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648A - 내접 기어 펌프 - Google Patents

내접 기어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648A
KR20140000648A KR1020130072113A KR20130072113A KR20140000648A KR 20140000648 A KR20140000648 A KR 20140000648A KR 1020130072113 A KR1020130072113 A KR 1020130072113A KR 20130072113 A KR20130072113 A KR 20130072113A KR 20140000648 A KR20140000648 A KR 20140000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gear
separator
pinion
pump
pilo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네 셰프
노르베르트 알라체
안드레아스 클라인
에드가 쿠르츠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00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18/1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 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1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a crescent-shaped filler element, locat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03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15/0023Axial sealings for working fluid
    • F04C15/0026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ealing of the lateral face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machines or pumps, e.g. gear machines 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42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machines or pump
    • F04C15/0049Equalization of pressure pul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밀봉을 위해 축방향 디스크(12)를 갖는 내접 기어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축방향 디스크(12)에 파일럿 제어 덕트들(21)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었으며, 파일럿 제어 덕트들은 내접 기어 펌프의 압축쪽과 통해 있으며 흡입 영역과 압축 영역을 분리하는 분리기의 영역에서 링 기어 및 피니언의 이뿌리원과 이끝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파일럿 제어 덕트들(21)에 의해 링 기어와 피니언의 톱니 사이 공간들 내 압력이 흡입 영역으로부터 압축 영역으로 단계적으로 커지고 기어들의 회전 시에 톱니 사이 공간들이 분리기의 단부에서 압축 영역에 대하여 개방되면 압력 점프가 억제된다.

Description

내접 기어 펌프{INTERNAL GEAR PUMP}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내접 기어 펌프에 관한 것이다.
내접 기어 펌프는 공지되어 있다. 내접 기어 펌프는 링 기어, 즉 안쪽에 톱니가 형성된 기어 및 이 링 기어 안에 편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외측에 톱니가 형성된, 하기에서 피니언이라고 하는 기어를 포함한다. 내접 기어 펌프의 기어들이라고도 할 수 있는 링 기어와 피니언은 한 원주 영역에서 서로 맞물린다. 내접 기어 펌프의 양 기어들이 서로 맞물리지 않은 다른 원주 영역에서, 기어들은 변위 공간, 자유 공간 또는 사이 공간이라고도 하는 낫 형상 펌프실을 제한한다. 펌프실 안에 분리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기는 펌프실의 형상에 맞는 통상의 형상이기 때문에 낫(sickle) 또는 낫 피스(sickle piece)라고도 한다. 분리기에 대한 다른 명칭은 필링 피스(filling piece)이다. 분리기는 내접 기어 펌프의 펌프실의 흡입 영역과 압축 영역을 분리하고, 흡입 영역은 펌프 인렛과 통해 있으며 압축 영역은 펌프 아웃렛과 통해 있고 내접 기어 펌프의 인렛 또는 아웃렛(의 일부)으로 볼 수도 있다.
링 기어 및 피니언의 톱니의 톱니팁은 밖에서 또는 안에서 분리기에 접하고 내접 기어 펌프의 작동 시에, 즉 피니언과 링 기어가 구동하여 회전하는 때 밖에서 그리고 안에서 분리기를 따라서 슬라이드한다. 분리기는 링 기어와 피니언의 톱니 사이 공간들 안에 유체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기어들은 회전 구동 시에, 즉 내접 기어 펌프의 작동 시에 유체를 내접 기어 펌프의 펌프실의 흡입 영역으로부터 압축 영역으로 송출한다.
