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689A - Method for delivering a message between de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livering a message between de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689A
KR20130139689A KR1020120063361A KR20120063361A KR20130139689A KR 20130139689 A KR20130139689 A KR 20130139689A KR 1020120063361 A KR1020120063361 A KR 1020120063361A KR 20120063361 A KR20120063361 A KR 20120063361A KR 20130139689 A KR20130139689 A KR 20130139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ssage
indoor
portable terminal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3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45781B1 (en
Inventor
노해강
김한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3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781B1/en
Publication of KR20130139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6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7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capable of checking of a message received by various types of terminals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device and system for the same,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home network terminal for inquiring to a portable terminal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uses a home network terminal or not when an adjacent terminal is detected and outputting a received message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for generating response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home network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transmitting the response information to the home network terminal when the inquiry for the use of the home network terminal, transmitting a message inputted from a user from the time point which the respon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or a message received from an opponent portable terminal to the home network terminal, and for transmitting a past message for a requested predetermined section to at least one home network terminal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the past message from the at least one home network terminal for the predetermined section. [Reference numerals] (AA) Start;(BB) End;(S101) Detecting a portable terminal?;(S103) Inquiring to the portable terminal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uses a home network terminal;(S105) Response?;(S107) Receiving a message;(S109) Capable of outputting a video?;(S111) Outputting the message with video information;(S113) Outputting the message by converting into audio information

Description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delivering a message between de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Method for providing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apparatus and system for same {Method for delivering a message between de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로 수신된 메시지를 다양한 종류의 단말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 terminal-to-terminal message service,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verifying a message received by a mobile terminal in various types of terminals.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시청 등 다양한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구현되어 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types of terminal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personal computers may be implement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Ta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in addition to basic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various functions such as data communication, photographing or video recording using a camera,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playing games, and watching broadcasting have been complexly implemented in recent years.

이러한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의 증대를 위한 기술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하드웨어 개량 기술은 물론 소프트웨어 개량 기술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Technological developments for increasing the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on such terminals have been continuously carried out, and they have been continuously carried out mainly in hardware improvement technology and software improvement technology.

한편, 최근에는 단말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한 후 다른 사용자와 대화를 진행하고자 하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사용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frequency of use of a messenger program that attempts to conduct a conversation with another user after accessing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terminal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이러한 메신저 프로그램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에서 이용할 수 있으나, 단말을 변경하여 이용하고자 할 경우, 다시 말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있는 중에 다른 단말, 예컨대 텔레비전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텔레비전에 저장된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를 선택한 후 메시지를 보내야 하는 것처럼, 복잡한 여러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messenger program can be used in various types of terminals, but if a user wants to change the terminal, that is, a user is transmitting or receiving a message to another us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rder to send and receive messages with a user, a messenger program stored in a television needs to be executed, and after selecting another user, a message has to be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단말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중에, 다른 단말을 이용하여 별다른 절차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n particular,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with a counterpart terminal using a terminal, even if a different procedure is not performed using another terminal, a message is continuously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and an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다양한 종류의 단말을 통해 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그 복합된 형태의 정보로 출력함으로써, 새로운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that can provide a new messenger service by outputting a message received from a counterpart terminal as image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through various types of terminal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apparatus and system for this purpo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이 댁내에 설치된 댁내 단말(기기)들과 연동하고, 사용자가 댁내에 진입하면 인접한 댁내 단말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접한 댁내 단말로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과거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ssage service to an adjacent indoor terminal when a mobile terminal is interlocked with indoor terminals (devices) installed in the home, and the user enters the indoor home, and transmits a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ection to an adjacent indoor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for providing a device, an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인접한 휴대 단말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로 댁내 단말 이용 여부를 질의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로부터 댁내 단말 이용 여부에 대한 질의가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댁내 단말에 접속하기 위한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댁내 단말로 전송하고, 응답 정보를 전송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 또는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댁내 단말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로부터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를 요청받으면, 요청된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로 전송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ystem for providing a terminal-to-device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djacent portable terminal is detected, inquires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in the home terminal, and outputs a received message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query for the use of the indoo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response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indoor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and the respon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A message input from a user or a message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to the indoor terminal, and when a past message for a specific section is requested from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the past message for the specific section is requested. Including a mobile terminal to transmit to the terminal It can b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댁내 단말은 인접하는 휴대 단말을 감지하는 휴대 단말 감지부,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휴대 단말 감지부를 통해 인접한 휴대 단말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로 댁내 단말 이용 여부를 질의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고,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 확인 요청이 입력되면, 휴대 단말로 요청하여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과거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door terminal for providing an inter-terminal messag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adjacent portable terminal,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message, and an adjacent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detecting unit. When detected, the mobile terminal is queried whether the home terminal is used, and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is controlled to output the received message through the output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receive the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a particular section to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여기서, 출력부는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오디오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output unit may convert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into audio information and output the audio information.

