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679A -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과 전송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 Google Patents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과 전송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679A
KR20130143679A KR1020120066696A KR20120066696A KR20130143679A KR 20130143679 A KR20130143679 A KR 20130143679A KR 1020120066696 A KR1020120066696 A KR 1020120066696A KR 20120066696 A KR20120066696 A KR 20120066696A KR 20130143679 A KR20130143679 A KR 20130143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ed content
information
terminal
content
mem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180B1 (ko
Inventor
노해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180B1/ko
Publication of KR2013014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고,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부가하여 표시하며, 메시지 서비스에 첨부하는 부가 정보 선택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 컨텐츠를 포함하는 검색 영역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 상기 시스템 운용 방법,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장치 및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과 전송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Service Device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 서비스를 기반으로 특정 부가 정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지정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보다 손쉽게 검색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과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 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한편, 통신망의 발달과 보급 확대에 힘입어 인터넷 인구가 급격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의 성장과 함께 전자상거래, 포털(portal) 등을 위시한 다양한 컨텐츠(contents)가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영역의 경계가 파괴되면서 대다수의 오프라인 서비스가 온라인 서비스로 대체되고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컨텐츠들을 검색하거나, 청취하거나 하는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한 특정 컨텐츠에 대하여 타 단말기 사용자와 공유하기를 희망하거나 타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이미 검색한 컨텐츠라 하더라도 해당 컨텐츠의 위치를 정확히 기억하고 찾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에 그러한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결국 원하는 컨텐츠를 찾지 못하여 해당 컨텐츠 정보를 공유할 수 없는 경우도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운용하면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관리하고, 사용자의 메시지 서비스 운용 과정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선택된 이력을 가지는 선택 컨텐츠들을 보다 용이하게 검색 및 첨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과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가 선택 컨텐츠로 지정되면, 선택 컨텐츠를 표시할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함께 표시하고,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메모를 매칭하여 관리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에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메모의 저장 및 관리, 선택 컨텐츠에 대한 북마크 표식의 부가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단말기 접속을 지원하는 장치 통신부;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가 선택 컨텐츠로 지정되면, 단말기에서 선택 컨텐츠가 표시될 때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이 함께 표시되도록 지원하는 장치 제어부; 및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는 장치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장치 제어부는 단말기가 메시지 서비스 운용 중에 메시지 서비스에 첨부하는 부가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장치 제어부는 단말기의 접속에 따라 새로운 컨텐츠가 선택 컨텐츠로 지정되는 경우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갱신하도록 제어하거나, 단말기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선택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고,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사용자의 선택 컨텐츠 지정에 따라서, 입력부를 통해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선택 컨텐츠가 표시될 때,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이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선택 컨텐츠와 함께 북마크 표식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메시지 서비스 운용 중에 부가 정보 검색 요청이 입력되면,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컨텐츠에 매칭되는 메모를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검색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있어서,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선택 컨텐츠의 주소 정보, 선택 컨텐츠 이용 관련 로그 정보, 선택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 아이콘,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컨텐츠가 지정되면, 컨텐츠 선택 또는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의 메모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메모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북마크 표식에 포함시켜 표시하거나, 선택 컨텐츠에 대한 메모의 존재 여부를 북마크 표식에 포함시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메모의 내용을 기반으로 선택 컨텐츠를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는 단계; 선택 컨텐츠에 대한 메모를 획득하는 단계; 메모를 지정된 선택 컨텐츠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선택 컨텐츠가 표시될 때,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선택 컨텐츠와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메모를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 메시지 서비스 운용을 위한 메시지 작성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부가 정보 검색 요청에 따라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선택 컨텐츠 리스트 중 지정된 선택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작성 단계; 및 메시지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선택 컨텐츠의 주소 정보 영역, 선택 컨텐츠 이용 관련 로그 정보 영역, 선택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 영역, 선택 컨텐츠에 기입된 메모 정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관련 정보를 상기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과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사전 선택한 이력을 가지는 선택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메모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메시지 서비스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관련된 메모를 참조함으로써 원하는 컨텐츠를 보다 쉽게 하여 타 단말기 사용자와의 공유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송 시스템의 구성 중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선택 컨텐츠를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선택 컨텐츠를 부가 정보로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선택 컨텐츠의 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 컨텐츠 