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312A -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 Google Patents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312A
KR20130140312A KR1020120063568A KR20120063568A KR20130140312A KR 20130140312 A KR20130140312 A KR 20130140312A KR 1020120063568 A KR1020120063568 A KR 1020120063568A KR 20120063568 A KR20120063568 A KR 20120063568A KR 20130140312 A KR20130140312 A KR 2013014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gripping
main frame
tower
wind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5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78961B1 (en
Inventor
김성훈
김성준
김성진
이종환
조기용
조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3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961B1/en
Publication of KR2013014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3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9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60Assembly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A device for gripping blades of a wind power generator is disclosed. The device for gripping the blades of a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which moves upward and downward in the height direction of a tower of the wind power generator; and a gripping unit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and grips the blades of the wind power generator to relatively rotate the blades to the main frame.

Description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발전기의 허브에 블레이드를 설치하거나 허브로부터 블레이드를 설치해제함에 있어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그립핑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 turbine blade grip for gripping a blade for a wind turbine when the blade is installed in or removed from the hub of the wind turbine. Relates to a ping device.

일반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발전 형태로는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화력발전 및 핵분열을 이용하는 원자력발전을 들 수 있다.Generally, typical types of power generation for generating electricity include thermal power generation using fossil fuel as an energy source and nuclear power generation using nuclear power.

그러나, 화력발전은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함에 따른 공해유발의 문제와 함께 막대한 건설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mal power generation has a problem of causing pollution due to utilization of the energy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fossil fuel and a huge construction cost.

그리고, 원자력발전은 많은 양의 전기를 생산하는데 유리하지만 방사선 누출을 차단하기 위한 막대한 시설비가 요구됨은 물론 방사선 누출의 위험성 때문에 지역주민들의 강한 반발이 예상되며, 나아가 폐기물처리도 쉽지 않으며, 사소한 사고라할지라도 심각한 환경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nuclear power generation is advantageous for producing a large amount of electricity, but it requires huge facility costs to block the radiation leakage and the strong reaction of local residents is expected due to the risk of radiation leakage, and it is not easy to dispose of waste, and it is a minor accident. However,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always presenting a risk that can cause serious environmental damage.

이에,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으로 인한 공해문제로부터 자유롭고 고갈될 염려없는 영구적인 에너지원으로서 풍력, 조력, 수력, 태양열 등과 같은 자연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researches are actively conducted to utilize natural energy such as wind power, tidal power, hydroelectric power, and solar energy as an energy source as a permanent energy source free from exhaustion problems due to firepower or nuclear power generation.

특히,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가운데 청정 에너지원을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풍력발전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풍력발전은 구조나 설치 등이 간단함과 동시에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고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도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wind power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in terms of the use of natural energy among power generation using natural energy. Wind power generation is simple in structure and installation, easy to operate and manage, and unmanned and automated. As a result, the introduction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한편, 과거에는 풍력발전 구조물들이 주로 육상에서 이루어졌으나, 소음과 진동 등에 의한 환경피해가 속출하고 발전용량이 대형화되고, 미관, 장소의 제약 등의 여러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해상에 풍력발전단지를 집약적으로 집단화시켜 건설하는 것이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st, wind power structures were mainly made on land, but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noise and vibration, increased power generation capacity, and aesthetics and limitations of place, wind farms have recently become intensive. The trend is to build them in groups.

풍력발전기는 바람에 의한 회전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블레이드(blade)가 연결되는 허브(hub)를 구비한 로터(rotor)와, 로터와 연결되는 나셀(nacelle)을 지지하면서 보호하는 나셀 커버(nacelle cover)와, 블레이드, 로터, 나셀 및 나셀커버를 지지하는 타워(tower)를 포함한다.Wind power generator is a device for produc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rotational energy by the wind, a rotor having a hub to which a plurality of blades (blade) rotated by the wind, and a nacelle connected to the rotor ( and a nacelle cover for supporting and protecting the nacelle, and a tower for supporting the blades, the rotor, the nacelle, and the nacelle cover.

블레이드는 공기 역학적으로 설계된 형상을 이용하여 바람 에너지에서 유용한 공력 토크(torque)를 발생시키고, 공력 토크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시킨다.The blade uses aerodynamically designed geometry to generate useful aerodynamic torques in the wind energy and generates electricity by rotating the generator using aerodynamic torques.

블레이드는 전기 발생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기 역학적 형상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그 형상으로부터 유발되는 하중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The blade must be able to support the load induced by its shape structurally as well as aerodynamic shape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mount of electricity generated.

하중은 공기역학적 형상에 지배적이지만 구조적인 최적 설계를 통해 동일한 하중을 지지하면서도 최대한 가벼운 블레이드를 설계하는 것이 또 하나의 중요한 설계 기술이다.The load is dominant in the aerodynamic shape, but designing a blade that is as light as possible while supporting the same load through structural optimization is another important design technique.

