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564A -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564A
KR20130142564A KR1020120065881A KR20120065881A KR20130142564A KR 20130142564 A KR20130142564 A KR 20130142564A KR 1020120065881 A KR1020120065881 A KR 1020120065881A KR 20120065881 A KR20120065881 A KR 20120065881A KR 20130142564 A KR20130142564 A KR 20130142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test
image
unit
urine
analysi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856B1 (ko
Inventor
강경국
Original Assignee
(주) 코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콤 filed Critical (주) 코콤
Priority to KR1020120065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856B1/ko
Priority to CN201310025880.3A priority patent/CN103514359B/zh
Publication of KR20130142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hys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변검사를 실시한 소변검사스틱을 촬영하여 소변검사영상을 획득하여 전송하는 소변검사장치 및 상기 소변검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소변검사영상을 분석하여 현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현재 분석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과거에 실시한 소변검사결과인 과거 분석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건강상태이력정보를 그래프 형식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소변검사 관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택 특히, 독거주택에 거주하는 1인 생활자가 소변검사를 통하여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 및 현재 건강상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의료소견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URINE ANALYSIS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정 내에서 손쉽게 스스로 건강상태를 검사하고 그 내역을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체크하는 방법 중에 가장 좋고 편리한 방법으로 소변검사를 꼽을 수 있겠다. 소변검사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약국 또는 의료관련 상점에서 소변검사스틱을 구매 할 수 있다. 소변검사스틱에 소변을 적당량 뭍힌 후 색상의 변화를 통하여 간단히 질병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그 결과를 관리하기란 쉽지 않다. 색상의 오묘한 변화를 기억에만 의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소변검사를 실시한 소변검사스틱의 검사 영역의 미세한 색상 변화를 감지하기 어렵고, 색상의 변화가 자신의 건강과 관련하여 어떠한 변화를 가리키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주거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1인 가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1인 주거가 늘면서 개인의 건강 관리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웃과의 별다른 교류없이 살아가는 현대인의 경우, 집안 내에서 돌발적인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극단적으로는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 그런 이유에서 평소 스스로 자기 건강을 관리하는 것은 현대인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은 주택 특히, 독거주택에 거주하는 1인 생활자가 소변검사를 통하여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 및 현재 건강상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의료소견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가 소변검사를 실시한 소변검사스틱의 검사 영역의 미세한 색상 변화를 감지하기 어렵고, 색상의 변화가 자신의 건강과 관련하여 어떠한 변화를 가리키는지 정확히 알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소변검사의 결과의 이력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는 한편, 이에 대한 의료소견정보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변검사를 실시한 소변검사스틱을 촬영하여 소변검사영상을 획득하여 전송하는 소변검사장치 및 상기 소변검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소변검사영상을 분석하여 현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현재 분석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과거에 실시한 소변검사결과인 과거 분석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건강상태이력정보를 그래프 형식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소변검사 관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 관리장치는 소변검사영상들에 대응하는 의료소견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분석데이터에 대한 의료소견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복수인인 경우, 상기 소변검사 관리장치는 사용자마다 개별 아이디를 할당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장치는 상기 소변검사스틱을 촬영하여 소변검사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색감지 카메라, 상기 소변검사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조도를 유지하기 위한 플래시, 상기 소변검사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소변검사 관리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송수신 통신부 및 상기 색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소변검사영상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변검사영상이 상기 송수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소변검사 관리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변검사영상을 압축하여 상기 송수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소변검사 관리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장치는 화장실에 구비되어 있는 소변기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에는 사용자가 소변검사스틱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 관리장치는 상기 소변검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소변검사영상을 BMP(Bit Map)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영상 변환부, 상기 소변검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소변검사영상의 휘도를 조절하고 이진화하여 경계선을 추출하는 경계선 추출부, 상기 