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730A -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730A
KR20110101730A KR1020100020947A KR20100020947A KR20110101730A KR 20110101730 A KR20110101730 A KR 20110101730A KR 1020100020947 A KR1020100020947 A KR 1020100020947A KR 20100020947 A KR20100020947 A KR 20100020947A KR 20110101730 A KR20110101730 A KR 20110101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bidet
urine analysis
analysis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국
허관
김영화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1730A/ko
Publication of KR2011010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Abstract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및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은 소변 측정 시트가 탑재된 이동 측정 부재를 소변 채취 위치로 이동시켜 소변 샘플을 채취하는 과정과, 이동 측정 부재를 소변 분석 위치로 이동시켜 채취된 소변 샘플을 분석하는 과정과, 분석을 통해 얻어진 소변 분석 결과를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번거로운 사용자 조작 없이 미리 등록해 둔 검사 대상자에 대한 소변 검사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URINE BY USING BIDET}
본 발명은 소변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비데는 청결한 화장실 문화의 구현 및 사람들의 건강 관리에 유익한 생활기기로서 자리 매김되고 있으며, 근래 들어서는 이러한 인식의 확산으로 인해 일반 가정에서의 비데 사용이 급속하게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소변을 이용하여 인체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것으로서는, 예컨대 뇨단백, 뇨당, 체지방 등을 들 수 있으며, 사람들은 이러한 소변을 통한 건강 검진을 위해 병/의원 등을 방문하는 수고로움을 감수하게 된다.
근래 들어서는 소변 검사를 통한 건강 검진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일환으로서 소변 샘플을 채취하여 분석하는 모듈과 그 분석 결과를 모니터(표시 패널)로 디스플레이하는 검진 장치를 비데에 장착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할 때마다 검진 장치를 조작(조작 패널을 통한 조작 등) 및 작동시켜
그러나, 비데에 장착된 검진 장치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을 통해 소변 분석 결과를 모니터에 제공하는 전술한 종래 방법은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비데에 장착된 검진 장치의 조작 패널을 조작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방법은 사용자가 생각날 때 혹은 하고 싶을 때마다 소변 분석을 위한 검진 조작을 하기 때문에 소변을 이용한 건강 체크의 일관성(주기성)이 결여된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 방법은 소변을 이용한 건강 검진에서 이상 발생이 감지될 경우 해당 이용자가 외부의 병/의원을 직접 방문하여 건강 이상의 회복을 위한 처방을 전문가(의사)로부터 받아야만 하기 때문에 여전히 이용자의 수고로움을 수반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비데로의 이용자 안착이 감지될 때 안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인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안착자가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 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일 때, 소변 측정 시트가 탑재된 이동 측정 부재를 소변 채취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소변 측정 시트에 소변 샘플을 채취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측정 부재를 소변 분석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채취된 소변 샘플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을 통해 얻어진 소변 분석 결과를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사 대상자에 대한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블록과, 비데로의 이용자 안착이 감지될 때 안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대상자 인식 정보 획득 블록과, 상기 메모리 블록을 탐색하여 상기 획득된 인식 정보가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 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일 때, 소변 샘플의 채취를 위한 위치 이동을 제어하며, 상기 소변 샘플의 분석 결과에 대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블록과, 