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018A - Plate laminating device - Google Patents
Plate lamina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42018A KR20130142018A KR1020120065236A KR20120065236A KR20130142018A KR 20130142018 A KR20130142018 A KR 20130142018A KR 1020120065236 A KR1020120065236 A KR 1020120065236A KR 20120065236 A KR20120065236 A KR 20120065236A KR 20130142018 A KR20130142018 A KR 201301420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height
- height adjusting
- variabl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합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플레이트 합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te bonding apparatus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플레이트 합착 장치는 다양한 플레이트를 서로 합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플레이트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는 제 1 플레이트, 제 2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모듈, 커버 유리, 윈도우 유리 등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Plate bonding devices are devices for bonding various plates together. At this time, the plate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plate may include various members such as a first plate, a second plate, a display module, a cover glass, a window glass, and the like.
제 1 플레이트는 외부 내지는 후면에 제 2 플레이트를 부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플레이트를 부착하기 위하여 라미네이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션 공정의 경우 제 2 플레이트를 스테이지 상에 배치한 후 제 2 플레이트 상에 제 1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롤러로 압착함으로써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라미네이션할 수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 2 플레이트를 정렬하고 제 1 플레이트와의 사이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first plate may be protected by attaching a second plate to the outside or the rear surface. In order to attach the second plate, a lamin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lamination process,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may be laminated by arranging the second plate on the stage and then placing the first plate on the second plate and compressing the same with a roller. In order to perform this lamina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align the second plate an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plate.
한편, 상기와 같이 제 2 플레이트를 정위치에 정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장치의 경우 제 2 플레이트가 안착된 스테이지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제 2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variety of devices can be used to align the second plate in place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apparatus generally used, the stage on which the second plate is seated may be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plate.
상기와 같이 제 2 플레이트를 정위치에 정렬한 후 롤러를 구동하여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합착시킬 수 있다. 이때, 롤러를 통하여 압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플레이트를 컨베이어 형태로 이동시키면서 제 2 플레이트를 공급하여 롤러로 압착하는 방법과 제 2 플레이트를 놓은 상태에서 제 1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부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 1 플레이트의 일단은 제 2 플레이트의 일부와 접촉하고 제 1 플레이트가 타단은 제 2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may be bonded by driving the roller after the second plate is aligned in position. In this case, the method of pressing through the roller may be variously formed. For example, there may be a method of feeding and compressing the second plate while moving the first plate in a conveyor form with a roller, and attaching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late while the second plate is placed. In this case, one end of the first plate may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second plat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plate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plate.
특히 상기와 같이 제 1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경우 제 1 플레이트의 일부분은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쳐지게 되고 때에 따라서는 제 2 플레이트와 접촉함으로써 제품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first plate is disposed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first plate is struck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sometimes a defect may occur in the product by contacting the second plate.
일반적인 플레이트 합착 장치는 한국등록특허 제0961973호(발명의 명칭 : 평면패널 라미네이팅 장치, 출원인 : 주식회사 원지)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습니다. 상기 일반적인 플레이트 합착 장치는 제 2 플레이트와 제 1 플레이트를 단순히 롤러를 통하여 압착시키는 기술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A general plate bonding device is specifically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0961973 (name of the invention: flat panel laminating device, applicant: Wonji Co., Ltd.). The general plate bonding device is disclosed for the technique of simply pressing the second plate and the first plate through a roll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압착할 때 제 1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순차적으로 합착시키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plate bonding apparatus for sequentially bonding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irst plate when press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 2 플레이트가 안착하는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길이가 가변하여 제 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 1 높이조절부와, 상기 안착 스테이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안착 스테이지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압착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ating stage on which a second plate is seated, a first height adjusting part installed on the seating stage to support a first plate with a variable length, and disposed to face the seating stage, The plate attaching device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seating stage, and may include a roller that compresses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by applying a force to the first plate.