리스트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시지 서비스 기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10)은 단말기(100),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및 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단말기(100)의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10)은 단말기(100)가 통신망(300)을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거나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면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들에 대하여 사전 정의된 방식에 따라 북마크 표식을 부여하여 부가 정보로서 관리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북마크 표식을 부여하는데 있어서 선택한 컨텐츠에 관련된 사용자의 메모를 북마크 표식에 포함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지정한 선택 컨텐츠들 및 그와 관련된 메모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부가 정보로서 관리되는 선택 컨텐츠들은 해당 단말기(100)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부가 정보로서 첨부 되어 타 단말기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메시지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부가 정보 선택 기능을 지원하고, 해당 기능 요청 시 선택 컨텐츠들로 구성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컨텐츠로 지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는, 단말기(100)를 통해서 접근 가능한 컨텐츠로서, 단말기(100)의 로컬 저장소, 즉, 단말기(100)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연결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거나, 임의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되어, 통신망(300)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컨텐츠로 지정 가능한 특정 컨텐츠는 예를 들면, 웹 페이지, 음원, 비디오, 사진, 전자도서, 기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컨텐츠의 이용은, 단말기(100)를 통해서 해당 컨텐츠에 접근하거나, 해당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해당 컨텐츠를 실행 또는 표시하는 등 해당 컨텐츠와 관련되어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모든 처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컨텐츠들을 이용하는 과정 중에 기억하고 싶은 또는 타 단말기 사용자와 공유하고 싶은 다양한 컨텐츠들을 선택하여 별도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10)은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메시지 서비스를 기반으로 타 단말기 사용자와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상술한 선택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저장하고 이를 단말기(100)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망(300)은 단말기(100)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간의 통신 채널, 단말기(100)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 간의 통신 채널, 단말기(100)와 타 단말기 간의 메시지 서비스 지원을 위한 통신 채널 등을 형성하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통신망(300)은 단말기(100)의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기지국을 포함하며, 각 기지국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호 절환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300)은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기기인 경우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기지국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300)은 본 발명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전송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문자 메시지 예를 들면 LMS 및 MMS 서비스 지원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통신망(300)을 이용하여 부가 정보가 포함된 LMS, MMS, 인스턴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망(300)은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통신을 제공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와 단말기(100)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 간에 부가 정보, 부가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 등을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통신망(300)에 접속하여, 통신망(300)과 연결된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거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면, 웹 페이지, 음원, 비디오, 사진, 전자도서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해당 컨텐츠들 중 일정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 컨텐츠들로 지정하고 해당 선택 컨텐츠들을 별도 수집 관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선택 컨텐츠들로 구성된 리스트 정보를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에 업로드하여 타 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자신이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메시지 서비스 기능 지원 과정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선택 컨텐츠 관련 정보 예를 들면 해당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거나 해당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주소 정보를 부가 정보로서 포함시켜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부가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LMS, MMS,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기반으로 타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컨텐츠 종류에 대응하는 각각의 컨텐츠를 단독으로 또는 여러 개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는 특정 웹 페이지 서비스 제공 장치, 음원 서비스 제공 장치, 비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 사진 제공 장치, 전자도서 제공 장치, 마켓 서비스 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는 상술한 각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컨텐츠들을 구분할 수 있도록 그리고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가 다시 검색할 수 있도록 주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기(100)가 특정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 이용에 대한 로그 정보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단말기(100)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단말기(100)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공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단말기(100)에 저장되지 않고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한 후, 단말기(100)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단말기(100)가 방문하였거나 이용한 컨텐츠들 중 단말기(100)에 의해 선택된 선택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단말기(100)의 컨텐츠 이용에 따라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선택 컨텐츠 리스트 갱신이 발생하는 경우, 갱신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100) 사용자가 등록한 다른 단말기들에게 선택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선택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 타 단말기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부가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10)은 단말기(100)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이용 중에 선택한 선택 컨텐츠들을 메시지 서비스 기반으로 타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선택 컨텐츠들을 보다 손쉽게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10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들을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고, 