상기 제어 블록으로부터의 위치 이동 제어에 따라 소변 채취 위치로 이동하여 탑재된 소변 측정 시트를 통해 소변 샘플을 채취한 후 소변 분석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 측정 부재와, 상기 채취된 소변 샘플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소변 분석 결과를 상기 제어 블록으로 전달하는 소변 분석 블록과, 상기 제어 블록으로부터의 출력 제어에 따라 상기 소변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 검사를 위한 검사 대상자를 미리 등록해 두고, 이용자가 비데에 안착할 때 안착자를 자동 인식하여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인지를 체크하고,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일 때 이동 측정 부재를 소변 채취 위치로 이동시켜 소변 샘플을 채취하여 분석한 소변 분석 결과를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번거로운 사용자 조작 없이 미리 등록해 둔 검사 대상자에 대한 소변 검사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 등록해 둔 검사 대상자마다 검사 주기 범위를 미리 설정해 두고, 그 검사 주기에 따라 소변을 채취 및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소변을 이용한 건강 체크의 일관성(주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소변 분석 결과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건강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건강 이상 상태의 발생을 의미하는 건강 이상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문가(의사)가 사용하는 원격지 단말로 자동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병/의원을 직접 방문함이 없이도 건강 이상의 회복을 위한 처방을 전문가(의사)로부터 온라인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전달 매개체로 하여 소변 분석 장치와 상호 교신하는 원격지 단말과 기 지정된 휴대 단말간의 교신을 위한 시스템 계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비데를 이용하여 소변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소변 검사를 통해 얻어진 소변 분석 결과를 전송 주기에 맞춰 원격지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데에 장착된 검진 장치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을 통해 소변 분석 결과를 모니터에 제공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소변 검사를 위한 검사 대상자를 미리 등록해 두고, 이용자가 비데에 안착할 때 안착자의 인식 정보를 자동 획득하여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인지를 체크하며, 안착자가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일 때 이동 측정 부재를 소변 채취 위치로 이동시켜 소변 샘플을 채취하고, 채취된 소변 샘플을 분석하여 얻어지는 소변 분석 결과를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종래 방식에서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데로의 안착자 인식 정보로서는, 예컨대 카메라를 통해 촬상한 안착자의 얼굴 정보 또는 홍채 정보, 코드 검출기를 통해 감지되는 안착자의 고유 인식 코드 정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 등록해 둔 검사 대상자마다 검사 주기 범위를 미리 설정해 둠으로써, 소변을 이용한 건강 체크의 일관성(주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검사 주기는 각 검사 대상자의 신체 건강 상태, 성별, 연령 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변 분석 결과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건강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그에 상응하는 이상 상태의 검출을 시청각 경보할 수 있으며, 또한 건강 이상 상태의 발생을 의미하는 건강 이상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문가(의사)가 사용하는 원격지 단말로 자동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원격지 단말로 전송되는 건강 이상 메시지에는 소변 검사 대상자에 대한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이전 소변 분석 결과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안착 감지 블록(102), 대상자 인식 정보 획득 블록(104), 제어 블록(106), 메모리 블록(108), 측정 부재 구동 블록(110), 소변 샘플 분석 블록(112), 표시 패널(114), 경보기(116), 인터페이스 블록(118),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 및 메모리(1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착 감지 블록(102)은 이용자가 비데에 안착하는 안착대의 하부 등에 장착되어 이용자의 비데 안착을 감지하는 안착 감지 센서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감지되는 