한편, 블레이드를 타워의 상부에 결합된 허브에 설치하거나 블레이드를 교체하기 위하여 허브로부터 블레이드를 해체하는 경우에, 블레이드를 그립핑한 후, 케이블 및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허브에 인접하게 이송한다.On the other hand, when dismantling the blade from the hub in order to install the blade in the hub coupled to the top of the tower or to replace the blade, after the blade is gripped, the blade is transferred to the hub by using a cable or a crane, etc. .

이때, 블레이드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가 분리되지 않도록 블레이드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그립핑하여야 한다.At this time, the blade should be gripped firmly and firmly so that the blade is not separated during the transfer of the blade.

이처럼,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허브에 블레이드를 설치 및 설치 해제함에 있어서 바람 등의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블레이드가 전후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 블레이드의 자세를 제어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 자세 제어를 위한 더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레이드가 타워 등에 부딪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As such, when the blades swing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ind in installing and removing the blades to the hub by using a crane or the like, it is not only easy to control the attitude of the blades but also to control the blade attitude.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more tim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lade may be damaged by hitting the tower.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116190호 (위벤 알로이즈) 2007.12.06.[Pat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7-0116190 (Weeven Aloyds) 2007.12.06.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허브에 블레이드를 설치 및 설치 해제함에 있어서, 케이블 및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블레이드를 타워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송함과 동시에 블레이드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installing and removing the blade in the hub, the wind power that can control the attitude of the blade and at the same time transport the blad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without using a cable and crane It is to provide a blade gripping device for a generat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풍력발전기 타워의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그립핑하는 그립핑유닛을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frame is elevat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ind turbine tower; And a gripp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the gripping unit gripping the blade for the wind turbine so as to rotate relative to the main frame.

상기 그립핑유닛은, 상기 블레이드를 그립핑하는 그립퍼; 및 일측이 상기 그립퍼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그립퍼회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ing unit includes: a gripper for gripping the blade; And a gripper rotation modul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gripper and the other si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상기 그립퍼는, 그립핑몸체부; 상기 그립핑몸체부에 연결되되, 상호 접근 및 이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면을 그립핑하는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 및 상기 그립핑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게 구동시키는 암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er, the gripping body portion;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ortions to grip the outer surfaces of the blades while being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ripping body portion, it may include a femal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to be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은, 상기 그립핑몸체부에 연결되되, 상기 블레이드가 안착되는 블레이드안착부; 및 상기 블레이드안착부와 상호 이격되게 상기 그립핑몸체부에 연결되되, 상기 블레이드안착부에 접근 및 이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면을 그립핑하는 블레이드그립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may include: a blade se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ortion, in which the blades are seated; And a blade gripping part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ar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lade seating part, and gripp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while being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the blade seating part.

상기 암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그립핑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블레이드그립핑부에 연결되어 신장 및 수축하는 엑츄에이터일 수 있다.The female driving part may be an actua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lade gripping part to extend and contract.

상기 그립퍼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의 상기 블레이드에 접촉하는 면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면을 접촉가압하는 가압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er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surfaces in contact with the blade of the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and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pad for contact press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상기 그립퍼회전모듈은, 상기 그립핑몸체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회전샤프트 및 상기 그립핑몸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er rotating module may include a rotary shaf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it may include a rotary drive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and the gripping body portion.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타단부에 연결된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샤프트 및 상기 그립핑몸체부를 회전시키는 기어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ry drive unit, the gear box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And a gear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gear box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and the gripping body part.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되,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타워의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it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unit for lifting the main fram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되, 풍력발전기의 나셀에 연결된 케이블을 귄취 및 권출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타워의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윈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driving winch provided on the main frame to pull up and unwind a cable connected to the nacelle of the wind generator to elevate the main fram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되, 상기 타워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이송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unit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eed roller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되, 상기 이송롤러가 상기 타워의 외측면에 접촉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the feed roller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타워에 외삽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마련된 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는 상기 홀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main frame may include a hole provided in the center so as to be extrapolated to the tower, and the plurality of feed rollers may be provided in the ho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워의 높이방향으로 승강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블레이드를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그립핑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블레이드를 타워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 설치 및 설치해제 시에 블레이드의 자세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main frame for elevat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and a gripping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to allow the blade to rotate relative to the main frame, the blad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It can be transported, and the posture of the blade can be easily controlled when the blade is installed and uninstalled.

도 1은 풍력발전기의 정면도로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에 의해 하나의 블레이드가 타워를 따라 이송되는 상태를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풍력발전기의 정면도로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에 의해 하나의 블레이드가 회전되어 허브측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of a wind turbine and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blade is transported along a tower by a wind turbine blade gri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wind turbine,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blade is rotated and inserted into a hub by a wind turbine blade gri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and illustrates a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in the direction B of FIG.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풍력발전기의 정면도로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에 의해 하나의 블레이드가 타워를 따라 이송되는 상태를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풍력발전기의 정면도로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에 의해 하나의 블레이드가 회전되어 허브측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B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wind turbine,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blade is transported along a tower by a wind turbine blade gri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wind turbine ,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blade is rotated and inserted into the hub side by a wind turbine blade gri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3 is a wind turbine blade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ing apparatus,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and illustrates a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6 is a blade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a de-gripping apparatu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풍력발전기는 나셀(nacelle, 미도시)에 연결되고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10, blade)와, 블레이드(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되 블레이드(110)가 연결되는 허브(121)를 구비한 로터(120,rotor)와, 나셀, 로터(120) 및 블레이드(110)를 지지하는 타워(140)를 포함한다.1 and 2, the wind generator is connected to a nacelle (not shown)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lades 110 and the blades 110, which are rotated by the wind blades 110. Rotor 120 having a hub 121 is connected to) and a tower 140 supporting the nacelle, the rotor 120 and the blade 110.

