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094A -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094A
KR20130141094A KR1020120064209A KR20120064209A KR20130141094A KR 20130141094 A KR20130141094 A KR 20130141094A KR 1020120064209 A KR1020120064209 A KR 1020120064209A KR 20120064209 A KR20120064209 A KR 20120064209A KR 20130141094 A KR20130141094 A KR 20130141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web content
voice
search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4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1094A/ko
Publication of KR20130141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단말장치에서 웹서핑을 할 때 음성태그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의 검색관리를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서 웹서핑을 할 때 문자입력의 불편함과 상대적으로 낮은 네트워크 속도로 인해 야기되는 웹 검색의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해 일단 사용자가 확인했던 웹 컨텐츠(웹페이지, 동영상)에 대해서는 액세스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해두되 단말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태그를 매칭시켜 관리하고, 이후에 사용자가 단말장치에서 음성이나 텍스트로 검색키워드를 입력하면 음성태그를 활용하여 그 보관되어 있던 액세스 정보를 빠르게 검색함으로써 그에 대응되는 웹 컨텐츠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METHOD FOR MANAGING SEARCHES OF WEB-CONTENTS USING VOICE TAG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MANAGEMENT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단말장치에서 웹서핑을 할 때 음성태그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의 검색관리를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서 웹서핑을 할 때 문자입력의 불편함과 상대적으로 낮은 네트워크 속도로 인해 야기되는 웹 검색의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해 일단 사용자가 확인했던 웹 컨텐츠(웹페이지, 동영상)에 대해서는 액세스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해두되 단말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태그를 매칭시켜 관리하고, 이후에 사용자가 단말장치에서 음성이나 텍스트로 검색키워드를 입력하면 음성태그를 활용하여 그 보관되어 있던 액세스 정보를 빠르게 검색함으로써 그에 대응되는 웹 컨텐츠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아이폰이나 아이팟, 아이패드와 같은 단말장치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이나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각종의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그리고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 등을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단말장치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플레이, 방송 수신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추게 되었으며, 특히 브라우저를 내장하여 무선랜이나 무선데이터통신을 통해 인터넷을 액세스할 수 있게 되어 휴대용 정보단말로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웹서핑을 하는 것이 일상적인 문화가 되어가고 있다. 사람들은 이동중에 잠시라도 여유시간이 생기면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장치를 꺼내들고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하지만, 단말장치는 휴대의 편의성을 높이려다보니 개인용컴퓨터(PC) 환경에 비해 웹서핑을 하기에 불편한 점도 있다. 먼저 단말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입력을 하는데, 개인용컴퓨터의 키보드 장치에 비해 단말장치의 가상키보드는 입력속도가 현저하게 느리다. 또한 단말장치는 아무래도 데이터통신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각 검색단계마다 무시할 수 없는 정도의 시간을 소모해야 한다.
