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200A - The structure of hot water tank for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or hot and cold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The structure of hot water tank for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or hot and cold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200A
KR20130141200A KR1020120064423A KR20120064423A KR20130141200A KR 20130141200 A KR20130141200 A KR 20130141200A KR 1020120064423 A KR1020120064423 A KR 1020120064423A KR 20120064423 A KR20120064423 A KR 20120064423A KR 20130141200 A KR20130141200 A KR 20130141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hot
cold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4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8906B1 (en
Inventor
정휘동
김필규
Original Assignee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동 filed Critical 정휘동
Priority to KR2012006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906B1/en
Publication of KR20130141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2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9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hot water tank for a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or a hot and cold water purifier capable of discharging the hot water soon while saving the consumption power. The structure of the hot water tank for the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or the hot and cold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desir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t water tank for storing the water therein, forming a preset tilt with the surface of water and forming an air bent at the height place of a ceiling portion; a temperature detecting sensor installed at a middle depth of the hot water tank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within the hot water tank; a heater installed near the floor of the hot water tank for heating the water within the hot water tank; and a hot water discharge tube spaced a set distance apart from the ceiling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and concurrently spaced a set distance upwards from the temperature detecting sensor.

Description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The structure of hot water tank for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or hot and cold water purifier}Structure of hot water tank for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or hot and cold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순간 가열식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적용될 수 있는 온수탱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water tank structure of a cold or hot water purifier or a hot and cold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t water tank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an instantaneous heating cold or hot water purifier or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냉온수기는 시판되는 정수통을 결합하여, 정수통의 물을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수와 온수를 토출할 수 있는 장치이며, 냉온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필터부를 이용하여 정수를 만들고 이 정수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수와 온수를 토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Cold and hot water machine is a device that combines a commercially available water purification tank to cool or heat the water in the water purification tank to discharge cold water and hot water, and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makes the purified water from the raw water, such as tap water using the filter unit, and cools this water or It is a device that can discharge cold water and hot water by heating.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08627에 개시된 냉온정수기(이하, '선행발명'이라 함)을 참조하면, 온수탱크의 바닥부에 온수 유로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수 추출관과 냉수 추출관도 각각 정수탱크의 바닥부와 냉수탱크의 바닥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disclosed i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0862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a hot water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hot water tank, and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pipe and the cold water extraction are It can be seen that the pipes ar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purified water tank and the bottom of the cold water tank, respectively.

그러나, 가열된 물은 온수탱크의 바닥에 머물러 있지 않고 위로 상승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저온의 물이 온수탱크의 바닥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온수탱크의 바닥부에 연결된 온수 유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은 온수탱크 내부의 물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물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온수탱크의 물을 상시 고온 상태로 유지하는 저수식 냉온수기/냉온정수기에 비하여, 온수탱크의 물을 급속 가열하여 배출하는 순간 가열식 냉온수기/냉온정수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다.However, the heated water does not stay at the bottom of the hot water tank but rises upward, so that relatively cold water stays at the bottom of the hot water tank. Therefore, the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t water flow path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hot water tank has a problem that water of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In addition, this phenomenon is more pronounced in the case of the instantaneous heating hot / cold water purifier that discharges the water of the hot water tank by rapidly heating and discharging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뿐만 아니라, 온수탱크 내부의 물이 가열된 경우, 수증기 및 기포가 발생하고,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면과 온수탱크의 천장부 사이의 공기가 가열되어 물과 함께 급격하게 끓어오르는 현상이 발생한다. 온수탱크의 내부 압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수증기 또는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야 하고, 이를 위해 온수탱크에 에어 벤트를 설치한 경우도 있으나, 수증기 또는 뜨거운 공기가 에어 벤트를 통하여 균일하게 배출되지 않고, 순간적으로 많은 양이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에어 벤트를 통해서 수증기 또는 뜨거운 공기뿐만 아니라, 온수도 함께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is heated, steam and bubbles are generated, and the air betwee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and the ceiling of the hot water tank is heated to boil rapidly with water. In order to reduc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hot water tank, such steam or hot air mus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n air vent may be installed in the hot water tank for this purpose. As a result, a large amount of intermittent discharge occurs frequently. Therefore, not only water vapor or hot air but also hot water are discharged through the air ven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종래의 온수탱크에 비하여 온수탱크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고온인 물이 배출될 수 있는 온수탱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t water tank structure in which water having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can be discharged from the hot water tank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hot water tan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수탱크 내부의 공기 또는 수증기가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는 온수탱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t water tank structure in which air or steam in the hot water tank can be stably and uniformly discharg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 벤트를 통하여 온수가 배출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온수탱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t water tank structure capable of suppressing a phenomenon in which ho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an air v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천장부가 상기 물의 표면과 미리 정해진 경사(θ)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천장부 중 가장 높은 곳에 에어 벤트가 형성된 온수탱크; 상기 온수탱크 깊이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탱크 내부의 물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 센서; 상기 온수탱크의 바닥부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 및 관상(管狀)으로 형성되며, 개구부가 상기 온수탱크의 천장부와 소정 거리(d1)만큼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온도 감지 센서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d2)만큼 높은 위치에 배치된 온수 배출관;을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ot / cold water purifier or the hot water tank structure of the hot / cold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water therein, and the ceiling part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θ)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A hot water tank in which an air vent is formed at the highest of the ceiling parts;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depth of the hot water tank to measure a water temperature inside the hot water tank; A heater installed near a bottom of the hot water tank to hea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And a hot water discharge pipe formed in a tubular shape, the opening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of the hot water tan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1 and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d 2 upward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sensor. Equipped.

