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171A - 식물재배등과 저수조를 갖춘 미니식물용 화분 - Google Patents

식물재배등과 저수조를 갖춘 미니식물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171A
KR20130143171A KR1020120066441A KR20120066441A KR20130143171A KR 20130143171 A KR20130143171 A KR 20130143171A KR 1020120066441 A KR1020120066441 A KR 1020120066441A KR 20120066441 A KR20120066441 A KR 20120066441A KR 20130143171 A KR20130143171 A KR 20130143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reservoir
mini
cultivation
flower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택
임정은
황수진
황지민
Original Assignee
황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윤택 filed Critical 황윤택
Priority to KR1020120066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3171A/ko
Publication of KR20130143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미니식물용 화분은, 상부가 개방된 재배조와; 상기 재배조 하부의 화분턱에 의하여 하부에 일정한 재배조저수공간을 두고 재치되는 화분과; 상기 화분에 안치되는 배지의 중간부분부터 상기 화분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재배조저수공간을 연결하는 심지와; 상기 화분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화분탭과; 상기 화분탭과 상기 재배조 상단 내부 일측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과; 상기 재배조 측면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 상부 개구부 둘레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편평한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 안쪽에 밀착하여 안치되어 별도의 잠금동작 없이 상기 저수조 내부의 저수조저수공간을 밀폐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상기 뚜껑과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스포이트튜브 및 스포이트고무와; 등갓 내에 부착된 식물재배용LED와; 상기 식물재배용LED가 내는 빛이 상기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등갓을 지지하며 상기 재배조의 뒤편 상단 벽에 부착되는 지지장치와; 상기 식물재배용LED에 전력을 공급하는 USB플러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수조와 스포이트를 구비하여 식물에 편리하게 급수할 수 있으며, 특히 컴퓨터의 USB단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고효율 식물재배용LED등을 사용함으로써 햇볕이 부족한 실내에서도 별도의 전원 없이 충분한 광량으로 식물을 키울 수 있으며, 관상용 가치를 갖는 미니 식물을 책상 위의 좁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키우고 감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재배등과 저수조를 갖춘 미니식물용 화분{Flowerpot with lighting and water reservoir for mini-plant culture}
본 발명은 실내에서 미니식물을 키울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 USB단자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식물재배용 LED등을 사용하고 저수조를 같이 구비함으로써 햇볕이 부족한 실내의 책상 위에서도 충분한 빛을 쪼이면서 미니식물을 키울 수 있으며 급수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식물이 자라는 데는 적당한 햇볕, 온도, 적절한 급수, 영양분, 잎 부분의 환기, 그리고 뿌리 부분의 산소 공급 등이 필요하다. 이들 요소 중 햇볕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인공광으로 햇볕을 대체하여 식물이 광합성을 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인공광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식물이 광합성을 하는데 있어서 430nm 전후의 청색광과 660nm 전후의 적색광이 특히 효과적이다. 청색광은 식물이 짧고 튼튼하게, 그리고 엽육이 두껍게 성장하는데 효과적이며 적색광은 식물이 성장하고 개화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인공광의 양적인 측면에서는 빛의 량이 해당 식물 고유의 광보상점이라는 수준을 넘어야 광합성이 시작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식물재배용LED의 전원인 컴퓨터 USB는 규격 2.0이 전압 5V, 전류 0.5A로 2.5W의 전력을 제공하며 컴퓨터 마더보드 제조회사의 지원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공급전류를 2배 가까이 올려 전력도 2배 가까이 올릴 수 있다. 이러한 지원프로그램의 예로는 AsRock사의 AppCharger 같은 것들이 있다. 또한 USB규격 3.0은 전압 5V, 전류 0.9A로 4.5W의 전력을 제공하므로 추가 소프트웨어 없이 비교적 높은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실내에서 식물을 키우는 데는 다른 조건들은 맞추기가 어렵지 않으나 광합성에 유효한 빛이 부족하고 시기를 맞추어 적절히 급수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 어려운 점이다. 