링 기어와 피니언의 정면에서 펌프실을 축방향으로 밀봉하기 위해 공지된 축방향 디스크가 일반적으로 판상 바디이고, 판상 바디는 링 기어와 피니언으로부터 떨어진 그 외측에서 압력을 받으며 그 결과 링 기어와 피니언을 향하는 판상 바디의 내측이 안쪽을 향해, 즉 링 기어와 피니언의 정면에 대하여 가압된다. 이러한 축방향 디스크는 압축판이라고도 한다. 외측에 압력 제공은 일반적으로 장소적으로 제한된 영역, 소위 압축 필드 내에서 이루어지고, 압축 필드는 펌프실의 압축 영역 또는 펌프 아웃렛과 통해 있다. 이는 압축 영역에서 그리고 펌프 아웃렛에서처럼 동일한 압력이 압축 필드에 존재함을 의미한다. 링 기어와 피니언의 정면에서 밀봉은 기밀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없고 오히려 누출이 생길 수도 있다. 한편으로는 축방향 디스크의 내측에서 링 기어 및 피니언의 양호한 윤활과 저마찰 간의 최적화가 추구되고 다른 한편으로 낮은 누출 손실이 추구된다. 링 기어와 피니언의 정면에 대한 축방향 디스크의 압축력의 크기는 압축 필드의 크기에 의해 정해진다. 펌프실 및 분리기와 관련하여 압축 필드의 형상 및 배치가 밀봉에 중요하다. 압축 필드들이 축방향 디스크의 외측에 및/또는 펌프 하우징의 정면 벽의 대향하는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기어들의 회전 구동 시에 기어들의 톱니 사이 공간들이 밖에서 그리고 안에서 분리기를 따라서 움직여 분리기의 단부에서 내접 기어 펌프의 펌프실의 압축 영역에 대하여 개방된다. 톱니 사이 공간들이 압축 영역에 대하여 개방될 때, 갑작스런 압력 상승을 피하기 위해, 파일럿 제어 노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는 노치, 홈 등이며, 이들은 압축 영역에서 시작하여 축방향 디스크의 내측에서 기어들의 이끝원과 이뿌리원 사이에서 흡입 영역의 방향으로 약간 연장하고 있다. 축방향 디스크의 내측에서, 즉 기어들쪽으로 파일럿 제어 노치가 개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파일럿 제어 노치의 횡단면은 압축 영역으로부터 흡입 영역의 방향으로 작아지고, 노치의 횡단면은 노치가 스로틀로서 작용할 정도로 작아짐으로써 압축 영역으로부터 거리가 커질수록 노치 내의 압력은 감소한다. 내접 기어 펌프의 기어들의 회전 구동 시에 분리기로부터 압축 영역쪽 단부까지 영역에 있는 톱니 사이 공간들 내 압력이 파일럿 제어 노치에 의해 이상적으로는 압축 영역 내 압력으로 커지므로, 기어들의 회전 시에 톱니 사이 공간들이 분리기의 단부에서 압축 영역에 대하여 개방되면, 압력 점프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분리기의 영역에서 내접 기어 펌프의 링 기어 및 피니언의 이뿌리원과 이끝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파일럿 제어 덕트를 포함하는 내접 기어 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내접 기어 펌프는 압력을 제공받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제어 덕트를 가지며, 파일럿 제어 덕트는 분리기의 영역에서 내접 기어 펌프의 링 기어 및/또는 피니언의 이끝원과 이뿌리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파일럿 제어 덕트는 예를 들어 보어로서 또는 타공으로서 실시될 수 있다. 내접 기어 펌프의 기어들의 톱니 사이 공간들 내 압력은 파일럿 제어 덕트를 통해 커지므로, 톱니 사이 공간들이 분리기의 단부에서 압축 영역에 대하여 개방되면, 압력 점프가 적어도 감소하며, 바람직하게는 분리기의 영역에서 톱니 사이 공간 내 압력이 내접 기어 펌프의 압축 영역 내 압력으로 조정되므로, 톱니 사이 공간들이 압축 영역에 대하여 개방되면, 압력 점프가 발생하지 않는다. 압력 맥동 및 소음 발생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파일럿 제어 노치가 축방향 디스크의 마모에 의해 점점 플랫하게 되는, 즉 파일럿 제어 노치의 횡단면이 축방향 디스크의 마모 때문에 작아지는 파일럿 제어 노치의 경우와 다르게 파일럿 제어 덕트들의 횡단면 및 효과가 마모 때문에 변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외 장점은 기어들의 톱니팁에서 분리기의 압축력이 작아지는 것인데, 그 이유는 톱니팁에 의해 분리기를 누르는 유압이 톱니 사이 공간들에서 커지기 때문이다. 이는 마찰과 마모를 줄이고 내접 기어 펌프의 효율을 높인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횡단면에 비례하여 긴 파일럿 제어 노치에 비해 특히 짧은 파일럿 제어 덕트에 의해 압력 보상의 낮은 온도 의존성 또는 점도 의존성이 주어진다는 것이다.
종속 청구항들은 제 1 항에 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개선예들을 제시한다.
