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219A - User terminal, server for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and method using them - Google Patents

User terminal, server for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and method using th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219A
KR20130142219A KR1020120063732A KR20120063732A KR20130142219A KR 20130142219 A KR20130142219 A KR 20130142219A KR 1020120063732 A KR1020120063732 A KR 1020120063732A KR 20120063732 A KR20120063732 A KR 20120063732A KR 20130142219 A KR20130142219 A KR 20130142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anguage
user terminal
automatic
sugg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69903B1 (en
Inventor
최영환
Original Assignee
한국문화관광콘텐츠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문화관광콘텐츠개발(주) filed Critical 한국문화관광콘텐츠개발(주)
Priority to KR1020120063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903B1/en
Publication of KR2013014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2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9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comprising: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us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 information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the us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nd a languag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Reference numerals] (110) Information collecting unit;(130) Information analyzing unit;(150) Language determining unit;(170) Use patter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AA) User;(BB) Content;(CC) Determine a language to be provided

Description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USER TERMINAL, SERVER FOR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AND METHOD USING THEM}User terminal with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server and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m {USER TERMINAL, SERVER FOR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AND METHOD USING THEM}

본 발명은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수집하여 다국어의 언어별 사용 비율을 분석하고, 분석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를 자동으로 제안하고 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collected and analyzed to analyze the usage ratio of each language in multiple languag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automatically suggesting and determining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information.

전세계 관광인구는 한해 평균 9억 8천 2백만명(UNWTO)으로 전세계 인구 7명중 1명이 자국을 떠나 관광을 하고 있으며, 전 세계 국가 간의 사회/경제적인 교류의 확대에 따라 전지구적인 인구이동이 보편적인 현상이 되어가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 기술의 혁신적인 발달에 따라 정보의 교류는 국경 없이 글로벌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나의 컨텐츠가 다양한 장소의 다양한 언어권의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The world's tourism population averages 898 million people (UNWTO) per year, with one in seven people leaving the country traveling outside of the country.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social and economic exchanges between countries around the world, global population movement is common. It is becoming a phenomen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formation exchange is performed globally without borders, and an environment in which one content is provided to people of various languages in various places is being created.

이에 따라 하나의 컨텐츠를 각 국가의 사용자들이 원하는 복수 개의 언어들을 통하여 제공하는 기술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URL,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컨텐츠에 접근하는 사용자에게, 복수 개의 서비스 언어들의 목록을 단순 제공(초기화면, 별도의 설정 항목 등)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제공된 목록들 중에서 서비스받을 언어를 선택하게 하는 방식이었다. Accordingly, a technology for providing one content through a plurality of languages desired by users of each country is required. Conventionally, a list of a plurality of service languages is simply provided to a user accessing the content through a URL, a program, an application, or the like. Initial screen, separate setting items, etc.), and allow the user to select a language to be serviced from the provided lists.

또한, 종래의 QR 코드에 의한 컨텐츠 제공 기술 분야에서는, QR 코드 리더 앱이 개발시 설정된 언어로만 인식이 가능하여, 다국어 서비스를 위해서는 서비스하고자 하는 언어별로 다수 개의 QR 코드를 제작해야 했고, 사용자들은 다수 개의 QR 코드 중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언어에 해당하는 QR 코드를 직접 선택하여 인식해야 했다.In addition, in the field of content providing technology by the conventional QR code, the QR code reader app can be recognized only in the language set at the time of development, and for the multilingual service, a plurality of QR codes must be produced for each language to be serviced. Of the four QR codes, they had to select and recognize the QR code corresponding to their desired language.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컨텐츠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다수의 언어목록이나 다수개의 QR 코드들을 일일이 검토해야 하는 컨텐츠 공급자 중심의 기술로서, 사용자들을 번거롭게 한다는 문제가 있었고, 소위 UX(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 중심의 사용자 단말 구현에도 역행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se conventional technologies, as a content provider-oriented technology in which a user accessing content has to review a plurality of language lists or a plurality of QR codes, have a problem of troublesome users, and so-called UX (User eXperienc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reverse implementation of the central user terminal.

한편, 이러한 공급자 중심의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접속 IP 주소 기반의 자동 언어 제공 기술(접속된 IP address를 분석하여, 해당 주소가 속한 언어권의 언어로 컨텐츠를 서비스 하는 기술)이 웹 기반의 컨텐츠 제공 분야에서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기술 역시 단말기의 접속 위치만을 고려한 기술로서, 사용자 경험 중심의 UX 컨텐츠 제공 기술로서는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리적으로 자신의 언어권 국가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에게 맞지 않는 언어로 컨텐츠가 서비스되는 문제가 있었다.)
On the other hand, as a technology for improving such a provider-oriented conventional technology, web-based automatic language provision technology (technology that analyzes the connected IP address to serve content in the language of the language to which the address belongs) based on the access IP address. Although this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n the field of providing content, such a technology also considers only the access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has a limitation as a user experience-oriented UX content providing technology. (For example, if a user is geographically out of his or her language countr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ent is served in a language that is not appropriate for that user.)