여기서, 출력부는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영상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output unit may convert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to the image information and output.

또한, 본 발명의 댁내 단말은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를 출력부를 통해 표시하고, 휴대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supporting the user input,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input message through the output unit, if the message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may transmit the message to the portable terminal have.

여기서, 제어부는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고, 자신의 상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한다.Here, when the controller is inactivated, the controller is activ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its own state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 서비스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및 단말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로부터 댁내 단말 이용 여부에 대한 질의가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댁내 단말에 접속하기 위한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댁내 단말로 전송하고, 응답 정보를 전송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 또는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댁내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 확인 요청이 입력되면,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상대방 휴대 단말과의 과거 메시지 내용이 존재하는 지 확인한 후 특정 구간에 해당하는 과거 메시지를 댁내 단말로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a service device, and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rom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through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When a query for use is received, response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indoor termi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 input, and a message input from the user or a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from the time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and if a user inputs a past message confirmation request for a specific section from the user, checks whether there is a content of the past message with the counterpart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ction, and then sends a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ction to the indoor terminal. Configuration including the terminal control unit to transmit to May.

여기서, 단말 제어부는 응답 정보를 댁내 단말로 전송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를 댁내 단말 및 대응하는 상대방 휴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메시지를 댁내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Here, the terminal control unit transmits a message input from the user to the indoor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counterpart mobile terminal from the time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and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received message to the indoor terminal. It may be.

또한, 단말 제어부는 댁내 단말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댁내 단말을 리모컨 기능을 이용하여 활성화시키고, 댁내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입력되는 메시지 또는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댁내 단말로 전송한다. In addition, when the indoor terminal is deactivated, the terminal controller activates the indoor terminal by us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receives and manages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indoor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puts a message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또한, 단말 제어부는 통신 중인 댁내 단말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다른 인접 댁내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미리 저장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한 댁내 단말에서 장애가 발생한 시점 및 장애가 발생한 구간에 전송한 메시지를 확인하고, 장애가 발생한 구간에 전송한 메시지를 다른 인접 댁내 단말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고, 현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또는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다른 인접 댁내 단말로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perform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adjacent indoor terminal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indoor terminal in communication, and transmits a message transmitted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failure occurred and the period where the failure occurred using the pre-stored state information. The terminal transmits the message transmitted in the section where the failure occurred to the other adjacent indoor terminal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message input from the current user or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to the other adjacent indoor terminal.

또한, 단말 제어부는 댁내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을 사용자의 인접 정도에 따라 지도 또는 목록 형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표시된 지도 또는 목록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댁내 단말을 선택받아 선택된 댁내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controls the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located in the home to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map or a list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user, and selects the desired indoo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ed map or list to the selected indoor terminal. Send i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댁내 단말이 인접한 휴대 단말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로 댁내 단말 이용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 댁내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댁내 단말에 접속하기 위한 응답 정보를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휴대 단말이 응답 정보를 댁내 단말로 전송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 또는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댁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댁내 단말이 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댁내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 확인 요청이 입력되면, 휴대 단말로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과거 메시지를 요청하는 단계, 휴대 단말이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과거 메시지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과거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휴대 단말이 과거 메시지를 댁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의 순으로 이뤄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terminal-to-device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when a mobile terminal adjacent to a home terminal is detected, inquiring whether the home terminal is used or not is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Receiving response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indoor termi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any one of the message input from the user or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from the time whe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the response information to the indoor terminal And outputting a message received by the indoor terminal. When the indoor terminal receives a request for confirming a past message for a specific section from the user, requesting a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c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a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ection exists, the portable terminal may transmit the past message to the indoor terminal.

이때, 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댁내 단말이 영상 정보 출력을 지원하지 않는 댁내 단말일 경우, 메시지를 오디오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received message, when the indoor terminal is an indoor terminal that does not support image information output, the message may be converted into audio information and output.

또한, 댁내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를 출력하고,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message is input from the user, the indoo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the input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input message to the portable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is recorded.

본 발명의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특정 단말, 예컨대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던 중에 인근의 다양한 종류의 다른 단말과 연결하여, 상대방 단말과의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and an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wherein a message is transmitted to and received from a counterpart terminal using a specific terminal, for example, a portable terminal, and connected with other types of other terminals nearby, The advantage is that messages can be sent and received continuously.