분리기의 영역에서 원주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즉 분리기의 종방향으로 여러 지점들에서, 청구항 제 2 항에 제시된 것처럼, 내접 기어 펌프의 링 기어 및/또는 피니언의 이뿌리원과 이끝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파일럿 제어 덕트들에 의해, 톱니 사이 공간들 내 압력은 기어들의 회전 동안 단계적으로 압축 영역의 압력으로 커질 수 있고, 큰 압력 점프가 억제된다.
본 발명은 축방향 디스크의 존재를 반드시 전제하지 않으며, 파일럿 제어 덕트들은 내접 기어 펌프의 하우징의 고정 정면 또는 측면 벽을 통해서도 링 기어 및/또는 피니언의 이뿌리원 및 이끝원 사이에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축방향 디스크가 기어들 및 분리기로부터 떨어진 외측에서 압력을 받으며 축방향 디스크를 통해 파일럿 제어 덕트들이 지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3 항). 축방향 디스크는 기어들 및 분리기의 정면에서 파일럿 제어 덕트들을 가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내접 기어 펌프는 특히 유압식, 슬립 제어되는 차량 제동 장치 및/또는 동력 보조 차량 제동 장치용 유압 펌프로서 제공되어 있으며, 내접 기어 펌프는 슬립 제어의 경우에 리턴 펌프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분리기의 영역에서 내접 기어 펌프의 링 기어 및 피니언의 이뿌리원과 이끝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파일럿 제어 덕트를 포함하는 내접 기어 펌프가 제공된다.
하기에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접 기어 펌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접 기어 펌프의 축방향 디스크에 관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접 기어 펌프(1)는 2개의 기어(2, 3), 즉 안쪽에 톱니가 형성된 링 기어(2) 및 바깥쪽에 톱니가 형성된 기어를 가지며, 이 기어는 여기서 피니언(3)이라고 한다. 피니언(3)은 링 기어(2) 안에 편심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양 기어(2, 3)는 서로에 대해 평행한 축들을 가지며 서로 맞물려 있다. 링 기어(2)는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 링(4) 안에 미끄럼 베어링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피니언(3)은 회전되지 않도록 펌프축(5)에 배치되어 있다. 내접 기어 펌프(1)의 작동을 위해 펌프축(5)이 구동되어 회전하며, 회전되지 않게 펌프축(5)에 고정된 피니언(3)은 펌프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며 맞물려 있는 링 기어(2)를 구동하여 회전시킨다. 회전 방향은 화살표(P)로 표시되어 있다.
기어들(2, 3)은 자신들 사이 원주 영역에서 낫형상의 펌프실(6)을 제한하며, 펌프실 안에서는 기어들이 서로 맞물려 있지 않다. 펌프실(6) 안에 다부재로서 낫형상 분리기(7)가 배치되어 있으며, 분리기는 부분 낫형상으로 또는 반 낫형상으로 볼 수 있으며 그 형상 때문에 종종 낫 또는 낫 바디라고도 한다. 분리기(7)는 펌프실(6)의 압축 영역(9)과 흡입 영역(8)을 분리한다. 인렛 보어(10)는 흡입 영역(8)에 연결되어 있으며, 아웃렛 보어(13)는 압축 영역(9)으로부터 하기에 설명할 축방향 디스크(12)의 슬롯(11)을 통해 지나간다. 내접 기어 펌프(1)의 기어들(2, 3)의 톱니팁들은 분리기(7)의 외측 또는 내측과 접하며 기어들(2, 3)의 회전 구동 시에 분리기(7)의 외측 또는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한다. 분리기(7)는 같은 폭을 갖는 양 기어들(2, 3)처럼 같은 폭을 갖는다. 분리기(7)는 기어들(2, 3)의 톱니 사이 공간 안에 액체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기어들(2, 3)의 회전 구동에 의해 흡입 영역(8)으로부터 압축 영역(9)으로 액체가 송출된다. 흡입 영역쪽 단부에서 분리기(7)는 펌프실(6)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14)에 지지되어 있다.