지정된 선택 컨텐츠를 별도의 선택 컨텐츠 리스트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저장부(150)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들을 선택 컨텐츠로 지정할 수 있으며, 선택 컨텐츠에 대해서 북마크 표식을 부여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북마크 표식에는 선택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북마크 표식을 통해 간단하게 해당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자신의 메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단말기(100)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부가 정보 첨부 기능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선택 컨텐츠 리스트 중 입력 신호에 따라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컨텐츠 항목을 해당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타 단말기에 전달하고자 하는 또는 공유하고자 하는 특정 컨텐츠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선택 및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특히 통신부(11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와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컨텐츠를 열람하거나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다양한 컨텐츠를 열람하거나 이용하는 과정에서 각 컨텐츠 관련 정보 예를 들면 컨텐츠가 위치하는 주소 정보, 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컨텐츠 관련 정보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추가로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 간의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로부터 선택 컨텐츠 리스트 또는 새로 갱신된 선택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 또는 갱신된 선택 컨텐츠 정보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 키 및 기능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20)는 단말기(100) 기능 지원에 따라 음성 통화 요청을 위한 통화키, 화상 통화 요청을 위한 화상 통화키,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종료 등을 요청하는 종료키,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 조정할 수 있는 볼륨 키 및 방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는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접속 및 컨텐츠 열람과 접근을 위한 입력 신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서 방문 또는 열람한 컨텐츠 또는 저장부(150)에서 열람한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선택 컨텐츠를 부가 정보로서 첨부하는 메시지 작성을 위한 입력 신호, 부가 정보를 첨부하는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입력 신호는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어로 이용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의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과 단말기(100)의 통화 기능 지원에 필요한 오디오 데이터 수집 등을 담당하기 위하여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접속 과정에서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 운용에서 부가 정보 첨부를 위한 동작 수행에 따른 효과음이나 지정된 선택 컨텐츠의 종류 등을 안내하는 안내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오디오 신호의 출력 기능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생략될 수 도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40)는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40)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이용 화면, 부가 정보를 첨부하는 메시지 작성 및 메시지 전송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기 화면, 메뉴 화면의 표시 중에, 다양한 컨텐츠 중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부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화면들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143)과 표시 패널(141)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널(143)은 표시 패널(141)의 전체 면적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형성되어 단말기(100)가 풀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는 다양한 화면 정보 및 키 맵 등을 확인하고 터치 패널(143)을 운용하여 본 발명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입력 신호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부(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음원 재생 기능, 비디오 재생 기능, 전자도서 열람 기능, 서버 검색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부가 정보를 첨부한 메시지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하여 메시지 작성 지원 프로그램(151) 및 선택 컨텐츠 리스트(153)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저장부(150)는 서버 검색 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브라우저를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지 작성 지원 프로그램(151)은 부가 정보를 첨부한 메시지 작성 기능과, 부가 정보를 첨부한 메시지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 수행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를 위하여 메시지 작성 지원 프로그램(151)은 제어부(160)에 로드되어 메시지 작성 화면 및 부가 정보 첨부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 컨텐츠 리스트(153)는 단말기(100) 운용 과정에서 검색된 다양한 컨텐츠들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메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컨텐츠 리스트(153)는 사용자 선택 시 단말기(100)에 사전 정의된 방식에 의하여 전자적 특정 표식(북마크 표식)을 부여함으로써 다른 컨텐츠들과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북마크 표식에 해당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의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함으로써, 북마크 표식의 확인만으로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자신의 메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선택 컨텐츠 리스트(15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웹 페이지, 음원, 비디오, 전자도서, 사진, 마켓 등 다양한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또는 저장부(150)의 주소 정보 및 해당 컨텐츠 선택에 관한 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선택 컨텐츠 리스트(153)는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 관련 정보가 어떠한 컨텐츠를 지시하는지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입력한 텍스트 정보 또는 메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메시지 서비스에 부가 정보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기능 지원을 위한 신호 흐름과 데이터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 및 컨텐츠 이력 관리 모듈(163)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단말기(100)의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 지원부(161)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메시지 작성을 위한 메시지 작성 화면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메시지 작성 지원 프로그램(151)을 호출할 수 있다. 