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100U - Rear lamp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Rear lamp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100U
KR20140000100U KR2020120005574U KR20120005574U KR20140000100U KR 20140000100 U KR20140000100 U KR 20140000100U KR 2020120005574 U KR2020120005574 U KR 2020120005574U KR 20120005574 U KR20120005574 U KR 20120005574U KR 20140000100 U KR20140000100 U KR 201400001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or
auxiliary lens
rear lamp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57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동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5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100U/en
Publication of KR201400001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10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21S41/295Attachment thereof specially adapted to 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차량용 리어램프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가 통과되어 출사되는 보조렌즈를 포함한다.A vehicle rear lamp is provided.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A reflector reflecting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an auxiliary lens positioned at an end of the reflector to pass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exit.

Description

차량용 리어램프{Rear lamp for vehicles}Rear lamp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리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램프의 내부에 보조렌즈를 삽입하여 리어램프의 외곽 부분의 발광 품질을 향상시키고, 외곽 부분의 디자인을 개선하는 차량용 리어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ear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r lamp for a vehicle to improve the light emission quality of the outer portion of the rear lamp by inserting an auxiliary lens inside the rear lamp.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주행 방향의 사물을 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용도의 등화장치를 구비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vehicle has an application for making it possible to see objects in a driving direction at night while driving, and an equalizing device for informing another vehicle or other road user of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특히,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미등은 야간 주행 시 뒷 차량에게 자기 차량의 위치를 알리는 기능을 하는 조명등이고, 브레이크등은 역시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어 뒤 차량에게 자기 차량이 감속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조명등이다. 차량의 후방에 구비된 이러한 등화장치를 통상 리어램프라 하며, 후미등 및 브레이크등은 적색 광을 조사한다.Particularly, the rear ligh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is a light that functions to inform the rear vehicle of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t night, and the brake light is also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to indicate that the vehicle is decelerating to the rear vehicle. to be. Such a lighting devic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is usually a rear lamp, and the tail light and the brake light emit red light.

상기와 같은 차량용 등화장치의 광원으로는 통상적으로 벌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저전압이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절전 효과가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하는 램프가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LED는,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할 때 과잉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하는 다이오드로서, 저전압 및 소전력이라는 장점을 살려 광결합 소자용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Bulbs may be used as a light source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n recent years, many lamps using low-voltage, high durability, and power saving (LED) light sources have been developed. LED is a diode that emits excess energy as light when the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are recombined, and is used as a light source for an optical coupling device, taking advantage of low voltage and low power.

한편, 상기 LED를 광원으로 하는 램프는 통상적으로 프로젝터 타입 램프로 구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광원(10), 상기 LED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20), 상기 반사된 빛이 통과하는 아웃렌즈(미도시)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lamp using the LED as a light source is typically composed of a projector type lamp, as shown in Figure 1 LED light source 10, reflector 20 for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light source 10, It includes an out lens (not shown) through which the reflected light passes.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어램프는 반사경(20) 끝단이나 반사경(20)과 아웃렌즈 사이의 영역에 암영대(22)가 발생하여 발광 영역의 외곽 라인이 뚜렷하지 않은 문제가 나타난다. 그리고, 리어램프의 발광 영역의 외곽 라인이 뚜렷하지 않음에 따라 디자인의 퀄리티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as show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rear lamp, a dark zone 22 is generated at the end of the reflector 20 or an area between the reflector 20 and the out lens, so that the outer line of the emission area is not clear. Appears. As the outer line of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rear lamp is not clear, the quality of the design may be degraded.

