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266A - 다동형 메가 요트 - Google Patents

다동형 메가 요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266A
KR20130142266A KR1020120065334A KR20120065334A KR20130142266A KR 20130142266 A KR20130142266 A KR 20130142266A KR 1020120065334 A KR1020120065334 A KR 1020120065334A KR 20120065334 A KR20120065334 A KR 20120065334A KR 20130142266 A KR20130142266 A KR 20130142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posture
ship
vessel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우
배동균
Original Assignee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백산기계
주식회사 한국종합설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백산기계, 주식회사 한국종합설계 filed Critical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5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2266A/ko
Publication of KR2013014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2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foil type
    • B63B1/2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foil type with movable hydrofoils
    • B63B1/285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foil type with movable hydrofoils changing the angle of attack or the lift of the foil
    • B63B1/28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foil type with movable hydrofoils changing the angle of attack or the lift of the foil usin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39/061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by using trimflaps, i.e. flaps mounted on the rear of a boat, e.g. speed b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32Housings
    • B63H20/34Housings comprising stabilising fins, foils, anticavitation plates, splash plates, or ru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38Keels
    • B63B2003/385Keels with means for controlling heeling or rolling motions, or lift, e.g. flaps, by changing geometry, or by ballast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5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the foils being pivotal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7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effecting motion dampening by means of fixed or movable resistance bodies, e.g. by bilge ke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동형 메가 요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추진시스템이 구비된 복수 개의 선체; 및 상기 선체의 흘수선 아래에 구비되며 선박의 자세 및 급정지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자세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자세제어시스템:은 상기 선박의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자세감지수단;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구비되며 구동축과 연동 되어 회전하는 복수 개의 핀; 상기 선체의 선미부에 구비되며 구동축과 연동 되어 회전하는 복수 개의 플랩; 상기 자세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선박의 자세정보에 따라 상기 핀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유압기구; 및 상기 자세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선박의 자세정보에 따라 상기 플랩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유압기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동형 메가 요트{The multi-hull Mega yacht}
본 발명은 다동형 메가 요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체를 복수 개로 연결하여 구비함으로써, 구조적으로 파도에 의한 동요를 최소화하며, 넓은 선내 시설, 선박의 자세제어를 통한 안정적인 운항능력 및 얕은 수심에서도 운항이 가능한 다동형 메가 요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국민 소득 증대, 주 5일 근무제 확산, 레저 욕구 증대, 전국 도로망의 확충, 승용차의 보급 증대 및 여행관련업의 발전에 힘입어 레저시장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국외 해양레저의 경우, 레저 선박을 이용한 레저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레저 선박을 운항 거리로 분류할 시 내수면용, 평수구역용 및 연근해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메가 요트(Mega yacht)는 선박의 물리적 제원으로 길이 24m 이상 무게 20톤 이상의 선박으로, 연근해 수역과 소형레저 보트의 운항 거리를 넘어선 항해 활동이 가능하여 해양 레저산업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선박의 선체가 하나로 이루어진 단동형 메가 요트의 경우, 항해 또는 정박시 현 측에서 부딪치는 너울성 파도에 의한 선박의 동요 및 진동이 심해 선박 운항의 안전상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너울성 파도에 의한 선박의 자세제어가 어렵고, 선박 내 시설물의 파손 우려가 있다.
아울러 일반적인 선박은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추진력을 얻어 전·후진하고 선박의 정지를 위해 상기 추진력을 제거함에도 불구하고 탄력에 의한 운항으로 인하여 급박한 상황에서 급정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먼저, 선박의 선체를 다동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선박 운항의 안전성과 넓은 선박 실내를 확보할 수 있으며 선박의 동요 및 진동을 줄일 수 있어 승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동형 메가 요트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선체의 흘수선 아래 자세제어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선박의 안전항 운항을 위한 자세제어 및 비상시 급정지가 가능한 다동형 메가 요트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각각의 추진시스템이 구비된 복수 개의 선체; 및 상기 선체의 흘수선 아래에 구비되며 선박의 자세 및 급정지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자세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자세제어시스템:은 상기 선박의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자세감지수단;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구비되며 구동축과 연동 되어 회전하는 복수 개의 핀; 상기 선체의 선미부에 구비되며 구동축과 연동 되어 회전하는 복수 개의 플랩; 상기 자세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선박의 자세정보에 따라 상기 핀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유압기구; 및 상기 자세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선박의 자세정보에 따라 상기 플랩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유압기구;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선체는 2개의 선체로 이루어진 쌍동형 또는 3개의 선체로 이루어진 삼동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진시스템:은 상기 선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연기관; 상기 내연기관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출력축; 상기 출력축의 회전을 정·역회전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회전전환장치; 상기 회전전환장치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선체의 선미쪽으로 연장 돌출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과 연동되며 상기 선박에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프로펠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체의 선미에 구비되며 상기 선박의 