조명용으로 사용하는 백열등이나 형광등은 식물이 광합성을 할 수 있는 파장을 가진 빛의 비중이 낮고 충분히 세지도 않기 때문에 광합성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실내용 화분, 특히 크기가 작은 화분은 물을 머금을 수 있는 배지의 양이 많지 않아 충분한 수분을 유지하기 어려워 적당한 급수시기를 놓치면 식물이 금방 고사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오랜 시간을 보내는 사무실 등에서 식물을 키우기를 원하지만, 식물의 성장에 유효한 광량이 부족하고 바쁜 일상으로 제때 급수를 하지 못하여 식물을 오래 키우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물을 잘 주지 않아도 되는 선인장류를 사무실에서 많이 키우기도 하지만, 성장이 더디어 교감에 따른 관상가치가 크지 않고, 물을 잘 주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여 급수에 소홀히 하다 보면 식물이 고사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작은 크기의 미니식물은 원래 종의 특징이 크기가 작은 것도 있지만, 근래에는 통제된 환경과 배지에 세포를 배양하여 아주 작은 크기의 개체를 만든 후 외부환경에 순화시켜 미니식물을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식물은 영양분 공급을 제한하면 수개월 동안 작은 크기를 유지하면서 원래의 큰 식물과는 색다른 관상가치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미니식물을 가까이 두고 관상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로는 열쇠고리 형태(출원번호 20-2008-0004705 등)로 미니 사이즈의 선인장류를 투명한 케이스와 고형화된 배지에 넣어 소지하면서 키우는 장치가 있다. 이 장치 또한 식물이 살았는지 죽었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교감이 크지 않아 관상가치가 떨어지고 급수에 소홀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대인들이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무실의 책상 혹은 가정의 탁자에서 부족한 햇볕을 보광하고, 급수의 편리성을 최대한 높여 식물을 재배하고 교감할 수 있으며, 특히 선인장류가 아니더라도 크기가 작고 성장하거나 개화하는 식물 또는 세포배양에 의하여 만들어진 미니식물 등의 재배를 쉽게 하여 미니식물 특유의 앙증맞음을 관상할 수 있는 소형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재배조와; 상기 재배조 하부의 화분턱에 의하여 하부에 일정한 재배조저수공간을 두고 재치되는 화분과; 상기 화분에 안치되는 배지의 중간부분부터 상기 화분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재배조저수공간을 연결하는 심지와; 상기 화분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화분탭과; 상기 화분탭과 상기 재배조 상단 내부 일측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과; 상기 재배조 측면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 상부 개구부 둘레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편평한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 안쪽에 밀착하여 안치되어 별도의 잠금동작 없이 상기 저수조 내부의 저수조저수공간을 밀폐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상기 뚜껑과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스포이트튜브 및 스포이트고무와; 등갓 내에 부착된 식물재배용LED와; 상기 식물재배용LED가 내는 빛이 상기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등갓을 지지하며 상기 재배조의 뒤편 상단 벽에 부착되는 지지장치와; 상기 식물재배용LED에 전력을 공급하는 USB플러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식물용 화분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햇볕이 부족한 실내에서도 식물재배용LED등을 사용하여 낮은 전력으로도 미니식물에게는 충분한 면적에 대하여 식물의 성장에 유효한 빛을 충분한 광량으로 조사해 줄 수 있으므로 식물의 성장이 원활할 수 있으며, 청색광과 적색광의 배합비율에 따라 식물의 성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수조를 구비하고 있고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물을 머금어서 화분에 급수할 수 있기 때문에 급수가 편리하다. 즉, 저수조를 채우는 데에는 한 컵 분량의 물이면 충분하며 식물이 작기 때문의 물의 소요량이 많지 않아 한 컵 분량의 물로 1주일 이상 급수가 가능하며, 자주 급수하더라도 매번 한 손만 사용하여 한 번의 동작으로 화분의 원하는 지점에 급수할 수 있기 때문에 급수의 편리성이 높다 하겠다. 또한 급수량이 많을 경우 초과된 급수량은 화분 하단의 재배조저수공간에 비축된 후 화분의 배지가 마르면 심지를 통하여 화분의 배지에 공급되기 때문에 수일동안 자리를 비울 경우에도 충분히 급수해 놓으면 식물이 고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급수가 편리하기 때문에 일반 화분과 같이 흙에 많은 물을 보유하도록 화분을 크게 만들지 않아도 되므로 화분을 미니식물에 맞도록 작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USB단자를 전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이나 어댑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책상 위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좁은 책상에서도 컴퓨터만 있으면 책상 위에 화분을 놓고 식물을 키우는데 부담이 없다.
