en
Publication of KR201400009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5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단위블록들과 상기 단위블록들을 서로 연결하는 링커를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 완구는 단위블록에 마련된 원통형 핀홀과 링커에 마련된 원기둥형 결합부 간의 슬라이드 방식의 결합에 의하여 조립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 완구는 단위블록들 간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고 그 결합이 견고하므로 사용상 편리함 및 만족감을 향상시킨다. A prefabricated block toy including unit blocks and a linker connecting the unit blocks to each other is disclosed. The prefabricated block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by the slide type coupling between the cylindrical pinhole provided in the unit block and the cylindrical coupling provided in the linker. The prefabricated block toy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sy to combine and dismantle between unit blocks, and the combination is soli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in use.

Figure P2020120006897
Figure P2020120006897

Description

조립식 블록 완구{Assembly Type Block Toy}Prefabricated Block Toys {Assembly Type Block Toy}

본 고안은 조립식 블록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블록들 간의 수평적 및 수직적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lock to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block toy that can achieve a solid and easy coupling and disassembly horizontal and vertical between the unit blocks.

조립식 블록 완구는 단위블록들이 다양한 형태로 서로 결합하여 다양한 구조물을 만드는 어린이용 완구로서, 어린이의 창의력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준다. 조립식 블록 완구는 결합돌기를 가진 단위블록과 결합홈을 가진 단위블록이 서로 결합하는 방식, 결합홈을 가진 단위블록들이 링커에 의하여 결합하는 방식, 자석을 포함하는 단위블록들이 자력에 의하여 결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Prefabricated block toys are children's toys that unit block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 variety of forms to create a variety of structures, helping to improve children's creativity. Prefabricated block toys are a unit block having a coupling projection and a unit block having a coupling groove are coupled to each other, a unit block having a coupling groove is coupled by a linker, a unit block containing a magnet is coupled by a magnetic force And so on in a variety of ways.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60211호(1998. 11. 05. 공개)는 조립 블록 및 조립 블록 세트를 개시한다. 이 고안의 조립 블록 세트는 3군데 외측면에 함몰된 3개의 핀홀과 한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핀을 가지는 스퀘어블록과 2개의 외측면에 함몰된 2개의 핀홀과 한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핀을 가지는 트라이앵글블록을 포함한다. 이러한 블록들은 그것들 자체로 결합하기도 하고 또한 그것들에 형성된 핀홀들을 관통 결합하는 핀에 의하여 결합되기도 한다. 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60211 (published on November 05, 1998) discloses an assembly block and an assembly block set. The assembly block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quare block having three pinholes recessed on three outer sides and protruding pins protruding on one outer side, and two pinholes recessed on two outer sides and protruding pins protruding on one outer side It includes a triangle block having a. These blocks may be joined by themselves or by pins through which the pinholes formed therein are joined.

등록특허공보 제10-1058271호(2011. 08. 12. 등록)는 슬라이드 블록을 개시한다. 이 특허에 따른 조립식 완구는 6면체의 연속하는 4면에 다수개의 돌출 슬라이드와 내입 슬라이드가 번갈아 형성된 단위블록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위블록은 돌출 슬라이드와 내입 슬라이드에 의하여 서로 결합한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58271 (2011. 08. 12. registration) discloses a slide block. The prefabricated toy according to this patent comprises a unit block formed by alternat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slides and an inboard slide on four consecutive hexahedral surfaces. These unit block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protruding slide and an inboard slide.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1328호는 탈것용 조립식 완구 블록 세트를 개시한다. 이 고안의 조립식 완구 블록 세트는 메인 원통형 블록, 서브 원형 바 블록, 서브 사각판형 블록 등을 포함한다. 메인 원통형 블록은 원형 단면을 갖는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중심부에는 정사각 단면 형상의 정사각 관통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고, 외측 에지부에는 원주 방향에 따른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작은 원형 관통공이 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원형 관통공은 일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는 것이다. 서브 사각판형 블록은 일정 면적을 갖는 사각형 패널의 직선되는 모서리 부분에 원형 바가 결합된 것으로서, 그 원형 바가 메인 원통형 블록의 원형 관통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11328 discloses a set of prefabricated toy blocks for a vehicle. The prefabricated toy block set of this invention includes a main cylindrical block, a sub circular bar block, a sub square plate block, and the like. The main cylindrical block is a long cylindrical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a square through hole having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mall circular through holes are each formed at an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uter edge portion thereof. Is formed to penetrate along the direction is a circular through hole is a part is opened to the outside. The sub square plate block is a circular bar coupled to a straight edge portion of a rectangular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circular bar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circular through hole of the main cylindrical block.