선회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먼저, 선박의 선체를 다동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선박 운항의 안전성과 넓은 선박 실내를 확보할 수 있으며 선박의 동요 및 진동을 줄일 수 있어 승선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선체의 흘수선 아래 자세제어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선박의 안전항 운항을 위한 자세제어 및 비상시 급정지가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동형 메가요트의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동형 메가요트의 배면도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동형 메가요트의 측 단면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동형 메가요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동형 메가요트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동형 메가요트의 측 단면도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동형 메가 요트는 해수와 접하는 선체(110)가 복수 개 즉, 다동형으로 구비되며,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선체(110)가 두 개로 이루어진 쌍동형 또는 상기 선체(110)가 3개로 구비되는 삼동형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선체(110)는 선체가 2개로 이루어진 쌍동형 메가 요트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선체(110)를 다동형으로 구비하는 이유는 단동형 메가요트의 경우, 선박의 항해 또는 정박시 현 측에서 부딪치는 너울성 파도에 의한 선박의 동요 및 진동이 심해 선박 운항의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너울성 파도에 의한 선박의 자세제어가 어렵고, 이로 인한 선박 내 시설물의 파손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선체(110)를 다동형으로 구비함으로써, 단동형에 비해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동형 메가 요트는 상기 선체(110)의 흘수선 아래에 구비되며 선박의 자세 및 급정지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자세제어시스템(120)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상기 자세제어시스템(120)은 상기 선박의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자세감지수단(도시되지 않음), 상기 선체(110)의 선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핀(fin)(121), 상기 선체(110)의 선미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플랩(flap)(122), 상기 핀(121)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유압기구(121a) 및 상기 플랩(122)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유압기구(122a)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자세감지수단은 선박의 자세제어를 위한 외부 환경,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이 항해하는 항로의 파고, 파랑, 너울, 풍향, 풍속 등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감지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감지된 외부 환경정보에 따라 후술할 핀(121) 및 플랩(122)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유압기구(121a)(122a)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유압기구(121a)는 복수 개의 핀(121)들과 연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핀(121)은 선체(110)의 선수부 외 측에 구비되어 구동축에 의해 상기 제1유압기구(121a)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핀(121)은 선박의 선수부 일 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각 선체(110)의 선수부 양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유압기구(122a) 및 선체(110)의 선미부에 구비되며 구동축과 연동 되어 회전하는 복수 개의 플랩(122)은 상기 제1유압기구(121a) 및 상기 핀(121)과는 달리 선체(110)의 선미부에 구비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기술적 구성에 있어서 모두 동일하다 할 것이므로 이하에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체(110)가 쌍동으로 이루어진 메가요트의 선수부 및 선미부 양측에 상기 자세감지수단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핀(121) 및 플랩(122)을 구비함으로써, 외부 파도에 따라 흔들리는 선박을 해수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유지할 수 있어 안전하고 쾌적한 항해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위급상황, 예를 들어 선박의 충돌우려가 있는 상황에서 상기 선박을 급하게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선수부 및 선미부에 구비되는 상기 핀(121) 및 플랩(122)을 해수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해수와의 저항력을 증가시켜 선박을 비상정지시킬 수 있다.
물론 선박의 항해시에는 상기 핀(121) 및 상기 플랩(122)이 해수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시켜 선박의 항해에 전혀 방해가 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동형 메가 요트는 각각의 선체(110)에 상기 선박의 전·후진을 위한 추진시스템(1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추진시스템(130)은 상기 선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연기관(131), 출력축(132), 회전전환장치(133), 구동축(134) 및 프로펠러(135)를 포함한다.
상기 내연기관(131)은 선박의 추진력 발생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하는 부분으로 다양한 내연기관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내연기관(131) 외에도 워터제트(Water Jet) 또는 에어제트(Air Jet)분사 방식에 의한 추진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내연기관(131)의 회전력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축(132)이 더 구비되며, 상기 출력축(132)은 상기 내연기관(131)의 회전방향을 정·역회전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전전환장치(133)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회전전환장치(133)를 구비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내연기관의 경우, 일 방향으로만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선박에 적용시 상기 선박은 전진 또는 후진만이 가능하며 따라서,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내연기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전환장치를 통해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선박의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전환장치(131)는 선체(110)의 선미쪽으로 연장 돌출된 구동축(134)과 연결되며, 연장 돌출된 상기 구동축(134)의 말단에는 선박의 추진력 발생을 위한 프로펠러(135)와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동형 메가 요트는 내연기관(131)에 의해 발생 되는 회전력을 출력축(132), 회전전환장치(133) 및 구동축(134)을 통해 상기 프로펠러(135)에 전달함으로써 선박의 추진력이 발생하고, 상기 회전전환장치(133)를 통해 상기 구동축(134)과 연결되는 상기 프로펠러(135)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선박의 전, 후진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동형 메가 요트는 상기 선체(110)의 선미에 구비되며 선박의 선회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키(140)를 더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키(140)는 선회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프로펠러(135)의 회전 중심부 뒤쪽에 구비된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동형 메가 요트는 선박의 선체(110)를 다동형, 구체적으로는 선체(110)가 2개로 이루어진 쌍동형으로 구비하고, 자세제어 및 선박의 비상정지를 위한 자세제어시스템(120)을 구비함으로써, 선박 운항의 안전성과 넓은 선박 실내를 확보할 수 있으며 선박의 동요 및 진동을 줄일 수 있어 승선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선박의 비상상황에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 선체
120 : 자세제어시스템
121 : 핀
121a : 제1유압기구
122 : 플랩
122a : 제2유압기구
130 : 추진시스템
131 : 내연기관
132 : 출력축
133 : 회전전환장치
134 : 구동축
135 : 프로펠러
140 : 키