안착 감지신호는 제어 블록(106)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대상자 인식 정보 획득 블록(104)은, 제어 블록(106)으로부터 제공되는 작동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비데에 안착한 안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이러한 인식 정보로서는, 예컨대 안착자의 얼굴 정보, 안착자의 홍채 정보, 안착자의 고유 인식 코드 정보 등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것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착자의 얼굴 영상을 촬상하거나, 카메라의 줌인 기능을 이용하여 안착자의 홍채를 인식(홍채 인식기)하거나 혹은 RF신호를 송수신하는 코드 검출기를 이용하여 안착자의 신체 일부에 이식된 고유 인식 코드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안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인식)되는 안착자의 인식 정보는 제어 블록(106)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에, 제어 블록(106)은 소변 분석 장치에서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안착 감지 블록(102)으로부터 안착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 작동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대상자 인식 정보 획득 블록(104)으로 제공하고, 대상자 인식 정보 획득 블록(104)으로부터 안착자의 인식 정보가 입력될 때 메모리 블록(108)을 탐색하여 획득된 인식 정보가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일 때 안착이 감지된 일시가 해당 검사 대상자에 대해 기 설정된 검사 주기 범위인지를 체크하며, 기 설정된 검사 주기 범위인 것으로 판단될 때 이동 측정 부재의 위치 이동을 위한 이동 제어신호(소변 샘플의 채취를 위한 이동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측정 부재 구동 블록(110)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검사 주기 범위는 각 검사 대상자의 신체 건강 상태, 성별, 연령 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가 70대의 조부모, 40대의 부모, 10대의 자녀라고 가정할 때, 할머니의 경우 2주일에 한번(예컨대, 월요일) 오전 6시에서 8시 사이 혹은 오후 8시에서 10시 사이, 할아버지의 경우 1주일에 한번(예컨대, 월요일) 오전 6시에서 8시 사이 혹은 오후 8시에서 10시 사이, 어머니의 경우 1개월에 한번(예컨대, 월요일) 오전 6시에서 8시 사이 혹은 오후 8시에서 10시 사이, 아버지의 경우 2개월에 한번(예컨대, 월요일) 오전 6시에서 8시 사이 혹은 오후 8시에서 10시 사이, 자녀의 경우 3개월에 한번(예컨대, 월요일) 오전 6시에서 8시 사이 혹은 오후 8시에서 10시 사이 등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검사 주기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 또는 변경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와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경유하여 인터페이스 블록(118)을 통해 수신되는 원격지 단말(도시 생략)로부터의 검사 주기 지령(검사 대상자의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검사 주기 지령)에 의거하여 설정 또는 변경 설정될 수 있고, 원격지 단말은, 예컨대 의료 전문가인 의사가 사용하는 컴퓨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블록(106)에서 발생되어 측정 부재 구동 블록(110)으로 제공되는 이동 제어신호는, 예컨대 도시 생략된 이동 측정 부재가 남성인 경우와 여성인 경우로 구분되어 그 이동 위치(소변 측정 위치)를 달리하도록 구분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어 블록(106)은 소변 샘플 분석 블록(112)으로부터 제공되는 소변 분석 결과(예컨대, 뇨단백, 뇨당, 체지방 등)를 표시 패널(114)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소변 분석 결과를 검사 대상자의 구분자 정보 및 일시 정보와 함께 인터페이스 블록(118)으로 전달하며, 소변 분석 결과와 메모리 블록(108)에 기 저장된 각 체크 항목별 정상 범위 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정상 범위 값을 벗어나는 건강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표시 패널(114)과 경보기(116)를 제어하여 이상 상태의 검출을 시청각 경보하고, 이와 동시에 그에 상응하는 이상 경보 메시지(이상이 검출된 소변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이상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 블록(118)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청각 경보는 표시 패널(114)에서의 특정 아이콘(건강 이상 상황을 의미하는 경보 아이콘 등)의 점멸과 경보기(116)에서의 단속 경보음의 발생을 통해 실현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14)은, 예컨대 LCD, LED, OLED 등과 같은 패널일 수 있고, 경보기(116)는, 예컨대 스피커, 부저 등이 될 수 있다.