분리기(7)는 바깥쪽 아치 형상 레그(15) 및 역시 아치 형상인 안쪽 레그(16)를 가지며, 이들 레그 양자는 받침대(14)로부터 압축 영역(9)의 방향으로 연장해 있다. 바깥쪽 레그의 외측은 링 기어(2)의 이끝원(dk)과 같은 반경의 원호 형상 곡선을 가지며, 링 기어(2)의 톱니의 톱니팁들은 기밀하게 상기 외측에 접하며 회전 구동시에 외측을 따라 슬라이드한다. 안쪽 레그(16)의 내측은 피니언(3)의 이끝원(dk)과 같은 반경의 원호 형상 곡선을 가지며, 피니언(3)의 톱니의 톱니팁들은 기밀하게 상기 내측에 접하며 회전 구동시에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한다. 기어들(2, 3)의 톱니팁들은 분리기(7)의 레그들(15, 16)에 기밀하게 접할 필요가 없으므로, 누출 유동이 허용된다. 받침대 및 흡입 영역쪽 단부에서 레그들(15, 16)은 관절 이음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레그들(15, 16) 사이에 배치된 레그 스프링(17)은 레그들(15, 16)을 바깥쪽 밀어내므로 바깥쪽 레그(15)를 통해 링 기어(2)의 톱니팁을 밀어내며 안쪽 레그(16)를 통해 피니언(3)의 톱니팁을 밀어낸다. 레그들(15, 16) 사이 받침대 및 흡입 영역쪽 단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밀봉 부재(18)가 레그들(15, 16) 사이를 밀봉하며 축방향 디스크(12)에 대하여 밀봉한다. 축방향 디스크(12) 내 슬롯(11)에 의해 레그들(15, 16) 사이의 사이 공간이 아웃렛 보어(13)와 통해 있으므로, 내접 기어 펌프(1)의 작동 시에 레그들(15, 16) 사이의 사이 공간이 압력을 제공받는다. 안쪽 레그(16)를 가로질러 통과하는 핀(19)은 받침대(14)에서 분리기(7)를 지지한다. 압축 영역쪽 단부에서 분리기(7)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레그들(15, 16) 사이의 사이 공간은 압축 영역(9)과도 통해 있다.
내접 기어 펌프(1)는 기어들(2, 3)의 각 정면에서 축방향 디스크(12)를 가지며, 도 2의 축방향 디스크에서 기어들(2, 3)을 대향하는 내측이 도시되어 있다. 펌프축(5)과 받침대(14)를 형성하는 핀이 축방향 디스크(12)를 관통하므로 축방향 디스크가 회전되지 않게 지지되어 있다. 축방향 디스크(12)는 펌프축(5), 받침대(14) 및 핀(19)의 통과를 위한 홀들을 갖는다. 축방향 디스크는 부분적으로 덮여 있는 180°이상의 흡입 영역(8), 분리기(7) 및 압축 영역(9)을 넘어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 있다. 펌프 아웃렛을 위해 축방향 디스크(12)는 이미 언급한 슬롯(11)을 가지며, 슬롯은 기어들(2, 3)의 톱니팁들 사이에서 아치 형상으로 연장해 있으며 아웃렛 보어(13)를 가로지른다. 인렛 보어(10)는 기어들(2, 3)의 회전 방향으로 볼 때 축방향 디스크(16) 앞에서 펌프실(6)의 흡입 영역(8)에 연결되어 있다.
기어들(2, 3)로부터 떨어진 외측에서 축방향 디스크(12)는 압축 필드(20)를 가지며, 압축 필드는 원주 방향으로 받침대(14) 근처에서 시작하여 압축 영역(9)을 넘어까지 그리고 방사방향으로 대략 기어들(2, 3)의 이뿌리원(df)까지 연장해 있다. 각각의 축방향 디스크(12)는 압축 필드(20)를 갖는다. 압축 필드(20)는 압축 영역(9) 및 아웃렛 보어(13)와 통하는 축방향 디스크(12)의 외측 내에 있는 플랫 리세스이므로, 축방향 디스크(12)의 외측이 압력을 받으며 내측은 밀봉을 위해 기어들(2, 3) 및 분리기(7)의 정면 쪽에 대해 압축된다. 압축 필드(20)는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시일로 밀봉되어 있다. 시일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축방향 디스크(12)는 파일럿 제어 덕트들(21)을 가지며, 파일럿 제어 덕트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축방향 디스크를 통과한다. 실시예에서 파일럿 제어 덕트들(21)은 실린더 홀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대하여 강제적인 사항은 아니다. 파일럿 제어 덕트들(21)은 일정한 간격으로 원주 방향으로 링 기어(2)와 피니언(3)의 이끝원과 이뿌리원(dk 및 df)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어들(2, 3)의 회전 시에 톱니 사이 공간들이 파일럿 제어 덕트들(21)과 정렬되면, 기어들(2, 3)의 톱니 사이 공간들은 압축 필드(20)와 통하고 이 압축 필드(20)를 통해 아웃렛 보어(13)와 통한다. 파일럿 제어 덕트들(21)을 통해 톱니 사이 공간들이 압력을 받는다. 파일럿 제어 덕트들(21)은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파일럿 제어 덕트들은 축방향 디스크(1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압력을 줄이는 스로틀로서 작용한다. 