메시지 작성 화면은 메시지 작성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작성된 메시지가 출력되는 출력 영역, 메시지 작성을 위한 입력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영역은 디폴트로 설정된 특정 키 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제어에 따라 또는 단말기(100)의 가로 세로 배치 변화에 따라 다른 키 맵으로 변경될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입력 영역에 부가 정보 첨부를 위한 가상 키를 제공하거나, 특정 입력 키를 부가 정보 첨부를 위한 키로 할당할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입력 영역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출력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부가 정보 첨부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입력 신호를 컨텐츠 이력 관리 모듈(163)에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컨텐츠 이력 관리 모듈(163)로부터 부가 정보에 해당하는 지정된 선택 컨텐츠 항목을 전달받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과 관련된 정보를 메시지 작성 화면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작성된 텍스트 및 첨부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작성된 메시지의 데이터 양을 화인하고, 해당 데이터 양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를 자동으로 선택한 후, 해당 메시지 서비스 방식으로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성된 메시지의 데이터 양이 LMS 서비스 제한 폭, 예를 들면 100글자를 넘지 않는 경우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L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작성된 메시지 데이터 양이 LMS 서비스 기준을 넘는 경우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상기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은 사용자가 가입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또는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텐츠 이력 관리 모듈(163)는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때,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선택 컨텐츠 및 선택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이에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때, 예를 들어, 다수의 컨텐츠의 아이콘을 표시할 때, 선택 컨텐츠의 아이콘에 상기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더하여, 컨텐츠 이력 관리 모듈(163)은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로부터 부가 정보 첨부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력 관리 모듈(163)는 메시지 작성 화면 상에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거나, 화면 전환을 수행하여 별도 화면 상에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메시지 작성 화면 상에 오버레이 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는 메시지 작성 화면보다 작게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컨텐츠 리스트는 메시지 작성 화면을 구성하는 입력 영역을 대체하여 출력될 수 있다. 선택 컨텐츠 리스트는 최근 선택된 컨텐츠들을 항목으로 가지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로 구성되거나, 특정 컨텐츠 종류별로 구분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이력 관리 모듈(163)는 입력 신호에 의해 지정된 특정 선택 컨텐츠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에 전달할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에 전달되는 선택 컨텐츠 항목들의 정보는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 및 해당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방문한 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단말기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선택한 컨텐츠들을 메시지 서비스의 부가 정보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때 선택한 컨텐츠 만을 별도로 보여줌으로써, 컨텐츠 검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 컨텐츠의 지정 및 부가 정보 전송 처리가 모두 단말기(100) 자체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처리 과정 중에서 일부 기능을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서 제공하거나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가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통신부(210), 장치 저장부(250) 및 장치 제어부(2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통신부(21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단말기(100)에게 다양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장치 통신부(210)는 통신망(300)과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 간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통신부(210)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선택 컨텐츠 정보들은 장치 제어부(260)에 전달될 수 있다.
장치 저장부(250)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 운용을 지원하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과, 컨텐츠 제공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징 장치 저장부(250)는 단말기(100)가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함에 따라 생성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는 단말기(100)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다른 컨텐츠를 이용하면서 선택 컨텐츠를 새로 생성하는 경우 갱신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에 저장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는 단말기(100) 요청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삭제될 수도 있다.
장치 제어부(260)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의 컨텐츠 제공 등을 제어하며, 특히 선택 컨텐츠 리스트 제공과, 갱신 및 삭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장치 제어부(260)는 특정 단말기(100)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고, 해당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지정된 선택 컨텐츠를 기반으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해당 단말기의 다른 컨텐츠 이용 및 선택 지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면, 그에 따라 선택 컨텐츠 리스트의 정보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제어부(260)는 단말기(100) 요청에 따라 현재 해당 단말기(100)의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장치 제어부(260)는 단말기(100)에서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선택 컨텐츠임을 나타내는 북마크 표식과 상기 북마크 표식에 포함되는 메모를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100)의 부가 정보 첨부 기능 수행 시, 장치 저장부(250)에 저장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기능이 활성화되면,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로부터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다양한 컨텐츠 목록을 표시하는 등의 경우, 그 중에서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메모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북마크 표식을 함께 출력하고, 메시지 작성 중 부가 정보 요청 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부(140)에 출력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선택 컨텐츠 항목을 첨부한 후, 전송 지시에 따라 타 단말기에 해당 부가 정보가 첨부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기(100)가 스탠드 얼론 방식으로 동작하는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하에 설명하는 과정 중 각 단계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와의 연동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선택 컨텐츠의 지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0)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서 로컬 또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할 수 있다(S101). 상기 과정은 사용자가 단말기(100)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를 통해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검색하는 중에,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상기 단말기(100)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메모를 입력 받는다(S103). 