상기한 조립식 블록 완구는 결합홈을 가진 단위블록들이 링커에 의하여 결합하는 방식에 의하여 조립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그 결합은 링커를 단위블록의 관통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움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결합방식은 치수정합성이 우수하지 않으면 그 결합이 완전하지 않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그 결합이 해체될 수 있어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고 만족감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치수정합성이 우수한 경우에는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지만, 그 결합 및 해체는 어린이가 수행하기에는 부담이 되는 수준이어서 어린이에게 흥미를 유발하지 못할 수 있고, 사용함에 따라 그 결합이 헐거워질 수 있다. The prefabricated block toy may be said to be assembled by a method in which unit blocks having coupling grooves are joined by a linker, and the coupling is performed by sliding the linker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unit block. By the way, this coupling method is not excellent in dimensional matching, the coupling is not perfect, in severe cases the coupling can be dismantled, resulting in inconvenience in use and deterioration of satisfaction. In addition, when the dimensional matching is excellen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firm coupling, but the coupling and disassembly is a burden that is difficult for the child to perform, may not cause interest to the child, and the coupling may be loosened as used.

본 고안의 목적은 단위블록들 간의 수평적 및 수직적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block toy that can achieve a rigid and easy combin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coupling and disassembly between unit blocks.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위블록들 간의 결합 방향이 직교좌표에 의한 세 개의 축방향으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block toys that can be made in the three axial direction at the same time by the coupling direction between the unit block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 완구는 단위블록들과 상기 단위블록들을 서로 연결하는 링커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블록은 대향하는 두 면을 포함하는 다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향하는 두 면을 관통하는 원통형 핀홀 및 상기 원통형 핀홀과 연결되고 상기 대향하는 두 면과 공통으로 이웃하는 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원통형 핀홀의 직경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직육면체형 공간의 슬릿으로 된 최소한 2개 이상의 슬라이드 방식 결합홀을 가진다. 상기 링커는 상기 단위블록들에 있는 상기 원통형 핀홀들에 각각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원기둥형 결합부들과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들을 연결하고 상기 결합되는 단위블록들의 상기 결합홀들의 상기 슬릿들에 끼워지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링커의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들은 각각 상기 단위블록의 결합방향에 대하여 양 측면으로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지 않게 형성된 비관통형 슬릿부들을 가지고, 상기 링커의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들의 말단들에서는 상기 단위블록의 결합방향에 대한 양 측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형 슬릿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형 슬릿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의 대향하는 말단들에는 각각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커에서 한 원기둥형 결합부의 원 중심에서 다른 결합부의 원 중심까지의 길이는 상기 결합되는 단위블록들에서 한 원통형 핀홀의 중심에서 다른 원통형 핀홀의 중심까지의 길이보다 작아서, 상기 링커를 상기 결합되는 단위블록들의 상기 결합홀들에 끼워넣으면 그 치수들 차이에 의하여 상기 단위블록들의 결합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그 힘에 의하여 상기 단위블록들은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다.Prefabricated block toy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unit block and a linker connecting the unit blocks to each other. The unit block is formed of a polyhedron including two opposing faces, a cylindrical pinhole penetrating the two opposing faces, and a cylindrical pinhole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pinhole and exposed to a neighboring surface in common with the two opposing faces. It has at least two sliding engagement holes in slits in a cuboid spac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The linker connects the pair of cylindrical coupling parts and the cylindrical coupling parts, each of which is fitted in a sliding manner to the cylindrical pinholes in the unit blocks, to the slits of the coupling holes of the coupling unit blocks. It includes a connection to be fitted.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s of the linker each have non-penetrating slit portions formed so as not to penetrate the coupl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unit block, and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s of the linker. At the ends of the through-hole slits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from both sides in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unit block is formed, the opposite ends of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separated by the through-slit portion, respectively Protuberances are formed. In the linker, the length from the circular center of on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to the circular center of the other coupl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e length from the center of one cylindrical pinhole to the center of the other cylindrical pinhole in the unit blocks to be coupled, so that the linker is coupled. When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of the unit blocks, a force acts in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unit blocks due to the difference in dimensions, and the unit blocks are firmly coupled by the force.

상기 단위블록의 상기 원통형 핀홀은 상기 링커의 결합부가 끼워져서 접촉하는 중심부와 상기 대향하는 면들의 표면에서는 상기 중심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소정 두께 아래에서는 상기 중심부의 직경과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어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삽입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ylindrical pinhole of the unit block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at the surface of the center and the opposing face 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inker is fitted a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central portion below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is preferred that the insertion guide portion having an inclined shape.

상기 링커의 길이는 상기 원통형 핀홀의 상기 중심부의 길이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linker preferably matches the leng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ylindrical pinhole.