바람직하게, 상기 온수 배출관은 온수 배출 밸브와 연결되며, 중력에 의하여 온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온수 배출관의 개구부는 온수 배출관의 온수 배출 밸브쪽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Preferably,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the opening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side end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so that ho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gravity.

바람직하게,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는, 상기 온수탱크의 하부와 연통되어 정수를 상기 온수탱크 내부로 인가하는 정수 급수관을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hot water tank structur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or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further includes a purified water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to apply purified water into the hot water tank.

바람직하게, 상기 에어 벤트는 정수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에어 벤트의 정수탱크쪽 단부는 정수탱크 중 정수탱크의 최대 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연결된다.Preferably, the air ven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urified water tank, the end portion of the purified water tank of the air vent is connected to a point higher than the maximum water level of the purified water tank of the purified water tank.

바람직하게, 상기 d1은 5mm~20mm이다.Preferably, the d 1 is 5mm ~ 20mm.

바람직하게, 상기 θ는 3°~10°이다.Preferably, θ is 3 ° ~ 10 °.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 감지 센서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목표 온수 온도(T2)와 및 상기 T2보다 낮은 온도인 히터 출력제어 기준온도(T1)가 설정되고, 상기 온수탱크 내의 물의 온도(TW)가 상기 히터 출력제어 기준온도(T1)미만이면 히터가 정격출력으로 가동하고, 상기 온수탱크 내의 물의 온도(TW)가 상기 히터 출력제어 기준온도(T1) 이상이고 동시에 목표 온수 온도(T2) 미만이면 상기 정격출력보다 감소된 출력으로 상기 히터가 가동하도록 제어된다.Preferably, a target hot water temperature (T 2 ) and a heater output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which is lower than T 2, are set on the basis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temperature (T) of water in the hot water tank (T). If W ) is less than the heater output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the heater operates at rated output, and the temperature T W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ater output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and at the same time the target hot water temperature. If less than T 2 , the heater is controlled to operate at an output reduced than the rated output.

바람직하게, 상기 온수탱크 내의 물은 평상시에 상온 상태로 유지되고, 온수 탱크에 대한 가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히터가 가동한다.Preferably,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is normally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heater operates when a heating command for the hot water tank is inpu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ot water tank structur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or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종래의 온수탱크에 비하여 온수탱크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고온인 물이 배출될 수 있는 온수탱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ot water tank structure capable of discharging relatively high temperatur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ot water tank.

둘째, 온수탱크 내부의 공기 또는 수증기가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는 온수탱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ot water tank structure in which air or steam in the hot water tank can be stably and uniformly discharged.