여기서, 메모는, 상기 선택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할일 또는 기억할 내용 또는 주의할 내용 등에 대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입력될 수 도 있고, 선택 가능한 메모 목록을 다수 개 제공하고, 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서 사용자의 메모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의 메모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100)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상기 메모를 상기 지정된 선택 컨텐츠와 매칭하여 저장한다(S105). 이때 상기 메모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키워드에 따라서 다수의 선택 컨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때(S107), 상기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연결하여 표시할 수 있다(S109). 예를 들어, 상기 북마크 표식은, 메모의 존재 여부 또는 메모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먼저 S201 단계에서와 같이 대기 화면을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배터리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에 공급하고,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 및 입력 기능의 표시부(140)로부터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S203 단계에서와 같이 발생된 입력 신호가 메시지 서비스 기능 활성화를 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입력 신호가 메시지 서비스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아닌 경우, 제어부(160)는 S205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신호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입력 신호에 따라 파일 재생을 수행하고 재생된 파일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특정 웹 페이지 등을 검색하는 등의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단말기(100) 종류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기(100)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입력된 입력 신호가 메시지 서비스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인 경우, 제어부(160)는 S207 단계에서 부가 정보 첨부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메시지 작성 화면에 부가 정보 첨부를 요청할 수 있는 가상 키 버튼을 출력하도록 지원하거나, 부가 정보 첨부를 지원하는 메뉴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S207 단계에서 별도의 부가 정보 첨부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S209 단계로 분기하여 기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입력부(120) 또는 표시부(140)에 출력된 입력 영역에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른 텍스트, 이미지, 특정 오디오 신호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을 지원하고, 작성된 메시지를 해당 메시지 타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방식으로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S207 단계에서 부가 정보 첨부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S211 단계로 분기하여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메시지 작성 화면 상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거나, 별도의 화면 전환을 수행하고, 새 화면에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S213 단계에서 선택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특정 선택 컨텐츠 항목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별도의 선택 컨텐츠 항목 지정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거나, 화면 복귀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S2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13 단계에서 특정 선택 컨텐츠 항목을 지정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S215 단계로 분기하여 지정된 선택 컨텐츠 항목 정보를 현재 작성 중인 메시지에 첨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지정된 선택 컨텐츠 항목과 관련된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작성중인 메시지에 첨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S213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복수개의 선택 컨텐츠 항목을 지정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선택된 복수개의 선택 컨텐츠 항목에 대한 부가 정보 첨부를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S217 단계에서 부가 정보가 첨부된 작성된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S219 단계로 분기하여 작성된 메시지를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217 단계에서 전송 취소 등의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S203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S219 단계 이후 제어부(160)는 S2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기능 지원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 단말기에 제공되는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기능에 이용되는 선택 컨텐츠의 지정 및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선택 컨텐츠는 그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아이콘, 파일명, 썸네일 파일, 이미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가 단말기에 표시되는 경우,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북마크 표식이 부가된다. 상기 북마크 표식은 선택 컨텐츠임을 나타내며 시인성이 높은 임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북마크 표식 내부에는 해당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 중 적어도 일부가 함께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열어본 다수의 웹 페이지 목록을 썸네일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 표시된 다수의 썸 네일 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선택 컨텐츠에 북마크 표식을 표시하고, 더불어, 상기 북마크 표식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가 존재함을 알리는 표시(예를 들어, M)를 더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열어본 다수의 웹 페이지 목록을 썸네일 형태로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가 지정한 선택 컨텐츠에 북마크 표식을 표시하고, 상기 북마크 표식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예를 들어, 신발)를 더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기능에 이용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및 통신망(300) 간의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망(300)에 접속되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501 화면에서와 같이 특정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고, 해당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다. 501 화면에 도시한 화면은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웹 페이지를 특정 컨텐츠로서 예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501 화면을 검색하는 과정 중에 해당 웹 페이지를 선택 컨텐츠 항목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특정 웹 페이지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기능키를 표시부(140) 일 측에 출력하거나 입력부(120)의 특정 키에 할당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검색 중인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기 위한 메뉴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메뉴 창을 활성화는 등의 제어를 수행하여 해당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503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선택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현재 지정된 선택 컨텐츠 항목을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최상위에 배치하거나, 특정 위치에 배치하면서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등의 제어를 통하여 선택 컨텐츠가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되었음을 안내할 수 있다.