일본공개특허 2011-018562Japanese Laid-Open Patent 2011-018562

일본공개특허 2011-018563Japanese Laid-Open Patent 2011-018563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리어램프 내부에 보조렌즈를 삽입하여 리어램프의 발광 영역의 외곽 라인을 뚜렷하게 하여 리어램프의 외곽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리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rear lamp to improve the outer design of the rear lamp by inserting the auxiliary lens inside the vehicle rear lamp to make the outer line of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rear lamp clear.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리어램프 내부의 리플렉터의 단부에 보조렌즈를 배치하여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보조렌즈를 통과하여 커버렌즈로 출사하도록 하여 리어램프의 발광 영역을 균일하게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auxiliary lens at the end of the reflector inside the vehicle rear lamp to ensure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lens to the cover lens to uniform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rear lamp To provide a vehicle rear lamp.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가 통과되어 출사되는 보조렌즈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A reflector reflecting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an auxiliary lens positioned at an end of the reflector to pass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exi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가 통과되어 출사되는 보조렌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램프모듈; 및 상기 복수의 단위모듈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통과시켜 외부로 출사하는 커버렌즈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reflector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A plurality of unit lamp modules comprising an auxiliary lens through which part of the light is emitted; And a cover lens that passes through the light incident from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and exits to the outside.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차량용 리어램프 내부의 리플렉터의 단부에 보조렌즈를 배치하여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보조렌즈를 통과하여 커버렌즈로 출사하도록 하여 리어램프의 발광 영역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An auxiliary lens may be disposed at an end portion of the reflector inside the vehicle rear lamp to allow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pass through the auxiliary lens and to be emitted to the cover lens to make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rear lamp uniform.

또한, 차량용 리어램프 내부에 보조렌즈를 삽입하여 리어램프의 발광 영역의 외곽 라인을 뚜렷하게 하여 리어램프의 외곽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an auxiliary lens inside the vehicle rear lamp, the outer line of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rear lamp can be made clear, thereby improving the outer design of the rear lamp.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리어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보조렌즈의 배치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에 포함되는 여러 보조렌즈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에 포함되는 리플렉터에 연결되는 여러 보조렌즈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에 체결되는 여러 보조렌즈의 형상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1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vehicle rear lamp.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4A and 4B are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an arrangement of an auxiliary lens.
5A and 5B are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shapes of various auxiliary lenses included in a rear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6A and 6B are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fastening structure of various auxiliary lenses connected to reflectors included in a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shapes of various auxiliary lenses fastened to a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owner of the category of design, and the desig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element or section from another element, element or section.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element, the first element or the first section mentioned below may be a second element, a second element or a second section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made of" means that a component, step, operation, and / or element may be embodied in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thereof.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100)는, 광원(110), 리플렉터(120) 및 보조렌즈(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렌즈(130)를 통과한 빛을 통과시켜 외부로 출사하는 커버렌즈(140)와, 광원(110), 리플렉터(120), 보조렌즈(130) 및 커버렌즈(140)를 고정시키는 하우징(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2 and 3, the vehicle rear lamp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source 110, a reflector 120, and an auxiliary lens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ver lens 140 and the light source 110, the reflector 120, the auxiliary lens 130 and the cover lens 140 to pass through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lens 130 to the outside. The housing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광원(110) 은 빛을 조사하며, 상기 조사된 빛은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되어 보조렌즈(130)측으로 입사됨으로써 보조렌즈(130)를 통과하거나, 보조렌즈(130)측으로 바로 입사됨으로써 보조렌즈(130)를 통과하거나, 또는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되어 바로 커버렌즈(140)측으로 입사됨으로써 커버렌즈(140)를 통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110)은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저전압 및 소전력의 차량용 리어램프(10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광원(110)은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하여 개별 소자가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그리고, LED는 색 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고, 사이즈를 최소화 함으로서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갖추고 있다.The light source 110 irradiates light, and the irradiated light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120 and incident to the auxiliary lens 130 to pass through the auxiliary lens 130, or directly to the auxiliary lens 130. Passing through the 130 or reflected by the reflector 120 is directly incident to the cover lens 140 side can pass through the cover lens 140. Preferably, the light source 110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in this case, a low voltage and low power vehicle rear lamp 100 may be configured.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110 may be designed to include a plurality of LED elements so that individual elements may be independently driven. In addition, the LED has a color temperature of about 5500K, which is close to sunlight, which minimizes human eye fatigue, minimizes the size of the lamp, increases the design freedom of the lamp, and is economical due to its semi-permanent life.