본 발명의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휴대 단말과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단말 고유 특성에 따라, 메시지를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흥미로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viding an inter-terminal message service, an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by outputting a message to the user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various kinds of terminal-specific characteristic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can use a more interesting message service.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댁내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댁내 단말의 입력부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를 댁내 단말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indoo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hom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input unit of an indoo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for outputting a past message for a specific section through an indoo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at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o omit the unnecessary description so as to convey the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without fading.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describing various components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are not used to define the components.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ssage service providing system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2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 예컨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중에 댁내 단말(10)에 인접하게 되면, 휴대 단말(20)을 통해 이용하던 메신저 서비스를 댁내 단말(10)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용하고자 한다.Referring to FIG. 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s adjacent to the indoor terminal 10 while using a specific service, for example, a messenger service, the portable terminal 20 may be used. The messenger service used through the home terminal 10 is to be continuously us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다수의 댁내 단말(10_1, 10_2, ... 10_n), 휴대 단말(20), 서비스 장치(30) 및 통신망(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terminal-to-device messag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indoor terminals (10_1, 10_2, ... 10_n), the mobile terminal 20, the service device 3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서, 댁내 단말(10)은 특정 공간, 예컨대 가정 또는 사무실 내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서는 개인이 주로 소지하며 이용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휴대 단말을 비롯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텔레비전, 컴퓨터, 오디오 장치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존재한다. 이 외에도 세탁기, 냉장고 등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존재한다.Here, the indoor terminal 10 refers to all types of electronic devices that can be used by a user in a specific space, such as a home or an office. In general, a large number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and MP3 players, are used by individuals. There are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televisions, computers, audio devices, etc. available to the user.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at perform specific functions such as a washing machine and a refrigerator.

이러한, 특정 공간 내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전자 기기를 본 발명의 댁내 단말(10)로 이용할 수 있다.All types of electronic devices that can be used by a user in a specific space may be used as the indoor termin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댁내 단말(10)은 인접한 휴대 단말(20)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20)로 댁내 단말(10)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20)을 통해 제공되던 서비스를 이용할 지를 먼저 사용자에게 질의하게 된다. 여기서 질의 방법은 휴대 단말(20)로 직접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입력 받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adjacent mobile terminal 20 is detected, the indoor terminal 10 first queries the user whether to use the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 by using the indoor terminal 10. In this case, the query method preferably transmits a query message directly to the mobile terminal 20 to receive a response from the u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후, 휴대 단말(20)로부터 이에 대응하여 응답 정보를 생성하게 되면, 휴대 단말(20)을 통해 댁내 단말(10)을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휴대 단말(2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댁내 단말(10)은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댁내 단말(20)은 휴대 단말(2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그 결합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is gene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 in response thereto, the indoor terminal 10 can be us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 the indoor The terminal 10 may output the received message. In this case, the indoor terminal 20 may output a messag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 in the form of image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공간, 예컨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댁내 단말(10)은 다양한 성격의 전자 기기, 예컨대, 텔레비전, 컴퓨터, 오디오 장치, 세탁기, 냉장고 등의 전자 기기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자 기기들은 바람직하게는 오디오 정보 또는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텔레비전, 컴퓨터의 경우 오디오 정보 및 영상 정보 모두를 출력 가능하며, 오디오 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세탁기, 냉장고 등의 전자 기기들은 최근 지능화되는 경향에 따라 오디오 정보, 더 나아가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terminal 10 that may be used in a specific space, such as a home or an office, may use electronic devices of various personalities, such as televisions, computers, audio devices, washing machines, refrigerators, and the like. Such electronic devices may preferably output at least one of audio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television and a computer, both audio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can be output, and in the case of an audio device, audio information can generally be output. BACKGROU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washing machines and refrigerators have a function of outputting audio information and even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of intelligence.

이러한, 댁내 단말(10)을 사용자가 휴대 단말(20)을 이용하여 다른 상대방 휴대 단말과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던 중에, 댁내 단말(10)에 인접하게 되면,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댁내 단말(10)을 통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정보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영상 정보 출력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댁내 단말(10)의 경우 오디오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user accesses the indoor terminal 10 to the indoor terminal 10 while the user uses the mobile terminal 20 and the message service with the other mobile terminal,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terminal is displayed in the indoor terminal. It will be output through (10).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message may be output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or the indoor terminal 10 that does not support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function may be converted into audio information and output.

상술한 댁내 단말(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ma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indoor terminal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휴대 단말(2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와 같이 개인이 주로 소지하며,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단말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20)은 메신저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terminal 20 is mainly carried by an individu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or an MP3 player, and can be used anytime and anywhere. As an easy terminal, it is preferable that the mobile terminal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messenger service func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20)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상대방 휴대 단말(20)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던 중에,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10)로부터 댁내 단말 이용 여부에 대한 질의가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댁내 단말(10)에 접속하기 위한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댁내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댁내 단말(10)에 접속하기 위한 응답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 기간 이상 댁내 단말(10) 인근에 지속적으로 인접하여 있을 경우, 사용자로부터 별다른 댁내 단말(10)에 접속하기 위한 응답 정보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댁내 단말(10)에 접속하기 위한 응답 정보가 생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query regarding whether to use the indoor terminal from the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10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with at least one other counterpart portable terminal 20.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response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indoor terminal 10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10. Here, the response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indoor terminal 10 is described as an example generated by a user inpu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is continuously adjacent to the indoor terminal 1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ven if the response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other indoor terminal 10 is not inputted from the terminal,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response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indoor terminal 10 is generated.