상기 링커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링커의 상기 결합부들이 상기 결합되는 단위블록들의 상기 원통형 핀홀들에 동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nection part of the linker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coupling parts of the linker can be simultaneously fitted into the cylindrical pinholes of the unit blocks to which the linker is coupled.

상기 링커의 상기 연결부는 중앙부가 비어있는 타원형 띠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타원형의 2개의 긴 원주 부분은 상기 결합부들에 각각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linking portion of the linker has an elliptical band shape with a hollow central portion, and the two elongated circumferential portions of the ellips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s.

상기 단위블록은 목재로 형성되고, 상기 링커는 플라스틱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nit block is formed of wood, the linker is preferably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상기 단위블록은 직교좌표에 의한 제1축(x축) 방향, 제2축(y축) 방향 및 제3축(z축) 방향 중 적어도 두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홀들을 가지는 단위블록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unit block may be a unit block having coupling holes form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of a first axis (x-axis) direction, a second axis (y-axis) direction, and a third axis (z-axis) direction by a rectangular coordinate. .

본 고안은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립식 블록 완구에서 단위블록들을 서로 연결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용 링커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블록 완구용 링커는 한 쌍의 원기둥형 결합부들과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링커의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들은 상기 연결부와의 결합방향에 대하여 양 측면으로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지 않게 형성된 비관통형 슬릿부들을 가지고, 상기 링커의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들의 말단들에서는 상기 연결부와의 결합방향에 대한 양 측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형 슬릿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형 슬릿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의 대향하는 말단들에는 각각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커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와 상기 연결부의 결합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이며, 중앙부가 비어있는 타원형 띠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타원형의 2개의 긴 원주 부분은 상기 결합부들에 각각 결합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efabricated block toy linker for connecting the unit blocks to each other in the prefabricated block toy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fabricated block toy lin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cylindrical coupling parts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cylindrical coupling parts.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s of the linker have non-penetrating slit portions formed so as not to penetrate the coupl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direction with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s of the linker At the ends, through-type slits are formed through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from both sides in the coupling direction with the connection portion, and protrusions are formed at opposite ends of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separated by the through-slit portion. Is formed. The linking portion of the linker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coupling direction between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nd has an elliptical band shape with a central portion empty, and the two long circumferential portions of the ellips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s. .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블록 완구는 단위블록들 간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고 그 결합이 견고하므로 사용상 편리함 및 만족감을 향상시키며 또한 직교좌표에 의한 세 개의 축방향으로 동시에 결합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어 어린이의 다양한 창작적 사고를 지원할 수 있다. Prefabricated block to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ombine and dismantle between unit blocks and the solidity of the combination is enhanced in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in use and also can be combined in three axial directions by the rectangular coordinates at the same time to build a variety of structures It can be built to support a variety of creative thinking of children.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 완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2개의 단위블록들이 링커에 의하여 결합되기 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 완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2개의 단위블록들이 링커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 완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2개의 단위블록들이 링커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 완구를 구성하는 또 다른 단위블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 완구를 구성하는 또 다른 단위블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 완구를 구성하는 또 다른 단위블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 완구를 구성하는 링커를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wo different unit blocks constituting the assembled block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being joined by a link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different unit blocks constituting the assembled block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by a linker.
3 is a plan view of two different unit blocks constituting the assembled block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by a linker.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unit block constituting the assembled block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unit block constituting the assembled block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unit block constituting the assembled block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linker constituting the assembled block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자는 조립식 블록 완구에 대하여 2011. 11. 22.자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1-0010331호(미공개 상태임)를 출원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이전의 고안에서 링커를 더욱 개선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ors filed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11-0010331 (not disclosed) for the prefabricated block toys.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linker in this previous desig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 완구(10)는 다양한 형상의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들을 서로 연결하는 링커(2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fabricated block to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nit block 100 of various shapes and a linker 200 for connecting the unit blocks with each other.

단위블록(100)은 대향하는 두 면을 포함하는 다면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면체에는 대향하는 두면을 관통하여 결합홀(1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단위블록과 직육면체를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되는 오면체 형상의 단위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직육면체의 단위블록은 제1면(101)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도시되지 않음), 제2면(102)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제3면(103)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도시되지 않음)을 가지고 있고, 제1면(101)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에 수직하게 3개의 결합홀(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2면(102)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에 수직하게 3개의 결합홀(1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3면(103)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에 수직하게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한편, 오면체 형상의 단위블록은 제1면(101)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제1면(101)에 접하는 3개의 측면을 가진다. 이때 3개의 측면은 대향하는 면을 가지지 않는다. 그래서 제1면(101)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에만 수직하게 2개의 결합홀(110)이 형성되어 있다. The unit block 100 is composed of a polyhedron including two opposing faces. In such a polyhedron, coupling holes 110 are formed through two opposing surfaces. 1, 2 and 3 illustrat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unit block and a pentagonal unit block formed by cutt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a diagonal direction. The unit block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s a first face 101 and a face facing it (not shown), a second face 102 and a face facing it (not shown) and a third face 103 and It has an opposing face (not shown), and is formed with three coupling holes 110 perpendicular to the first face 101 and the face opposing it, and also facing the second face 102 and it. Three coupling holes 110 ar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plane. However, the coupling hole is not formed perpendicular to the third surface 103 and the surface opposite thereto. On the other hand, the unit block having a pentagonal shape has a first surface 101, a surface facing it (not shown), and three side surfaces contacting the first surface 101. The three sides do not have opposing faces. Thus, two coupling holes 110 are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surface 101 and the surface opposite thereto.

