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265A -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40265A KR20130140265A KR1020120063489A KR20120063489A KR20130140265A KR 20130140265 A KR20130140265 A KR 20130140265A KR 1020120063489 A KR1020120063489 A KR 1020120063489A KR 20120063489 A KR20120063489 A KR 20120063489A KR 20130140265 A KR20130140265 A KR 201301402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pulse signal
- pulse width
- input
- undershoo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01100328360 Schizosaccharomyces pombe (strain 972 / ATCC 24843) clr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01100328361 Schizosaccharomyces pombe (strain 972 / ATCC 24843) clr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711 Peperomia pelluci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ulses, e.g. deviation from pulse flatness, rise time or duration
- G01R29/023—Measuring pulse width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ulses, e.g. deviation from pulse flatness, rise time or duration
- G01R29/027—Indicating that a pulse characteristic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beyond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29/0273—Indicating that a pulse characteristic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beyond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the pulse characteristic being duration, i.e. width (indicating that frequency of pulses is above or below a certain limi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23—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from sources with high internal resistance by means of measuring circuits with high input impedance, e.g. OP-amplif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는 입력된 펄스 신호와 기 설정된 상한 임계치와 하한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제1 기준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언더슈트 검출부; 상기 제1 기준 펄스 신호와 상기 제1 기준 펄스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킨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여 그 연산한 결과로 제2 기준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오버슈트 검출부; 및 상기 제2 기준 펄스 신호와 기준 펄스를 논리곱 연산하여 그 연산한 결과로 상기 제2 기준 펄스 신호의 펄스폭을 상기 입력된 펄스 신호의 펄스폭으로 측정하는 펄스폭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언더슈트 검출부(11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버슈트 검출부(12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클리어신호 발생부(13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클리어 신호 CLR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펄스폭 측정부(14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클리어 신호 CLR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0: 오버슈트 검출부
130: 클리어신호 발생부
140: 펄스폭 측정부
Claims (13)
- 입력된 펄스 신호와 기 설정된 상한 임계치와 하한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제1 기준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언더슈트 검출부;
상기 제1 기준 펄스 신호와 상기 제1 기준 펄스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킨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여 그 연산한 결과로 제2 기준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오버슈트 검출부; 및
상기 제2 기준 펄스 신호와 기준 펄스를 논리곱 연산하여 그 연산한 결과로 상기 제2 기준 펄스 신호의 펄스폭을 상기 입력된 펄스 신호의 펄스폭으로 측정하는 펄스폭 측정부;
를 포함하는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슈트 검출부는,
상기 입력된 펄스 신호와 상기 상한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제1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입력된 펄스 신호와 상기 하한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제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여 그 연산한 결과로 상기 제1 기준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AND 게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교기는 OP 앰프(amplifier)로 구현되고, 상기 OP 앰프의 비반전 단자에는 펄스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OP 앰프의 반전 단자에는 상기 상한 임계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교기는 OP 앰프(amplifier)로 구현되고, 상기 OP 앰프의 비반전 단자에는 펄스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OP 앰프의 반전 단자에는 상기 상한 임계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슈트 검출부는,
상기 제1 기준 펄스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기; 및
상기 지연된 신호와 상기 제1 기준 펄스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여 그 연산한 결과로 제2 기준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AND 게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펄스 신호에 언더슈트가 발생되었으면, 상기 제2 기준 펄스 신호의 펄스폭을 측정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클리어 신호를 발생하는 클리어신호 발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신호 발생부는 D-플립플롭(flip-flop)으로 구현되고, 상기 D-플립플롭의 D 입력단자에는 하이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1 출력 신호가 반전되어 트리거 신호로 입력되며, 상기 제2 출력 신호가 반전되어 제1 클리어 신호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측정부는 D-플립플롭으로 구현되고, 상기 D-플립플롭의 D 입력단자에는 상기 제2 기준 펄스 신호와 기준 펄스가 논리곱 연산되어 입력되고 상기 제1 클리어 신호와 상기 제2 기준 펄스 신호가 반전된 제2 클리어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입력된 펄스 신호와 기 설정된 상한 임계치와 하한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기준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언더슈트 검출부;