블레이드(110)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일종의 날개이다. 로터(120)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110)는 바람에 의해 쉽게 회전될 수 있도록 유선형의 날개 형상을 가진다.Blade 110 is a kind of wing that is rotated by the wind to generate a rotational movement. The blade 110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rotor 120 has a streamlined wing shape to be easily rotated by the wind.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는 바람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3개의 블레이드(110)를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블레이드(110)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ree blades 110 so as to pursue stability while maxim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number of blades 110. Is not limited.

블레이드(110)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양방향 타입의 블레이드(110)가 설치되며, 특히 낮에는 육지쪽으로, 밤에는 바다쪽으로 부는 바람을 고려하여 설치되어야 한다.The blade 110 is installed in a bidirectional type blade 110 that can be freely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particular, should be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wind blowing toward the land during the day, towards the sea at night.

로터(120)의 허브(121)는 복수의 블레이드(110)가 연결되는 장소이다.The hub 121 of the rotor 120 is a place where the plurality of blades 110 are connected.

허브(121)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측면에서 바라볼 때는 돔(dome)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hub 121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may have a dome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그리고, 허브(121)의 일측에는 블레이드(110)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나셀(nacelle, 미도시)이 연결되며, 나셀은 나셀커버(130, nacelle cover)에 의해 보호된다.And, one side of the hub 121 is connected to a nacelle (nacelle, not shown)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lade 110 to produce electrical energy, the nacelle is protected by a nacelle cover (130, nacelle cover).

나셀은 블레이드(110)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등 풍력발전기를 구동시키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계부품들, 예컨대 메인 샤프트(main shaft, 미도시), 기어박스(gear box, 미도시), 발전기(generator, 미도시)와 같은 기계부품들이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체를 통틀어 일컫는다.The nacelle receive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blade 110 to produce electrical energy such as mechanical parts, such as a main shaft (not shown), gear box (gear box) It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mechanical parts such as generators and generators are structurally coupled.

이처럼, 나셀커버(130)는 나셀의 외부에 결합되어 나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As such, the nacelle cover 13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nacelle serves to protect the nacelle.

나셀커버(130)는 외기에 그대로 노출되어 눈, 비 혹은 햇볕 등에 상시 노출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나셀커버(130)는 내구성이 우수한 비금속 혹은 금속 복합 재질로 제작된다.Since the nacelle cover 130 is exposed to the outside air as it is constantly exposed to snow, rain or sunlight, a certain degree of rigidity should be ensured. Therefore, the nacelle cover 130 is made of a non-metal or metal composite material with excellent durability.

한편, 타워(140)는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축으로서, 복수의 블레이드(110), 허브(121), 나셀 및 나셀커버(130) 등의 구조물에 대한 축 방향 하중을 지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tower 140 is an axis extending vertically, and supports the axial load on the structure, such as a plurality of blades 110, hub 121, nacelle and nacelle cover 130.

타워(140)는 위치별로 아랫부분의 로워 타워(lower tower)와, 윗부분의 어퍼 타워(upper tower)로 구분될 수 있다.The tower 140 may be divided into a lower tower at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tower at an upper portion by position.

타워(140)는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의 구조물이며, 타워(140)의 내부 빈 공간을 통해 케이블(cable) 등이 통과된다. 케이블은 송전용 파워 케이블(power cable), 통신용 케이블(cable)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일 수 있다.The tower 140 is a hollow pipe-type structure, and a cable or the like is passed through the inner empty space of the tower 140. The cable may be various kinds of cables including power cables for power transmission, cables for communication, and the like.

한편, 사이즈 혹은 크기가 작은 풍력발전기의 경우에는 풍력발전기 설치에 커다란 어려움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타워(140)의 길이가 대략 100 미터(m) 내외이고 블레이드(110)의 길이 역시 타워(140)에 준하는 길이를 갖는 대형 풍력발전기의 경우, 허브(121)에 인접하게 블레이드(110)를 이송하고 블레이드(110)를 허브(121)의 블레이드 접속부(미도시)에 삽입 및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wind turbine generator having a small size or a small size, there is no great difficulty in installing a wind turbine, bu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tower 140 is about 100 meters (m) and the length of the blade 110 is also a tower. In the case of a large wind power generato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140, the blade 110 is moved adjacent to the hub 121, and the blade 110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blade connection portion (not shown) of the hub 121. This is not easy.