한편, 도 4에는 정육면체 형상의 단위블록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제1면(101)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 제2면(102)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 그리고 제3면(103)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에 각각 수직하게 형성된 2개의 결합홀(110)을 가진다. 도 5에는 정육면체 형상의 단위블록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제1면(101)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에만 수직하게 형성된 4개의 결합홀(110)을 가진다. 즉, 제2면(102)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 그리고 제3면(103)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에 수직하게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6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단위블록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제1면(101)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4개의 결합홀(110) 그리고 제2면(102)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2개의 결합홀(110)을 가진다. 그리고 제3면(103) 및 그것과 대향하는 면에 수직하게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shows a cube-shaped unit block, which is the first surface 101 and the surface facing it, the second surface 102 and the surface facing it, and the third surface 103 and It has two coupling holes 110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facing it. FIG. 5 shows a unit block having a cube shape, which has four coupling holes 110 formed perpendicular to only the first surface 101 and the surface opposite thereto. That is, the coupling hole is not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urface 102 and the surface facing the third surface 103 and the surface facing the second surface 102 and the surface. FIG. 6 shows a unit block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hich has four coupling holes 110 and a second surface 102 forme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101 and a surface opposite thereto. It has two coupling holes 110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And the coupling hole is not formed perpendicular to the third surface 103 and the surface facing it.

단위블록(100)은 이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홀(110)을 가짐으로써 한 단위블록(100)이 수평 또는 수직의 한 방향으로만 결합하지 않고, 직교좌표에서 서로 직교하는 세 방향 중에서 두 방향 또는 세 방향으로 동시에 결합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구조물의 창작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The unit block 100 has the coupling holes 110 formed in various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so that one unit block 100 is not coupled in only one direction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but in two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an orthogonal coordinate. Or it can be combined in three directions at the same time to cope with the creation of a variety of structures.

결합홀(110)은 대향하는 두 면을 관통하는 원통형 핀홀(120)과 원통형 핀홀(120)과 연결되고 대향하는 두면과 공통으로 이웃하는 면으로 노출되는 슬릿(130)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130)은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서 그 두께(T)가 원통형 핀홀(120)의 직경(2R)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핀홀(120)의 반경(R)보다 작다. 이러한 결합홀(1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링커(20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는 것이어서 슬라이드 방식 결합홀이라 명명할 수 있으며, 단위블록의 계속적인 결합을 위해서는 한 단위블록(100)에 최소한 2개 이상의 슬라이드 방식 결합홀(110)이 형성되어야 한다. The coupling hole 110 includes a cylindrical pinhole 120 penetrating two opposing surfaces and a slit 130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pinhole 120 and exposed to a neighboring surface in common with the opposing two surfaces. As shown in FIG. 3, the slit 130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pace whose thickness 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2R of the cylindrical pinhole 120, preferably the radius R of the cylindrical pinhole 120. Is less than The coupling hole 110 may be referred to as a slide type coupling hole because the linker 200 is fitted in a slide mann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For continuous coupling of the unit blocks, at least two unit blocks 100 may be used. More than one sliding coupling hole 110 should be formed.

이와 같이 구성된 단위블록들(100)은 목재 및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목재로 제조된다. The unit blocks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of wood and plastic materials, but are preferably made of wood.