더욱이, 제어 블록(106)은 현재 일시를 모니터링하여 메모리 블록(108)에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들에 대해 각각 설정된 전송 주기(소변 분석 결과의 전송 주기)가 될 때 소변 분석 결과들을 원격지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지령신호(검사 대상자의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지령신호)를 발생하여 인터페이스 블록(118)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송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 또는 변경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와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을 경유하여 인터페이스 블록(118)을 통해 수신되는 원격지 단말로부터의 전송 주기 지령에 의거하여 설정 또는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소변 분석 결과의 전송 주기는 빈번한 소변 검사를 필요로 하는 환자이거나 혹은 고령으로 인해 소변 검사 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예컨대, 시간 단위, 일 단위, 주간 단위 등) 설정하는 검사 대상자만을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소변 검사 주기가 긴(예컨대, 개월 단위) 검사 대상자에 대해서는 소변 검사가 실행될 때 그 결과로서 얻어지는 소변 분석 결과를 바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모리 블록(108)에는 각 검사 대상자에 대한 인식 정보 및 그 구분자 정보, 각 검사 대상자별 검사 주기 범위 정보, 각 체크 항목별의 정상 범위 값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다음에, 측정 부재 구동 블록(110)은, 예컨대 모터, 모터 드라이버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어 블록(106)으로부터 제공되는 이동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도시 생략된 소변 채취기의 위치 이동을 위한 동력, 소변 시트의 탈착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켜 소변 채취기로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시 생략된 소변 채취기는 측정 부재 구동 블록(110)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에 따라 소변 측정 시트를 탑재부에 탑재한 후 소변 채취 위치로 이동하여 소변 샘플을 채취하고, 다시 소변 분석 위치로 이동하여 소변 샘플이 채취된 소변 측정 시트를 분석 위치에 내려놓는 등의 동작을 실행하는데, 이러한 측정 부재 구동 블록(110)과 소변 측정기는, 예컨대 이동 측정 부재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비데에는 소변 측정 시트 보관함, 소변 측정 시트 공급함, 폐 소변 측정 시트 수거함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소변 샘플 분석 블록(112)은 소변 측정기를 통해 소변이 채취되어 소변 분석 위치에 놓여져 있는 소변 측정 시트를 통해 소변 상태를 분석, 즉 뇨단백, 뇨당, 체지방 등을 각각 분석 및 측정하며, 이를 통해 얻어지는 소변 분석 결과를 제어 블록(106)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블록(118)은 제어 블록(106)으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데이터, 예컨대 검사 대상자의 구분자 정보와 일시 정보를 포함하는 소변 분석 결과 데이터, 원격지 단말로의 소변 분석 결과 전송을 지령하는 지령신호, 이상 경보 메시지 등을 수신하여 무선 송출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 측으로 무선 송출하고,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검사 주기 범위의 설정을 위한 검사 주기 지령 데이터, 각 검사 대상자별의 소변 분석 결과에 대한 전송 주기의 설정을 위한 전송 주기 지령 데이터 등을 원래의 데이터로 복조하여 제어 블록(106)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소변 분석 장치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교신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변 분석 장치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유선 통신을 통해 상호 교신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은 소변 분석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소변 분석 결과들을 그 구분자 정보 및 일시 정보와 함께 메모리(122)에 저장하고, 소변 분석 결과 전송을 지령하는 지령신호가 수신될 때 메모리(122)로부터 해당 검사 대상자의 소변 분석 결과들을 인출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원격지 단말로 전송하며, 소변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이상 경보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원격지 단말로 전송하고, 원격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검사 주기 지령(검사 대상자의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검사 주기 지령 데이터), 전송 주기(검사 대상자의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주기 데이터)를 소변 분석 장치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전달 매개체로 하여 소변 분석 장치와 상호 교신하는 원격지 단말과 기 지정된 휴대 단말간의 교신을 위한 시스템 계통도로서, 원격지 단말(202), 무선 통신망(204) 및 휴대 단말(2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지 단말(202)은, 의료 전문가인 의사 등이 사용하는 컴퓨터와 연동된 서버(또는 데이터 저장 기기)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소변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검사 대상자의 소변 분석 결과 데이터, 이상 경보 메시지 등을 수신하여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검사 주기 지령 데이터 또는 전송 주기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소변 분석 장치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검사 주기 지령 또는 전송 주기를 발생하여 원격지의 소변 분석 장치로 전송하는 것은, 의료 전문가인 의사가 수신되는 소변 분석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해당 검사 대상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검사 대상자의 소변 검사 주기 또는 소변 분석 결과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조정할 수 있는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 단말(202)은 검사 주기 지령 또는 전송 주기를 발행하여 원격지의 소변 분석 장치로 전송할 때, 그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망(204)을 통해 SMS 또는 MMS 메시지 형태로 휴대 단말(206)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휴대 단말(206)은 검사 대상자 소유의 휴대 단말이거나 혹은 검사 대상자의 보호자 휴대 단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무선 통신망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질적으로는 메시지 서비스 서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원격지 단말(202)에는 검사 대상자 또는 검사 대상자의 보호의 휴대 단말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소변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데를 이용하여 소변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변 분석 장치가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단계 302), 비데 이용자가 볼일을 보기 위해 비데의 안착대에 앉으면 안착 감지 블록(102)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안착 감지신호를 발생한 후 제어 블록(106)으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 304).