그 결과 기어의 회전 시에 기어들(2, 3)의 톱니 사이 공간들 내 압력은 단계적으로 파일럿 제어 덕트(21)로부터 파일럿 제어 덕트(21)로 압축 영역(9)의 압력으로 커진다. 흡입 영역(8) 근처에 있는 파일럿 제어 덕트들(21)은 압축 영역(9) 근처에 있는 파일럿 제어 덕트들(21)보다 더 작은 직경과 횡단면을 가지므로, 흡입 영역(8) 근처에 있는 파일럿 제어 덕트들(21)은 압축 영역(9) 근처에 있는 파일럿 제어 덕트들(21)보다 더 강하게 압력을 줄인다. 파일럿 제어 덕트들(21)은 흡입 영역으로부터 압축 영역으로(8, 9)으로 기어들(2, 3)의 톱니 사이 공간들 안에서 압력 보상을 일으키므로, 기어들(2, 3)의 회전 시에 톱니 사이 공간들이 분리기(7)의 압축 영역쪽 단부에 도달하여 압축 영역(9)에 대하여 개방되면, 톱니 사이 공간들 내 압력은 압축 영역(9)의 압력으로 갑자기 상승하지 않는다.
내접 기어 펌프(1)의 기어들(2, 3)의 톱니들이 압축 영역(9)의 단부에서 다시 서로 결합하는 영역에서, 축방향 디스크(12)는 기어들(2, 3)를 대향하는 내측에서 압착 오일 홈(22)으로서 플랫 카운터 싱크를 갖는다. 압착 오일 홈(19)을 통해 내접 기어 펌프(1)의 기어들(2, 3)의 톱니 사이 공간들은 압축 영역(9)과 통해 있다. 기어들(2, 3)이 다시 서로 결합하면, 각각의 경우에 다른 기어들(3, 2)의 톱니들이 들어가는 톱니 사이 공간들 안에 이송 액체의 함입이 억제된다. 그와 같은 액체 함입은 초과 베어링 부하와 관련한 현저한 압력 상승을 가져올 수도 있다.
내접 기어 펌프(1)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유압식 차량 제동 장치의 유압 펌프로서 제공되어 있으며, 차량 제동 장치에서 내접 기어 펌프는 소위 리턴 펌프로서 슬립 제어,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용 제동 시스템, 구동력 제어 시스템 및/또는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에 및/또는 유압식 동력 보조 차량 제동 장치 내 제동 압력 형성에 이용된다. 앞서 언급한 슬립 제어에 대하여 약자 ABS, ASR, FDR, ESP가 사용되며,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은 구어로 안티 스키드 제어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1 내접 기어 펌프
2 링 기어
3 피니언
4 베어링 링
6 펌프실
7 분리기
8 흡입 영역
9 압축 영역
21 파일럿 제어 덕트
df 이뿌리원
dk 이끝원
P 화살표

Claims (6)

  1. 내접 기어 펌프로서, 링 기어(2)와 피니언(3)을 포함하고, 상기 링 기어와 상기 피니언은 한 원주 영역에서 서로 맞물려 있으며 다른 원주 영역에서는 분리기(7)가 배치되어 있는 펌프실(6)을 제한하며, 상기 분리기는 상기 펌프실(6)의 압축 영역(9)과 상기 펌프실(6)의 흡입 영역(8)을 분리하는, 내접 기어 펌프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7)가 위치하는 한 원주 영역에서, 압력을 받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제어 덕트(21)가 상기 링 기어(2) 및/또는 상기 피니언(3)의 이뿌리원(df)과 이끝원(dk)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접 기어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7)가 위치하는 원주 영역에서, 압력을 받는 다수의 파일럿 제어 덕트들(21)이 원주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상기 링 기어(2) 및/또는 상기 피니언(3)의 이뿌리원(df)과 이끝원(dk)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접 기어 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접 기어 펌프(1)는 축 방향으로 운동가능한 및 회전 불가능한 축방향 디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축방향 디스크는 측면 밀봉을 위해 상기 링 기어(2), 상기 피니언(3) 및 상기 분리기(7)의 정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링 기어(2), 상기 피니언(3) 및 상기 분리기(7)로부터 떨어진 외측에서 압력을 받으며, 상기 파일럿 제어 덕트(들)(21)는 압력을 받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링 기어(2), 상기 피니언(3) 및 상기 분리기(7)를 향하는 상기 축방향 디스크(12) 내측 쪽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접 기어 펌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제어 덕트(들)(21)는 내접 기어 펌프(1)의 펌프 아웃렛(13)과 통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접 기어 펌프.