또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는,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높이가 가변하는 제 1 높이가변부와, 상기 제 1 높이가변부에 설치되는 제 1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height adjusting part may include a first height variable part installed on the seating stage and having a variable height, and a first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first height variable part.
또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 1 완충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height adjus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part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또한,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길이가 가변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 2 높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unting stage may include a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for supporting the first plate is variable in length.
또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와 상기 제 2 높이조절부는 서로 높이가 상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height adjusting unit and the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height.
또한, 상기 제 2 높이조절부의 높이는 상기 제 1 높이조절부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height adjusting unit.
또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제 2 높이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 2 높이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height adjusting part and the second height adjusting part is provided in plural,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height adjusting part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height adjusting parts is the width of the first plate. It may be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또한, 상기 제 2 높이조절부는,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높이가 가변하는 제 2 높이가변부와, 상기 제 2 높이가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height adjusting part may include a second height variable part installed on the seating stage and having a variable height, and a second support part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height variable part.
또한, 상기 제 2 높이가변부는, 상기 제 2 지지부가 설치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height variable part may include a stopper part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support part is installed to limit a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support part.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2 높이가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part may include a second bracket installed to be rotatable to the second height variable part,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the second bracket.
또한, 상기 제 2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 2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 2 완충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ing part and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또한, 상기 제 2 높이가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art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height variable part and the support part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support par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또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제 2 높이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롤러의 위치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height adjusting part and the second height adjusting part may have a height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ller.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단이 안착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롤러의 위치에 따라 높이가 가변하는 제 3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irst plate may be disposed so as to further include a third height adjustment portion is variable in heigh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roller.
또한,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의 높이 및 상기 롤러의 작동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추락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all prevention unit installed in the third height adjusting unit and having a position variabl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height of the third height adjusting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roller.
또한,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는 추락방지구동부와, 상기 추락방지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추락방지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추락방지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The fall prevention unit may include a fall prevention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third height adjusting unit and a fall prevention plate connected to the fall prevention driving unit and varying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all prevention driving unit.
또한,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가 상기 제 3 높이조절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unit installed in the third height adjusting unit to prevent the first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hird height adjusting unit.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구동부와, 상기 이탈방지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탈방지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이탈방지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The release preventing part may include a release preventing driver installed in the third height adjusting part and a release preventing plate connected to the release preventing driver and having a variable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elease preventing driv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 1 플레이트와 커버 필름의 합착 시 제 1 플레이트를 높이에 따라 지지해줌으로써 제 1 플레이트가 처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irst plate from sagging or deformation by supporting the first plate according to the height when the first plate and the cover film are bon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롤러의 위치에 따라 제 1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 1 플레이트와 커버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합착시킴으로써 제 1 플레이트와 커버 필름의 합착 후 커버 필름과 제 1 플레이트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irst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roller by bonding the first plate and the cover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between the cover film and the first plate after the bonding of the first plate and the cover film The generation of bubbles can be reduc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합착 공정 중에 제 1 플레이트의 곡률에 따라 제 1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제 1 플레이트의 추락을 방지하여 신속하게 합착을 진행하고 합착 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upport the first plate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irst plate during the bonding process, prevent the fall of the first plate to proceed the bonding quickly and minimize the defect rate that may occur during the bon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합착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높이조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2 높이조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탈방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 합착 장치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 합착 장치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te bo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height adjustment portion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height adjusting part illustrated in FIG.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all prevention portion shown i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 FIG.
6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first operation of the plate bonding device shown in FIG.