따라서, 다국어 컨텐츠 제공 분야에서도 공급자 중심이 아닌 UX(사용자 경험) 중심의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the field of multilingual content providing, development of UX (user experience) oriented technology rather than provider oriented is required.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기술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발명되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개발할 수 없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requiremen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technique which can not be easily develop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종래의 공급자 중심의 다국어 컨텐츠 제공 기술을 개선하고, 개별적인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 중심의 다국어 컨텐츠 제공 기술을 제공하며, 이러한 기술을 통해 UX 컴퓨팅 환경 구현에도 도움을 주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vider-oriented multi-language content providing technology, to provide a user-oriented multi-language content providing technology by analyzing the use patter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user terminal, and to help to implement the UX computing environment through such technology Make it a challeng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를 결정하는 사용 언어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 information analyzer analyz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or;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anguage used to determine the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가,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또는 전화번호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the basic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or phone book information. It featur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정보 분석부가 단말에 세팅된 언어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도메인의 언어 정보, 문자메시지에서 사용된 언어 정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국가코드 정보 및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언어 정보 또는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이름의 언어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guage information set in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the language information of the visited website domain, the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text message, the phone book It is characterized by extracting the country code information of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language information and the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country or the name information stored in the phone book.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정보 수집부가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도 수집할 수 있고, 상기 정보 분석부는 GPS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속한 언어권의 언어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may collect GP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analyzer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extracting language information of the language zone to which it belong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정보 분석부가, 추출한 정보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analyzer adds a weight for each extracted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 언어 결정부가, 상기 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가장 높은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guage used by the language determiner,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the language having the highest usage ratio for content provision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language to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 언어 결정부가, 상기 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높은 복수 개의 언어들을 순위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언어들 중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guage used by the language determiner,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ranking a plurality of languages with a high usage rate and Displayed toge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nguage selected by the input of the displayed plurality of languages as the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 모듈; 및 상기 정보 분석 모듈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컨텐츠에 사용될 언어를 결정하는 사용 언어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erver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An information analysis module analyz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ll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us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a language to be used for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는, 상기 사용 언어 결정 모듈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들의 컨텐츠 제공용 언어를 독립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rver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independently determine the content providing language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nnected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가,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또는 전화번호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rver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basic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or phone book information.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는, 상기 정보 분석 모듈이, 단말에 세팅된 언어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도메인의 언어 정보, 문자메시지에서 사용된 언어 정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국가코드 정보 및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언어 정보 또는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이름의 언어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rver with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the language information set in the terminal, the language information of the visited website domain, the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text message, telephone It is characterized by extracting the country code information of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phone book and the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corresponding country or the language information of the name stored in the phone book.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는, 상기 통신 모듈이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도 수집할 수 있고, 상기 정보 분석 모듈은 GPS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속한 언어권의 언어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server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collect GP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extracting language information of the language zone to which it belong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는, 상기 정보 분석 모듈이, 추출한 정보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rver with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ed for each extracted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는, 상기 사용 언어 결정 모듈이, 상기 정보 분석 모듈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가장 높은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rver with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the language with the highest usage ratio to provide content;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language to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는, 상기 사용 언어 결정 모듈이, 상기 정보 분석 모듈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높은 복수 개의 언어들을 순위와 함께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복수 개의 언어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언어를 컨텐츠 제공용 언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rver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is to rank and rank a plurality of languages with a high usage rate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Selecting toge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nguag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selected languages as the content providing languag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는, 상기 정보 분석 모듈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가장 높은 순위의 언어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추출한 정보별로 부여되는 가중치를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rver with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if the language of the highest ranking is not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readjust the weight given to each extracted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는, 상기 정보 분석 모듈이,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의 선택 결과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가중치를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rver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readjusts the weights by reflecting the selection results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 real time.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a)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이 수집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이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사용자 단말이 결정된 언어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e user terminal collect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 analyz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user terminal by the user terminal; (c) determining, by the user terminal,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nd (d) providing contents by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etermined languag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가,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또는 전화번호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basic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or phone book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상기 (b)단계의 상기 사용자 단말이, 단말에 세팅된 언어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도메인의 언어 정보, 문자메시지에서 사용된 언어 정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국가코드 정보 및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언어 정보 또는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이름의 언어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of step (b), the language information set on the terminal, the language information of the visited website domain, the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text message, Country code information of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phone book and the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country or the language information of the name stored in the phone boo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trac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상기 (a)단계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도 수집할 수 있고, 상기 (b)단계의 상기 사용자 단말이 GPS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속한 언어권의 언어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of step (a) may also collect GP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of step (b) Based on the extracted language information of the language zone to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elong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상기 (b)단계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추출한 정보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in step (b) is weighted for each extracted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상기 (c)단계의 상기 사용자 단말이,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가장 높은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of the step (c),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the language having the highest usage ratio is determined as the language to be used for content provision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상기 (c)단계의 상기 사용자 단말이,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높은 복수 개의 언어들을 순위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언어들 중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of the step (c) displays a plurality of languages having a high usage rate with ranking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plurality of displayed languages. The language selected by the input among the three languages may be determined as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전자장치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cord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form of a progra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프로그램 제공 서버에 의해서 다운로드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rogram that can be downloaded by the program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UX(사용자 경험) 중심의 자동 언어 제안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may implement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technique based on UX (user experien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자동 언어 제안 기술 분야에서 종래에 이용되지 않았던,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GPS 정보 등의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최적화된 언어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conventionally used in the field of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technology, basic setting information of a terminal, visited web By analyz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uch as 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phone book information, GP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tent in a language optimized for each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자동 언어 제안을 위해 수집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들에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러한 가중치 분석을 통해 자동 언어 제안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ive a relative weight to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llected for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In addition, this weight analysis can improve the accuracy of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자동으로 제안된 언어 정보와 실제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된 언어 정보(피드백 정보)를 다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분석하여 정보별 가중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정보를 활용(정보별 가중치 재조정)하여, 자동 언어 제안의 정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rovide a plurality of language information (feedback information) set in the actual user terminal and the proposed language information. The weight for each information may be readjusted by receiving / analyzing the user terminal. Accordingly, by utilizing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re-weighting for each information), the accuracy of the automatic language proposal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사용자의 기본 언어 사용 정보가 녹아있는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통해 컨텐츠 제공 언어를 자동으로 제안하므로, 사용자 단말의 지리적인 위치 이동과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에 최적화된 언어를 제안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provide a content providing language through use patter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in which basic user language use information is melted. Since it is automatically proposed, it is possible to propose a language optimized for the user anytime and anywhere regardless of the geographical location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관광안내 표지판, 이정표, 인쇄홍보물, 메뉴판 등에 단 하나의 QR 코드를 부착(종래처럼 언어의 종류별로 다수의 QR 코드를 부착할 필요가 없음)하고, 이러한 하나의 QR 코드만을 통해 사용자 경험(UX) 중심의 다국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언어소통 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In addition,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include attaching a single QR code to a tourist guide sign, a milestone, a print promotion, or a menu board ( There is no need to attach multiple QR codes for each type of language as in the prior art),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lingual service centered on user experience (UX) through only one QR code.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중소기업 제품 패키징, 홍보물 등에 단 하나의 QR 코드를 부착(종래처럼 언어의 종류별로 다수의 QR 코드를 부착할 필요가 없음)하고, 이러한 하나의 QR 코드만을 통해 수출대상국가에 상관없이 사용자 경험(UX) 중심의 다국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마케팅 비용 절감과 수출경쟁력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In addition,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include attaching only one QR code to a small business product packaging, a promotional material, etc. There is no need to attach multiple QR codes), and this single QR code can provide multilingual services centered on user experience (UX) regardless of the exporting country, helping to reduce marketing costs and increase export competitiveness. Can gi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가 분석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er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nalyzing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by a user terminal or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Hereinafter,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matters represen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different from the form actually embodied in the schematic drawings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comprising" some components, as an 'open representation' simply refers to the presence of the components,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100)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Hereinafter, a user terminal 100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110),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부(130), 상기 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를 결정하는 사용 언어 결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user terminal 100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and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n information analyzing unit 130 for analyz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using language determination unit 150 for determining the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to include; Can be.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정보 접근을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IT 기기들로서, 휴대폰,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데스크탑, 노트북 등의 다양한 IT 기기들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의 모바일 IT 기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refers to various IT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smartphones, PDAs, tablet PCs, desktops, notebooks, and the like. It may be formed of a mobile IT device such as a tablet PC, PDA, and the lik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특별한 설명이 없어도 단말의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 구성들을 당연히 포함하고 있다고 이해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정보 수집부(110), 상기 정보 분석부(130), 상기 사용 언어 결정부(150)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저장부(DB)를 당연히 포함하며, 상기 정보 수집부(110), 상기 정보 분석부(130), 상기 사용 언어 결정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도 당연히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입력부, QR 코드 인식부 등의 기본적인 구성들도 당연히 포함한다.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the basic components for implementing the basic functions of the terminal without any special description.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Of course, the information analyzer 130, the storage unit (DB) for storing the data for implementing the language determination unit 150 is naturally included, the information collector 110, the information analyzer 130 Of course,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anguage to be used 150 is also included. In addition,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input unit, QR code recognition unit, and the like is naturally included.