리플렉터(120)는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킨다. 이 때, 통상적인 타원형 리플렉터(120)를 사용하여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경우, 반사되어 입사하는 빛의 입사각은 리플렉터(120)의 중심선에서 멀어질수록 커지게 된다. 그리하여, 리플렉터(120)의 외곽 라인에서 반사하는 빛은 뚜렷하지 않을 수 있다.The reflector 120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At this time, when reflect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using the conventional elliptical reflector 120, the incident angle of the reflected light is larg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line of the reflector 120. Thu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outer line of the reflector 120 may not be distinct.

보조렌즈(130)는 리플렉터(120)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빛의 일부가 통과되어 출사되거나, 광원(110)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가 바로 통과되어 출사되거나,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빛의 일부와 광원(110)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가 함께 통과되어 출사된다. 리플렉터(120)의 단부에 보조렌즈(130)가 위치하게 되어, 리플렉터(120)의 외곽 라인으로 조사되는 빛이 보조렌즈(130)를 통과하게 된다. 보조렌즈(130)를 통과한 빛은 넓게 퍼져 나가게 되어 리플렉터(120)의 외곽 라인에 발생하는 암영 영역을 제거하게 된다.The auxiliary lens 130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reflector 120 to emit light through a portion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120, or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passes through the light, or the reflector A portion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120 and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pass through and are emitted. The auxiliary lens 130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reflector 120 so that light irradiated to the outer line of the reflector 120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lens 130.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lens 130 is spread out widely to remove the dark region generated in the outer line of the reflector 120.

커버렌즈(140)는 리어램프(100)의 최외각에 위치하여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빛을 통과시켜 외부로 출사한다. 이때, 보조렌즈(130)를 통과한 빛을 커버렌즈(140)를 통과하여 출사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커버렌즈(14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출사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The cover lens 140 i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rear lamp 100 and passes through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120 and exits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lens 130 may be designed to be emitted through the cover lens 140, or may be designed to be directly emitt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ver lens 140.

이하에서, 보조렌즈(130)의 형상 및 배치에 따른 여러 차량용 리어램프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 보도록 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various vehicle rear lamps according to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auxiliary lens 130 will be described.

도 4a 및 도 4b는 보조렌즈의 배치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에 포함되는 여러 보조렌즈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에 포함되는 리플렉터에 연결되는 여러 보조렌즈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에 체결되는 여러 보조렌즈의 형상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4A and 4B are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an arrangement of an auxiliary lens, and FIGS. 5A and 5B are shapes of various auxiliary lenses included in a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fastening structure of various auxiliary lenses connected to a reflector included in a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various auxiliary lenses fastened to a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a에서,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되어 직접 입사되는 빛과 보조렌즈(130)를 통과한 빛을 통과시켜 외부로 출사하는 커버렌즈(14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b에서,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되어 직접 입사되는 빛만을 통과시켜 외부로 출사하는 커버렌즈(140)가 도시되어 있다. First, in FIG. 4A, the cover lens 140 is shown to pass through the light reflected directly from the reflector 120 and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lens 130 to be emitt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in FIG. 4B, the cover lens 140 is shown to pass through only the light reflected directly from the reflector 120 and exits to the outside.

즉, 보조렌즈(130)를 통과하는 빛을 커버렌즈(140)를 통과시키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커버렌즈(140)를 통과시키지 않고 바로 외부로 출사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 리어램프(100)에서 출사되는 빛의 광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리어램프(100) 외곽 부분의 적절한 심미성을 달성할 수 있다.That i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lens 130 may be designed to pass through the cover lens 140, or may be designed to be directly emitted to the outside without passing the cover lens 140. By this desig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rear lamp 100 to achieve an appropriate aesthetics of the outer portion of the rear lamp 100.