경계선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경계선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포인트 좌표를 획득하는 포인트 좌표 획득부, 상기 포인트 좌표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포인트 좌표를 상기 영상 변환부에 의해 BMP 포맷으로 변환되어 저장되어 있는 BMP 영상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포인트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영역들을 획득하는 영상 영역 획득부, 상기 영상 영역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각 영상 영역에서의 RGB 데이터를 분석하는 RGB 데이터 분석부, 상기 RGB 데이터 분석부가 분석한 각 영상 영역에서의 RGB 데이터의 평균을 기준으로 각 영상 영역에서의 평균 색상 정보를 연산하는 평균 색상 정보 연산부, 상기 평균 색상 정보 연산부가 연산한 각 영상 영역에서의 평균 색상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현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현재 분석데이터 생성부, 소변검사영상들에 대응하는 의료소견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분석데이터에 대한 의료소견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의료소견정보 생성부 및 상기 현재 분석데이터와 상기 과거 분석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건강상태이력정보를 그래프 형식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건강상태이력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평균 색상 정보 연산부는 R 데이터, G 데이터, B 데이터별로 각각 평균을 연산하고, 각각의 평균을 기준으로 각 영상 영역에서의 평균 색상 정보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 관리장치는 주택에 구비된 홈 네트워크 월패드(Wall-Pa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택 특히, 독거주택에 거주하는 1인 생활자가 소변검사를 통하여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 및 현재 건강상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의료소견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가 소변검사를 실시한 소변검사스틱의 검사 영역의 미세한 색상 변화를 감지하기 어렵고, 색상의 변화가 자신의 건강과 관련하여 어떠한 변화를 가리키는지 정확히 알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소변검사의 결과의 이력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는 한편, 이에 대한 의료소견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소변검사 관리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소변검사장치가 장착된 소변기의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소변검사스틱의 색상 변화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의료소견정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소변검사 관리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은 소변검사장치(10) 및 소변검사 관리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변검사장치(10)는 사용자가 소변검사를 실시한 소변검사스틱을 촬영하여 소변검사영상을 획득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소변검사장치(10)는 색감지 카메라(11), 플래시(12), 메모리(13), 송수신 통신부(14) 및 중앙처리장치(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색감지 카메라(11)는 소변검사스틱을 촬영하여 소변검사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플래시(12)는 색감지 카메라(11)로 소변검사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조도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메모리(13)는 소변검사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송수신 통신부(14)는 소변검사 관리장치(20)와의 통신을 위한 수단이다.
중앙처리장치(15)는 색감지 카메라(11)가 획득한 소변검사영상이 메모리(13)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메모리(13)에 저장된 소변검사영상이 송수신 통신부(14)를 통해 소변검사 관리장치(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량을 줄이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15)가 메모리(13)에 저장된 소변검사영상을 압축하여 송수신 통신부(14)를 통해 소변검사 관리장치(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도 4와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소변검사장치(10)는 주택의 화장실에 구비되어 있는 소변기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이 소변기에는 사용자가 소변검사스틱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변검사스틱이 삽입되는 삽입홈의 내부는 사용자가 소변검사스틱을 삽입하는 경우 정해진 위치로 자동 정렬되는 물리적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소변검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삽입홈은 소변이 묻어있는 소변검사스틱이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물청소를 위하여 하방이 개방된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변검사 관리장치(20)는 소변검사장치(10)로부터 전송받은 소변검사영상을 분석하여 현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현재 분석데이터와 사용자가 과거에 실시한 소변검사결과인 과거 분석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건강상태이력정보를 그래프 형식으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소변검사 관리장치(20)는 소변검사영상들에 대응하는 의료소견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310)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소변검사 결과인 현재 분석데이터에 대한 의료소견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소변검사를 하는 사용자가 복수인인 경우, 소변검사 관리장치(20)는 사용자마다 개별 아이디를 할당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소변검사 관리장치(20)는 영상 변환부(210), 경계선 추출부(230), 포인트 좌표 획득부(240), 영상 영역 획득부(250), RGB 데이터 분석부(260), 평균 색상 정보 연산부(270), 현재 분석데이터 생성부(280), 의료소견정보 생성부(300) 및 건강상태이력정보 생성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상 변환부(210)는 소변검사장치(10)로부터 전송받은 소변검사영상을 BMP(Bit Map)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계선 추출부(230)는 소변검사장치(10)로부터 전송받은 소변검사영상의 휘도를 조절하고 이진화하여 영상의 경계선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포인트 좌표 획득부(240)는 경계선 추출부(230)에 의해 추출된 경계선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포인트 좌표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수의 포인트 좌표는 소변검사스틱의 검사 영역 즉, 검사를 위한 시료가 묻어있는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포인트 좌표의 수는 소변검사스틱의 검사 영역의 수와 같다.