상기 정보 수집부(110)는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를 수집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내부 구성이나 저장부(DB, DataBase)로부터 다양한 데이터 포맷들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를 수집한다.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collects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collects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various data formats from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or a storage unit (DB, DataBase).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is collected.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는, 자동 언어 제안을 위한 분석의 대상이 되는 정보로서,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등 언어 정보를 일부 내포할 수 있는 다양한 단말 정보들이며, 이 외에도 GPS 정보, 접속 IP 정보 등의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is information to be analyzed for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and partially includes language information such as basic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and phone book information. Various terminal information that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o this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such as GPS information, access IP information.

한편 상기 정보 수집부(110)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 입력부 등과 연동하여 정보 접근에 동의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 접근의 동의 절차가 완료된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may perform a procedure for agreeing access to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a display unit, an input unit, etc.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user only when the consent process for accessing such information is completed. It is preferable to collect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terminal.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110)는 수집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저장부(DB)에 저장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집된 정보를 상기 정보 분석부(1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may store the collected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in the storage unit (DB) of the user terminal 100, preferably the collected information analysis It may be delivered to the unit 130.

상기 정보 분석부(130)는, 상기 정보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를 분석하는 구성으로서, 분석된 결과를 상기 사용 언어 결정부(150)에 전달하여 자동 언어 제안을 위한 연산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30 is a configuration for analyz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and transmits the analyzed result to the use language determination unit 150 It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calculations for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s to be made accurately.

이러한 상기 정보 분석부(130)는, 상기 정보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GPS 정보 등의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들을 수신하여 언어 정보를 추출하고 분석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에서 단말에 세팅된 언어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도메인의 언어 정보, 문자메시지에서 사용된 언어 정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국가 코드 정보 및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언어 정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이름의 언어 정보, GPS 정보에 의해 분석된 위치가 속한 언어권의 언어 정보 등을 추출하여 분석한다.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30, the us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uch as basic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phone book information, GPS information, etc. Receiving the 170 to extract and analyze the language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language information set on the terminal in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the language information of the visited website domain, the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text message It extracts and analyzes the country code information of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phone book, the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corresponding country, the language information of the name stored in the phone book, and the language information of the language zone to which the location analyzed by the GPS information belongs.

또한 상기 정보 분석부(130)의 분석은, 바람직하게는 추출된 언어 정보를 바탕으로 각 언어들의 사용 비율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여기서 사용 비율의 분석은 각 정보별(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GPS 정보 등)로 개별적으로 진행된 후에 통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30 may be performed by analyzing the usage ratio of each language based on the extracted language information. Here, the analysis of the usage ratio may be performed for each information (terminal default setting). Information,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phone book information, GPS information, etc.) may be separately processed and then integrated.

한편 상기 정보 분석부(130)는, 각 정보별(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GPS 정보 등)로 개별 진행된 분석 결과를 통합할 때 각 정보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통합 분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중치 부여에 의한 분석에 의해 더욱 최적화된 자동 제안 언어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 분석부(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저장부(DB)에 저장되어 있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서버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각 정보들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가중치가 부여된 분석 결과를 기초로 종합적인 언어 사용 비율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중치 부여 연산을 위한 데이터들은 지속적으로 갱신(업데이트)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중치 부여 연산이 더욱 최적화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중치 부여를 위한 데이터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어 있는 서버의 통계/분석 연산을 통해, 자동 언어 제안 연산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수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유무선 통신망 또는 사용자 단말(100) 인터페이스를 통한 직접적인 연결에 의해)되어 테이터의 갱신이 일어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30, the weight of each information when integrating the analysis results performed separately for each information (terminal basic setting information,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phone book information, GPS information, etc.) The integrated analysis can be performed by applying a weighting factor, and a more optimized automatic suggestion language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the analysis based on the weighting.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30 is received from a server based on library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DB of the user terminal 100 o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ach piece of information may be weigh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a comprehensive language use ratio may be analyzed based on the weighted analysis result. In addition, the data for such a weighting operation may be continuously updated (updated). Through this process, the weight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a more optimized form. For example, the data for weighting may be modified in a direction to further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operation through statistics / analysis operations of a server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Such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by a direct connection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user terminal 100 interface) to update data.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정보 분석부(130)에 의한 정보 처리 연산의 일례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정보 수집부(110)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들이 수집되며, 이러한 정보 수집 이후에 상기 정보 분석부(130)에 의한 분석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 수집부(110)에 의해,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GPS 정보 등이 수집되면, 상기 정보 분석부(130)가 이러한 각 정보들을 분석하여, 단말의 기본 언어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도메인의 언어 정보, 문자 메시지에 사용된 언어 정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국가 코드 및 언어 정보, GPS 위치가 속한 언어권의 언어 정보 등의 언어 관련 정보들을 추출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referring to an example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operation by 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30, first,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a user terminal is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and after such information collection. The analysis by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30 is in progress. Specifically, when the basic setting information,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phone book information, GPS information, etc. of the terminal are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30 stores each of these pieces of information. The basic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language information of the visited website domain, the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text message, the country code and language information of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phone book, and the language information of the language region to which the GPS location belongs. Language-related information is extracted.

상기 정보 분석부(130)에 의해 각 정보별 언어 정보가 추출된 이후에는, 상기 정보 분석부(130)에 의해 각 정보별 언어 사용 비율이 분석된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단말의 기본 언어 설정 정보 : 한국어(100%)', '문자 메시지에 사용된 언어 정보 : 한국어(30%), 일본어(60%), 영어(10%)',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친구 이름 : 한국어(20%), 일본어(60%), 영어(10%)' 등으로, 각 정보별 언어 사용 비율이 분석되게 된다. After the language information for each information is extracted by the information analyzer 130, the language use ratio for each information is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zer 13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defaul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Korean (100%)',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text message: Korean (30%), Japanese (60%), English (10%)', The name of the friend stored in the phone book: Korean (20%), Japanese (60%), English (10%), etc., will be analyzed for each language.