따라서 단말장치에서 웹서핑, 일반적으로 정보검색을 조금이라도 더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며, 지금까지 여러가지 아이디어가 제안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단말장치에서 웹서핑을 할 때 음성태그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의 검색관리를 구현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의 단말장치에서 웹서핑을 할 때 문자입력의 불편함과 상대적으로 낮은 네트워크 속도로 인해 야기되는 웹 검색의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해 일단 사용자가 확인했던 웹 컨텐츠(웹페이지, 동영상)에 대해서는 액세스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해두되 단말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태그를 매칭시켜 관리하고, 이후에 사용자가 단말장치에서 음성이나 텍스트로 검색키워드를 입력하면 음성태그를 활용하여 그 보관되어 있던 액세스 정보를 빠르게 검색함으로써 그에 대응되는 웹 컨텐츠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성태그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의 검색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단말장치에 설치된 브라우저 실행 중에 특정 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식별하는 제 1 단계; 단말장치의 음성태그 입력모드를 식별하는 제 2 단계; 단말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입력 태그데이터를 제공받는 제 3 단계; 음성인식 프로세싱을 통해 음성입력 태그데이터로부터 텍스트 태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 4 단계; 위 선택된 웹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식별하는 제 5 단계; 그 획득된 텍스트 태그 데이터와 액세스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로 이동시키는 제 6 단계; 단말장치의 검색 모드를 식별하는 제 7 단계; 검색 키워드를 제공받는 제 8 단계; 검색 키워드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제 9 단계; 검색 결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 제 10 단계; 그 획득된 액세스 정보를 활용하여 웹 컨텐츠를 액세스하는 제 11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 8 단계는, 단말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입력 검색어를 제공받는 단계; 음성인식 프로세싱을 통해 음성입력 검색어로부터 텍스트 형식의 검색 키워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웹 컨텐츠는 웹페이지와 동영상 파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액세스 정보는 웹 컨텐츠에 대한 URL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 5 단계는, 단말장치가 위 선택된 웹 컨텐츠의 데이터를 다운로드받는 단계; 그 다운로드된 웹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단계; 웹 컨텐츠에 대한 저장공간 상의 단축경로를 식별하는 단계; 단축경로를 위 선택된 웹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저장공간은 단말장치의 내부 저장부, 단말장치에 대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장치, 단말장치에 대해 설정된 클라우드 저장공간, 단말장치에 대해 설정된 웹디스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상과 같은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 사용자는 무선인터넷 기능을 통해 웹서핑이나 각종 동영상을 검색할 수 있으며, 그 와중에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웹 컨텐츠 등에 대해 단말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 녹음으로 음성태그를 매칭시켜 그 액세스 정보를 저장해두면, 이후에 그 웹 컨텐츠를 활용하고자 할 때 마찬가지로 음성이나 텍스트로 검색키워드를 입력하여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되어 단말장치의 문자입력의 불편함이나 낮은 네트워크로 인해 야기되는 웹 검색의 어려움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일 예로서 스마트폰을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음성태그를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음성태그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일 예로서 스마트폰(100)을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본 발명은 [도 1]의 스마트폰(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형태의 단말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컴퓨터와 같이 휴대용 단말장치를 기본으로 가정한 것이나, 스마트박스, 스마트TV 단말장치(스마트 셋톱박스), 개인용컴퓨터 등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박스나 스마트TV 단말장치(스마트 셋톱박스)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장치인 스마트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2) 내에 형성된 공간에 각종 전자부품이 내장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모듈(101), 음향출력모듈(103), 카메라(104), 다수의 사용자 입력모듈, 마이크(105)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모듈(101)은 단말기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 OLED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모듈(10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1)이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음향출력모듈(103)은 리시버 또는 모노/스테레오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04)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0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주변의 사운드를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105)는 브라우저 실행 중에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의 웹 컨텐츠(예: 웹페이지, 동영상)와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음성태그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모듈은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스마트폰(100)을 조작하도록 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무엇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모듈은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그리고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태그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폰(100)에서 브라우저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웹 컨텐츠에 대해 마이크(105)를 통해 보이스(voice)로 음성태그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또한, 스마트폰(100)은 그 입력된 음성태그 데이터를 텍스트 태그 데이터로 변환한 후, 텍스트 태그 데이터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웹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액세스 정보는 당해 웹 컨텐츠를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로서, 일반적으로는 인터넷 상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 구성할 수 있으나 다른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당해 웹 컨텐츠의 데이터를 인터넷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저장공간으로 이동시킨 후, 그 이동된 저장공간에 대한 단축경로(shortcut)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공간으로는 스마트폰(100)의 내부 저장부(예: 하드디스크, 플래시메모리), 스마트폰(100)과 무선랜의 로컬 네트워크로 연결된 저장장치(예: 홈게이트웨이, 홈서버), 스마트폰(100)에 대해 설정된 클라우드 저장공간(예: 아이클라우드), 스마트폰(100)에 대해 설정된 웹디스크(예: N드라이브)를 들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0)이 인터넷으로부터 웹 컨텐츠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한 후에 다시 이들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도 있고, 웹 컨텐츠의 데이터를 직접 인터넷에서 저장공간으로 위치시킬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어느 한가지 방식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차후에, 스마트폰(100)의 마이크(105)를 통해 음성 검색어가 입력되면 이를 검색키워드로 활용하여 미리 저장해둔 웹 컨텐츠를 활용한다. 즉, 그 입력된 음성 검색어를 텍스트 검색어로 변환하여, 미리 저장된 텍스트 태그 데이터와 비교하며, 비교 결과, 텍스트 태그 데이터와 텍스트 검색어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액세스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0)은 디스플레이모듈(101)을 통해 검색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100)은 음성 검색어가 아닌 텍스트 검색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텍스트 검색어를 미리 저장된 텍스트 태그데이터와 비교하여 검색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장치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장치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태그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는 전원공급부(202), 무선통신부(204), 마이크부(206), 조작부(208), 인터페이스부(210), 디스플레이부(212), 음향출력부(214), 저장부(216), 제어부(220)를 포함하고, 제어부(220)는 멀티미디어 재생모듈(222)을 구비한다.