Claims (4)

  1. 각각의 추진시스템이 구비된 복수 개의 선체; 및
    상기 선체의 흘수선 아래에 구비되며 선박의 자세 및 급정지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자세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자세제어시스템:은
    상기 선박의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자세감지수단;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구비되며 구동축과 연동 되어 회전하는 복수 개의 핀;
    상기 선체의 선미부에 구비되며 구동축과 연동 되어 회전하는 복수 개의 플랩;
    상기 자세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선박의 자세정보에 따라 상기 핀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유압기구; 및
    상기 자세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선박의 자세정보에 따라 상기 플랩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유압기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동형 메가 요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선체는 2개의 선체로 이루어진 쌍동형 또는 3개의 선체로 이루어진 삼동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동형 메가 요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시스템:은
    상기 선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연기관;
    상기 내연기관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출력축;
    상기 출력축의 회전을 정·역회전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회전전환장치;
    상기 회전전환장치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선체의 선미쪽으로 연장 돌출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과 연동되며 상기 선박에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동형 메가 요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선미에 구비되며 상기 선박의 선회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동형 메가 요트.
KR1020120065334A 2012-06-19 2012-06-19 다동형 메가 요트 KR20130142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334A KR20130142266A (ko) 2012-06-19 2012-06-19 다동형 메가 요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334A KR20130142266A (ko) 2012-06-19 2012-06-19 다동형 메가 요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266A true KR20130142266A (ko) 2013-12-30

Family

ID=4998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334A KR20130142266A (ko) 2012-06-19 2012-06-19 다동형 메가 요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22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794B1 (ko) * 2014-08-14 2015-12-29 윤호수 평형 유지 및 자가 복원 기능을 갖는 선박
CN113734349A (zh) * 2021-09-18 2021-12-03 英辉南方造船(广州番禺)有限公司 一种船体和深v折角半小水线面双体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794B1 (ko) * 2014-08-14 2015-12-29 윤호수 평형 유지 및 자가 복원 기능을 갖는 선박
WO2016024701A1 (ko) * 2014-08-14 2016-02-18 윤호수 평형 유지 및 자가 복원 기능을 갖는 선박
CN113734349A (zh) * 2021-09-18 2021-12-03 英辉南方造船(广州番禺)有限公司 一种船体和深v折角半小水线面双体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8729B2 (en) Control system for boats
US20080053356A1 (en) Steering and propulsion arrangement for ship
CA2860853A1 (en) A vessel
House Ship handling
KR20140025803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동적 위치 유지 시스템 및 방법
BRPI1001329A2 (pt) estrutura naval com dispositivos de propulsão azimutal
KR20130142266A (ko) 다동형 메가 요트
Hooyer Behavior and handling of ships
US5694877A (en) Ship docking vessel
JP2004182096A (ja) 船舶、船舶の航行装置、船舶の舵角制御装置および船舶の舵角制御方法
KR101920028B1 (ko) 선박의 운항 성능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항 성능 제공 방법
Conolly Paper 26. Stability and Control in Waves: A Survey of the Problem
Martinussen Shiphandling at low speed in deep and shallow water
Paroka et al. Steady State Equilibrium of Ship Maneuvering under Combined Action of Wind and Wave
RU47845U1 (ru) Судно ледового класса,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танкер двойного действия
KR200485247Y1 (ko) 선박의 추진 구조체
JP2019513623A5 (ko)
KR100977839B1 (ko) 쇄빙선의 추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쇄빙선 형상
AU2009100540A4 (en) Redundancy of Propulsion for Sea-Going Vessels
KR20200041459A (ko) 극지운항선박의 빙저항 감소를 위한 ?지구조
US9238501B1 (en) Bilge keel with porous leading edge
CN113439055B (zh) 控制装置、具备该控制装置的船舶以及船舶的控制方法
EP4342785A1 (en) A system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a marine surface vessel
RU2492098C2 (ru) Движ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надводного судна
Kunieda et al. Emergency Unberthing without Tug As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