7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econd operation of the plate bonding device shown in FIG.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하기에서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는 다양한 형태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모듈, 커버 유리, 윈도우 커버, 보호필름, ITO 필름 등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플레이트가 디스플레이 모듈이고, 제 2 플레이트가 윈도우 커버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members. For example,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may include various members such as a display panel, a display module, a cover glass, a window cover, a protective film, an ITO film, and the like.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rst plate is a display module and the second plate is a window co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1을 참고하면,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제 2 플레이트(미도시)이 안착하는 안착 스테이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착 스테이지(110)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착 스테이지(110)는 커버 필름이 안착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안착 스테이지(110)에 설치되어 길이가 가변하여 제 1 플레이트(D)을 지지하는 제 1 높이조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높이조절부(120)는 안착 스테이지(110)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 1 높이조절부(120)는 길이가 가변하도록 설치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가변할 수 있다. The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안착 스테이지(110)에 설치되어 길이가 가변하여 제 1 플레이트(D)을 지지하는 제 2 높이조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1 높이조절부(120)와 유사하게 안착 스테이지(110)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1 높이조절부(120)와 후술할 제 3 높이조절부(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또한,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1 높이조절부(120)와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1 높이조절부(120)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 2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는 제 1 높이조절부(12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한편, 제 1 높이조절부(120)와 제 2 높이조절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 1 높이조절부(120)는 제 1 플레이트(D)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1 플레이트(D)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장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 1 높이조절부(120) 및 복수개의 제 2 높이조절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플레이트(D)의 폭 방향의 양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제 1 플레이트(D)이 기울어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first
상기와 같이 제 1 높이조절부(120)와 제 2 높이조절부(130)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제 1 높이조절부(120)와 제 2 높이조절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플레이트(D)을 폭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높이조절부(120)와 제 2 높이조절부(130)가 전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한편,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안착 스테이지(110)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는 안착 스테이지(110)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특히 상기 롤러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D)과 접촉하여 제 1 플레이트(D)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의 힘에 의하여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서로 압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roller may contact the first plate (D)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to apply a force to the first plate (D). At this time, the first plate (D) and the second plate may be compressed to each other by the force of the roller.
또한, 상기 롤러는 별도의 롤러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롤러를 이동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과 접촉하여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에 힘을 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ller may include a separate roller driver (not shown) to move or rotate the roller. In this case, the roller may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D) to apply a forc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D) as described above.
한편,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이 안착하도록 배치되는 제 3 높이조절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3 높이조절부(140)는 안착 스테이지(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제 3 높이조절부(140)는 상기 롤러의 위치에 따라 길이가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높이조절부(140)는 상기 롤러가 제 3 높이조절부(140) 측으로 가깝게 이동할수록 높이가 줄어들도록 작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제 3 높이조절부(140)에 설치되어 제 3 높이조절부(140)의 높이 및 상기 롤러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추락방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추락방지부(150)가 상기 롤러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이때, 추락방지부(150)는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할 수 있다. 특히 추락방지부(150)는 상기 롤러의 위치에 따라 길이가 가변함으로써 제 1 플레이트(D)이 안착 스테이지(110) 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제 3 높이조절부(140)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부(160)는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160)는 추락방지부(150)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을 구속할 수 있다. The