전원공급부(202)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04)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인터넷 모듈은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고,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이때, 무선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LAN, 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마이크부(206)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부(206)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부(206)는 브라우저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 또는 동영상에 대해 녹음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음성태그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조작부(208)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0)는 단말장치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장치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SIM 카드/UIM 카드 등의 카드 소켓, 오디오 I/O 단자, 비디오 I/O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212)는 단말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장치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또는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특성을 갖는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발광 다이오드,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12)는 제어부에 의해 검색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214)는 통화모드 등에서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216)는 제어부의 프로세싱이나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타입 메모리(예: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6)는 내부 저장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200)와 무선랜의 로컬 네트워크로 연결된 저장장치, 단말장치(200)에 대해 설정된 클라우드 저장공간, 단말장치(200)에 대해 설정된 웹디스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장부(216)는 마이크부(206)를 통해 입력된 음성태그 데이터가 변환된 텍스트 태그 데이터와 액세스 정보를 매칭하여 생성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제어부(22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단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모듈(222)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모듈(222)은 제어부(22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220)와는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웹페이지 관리모듈(224)을 통해 브라우저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 1 웹 컨텐츠(302)에 대한 음성태그 데이터를 텍스트 태그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텍스트 태그 데이터를 제 1 웹 컨텐츠(302)에 대한 액세스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부(216)에 저장하도록 한다. 이때, 액세스 정보는 제 1 웹 컨텐츠(304)에 대한 인터넷 상의 URL 정보일 수도 있고 특정 저장공간에 대한 단축경로일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이후에 브라우저로 제 2 웹 컨텐츠(304)를 디스플레이하다가 단말장치(200)의 동작을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검색 모드로 진입하여 마이크부(206)를 통해 음성 검색어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음성 검색어를 텍스트 검색어로 변환하고 저장부(216)에 미리 저장된 텍스트 태그 데이터와 비교하여 텍스트 태그 데이터와 텍스트 검색어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액세스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웹 컨텐츠(302)를 검색한다.
한편, 제어부(220)는 조작부(208)를 통해 텍스트 검색어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텍스트 검색어를 미리 저장된 텍스트 태그 데이터와 비교하여 검색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조작부(208)는 가상키보드나 버튼키보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음성태그를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장치(200)에서 브라우저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특정 웹페이지가 선택되면(S402), 그 선택된 웹페이지에 대해 마이크(206)를 통해 음성태그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404). 이때 마이크(206)를 통해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가 그 선택된 웹페이지에 대한 음성태그 데이터에 해당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단말장치(200)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동작모드를 음성태그 입력모드로 식별한다.