이러한 여러 가지 편의성으로 인하여 실내에서 화분에 식물을 키우는 데 따르는 일반적인 어려움이나 부담 없이 책상위에 미니식물을 키우면서 미니식물이 커가는 것을 감상하고 교감할 수 있으며, 미니식물 특유의 앙증맞음을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의 정면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의 테이퍼형 저수조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정면횡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예로 도면에는 재배조, 화분 및 저수조가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원형기둥으로 형성된 것도 모두 포함하며 복수의 재배조가 결합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횡단면도이다.
그림을 참조하면, 본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은 재배조와, 저수조와, 식물재배등이 구비된다.
재배조(10)에는 배지(13)가 안치되는 화분(11)과, 배지(13)의 중간부분부터 화분(11)의 하단을 관통하여 아래의 재배조저수공간(15)으로 늘어뜨려지는 심지(12)와, 화분(11)과 재배조(10) 하부의 재배조저수공간(15)을 분리시켜주는 화분턱(14)이 구비된다. 화분턱(14)은 돌기형태로 재배조(10) 하부 안쪽으로 수개가 같은 높이에 형성된다.
화분턱(14)은 화분(11)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 재배조저수공간(15)을 형성해 준다. 배지(13)에 과도하게 급수가 되면 잉여의 수분이 심지(12)를 타고 재배조저수공간(15)으로 흘러내려 누적되며, 배지(13)가 건조해지면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물이 심지(12)를 타고 배지(13)로 급수되어 급수가 과하거나 부족할 때 재배조저수공간(15)과 심지(12)가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화분(11)의 상단 외부 테두리 주변의 일측에는 화분탭(17)이 형성되고 재배조(10) 상단 내부 일측에는 이격공간(16)이 형성된다. 재배조저수공간(15)에 물이 있는지 확인하거나 청소를 위하여 화분(11)을 꺼낼 때 화분탭(17)을 잡고 꺼내면 쉽게 화분을 빼낼 수 있다. 이때 화분탭(17)은 화분(11)의 상단 테두리 둘레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저수조(20)에는 물(22)이 담기는 저수조저수공간(21)과, 개구부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는 계단형걸림턱(26)과, 스포이트고무(23) 및 스포이트튜브(24)가 결합된 스포이트가 편평한 원형으로 형성된 뚜껑(25)의 중심부에 일체화되어 계단형걸림턱(26)에 안치된다.
저수조(20)의 개구부는 외부에서 물컵 등으로 저수조(20)로 물을 붓기 쉬우면서도 뚜껑(25)이 저수조저수공간(21)에 빠지지 않도록 적당히 큰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되며, 뚜껑(25)이 계단형걸림턱(26)에 빈틈없이 안치되어 저수조저수공간(21)을 밀폐한다.
뚜껑(25)은 계단형걸림턱(26)의 크기에 맞게 형성되며 계단형걸림턱(26)에 밀착하여 안치되어 물(22)이 증발하지 않도록 틈을 차단해 주며, 원형으로 형성되어 저수조저수공간(21)에 빠지지 않도록 한다.
스포이트고무(23) 및 스포이트튜브(24)는 한번의 작동으로 화분(11)의 배지(13)에 충분히 급수가 되도록 적당히 큰 용량을 가져야 한다. 스포이트고무(23) 및 스포이트튜브(24)와 뚜껑(25)을 일체화시킴으로써 한 번의 손동작으로 급수가 가능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급수원에 가서 물을 가져 오거나, 물병에 물을 담아 두었다가 뚜껑을 열고, 급수하고, 뚜껑을 닫는 과정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급수의 편리성을 높여준다.
식물재배등(30)은 지지장치(31)와, 등갓(32)과, 등갓(32) 내부에 부착되는 식물재배용LED(33)와, 식물재배용LED(33)에 전원을 공급하는 USB플러그(34)로 구성된다.