셋째, 에어 벤트를 통하여 온수가 배출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온수탱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ot water tank structure that can suppress the phenomenon that the ho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vent.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구비된 히터의 제어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above,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rpretation.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ot water tank structure of a cold / hot water purifier or a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flowchart of a heater provided in a cold / hot water purifier or a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hot water tank structure of the cold or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element or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elem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Therefore,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얼음 냉온정수기와 얼음 냉온수기는 냉온정수기와 냉온수기에 각각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유닛이 추가로 설치된 장치로서, 이하에서 냉온수기란 얼음 냉온수기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냉온정수기란 얼음 냉온정수기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그리고, 온수탱크의 구조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는 냉온정수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ice cold water purifier and the ice cold water purifier ar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cold water purifier and the cold and hot water dispenser, respectively. Will be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hot water tank,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다만, 냉온정수기가 정수탱크 및 필터부를 구비한 것 대신 냉온수기는 정수통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들 구성을 제외한 냉온정수기의 기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냉온수기에도 당연히 적용될 것임은 자명하다. However, since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has a purified water tank instead of the water purifying tank and the filter unit, it is obvious that the description of other components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except for these configurations will also be applied to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냉온정수기는 일반적으로, 필터부와, 필터부에서 정수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와, 냉수를 제조하는 냉각 유닛과, 냉각 유닛에 의하여 제조된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탱크와, 온수를 제조하는 히터와, 히터에 의하여 제조된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를 구비하고, 온수탱크 내의 물은 온수 배출 밸브를 통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도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며, 일반적인 냉온정수기와 공통적인 기술적 특징을 갖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기술적으로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Cold and hot water purifiers generally include a filter unit, a purified water tank for storing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a cooling unit for producing cold water, a cold water tank for storing cold water produced by the cooling unit, and a heater for producing hot water. And a hot water tank for storing hot water produced by the heater, and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is discharged through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such a configuration, the description of the part having the technical features common to the common cold and hot water purifier will be omitted, and to focus on technically different par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의 개략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ot water tank structure of a cold / hot water purifier or a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온정수기는, 정수탱크(2), 온수탱크(10), 히터(16), 및 온도 감지 센서(2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rified water tank 2, a hot water tank 10, a heater 16, and a temperature sensor 20.

온수탱크(1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천장부는 온수탱크(10)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표면과 미리 정해진 경사(θ)를 이루고 있으며, 천장부 중 가장 높은 곳에는 에어 벤트(18)가 형성된다. 이 경사(θ)는 3°~10°의 각도로 형성되어 후술할 히터(16)에 의하여 가열된 온수탱크(10) 내부의 공기 및 수증기가 원활하게 에어 벤트(18)로 빠져 나갈 수 있다.The hot water tank 10 may store water therein, and the ceiling portion may form a predetermined inclination θ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0, and the air vent 18 may be located at the highest of the ceiling parts. Is formed. The inclination θ may be formed at an angle of 3 ° to 10 ° so that air and steam in the hot water tank 10 heated by the heater 16 to be described later may smoothly escape to the air vent 18.

온수탱크(10)의 내부에는 온수탱크(10) 내부의 물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16)가 설치되어 있으며, 히터(16)에는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된다. 히터(16)는 온수탱크(10) 내부의 물의 수위가 내려가더라도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온수탱크(10)의 바닥부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er 16 is installed inside the hot water tank 10 to heat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and the heater 16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separate power supply. The heater 16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of the hot water tank 10 so that the water can be heated even if the water level in the hot water tank 10 is lowered.

온수탱크(10)의 내부에는 온도 감지 센서(20)가 설치된다. 만약, 온수탱크(10)의 천장부에 온도 감지 센서(20)를 설치한다면 온수탱크(10)의 수위가 내려갈 경우에 온도 감지 센서(20)가 온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없게 되고, 온수탱크(10)의 바닥부에 온도 감지 센서(20)를 설치한다면 온수의 온도가 너무 낮게 측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온도 감지 센서(20)는 온수탱크(10)의 깊이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감지 센서(20)로는 써미스터 또는 바이메탈 등이 사용될 수 있다.A temperature sensor (20) is installed inside the hot water tank (10). If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hot water tank 10, the temperature sensor 20 can not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when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tank 10 is lowered. 10,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ay be measured too low.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depth of the hot water tank 10. The temperature sensor 20 may be a thermistor or a bimetal.