영상 영역 획득부(250)는 포인트 좌표 획득부(240)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포인트 좌표를 영상 변환부(210)에 의해 BMP 포맷으로 변환되어 저장되어 있는 BMP 영상에 적용하여 복수의 포인트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영역들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영상 영역 획득부(250)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 영역들이 소변검사스틱의 검사 영역의 이미지가 되는 것이다.
RGB 데이터 분석부(260)는 영상 영역 획득부(250)에 의해 획득된 각 영상 영역에서의 RGB 데이터 즉, 휘도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평균 색상 정보 연산부(270)는 RGB 데이터 분석부(260)가 분석한 각 영상 영역에서의 RGB 데이터의 평균을 기준으로 각 영상 영역에서의 평균 색상 정보를 연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평균 색상 정보 연산부(270)는 R 데이터, G 데이터, B 데이터별로 각각 평균을 연산하고, 각각의 평균을 기준으로 각 영상 영역에서의 평균 색상 정보를 연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영상 영역이 제1 내지 제4 영상 영역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 영상 영역의 R 데이터의 평균, G 데이터의 평균, B 데이터의 평균을 연산하여, 제1 영상 영역의 평균 생상 정보를 연산한다. 제2 내지 제4 영상 영역에서의 평균 색상 정보도 같은 방식으로 연산한다.
현재 분석데이터 생성부(280)는 평균 색상 정보 연산부(270)가 연산한 각 영상 영역에서의 평균 색상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현재 소변검사 결과인 현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 저장부(220)에는 사용자가 과거 소변검사 결과인 과거 분석데이터들도 저장되어 있다.
건강상태이력정보 생성부(290)는 현재 분석데이터와 과거 분석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이력정보를 그래프 형식으로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생성되는 그래프의 간략한 예가 도 3에 개시되어 있다.
의료소견정보 생성부(300)는 소변검사영상들에 대응하는 의료소견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310)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현재 소변검사 결과인 현재 분석데이터에 대한 의료소견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과 도 7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변검사스틱의 색상 변화 추이 및 의료소견정보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최종 결과 표시 과정에서 추가적인 정밀한 검사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권유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건강관리에 기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소변검사 관리장치(20)는 주택에 구비된 홈 네트워크 월패드(Wall-Pad)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 S10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소변을 묻힌 소변검사스틱을 소변기에 구비된 삽임홈에 삽입하고 검사버튼을 눌러 소변기에 장착되어 있는 소변검사장치(10)를 동작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20에서는, 소변기에 장착된 소변검사장치(10)가 소변검사스틱을 촬영하여 소변검사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소변검사영상을 압축하여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변검사 관리장치(20)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30에서는, 소변검사 관리장치(20)의 영상 변환부(210)가 소변검사장치(10)로부터 전송받은 소변검사영상을 BMP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40에서는, 소변검사 관리장치(20)의 경계선 추출부(230)가 소변검사장치(10)로부터 전송받은 소변검사영상의 휘도를 조절하고 이진화하여 영상으로부터 경계선을 추출하는 과정 즉, 에지 디텍션(edge detection)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50에서는, 소변검사 관리장치(20)의 포인트 좌표 획득부(240)가 경계선 추출부(230)에 의해 추출된 경계선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포인트 좌표를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포인트 좌표의 수는 소변검사스틱에 구비된 검사 영역의 수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단계 S60에서는, 소변검사 관리장치(20)의 영상 영역 획득부(250)가 포인트 좌표 획득부(240)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포인트 좌표를 영상 변환부(210)에 의해 BMP 포맷으로 변환되어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BMP 영상에 적용하여 복수의 포인트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영역들을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70에서는, 소변검사 관리장치(20)의 RGB 데이터 분석부(260)가 영상 영역 획득부(250)에 의해 획득된 각 영상 영역에서의 RGB 데이터를 분석 즉, RGB별 휘도를 분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80에서는, 소변검사 관리장치(20)의 평균 색상 정보 연산부(270)가 RGB 데이터 분석부(260)에 의해 분석된 각 영상 영역에서의 RGB 데이터의 평균을 기준으로 각 영상 영역에서의 평균 색상 정보를 연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90에서는, 소변검사 관리장치(20)의 현재 분석데이터 생성부(280)가 평균 색상 정보 연산부(270)에 의해 연산된 각 영상 영역에서의 평균 색상 정보를 기준으로 현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100에서는, 소변검사 관리장치(20)의 의료소견정보 생성부(300)가 데이터베이스(310)를 참조하여 현재 분석데이터에 대한 의료소견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110에서는, 소변검사 관리장치(20)의 건강상태이력정보 생성부(290)가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분석데이터와 과거 분석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건강상태이력정보를 그래프 형식으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주택 화장실의 소변기에 소변검사장치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소변검사를 실시한 소변검사스틱을 삽입홈에 삽입한 후 소변검사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월패드로 전송하고, 영상정보를 전송받은 월패드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검사 결과를 기록, 평가, 비교하여 LCD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준다. 