다음에, 도 5a를 참조하면, 보조렌즈(130)는 빛의 입사면(131)이 톱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렌즈(130)의 입사면(131)에 톱니(serration) 모양을 형성시킬 경우, 리플렉터(12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입사면(131)으로 입사되는 빛의 산란이 일어나게 된다. 산란을 거친 빛은 보조렌즈(130)를 통과 시 확산되게 되어 보조렌즈(130)에서 출사되는 빛은 직진성이 배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빛의 지향각이 넓어질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5A, in the auxiliary lens 130, the incident surface 131 of the light may have a sawtooth shape. When a serration is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131 of the auxiliary lens 130, scattering of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120 and incident on the incident surface 131 occur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cattered light is diffused when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lens 130,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auxiliary lens 130 may be excluded from the straightness of the light, thereby widening the directing angle of the light.

또한, 보조렌즈(130)는 빛의 출사면(132)이 부식처리에 의해 형성된 거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렌즈(130)의 부식처리 방법으로는 출사면(132)에 센딩(sending) 처리를 통해 표면을 거칠게 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에서, 모래나 연마제와 같은 재료를 부식 처리하고자 하는 보조렌즈(130)의 출사면(132)에 입혀 거칠게 할 수 있으며, 또는 출사면(132)에 염화칼슘, 황산 등의 화학 약품 처리를 통해 표면을 거칠게 할 수 있다. 출사면(132)의 부식 처리를 통해 수많은 굴곡을 형성하여 빛을 사방으로 확산시킴으로써 빛을 전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lens 130 may include a rough surface on which the emission surface 132 of the light is formed by the corrosion treatment. Corrosion treatment of the auxiliary lens 130 may be performed by roughening the surface by sending the light to the exit surface 132. Here, the material such as sand or abrasive may be roughened by coating the exit surface 132 of the auxiliary lens 130 to be corroded, or the surface of the exit surface 132 by chemical treatment such as calcium chloride or sulfuric acid. You can roughen it. Corrosion treatment of the exit surface 132 may form numerous bends to diffuse the light in all directions so that the light may b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그리고, 도 5b를 참조하면, 보조렌즈(130)는 빛의 입사면 또는 출사면이 데코 부분 증착으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빛의 일부만 투과시킬 수 있다. 즉, 보조렌즈(130)의 일부 영역(136)을 알루미늄 등으로 증착하고, 나머지 영역(138)은 빛이 투과되도록 마스킹(masking)하여 보조렌즈(130)를 통과한 빛이 은은하게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B, the auxiliary lens 130 may transmit only a part of the incident light because the incident surface or the exit surface of the light is formed by the partial deposition of the decor. That is, the partial region 136 of the auxiliary lens 130 may be deposited using aluminum, and the remaining area 138 may be masked to transmit light, so tha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lens 130 may be gently emitted. have.

다음으로, 도 6a를 참조하면, 보조렌즈(130)는 리플렉터(120)에 체결부재(135)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135)의 일례로 볼트나 나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보조렌즈(130)는 스냅피트(snapfit, 137)를 포함하여 상기 스냅피트(137) 구조로 리플렉터(120)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역으로 리플렉터(120)가 스냅피트(137)를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Next, referring to FIG. 6A, the auxiliary lens 130 may be fastened to the reflector 120 by the fastening member 135. As an example of the fastening member 135, a bolt or a screw may be used.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B, the auxiliary lens 130 may be coupled to the reflector 120 in the snap fit 137 structure including a snap fit 137. Of course, the reflector 120 may be designed such that the snap fit 137 has a structure.