정수 급수관(4)은 정수탱크(2)와 온수탱크(10)를 연결하며 정수를 온수탱크(10) 내부로 공급한다. 정수 급수관(4)에는 정수 급수 밸브(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온수탱크(10)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정수 급수 밸브(6)가 개방되고, 만수위가 되면 정수 급수 밸브(6)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면 온수탱크(10)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온수탱크(10)의 수위 조절을 위해서 별도의 온수탱크 수위 센서가 온수탱크(10)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정수 급수 밸브(6)가 없더라도 온수탱크(10)의 수위가 내려가면 자동적으로 정수탱크(2)로부터 온수탱크(10)로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온수탱크(10)와 정수탱크(2)의 높이를 조절하여 수두차에 의하여 정수탱크(2)로부터 온수탱크(10)로 물이 흘러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4 connects the purified water tank 2 and the hot water tank 10 and supplies purified water into the hot water tank 10. The purified water feed pipe 4 may be provided with a purified water feed valve 6, an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tank 10 fall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the purified water feed valve 6 is opened. ) Control to close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tank 10 can be kept constant. In addition, a separate hot water tank level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hot water tank 10 to adjust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tank 10. However, unlike shown in Figure 1, even if there is no purified water feed valve 6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upply water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2 to the hot water tank 1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tank 10 is lowered. . That is, the height of the hot water tank 10 and the purified water tank 2 may be adjusted to allow water to flow into the hot water tank 10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2 by the head difference.

상기 히터(16)에 의하여 가열된 물은 수면을 향하여 상승하게 되는데, 수면 가까이에 있는 물의 온도가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수 급수관(4)은 온수탱크(10)의 하부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heated by the heater 16 rises toward the water surface. In order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near the water surface from falling,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4 preferably communicates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10. .

온수 배출관(12)은 온수탱크(10) 내부의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로서 관상(管狀)으로 형성되고, 온수 배출관(12)과 연결된 온수 배출 밸브(14)가 개방되면 온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온수 배출관(12)의 개구부는 온수 배출관(12)의 온수 배출 밸브쪽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온수 배출을 위하여 별도의 펌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지 온수 배출 밸브(14)를 개방하는 것만으로도 중력에 의하여 온수가 온수탱크(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hot water discharge pipe 12 is formed as a tubular path to discharge hot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10 to the outside, and when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14 connected to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12 is opened, the ho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o. The opening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12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end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12 toward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Therefore, the hot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t water tank 10 by gravity only by opening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14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pump for discharging hot water.

온도가 높은 물은 높은 곳에 머무르고 온도가 낮은 물은 낮은 곳에 머무르게 되므로, 온수탱크(10) 내의 물 중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물을 배출하려면 온수 배출관(12)의 개구부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온수탱크(10)의 천장부 근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온수 배출관(12)의 개구부가 마치 도 1의 에어 벤트(18)와 같이 아예 천장부에 형성되어 있다면, 온수탱크의 수위가 완전히 천장부까지 도달한 경우에만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이와 더불어 극히 일부의 온수만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 및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에서 온수 배출관(12)의 개구부는 온수탱크(10)의 천장부 근방에 위치하되, 이 개구부는 온수탱크(10)의 천장부와 소정 거리(d1)만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온수탱크(10)에 저장된 물 중 상층부의 뜨거운 물이 배출될 수 있으며,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물이 계속하여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상층부로 상승하게 되므로, 온수 배출 밸브(14)의 개방시에 충분히 고온인 물만을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온수탱크(10)에 저장된 물 중 상층부의 뜨거운 물이 배출되는 양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소정 거리(d1)는 5mm~20mm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Since the water of high temperature stays in a high place and the water of low temperature stays in a low place, in order to discharge water of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mong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the opening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12 is as shown in FIG. 1.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near the ceiling of the hot water tank 10. However, if the opening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12 is formed at all in the ceiling like the air vent 18 of FIG. 1, hot water may be discharged only when the level of the hot water tank reaches the ceiling completely. In addition, only a portion of hot water may be discharg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and problems, the opening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12 in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near the ceiling of the hot water tank 10, the opening i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iling of the hot water tank 10 ( d 1 ) is spaced apart. Therefore, the hot water of the upper layer of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0 may be discharged, and since the water heated by the heater continues to rise to the upper layer of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when opening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14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discharge only water that is sufficiently hot. The predetermined distance d 1 may be set in a range of 5 mm to 20 mm in order to sufficiently secure an amount of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upper layer of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0.

한편, 온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TW)가 미리 정해진 목표 온수 온도(T2)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온수 배출을 위하여 냉온정수기의 외부에서 스위치 또는 레버를 누르더라도 온수 배출 밸브(14)를 개방하지 않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목표 온수 온도(T2)란, 냉온정수기의 외부로 온수를 배출하는 기준점이 되는 온도로서, 온도 감지 센서(20)에서 측정된 온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TW)를 기준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T W )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does not reach the predetermined target hot water temperature (T 2 ), even if the switch or lever is pressed outside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to discharge hot water,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 14)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control that does not open. Here, the target hot water temperature (T 2 ) is a temperature that is a reference point for discharging hot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based on the temperature (T W )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do.