또한, 단말장치(200)는 그 입력된 음성태그 데이터에 대해 음성인식 프로세싱을 통해 텍스트 태그 데이터로 변환하고(S406), 그 변환된 텍스트 태그 데이터를 선택된 웹페이지에 대한 액세스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S408). 이때, 액세스 정보는 인터넷 공간에서의 URL 정보일 수도 있고 특정 저장공간에 대한 단축경로일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인터넷 공간에서 한번 방문하였던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음성태그를 붙여서 일종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 정보는 이후에 사용자가 조회하고자 할 때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단말장치(200)에서 이전에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해두었던 웹페이지 관련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검색 모드로 진입한다. 검색 모드에서, 단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제공받는데, 일 예로서 마이크(206)를 통해 음성 검색어가 입력되는지 확인하고(S410), 음성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 그 입력된 음성 검색어를 텍스트 검색어(검색 키워드)로 변환한다(412). 다른 실시예로 단말장치(200)가 가상키보드 등으로 이루어진 조작부(208)를 통해 텍스트 형식의 검색 키워드를 제공받아 활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단말장치(200)는 그 입력된 텍스트 검색어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한다. 즉, 텍스트 검색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해둔 텍스트 태그 데이터와 비교하여(S414), 텍스트 태그 데이터와 텍스트 검색어가 대응되는 경우에 해당 항목의 액세스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를 검색한다(S416). 이때, 단말장치(200)의 조작부(208)를 통해 텍스트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어의 변환 과정 없이 입력된 텍스트 검색어를 미리 저장된 텍스트 태그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200)는 검색된 특정 웹페이지를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18).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는 구글에서 검색한 특정 웹페이지에 대해 사용자가 음성으로 태그를 입력하면, 그 페이지에 대한 액세스 정보인 URL과 음성태그에 대한 텍스트 태그를 내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해 두었다가 차후 검색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태그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장치(200)에서 브라우저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특정 동영상이 선택되면(S502), 그 선택된 동영상에 대해 마이크(206)를 통해 음성태그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504).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단말장치(200)는 동작모드를 음성태그 입력모드로 식별한다.
또한, 단말장치(200)는 그 입력된 음성태그 데이터에 대해 음성인식 프로세싱을 통해 텍스트 태그 데이터로 변환하고(S506), 그 변환된 텍스트 태그 데이터를 선택된 동영상에 대한 액세스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S508). 이때, 액세스 정보는 인터넷 공간에서의 URL 정보일 수도 있고 특정 저장공간에 대한 단축경로일 수도 있다. 저장공간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단말장치(200)의 내부 저장부, 단말장치(200)와 무선랜의 로컬 네트워크로 연결된 저장장치, 단말장치(200)에 대해 설정된 클라우드 저장공간, 단말장치(200)에 대해 설정된 웹디스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단말장치(200)에서 이전에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해두었던 동영상 관련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검색 모드로 진입한다. 검색 모드에서, 단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제공받는데, 일 예로서 마이크(206)를 통해 음성 검색어가 입력되는지 확인하고(S510), 음성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음성 검색어를 텍스트 검색어(검색 키워드)로 변환한다(512). 다른 실시예로 단말장치(200)가 가상키보드 등으로 이루어진 조작부(208)를 통해 텍스트 형식의 검색 키워드를 제공받아 활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단말장치(200)는 그 입력된 텍스트 검색어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한다. 즉, 텍스트 검색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해둔 텍스트 태그 데이터와 비교하여(S514), 텍스트 태그 데이터와 텍스트 검색어가 대응되는 경우에 해당 항목의 액세스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을 검색한다(S516). 이때, 단말장치(200)의 조작부(208)를 통해 텍스트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어의 변환 과정 없이 입력된 텍스트 검색어를 미리 저장된 텍스트 태그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200)는 검색된 특정 동영상을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518).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는 특정 유튜브나 각종 동영상(예를 들어, 판도라tv, 다음팟tv)에 대해 사용자가 음성으로 태그를 입력하면, 그 동영상에 대한 액세스 정보와 음성태그에 대한 텍스트 태그를 내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해 두었다가 차후 검색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사용자가 이동시에 휴대하는 장치인 스마트폰(예: 아이폰, 갤럭시폰)이나 스마트패드(예: 아이패드, 갤럭시탭)와 같은 단말장치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단말장치 외에도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갖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디지털 셋톱박스나 스마트박스(예: 애플TV, 다음TV)에도 양호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에서는 '단말장치'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200 : 단말장치
202 : 전원공급부
204 : 무선통신부
206 : 마이크부
208 : 조작부
210 : 인터페이스부
212 : 디스플레이부
214 : 음향출력부
216 : 저장부
220 : 제어부
222 : 멀티미디어 재생모듈
224 : 웹페이지 관리모듈

Claims (7)

  1. 음성태그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의 검색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단말장치에 설치된 브라우저 실행 중에 특정 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식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장치의 음성태그 입력모드를 식별하는 제 2 단계;