이탈방지부(16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이탈방지부(16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이탈방지부(160)는 각각 제 1 플레이트(D)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 3 높이조절부(1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추락방지부(150)는 복수개의 이탈방지부(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한편, 이하에서는 제 1 높이조절부(120), 제 2 높이조절부(130), 제 3 높이조절부(140), 추락방지부(150) 및 이탈방지부(16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hereinafter, the firs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높이조절부(12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도 2를 참고하면, 제 1 높이조절부(1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착 스테이지(110)에 일부가 십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높이조절부(120)는 안착 스테이지(110)에 설치되어 높이가 가변하는 제 1 높이가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이때, 제 1 높이가변부(121)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높이가변부(121)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잇다. 또한, 제 1 높이가변부(121)는 모터 및 모터에 연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높이가변부(121)가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제 1 높이가변부(121)는 상기에 한정하지 않고, 높이가 가변하는 형태의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height
제 1 높이조절부(120)는 제 1 높이가변부(121)에 설치되는 제 1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지부(122)는 후술할 제 1 완충부재(123)가 제 1 플레이트(D)에 점 접촉 또는 면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제 1 지지부(122)는 제 1 높이가변부(121)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부(122)가 제 1 높이가변부(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 1 지지부(122)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높이가변부(121)에 설치될 수 있다. The
제 1 지지부(122)는 제 1 높이가변부(121)의 작동에 따라 높이가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지지부(122)는 제 1 높이가변부(121)의 길이가 늘어나는 경우 안착 스테이지(110)로부터 상승할 수 있으며, 제 1 높이가변부(121)의 길이가 줄어드는 경우 안착 스테이지(110)측으로 하강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제 1 높이조절부(120)는 제 1 지지부(122)에 설치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에 접촉하는 제 1 완충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완충부재(123)는 제 1 지지부(122) 전체를 감싸거나 제 1 지지부(122)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완충부재(123)는 제 1 지지부(122)의 끝단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한편, 제 1 완충부재(123)는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에 접촉하여 제 1 플레이트(D)에 가해지는 힘을 일부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제 1 완충부재(123)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완충부재(123)는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제 1 완충부재(123)와 제 1 지지부(122)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지지부(122)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제 1 플레이트(D)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2 높이조절부(13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도 3을 참고하면,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안착 스테이지(110)에 설치되는 높이가 가변하는 제 2 높이가변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높이가변부(131)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높이가변부(121)와 유사하게 실린더 또는 모터 및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높이가변부(131)가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제 2 높이가변부(131)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높이가 가변하는 다양한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econd
제 2 높이가변부(131)는 후술할 제 2 지지부(13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부(136)는 제 2 높이가변부(131)의 일단으로부터 후술할 제 2 지지부(132)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136)는 제 2 높이가변부(131)의 끝단이 다단지게 형성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eight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2 높이가변부(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지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지지부(132)는 제 2 높이가변부(13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이동에 따라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The second
제 2 지지부(132)는 제 2 높이가변부(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브라켓(1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부(132)는 제 2 브라켓(133)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돌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돌출돌기(134)는 제 2 브라켓(133)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제 2 돌출돌기(134)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제 2 브라켓(133)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제 2 돌출돌기(134)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2 돌출돌기(134)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 2 돌출돌기(134)는 제 2 브라켓(133)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한편,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2 지지부(132)에 설치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 2 완충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완충부재(135)는 제 2 돌출돌기(134)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완충부재(135)는 제 2 돌출돌기(134)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거나 제 2 돌출돌기(134)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제 2 완충부재(135)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완충부재(135)는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등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 1 플레이트(D)에서 가해지는 힘을 일부 흡수할 수 있다. The