다음에, 대상자 인식 정보 획득 블록(104)에서는 제어 블록(106)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안착대에 앉은 안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 블록(106)으로 전달하는데(단계 306), 여기에서 안착자의 인식 정보는, 예컨대 카메라를 통해 촬상한 안착자의 얼굴 영상, 홍채 인식기를 통해 검출한 안착자의 홍채 정보, 코드 검출기를 이용하여 검출한 안착자의 고유 인식 코드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 블록(106)에서는 메모리 블록(108)을 탐색함으로써 획득된 인식 정보, 즉 비데의 안착자가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즉, 소변 검사 대상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며(단계 308), 체크 결과 안착자가 검사 대상자인 것으로 판단될 때(단계 310), 해당 검사 대상자의 검사 주기 범위를 체크하여 현재 일시가 기 설정된 검사 주기 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단계 312).
상기 단계(310)에서의 체크 결과 안착자가 검사 대상자가 아니거나 혹은 상기 단계(312)에서의 체크 결과 현재 일시가 기 설정된 검사 주기 범위에 속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때 처리는 전술한 단계(302)로 진행되며, 그 결과 소변 분석 장치는 대기 모드를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단계(312)에서의 체크 결과 현재 일시가 기 설정된 검사 주기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6)에서는 이동 측정 부재의 위치 이동을 위한 이동 제어신호, 즉 소변 샘플의 채취를 위한 이동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측정 부재 구동 블록(110)으로 전달하며, 그 결과 측정 부재 구동 블록(110)에서 소변 측정기의 이동 및 소변 측정 시트의 착탈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고, 발생된 동력에 따라 소변 측정기가 소변 측정 시트를 탑재하여 소변 채취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탑재된 소변 측정 시트에 소변 샘플이 채취될 수 있다(단계 314).
이후, 소변 측정기가 소변 샘플이 채취된 소변 측정 시트를 소변 분석 위치에 내려놓으면, 소변 샘플 분석 블록(112)에서는 소변 측정 시트를 통해 소변 상태를 분석, 즉 뇨단백, 뇨당, 체지방 등을 각각 분석 및 측정하여 얻어지는 소변 분석 결과를 제어 블록(106)으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 316).
다음에, 제어 블록(106)에서는 메모리 블록(108)을 탐색하여 기 정의된 각 체크 항목별 정상 범위 값과 소변 분석 결과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소변 분석 결과의 각 체크 항목들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 값을 벗어나는 건강 이상 상태인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단계 318).
상기 단계(318)에서의 체크 결과, 건강에 이상이 없는, 즉 모든 체크 항목이 기 정의된 정상 범위 값 이내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6)에서는 검사 대상자의 구분자 정보와 일시정보를 포함하는 소변 분석 결과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블록(118)을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전송하며(단계 320), 그 결과 검사 대상자의 소변 분석 결과 데이터는 그 구분자 정보 및 일시 정보와 함께 메모리(122)에 저장될 수 있다(단계 322). 이때, 표시 패널(114) 상에는 소변 분석 결과 값들이 각 체크 항목별의 정상 범위 값들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며, 이용자(비데 안착자)는 이를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블록(106)이 인터페이스 블록(118)을 통해 소변 분석 결과 데이터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으로 전송하는 과정(단계 320)은 기 설정된 주기로 실행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하였다.