한편,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커(200)는 한 쌍의 원기둥형 결합부들(210)과 연결부(220)를 포함한다. 결합부들(210)은 각각 단위블록들(100)에 있는 원통형 핀홀들(12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는 것이다. 연결부(220)는 원기둥형 결합부들(210)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결합되는 단위블록들(100)의 결합홀들(110)의 슬릿들(130)에 끼워진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7, the linker 200 includes a pair of cylindrical coupling parts 210 and a connection part 220. The coupling parts 210 are fitted in a slide manner to the cylindrical pinholes 120 in the unit blocks 100, respectively. The connection part 220 connects the cylindrical coupling parts 210 and is fitted to the slits 130 of the coupling holes 110 of the unit blocks 100 to be coupled.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커(200)에서 한 원기둥형 결합부(210)의 원 중심에서 다른 결합부(210)의 원 중심까지의 길이(L')는 결합되는 단위블록들(100)에서 한 원통형 핀홀(120)의 중심에서 다른 원통형 핀홀(120)의 중심까지의 길이(L)보다 약간 작다. 이것은 링커(200)의 결합부(210) 원기둥의 원 반경(R')이 원통형 핀홀(120)의 원 반경(R)보다 작은 것에 기인한다. 이때, 링커(200)의 연결부(220)는 링커(200)의 결합부들(210)이 결합되는 단위블록들(100)의 원통형 핀홀들(120)에 동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변형되는 것이다. 즉, 링커(200)의 연결부(220)는 단위블록들에 결합할 때 탄성변형되어 링커(200)에서 한 원기둥형 결합부(210)의 원 중심에서 다른 결합부(210)의 원 중심까지의 길이가 그 치수차이만큼 늘어나게 함으로써 그것을 결합되는 단위블록들에서 한 원통형 핀홀(120)의 중심에서 다른 원통형 핀홀(120)의 중심까지의 길이와 일치되게 한다. 1 and 3, the length L ′ from the circle center of on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210 to the circle center of the other coupling portion 210 in the linker 200 is combined unit blocks. It is slightly less than the length L from the center of one cylindrical pinhole 120 to the center of the other cylindrical pinhole 120 at 100. This is due to the circle radius R 'of the coupling portion 210 cylinder of the linker 200 being smaller than the circle radius R of the cylindrical pinhole 120.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220 of the linker 200 is elastically deformed to be simultaneously fitted into the cylindrical pinholes 120 of the unit blocks 100 to which the coupling parts 210 of the linker 200 are coupled. That is, the connection part 220 of the linker 200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it is coupled to the unit blocks, so that the linker 200 may be deformed from the circle center of one cylindrical coupling part 210 to the circle center of the other coupling part 210. The length is increased by the dimension difference so that it matches the length from the center of one cylindrical pinhole 120 to the center of the other cylindrical pinhole 120 in the unit blocks to which it is joined.

따라서, 링커(200)를 결합되는 단위블록들(100)의 결합홀들(110)에 끼워넣으면 그 치수들의 차이에 의하여 단위블록들의 결합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즉, 결합되는 두 개의 단위블록들(100)은 각각 그것들과 결합하는 링커(200)의 결합부(210)를 자신들 쪽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링커(200)의 연결부(220)는 복원력에 의하여 단위블록들(100)을 잡아당기게 되며, 그러한 힘들이 균형을 이루어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그리하여 그러한 힘에 의하여 단위블록들(100)은 링커(200)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된다. Therefore, when the linker 20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110 of the unit blocks 100 to be coupled, a force acts in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unit blocks due to the difference in dimensions. That is, the two unit blocks 10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pulls th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linker 200 coupled to them toward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portion 220 of the linker 200 is a unit block by the restoring force To pull the field 100, such forces are balanced to remain engaged. Thus, by such a force, the unit blocks 100 are firmly coupled through the linker 200.

링커(200)의 결합부(210) 원기둥의 원 반경(R')이 원통형 핀홀(120)의 원 반경(R)보다 작기 때문에 링커(200)의 결합부(210)를 한 단위블록(100)의 원통형 핀홀(120)에만 끼운 경우에는 그 치수 차이로 인하여 중력에 의하여 또는 약간의 힘을 작용시키면 단위블록(100)과 링커(200)는 쉽게 분리되지만, 링커(200)에 의하여 두 개의 단위블록들(100)을 결합시키면 링커(200)의 연결부(220)의 탄성변형력이 작용하여 중력 또는 약간의 힘에 의해서는 그것들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Unit block 100 having th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linker 200 because the circular radius R 'of th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linker 200 is smaller than the circular radius R of the cylindrical pinhole 120. In the case of only the cylindrical pinhole 120 of the unit block 100 and the linker 200 is easily separated by gravity or by applying a slight force due to the difference in size, but the two unit blocks by the linker 200 Combining the field 100, the elastic deformation force of the connection portion 220 of the linker 200 is acted so that they are not easily separated by gravity or a slight force.

링커(200)의 연결부(220)가 링커(200)의 결합부(210)와 견고하게 결합하면서 동시에 탄성변형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연결부(220)는 중앙부가 비어있는 타원형 띠 형상을 가지고, 타원형의 2개의 긴 원주 부분은 결합부들(210)에 각각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들에는 이러한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In order for the connection portion 220 of the linker 200 to be firm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linker 200 and at the same time effectively effect the elastic deformation, the connection portion 220 has an elliptical band shape with a hollow central portion, Two long circumferential portions are prefer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s 210, respectively. These forms are illustrated in the figures.