이때, 제 2 돌출돌기(134)는 제 2 완충부재(135)와 상이한 재질, 즉 금속 등과 같은 단단한 물질로 형성되어 제 1 플레이트(D)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2 높이가변부(131)와 제 2 지지부(132)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탄성부는 제 2 높이가변부(131)와 제 2 브라켓(1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제 2 브라켓(133)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 2 브라켓(133)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elastic par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height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는 제 2 브라켓(13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제 2 브라켓(133)에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반면, 제 2 브라켓(13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는 제 2 브라켓(133)에 시계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는 제 2 브라켓(133)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 2 완충부재(135)가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에 지속적으로 접촉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부(15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도 4를 참고하면, 추락방지부(150)는 제 3 높이조절부(1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추락방지부(150)는 제 3 높이조절부(140)에 설치되는 추락방지구동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락방지구동부(151)는 실린더 또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추락방지구동부(151)는 상기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할 추락방지플레이트(15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추락방지구동부(151)가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추락방지부(150)는 추락방지구동부(151)와 연결도어 추락방지구동부(151)의 작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추락방지플레이트(1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상기 롤러의 구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특히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3 높이조절부(140)를 기준으로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방향 측으로 돌출 또는 인입되면서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The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탈방지부(16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도 5를 참고하면, 이탈방지부(16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높이조절부(1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부(160)와 추락방지부(150)는 제 1 플레이트(D)을 기준으로 제 1 플레이트(D)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이탈방지부(160)는 제 3 높이조절부(140)에 설치되는 이탈방지구동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구동부(161)는 실린더 또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탈방지구동부(161)는 상기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할 이탈방지플레이트(16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탈방지구동부(161)가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이탈방지부(160)는 이탈방지구동부(161)와 연결되어 이탈방지구동부(161)의 작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이탈방지플레이트(16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플레이트(162)는 이탈방지구동부(161)의 작동에 따라 제 3 높이조절부(140)를 기준으로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인입되도록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The
한편, 이하에서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FIG. 6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a first operation of the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안착 스테이지(110)에 제 1 플레이트(D)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플레이트(D)은 안착 스테이지(110)의 정확한 위치에 놓여야 하며, 상기와 같이 정확한 위치에 놓이지 않는 경우 안착 스테이지(110)가 이동하거나 회전하여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user may arrange the first plate D on the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3 높이조절부(140)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제 3 높이조절부(140)가 상승하는 경우, 이탈방지부(160)와 추락방지부(150)가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제 3 높이조절부(140)는 롤러(17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을 설정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When the above process is completed, the third
또한, 제 3 높이조절부(140)가 상승하는 경우 제 1 높이조절부(120) 및 제 2 높이조절부(130)도 작동하여 제 1 플레이트(D)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높이조절부(140)가 작동하는 경우 이탈방지부(160)가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구동부(161)가 작동하여 이탈방지플레이트(162)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탈방지구동부(161)는 이탈방지플레이트(162)가 제 3 높이조절부(140)를 기준으로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hird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경우 이탈방지플레이트(162)는 상기 도 6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탈방지플레이트(162)는 제 1 플레이트(D)이 상기 도 6의 상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추락방지부(150)도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추락방지구동부(151)의 작동에 따라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3 높이조절부(140)를 기준으로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While the above process is in progress, the
구체적으로 추락방지구동부(151)가 작동하는 경우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상기 도 6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플레이트(D)의 타면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1 플레이트(D)의 타면을 지지함으로써 제 1 플레이트(D)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fall
또한, 추락방지플레이트(152)의 위치는 롤러(170)의 작동 정도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롤러(170)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 3 높이조절부(140)가 작동하여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을 상기와 같이 상승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이때,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3 높이조절부(140)를 기준으로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3 높이조절부(140)로부터 돌출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방향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특히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1 플레이트(D)이 안착 스테이지(110)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3 높이조절부(140) 측에서 제 1 플레이트(D)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반면,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1 플레이트(D)이 안착 스테이지(110)로부터 가까워질수록, 즉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 제 1 플레이트(D) 측에서 제 3 높이조절부(140) 측으로 더 인입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3 높이조절부(140)가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 높이를 높이는 경우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3 높이조절부(140)에서 돌출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ird