예컨대, 목표 온수 온도(T2)를 85℃로 설정하였다면, 외부로 토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적어도 약 85℃ 또는 그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보다 온수의 온도가 낮다면 온수가 토출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온도가 높은 물은 물의 상층부로 상승하기 때문에 만약, 온수 배출관(12)의 개구부가 온도 감지 센서(2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면, 온도 감지 센서(20)에서 감지된 온도인 85℃보다 낮은 온도의 온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온수 배출관(12)의 개구부는 온도 감지 센서(2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d2)만큼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적어도 85℃또는 그 이상의 온도를 갖는 온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 거리(d2)는 20mm~40mm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arget hot water temperature T 2 is set to 85 ° C.,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should be at least about 85 ° C. or higher,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s lower than this, hot water should not be discharg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igh temperature water ris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if the opening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12 is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temperature sensor 20,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20 is detected. Hot water at a temperature lower than 85 ° C.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opening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12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2 upwar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0, in which case hot water having a temperature of at least 85 ° C. or higher May be discharged. The predetermined distance d 2 may be set in a range of 20 mm to 40 mm.

목표 온수 온도(T2)는 85℃외에도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온도 감지 센서(20)가 상대적으로 온수탱크(10)의 바닥부에 가깝게 설치된다면 목표 온수 온도(T2)를 다소 낮게, 온도 감지 센서(20)가 상대적으로 온수탱크(10)의 천장부에 가깝게 설치된다면 목표 온수 온도(T2)를 다소 높게 설정하면 족하다.Target hot water temperature (T 2) may be set to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purpose in addition to 85 ℃, temperature sensor 20 is relatively, if installed close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10, the target water temperature (T 2) Somewhat lower, if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relatively close to the ceiling of the hot water tank 10, it is sufficient to set the target hot water temperature (T 2 ) rather high.

에어 벤트(18)는 온수탱크(10) 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온수탱크(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정수탱크(2)에 연결되되, 정수탱크(2)의 최대 수위보다 높은 곳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경우, 종래기술에 비하여 수증기의 발생량이 적고, 온수탱크(10) 내부의 물이 급격하게 끓어 오르면서 정수탱크(2)로 흘러 들어가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수증기로 인한 정수탱크(2)의 온도상승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The air vent 18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tank 2 to discharge the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hot water tank 10 to the outside of the hot water tank 10,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thereto.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cas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mount of generation of water vapor is less than in the prior art, the water flowing into the purified water tank 2 hardly boils while the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10 is suddenly boiled. The temperature rise of the purified water tank 2 due to the water vapor is negligible.

그리고, 드레인(19)은 온수탱크(10) 내의 물을 버릴 때 사용된다.And, the drain 19 is used when discarding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구비된 히터의 제어 흐름도이며,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에 구비된 히터(16)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제어방법은 냉온정수기 중에서도 특히 순간 가열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온수탱크(10) 내의 물이 평상시에는 상온으로 유지되다가, 온수탱크(10) 내의 물에 대한 가열 명령이 입력되면 비로소 히터(16)가 가동하여 물이 단시간 내에 가열되며, 자세한 제어방법은 이하에서 검토한다.2 is a control flowchart of a heater provided in a cold / hot water purifier or a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control method of the heater 16 provided in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et's explain. The present control method relates to the instantaneous heating hot and cold water purifier, especially among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is normally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and when the heating command for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is input, the heater (16) The water is heated in a short time by operation, and detailed control methods are discussed below.

먼저, 온수탱크(10) 내의 물에 대한 가열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S10)가 수행된다. 온수 배출을 위하여 냉온정수기의 외부에서 스위치 또는 레버를 누르는 것이 곧 가열 명령을 제어부(미도시)에 입력하는 것에 해당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란, 가열 명령을 입력받고, 제어 조건에 대한 비교연산과, 밸브 작동, 히터(16) 작동 등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처리장치, 유닛, 또는 모듈을 의미한다.First, a step (S10) of inputting a heating command for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is performed. Pressing a switch or lever outside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for discharging hot water may be set to correspond to inputting a heating command to a controller (not shown). Here, the control unit means a processing unit, a unit, or a module that receives a heating command and performs a comparison operation on control conditions, a valve operation, a heater 16 operation, and the like.