이때 과거의 결과를 함께 그래프로 표시해 줌으로서 자신의 건강의 변화를 주시할 수 있게 해 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택 특히, 독거주택에 거주하는 1인 생활자가 소변검사를 통하여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 및 현재 건강상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의료소견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가 소변검사를 실시한 소변검사스틱의 검사 영역의 미세한 색상 변화를 감지하기 어렵고, 색상의 변화가 자신의 건강과 관련하여 어떠한 변화를 가리키는지 정확히 알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소변검사의 결과의 이력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는 한편, 이에 대한 의료소견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소변검사장치
11: 색감지 카메라
12: 플래시
13: 메모리
14: 송수신 통신부
15: 중앙처리장치
20: 소변검사 관리장치
210: 영상 변환부
220: 저장부
230: 경계선 추출부
240: 포인트 좌표 획득부
250: 영상 영역 획득부
260: RGB 데이터 분석부
270: 평균 색상 정보 연산부
280: 현재 분석데이터 생성부
290: 건강상태이력정보 생성부
300: 의료소견정보 생성부
310: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변검사를 실시한 소변검사스틱을 촬영하여 소변검사영상을 획득하여 전송하는 소변검사장치; 및
    상기 소변검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소변검사영상을 분석하여 현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현재 분석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과거에 실시한 소변검사결과인 과거 분석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건강상태이력정보를 그래프 형식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소변검사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 관리장치는
    소변검사영상들에 대응하는 의료소견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분석데이터에 대한 의료소견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복수인인 경우, 상기 소변검사 관리장치는 사용자마다 개별 아이디를 할당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장치는
    상기 소변검사스틱을 촬영하여 소변검사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색감지 카메라;
    상기 소변검사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조도를 유지하기 위한 플래시;
    상기 소변검사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소변검사 관리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송수신 통신부; 및
    상기 색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소변검사영상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변검사영상이 상기 송수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소변검사 관리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변검사영상을 압축하여 상기 송수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소변검사 관리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장치는 화장실에 구비되어 있는 소변기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에는 사용자가 소변검사스틱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 관리장치는
    상기 소변검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소변검사영상을 BMP(Bit Map)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영상 변환부;
    상기 소변검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소변검사영상의 휘도를 조절하고 이진화하여 경계선을 추출하는 경계선 추출부;
    상기 경계선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경계선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포인트 좌표를 획득하는 포인트 좌표 획득부;
    상기 포인트 좌표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포인트 좌표를 상기 영상 변환부에 의해 BMP 포맷으로 변환되어 저장되어 있는 BMP 영상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포인트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영역들을 획득하는 영상 영역 획득부;
    상기 영상 영역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각 영상 영역에서의 RGB 데이터를 분석하는 RGB 데이터 분석부;
    상기 RGB 데이터 분석부가 분석한 각 영상 영역에서의 RGB 데이터의 평균을 기준으로 각 영상 영역에서의 평균 색상 정보를 연산하는 평균 색상 정보 연산부;
    상기 평균 색상 정보 연산부가 연산한 각 영상 영역에서의 평균 색상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현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현재 분석데이터 생성부;
    소변검사영상들에 대응하는 의료소견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분석데이터에 대한 의료소견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의료소견정보 생성부; 및
    상기 현재 분석데이터와 상기 과거 분석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건강상태이력정보를 그래프 형식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건강상태이력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색상 정보 연산부는 R 데이터, G 데이터, B 데이터별로 각각 평균을 연산하고, 각각의 평균을 기준으로 각 영상 영역에서의 평균 색상 정보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 관리장치는 주택에 구비된 홈 네트워크 월패드(Wall-Pa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KR1020120065881A 2012-06-20 2012-06-20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KR10140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881A KR101405856B1 (ko) 2012-06-20 2012-06-20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CN201310025880.3A CN103514359B (zh) 2012-06-20 2013-01-24 验尿监测管理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881A KR101405856B1 (ko) 2012-06-20 2012-06-20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564A true KR20130142564A (ko) 2013-12-30