한편, 상기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롤러(170)는 제 1 플레이트(D)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구동부(미도시)가 작동하여 롤러(170)의 면이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과 선접촉하도록 롤러(1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높이조절부(120) 및 제 2 높이조절부(130)가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높이조절부(120)가 작동하는 경우 제 1 높이가변부(121)가 작동하여 제 1 지지부(122) 및 제 1 완충부재(123)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높이조절부(120)가 작동하는 경우 제 1 지지부(122) 및 제 1 완충부재(123)는 상기 도 6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완충부재(123)는 상기 도 6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 1 플레이트(D)의 타면과 접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제 2 높이조절부(130)가 작동하는 경우, 제 2 높이가변부(131)가 작동하여 제 2 지지부(132) 및 제 2 완충부재(135)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2 브라켓(133) 및 제 2 돌출돌기(134)는 제 2 높이가변부(131)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도 6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2 브라켓(133)과 제 2 돌출돌기(134)의 상승으로 인하여 제 2 완충부재(135)는 제 1 플레이트(D)의 타면과 접촉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경우, 제 1 높이조절부(120)와 제 2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높이조절부(120)의 높이는 제 2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완충부재(123)의 높이가 제 2 완충부재(135)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1 높이조절부(120) 및 제 2 높이조절부(130)가 제어되는 경우, 제 1 플레이트(D)은 제 3 높이조절부(140)로부터 롤러(170)까지 사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first
상기와 같이 제 1 플레이트(D)이 사선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 2 브라켓(133)은 제 2 높이가변부(131)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브라켓(133)은 제 1 플레이트(D)의 사선과 대응되도록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plate D is disposed diagonally, the
이때, 제 2 브라켓(133)이 회전하면, 제 2 돌출돌기(134)는 제 1 플레이트(D)의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 2 돌출돌기(134)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제 2 돌출돌기(134)는 서로 상이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또한, 복수개의 제 2 돌출돌기(134)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 2 완충부재(135)는 각각 제 1 플레이트(D)의 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 2 완충부재(135)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 2 돌출돌기(134)와 같은 위치로 배치되어 제 1 플레이트(D)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1 플레이트(D)이 경사진 경우에도 제 2 완충부재(135)를 통하여 경사진 제 1 플레이트(D)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상기와 같이 제 2 브라켓(133)이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경우, 제 2 브라켓(133)은 스토퍼부(136)에 의하여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브라켓(133)은 회전하다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 제 2 높이가변부(131)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부(136)에 접촉하여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 2 브라켓(133)은 스토퍼부(136)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제 1 플레이트(D)의 자중에 의하여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고, 제 1 플레이트(D)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플레이트(D)이 상승하고 나면, 안착 스테이지(110)에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플레이트(D)의 크기는 상기 제 2 플레이트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 1 높이조절부(120), 제 2 높이조절부(130), 추락방지부(150) 및 이탈방지부(160)는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부착되지 않는 제 1 플레이트(D)에 접촉할 수 있다. Meanwhile, after the first plate D is rais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late may be disposed on the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7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a second operation of the
도 7을 참고하면, 상기와 같이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배치되면, 롤러(170)가 구동할 수 있다. 이때, 롤러(170)는 상기 롤러구동부에 의하여 제 1 플레이트(D)의 타단으로부터 제 3 높이조절부(14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first plate D and the second plate are disposed as described above, the
롤러(170)는 상기와 같이 구동하면서 제 1 플레이트(D)의 타면에 힘을 가하고,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합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는 접착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롤러(170)의 힘에 의하여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합착시킬 수 있다. While driving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이 롤러(170)가 구동하는 동안, 제 1 높이조절부(120) 내지 제 3 높이조절부(140)의 높이는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170)가 제 3 높이조절부(140) 측으로 이동하면, 제 3 높이조절부(140)는 상기 도 7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3 높이조절부(140)는 롤러(170)의 진행 정도에 따라 높이가 가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While the
한편, 롤러(170)가 진행되는 동안, 제 1 높이조절부(120) 및 제 2 높이조절부(130)도 높이가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170)가 제 1 높이조절부(120) 측으로 이동하는 제 1 높이가변부(121)는 높이가 줄어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롤러(170)의 진행에 따라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제 1 플레이트(D) 사이의 폭이 줄어들고, 제 1 플레이트(D)을 제 1 높이조절부(120)가 지지할 수 있다. Meanwhile, while the
제 1 높이조절부(120)의 높이가 제어되는 동안, 제 2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도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170)가 상기와 같이 진행되는 동안, 제 2 높이가변부(131)의 길이가 줄어들고, 제 2 브라켓(133)이 제 2 높이가변부(13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While the height of the
특히 롤러(170)가 상기와 같이 진행하는 동안, 제 2 완충부재(135)에 접촉하는 제 1 플레이트(D)의 곡선은 가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브라켓(133)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 1 플레이트(D) 곡선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ile the