또한, 도 3에는 단계 322 이전에 단계 320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순서가 바뀌거나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상기 단계(318)에서의 체크 결과, 건강 이상 상태, 즉 각 체크 항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정상 범위 값을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6)에서는 표시 패널(114)과 경보기(116)의 제어를 통해 이상 상태의 검출을 시청각 경보할 수 있다(단계 324). 또한, 표시 패널(114) 상에는 건강 이상이 검출된 소변 분석 결과 값들이 각 체크 항목별의 정상 범위 값들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에서, 건강 이상 상태의 검출에 대한 시청각 경보는 표시 패널(114)에서의 특정 아이콘, 즉 건강 이상 상황을 의미하는 경보 아이콘 등의 점멸과 경보기(116)에서의 단속 경보음의 발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블록(106)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이상 경보 메시지, 즉 이상이 검출된 소변 분석 결과와 검사 대상자의 구분자 정보 및 일시 정보를 포함하는 이상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 블록(118)을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 측으로 전송하고(단계 326), 이에 응답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에서는 건강 이상이 검출된 소변 분석 결과 데이터를 그 구분자 정보 및 일시 정보와 함께 메모리(122)에 저장하며(단계 328), 이후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에서는 이상이 검출된 소변 분석 결과와 검사 대상자의 구분자 정보 및 일시 정보를 포함하는 이상 경보 메시지를 도 2의 원격지 단말(202)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330).
따라서, 원격지에 있는 의료 전문가(의사)는 자신이 담당하는 사람에게서 소변 이상 소견이 감지될 때 이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사람에 대한 이상 회복 처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변 검사를 통해 얻어진 소변 분석 결과를 전송 주기에 맞춰 원격지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소변 분석 장치가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단계 402), 제어 블록(106)에서는 각 검사 대상자별로 기 설정된 전송 주기(소변 분석 결과의 전송 주기)를 모니터링하여 현재 일시가 전송 시점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단계 404, 406), 특정 검사 대상자에 대한 전송 시점인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 기간 동안의 소변 분석 결과들을 원격지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지령신호, 즉 검사 대상자의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지령신호를 발생하여 인터페이스 블록(118)을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 408). 여기에서, 전송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 또는 변경 설정되거나 혹은 원격지 단말로부터의 전송 주기 지령에 의거하여 설정 또는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120)에서는 해당 검사 대상자의 소변 분석 결과 데이터들을 메모리(122)로부터 인출하여 해당 검사 대상자의 구분자 정보와 함께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 단말(202)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410).
따라서, 원격지 단말(202)의 이용자(의료 전문가)는 자신이 관리하는 대상자에 대한 소변 분석 결과를 기 설정된 일정 주기 간격으로 받아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할 때마다 대상자에 대한 원격 처방 등의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실시 예에서는 각 검사 대상자의 소변 분석 결과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변 분석 장치 내의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각 검사 대상자별의 전송 주기가 될 때, 원격지 단말로의 전송을 위해, 메모리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소변 분석 결과들을 인출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 측으로 전달하게 될 것이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실시 예에서는 비데에 장착된 소변 분석 장치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전달 매개체로 이용하여 원격지 단말과 상호 통신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전달 매개체로 이용하지 않고, 소변 분석 장치가 가정 내 네트워크 접점과의 직접 접속(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원격지 단말과 상호 통신하는 것으로 설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2 : 안착 감지 블록 104 : 대상자 인식 정보 획득 블록
106 : 제어 블록 108 : 메모리 블록
110 : 측정 부재 구동 블록 112 : 소변 샘플 분석 블록
114 : 표시 패널 116 : 경보기
118 : 인터페이스 블록 120 : 홈 네트워크 시스템
122 : 메모리 202 : 원격지 단말
204 : 무선 통신망 206 : 휴대 단말

Claims (10)

  1. 소변 측정 시트가 탑재된 이동 측정 부재를 소변 채취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소변 측정 시트에 소변 샘플을 채취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측정 부재를 소변 분석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채취된 소변 샘플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을 통해 얻어진 소변 분석 결과를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샘프를 채취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비데를 포함하는 변기에서 이용자 안착이 감지될 때, 안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인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안착자가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 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안착이 감지된 일시가 해당 검사 대상자에 대해 기 설정된 검사 주기 범위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크 결과, 상기 기 설정된 검사 주기 범위 이내일 때 상기 채취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검사 주기 범위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검사 주기 지령에 의거하여 설정 또는 변경 설정 가능한 주기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분석 방법은