상기 정보 분석부(130)에 의해 각 정보별 언어 사용 비율이 분석된 이후에는, 상기 정보 분석부(130)에 의해 각 정보별 언어 사용 비율에 가중치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단말의 기본 언어 설정 정보(10점) : 한국어(100%, 10점)', '문자 메시지에 사용된 언어 정보(20점) : 한국어(30%, 6점), 일본어(60%, 12점), 영어(10%, 2점)',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친구 이름(10점) : 한국어(20%, 2점), 일본어(60%, 6점), 영어(10%, 1점)' 등으로, 각 정보들에 상대적인 점수가 부여되어서 상대적인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After the language use ratio of each information is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zer 130, a weight is given to the language use ratio of each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analyzer 1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defaul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points): Korean (100%, 10 points)',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text message (20 points): Korean (30%, 6 points) , Japanese (60%, 12 points), English (10%, 2 points) "," Friends name (10 points) stored in Phonebook: Korean (20%, 2 points), Japanese (60%, 6 points), In English (10%, 1 point), etc., each piece of information may be given a relative score, and thus a relative weight may be given.

상기 정보 분석부(130)에 의해 각 정보별 언어 사용 비율이 분석되고, 분석된 각 정보들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연산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정보 분석부(130)가 이러한 각 정보별 사용비율과 가중치 정보를 종합하여, 각 언어의 종합 사용 비율을 분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1순위 사용 언어 : 일본어', '2순위 사용 언어 : 한국어' 등과 같이 각 언어의 종합 사용 비율을 분석하며,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상대적인 순위를 부여한다.
After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30 analyzes the language use ratio of each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of assigning a weight to each analyzed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30 and the use rate of each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weighting information is synthesized to analyze the overall usage ratio of each languag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overall usage ratio of each language is analyzed, such as 'first priority language: Japanese', 'second priority language: Korean', and a relative rank is given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상기 사용 언어 결정부(150)는, 상기 정보 분석부(130)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를 결정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The language determining unit 150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30.

이러한 상기 사용 언어 결정부(150)는, 상기 정보 분석부(130)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산을 통해 컨텐츠 제공 언어를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정보 분석부(130)에 의해 사용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된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바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해당 컨텐츠에 접근하면 상기 사용 언어 결정부(150)에 의해 결정된 사용 비율이 높은 언어가 자동으로 제안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다른 언어로의 설정을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설정 항목을 통하여 다른 언어로 설정할 수 있다.The use language determination unit 150 may determine the content providing language through various operations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30, for example, by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130. The language analyzed with the highest usage rate can be directly determined as the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In this case, when the user terminal 100 accesses the corresponding content, a language having a high usage ratio determined by the use language determination unit 150 is automatically suggested, and the user terminal 100 wants to set a different language. Can be set to another language through a separate setting item.

한편 다른 예를 살펴보면, 상기 사용 언어 결정부(150)는 상기 정보 분석부(130)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높은 복수 개의 언어들을 순위와 함께 표시(제안)하고, 표시된 복수 개의 언어들 중에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결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사용 언어 결정부(15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입력부와 연동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language determining unit 150 displays (suggests) a plurality of languages having a high use ratio together with a ranking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30, and displays the plurality of displayed languages. Among the languages, the language selected by the input may be determined as the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the content. In this case, the use language determiner 150 may perform an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display unit or th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100. .

상기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등을 의미하며, 통신망 접속을 통한 웹 컨텐츠, 단말에 직접 설치된 프로그램에 기초한 프로그램 컨텐츠, 시각적 컨텐츠, 청각적 컨텐츠 등 종류에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컨텐츠는 복수 개의 선택적인 언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사용 언어 결정부(150)를 통해 컨텐츠 제공 언어가 결정되면 해당 언어를 통한 컨텐츠가 구현되게 된다.The content refers to information, data, and the like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and includes web conten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program content based on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on the terminal, visual content, and audio content. It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without limitation. The conten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lurality of selective languages. When the content providing language is determined through the language selection unit 150, the content through the corresponding language is implemented.

또한, 상기 컨텐츠는 QR 코드를 매개로 제공되는 컨텐츠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컨텐츠 제공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QR 코드는 제공되는 언어의 개수와 관계없이 1개로 형성될 수 있다. 언어별로 구분하지 않고 1개의 QR 코드만을 통해서 컨텐츠에 접근하게 되더라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최적화된 언어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제공되는 언어별로 다수의 QR 코드를 제작할 필요가 없다. In addition, the content may be content provided through a QR code. In this case, one QR code serving as a medium for providing content may be form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languages provided. Even if the content is accessed through only one QR code without being classified for each language, a language optimized for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and provided through analysis of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to b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oduce a plurality of QR codes for each language provided as in the prior art.

한편, 상기 정보 분석부(130) 및 사용 언어 결정부(150)의 동작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사용기록이 있는 언어들로는 컨텐츠의 제공이 불가한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 비율이 가장 높은 언어로 번역된 이후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망 또는 단말 내부에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번역 프로그램 등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게 되고, 이러한 재구성에 의해 번역된 새로운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제공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analyzer 130 and the language determination unit 150, if the content is not available in the languages with the usage history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content is the user terminal ( 100 may be provided after translation into the language with the highest usage rate.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 reconstructs the content by a translation program that may be provided in a library or the like in a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terminal, and the new content translated by the reconstruction is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Will be.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200)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Hereinafter, a server 200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210),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 모듈(230), 상기 정보 분석 모듈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컨텐츠에 사용될 언어를 결정하는 사용 언어 결정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server 200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210 that receives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from a user terminal, and coll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for analyzing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250 for determining a language to be used for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 May be included.

상기 서버(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데스크탑, 노트북 등의 다양한 IT 기기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웹 서버(200)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rver 200 refers to a configur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various IT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smartphones, PDAs, tablet PCs, desktops, laptops, and the like,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web server 200. Can be.

또한, 상기 서버(200)는, 특별한 설명이 없어도 서버(200)의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 구성들을 당연히 포함하고 있다고 이해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 상기 사용 언어 결정 모듈(250)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당연히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210), 정보 분석 모듈(230), 사용 언어 결정 모듈(250)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도 당연히 포함한다.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erver 200 naturally includes basic components for implementing the basic functions of the server 200 without special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erver 200 may include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 230, a database (DB) in which data for implementing the language determining module 250 is stored is naturally included,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the information analyzing module 230, and the language determining module 250 are included. Naturally, it also includes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상기 통신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 데이터 이외에도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통신 모듈(210)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으며, HTTP, TCP/IP, UDP 등의 다양한 프로토콜과 XML, JSON 등의 다양한 데이터 포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data for implementing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in addition to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data of the user terminal. It i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done.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various protocols such as HTTP, TCP / IP, UDP, and various data formats such as XML and JSON. Can be.