또한, 다수의 댁내 단말(10_1, 10_2, ... 10_n)이 인접한 휴대 단말(20)을 동시에 감지하여, 휴대 단말(20)로 댁내 단말 이용 여부에 대한 질의를 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댁내 단말(10)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시스템에 의해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댁내 단말(10)을 선정하여 응답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ndoor terminals 10_1, 10_2,... 10_n may simultaneously detect adjacent portable terminals 20 and query the portable terminal 20 about whether to use indoor terminals. In this case, the specific indoor terminal 10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the indoor terminal 10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a priority set by the system and transmitted with response information.

예컨대, 사용자가 현재 이용하고 있는 휴대 단말(20)이 스마트 폰이고, 상기 휴대 단말(20)이 인접하고 있음을 동시에 감지한 댁내 단말(10)이 PDA와 텔레비전일 경우, 시스템의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휴대 단말(20)과 성격이 유사한 PDA를 댁내 단말(10)로 선정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크기를 기준으로 텔레비전을 댁내 단말(10)로 선정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20 currently used by the user is a smart phone and the indoor terminal 10 that detects that the portable terminal 20 is adjacent to each other is a PDA and a television, a preset priority of the system. Accordingly, a PDA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portable terminal 20 may be selected and used as the indoor terminal 10, and a television may be selected and used as the indoor terminal 10 based on the size.

상술한 과정과 같이, 댁내 단말(10)을 선정하여 댁내 단말(10)에 접속하기 위한 응답 정보를 댁내 단말(10)로 전송하게 되면, 휴대 단말(20)은 댁내 단말(10)과 연결된 상태가 되며, 상기 응답 정보를 전송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 또는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휴대 단말(20)을 통해 댁내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door terminal 10 is selected and response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indoor terminal 10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10, the portable terminal 20 is connected to the indoor terminal 10.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a message input from the user or a message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mobile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10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

즉, 상대방 휴대 단말과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30)를 거쳐 메시지를 송수신하게 되는데, 휴대 단말(20)은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휴대 단말(20)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으나, 이를 연결된 댁내 단말(10)을 통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mobile station 20 transmits and receives a message through a service device 30 that provides a messenger service, and the mobile terminal 20 transmits a message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s mobile terminal through a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20. It may be output, but will be output through the connected indoor terminal (10).

이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20)을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과 메시지를 주고 받는 중에 별다른 절차 없이 댁내 단말(10)을 이용하겠다는 응답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댁내 단말(10)을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과 지속적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rough this, the user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to use the indoor terminal 10 without any other procedure while exchanging a message with the other termina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20, thereby more easily using the indoor terminal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end and receive messages with the other party's mobile terminal.

휴대 단말(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ma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서비스 장치(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휴대 단말(20)로부터 메시지 및 상대방 휴대 단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장치(30)는 상대방 휴대 단말로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하고, 휴대 단말(20)과 상대방 휴대 단말 사이에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rvice device 30 is a device that provides a messenger servic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essage and the information on the counterpart mobile terminal ar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 the service device 30 transmits the received message to the counterpart portable terminal, and relates to a messenger servi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counterpart portable terminal. It serves to provide various servic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댁내 단말(10_1, 10_2, ... 10_n)과 휴대 단말(2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 단말(20)은 통신망(40)을 통해 다른 휴대 단말(20)과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서비스 장치(30)와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4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A plurality of indoor terminals 10_1, 10_2,... 10_n and the portable terminal 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20 transmits / receives information to or from the other mobile terminal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or to / from the service device 30.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networks may be used. For example, a wireless LAN (WLAN), a Wi-Fi (Wi-Fi), a Wibro, a WiMAX, a WiMAX, an HSDPA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or wired Ethernet, xDSL (ADSL, VDSL), Hybrid Fiber Coaxial Ca (HFC), Fiber to The Curb (FTTC), and Fiber To The Home (FTTH) Communication method can be used.

이때, 휴대 단말(20)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고, 서비스 장치(30)는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관련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20 may transmit and receive related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rvice device 30 may transmit and receive related information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include any form of communication known or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 단말(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a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ndoor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indoo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 단말(10)은 휴대 단말 감지부(11), 출력부(12), 제어부(13), 입력부(14), 통신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indoor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rtable terminal detecting unit 11, an output unit 12, a control unit 13, an input unit 14, and a communication unit 15. It is configured to include.