한편, 상기와 같이 롤러(170)가 진행되는 동안 추락방지부(150)도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추락방지부(150)는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높이조절부(140)가 하강하는 동안 추락방지구동부(151)가 작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추락방지구동부(151)는 추락방지플레이트(152)를 제 1 플레이트(D) 측으로부터 제 3 높이조절부(14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3 높이조절부(140)에서 돌출된 부분이 점점 줄어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추락방지플레이트(152)가 작동하는 경우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은 추락방지플레이트(152)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추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fall
따라서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합착 시 제 1 플레이트(D)을 높이에 따라 지지해줌으로써 제 1 플레이트(D)이 처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170)의 진행 정도에 따라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제 1 플레이트(D)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합착시킴으로써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합착 후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제 1 플레이트(D)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특히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합착 공정 중에 제 1 플레이트(D)의 곡률에 따라 제 1 플레이트(D)을 지지하고, 제 1 플레이트(D)의 추락을 방지하여 신속하게 합착을 진행하고 합착 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 플레이트 합착 장치 135 : 제 2 완충부재
110 : 안착 스테이지 136 : 스토퍼부
120 : 제 1 높이조절부 140 : 제 3 높이조절부
121 : 제 1 높이가변부 150 : 추락방지부
122 : 제 1 지지부 151 : 추락방지구동부
123 : 제 1 완충부재 152 : 추락방지플레이트
130 : 제 2 높이조절부 160 : 이탈방지부
131 : 제 2 높이가변부 161 : 이탈방지구동부
132 : 제 2 지지부 162 : 이탈방지플레이트
133 : 제 2 브라켓 170 : 롤러
134 : 제 2 돌출돌기 100: plate bonding device 135: second buffer member
110: mounting stage 136: stopper part
120: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140: third height adjustment unit
121: first height variable portion 150: fall prevention portion
122: first support 151: fall prevention drive
123: first buffer member 152: fall prevention plate
130: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160: departure prevention part
131: second height variable part 161: departure prevention drive part
132: second support portion 162: separation prevention plate
133: second bracket 170: roller
134: second protrusion
Claims (18)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길이가 가변하여 제 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안착 스테이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안착 스테이지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압착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A seating stage on which the second plate is seated;
A first height adjusting part installed on the seating stage and supporting a first plate with a variable length; And
And a roller disposed to face the seating stage and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seating stage to apply pressure to the first plate to compress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상기 제 1 높이조절부는,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높이가 가변하는 제 1 높이가변부; 및
상기 제 1 높이가변부에 설치되는 제 1 지지부;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A first height variable part installed at the seating stage and having a variable height; And
And a first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first height variable part.
상기 제 1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 1 완충부재;를 더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And a first buffer member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part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길이가 가변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 2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a second height adjusting part installed on the seating stage and supporting the first plate by varying its length.
상기 제 1 높이조절부와 상기 제 2 높이조절부는 서로 높이가 상이하게 제어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ate bonding apparatus of which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and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is controll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제 2 높이조절부의 높이는 상기 제 1 높이조절부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eight of the second height adjusting portion plate bonding device is formed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height adjusting portion.
상기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제 2 높이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 2 높이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one of the first height adjusting part and the second height adjusting part is provided in plural,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height adjusting uni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is disposed in a pl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plate.
상기 제 2 높이조절부는,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높이가 가변하는 제 2 높이가변부; 및
상기 제 2 높이가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지지부;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A second height variable part installed at the seating stage and having a variable height; And
And a second support part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height variable part.
상기 제 2 높이가변부는,
상기 제 2 지지부가 설치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height variable portion,
And a stopper portion formed at a portion at which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installed to limit a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2 높이가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브라켓;
상기 제 2 브라켓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돌기;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support portion,
A second bracket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height variable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the second bracket.