상기 통신 모듈(210)은 위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를 수신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란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의 구현을 위한 분석의 대상이 되는 정보들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에는,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등 언어 정보를 일부 내포할 수 있는 다양한 단말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GPS 정보, 접속 IP 정보 등의 사용 단말의 위치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receives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is an object of analysis for implementing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This means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various terminal information that may partially include language information such as basic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and phone book information.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 terminal such as GPS information and access IP information may be included.

한편, 상기 통신 모듈(210)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를 수신하기 이전에 정보 접근에 동의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의 절차가 완료된 경우에만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은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저장 이후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may perform a procedure for agreeing to access to information before receiv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s data only when the consent process is completed. It is desirable to. In additi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is preferably stored in the database (DB), it is preferable to process after such storage.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은, 상기 통신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를 분석하는 구성으로서, 분석된 결과를 상기 사용 언어 결정 모듈(250)에 전달하여 자동 언어 제안 연산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is a component for analyz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and transmits the analyzed result to the us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250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analysis. It is a configuration to ensure that language suggestion operations are performed correctly.

이러한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은, 상기 통신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GPS 정보 등의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들을 수신하여 언어 정보를 추출하고 분석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에서 단말에 세팅된 언어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도메인의 언어 정보, 문자메시지에서 사용된 언어 정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국가 코드 정보 및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언어 정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이름의 언어 정보, GPS 정보에 의해 분석된 위치가 속한 언어권의 언어 정보 등을 추출하여 분석한다.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the user's use pattern information (such as basic setting information,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phone book information, GPS information, etc.)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 170 to receive and extract language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language information set on the terminal in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the language information of the visited website domain, the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text message, It extracts and analyzes the country code information of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phone book, the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corresponding country, the language information of the name stored in the phone book, and the language information of the language zone to which the location analyzed by the GPS information belongs.

또한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의 분석은, 바람직하게는 추출된 언어 정보를 바탕으로 각 언어들의 사용 비율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여기서 사용 비율의 분석은 각 정보별(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GPS 정보 등)로 개별적으로 진행된 후에 통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may be performed by analyzing the usage ratio of each language based on the extracted language information. Here, the analysis of the usage ratio is performed for each information (terminal default setting). Information,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phone book information, GPS information, etc.) may be separately processed and then integrated.

한편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은, 각 정보별(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GPS 정보 등)로 개별 진행된 분석 결과를 통합할 때 각 정보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통합 분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중치 부여에 의한 분석에 의해 더욱 정확성이 높은 자동 제안 언어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어 있는 가중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각 정보들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가중치가 부여된 분석 결과를 기초로 종합적인 언어 사용 비율을 분석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the weight of each information when integrating the analysis results separately performed by each information (terminal basic setting information,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phone book information, GPS information, etc.) The integrated analysis can be performed by applying a weighting factor, and the automatic proposed language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by the weighting analysis.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may weight each piece of information based on the weight data stored in the database DB, and use a comprehensive language based on the weighted analysis result. You can analyze the ratio.

또한, 이러한 가중치 부여 연산을 위한 데이터들은 지속적으로 갱신(업데이트)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중치 부여 연산이 더욱 최적화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모듈(210)이 상기 통신 모듈(210)과 연결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자동 언어 설정 결과에 관한 데이터들을 수신(실시간, 정기적, 비정기적)하고,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이 이렇게 수신된 데이터들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가중치 데이터들이 최적화된 형태로 갱신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할 사용 언어 결정 모듈(250)의 소개한 이후에 검토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data for such a weighting operation may be continuously updated (updated). Through this process, the weight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a more optimized form.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receives (real-time, regular, irregular) data regarding an automatic language setting result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and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The weighted data may be updated in an optimized form through analyzing the received data.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review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us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250 to be described later.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에 의한 정보 처리 연산의 일례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통신 모듈(210)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들이 수신되며, 이러한 정보 수신 이후에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에 의한 분석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모듈(210)에 의해,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GPS 정보 등이 수신되면,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이 이러한 각 정보들을 분석하여, 단말의 기본 언어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도메인의 언어 정보, 문자 메시지에 사용된 언어 정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국가 코드 및 언어 정보, GPS 위치가 속한 언어권의 언어 정보 등의 언어 관련 정보들을 추출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an exampl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operation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will be described. First,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The analysis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is performed. In detail,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receives basic setting information,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phone book information, GPS information, etc. of the terminal,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receives the respective pieces of information. Languages such as basic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language information of visited website domains,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ext messages, country code and language information of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phone book, and language information of the language region to which the GPS location belongs. The relevant information will be extracted.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에 의해 각 정보별 언어 정보가 추출된 이후에는,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에 의해 각 정보별 언어 사용 비율이 분석된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단말의 기본 언어 설정 정보 : 한국어(100%)', '문자 메시지에 사용된 언어 정보 : 한국어(30%), 일본어(60%), 영어(10%)',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친구 이름 : 한국어(20%), 일본어(60%), 영어(10%)' 등으로, 각 정보별 언어 사용 비율이 분석되게 된다. After language information for each information is extract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the language use ratio for each information is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defaul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Korean (100%)',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text message: Korean (30%), Japanese (60%), English (10%)', The name of the friend stored in the phone book: Korean (20%), Japanese (60%), English (10%), etc., will be analyzed for each language.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에 의해 각 정보별 언어 사용 비율이 분석된 이후에는,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에 의해 각 정보별 언어 사용 비율에 가중치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단말의 기본 언어 설정 정보(10점) : 한국어(100%, 10점)', '문자 메시지에 사용된 언어 정보(20점) : 한국어(30%, 6점), 일본어(60%, 12점), 영어(10%, 2점)',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친구 이름(10점) : 한국어(20%, 2점), 일본어(60%, 6점), 영어(10%, 1점)' 등으로, 각 정보들에 상대적인 점수가 부여되어서 상대적인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After the language use ratio of each information is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weights are assigned to the language use ratio of each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defaul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points): Korean (100%, 10 points)',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text message (20 points): Korean (30%, 6 points) , Japanese (60%, 12 points), English (10%, 2 points) "," Friends name (10 points) stored in Phonebook: Korean (20%, 2 points), Japanese (60%, 6 points), In English (10%, 1 point), etc., each piece of information may be given a relative score, and thus a relative weight may be given.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에 의해 각 정보별 언어 사용 비율이 분석되고, 분석된 각 정보들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연산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이 이러한 각 정보별 사용비율과 가중치 정보를 종합하여, 각 언어의 종합 사용 비율을 분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1순위 사용 언어 : 일본어', '2순위 사용 언어 : 한국어' 등과 같이 각 언어의 종합 사용 비율을 분석하며,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상대적인 순위를 부여한다.
After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analyzes the language usage ratio of each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of assigning a weight to each of the analyzed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determines the usage ratio of each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weighting information is synthesized to analyze the overall usage ratio of each languag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overall usage ratio of each language is analyzed, such as 'first priority language: Japanese', 'second priority language: Korean', and a relative rank is given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상기 사용 언어 결정 모듈(250)은,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를 결정(제안)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통신 모듈(210)을 통해 연결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들의 컨텐츠 제공용 언어를 독립적으로 결정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Th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250 is configured to determine (suggested)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210 connected to each other. It means a configuration for independently determining the content providing language of the user terminals.