그 다음으로, 도 7a를 참조하면, 보조렌즈(130)는 리플렉터(120)의 외곽 부분에 하나로 형성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7a에서, 보조렌즈(130)가 리플렉터(120)의 외곽 부분에 체결부재(135)에 의해 체결되어 리플렉터(120)의 외곽 부분에서 반사되는 빛이 보조렌즈(130)를 통과하도록 하여 리어램프(100)의 외곽 라인을 뚜렷하게 할 수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7A, one auxiliary lens 130 may be formed and position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reflector 120. In FIG. 7A, the auxiliary lens 130 is coupl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reflector 120 by the fastening member 135 so that light reflected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reflector 120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lens 130. The outer line of 100 can be made clear.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보조렌즈(130)는 리플렉터(120)의 외곽 부분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렌즈(130)가 리플렉터(120)의 외곽 부분에 체결부재(135)에 의해 띄엄띄엄 체결되어 리플렉터(120)의 외곽 부분에서 반사되는 빛이 보조렌즈(130)를 통과한 부분만 리어램프(100)의 외곽 라인을 뚜렷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어램프(100)의 외곽 라인의 발광 강도를 다르게 설계하여 외곽 부분의 심미감을 여러 가지로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B, a plurality of auxiliary lenses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reflector 120. In this case, the auxiliary lens 130 is fix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reflector 120 by the fastening member 135 is only a portion where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reflector 120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lens 130. The outer line of the rear lamp 100 can be made clear. Through this, the light emission intensity of the outer line of the rear lamp 100 can be designed differently to design various aesthetics of the outer portion.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ehicle rear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200)는, 복수의 단위램프모듈(210) 및 커버렌즈(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rear lamp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lamp modules 210 and a cover lens 220.

각 단위램프모듈(210)은, 빛을 조사하는 광원(212)과, 상기 광원(212)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14)와, 상기 리플렉터(214)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212)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가 통과되어 출사되는 보조렌즈(216)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광원(212), 리플렉터(214), 보조렌즈(216)의 구체적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Each unit lamp module 210 includes a light source 212 for irradiating light, a reflector 214 for reflecting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212, and an end of the reflector 214 at the end of the light source ( A portion of the light irradiated by 212 is passed through the auxiliary lens 216 is emitted. In this case,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light source 212, the reflector 214, and the auxiliary lens 216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us will be omitted.

각 단위램프모듈(210)은 다르게 발광하는 여러 개의 광원(212)을 포함함으로써 보조렌즈(216)를 통과하여 방출되는 빛과 리플렉터(214)로부터 바로 반사되는 빛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조도를 나타내게 하여 차량용 리어램프(200)의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Each unit lamp module 21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212 that emit differently so that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auxiliary lens 216 and the light reflected directly from the reflector 214 exhibit different colors or illuminance. Aesthetics of the vehicle rear lamp 200 may be improved.

커버렌즈(220)는 복수의 단위램프모듈(210)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통과시켜 외부로 출사한다. 여기에서, 하나의 커버렌즈(220)를 통과하는 빛이 여러 단위램프모듈(210)로부터 나오게 되어 커버렌즈(220) 너머 다양한 색상이 시각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용 리어램프(200) 설치 부분에서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기 다른 물리적 성질을 가진 보조렌즈(216) 후방에 각기 다른 발광 특성을 가진 광원(212)을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차량용 리어램프(200)를 구현할 수 있다.The cover lens 220 passes through the light incident from the plurality of unit lamp modules 210 and exits to the outside. Here, the light passing through one cover lens 220 is emitted from the various unit lamp module 210, so that various colors can be visualized beyond the cover lens 220, through which the installation of the vehicle rear lamp 200 Various designs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light sources 212 having different light emission characteristics behind the auxiliary lens 216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the vehicle rear lamp 200 can express various desig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realiz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 can understand tha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200: 차량용 리어램프
110, 212: 광원
120, 214: 리플렉터
130, 216: 보조렌즈
140, 220: 커버렌즈
100, 200: vehicle rear lamp
110, 212: light source
120, 214: Reflector
130, 216: secondary lens
140, 220: cover lens