  5.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파일럿 제어 덕트(21)는, 압력이 압력 제어 덕트를 통해 흐를 때, 압력을 줄이는 스로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접 기어 펌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제어 덕트들(21)은, 압력이 압력 제어 덕트들을 통해 흐를 때, 압력을 줄이는 스로틀을 형성하며, 상기 압축 영역(9) 근처에 연결되는 상기 파일럿 제어 덕트들(21)은 상기 흡입 영역(8) 근처에 연결되는 파일럿 제어 덕트들(21)보다 더 큰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접 기어 펌프.
KR1020130072113A 2012-06-25 2013-06-24 내접 기어 펌프 KR201400006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0686.3A DE102012210686A1 (de) 2012-06-25 2012-06-25 Innenzahnradpumpe
DE102012210686.3 2012-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48A true KR20140000648A (ko) 2014-01-03

Family

ID=4957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113A KR20140000648A (ko) 2012-06-25 2013-06-24 내접 기어 펌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71166B2 (ko)
KR (1) KR20140000648A (ko)
DE (1) DE102012210686A1 (ko)
FR (1) FR29923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7049A1 (de) * 2019-11-06 2021-05-06 Robert Bosch Gmbh Innenzahnradmaschine mit hydrostatisch abgestütztem inneren Dichtungsteil am Füllstü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3833B4 (de) * 1996-04-06 2004-12-09 Bosch Rexroth Ag Innenzahnradmaschine, insbesondere Innenzahnradpumpe
DE19854155B4 (de) * 1997-12-03 2012-04-26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Hydraulische Zahnradmaschine
DE10211865A1 (de) * 2001-03-19 2002-09-26 Luk Lamellen & Kupplungsbau Verdrängungsmaschine
DE202011052114U1 (de) * 2011-11-28 2012-02-28 Eckerle Industrie-Elektronik Gmbh Innenzahnradpum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05828A (ja) 2014-01-16
DE102012210686A1 (de) 2014-01-02
FR2992374A1 (fr) 2013-12-27
JP6271166B2 (ja)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7376B2 (en) Double internal gear pump
US9481347B2 (en) Internal gear pump for a hydraulic vehicle brake system
US9039398B2 (en) Internal gear pump having a lubricant feed from the suction region
RU2480627C1 (ru) Лопастной насос
US10247186B2 (en) Variable lubricant vane pump
US2639694A (en) Gear motor or pump
US20170314555A1 (en) Variable capacity vane pump
US9765779B2 (en) Internal gear pump having a rotationally fixed axial disk
WO2020217144A1 (en) Vane pump with improved seal assembly for control chamber
KR20160144948A (ko) 이중 로터결합 지로터 펌프
KR20140000648A (ko) 내접 기어 펌프
KR102120032B1 (ko) 유압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내접 기어 펌프
KR102065906B1 (ko) 내접 기어 펌프
JP6444601B2 (ja) 内接歯車ポンプ
CN103443401A (zh) 用于将压力油供给到使用装置的泵送组件
JP6338335B2 (ja) 内接歯車ポンプ
US1505707A (en) Rotary pump
JP5598222B2 (ja) 軸シール装置とそれを用いたポンプ装置及び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101351115B1 (ko) 동력 전달 장치용 토크 제한 윤활 펌프
JP6265628B2 (ja) 内接歯車ポンプ
JP2014066244A (ja) 特に液圧式の車両ブレーキ装置用の内接型ギヤポンプ
JP7298704B2 (ja) ギアポンプ
JP6421615B2 (ja) ギヤポンプ装置
PL221099B1 (pl) Pompa zębata o zazębieniu zewnętrznym
JP6297277B2 (ja) 内接歯車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