503 화면은 사용자가 선택한 다양한 선택 컨텐츠들을 각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선택 컨텐츠의 특성이 특정 웹 페이지인 경우, 해당 선택 컨텐츠를 웹 페이지(531) 항목에 소속되도록 제어하고, 이를 503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501 화면에서의 웹 페이지 주소 정보(511)를 선택 컨텐츠의 제1 관련 정보(533)로서 503 화면에서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501 화면에 포함된 특정 이미지 정보(513)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 정보(513)를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서 선택 컨텐츠의 제2 관련 정보(535)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웹 페이지 화면에 포함된 정보를 수집하면서 해당 웹 페이지 화면에 특정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캡쳐를 수행하고, 선택 컨텐츠 리스트의 제2 관련 정보(535)로서 등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웹 페이지 화면에 다수개의 이미지들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어떠한 이미지를 제2 관련 정보로서 등재할 것인지를 묻는 팝업창을 501 화면에서 선택 지정 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디폴트로 웹 페이지 화면 분석 중에 첫 번째로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제2 관련 정보(535)로 등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로 단말기(100)는 제3 관련 정보(537)로서 503 화면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메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501 화면에서 해당 웹 페이지 화면을 선택 컨텐츠로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메모 정보 입력을 위한 메모 작성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메모 작성 화면을 이용하여 해당 웹 페이지 화면에 해당하는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501 화면의 컨텐츠에 대하여 특정 단어를 메모로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구성하면서, 입력된 메모 정보를 제3 관련 정보(537)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관련 정보들(533, 535, 537)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검색할 경우, 어떠한 선택 컨텐츠가 어떠한 정보를 나타내는지를 직관적으로 또는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추가로 선택 컨텐츠 리스트의 특정 선택 컨텐츠 항목의 관련 정보로서 날짜 정보나 해당 컨텐츠 이용 시간이나 시점에 관한 로그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 예를 들면, 음원이나 비디오, 사진과 같은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음원, 비디오, 사진 등의 저장부(150) 저장 위치 정보를 해당 컨텐츠들의 관련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음원이나 비디오 등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웹 페이지 컨텐츠와 같이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해당 음원이나 비디오 관련 주소 정보를 관련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부가 정보로 제공되는 선택 컨텐츠들을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관련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선택 컨텐츠가 저장된 또는 선택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소 정보 및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이용하였거나 방문한 시점 관련 로그 정보를 관련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메시지 서비스에 부가 정보를 첨부하는 과정에서, 첨부하고자 하는 부가 정보가 어떠한 정보인지를 보다 손쉽게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이용 중에 부가 정보를 첨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 활성화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메시지 작성 화면을 활성화하고, 그에 따른 메시지 작성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작성 화면은 출력 영역(610)과 입력 영역(6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영역(620)은 특정 키들을 포함하는 가상 키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입력 영역(620)에 쿼티 키맵이 출력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입력 영역(620)은 3*4 키맵, 5*4 키맵 등 다양한 키맵으로 변경되거나 전환될 수 있다. 출력 영역(610)은 입력 영역(620)에 출력된 특정 키들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키들에 대응하는 문자 등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한편 입력 영역(620)에는 본 발명의 부가 정보 첨부 기능 지원을 위하여 첨부 버튼(621)이 할당될 수 있다. 첨부 버튼(621)이 선택되는 경우 본 발명의 부가 정보 첨부 기능 지원을 위하여 603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이 출력되거나, 605 화면에서와 같은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먼저, 603 화면을 설명하면, 단말기(100)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 영역(630)를 601 화면에서 입력 영역(620)이 출력되었던 영역 상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거나 또는 교체하여 출력할 수 있다. 603 화면에 출력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 영역(630)은 선택 컨텐츠들을 각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고, 해당 카테고리 선택을 위하여 탭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605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640)을 표시부(140)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605 화면에 나타낸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640)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들을 시간 순서로 나열한 것으로서, 최근 선택 컨텐츠 리스트 순서로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640)은 별도의 카테고리 구분 없이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기반으로 이용한 다양한 컨텐츠들 중 선택된 컨텐츠들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컨텐츠들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문 및 선택된 이력이 있는 특정 웹 페이지, 검색 및 선택 이력이 있는 특정 음원, 검색 및 선택 이력이 있는 비디오나 사진 또는 전자도서, 방문 및 선택 이력이 있는 마켓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603 화면 및 605 화면의 선택 컨텐츠 리스트가 각각 주소 정보만을 나타낸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 컨텐츠 리스트는 503 화면에서와 같이 다양한 관련 정보들을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관련 정보를 확인하면서 어떠한 선택 컨텐츠를 부가 정보로서 지정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603 화면 및 605 화면에서 특정 선택 컨텐츠가 지정되면 단말기(100)는 607 화면에서와 같이 지정된 선택 컨텐츠의 관련 정보들을 특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출력 영역(610), 부가 정보 영역(650) 및 입력 영역(620)을 포함하는 화면을 607 화면에서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출력 영역(610)은 입력 영역(620)에서 선택된 키들에 의해 작성된 텍스트가 출력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607 화면에서 출력되는 출력 영역(610)은 부가 정보 영역(650)의 할당으로 인해 이전 601 화면에서 출력되던 출력 영역(610)에 비하여 보다 협소한 영역을 가지도록 리사이징될 수 있다.