다음으로, 온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TW)를 목표 온수 온도(T2)보다 낮은 온도인 히터 출력제어 기준온도(T1)와 비교하는 단계(S20)가 수행된다. 여기서, 히터 출력제어 기준온도(T1)는 히터(16)의 출력을 정격출력으로 가동할지 여부를 나누는 기준이 되는 온도이다.Next, a step S20 of comparing the temperature T W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with the heater output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which is lower than the target hot water temperature T 2 , is performed. Here, the heater output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is a temperature serving as a reference for dividing whether or not the output of the heater 16 is operated at the rated output.

다음으로, 상기 온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TW)가 상기 히터 출력제어 기준온도(T1) 미만이면 히터(16)를 정격출력으로 가동하고, 상기 온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TW)가 상기 히터 출력제어 기준온도(T1) 이상이면 다시 상기 온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TW)를 목표 온수 온도(T2)와 비교하는 단계(S30)가 수행된다.Next, when the temperature T W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is less than the heater output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the heater 16 is operated at a rated output,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 When T W )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ater output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step S30 is performed to compare the temperature T W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with the target hot water temperature T 2 .

이후, 온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TW)가 상기 목표 온수 온도(T2) 미만이면 상기 정격출력보다 감소된 출력으로 히터(16)를 가동하고, 상기 온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TW)가 상기 목표 온수 온도(T2) 이상이면 상기 히터(16)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S40)가 수행된다.Thereafter, when the temperature T W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is less than the target hot water temperature T 2 , the heater 16 is operated at an output reduced from the rated output,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is maintained. When (T W )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arget hot water temperature (T 2 ), a step (S40)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16 is performed.

지금까지의 설명한 냉온정수기의 히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더욱 쉬운 이해를 위하여 예시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며, 히터 출력제어 기준온도(T1)를 70℃로, 목표 온수 온도(T2)를 85℃로 가정한다.For easier understanding of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heater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described so far,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The heater output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is 70 ° C and the target hot water temperature (T 2 ) is 85 ° C. Assume that

온수를 취수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온수탱크(10) 내의 물에 대한 가열 명령으로서, 스위치 또는 레버를 누르게 된다(S10).The user who wants to take hot water presses a switch or a lever as a heating command for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S10).

이 때, 온도 감지 센서(20)가 측정한 온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TW)를 히터 출력제어 기준온도(T1)인 70℃와 비교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20).At this time, the step of comparing the temperature (T W )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with the heater output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70 ℃ (S20).

상기 S20단계 이후에, 만약, 온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TW)가 70℃미만이면 히터(16)를 정격출력으로 가동하고, 온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TW)가 70℃이상이면 온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TW)를 85℃와 비교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30).After the step S20, if the temperature (T W )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is less than 70 ℃ to operate the heater 16 at the rated output, the temperature (T W )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is 70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or equal to C, a step of comparing the temperature T W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with 85 ° C. is performed (S30).

상기 S30단계 이후에, 만약, 상기 온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TW)가 70℃ 이상 85℃미만이면 상기 정격출력보다 감소된 출력으로 히터(16)를 가동하고, 상기 온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TW)가 85℃이상이면 히터(16)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After the step S30, if the temperature (T W )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 is more than 70 ℃ 85 ℃ operating the heater 16 at a reduced output than the rated output, the hot water tank (10) If the temperature (T W ) of the water in the) is 85 ° C or more,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16 is performed (S40).

여기서 히터(16)의 정격출력이란 과부하가 걸리지 않고 구동될 수 있는 히터(16)의 최대 일(Work)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히터(16)가 통상적으로 구동될 때의 일(Work)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Here, the rated output of the heater 16 means not only the maximum work of the heater 16 that can be driven without being overloaded, but also includes the work when the heater 16 is normally driven. Make sure it's used.