상기 기준 펄스 신호와 기준 펄스를 논리곱 연산하여 그 연산한 결과로 상기 기준 펄스 신호의 펄스폭을 상기 입력된 펄스 신호의 펄스폭으로 측정하는 펄스폭 측정부; 및
상기 기준 펄스 신호에 언더슈트가 발생되었으면, 상기 기준 펄스 신호의 펄스폭을 측정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클리어 신호를 발생하는 클리어신호 발생부;
를 포함하는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슈트 검출부는,
상기 입력된 펄스 신호와 상기 상한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제1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입력된 펄스 신호와 상기 하한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제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여 그 연산한 결과로 상기 기준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AND 게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입력된 펄스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킨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여 그 연산한 결과로 기준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오버슈트 검출부; 및
상기 기준 펄스 신호와 기준 펄스를 논리곱 연산하여 그 연산한 결과로 상기 기준 펄스 신호의 펄스폭을 상기 입력된 펄스 신호의 펄스폭으로 측정하는 펄스폭 측정부;
를 포함하는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슈트 검출부는,
상기 입력된 펄스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기; 및
상기 지연된 신호와 상기 입력된 펄스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여 그 연산한 결과로 상기 기준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AND 게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지연 시간은,
2 ~ 3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3489A KR101361550B1 (ko) | 2012-06-14 | 2012-06-14 |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3489A KR101361550B1 (ko) | 2012-06-14 | 2012-06-14 |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40265A true KR20130140265A (ko) | 2013-12-24 |
KR101361550B1 KR101361550B1 (ko) | 2014-02-24 |
Family
ID=4998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3489A Active KR101361550B1 (ko) | 2012-06-14 | 2012-06-14 |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155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97122A (zh) * | 2017-01-10 | 2017-04-26 | 烟台大学 | 一种雷达及通信信号的脉冲宽度检测算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4424B1 (ko) | 2018-06-12 | 2019-01-30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미분을 이용한 펄스 폭 측정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50941B2 (ja) * | 1980-12-19 | 1984-12-11 | 富士通株式会社 | パルス波形測定方法 |
JPH0936920A (ja) * | 1995-07-14 | 1997-02-07 | Nikon Corp | インピーダンス不整合検出装置 |
-
2012
- 2012-06-14 KR KR1020120063489A patent/KR101361550B1/ko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97122A (zh) * | 2017-01-10 | 2017-04-26 | 烟台大学 | 一种雷达及通信信号的脉冲宽度检测算法 |
CN106597122B (zh) * | 2017-01-10 | 2019-03-19 | 烟台大学 | 一种雷达及通信信号的脉冲宽度检测算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61550B1 (ko) | 2014-0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12892B2 (en) | On-chip waveform measurement | |
US7957458B2 (en) | Jitter measurement apparatus, jitter measurement method, test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
US20200124709A1 (en) | Circuit, method and related chip for time measurement, system, and device | |
CN102411092A (zh) | 测试和测量仪器中的时域触发 | |
US20180372794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alibrating an automated test equipment | |
WO2018103368A1 (zh) | 浪涌保护方法和浪涌保护装置和用电设备 | |
US9568889B1 (en) | Time to digital converter with high resolution | |
CN117871945A (zh) | 一种高精度频率测量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KR101361550B1 (ko) | 오버슈트/언더슈트를 고려하여 펄스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
CN111814650A (zh) | 一种磁栅尺读数接收方法,装置,电子设备 | |
US20050002423A1 (en) | Technique for determining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electronic systems | |
JP2016038219A (ja) | 電流センサ | |
US9709533B2 (en) | Method and circuit for determining resonant frequencies of a resonant device | |
US20170059718A1 (en) |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radiation measurement device | |
JP6839359B2 (ja) | ジッタ測定回路 | |
KR101320433B1 (ko) | 절연 및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 | |
CN107505498B (zh) | 一种峰值和谷值检测电路 | |
US8547082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pulse width detection method | |
JP5608023B2 (ja) | 半導体集積回路及びノイズ耐性検査方法 | |
US11418314B2 (en) | Reception circuit | |
US11761996B2 (en) | Power supply voltage detector, power supply voltage detection apparatus, system and medium | |
US20240424937A1 (en) | Method and device for the voltage-level determining of a charging control-system signal | |
US8767900B2 (en) | Signal transition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the same | |
CA3109344C (en) | Radiation measurement device | |
US20250155499A1 (en)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jitter measur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