Claims (12)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가 통과되어 출사되는 보조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A reflector reflecting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And an auxiliary lens positioned at an end of the reflector to pass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exit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light source includes a plurality of LED elemen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어 직접 입사되는 빛과 상기 보조렌즈를 통과한 빛을 통과시켜 외부로 출사하는 커버렌즈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lamp of 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 cover lens which passes through the light reflected directly from the reflector and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lens and exits to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어 직접 입사되는 빛만을 통과시켜 외부로 출사하는 커버렌즈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vehicle rear lamp further comprises a cover lens that passes through only the light reflected directly from the reflector and exits to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렌즈는 빛의 입사면이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리어램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lens is a vehicle rear lamp, the incident surface of the light is formed in a sawtooth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렌즈는 빛의 출사면이 부식처리에 의해 형성된 거친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lens is a rear lamp for a vehicle, the emission surface of the light comprises a rough surface formed by the corrosion treat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렌즈는 빛의 입사면 또는 출사면이 데코 부분 증착으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빛의 일부만 투과시키는, 차량용 리어램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lens is a rear lamp for a vehicle, in which the incident surface or the exit surface of the light is formed by partial deposition and transmits only a part of the incident ligh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렌즈를 상기 리플렉터에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auxiliary lens to the refl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렌즈는 상기 리플렉터에 결합되는 스냅피트(snapfit)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auxiliary lens includes a snap fit coupled to the refl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렌즈는 상기 리플렉터의 외곽 부분에 하나로 형성되어 위치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lens is formed on on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reflector, the vehicle rear lam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렌즈는 상기 리플렉터의 외곽 부분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위치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lurality of the auxiliary lenses ar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reflector.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가 통과되어 출사되는 보조렌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램프모듈; 및
상기 복수의 단위램프모듈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통과시켜 외부로 출사하는 커버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A plurality of unit lamp modules including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an auxiliary lens positioned at an end of the reflector to pass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And a cover lens passing through the light incident from the plurality of unit lamp modules and exiting to the outside.
KR2020120005574U 2012-06-28 2012-06-28 Rear lamp for vehicles KR2014000010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574U KR20140000100U (en) 2012-06-28 2012-06-28 Rear lamp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574U KR20140000100U (en) 2012-06-28 2012-06-28 Rear lamp for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100U true KR20140000100U (en) 2014-01-08

Family

ID=5244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574U KR20140000100U (en) 2012-06-28 2012-06-28 Rear lamp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100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870A (en) * 2014-05-23 2015-12-02 에스엘 주식회사 Lamp for vehicles
WO2019156387A1 (en) * 2018-02-08 2019-08-15 주식회사 아모센스 Rear lamp module for vehicle and rear combination lamp having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870A (en) * 2014-05-23 2015-12-02 에스엘 주식회사 Lamp for vehicles
WO2019156387A1 (en) * 2018-02-08 2019-08-15 주식회사 아모센스 Rear lamp module for vehicle and rear combination lamp having same
US11680693B2 (en) 2018-02-08 2023-06-20 Amosense Co., Ltd Rear lamp module for vehicle and rear combination lamp hav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9142C1 (en) Street lamp based on light diodes
KR101397602B1 (en) Automotive lamp assembly
US9851066B2 (en) Reflector signal lamp having a hidden light source
JP5761883B2 (en) LED bulbs for replacing halogen bulbs for automobiles
CA2530570C (en) Colored headlamp
JP2011076858A (en) Vehicular lighting fixture
JP2007250401A (en) Vehicular lighting fixture
JP2016119283A (en) Vehicular lighting fixture
KR101910356B1 (en) Vehicle lamp with an inner component
KR20140000100U (en) Rear lamp for vehicles
KR101069693B1 (en) LED lighting apparatus using aspherics
JP6223782B2 (en) LED license lamp
JP2015532502A (en) LIGHTING DEVICE AND / OR SIGNAL DEVICE FOR VEHICLE HAVING LENS AND LIGHT SOURCE
KR20170000496A (en) An improved flat lamp structure
US10119678B2 (en) Lighting fixture
KR101615546B1 (en) Rear combination lamp for vehicle
KR20150009333A (en) Automotive lamp
KR200483959Y1 (en) Lamp for vehicle
KR200482997Y1 (en) Lamp apparatus for an automobile
KR20140133313A (en) Vehicle Lamp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2019071204A (en) Vehicular lighting fixture
JP2019139932A (en) Lighting appliance for vehicle
WO2022158294A1 (en) Vehicle lighting
KR101638323B1 (en) Head lamp assembly and head lamp apparatus for using it
KR20170001549U (en) Lamp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