휴대 단말 감지부(11)는 인접하는 휴대 단말(10)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휴대 단말 감지부(11)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센서를 통해 인접하는 휴대 단말(10)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유도형 센서(Inductive sensor), 자기형 센서(Magnetic sensor), 정전용량형 센서(Capacitive sensor), 광 센서(Photo sensor) 등 비접촉 방식으로 근접하는 물체의 유무를 판단하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휴대 단말(10)을 감지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detecting unit 11 detects the adjacent portable terminal 10. Here, the portable terminal detecting unit 11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and can detect the adjacent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the sensors. For example, a non-contact sensor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n object in a non-contact manner, such as an inductive sensor, a magnetic sensor, a capacitive sensor, a photo sensor, etc.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n adjacent mobile terminal 10.

이때, 유도형 센서는 금속 물체를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하는 것으로 금속 물체가 검출 코일에 접근하면 금속 물체와 검출 코일의 전자 결합에 의해 검출 코일의 저항과 유도용량이 변화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며, 자기형 센서는 자성을 띈 물체가 근접하면 자기장이 변화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In this case, the inductive sensor detects a metal object in a non-contact manner. When the metal object approaches the detection coil, the inductive sensor uses the principle that the resistance and the inductance of the detection coil are changed by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of the metal object and the detection coil. Type sensors use the principle that the magnetic field changes when a magnetized object is in close proximity.

반면 정전용량형 센서는 전계 중에 존재하는 물체 내의 전하 이동, 전하 분리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것으로 센서의 분극 현상을 이용하므로 손가락과 같은 비금속 물체는 물론 액체의 감지도 가능하다. 즉, 정전용량형 센서 감지판에 일정 거리 내로 물체가 근접하게 되면 감지판과 물체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화게 되며, 변화된 정전용량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기준 값 이상일 경우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게 되는 방식이다.On the other hand, the capacitive sensor detects an object by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charge transfer or charge separation in an object existing in an electric field, and uses a polarization phenomenon of the sensor, so that a liquid as well as a nonmetal object such as a finger can be detected. Do. That is, when an object approaches the capacitive sensor sensing plate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 capacitance between the sensing plate and the object changes, and when the re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changed capacitance value, the proximity object is detected. That's the way.

광 센서는 일정 파장의 빛을 근접 물체에 조사한 후 조사된 빛이 근접 물체로부터 다시 반사되는 반사량을 통해 근접 물체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반사되는 반사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수광부로 구성된다. The optical sensor emits light of a certain wavelength to a nearby object and then detects a nearby object through the amount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back from the nearby object. It consists of a light receiving unit.

이러한 상술한 센서가 인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ince the above-described sensor detects an adjacent object is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휴대 단말 감지부(11)는 다수의 센서를 구비하여 인접하는 휴대 단말(20)을 감지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20)을 통해 지속적으로 송출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20)이 인접하고 있음을 감지하고 있을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detecting unit 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to detect the adjacent portable terminal 20, and detect the signal continuously transmitt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20 to carry the portable terminal 20. It may be sensing that this is adjacent.

출력부(12)는 댁내 단말(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12)는 연결된 휴대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The output unit 12 outputs information on a series of operation states and operation results generated while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indoor terminal 10. In particular, the output unit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message received from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20.

여기서 출력부(12)는 영상 정보 형태로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오디오 정보 형태, 또는 영상 정보와 오디오 정보의 복합 정보 형태로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output unit 12 may output the message in the form of image information or output the message in the form of audio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of imag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댁내 단말(10)이 텔레비전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은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복합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TV 시청 도중에 연결된 휴대 단말(2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를 텍스트 형태(100)로 영상 정보와 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door termin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television, a television generally outputs a combination of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 connected while watching TV, the received message may be displayed in combination with the image information in text form 100.

또한, 본 발명의 댁내 단말(10)이 디스플레이 기능은 구비하지 않는 오디오 장치인 경우, 연결된 휴대 단말(2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를 오디오 형태로 변환하여 오디오 정보로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door termin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dio device having no display function,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nnected portable terminal 20, the received terminal may be converted into an audio form and output as audio information. .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출력부(12)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모듈(미도시) 및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모듈(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output uni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not shown)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and an audio module (not shown) capable of outputting audio information.

제어부(13)는 댁내 단말(10)의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는 휴대 단말 감지부(11)를 통해 인접하는 휴대 단말(20)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20)로 댁내 단말 이용 여부를 질의하고, 휴대 단말(20)과 연결이 된 이후에, 상기 휴대 단말(2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부(12)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13 performs overall management of the indoor terminal 10, and may be a process unit for driving an operating system (OS) and each component,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have. In particular, when the adjacent portable terminal 20 is detect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detecting unit 11, the control unit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queries the portable terminal 20 whether the indoor terminal is used, and the portable terminal ( After connection with 20), if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 it is controlled to output the received message through the output unit 12.