이러한 상기 사용 언어 결정 모듈(250)은,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산을 통해 컨텐츠 제공용 언어를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에 의해 사용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된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바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200)와 연결되어 있는 각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용 언어 결정 모듈(250)에 의해 결정된 언어(분석 결과 사용 비율이 가장 높은 언어)가 자동으로 제안되며, 자동으로 제안된 언어를 통해 컨텐츠가 제공되게 된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이 다른 언어로의 설정을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마련된 설정 항목을 통하여 다른 언어로의 설정이 가능하다. The us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250 may determine a language for providing content through various operations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The language analyzed with the highest usage rate can be directly determined as the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In this case, a language determined by the language determining module 250 (a language having the highest usage ra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s automatically suggested to each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200, and the suggested language is automatically selected. Content is provided through. In addition, when each user terminal wants to set in a different language, it is possible to set in another language through a setting item provided separately.

한편, 다른 예를 살펴보면, 상기 사용 언어 결정 모듈(250)은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높은 복수 개의 언어들을 순위와 함께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복수 개의 언어들 중에서 각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언어를 컨텐츠 제공용 언어로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another example, the us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250 selects a plurality of languages having a high use ratio together with a ranking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and selects the selected plurality of languages. Among languages, a language selected by each user terminal may be determined as a language for providing content.

상기 컨텐츠는, 상기 서버(200)가 제공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등을 의미하며, 통신망 접속을 통한 웹 컨텐츠, 단말에 직접 설치된 프로그램에 기초한 프로그램 컨텐츠, 시각적 컨텐츠, 청각적 컨텐츠 등 종류에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컨텐츠는 복수 개의 선택적인 언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사용 언어 결정부(150)를 통해 컨텐츠 제공 언어가 결정되면 해당 언어를 통한 컨텐츠가 구현되게 된다.The content refers to information, data, etc. that the server 200 can provide, without limitation to web conten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program content based on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in a terminal, visual content, audio content, and the like. It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The conten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lurality of selective languages. When the content providing language is determined through the language selection unit 150, the content through the corresponding language is implemented.

또한, 상기 컨텐츠는 QR 코드를 매개로 제공되는 컨텐츠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컨텐츠 제공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QR 코드는 제공되는 언어의 개수와 관계없이 1개로 형성될 수 있다. 언어별로 구분하지 않고 1개의 QR 코드만을 통해서 컨텐츠에 접근하게 되더라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의 분석을 통해 각 사용자 단말에 최적화된 언어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제공되는 언어별로 다수의 QR 코드를 제작할 필요가 없다. In addition, the content may be content provided through a QR code. In this case, one QR code serving as a medium for providing content may be form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languages provided. This is because even if the content is accessed through only one QR code without being classified for each language, an optimized language for each user terminal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and provided through analysis of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oduce a plurality of QR codes for each language provided as in the prior art.

한편,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 및 사용 언어 결정 모듈(250)의 동작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용기록이 있는 언어들로는 컨텐츠의 제공이 불가한 경우에는, 상기 서버(200)가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 비율이 가장 높은 언어로 번역/재구성한 이후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200)는 내부에 포함된 번역 프로그램 등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거나, 다른 서버(200)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게 되며, 이러한 재구성에 의해 번역된 새로운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되게 된다.
Meanwhile,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and th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250, if the content is not available in the languages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used, the server 200 reads the content. It may be provided after the translation / reconfiguration in the language with the highest usage rate in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server 200 reconstructs the content by a translation program included therein, or reconstructs the content by interworking with another server 200, and the new content translated by the reconstruction is the user terminal. Will be provided to

이하에서는, 위에서 언급된 가중치 데이터를 재조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re-adjusting the above-mentioned weight dat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은, 정보 분석 과정 중에 이용하는 정보별 가중치 데이터를 연산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갱신할 수 있으며, 갱신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고 이용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may update the weighted data for each information used during 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 in a direction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calculation, and may store and use the updated data in the database DB.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은, 상기 통신 모듈(210)을 통해 연결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에서, 자동 언어 제안 서비스 이후의 언어 설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실시간, 정기, 비정기)하며, 이렇게 수신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가중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 In detail,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receives (real time, periodic, occasional) information on a language setting state after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service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The weights may be readjusted by analyzing the received information.

예를 들어,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은, 상기 사용 언어 결정 모듈(250)에 의해 사용 비율이 가장 높은 언어(예: 일본어)가 자동으로 설정(제안)된 이후에, 사용자 단말이 새로운 언어(예: 영어)로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에 가중치를 재조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새로 설정된 언어(예: 영어)의 사용비율이 높게 분석된 정보(예 : 전화번호부 정보 등)는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낮게 분석된 정보(GPS 정보 등)는 가중치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통해 가중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after the language having the highest usage rate (eg, Japanese) is automatically set (suggested) by th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250, the user terminal is a new language. If you change the setting to (e.g. English), you can rebalance the weights.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eg, phone book information, etc.) with a high percentage of use of the newly set language (eg, English) increases weight, and the information analyzed, such as GPS information, decreases the weight. The weights can be readjusted.

또한,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은, 상기 사용 언어 결정 모듈(250)에 의해 사용 비율이 높은 복수 개의 언어들이 순위와 함께 제시된 이후에, 1순위가 아닌 언어(2순위 이하의 언어)가 선택된 경우에 가중치를 재조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언어의 사용비율이 높게 분석된 정보(예 : 전화번호부 정보 등)는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사용비율이 낮게 분석된 정보(GPS 정보 등)는 가중치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통해 가중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after the plurality of languages with a high usage rate are presented together with the ranking by the language determining module 250, a language other than the first rank (a language below two ranks) is select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eights. In detail, information that has been analyzed for high usage rate of the selected language (eg, phone book information) increases weight, and information that has been analyzed for low usage rate (GPS information, etc.) is readjusted by reducing the weight. can do.