특히, 해상과 같은 작업 환경이 열악한 장소에서 케이블 및 크레인을 사용하여 블레이드(110)를 허브(121)에 인접하게 이송하고, 블레이드(110)를 허브(121)에 결합하는 경우에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블레이드(110)가 전후 좌우 요동될 수 있어 더욱 그러하다.In particular, when the blade 110 is moved adjacent to the hub 121 using a cable and a crane in a place where the working environment is poor, such as at sea, and the blade 110 is coupled to the hub 121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e blade 110 may swing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by more so.

따라서, 대형 풍력발전기를 설치함에 있어, 블레이드(110)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그립핑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블레이드(110)가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200)가 요구된다.Therefore, in installing a large wind power generator, the blade 110 can be gripped stably and firmly, and the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power generator capable of preventing the blade 110 from being shaken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 200) is required.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200)는, 풍력발전기 타워의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메인프레임(210)과, 메인프레임(210)에 연결되되 메인프레임(210)을 타워(140)의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230)과, 메인프레임(210)의 일측에 마련되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110)를 메인프레임(210)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그립핑하는 그립핑유닛(250)을 포함한다.1 to 6, the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genera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210 and a main frame 210 that are elevated in a height direction of a wind turbine tower.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unit 230 for elevating the main frame 210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140,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210, but the blade 110 for the wind power generator main frame 210 It comprises a gripping unit 250 for gripping relative to the relative ro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200)는, 종래와 같이 크레인 및 크레인에 연결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블레이드(110)를 허브(121)에 인접하게 이송하는 것이 아니라 그립핑유닛(250)으로 블레이드(110)를 견고하고 안정되게 그립핑하고, 그립핑유닛(250)이 연결된 메인프레임(210)을 타워(140)의 높이방향으로 상승시켜 블레이드(110)를 허브(121)에 인접하게 이송한다.The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genera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transfer the blade 110 adjacent to the hub 121 using a crane and a cable connected to the crane as in the related art, but gripping. The unit 110 grips the blade 110 firmly and stably, and the main frame 210 to which the gripping unit 250 is connected is rais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140 to move the blade 110 to the hub 121. Transfer adjacent to).

또한, 메인프레임(210)에 대해 그립핑유닛(250)을 상대 회전시켜 블레이드(110)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titude of the blade 110 may be controlled by relatively rotating the gripping unit 250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210.

메인프레임(210)은, 타워(140)의 높이방향으로 승강하면서 블레이드(110)를 허브(121)에 인접하게 또는 블레이드(110)를 허브(121)에서 멀어지게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main frame 210 serves to transport the blade 110 adjacent to the hub 121 or the blade 110 away from the hub 121 while lift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140.

그리고, 메인프레임(210)은 타워(140)의 외측면에 외삽되며 타워(140)의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된다. 즉, 메인프레임(210)은 타워(140)에 외삽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홀부(211)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main frame 210 is extrapola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140 and is moved by sli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140. That is, the main frame 210 is provided with a hole 211 in the center to be extrapolated to the tower 140.

한편, 본 실시예에서 메인프레임(210)은 외형이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워(140)에 외삽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홀부(211)가 마련되어 있으면 어느 형상이든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frame 210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the shape of the main frame 2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shape provided that the hole portion 211 is provided at the center so as to be extrapolated to the tower 140.

그리고, 승강유닛(230)은 메인프레임(210)을 타워(140)의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And, the lifting unit 230 serves to elevate the main frame 210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140.

승강유닛(230)은, 메인프레임(210)에 마련되되 풍력발전기의 나셀에 연결된 케이블(231)을 귄취 및 권출하여 메인프레임(210)을 타워(140)의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윈치(233)와, 메인프레임(210)의 내측에 마련되되 타워(140)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이송롤러(235)와, 메인프레임(210)의 내측에 마련되되 이송롤러(235)가 타워(140)의 외측면에 접촉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37)를 포함한다.The elevating unit 230 is provided on the main frame 210, at least one drive for lifting the main frame 210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140 by winding and unwinding the cable 231 connected to the nacelle of the wind power generator. The winch 233, a plurality of feed rollers 235 are provided inside the main frame 210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140, and provided inside the main frame 210, the feed roller 235 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237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140.

구동윈치(233)는 메인프레임(210)의 상부에 복수 개 마련된다.The plurality of driving winches 233 are provided on the main frame 210.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메인프레임(210)의 모서리부에 각각 구동윈치(233)를 마련하여 메인프레임(210)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3, driving winches 233 are provided at corner portions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main frame 210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main frame 210.

따라서, 구동윈치(233)를 작동시켜 나셀에 연결된 케이블(231)을 권취 및 권출함에 따라 메인프레임(210)은 타워(140)의 높이방향으로 승강된다.Therefore, the main frame 210 is elevat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140 as the drive winch 233 is operated to wind and unwind the cable 231 connected to the nacelle.

그리고, 이송롤러(235)는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10)의 중심부에 마련된 홀부(211)에 마련되어 메인프레임(210)이 타워(140)를 따라 승강하는 경우에 메인프레임(210)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메인프레임(210)을 타워(140)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nd, the feed roller 235 is provided in the hole portion 211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main frame 210 as shown in Figure 3 and 6 when the main frame 210 is elevated along the tower 140, the main It guides the frame 210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support the main frame 210 with respect to the tower 140.