이때, 출력부(12)가 영상 정보 출력을 지원하는 경우, 출력부(12)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영상 정보와 수신된 메시지를 결합하여 출력하게 되며, 오디오 정보만을 지원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오디오 정보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output unit 12 supports the output of the image information, the output information is output by combining the received message with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2, and if only the audio information is supported, the received message It controls the conversion to the audio information form and outpu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연결된 휴대 단말(2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부(12)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할 입력부(1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를 출력부(12)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입력부(14)를 통해 메시지가 입력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상대방 휴대 단말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제어부(13)는 통신부(15)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휴대 단말(20)로 전송하게 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20, the received message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2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put unit 14 to be described below is described. It may also be controlled to output a message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12 through the (). In this case, when a message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4, the control unit 13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 in order to transmit the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do.

또한, 제어부(13)는 입력부(14)를 통해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 확인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구간에 대응하는 과거 메시지를 휴대 단말(20)로 전송하여 요청하고, 대응하는 과거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를 출력부(12)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request for checking a past message for a specific sec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4, the controller 13 transmits and requests a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receives a corresponding past message. After this, it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2.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 단말(20)을 통해 다른 상대방 휴대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던 도중에 댁내 단말(10)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출력하게 될 경우, 댁내 단말(10)을 통해 출력되는 메시지는 휴대 단말(20)과 연결된 시점 이후의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또는 휴대 단말(2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가 될 것이다. 연결되기 이전의 메시지는 댁내 단말(10)을 통해 확인이 어려우므로, 사용자는 연결되기 이전의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특정 구간 또는 전체 구간을 선택하여 휴대 단말(20)로 요청하고, 휴대 단말(20)은 상기 휴대 단말(20)에 기 저장된 메시지 또는 서비스 장치(30)로부터 대응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댁내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user outputs a message using the indoor terminal 10 while transmitting or receiving a message with another mobile terminal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 the message output through the indoor terminal 10 may be a portable terminal ( It will be a message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s mobile terminal after the time point connected with 20) or a message input from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0. Since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message before the connection through the indoor terminal 10, the user selects a specific section or the entire section and requests the portable terminal 20 to check the message before the connec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20 receives a message previously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 or a corresponding message from the service device 30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message to the indoor terminal 10.

여기서 특정 구간은 댁내 단말(10)이 지원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댁내 단말(10)이 영상 정보 출력 기능은 지원하지 않고 오디오 정보 출력만을 지원하는 오디오 장치인 경우, 오디오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감기(101), 재생/정지(102), 빨리감기(103) 버튼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마지막 메시지가 수신된 시점에서, 되감기(10) 버튼을 3분 동안 누른 후 정지(102) 버튼을 눌렀다면, 3분 동안의 구간에 대응하는 과거 메시지를 휴대 단말(20)로 요청하고, 휴대 단말(20)은 3분 동안의 구간에 대응하는 과거 메시지가 존재할 경우, 상기 댁내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Here, the specific section may be input using basic functions supported by the indoor terminal 10. For example, when the indoor terminal 10 is an audio device that does not support the video information output function and supports only the audio information output, the audio device generally rewinds 101 and plays / stops 102 as shown in FIG. 4. And a fast forward 103 button. At this point, if the user presses the rewind 10 button for 3 minutes and then presses the stop 102 button at the time when the last message is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20 requests a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for 3 minutes. In addition, when there is a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for 3 minutes, the portable terminal 20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indoor terminal 10.

여기서의 특정 구간이 3분 동안의 구간이더라 하더라도, 메시지는 3분 동안 주고 받은 메시지를 댁내 단말(10)로 전송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3일 동안, 또는 기 설정된 구간만큼 해당하는 과거 메시지를 댁내 단말(10)로 전송할 수도 있다.Even if a specific section is a section for 3 minutes, the message does not transmit the message sent or received for 3 minutes to the home terminal 10, and in some cases, a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3 days or a predetermined section may be used.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10.

입력부(14)는 댁내 단말(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3)로 전송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4)가 기본적인 댁내 단말(10)의 기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기본 버튼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며, 키패드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명령을 지원하기 위한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14 transmits a signal input from a user to the control unit 13 in relation to the control of the function of the indoor terminal 10.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unit 14 controls the function of the basic indoor terminal 10. It may be configured only with a basic button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r may be configured with a button for supporting various kinds of commands such as a keypad.