KR101405856B1 KR101405856B1 (ko) 2014-06-11

Family

ID=4989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881A KR101405856B1 (ko) 2012-06-20 2012-06-20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5856B1 (ko)
CN (1) CN10351435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5837B2 (en) 2014-11-04 201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KR102152551B1 (ko) * 2019-12-23 2020-09-04 (주)빅케어리저브 스트립자판기와 소변분석기가 일체화된 키오스크형 소변분석장치
KR20220086389A (ko) 2020-12-16 2022-06-23 조은희 소변검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6908481A (zh) * 2023-09-12 2023-10-20 江苏尤里卡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尿液处理的智能化添加剂自动加料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7077A (zh) * 2014-02-25 2015-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存储医疗图像的方法、交互信息的方法和装置
CN105951955A (zh) * 2016-05-09 2016-09-21 中科院合肥技术创新工程院 一种基于智能马桶的尿液检测仪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526Y1 (ko) 2003-12-11 2004-04-08 세안아이티(주) 요분석기를 이용한 건강상태 감시 시스템
CN1673743A (zh) * 2005-03-30 2005-09-28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医学生化分析的色差评定方法
CN2856983Y (zh) * 2005-12-13 2007-01-10 付士明 封闭式尿检仪
KR20100109383A (ko) * 2009-03-30 201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바이오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인터넷 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서비스 방법
CN101866387B (zh) * 2009-04-17 2012-09-26 上海市杨浦区中心医院 糖尿病人个体化胰岛素治疗指南仪及其使用方法
CN102053051A (zh) * 2009-10-30 2011-05-11 西门子公司 一种体液分析系统和用于体液分析的图像处理设备、方法
KR20110101730A (ko) * 2010-03-09 2011-09-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KR101124273B1 (ko) 2011-05-06 2012-03-27 (주)와이브로텍 모바일 네트워크 기반의 소변 검사 시스템 및 소변 검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5837B2 (en) 2014-11-04 201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KR102152551B1 (ko) * 2019-12-23 2020-09-04 (주)빅케어리저브 스트립자판기와 소변분석기가 일체화된 키오스크형 소변분석장치
KR20220086389A (ko) 2020-12-16 2022-06-23 조은희 소변검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6908481A (zh) * 2023-09-12 2023-10-20 江苏尤里卡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尿液处理的智能化添加剂自动加料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14359A (zh) 2014-01-15
KR101405856B1 (ko) 2014-06-11
CN103514359B (zh)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856B1 (ko)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US10667744B2 (en) Skin function evaluation device and skin evaluation method
CN105877709A (zh) 一种健康状态数据的采集装置、采集分析系统及方法
WO2006064635A1 (ja) 診断システム
US10832033B2 (en) Measurement gauge data storage method and apparatus
CN108553081A (zh) 一种基于舌苔图像的诊断系统
TWI603081B (zh) 生理參數檢測系統及試紙的辨識及判讀方法
KR101514061B1 (ko) 노인 관리용 무선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통한 노인 관리 시스템
CN109512384A (zh) 头皮检测设备
JP6142664B2 (ja) 脈波検出装置、脈波検出プログラム、脈波検出方法及びコンテンツ評価システム
TWI492737B (zh) 生理資訊量測系統及其方法
US201903710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kin color, method for generating icc profile, and image capturing device
CN102599885A (zh) 具有健康提示功能的电子装置及其健康提示方法
KR101992403B1 (ko) 영상을 이용한 피부 수분도 측정 방법
JP2007086872A (ja) 管理システム
WO2013144772A1 (en) System for determining clutter
CN110693466A (zh) 基于遥控感应技术的康复评估装置及其实现方法
US20230239419A1 (en)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US9042615B1 (en) Nystagmus evaluation system
KR20130013193A (ko)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 데이터 획득시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WO2014007555A1 (ko) 건강관리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스마트 tv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모니터링 방법
CN206166899U (zh) 视力检测装置
CN115063752A (zh) 一种基于uwb定位的视频追踪预警方法及系统
JP6186663B2 (ja) 指先血管観測方法、観測装置、観測サーバ、観測システム及び観測プログラム
KR20180061629A (ko) 영상을 이용한 피부 상태 평가 방법 및 영상을 이용한 피부 상태 평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