이송롤러(235)는, 타워(14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메인프레임(210)의 승강에 따라 회전되어 메인프레임(21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으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The feed roller 235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140 and rotate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main frame 210 to guide the elevation of the main frame 210.

한편, 타워(140)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하부가 상부보다 크므로, 탄성부재(237)는 메인프레임(210)이 타워(140)의 높이방향으로 상승되는 경우에 이송롤러(235)가 항상 타워(140)의 외측면에 접촉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iameter of the tower 140 is generally lower than the upper portion, the elastic member 237 is the feed roller 235 is always tower when the main frame 210 is rais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140 Serves to mak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140.

즉, 탄성부재(237)는 이송롤러(235)가 타워(140)의 외측면에 접촉되게 탄성력을 제공한다.That is, the elastic member 237 provides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feed roller 235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140.

도 6을 참조하면, 탄성부재(237)는 메인프레임(210)의 내측에 마련되어 이송롤러(235)의 회전축(236) 양단을 탄력지지한다.6, the elastic member 237 is provided inside the main frame 210 to elastically support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236 of the feed roller 235.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그립핑유닛(250)은,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함과 동시에 블레이드(110)를 회전시켜 블레이드(110)의 자세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ipping unit 250 serves to control the attitude of the blade 110 by simultaneously rotating the blade 110 while gripping the blade 110.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그립핑유닛(250)은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하는 그립퍼(260,gripper)와, 일측이 그립퍼(260)에 연결되고 타측이 메인프레임(210)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그립퍼회전모듈(270)을 포함한다.3 to 5, the gripping unit 250 includes a gripper 260 for gripping the blade 110,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gripper 260, and the other side of the gripping unit 250 is relative to the main frame 210. And a gripper rotation module 270 that is rotatably connected.

그립퍼(260)는, 허브(121)에 블레이드(110)를 설치하거나 허브(121)로부터 블레이드(110)를 설치 해제하기 위해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하는 역할을 한다.The gripper 260 serves to grip the blade 110 to install the blade 110 in the hub 121 or to release the blade 110 from the hub 121.

본 실시예에서 그립퍼(260)는, 그립핑몸체부(261)와, 그립핑몸체부(261)에 연결되되 상호 접근 및 이격되면서 블레이드(110)의 외측면을 그립핑하는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262)과,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262)의 블레이드(110)에 접촉하는 면에 각각 마련되되 블레이드(110)의 외측면을 접촉가압하는 가압패드(267)와, 그립핑몸체부(261)의 일측에 마련되되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262)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게 구동시키는 암구동부(265)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ipper 260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ortion 261 and the gripping body portion 261, and at least one pair of grips that grip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10 while being mutually approached and spaced apart. A pressing pad 267 which is provid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lade 110 of the ping arm 262 and at least one pair of the gripping arms 262, and a pressure pad 267 for contact and pressuriz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10, and a gripping body part.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261) includes a female driving portion 265 for driving at least a pair of the gripping arm 262 to acces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립핑몸체부(261)는, 메인프레임(210)의 일측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262)과 암구동부(265)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그립핑몸체부(261)는 플랜지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gripping body part 261 supports at least one pair of the gripping arms 262 and the arm driving part 265 as a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210. In this embodiment, the gripping body portion 261 is configured as a flan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262)은, 상호 접근하면서 블레이드(110)의 외측면을 그립핑하거나, 상호 이격되면서 블레이드(110)의 외측면을 그립핑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The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262 serves to grip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10 while approaching each other, or to release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1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262)은, 그립핑몸체부(261)에 연결되되 블레이드(110)가 안착되는 블레이드안착부(263)와, 블레이드안착부(263)와 상호 이격되게 그립핑몸체부(261)에 연결되되 블레이드안착부(263)에 접근 및 이격되면서 블레이드(110)의 외측면을 그립핑하는 블레이드그립핑부(264)를 포함한다.3 and 4, the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262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ortion 261, but the blade seating portion 263 and the blade seating portion 263 to which the blade 110 is seated. And a blade gripping portion 264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ortion 26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gripp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10 while being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the blade seating portion 263.

한 쌍의 그립핑암(262)은 후술할 암구동부(265)가 블레이드그립핑부(264)에 연결되어 신장 및 수축함에 따라 블레이드그립핑부(264)가 그립핑몸체부(261)에 대해 상대회전하면서 블레이드(110)의 외측면을 그립핑한다.The pair of gripping arms 262 rotates relative to the gripping body part 261 as the arm driving part 26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blade gripping part 264 to extend and contract.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10 is gripped.

그리고,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262)의 블레이드(110)에 접촉하는 면에는 가압패드(267)가 마련된다.In addition, a pressure pad 267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262 that contacts the blades 110.