통신부(15)는 휴대 단말(20)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munication unit 15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bile terminal 20, but preferably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20)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휴대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던 중에 특정 공간, 예컨대, 댁내에 진입하게 되면, 휴대 단말(20)뿐 아니라 인근의 다양한 종류의 댁내 단말(10)과 연결하여, 메시지를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흥미로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such, when a user enters a specific space, for example, a home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with another user's mobile terminal using the mobile terminal 20, not only the portable terminal 20 but also various types of indoor terminals nearby ( In connection with 10), by outputting a message to the user in various forms, the user can use a more interesting message servic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 단말(10)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를 통해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댁내 단말(10)의 기능에 따라 더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댁내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댁내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main components of the indoor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owever, not all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2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indoor terminal 1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depending on the functions of the indoor terminal 10, and in fewer components. The indoor terminal 10 may be implemen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20)은 단말 통신부(21), 단말 제어부(22), 단말 입력부(23), 단말 출력부(24) 및 단말 저장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5, the portable terminal 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 a terminal control unit 22, a terminal input unit 23, a terminal output unit 24, and a terminal storage unit. It is comprised including 25.

단말 통신부(21)는 통신망(40)을 통해 서비스 장치(30)와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댁내 단말(10)과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통신부(21)는 통신망(40)을 통해 서비스 장치(30)로부터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휴대 단말(2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30)를 거쳐 상대방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댁내 단말(10)로부터 댁내 단말 이용 여부에 대한 질의가 수신되면, 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 transmits and receives related information with the service apparatus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and transmits and receives related information with the indoor terminal 10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particular,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message from the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from the service device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and receives the messag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 It may transmit to the other party's mobile terminal via the service device 30. In addition, when a question about whether to use the indoo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indoor terminal 10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espons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단말 제어부(22)는 휴대 단말(20)의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운영체제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어부(22)는 단말 통신부(21)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10)로부터 댁내 단말 이용 여부에 대한 질의가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댁내 단말(10)에 접속하기 위한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댁내 단말(10)로 전송하고, 응답 정보를 댁내 단말(10)로 전송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 또는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댁내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The terminal controller 22 performs overall manag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may be a process device for driving the operating system and each component,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In particular, when the terminal control unit 2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inquiry about whether to use the indoor terminal from the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10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 the indoor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user input. Produces response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terminal 10 and transmits the response information to the indoor terminal 10, and receives the message input from the user or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from the time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10. Will be sent to.

댁내 단말(10)로 응답 정보를 전송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를 이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함과 동시에 연결된 댁내 단말(10)로 전송하여, 댁내 단말(10)을 통해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respon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10, if a message is input from the user, the input message is transmitted to another indoor portable terminal 10 simultaneously with the corresponding user mobile terminal, and the indoor terminal ( 10) will output the message.

또한, 사용자로부터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 확인 요청이 입력되면,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상대방 휴대 단말과의 과거 메시지 내용이 존재하는 지 확인한 후,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상대방 휴대 단말과 주고 받은 과거 메시지 내용이 존재할 경우 이를 댁내 단말(10)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request for confirming a past message for a specific section is input by the user, after confirming whether there is a content of a past message with the counterpart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ction, the past message exchanged with the counterpart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ction is checked. If the content exists,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10.

한편, 상술한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20)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10)을 직접 선택하여 선택된 댁내 단말(10)을 활성화함으로써, 선택된 댁내 단말(10)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단말 제어부(22)는 사용자의 위치에 인접한 댁내 단말(10)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인접한 댁내 단말(10)을 리모컨 기능을 이용하여 활성화시키고, 인접한 댁내 단말(1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 또는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인접 댁내 단말(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특정 공간(예를 들어, 댁내)에 위치한 활성화되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모든 댁내 단말들(1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댁내 단말(10)이 설치된 위치 정보, 활성화 여부, 메시지 제공 여부, 메시지 제공받은 시점, 장애 발생 여부 및 기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20 by directly selecting at least one adjacent indoor terminal 10 to activate the selected indoor terminal 10, the selected indoor terminal It is also possible to send a message to (10). To this end, the terminal controller 22 activates the adjacent indoor terminal 10 by us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when the indoor terminal 10 adjacent to the user's location is deactivated, and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adjacent indoor terminal 10. Receives and manages the status information through, and transmits a message input from the user or a message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s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to the neighboring indoor terminal 10. Here, the stat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stored from all the indoor terminals 10 activated and located in a specific space (for example, indoor)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ctivation of the indoor terminal 10 is installed. Whether the message is provided,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whether a failure occurs, and device information. The state inform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further include other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단말 제어부(22)는 댁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10)을 사용자의 인접 정도에 따라 지도 또는 목록 형태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표시된 지도 또는 목록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댁내 단말을 선택받아 선택된 댁내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The terminal controller 22 may display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10 located in the home in the form of a map or a list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user, and select and select a desired indoo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ed map or list. The message can be sent to the indoor terminal.