부가 정보 영역(650)은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서 지정된 선택 컨텐츠 관련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부가 정보 영역(650)은 선택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출력하는 제1 관련 정보 영역(651),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가 출력되는 제2 관련 정보 영역(652),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정보 또는 메모 정보가 출력되는 제3 관련 정보 영역(6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부가 정보 영역(650)에 표시된 정보 영역들을 확인하여 자신이 어떠한 선택 컨텐츠를 지정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입력 영역(620)은 메시지 작성을 위한 텍스트 입력을 수행하거나, 다른 부가 정보를 추가로 첨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입력 신호 생성을 지원한다. 이러한 입력 영역(620)을 실질적으로 601 화면에서의 입력 영역(620)과 동일한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추가로 다른 부가 정보를 첨부하고자 할 경우, 첨부 버튼을 활성화하는 입력 신호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부가 정보가 첨부된 메시지를 특정 메시지 서비스 방식 예를 들면 LMS, MMS, 인스턴트 메신저, 모바일 메신저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단말기(100)는 타 단말기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재 작성된 부가 정보가 첨부된 메시지에 따라 운용될 메시지 서비스 방식의 종류를 화면 일 측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작성된 메시지에 따라 텍스트나 이미지 정보를 화면 일 측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503 화면, 603 화면 또는 605 화면 등에서 선택 컨텐츠 리스트 조정을 위한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조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503 화면, 603 화면 또는 605 화면 등에서 선택 컨텐츠 리스트 편집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고, 해당 메뉴 활성화 시, 선택 컨텐츠 리스트의 특정 항목들을 삭제하거나, 이미 기재된 선택 컨텐츠 항목의 관련 정보를 수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는 메시지 작성 과정에서 사용자가 사전에 생성한 선택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선택 컨텐츠를 부가 정보로서 손쉽게 검색하고 첨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 부가 정보 전송을 위한 방법의 경우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기능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기 운용 과정에서 이용하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타 단말기와 공유하고자 할 경우 해당 컨텐츠들의 검색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메시지 서비스 기반으로 간단히 해당 부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100: 단말기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오디오 처리부 140: 표시부 150: 저장부
160: 제어부 200: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
210: 장치 통신부 250: 장치 저장부 260: 장치 제어부
300: 통신망 400: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

Claims (16)

  1.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가 선택 컨텐츠로 지정되면, 상기 선택 컨텐츠를 표시할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부가하여 표시하고,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메모를 매칭하여 관리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메모의 저장 및 관리,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북마크 표식의 부가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
  3. 단말기 접속을 지원하는 장치 통신부;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가 선택 컨텐츠로 지정되면,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선택 컨텐츠가 표시될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이 함께 표시되도록 지원하는 장치 제어부; 및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는 장치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메시지 서비스 운용 중에 메시지에 첨부할 부가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새로 지정된 선택 컨텐츠를 상기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상기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선택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6.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고,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사용자의 선택 컨텐츠 지정에 따라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상기 선택 컨텐츠가 표시될 때, 상기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부가하여 표시하는 제어부;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선택 컨텐츠와 함께 북마크 표식을 출력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시지 서비스 운용 중에 부가 정보 검색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지정된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컨텐츠에 매칭되는 메모를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출력하는 검색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선택 컨텐츠의 주소 정보, 선택 컨텐츠 이용 관련 로그 정보, 선택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 아이콘,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컨텐츠가 지정되면,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의 메모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상기 북마크 표식에 포함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메모의 존재 여부를 상기 북마크 표식에 포함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의 내용을 기반으로 상기 선택 컨텐츠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기.