가압패드(267)는 고무, 우레탄 등 유연성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할 때 블레이드(110)의 외측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블레이드(110) 표면의 만곡형상에 대응되게 변형되어 블레이드(110)를 견고하게 그립핑할 수 있다.The pressure pad 267 is made of a flexible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or urethane, thereby preven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10 from being damaged when the blade 110 is gripped, and simultaneously bending the surface of the blade 110. De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can be firmly grip the blade 110.

그리고, 암구동부(265)는,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262)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게 하여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262)으로 블레이드(110)의 외측면을 그립핑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arm driving unit 265 allows the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262 to approach an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provide power for gripp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10 to the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262. Play a role.

본 실시예에서 암구동부(265)는, 일단부가 그립핑몸체부(26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후술할 한 쌍의 그립핑암(262)을 구성하는 블레이드그립핑부(264)에 연결되어 신장 및 수축하는 엑츄에이터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m driving unit 265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ortion 26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lade gripping portion 264 constituting a pair of gripping arms 26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a retracting actuator.

이와 같이, 엑츄에이터의 신장 및 수축에 의해 한 쌍의 그립핑암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게 함으로써, 블레이드(110)를 그립핑 또는 그립핑 해제한다.In this manner, the pair of gripping arms are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extension and contraction of the actuator, thereby gripping or releasing the blade 110.

한편, 본 실시예에서 그립퍼회전모듈(270)은 블레이드(110)를 그립한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262)을 회전시켜 블레이드(110)의 자세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gripper rotation module 270 in the present embodiment serves to control the attitude of the blade 110 by rotating the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262 to grip the blade 110.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262)을 회전시켜 블레이드(110)를 수평방향으로 눕힌 상태에서 타워(140)의 높이방향으로 블레이드(110)를 상승시킨다.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blade 110 is rais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140 in a state in which the blade 110 is lai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rotating the at least one gripping arm 262.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10)를 허브(121)에 인접하게 상승시킨 경우에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262)을 회전시켜 블레이드(110)를 수직되게 한 후 허브(121)의 블레이드 접속부(미도시)에 블레이드(110)를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when the blade 110 is raised adjacent to the hub 121, the hub 110 may be vertically rotated by rotating the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262. The blade 110 is inserted into the blade connection portion (not shown) to be coupled.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그립퍼회전모듈(270)은, 그립핑몸체부(261)에 일단부가 연결된 회전샤프트(271)와, 회전샤프트(271)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회전샤프트(271) 및 그립핑몸체부(261)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273)를 포함한다.3 to 5, the gripper rotary module 27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271 and the rotary shaft 27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art 261, and the rotary shaft 271. And a rotation driving unit 273 for rotating the gripping body portion 261.

회전샤프트(271)는 일단부가 그립핑몸체부(26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메인프레임(2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회전샤프트(271)의 회전동작에 의해 그립퍼(260) 전체가 회전한다.One end of the rotary shaft 271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art 261,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271 is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210. The entire gripper 260 rotates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ry shaft 271.

이때, 회전샤프트(271)는 회전구동부(273)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구동부(273)는 메인샤프트(271)의 내부에 마련되며, 회전샤프트(271)의 타단부에 연결된 기어박스(274)와, 기어박스(274)를 구동시켜 회전샤프트(271) 및 그립핑몸체부(261)를 회전시키는 기어구동부(275)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rotary shaft 271 is rotated by the rotary drive unit 273, the rotary drive unit 273 is provided inside the main shaft 271, the gear box 274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271. And a gear drive 275 for driving the gear box 274 to rotate the rotary shaft 271 and the gripping body portion 261.

기어박스(274)는 회전샤프트(271)의 타단부와 기어구동부(275) 사이에 연결된다.The gear box 274 is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271 and the gear driving unit 275.

이때, 기어구동부(275)는 기어박스(274) 일측에 연결된 종동기어(276)와 종동기어(276)에 치합된 구동기어(277)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gear driving unit 275 includes a driven gear 276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ear box 274 and a driving gear 277 meshed with the driven gear 276.

따라서, 구동기어(277)의 회전력이 종동기어(276), 기어박스(274), 회전샤프트(271)에 순차로 전달되어, 그립퍼(260)를 메인프레임(210)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한다.Accordingl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gear 277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driven gear 276, the gearbox 274, and the rotation shaft 271, thereby allowing the gripper 260 to rotate relative to the main frame 210.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타워(140)의 상부에 마련된 허브(121)에 블레이드(110)를 설치하고자 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to install the blade 110 in the hub 121 provided on the top of the tower 140 as follows.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그립퍼회전모듈(270)이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262)을 메인프레임(210)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한 쌍의 그립핑암(262)이 블레이드(110)를 수평상태로 그립핑할 수 있게 한다.1 and 3, the gripper rotating module 270 rotates at least one pair of the gripping arms 262 relative to the main frame 210 so that the pair of gripping arms 262 rotates the blade 110. Allows gripping in a horizontal state.