한편, 링커(200)의 원기둥형 결합부들(210)에는 단위블록(100)의 결합방향에 대하여 양 측면으로 결합부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부(210)를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형 슬릿부들(2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비관통형 슬릿부들(214)은 결합부(210)에 변형성을 제공함으로써 링커(200)와 단위블록들(100)이 너무 견고하게 결합하여 어린이들의 힘으로는 그것들을 분리시키기 어려울 정도에 이르지 않게 하는 것이다. 즉, 비관통형 슬릿부들(214)과 연결부(220)의 조합에 의하여 링커(200)는 단위블록들(100)에 견고하게 결합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어린이들의 힘으로도 충분히 분리될 수 있게 한다. Meanwhile,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s 210 of the linker 200 have non-penetrating slit portions 214 that do not penetrate the coupling portion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unit block 100. Is formed. These non-penetrating slit portions 214 provide a deformability to the coupling portion 210 so that the linker 200 and the unit blocks 100 are so tightly coupled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m with children's force. It is not to be. That is, the linker 200 is firmly coupled to the unit blocks 100 by the combination of the non-penetrating slit parts 214 and the connection part 220, while being able to be sufficiently separated by the children's power.

또한, 어린이들이 단위블록들에 링커를 더욱 용이하게 결합시키면서도 결합 후에는 견고하게 유지되고 또한 그 해체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링커(200)의 원기둥형 결합부들(210)의 말단들에서 단위블록들(100)과의 결합방향에 대하여 양 측면으로부터 결합부(210)를 관통하여 관통형 슬릿부들(2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관통형 슬릿부(212)에 의하여 원기둥형 결합부(210)의 말단은 분리되어 있다. 그렇게 분리된 대향하는 결합부(210)의 말단들에는 각각 돌기(216)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돌기(216)는 하나의 링커(200)에 8개 형성된다. 이때, 돌기(216)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원기둥형 결합부의 원 직경은 단위블록(100)의 원통형 핀홀(120)의 직경보다 더욱 작게 될 수 있다. 돌기(216)는 중심부의 높이가 가장 높게 형성된 소정 길이의 중심 모서리부 그리고 중심 모서리부로부터 양쪽으로 결합부(210)의 외표면까지 경사가 낮아지는 경사부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216)의 중심 모서리부는 결합부(2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고, 중심 모서리부의 길이는 단위블록(100)에 형성된 슬릿(130)의 두께(T)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합부(210)의 말단들에 형성된 2개의 돌기들(216)은 링커(200)가 단위블록(100)의 슬라이드 방식 결합홀(110)에 결합할 때, 원통형 핀홀(120)에서 단위블록(100)과 밀착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more easily bind the linker to the unit blocks while the children are held firmly and also easy to dismantle, in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ends of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210 of the linker 200 Through-type slits 212 are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210 from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direction with the unit blocks 100. The end of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210 is separated by the through-type slit portion 212. The protrusions 216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opposing coupling portions 210 thus separated. That is, eight protrusions 216 are formed in one linker 200. At this time, by additionally installing the projection 216, the circula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inhole 120 of the unit block 100. The protrusion 216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entral edge port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the highest height of the center portion and inclined portions of which the slope is lowered from the center edge portio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0 on both sides. The center edge portion of the protrusion 216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10, the length of the center edge portion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slit 130 formed in the unit block 100. Therefore, the two protrusions 216 formed at the ends of the coupling part 210 are united in the cylindrical pinhole 120 when the linker 200 is coupled to the slide type coupling hole 110 of the unit block 10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lock 100.

그리하여, 결합부(210)의 분리된 말단들에 의하면, 결합부(210)의 말단이 단위블록(100)에 마련된 원통형 핀홀(120)에 더욱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부(210)의 분리된 말단들에 형성된 돌기들(216) 및 결합부(210)의 분리된 말단들의 작용에 의하여 그 결합이 잘 유지된다. 그러면서도 어린이가 조작하는 수준에서 단위블록(100)과 링커(200)의 결합 해체도 어렵지 않게 수행될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separated ends of the coupling part 210, the ends of the coupling part 210 can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inhole 120 provided in the unit block 100. In addition, the coupling is well maintained by the action of the protrusions 216 formed at the separated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separated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210. At the same time, the child dismantles the coupling of the unit block 100 and the linker 200 at a level manipulated by the chil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링커(200)는 탄성변형될 수 있는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The linker 200 thus constructed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 particular a plastic material.