    상기 원격지 단말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휴대 단말로 상기 검사 주기 지령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무선 발송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에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분석 결과는,
    뇨단백, 뇨당, 체지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7. 검사 대상자에 대한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블록과,
    비데를 포함하는 변기에서 이용자 안착이 감지될 때 안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대상자 인식 정보 획득 블록과,
    상기 획득된 인식 정보가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 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기 등록된 검사 대상자인 경우, 소변 샘플의 채취를 위한 이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소변 샘플의 분석 결과에 대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블록과,
    상기 이동 제어 신호에 따라 소변 채취 위치로 이동하여 탑재된 소변 측정 시트를 통해 소변 샘플을 채취한 후 소변 분석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 측정 부재와,
    상기 채취된 소변 샘플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소변 분석 결과를 상기 제어 블록으로 전달하는 소변 분석 블록과,
    상기 제어 블록으로부터의 출력 제어에 따라 상기 소변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패널
    을 포함하는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블록은,
    상기 안착이 감지된 일시가 해당 검사 대상자에 대해 기 설정된 검사 주기 범위일 때 상기 이동 측정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소변 샘플을 채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분석 결과는,
    뇨단백, 뇨당, 체지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블록은,
    상기 소변 분석 결과를 그 구분자 정보 및 일시 정보 중 하나 이상과 함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내부 메모리 또는 상기 메모리 블록 중 하나에 저장하고, 기 설정된 전송 주기가 될 때, 그 저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장치.
KR1020100020947A 2010-03-09 2010-03-09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01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947A KR20110101730A (ko) 2010-03-09 2010-03-09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947A KR20110101730A (ko) 2010-03-09 2010-03-09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730A true KR20110101730A (ko) 2011-09-16

Family

ID=4495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947A KR20110101730A (ko) 2010-03-09 2010-03-09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17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56B1 (ko) * 2012-06-20 2014-06-11 (주) 코콤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56B1 (ko) * 2012-06-20 2014-06-11 (주) 코콤 소변검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28426B (zh) 一种智能床垫系统
KR100755974B1 (ko)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네트워크 시스템및 방법
CN106845082B (zh) 一种人体健康数据监测系统及其分析方法
US20110176106A1 (en) Portable ey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EP2574953A1 (en) Method for providing remote health monitoring data and associated system
CN201481423U (zh) 血糖实时监控系统、血糖检测仪和手机终端
CN103371807A (zh) 确定参考体温的方法和设备
CN105078437A (zh) 一种穿戴式人体异常监测告警系统及其工作方法
EP3399310B1 (en) Health monitoring system, health monitoring method, and health monitoring program
CN104799825A (zh) 一种中老龄人云安康服务平台及药术评估方法
CN103654727A (zh) 一种中医脉象检测系统
CN101647703A (zh) 血糖实时监控系统与方法、血糖检测装置和手机终端
EP1541085A1 (en) Physical movement evaluation device and physical movement evaluation system
EP3267871A1 (en) Wearable device for sweat testing administration
JP2006254948A (ja)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KR101986088B1 (ko)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65869A (ko)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EP34327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rination of a subject
US20220044801A1 (en) Living body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health management server, and system
Al-Naami et al. A new prototype of smart wearable monitoring system solution for alzheimer’s patients
CN202942095U (zh) 人体智能实时监测装置
KR101226188B1 (ko) 센서 노드와 임베디드 기기에 기반한 원격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KR20110101730A (ko) 비데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2606B1 (ko) 동작패턴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SE541712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lth predi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