그리고, 타워(140)에 외삽된 메인프레임(210)은 승강유닛(230)의 구동윈치(233)에 의해 타워(140)의 높이방향으로 상승된다.The main frame 210 extrapolated to the tower 140 is elevat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140 by the driving winch 233 of the lifting unit 230.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한 상태에서 타워(140)를 따라 상승시키므로, 종래의 케이블(231) 및 크레인 등에 의해 블레이드(110)를 허브(121)에 인접하게 이송하는 경우와 달리, 바람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블레이드(110)가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블레이드(110)를 안정되게 허브(121)에 인접하게 이송할 수 있다.Since the blade 110 is raised along the tower 140 in a state in which the blade 110 is gripped, unlike the case in which the blade 110 is moved adjacent to the hub 121 by a conventional cable 231, a crane, or the like, wind The blade 110 may be prevented from swinging due to an external environment, and thus the blade 110 may be stably transferred adjacent to the hub 121.

또한, 블레이드(110)를 수평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타워(140)를 따라 상승시킬 수 있어, 블레이드(110)를 수직상태로 세운 후 이송하는 경우에 비해 블레이드(110)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작업공간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lade 110 can be raised along the tower 140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the work space required to install the blade 110 compared to the case of transporting the blade 110 in the vertical state Can be reduced.

즉, 수평상태로 눕혀진 블레이드(110)를 직접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262)을 이용하여 그립핑한 후, 수평상태에서 타워(140)의 높이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블레이드(110)를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작업시간도 역시 단축할 수 있다.That is, the blade 110 lying in the horizontal state can be directly gripped using at least one pair of the gripping arms 262, and then rai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140, whereby the blade 110 The work time required to raise) can also be shortened.

그리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블레이드(110)가 허브(121)에 인접하게 상승된 경우에, 블레이드(110)의 루트측을 허브(121)의 블레이드 접속부에 정렬되게 회전시킨다.2 and 3, when the blade 110 is raised adjacent to the hub 121, the root side of the blade 110 is rotated to align with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of the hub 121.

즉, 기어구동부(275)를 동작시켜 회전샤프트(271) 및 그립퍼(260)를 메인프레임(210)에 대해 상대회전시켜, 블레이드(110)의 루트측이 허브(121)의 블레이드 접속부에 정렬되게 그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gear drive unit 275 is operated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271 and the gripper 260 relative to the main frame 210 so that the root side of the blade 110 is aligned with the blade connection portion of the hub 121. The posture can be controlled.

그리고, 메인프레임(210)을 상승시켜 블레이드(110)의 루트가 허브(121)의 블레이드 접속부에 삽입되도록 한다.Then, the main frame 210 is raised to allow the root of the blade 110 to be inserted into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of the hub 121.

한편, 블레이드(110)의 수리 보수가 필요하여 블레이드(110)를 허브(121)에서 설치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블레이드(110)를 허브(121)에 설치하는 동작과 반대로 행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lade 110 needs to be repaired and to be removed from the hub 121, the operation of the blade 110 to the hub 121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pe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0: 블레이드 121: 허브
130: 나셀커버 140: 타워
200: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210: 메인프레임
211: 홀부 230: 승강유닛
231: 케이블 233: 구동윈치
235: 이송롤러 250: 그립핑유닛
260: 그립퍼 261: 그립핑몸체부
262: 그립핑암 263: 블레이드안착부
264: 블레이드그립핑부 265: 암구동부
267: 가압패드 270: 그립퍼회전모듈
271: 회전샤프트 273: 회전구동부
274: 기어박스 275: 기어구동부
110: blade 121: hub
130: nacelle cover 140: tower
200: blade gripping device 210: mainframe
211: hole 230: lifting unit
231 cable 233 drive winch
235: feed roller 250: gripping unit
260: gripper 261: gripping body
262: gripping arm 263: blade seat
264: blade gripping portion 265: female driving portion
267: pressure pad 270: gripper rotary module
271: rotary shaft 273: rotary drive
274: gearbox 275: gear drive

Claims (13)