식물재배등(30)은 재배조(10)의 화분(11)에 식재된 식물 위에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재배조(10)의 뒤쪽 벽에 설치되며, 재배조(10) 청소 등의 편리성을 위하여 착탈식으로 설치된다. 지지장치(31)는 주름관, 혹은 연장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식물의 크기에 따라 등갓(32)의 높이 및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하단은 집게를 이용하거나 재배조 일측에 구멍을 형성하여 억지끼움하는 등의 방법으로 재배조(10)에 부착한다. 이렇게 식물재배등(30)을 착탈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재배조(10)를 청소할 때 물을 이용하여 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등갓(32)의 내부 상단에는 식물재배용LED(33)가 부착되며 내부 측면에는 반사면을 설치한다. 식물재배용LED(33)는 식물의 종류 및 성장단계에 따라 청색광(430nm)을 내는 LED와 적색광(660nm)을 내는 LED를 몇 개씩 섞어 부착할 수 있다. 등갓(32)의 상부는 식물재배용LED(33)에서 나오는 열을 전달하여 식힐 수 있도록 전도성 물질로 형성하는 등 냉각 기능을 갖춘다. 등갓(32)의 측면은 미니식물용 화분을 사용하는 사람의 눈에 LED에서 나온 빛이 비춰지는 것을 막아주며, 등갓(32) 내부에 설치된 반사면은 빛이 화분(11)에 식재된 식물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한다.
식물재배용LED(33)는 켜진 상태의 컴퓨터의 USB단자에 USB플러그(34)를 꽂음으로써 전력을 공급받는다. 컴퓨터의 USB단자는 전압 5V, 전류 500mA로 2.5W의 전력을 공급하여 식물재배용LED(33)를 통하여 미니식물에 충분한 광량을 공급해 줄 수 있다. 또한 마더보드 회사의 지원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전류와 전력을 2배 정도로 높일 수 있으므로 더 많은 광량을 공급할 수 있다. 일반 교류 220V를 전원으로 할 경우에도 USB플러그(34)를 꽂을 수 있는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의 테이퍼형 저수조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횡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림을 참조하면, 본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은 저수조(20)의 개구부 주위를 따라 테이퍼형걸림턱(27)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저수조(20)의 뚜껑도 위가 넓은 테이퍼형뚜껑(28)으로 형성된다. 테이퍼형뚜껑(28)은 테이퍼형걸림턱(27)에 밀착하여 안치되어 별도의 잠금동작 없이 상기 저수조(20) 내부의 저수조저수공간(21)을 밀폐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림을 참조하면, 본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에서 저수조(20)를 분리하여 저수조가이드(29)에 의하여 안치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컵에 물을 담아 저수조(20)의 개구부를 통하여 저수조저수공간(21)에 물을 부을 수도 있지만, 본실시예와 같이 저수조(20)를 착탈식으로 형성하면 저수조(20)를 분리하여 급수원으로 가져가서 물을 채운 후 재배조(10)에 다시 결합할 수 있어 급수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저수조(20)를 투명 재질로 형성하면 저수조(20) 내부 수위를 파악할 수 있어 더욱 용이하게 물을 보충하여 화분(11)에 급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횡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림을 참조하면, 본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에서 식물재배등(30) 부분이 생략된 형태로서 재배조(10)와 저수조(20)가 구비된다. 햇볕이 좋은 창가에서 식물을 키우거나 식물의 광보상점이 낮아 약한 빛으로도 식물을 키울 수 있을 경우에는 식물재배등(30)으로 보광하지 않아도 식물을 키울 수 있으므로 재배조(10)와 저수조(20)만 구비된 미니식물용 화분으로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식물재배용LED(33)를 위한 전원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미니식물용 화분을 놓는 위치를 보다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횡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림을 참조하면, 본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니식물용 화분에서 저수조(20) 부분만을 분리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저수조(20)에 의하여 급수의 편리성을 높이면 기존의 작은 화분에 식물을 키울 때에도 급수를 소홀히 함으로써 식물이 고사하는 것을 방지하여 식물을 무난히 키우고 감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 재배조 11: 화분
12: 심지 13: 배지
14: 화분턱 15: 재배조저수공간
16: 이격공간 17: 화분탭
20: 저수조 21: 저수조저수공간
22: 물 23: 스포이트고무
24: 스포이트튜브 25: 뚜껑
26: 걸림턱 27: 테이퍼형걸림턱
28: 테이퍼형뚜껑 29: 저수조가이드
30: 식물재배등 31: 지지장치
32: 등갓 33: 식물재배용LED
34: USB플러그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된 재배조와; 상기 재배조 측면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며 뚜껑에 의하여 밀폐되는 저수조와; 등갓 내에 부착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가 내는 빛이 상기 재배조에 식재된 식물에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등갓을 지지하며 상기 재배조의 뒤편 상단 벽에 부착되는 지지장치가 구비된 식물재배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식물용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식물재배용LED를 사용하여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식물용 화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컴퓨터의 USB단자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식물용 화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등은 착탈식으로 상기 재배조로부터 분리 및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식물용 화분.