온수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온수에서 기포 및 수증기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온수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히터(16)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는 결국, 온수탱크(10)의 끓는 물이 에어 벤트(18)를 통하여 정수탱크(2)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온수탱크(10)로부터 넘치는 끓는 물을 받기 위하여 온수탱크(10)와 정수탱크(2) 사이에 설치되던 별도의 서브 탱크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냉온정수기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온수탱크(20) 천장부가 경사져 있는 점과 에어 벤트(18)의 설치 위치로 인하여 온수탱크(20) 내부의 공기 또는 수증기는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다.A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creases, more bubbles and water vapor are generated in the hot water, so that the control of reducing the output of the heater 16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creases, so that the boiling water of the hot water tank 10 is the air vent 18.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overflow to the purified water tank (2).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sub tank installed between the hot water tank 10 and the purified water tank 2 in order to receive the overflowing boiling water from the hot water tank 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nit cost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There is an advantage. And, due to the inclined ceiling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20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ir vent 18, air or water vapor in the hot water tank 20 can be stably and uniformly discharg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온수탱크(20)에서는 배출관(12)의 개구부가 온수탱크(10)의 천장부와 소정 거리(d1)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온수 배출 밸브의 개방시에 충분히 고온인 물만을 배출할 수 있으면서도 이와 동시에, 온수탱크(10)에 저장된 물 중 상층부의 뜨거운 물이 배출되는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hot water tank 20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pipe 12 is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of the hot water tank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1 ,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is sufficiently hot at the time of opening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At the same time, while only being able to discharge the wa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hot water discharg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0 can be sufficiently secur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온수탱크 구조에 따르면, 가열된 온수로부터의 발생하는 수증기 및 기포가 정수탱크(2) 내로 유입되는 양이 무시할 정도이므로, 정수탱크(2)에 가해지는 내부 압력이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또한, 정수탱크(2) 내의 물 온도가 상온으로 유지되므로 종래기술에 비하여 정수탱크(2) 내의 세균 번식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비하여 정수탱크(2)의 온도가 낮은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냉수를 만들기 위해서 요구되는 소비전력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hot water tank structur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mount of water vapor and bubbles generated from the heated hot water into the purified water tank 2 is negligible, the in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purified water tank 2 This is a very minor level. In addition, since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purified water tank 2 is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it can be free from the bacteria propagation problem in the purified water tank 2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tank 2 is kept low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power consumption required for making cold water is reduc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thereof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2 : 정수탱크 4 : 정수 급수관
6 : 정수 급수 밸브 10 : 온수탱크
12 : 온수 배출관 14 : 온수 배출 밸브
16 : 히터 18 : 에어 벤트
19 : 드레인 20 : 온도 감지 센서
2: purified water tank 4: purified water supply pipe
6: water supply valve 10: hot water tank
12: hot water discharge pipe 14: hot water discharge valve
16: heater 18: air vent
19: drain 20: temperature sensing sensor

Claims (8)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천장부가 상기 물의 표면과 미리 정해진 경사(θ)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천장부 중 가장 높은 곳에 에어 벤트가 형성된 온수탱크;
상기 온수탱크 깊이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탱크 내부의 물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 센서;
상기 온수탱크의 바닥부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 및
관상(管狀)으로 형성되며, 개구부가 상기 온수탱크의 천장부와 소정 거리(d1)만큼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온도 감지 센서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d2)만큼 높은 위치에 배치된 온수 배출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
A hot water tank capable of storing water therein, a ceiling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θ)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having an air vent formed at the highest of the ceilings;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depth of the hot water tank to measure a water temperature inside the hot water tank;
A heater installed near a bottom of the hot water tank to hea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And
And a hot water discharge pipe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having an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of the hot water tan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1 and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2 upwar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Hot and cold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t water tank structure of the cold and hot water dispen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배출관은 온수 배출 밸브와 연결되며, 중력에 의하여 온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온수 배출관의 개구부는 온수 배출관의 온수 배출 밸브쪽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the opening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end of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side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so that ho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gravity of the hot or cold water purifier Hot water tank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의 하부와 연통되어 정수를 상기 온수탱크 내부로 인가하는 정수 급수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hot water tank structur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or cold / hot water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 purified water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to apply purified water into the hot water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는 정수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에어 벤트의 정수탱크쪽 단부는 정수탱크 중 정수탱크의 최대 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ven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urified water tank, the hot water tank structure of the cold or ho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ortion of the purified water tank is connected to a point higher than the maximum water level of the purified water tank of the purified water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1은 5mm~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hot water tank structure of the cold or hot water purifier or cold and hot water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d 1 is 5mm ~ 20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θ는 3°~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θ is a hot water tank structure of the cold or ho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3 ° ~ 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센서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목표 온수 온도(T2)와 및 상기 T2보다 낮은 온도인 히터 출력제어 기준온도(T1)가 설정되고,
상기 온수탱크 내의 물의 온도(TW)가 상기 히터 출력제어 기준온도(T1)미만이면 히터가 정격출력으로 가동하고,
상기 온수탱크 내의 물의 온도(TW)가 상기 히터 출력제어 기준온도(T1) 이상이고 동시에 목표 온수 온도(T2) 미만이면 상기 정격출력보다 감소된 출력으로 상기 히터가 가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 target hot water temperature T 2 and a heater output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which is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T 2 , are set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If the temperature (T W )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is less than the heater output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the heater is operated at the rated output,
When the temperature (T W ) of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is above the heater output control reference temperature (T 1 ) and at the same time less than the target hot water temperature (T 2 ), the heater is controlled to operate at a reduced output than the rated output. Hot water tank structure of cold / hot water purifier or cold / hot water dispen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 내의 물은 평상시에 상온 상태로 유지되고, 온수 탱크에 대한 가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히터가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Water in the hot water tank is normally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the hot water tank structure of the cold or ho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er operates when a heating command for the hot water tank is input.
KR20120064423A 2012-06-15 2012-06-15 The structure of hot water tank for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or hot and cold water purifier KR1014889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4423A KR101488906B1 (en) 2012-06-15 2012-06-15 The structure of hot water tank for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or hot and cold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4423A KR101488906B1 (en) 2012-06-15 2012-06-15 The structure of hot water tank for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or hot and cold wate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200A true KR20130141200A (en) 2013-12-26
KR101488906B1 KR101488906B1 (en) 2015-02-02