풍력발전기 타워의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그립핑하는 그립핑유닛을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A main frame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ind turbine tower;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the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comprising a gripping unit for gripping the blade for the wind turbine relative to the main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유닛은,
상기 블레이드를 그립핑하는 그립퍼; 및
일측이 상기 그립퍼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그립퍼회전모듈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ripping unit is,
A gripper for gripping the blade;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gripper, the other side is a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generator comprising a gripper rot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main frame to be relatively rotat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는,
그립핑몸체부;
상기 그립핑몸체부에 연결되되, 상호 접근 및 이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면을 그립핑하는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 및
상기 그립핑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게 구동시키는 암구동부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ripper includes:
Gripping body parts;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ortions to grip the outer surfaces of the blades while being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ripping body portion, the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comprising a femal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to acces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은,
상기 그립핑몸체부에 연결되되, 상기 블레이드가 안착되는 블레이드안착부; 및
상기 블레이드안착부와 상호 이격되게 상기 그립핑몸체부에 연결되되, 상기 블레이드안착부에 접근 및 이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면을 그립핑하는 블레이드그립핑부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A blade se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ortion, in which the blade is seated; And
And a blade gripping part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ar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lade seating part, and gripp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while being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the blade seating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그립핑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블레이드그립핑부에 연결되어 신장 및 수축하는 엑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rm drive unit,
And an actuator,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blade gripping portion to extend and contrac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그립핑암의 상기 블레이드에 접촉하는 면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면을 접촉가압하는 가압패드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gripper includes:
A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power generator, wherein the at least one pair of gripping arms are provided on the surfaces contacting the blades, respectively, and pressurizing pads for contact press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회전모듈은,
상기 그립핑몸체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회전샤프트 및 상기 그립핑몸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gripper rotation module,
A rotating shaf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ripping body portion;
A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the rotary shaft and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gripping body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타단부에 연결된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샤프트 및 상기 그립핑몸체부를 회전시키는 기어구동부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otation drive unit includes:
A gear box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And
And a gea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gearbox to rotate the rotary shaft and the gripping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되,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타워의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lift unit connected to the main frame, the lifting unit configured to lift the main frame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되, 풍력발전기의 나셀에 연결된 케이블을 귄취 및 권출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타워의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윈치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nd at least one driving winch provided on the main frame and lifting and unwinding a cable connected to the nacelle of the wind generator to lift the main fram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되, 상기 타워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elevating unit includes: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main frame, the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feed roller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가 상기 타워의 외측면에 접촉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elevating unit includes: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main frame, the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a plurality of feed roller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타워에 외삽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마련된 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는 상기 홀부에 마련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mainframe includes a hole provided in the center so as to be extrapolated to the tower,
The plurality of feed rollers are blade gripp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is provided in the hole.
KR1020120063568A 2012-06-14 2012-06-14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KR1013789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568A KR101378961B1 (en) 2012-06-14 2012-06-14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568A KR101378961B1 (en) 2012-06-14 2012-06-14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312A true KR20130140312A (en) 2013-12-24
KR101378961B1 KR101378961B1 (en) 2014-03-28

Family

ID=4998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568A KR101378961B1 (en) 2012-06-14 2012-06-14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96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6430A1 (en) * 2016-06-16 2017-12-21 Soletanche Freyssinet Method for handling a wind turbine blade
WO2018020056A1 (en) * 2016-07-26 2018-02-01 Sling Supply International, S.A. System for the assembly/disassembly of blades in wind turbines
CN116857125A (en) * 2023-09-04 2023-10-10 上海戈洛立科技有限公司 Wind driven generator blade posture adjusting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683B1 (en) * 1999-06-08 2002-01-23 석삼용 A tilting drive machine for tundish
CN101765558B (en) * 2007-04-30 2013-02-06 维斯塔斯风力系统集团公司 A mounting device
SE535518C2 (en) * 2010-02-09 2012-09-04 Erigovis Ab Lifting device for lifting components included in wind turbines and similar structur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6430A1 (en) * 2016-06-16 2017-12-21 Soletanche Freyssinet Method for handling a wind turbine blade
FR3052816A1 (en) * 2016-06-16 2017-12-22 Soletanche Freyssinet PROCESS FOR MANEUVERING A WINDBREAD BLADE
CN109642547A (en) * 2016-06-16 2019-04-16 索列丹斯-弗莱西奈公司 The method for handling wind turbine blade
WO2018020056A1 (en) * 2016-07-26 2018-02-01 Sling Supply International, S.A. System for the assembly/disassembly of blades in wind turbines
EP3299615A4 (en) * 2016-07-26 2018-09-05 Sling Supply International, S.A. System for the assembly/disassembly of blades in wind turbines
CN116857125A (en) * 2023-09-04 2023-10-10 上海戈洛立科技有限公司 Wind driven generator blade posture adjusting device and method
CN116857125B (en) * 2023-09-04 2023-11-17 上海戈洛立科技有限公司 Wind driven generator blade posture adjusting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961B1 (en)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180B1 (en) 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
EP2488748B1 (en) Wind turbine
US20090224555A1 (en) Load Supporting Frame Multi-Level Wind Turbine Generator
KR101334339B1 (en)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CN101988463B (en) Vertical shaft tidal current generating set
US201500286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rotor blade
EP34317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spending a rotor blade of a wind turbine uptower
KR101358229B1 (en)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KR101378961B1 (en)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KR101358231B1 (en) Method for installing wind turbine blade and robot using the same
EP2786953A1 (en) Wind power generator
KR101379723B1 (en) 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
KR101346179B1 (en)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KR101323801B1 (en) Rotor rotat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KR101334334B1 (en) Gripping apparatus for windmill blade
KR101358233B1 (en) Blade insta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ing blade using thereof for wind turbine
CN202073704U (en) Wind energy generator with foldable type horizontal fan blades
CN104564518A (en) Wind-driven generation device
WO2022142554A1 (en) Novel fluid power generation device
KR101556189B1 (en) Blade installing system
KR101358232B1 (en) Blade insta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ing blade using thereof for wind turbine
KR101334338B1 (en) Gripping apparatus for windmill blade
KR101406575B1 (en) Wind turbine
KR101334336B1 (en) Gripping apparatus for windmill blade
KR20130062828A (en) Unwinding improving apparatus for wind power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