다음으로, 단위블록(100)에 있어서, 결합홀(110)의 원통형 핀홀(1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122)와 삽입 가이드부(124)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원통형 핀홀(120)은 중심부(122)의 형상으로만 이루어지더라도 무방하다. 중심부(122)는 링커(200)의 결합부(210)가 끼워져서 접촉하는 것이다. 삽입 가이드부(124)는 대향하는 면들의 표면에서는 중심부(122)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소정 두께 아래에서는 중심부(122)의 직경과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어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하여 링커(200)의 결합부(210)는 삽입 가이드부(124)에 의하여 용이하게 중심부(122)로 안내되어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삽입 가이드부(124)가 없더라도 링커(200)의 결합부(210)를 원통형 핀홀(120)에 끼울 수는 있지만, 삽입 가이드부(124)가 있다면 그러한 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링커(200)의 길이는 원통형 핀홀(120)의 중심부(122)의 길이와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in the unit block 100, the cylindrical pinhole 120 of the coupling hole 110 is preferably divided into a central portion 122 and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24, as shown in Figs. Do. Of course, the cylindrical pinhole 120 may be made only in the shape of the central portion (122). The central portion 122 is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portion 210 of the linker 200 is fitted. Insertion guide portion 124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central portion 122 on the surface of the opposing surfaces and has a sloped shape formed in the same circular shape as the diameter of the central portion 122 below a predetermined thickness. Thus, th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linker 200 can be easily guided and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122 by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24. Even without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24, th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linker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inhole 120, but if there is an insertion guide portion 124, such an operation can be made easier.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linker 200 preferably matches the length of the central portion 122 of the cylindrical pinhole 120.

10: 조립식 블록 완구 100: 단위블록
110: 결합홀 120: 원통형 핀홀
122: 중심부 124: 삽입 가이드부
130: 슬릿 200: 링커
210: 결합부 212: 관통형 슬릿부
214: 비관통형 슬릿부 216: 돌기
220: 연결부
10: prefabricated block toys 100: unit blocks
110: coupling hole 120: cylindrical pinhole
122: center portion 124: insertion guide portion
130: slit 200: linker
210: engaging portion 212: through-type slit portion
214: non-penetrating slit part 216: protrusion
220: connection

Claims (8)