    상기 단말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입력 태그데이터를 제공받는 제 3 단계;
    음성인식 프로세싱을 통해 상기 음성입력 태그데이터로부터 텍스트 태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 4 단계;
    상기 선택된 웹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식별하는 제 5 단계;
    상기 획득된 텍스트 태그 데이터와 상기 액세스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제 6 단계;
    상기 단말장치의 검색 모드를 식별하는 제 7 단계;
    검색 키워드를 제공받는 제 8 단계;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제 9 단계;
    상기 검색 결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 제 10 단계;
    상기 획득된 액세스 정보를 활용하여 웹 컨텐츠를 액세스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입력 검색어를 제공받는 단계;
    음성인식 프로세싱을 통해 상기 음성입력 검색어로부터 텍스트 형식의 상기 검색 키워드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선택된 웹 컨텐츠에 대한 URL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단말장치가 상기 선택된 웹 컨텐츠의 데이터를 다운로드받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된 웹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웹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저장공간 상의 단축경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단축경로를 상기 선택된 웹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단말장치의 내부 저장부,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장치,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설정된 클라우드 저장공간,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설정된 웹디스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웹 컨텐츠는 웹페이지와 동영상 파일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64209A 2012-06-15 2012-06-15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141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209A KR20130141094A (ko) 2012-06-15 2012-06-15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209A KR20130141094A (ko) 2012-06-15 2012-06-15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094A true KR20130141094A (ko) 2013-12-26

Family

ID=49985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209A KR20130141094A (ko) 2012-06-15 2012-06-15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10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510A3 (ko) * 2016-03-25 2018-08-02 김준모 음성 데이터 기반 멀티미디어 콘텐츠 태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16340685A (zh) * 2023-03-28 2023-06-27 广东保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生成网页方法及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510A3 (ko) * 2016-03-25 2018-08-02 김준모 음성 데이터 기반 멀티미디어 콘텐츠 태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16340685A (zh) * 2023-03-28 2023-06-27 广东保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生成网页方法及系统
CN116340685B (zh) * 2023-03-28 2024-01-30 广东保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生成网页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91764B (zh) 一种内容接续系统
US96281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ing data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EP35250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unching application page, and electronic device
KR1017578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16918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loading webpage application program
CN105740263B (zh) 页面显示方法和装置
CN104284249A (zh) 视频播放方法及装置
CN105095427A (zh) 搜索推荐方法和装置
RU2647683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контента, устройство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которые используют их
CN104038536A (zh) 插件通信方法和装置
KR102013329B1 (ko) 광학식 문자 판독기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1222063A (zh) 富文本渲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2078295A1 (zh) 一种设备推荐方法及电子设备
CN105159524A (zh) 界面显示方法及装置
CN104202624A (zh) 传输图片的方法及装置
CN104536787A (zh) 资源预加载方法及装置
WO2023005711A1 (zh) 一种服务的推荐方法及电子设备
CN108228776A (zh) 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2287234A (zh) 信息检索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4935613A (zh) 场景同步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US980748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ear jack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on the same
CN108174270A (zh) 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5468606A (zh) 网页保存的方法及装置
KR20130141094A (ko) 음성태그를 이용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웹 컨텐츠 검색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16955757A (zh) 切换应用程序的搜索方法、装置、设备、介质和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