  13.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메모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메모를 상기 지정된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컨텐츠가 표시될 때, 상기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부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메모를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메시지 서비스 운용을 위한 메시지 작성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메시지 작성 중 부가 정보 검색 요청에 따라서 상기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선택 컨텐츠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작성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컨텐츠의 주소 정보 영역;
    상기 선택 컨텐츠 이용 관련 로그 정보 영역;
    상기 선택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 영역;
    상기 선택 컨텐츠에 기입된 메모 정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66696A 2012-06-21 2012-06-21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및 단말기 KR101973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696A KR101973180B1 (ko) 2012-06-21 2012-06-21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및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696A KR101973180B1 (ko) 2012-06-21 2012-06-21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및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679A true KR20130143679A (ko) 2013-12-31
KR101973180B1 KR101973180B1 (ko) 2019-04-26

Family

ID=49986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696A KR101973180B1 (ko) 2012-06-21 2012-06-21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1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2898A1 (ko) * 2014-05-29 2015-12-0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북마크 설정 및 적용 장치 및 방법
KR20210056969A (ko) * 2014-09-26 2021-05-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메신저에서의 웹링크 제공 단말, 웹링크 제공 방법 및 웹링크 제공 서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420A (ko) * 2007-09-28 2009-04-0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의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메모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메모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95348A (ko) * 2008-03-05 2009-09-0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 단말에서의 즐겨찾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22763A (ko) * 2008-05-26 2009-12-01 (주) 엘지텔레콤 북마크 관리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북마크 관리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20090126554A (ko) * 2008-06-04 2009-1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즐겨찾기 정보를 통합으로 관리하는 방법, 이동통신 단말기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KR20110066314A (ko) * 2009-12-11 201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에서 북마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420A (ko) * 2007-09-28 2009-04-0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의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메모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메모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95348A (ko) * 2008-03-05 2009-09-0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 단말에서의 즐겨찾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22763A (ko) * 2008-05-26 2009-12-01 (주) 엘지텔레콤 북마크 관리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북마크 관리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20090126554A (ko) * 2008-06-04 2009-1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즐겨찾기 정보를 통합으로 관리하는 방법, 이동통신 단말기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KR20110066314A (ko) * 2009-12-11 201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에서 북마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2898A1 (ko) * 2014-05-29 2015-12-0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북마크 설정 및 적용 장치 및 방법
KR20210056969A (ko) * 2014-09-26 2021-05-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메신저에서의 웹링크 제공 단말, 웹링크 제공 방법 및 웹링크 제공 서버
KR20220092831A (ko) * 2014-09-26 2022-07-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메신저에서의 웹링크 제공 단말, 웹링크 제공 방법 및 웹링크 제공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180B1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99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icon associated with application metadata
JP6434199B2 (ja) メッセージベースの対話機能運用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端末機
KR102005315B1 (ko)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995775B1 (ko) 복수의 아이템 검색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2473304B (zh) 元数据标记系统、图像搜索方法和设备、及其用于标记手势的方法
KR102013338B1 (ko)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841574B1 (ko) 동영상 장면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120210201A1 (en) Operation method for memo func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101844903B1 (ko)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EP2752777A2 (en) Method for intelligent search service using situation recognition and terminal thereof
KR101741698B1 (ko)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2982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ervice page for executing application
JPWO2006123513A1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CN108762845A (zh) 支持笔记记录应用特征的漫游的方法和系统
JP2013242871A (ja) 端末機の機能連動方法及びこれをサポートする端末機
KR101966708B1 (ko)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50017099A (ko) 페이지 구성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973180B1 (ko)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및 단말기
US928629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09035A (ko) 메모 기능이 연동된 메시지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20011215A (ko)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단말기
KR101466093B1 (ko)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기와 이를이용하는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27927B1 (ko)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98418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010084631A (ko) 인터넷을 통한 개인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