결국, 상기 정보 분석 모듈(23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자동 언어 제안 이후의 결과 정보(피드백 정보)를 수신(실시간, 정기, 비정기)하고 분석하여, 자동 언어 제안 연산에 사용되는 가중치를 재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동 언어 제안 연산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30 receives (real time, periodic, occasional) and analyzes the result information (feedback information) after the automatic language proposal for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analyzes the weights used for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operation. Can be readjusted, and this process further improves the accuracy of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operation.

이하,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이하에서 살펴볼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방법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된 뒤에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제공 서버(200)에 의해 다운로드 가능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For example,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n electronic device after being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or may be provided in a downloadable form by the program providing server 200.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먼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0) of first collecting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the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는, 자동 언어 제안을 위한 분석의 대상이 되는 정보로서,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등 언어 정보를 일부 내포할 수 있는 다양한 단말 정보들이며, 이 외에도 GPS 정보, 접속 IP 정보 등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information to be analyzed for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and may include some language information such as basic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and phone book information. Various terminal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is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uch as GPS information, access IP information.

상기 S10 단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가 수집된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단말에 기본 설정된 언어정보, 문자 메시지에서 사용된 언어 정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국가 코드 및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언어 정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이름의 언어 정보, GPS 위치에 대응되는 언어권의 언어정보 등을 추출한다.(S20)
After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collected by the step S10, the user terminal, the language information set in the terminal, the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text message, the country code stored in the phone book and used in the country Language information, language information of a name stored in the phone book, and language information of a language zone corresponding to a GPS location are extracted.

상기 S20 단계 이후에는, 사용자 단말이 추출된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언어의 사용비율을 분석한다.(S30)After the step S20, the user terminal weights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analyze the usage ratio of each language.

이러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한 가중치 부여 및 사용 비율 분석에 관한 설명은, 위에서 살펴본 사용자 단말에 관한 카테고리 발명과 동일하며, 중복 기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description of the weighting and use ratio analysis by the user terminal is the same as the category invention related to the user terminal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order to prevent duplicate description.

상기 S30 단계 이후에는, 사용자 단말이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를 결정한다.(S40)After the step S30,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식에 의해 언어를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분석 결과 사용 비율이 가장 높은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바로 결정할 수 있다. Here, the user terminal may determine a language in various ways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may immediately determine a language having the highest usage ratio as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또한 다른 예를 검토해 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높은 복수 개의 언어들을 순위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언어들 중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결정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user terminal displays a plurality of languages having a high usage rate together with a ranking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nd selects a language selected by an inpu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ed languages as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You can decide.

한편, 이러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한 자동 언어 결정(제안) 과정 역시, 위에서 살펴본 사용자 단말에 관한 카테고리 발명과 동일하며, 중복 기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language determination (suggestion) process by the user terminal is also the same as the category invention related to the user terminal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avoid duplicate description.