Family

ID=4998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4423A KR101488906B1 (en) 2012-06-15 2012-06-15 The structure of hot water tank for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or hot and cold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90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758A (en) 2015-02-10 2016-08-18 마상동 Instant hot and cold water device of water purifier
KR20160003156U (en) 2015-03-11 2016-09-21 마상동 Storage Tank for Water Purifier
KR20210041875A (en) 2019-10-08 2021-04-16 고정찬 Heating and Cooling Supply System for Sleeping Bag
US11448423B2 (en) 2017-04-25 2022-09-20 Lg Electronics Inc. Hot liquid generation module for liquid treatmen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849B1 (en) 2016-01-18 2016-07-21 이종용 Automatic washing apparatus
KR20220114217A (en) * 2021-02-08 2022-08-17 코웨이 주식회사 Hot water generating apparatus,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hot water generating apparatus
KR102432135B1 (en) 2021-09-16 2022-08-11 이종용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0735B1 (en) * 2001-01-24 2002-10-08 Shlomo Greenwald Beverage dispenser having selectable temperature
KR101018852B1 (en) * 2008-12-02 2011-03-04 주식회사 파라 The electric boiler
KR20100133120A (en) * 2009-06-11 2010-12-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Hot water storage apparatus of water purifier
KR20110093424A (en) * 2010-02-12 2011-08-18 이성근 Hot/cold water purifi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758A (en) 2015-02-10 2016-08-18 마상동 Instant hot and cold water device of water purifier
KR20160003156U (en) 2015-03-11 2016-09-21 마상동 Storage Tank for Water Purifier
US11448423B2 (en) 2017-04-25 2022-09-20 Lg Electronics Inc. Hot liquid generation module for liquid treatment apparatus
KR20210041875A (en) 2019-10-08 2021-04-16 고정찬 Heating and Cooling Supply System for Sleeping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906B1 (en)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1200A (en) The structure of hot water tank for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or hot and cold water purifier
JP2007085582A (en) Operating method of electric water heater
JP5023608B2 (en) Water heater
JPH0337111B2 (en)
JP5416038B2 (en) Bath water heater
KR20120095228A (en) Hot water supply system of regular temperature
JP2007003023A (en) Storage water heater
JP5023607B2 (en) Hot 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851869B2 (en) Bath memorial device
KR200480855Y1 (en) Structure of oven with drain hole
JP6210783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KR20130141199A (en) Controlling method of hot water system for instantaneous heating
KR101910327B1 (en) Apparatus for cleaning eyes with temperature control valve
JP5842563B2 (en) Fluid heating device and electric water heater
KR102512617B1 (en) Warm water supply system
CN204593331U (en) A kind of steam generator
KR20080008307A (en) Heater make use of hot-water
KR20160026502A (en) Instantaneous water heater and boiler using thereof
KR101544917B1 (en) Controlling method of hot water system for instantaneous heating
JP6207411B2 (en) Hot water storage water heater
JP5089418B2 (en) Hot water system
KR102010888B1 (en) Water hea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437903B2 (en) Water heater
TW201621241A (en) Successive water input water dispenser with increased heat exchange effect
JP5160255B2 (en) Hot water storage hot water suppl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