  5. 상부가 개방된 재배조와; 상기 재배조 측면에 일체화되며 뚜껑에 의하여 밀폐되는 저수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식물용 화분.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에는 상기 재배조 내부 하부의 화분턱에 의하여 일정한 재배조저수공간을 두고 재치되는 화분과; 상기 화분에 안치되는 배지의 중간 부분부터 상기 화분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재배조저수공간을 연결하는 심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식물용 화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상단 외부 테두리 주변에는 화분탭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탭과 상기 재배조 상단 내부 일측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식물용 화분.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착탈식으로 상기 재배조 측면에 부착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식물용 화분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개구부 주위를 따라 걸림턱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스포이트고무 및 스포이트튜브가 결합된 스포이트가 편평한 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뚜껑의 중심부에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상기 뚜껑이 상기 걸림턱에 밀착하여 안치되어 별도의 잠금동작 없이 상기 저수조 내부의 저수조저수공간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식물용 화분.
  10. 개구부 주위를 따라 걸림턱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스포이트고무 및 스포이트튜브가 결합된 스포이트가 편평한 원형으로 형성된 뚜껑의 중심부에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상기 뚜껑이 상기 걸림턱에 밀착하여 안치되어 별도의 잠금동작 없이 저수조 내부의 저수조저수공간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
KR1020120066441A 2012-06-21 2012-06-21 식물재배등과 저수조를 갖춘 미니식물용 화분 KR20130143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441A KR20130143171A (ko) 2012-06-21 2012-06-21 식물재배등과 저수조를 갖춘 미니식물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441A KR20130143171A (ko) 2012-06-21 2012-06-21 식물재배등과 저수조를 갖춘 미니식물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171A true KR20130143171A (ko) 2013-12-31

Family

ID=4998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441A KR20130143171A (ko) 2012-06-21 2012-06-21 식물재배등과 저수조를 갖춘 미니식물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31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474A1 (ko) * 2015-05-22 2016-12-01 김용석 파티션 및 테이블겸용 다용도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474A1 (ko) * 2015-05-22 2016-12-01 김용석 파티션 및 테이블겸용 다용도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54986A1 (en) Plant water culture frame and plant growth environment ensuring system
CN201167508Y (zh) 一种植物栽培盆
KR20120022455A (ko)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WO2012075784A1 (zh) 一种室内植物生产系统
KR101334723B1 (ko) 식생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CN102077765A (zh) 盆栽灯盒
CN203027799U (zh) 一种植物壁画装置
CN103053353B (zh) 一种倒挂栽培装置
KR20130143171A (ko) 식물재배등과 저수조를 갖춘 미니식물용 화분
CN208675931U (zh) 一种可更换光罩的育苗箱
CN105638424A (zh) 一种家庭多功能生态屋装置
KR101260430B1 (ko) 실내용 식물재배장치
CN205161423U (zh) 植物种植装置
KR101477721B1 (ko) 실내 식물재배장치
CN208063951U (zh) 一种吊灯式双培植物栽植容器
KR20220068482A (ko) 식물 재배장치
CN100415078C (zh) 室内设施园艺自控装置
CN208768674U (zh) 一种家庭用蔬菜种植装置
CN103307495A (zh) 一种多功能台灯
CN205667204U (zh) 一种固体基质栽培多功能组合花盆
CN104303681A (zh) 一种绿化墙的水体循环结构
CN110291980A (zh) 自动植物培养花盆
CN205005653U (zh) 小型家用植物生长机
CN204443322U (zh) 多功能植物栽培装置
CN104855263A (zh) 非土栽的植物根部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