단위블록들과 상기 단위블록들을 서로 연결하는 링커를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대향하는 두 면을 포함하는 다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향하는 두 면을 관통하는 원통형 핀홀 및 상기 원통형 핀홀과 연결되고 상기 대향하는 두 면과 공통으로 이웃하는 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원통형 핀홀의 직경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직육면체형 공간의 슬릿으로 된 최소한 2개 이상의 슬라이드 방식 결합홀을 가지며,
상기 링커는 상기 단위블록들에 있는 상기 원통형 핀홀들에 각각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원기둥형 결합부들과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들을 연결하고 상기 결합되는 단위블록들의 상기 결합홀들의 상기 슬릿들에 끼워지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커의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들은 각각 상기 단위블록의 결합방향에 대하여 양 측면으로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지 않게 형성된 비관통형 슬릿부들을 가지고, 상기 링커의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들의 말단들에서는 상기 단위블록의 결합방향에 대한 양 측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형 슬릿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형 슬릿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의 대향하는 말단들에는 각각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커에서 한 원기둥형 결합부의 원 중심에서 다른 결합부의 원 중심까지의 길이는 상기 결합되는 단위블록들에서 한 원통형 핀홀의 중심에서 다른 원통형 핀홀의 중심까지의 길이보다 작아서, 상기 링커를 상기 결합되는 단위블록들의 상기 결합홀들에 끼워넣으면 그 치수들 차이에 의하여 상기 단위블록들의 결합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그 힘에 의하여 상기 단위블록들은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In the prefabricated block toys comprising unit blocks and a linker connecting the unit blocks with each other,
The unit block is formed of a polyhedron including two opposing faces, a cylindrical pinhole penetrating the two opposing faces, and a cylindrical pinhole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pinhole and exposed to a neighboring surface in common with the two opposing faces. Having at least two sliding engagement holes in a slit of a cuboid space having a thickness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The linker connects the pair of cylindrical coupling parts and the cylindrical coupling parts, each of which is fitted in a sliding manner to the cylindrical pinholes in the unit blocks, to the slits of the coupling holes of the coupling unit blocks. Includes a connection fitted,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s of the linker each have non-penetrating slit portions formed so as not to penetrate the coupl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unit block, and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s of the linker. At the ends of the through-hole slits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from both sides in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unit block is formed, the opposite ends of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separated by the through-slit portion, respectively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linker, the length from the circular center of on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to the circular center of the other coupl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e length from the center of one cylindrical pinhole to the center of the other cylindrical pinhole in the unit blocks to be coupled, so that the linker is coupled. When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of the unit blocks prefabricated block toy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ce acts in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unit blocks by the difference in dimensions and the unit blocks are firmly coupled by the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의 상기 원통형 핀홀은 상기 링커의 결합부가 끼워져서 접촉하는 중심부와 상기 대향하는 면들의 표면에서는 상기 중심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소정 두께 아래에서는 상기 중심부의 직경과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어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삽입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cylindrical pinhole of the unit block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at the surface of the center and the opposing face 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inker is fitted a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central portion below a predetermined thickness. Prefabricated block toy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having an inclined 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의 길이는 상기 원통형 핀홀의 상기 중심부의 길이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ength of the linker is prefabricated block toy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ylindrical pin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링커의 상기 결합부들이 상기 결합되는 단위블록들의 상기 원통형 핀홀들에 동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변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linker prefabricated block toy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inker can be fitted into the cylindrical pinholes of the unit blocks to be coupled at the same ti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의 상기 연결부는 중앙부가 비어있는 타원형 띠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타원형의 2개의 긴 원주 부분은 상기 결합부들에 각각 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5. The method of claim 4,
And said connecting portion of said linker has an oval strip shape with an empty central portion, wherein said two elongated circumferential portions of said oval are respectively coupled to said engaging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목재로 형성되고, 상기 링커는 플라스틱재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block is formed of wood, the linker is a prefabricated block toy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plastic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직교좌표에 의한 제1축(x축) 방향, 제2축(y축) 방향 및 제3축(z축) 방향 중 적어도 두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홀들을 가지는 단위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block may be a unit block having coupling holes form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of a first axis (x-axis) direction, a second axis (y-axis) direction, and a third axis (z-axis) direction by a rectangular coordinate. Prefabricated block toys.
조립식 블록 완구에서 단위블록들을 서로 연결하는 링커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한 쌍의 원기둥형 결합부들과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커의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들은 상기 연결부와의 결합방향에 대하여 양 측면으로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지 않게 형성된 비관통형 슬릿부들을 가지고, 상기 링커의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들의 말단들에서는 상기 연결부와의 결합방향에 대한 양 측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형 슬릿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형 슬릿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의 대향하는 말단들에는 각각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커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원기둥형 결합부와 상기 연결부의 결합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이며, 중앙부가 비어있는 타원형 띠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타원형의 2개의 긴 원주 부분은 상기 결합부들에 각각 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용 링커.
A linker for connecting unit blocks to each other in a prefabricated block toy,
The linker includes a pair of cylindrical coupling portions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s,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s of the linker have non-penetrating slit portions formed so as not to penetrate the coupl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direction with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s of the linker At the ends, through-type slits are formed through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from both sides in the coupling direction with the connection portion, and protrusions are formed at opposite ends of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separated by the through-slit portion. Is formed,
The linking portion of the linker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the central portion has an empty oval strip shape, the two long circumferential portions of the oval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s A prefabricated block toy link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KR2020120006897U 2012-08-01 2012-08-01 Assembly Type Block Toy KR2014000095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897U KR20140000959U (en) 2012-08-01 2012-08-01 Assembly Type Block To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897U KR20140000959U (en) 2012-08-01 2012-08-01 Assembly Type Block To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59U true KR20140000959U (en) 2014-02-12

Family

ID=5244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897U KR20140000959U (en) 2012-08-01 2012-08-01 Assembly Type Block To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959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961B1 (en) * 2016-06-29 2017-03-31 김동욱 Assembly type three dimensional puzzle sculp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961B1 (en) * 2016-06-29 2017-03-31 김동욱 Assembly type three dimensional puzzle sculp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507B2 (en) Building toy block set
KR101866659B1 (en) Self-assembly block toy set
JP6167247B2 (en) Building blocks and building blocks
US20120270464A1 (en) Toy blocks for children
JP5976964B2 (en) Deformation of components of assembly member set
KR101447679B1 (en) Assembling block toy
RU2509590C1 (en) Element of construction kit (versions) and construction kit
RU2468848C1 (en) Toy construction set element (versions)
KR20170065212A (en) Diorama assembling blcok comprising connecting structure using elastic wall
KR200490011Y1 (en) Domino toy connecting member set
KR20140000959U (en) Assembly Type Block Toy
KR20140100714A (en) Toy block
KR20130003195U (en) Assembly Type Block Toy
KR101250530B1 (en) Block teaching aid
KR101458692B1 (en) Magnetic Puzzle
KR20130003194U (en) Assembly Type Block Toy
CN112272582B (en) Cube element for construction type toy
KR101927033B1 (en) Self-assembly block toy set
KR101540866B1 (en) Magnetic cap for magnetic toy
JP2017006605A (en) Joint for assembly block toy
KR200469542Y1 (en) Magentic block toy with joint module
KR20190001186A (en) Self-assembly block toy set
KR101410675B1 (en) Self-assembly divided toy block set
KR101389927B1 (en) Block assembly and block connector for the same
KR101927034B1 (en) Self-assembly block toy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