상기 S40 단계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결정된 언어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S50)
After the step S40,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the content through the determined language (S50).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UX(사용자 경험) 중심의 자동 언어 제안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the server, and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environment based on UX (user experien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자동 언어 제안 기술 분야에서 종래에 이용되지 않던,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GPS 정보 등의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170)를 분석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최적화된 언어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are not conventionally used in the field of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technology.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170 of the user terminal such as 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phone book information, and GPS information may be analyzed to provide content in an optimized language for each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자동 언어 제안을 위해 수집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들에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러한 가중치 분석을 통해 최적의 언어를 제공하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ive a relative weight to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llected for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In addition, the weight analysis may be performed to provide an optimal languag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마,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자동 제안 언어 정보와 실제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된 언어 정보(피드백 정보)를 다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분석하여 정보별 가중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정보를 활용(정보별 가중치 재조정)하여, 더욱 정확한 자동 언어 제안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may include automatic suggestion language information and language information (feedback information) set in an actual user terminal. The weight of each information can be readjusted by receiving / analyzing the data. Therefore, by using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re-weighting for each information), a more accurat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사용자의 기본 언어 사용 정보가 녹아있는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통해 컨텐츠 제공 언어를 자동으로 제안하므로, 사용자 단말의 지리적인 위치 이동과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에 최적화된 언어를 제안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provide a content providing language through use patter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in which basic user language use information is melted. Since it is automatically proposed, it is possible to propose a language optimized for the user anytime and anywhere regardless of the geographical location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관광안내 표지판, 이정표, 인쇄홍보물, 메뉴판 등에 단 하나의 QR 코드를 부착하고, 이러한 하나의 QR 코드만을 통해 사용자 경험(UX) 중심의 다국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언어소통 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In addition,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include attaching only one QR code to a tourist information signage, a milestone, a print promotion, a menu board, and the like. In addition, since only one QR code can provide a multilingual service centered on user experience (UX), it can help solve a language communication proble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은, 중소기업 제품 패키징, 홍보물 등에 단 하나의 QR 코드를 부착하고, 이러한 하나의 QR 코드만을 통해 수출대상국가에 상관없이 사용자 경험(UX) 중심의 다국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마케팅 비용 절감과 수출경쟁력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In addition,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and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using the same include attaching only one QR code to a small business product packaging, a promotional material, and the like. It can help reduce marketing costs and increase export competitiveness by providing multilingual services centered on user experience (UX) regardless of the exporting country.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changes,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사용자 단말 110 : 정보 수집부
130 : 정보 분석부 150 : 사용 언어 결정부
170 :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 200 : 서버
210 : 통신 모듈 230 : 정보 분석 모듈
250 : 사용 언어 결정 모듈
100: user terminal 110: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information analysis unit 150: language determination unit
170: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server
210: communication module 230: information analysis module
250: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Claims (26)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를 결정하는 사용 언어 결정부;
를 포함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collecting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 information analyzer analyz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or; And
A use language determiner that determines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zer;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는,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또는 전화번호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ic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or phone book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단말에 세팅된 언어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도메인의 언어 정보, 문자메시지에서 사용된 언어 정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국가코드 정보 및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언어 정보 또는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이름의 언어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Language information set on the terminal, language information of the website website visited,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ext messages, country code information of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phone book and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country or name stored in the phone book.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extract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도 수집할 수 있고, 상기 정보 분석부는 GPS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속한 언어권의 언어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formation collector may collect GP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analyzer extracts language information of a language zone to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elongs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Terminal.
제 3 항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추출한 정보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3,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the user terminal with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ed for each extracted inform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언어 결정부는,
상기 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가장 높은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anguage determination unit,
And a language having the highest usage ratio as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언어 결정부는,
상기 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높은 복수 개의 언어들을 순위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언어들 중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anguage determination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zer, a plurality of languages having a high usage rate are displayed together with a ranking, and a language selected by an input among the displayed plurality of languages is determined as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A user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 모듈; 및
상기 정보 분석 모듈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컨텐츠에 사용될 언어를 결정하는 사용 언어 결정 모듈;
을 포함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
A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An information analysis module analyz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ll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us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a language to be used for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A server with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언어 결정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들의 컨텐츠 제공용 언어를 독립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
The method of claim 8,
Th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And independently determining a language for providing contents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는,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또는 전화번호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
The method of claim 8,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 server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asic setting information of a terminal,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or telephone directory informa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 모듈은,
단말에 세팅된 언어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도메인의 언어 정보, 문자메시지에서 사용된 언어 정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국가코드 정보 및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언어 정보 또는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이름의 언어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Language information set on the terminal, language information of the website website visited,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ext messages, country code information of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phone book and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country or name stored in the phone book. And a server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도 수집할 수 있고, 상기 정보 분석 모듈은 GPS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속한 언어권의 언어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collect GP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extracts language information of a language zone to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elongs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server.
제 11 항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 모듈은, 추출한 정보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is a server with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ed for each extracted informa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언어 결정 모듈은,
상기 정보 분석 모듈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가장 높은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
The method of claim 13,
Th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the server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language having the highest usage rate as the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언어 결정 모듈은,
상기 정보 분석 모듈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높은 복수 개의 언어들을 순위와 함께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복수 개의 언어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언어를 컨텐츠 제공용 언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
The method of claim 13,
The language determination module,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a plurality of languages having a high usage rate are selected together with a ranking, and a languag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among the selected plurality of languages is determined as a content providing language. A server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가장 높은 순위의 언어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추출한 정보별로 부여되는 가중치를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
The method of claim 15,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If the language of the highest rank is not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re-adjusting the weight given to each extracted information, server with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 모듈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의 선택 결과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가중치를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기능을 구비한 서버.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A server hav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is readjusted by reflecting the selection results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 real time.
(a)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이 수집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이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사용자 단말이 결정된 언어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언어 제안 방법.
(a) collecting, by the user terminal,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 analyz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user terminal by the user terminal;
(c) determining, by the user terminal,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nd
(d) providing content by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etermined language;
Including,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는,
단말의 기본 설정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또는 전화번호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basic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visited website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or phone book information,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상기 사용자 단말은,
단말에 세팅된 언어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도메인의 언어 정보, 문자메시지에서 사용된 언어 정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국가코드 정보 및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언어 정보 또는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이름의 언어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user terminal of step (b),
Language information set on the terminal, language information of the website website visited,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ext messages, country code information of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phone book and language information used in the country or name stored in the phone book.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extracting.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도 수집할 수 있고, 상기 (b)단계의 상기 사용자 단말은 GPS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속한 언어권의 언어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user terminal of step (a) may also collect GP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of step (b) is to extract the language information of the language zone to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elongs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Characterized,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제 20 항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추출한 정보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The user terminal of step (b),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ed for each extracted informatio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상기 사용자 단말은,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가장 높은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user terminal of step (c),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the language having the highest usage rate is determined as the language to be used for content provision.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상기 사용자 단말은,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비율이 높은 복수 개의 언어들을 순위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언어들 중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언어를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언어 제안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user terminal of step (c),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 plurality of languages having a high usage rate are displayed together with a ranking, and the language selected by the input among the displayed plurality of languages is determined as a language to be used for content provision. Way.
(a)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이 수집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이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사용자 단말이 결정된 언어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llecting, by the user terminal,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 analyz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user terminal by the user terminal;
(c) determining, by the user terminal,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nd
(d) providing content by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etermined language;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an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is recorded.
(a)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이 수집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이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제공에 사용될 언어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사용자 단말이 결정된 언어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언어 제안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 서버.


(a) collecting, by the user terminal,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 analyzing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user terminal by the user terminal;
(c) determining, by the user terminal, a language to be use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nd
(d) providing content by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etermined language;
Program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method in a downloadable form comprising a.


KR1020120063732A 2012-06-14 2012-06-14 User terminal, server for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and method using them KR1013699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732A KR101369903B1 (en) 2012-06-14 2012-06-14 User terminal, server for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and method using th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732A KR101369903B1 (en) 2012-06-14 2012-06-14 User terminal, server for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and method using th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219A true KR20130142219A (en) 2013-12-30
KR101369903B1 KR101369903B1 (en) 2014-03-06

Family

ID=4998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732A KR101369903B1 (en) 2012-06-14 2012-06-14 User terminal, server for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and method using th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90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909B1 (en) * 2015-04-29 2019-05-21 주식회사 댓츠잇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Tour Stam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443B1 (en) * 1996-03-13 1999-08-16 윤종용 Apparatus for displaying osd automatic switching multi-language
KR20040082816A (en) * 2003-03-20 2004-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Various language supporting method and system upon wireless network
KR20060078032A (en) * 2004-12-30 2006-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user interface languages in an international roam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903B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asinen User acceptance of mobile services: Value, ease of use, trust and ease of adoption
US10452233B2 (en) Information interactive platform, system and method
US10664484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display of electronic content card information when providing users digital content
US10878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CN101395608B (en) Searching within a site of a search result
KR20190104154A (en) How to display service objects, how to handle map data, clients and servers
WO2007100228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upload using a mobile terminal
CN101861740A (en) Advertisements on mobile devices using integrations with mobile applications
CN109101248A (en) Computer application promotes
US10397181B2 (en)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therein
US8233879B1 (en) Mobile device personalization based on previous mobile device usage
RU2601138C2 (en)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 information for mobile terminal browser and system using the same
US2016016504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business dialing
US9521522B2 (en) Mobile apparatus with search function
EP3242220A1 (en) Intelligent prediction input method and system
CN107924413A (en) Bifurcated is searched for
US101765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category indicators in a user profile header of an on-line posting
US10146559B2 (en) In-application recommendation of deep states of native applications
KR101537555B1 (en) A direct search system for message on the instant messenger
CN106055214B (en) The evalu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of application software
JP2012128577A (en) Linkage support device, program, linkage support method, linkage support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1369903B1 (en) User terminal, server for automatic language suggestion and method using them
TW201404219A (en) Location-based app-providing module and method of the same
WO2022249676A1 (en) Program,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40020593A (en) Method for providing optional information using url related to phone number, system thereof, apparatus thereof and terminal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