상기 제 2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 2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 2 완충부재;를 더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And a second buffer member install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상기 제 2 높이가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8,
And an elastic part provided between the second height variable part and the support part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support par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상기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제 2 높이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롤러의 위치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one of the first height adjusting portion and the second height adjusting portion is a plate bonding device that the heigh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ller.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단이 안착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롤러의 위치에 따라 높이가 가변하는 제 3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a third height adjusting part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plate to vary in height depending on a position of the roller.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의 높이 및 상기 롤러의 작동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추락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fall prevention part installed at the third height adjusting part and having a position varying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height of the third height adjusting part and the operation of the roller.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는 추락방지구동부; 및
상기 추락방지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추락방지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추락방지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15,
The fall-
A fall prevention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third height adjusting unit; And
And a fall preventing plate connected to the fall preventing driver and having a variable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all preventing driver.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가 상기 제 3 높이조절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installed on the third height adjusting part to prevent the first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hird height adjusting part.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구동부; 및
상기 이탈방지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탈방지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이탈방지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The departure-
A separation prevention driving part installed in the third height adjustment part; And
And a separation prevention plat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driving part and whose pos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driving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5236A KR101385133B1 (en) | 2012-06-18 | 2012-06-18 | Plate lamina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5236A KR101385133B1 (en) | 2012-06-18 | 2012-06-18 | Plate laminat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42018A true KR20130142018A (en) | 2013-12-27 |
KR101385133B1 KR101385133B1 (en) | 2014-04-14 |
Family
ID=4998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5236A KR101385133B1 (en) | 2012-06-18 | 2012-06-18 | Plate lamina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513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1222A (en) * | 2017-11-27 | 2019-06-0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Cover glass attaching apparatus |
KR20190062713A (en) * | 2017-11-29 | 2019-06-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Cover glass attach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950576A (en) * | 2014-04-26 | 2014-07-30 | 张维 | Computer screen film stick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6446B1 (en) * | 1994-12-29 | 1999-06-15 | 정종순 | Apparatus of attaching film for pvc window frame |
KR20100089992A (en) * | 2009-02-05 | 2010-08-13 | 세메스 주식회사 | Pressing unit and apparatus for bonding a film including the same |
-
2012
- 2012-06-18 KR KR1020120065236A patent/KR10138513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1222A (en) * | 2017-11-27 | 2019-06-0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Cover glass attaching apparatus |
KR20190062713A (en) * | 2017-11-29 | 2019-06-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Cover glass attach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85133B1 (en) | 2014-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22638B2 (en) | Curved display manufacturing device and curved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 |
US10453710B2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 |
KR101764710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attaching a film | |
KR20130036154A (en) | Sticking apparatus | |
KR101765551B1 (en) | A apparatus for attaching a flexible sheet to a curved substrate | |
KR101385133B1 (en) | Plate laminating device | |
KR101938709B1 (en) | La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20120087893A (en) | Panel attaching method and panel attaching device | |
KR101448810B1 (en) | Apparatus for attaching film of display panel and method the same | |
TWI582899B (en) | Mounting apparatus | |
KR101540140B1 (en) | Board holding device, board holding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aminated glass | |
CN102417123A (en) | Display bonding device and method | |
US20100288417A1 (en) | Bonding method and bonding apparatus | |
TW201300917A (en) | Method for separating multilayer substrate | |
KR101833883B1 (en) | Pressure roller for curve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device | |
KR101689057B1 (en) | Attac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140700B1 (en) | Film Adhesion device for curved Panels | |
KR2018011373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film to a curved panel using volume displacement of a synthetic resin elastic body | |
KR100765175B1 (en) | Angled surface taping system | |
KR20190105355A (en) | Attaching apparatus for film | |
CN111156233B (en) | Pressing device, pressing method thereof and pressing equipment | |
KR20130142017A (en) | Laminating apparatus | |
CN219405428U (en) | Laminating device | |
KR101309699B1 (en) | Laminating apparatus and laminating method | |
KR101397093B1 (en) | Laminat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