또한, 단말 제어부(22)는 통신 중인 댁내 단말(1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다른 인접 댁내 단말(1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미리 저장되어 관리되는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한 댁내 단말에서 장애가 발생한 시점 및 장애가 발생한 구간에 전송한 메시지를 확인하고, 장애가 발생한 구간에 전송한 메시지를 다른 인접 댁내 단말(10)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제어부(22)는 현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또는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도 다른 인접 댁내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입력부(23)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휴대 단말(2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 제어부(22)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 입력부(23)는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후 대화를 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지원하며, 사용자로부터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를 단말 제어부(22)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indoor terminal 10 in communication, the terminal controller 22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adjacent indoor terminal 10, and uses a state information that is stored and managed in advance. The message transmitted at the time point of the failure and the time interval of the failure may be checked, and the message transmitted in the time zone of the failure may be transmitted to the other adjacent indoor terminal 10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22 may also transmit a message input from the current user or a message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to another neighboring indoor terminal 10. The terminal input unit 23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numbers and text information, and transmits a signal input in connection with setting various functions and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20 to the terminal controller 22. In particular, the terminal input unit 23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user's input for selecting a counterpart to have a conversation after executing a messenger program, and when a message to be transmitted from the user to the counterpart terminal is input, the terminal control unit ( 22) to transmit.

이러한 단말 입력부(23)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단말 입력부(23)는 단말 출력부(24)의 표시 모듈과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입력부(23)는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 또는 음성 입력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The terminal input unit 2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pad and a touch pad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or manipul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input unit 23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one touch panel (or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of the terminal output unit 24 to simultaneously perform input and display functions. The terminal input unit 2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or a keypad, a touch input means such as a touch sensor or a touch pad,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 camera.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gesture input means or voice input means. In addition, it can include all forms of input that are currently under development or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단말 출력부(24)는 휴대 단말(2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메신저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하는 메시지 및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출력부(24)가 표시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출력부(24)가 오디오 처리모듈(미도시)를 포함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말 제어부(22)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단말 제어부(22)에 전달할 수 있다.The terminal output unit 24 displays information on a series of operation states and operation results generated while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 In particular, when the messenger program is executed,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ssenger program may be displayed, or a message input by a user and a message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may be displayed. When the terminal output unit 24 is configured as a display modu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CD (TFT-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an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ED),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output unit 24 includes an audio processing module (not shown), an audio signal input from a speaker SPK or a microphone MIC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controller 22. It performs the function. An analog format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audio processing module may be converted into a digital format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controller 22.

단말 저장부(25)는 휴대 단말(2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 저장부(25)는 메신저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terminal storage unit 25 stores a program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data generated while executing the program. In particular, the terminal storage unit 25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ssenger program, and may store a message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mobile terminal.

이러한 단말 저장부(25)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2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휴대 단말(10)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하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1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메신저 프로그램 상에서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및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대방 사용자 정보에 매핑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저장되거나, 상대방과의 활성화된 채팅 창 정보에 대응하여 메시지가 저장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storage unit 25 may largely include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The program area stores relevant information for driving the mobile terminal 10 such as an operating system (OS) for booting the mobile terminal 20, and the data area is an area in which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10 is stored. As a result, a message input by a user to be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on the messenger program and a message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may be stored. In addition,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may be stored by mapping to the counterpart user information, or the message may be stored in response to the active chat window information with the counterpart.

이러한, 단말 저장부(25)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storage unit 25 may include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a RAM, a ROM. (ROM) or the like, and a storage medium.

이상으로,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20)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In the above, the main components of the portable terminal 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다수의 댁내 단말(10)은 댁내 단말(10)로 인접하는 휴대 단말(20)이 존재하는 지 지속적으로 감지하게 된다(S101). 이때, 댁내 단말(10)에 구비된 다수의 센서를 통해 휴대 단말(20)의 근접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휴대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20)의 근접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후, 다수의 댁내 단말, 예컨대 텔레비전과 오디오 장치 댁내 단말(10)이 휴대 단말(20)을 감지하게 되면, 휴대 단말(20)로 댁내 단말 이용 여부를 질의하게 된다(S103).1 and 6, first, a plurality of indoor terminals 10 continuously detect whether a portable terminal 20 adjacent to a indoor terminal 10 exists (S101). In this case, the proximity of the portable terminal 20 may be detected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provided in the indoor terminal 10, and the proximity of the portable terminal 20 is detected by detec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 You may. Thereafter, when a plurality of indoor terminals, for example, the television and audio device indoor terminals 10 detect the portable terminal 20, the portable terminal 20 queries whether the indoor terminal is used (S103).

이후, 사용자를 휴대 단말(20)을 통해 댁내 단말 이용 여부 질의 메시지를 확인하여, 텔레비전과 오디오 장치 중 어느 댁내 단말을 이용할 지를 선택하여 응답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105). 예컨대, 사용자자 이용하고자 하는 댁내 단말(10)로 텔레비전을 선택하였다면, 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텔레비전으로 전송하게 된다.Thereafter, the user checks the indoor terminal availability question message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20, selects which indoor terminal to use among the television and the audio device, and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S105). For example, if a user selects a television as the indoor terminal 10 to be used, the user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sponse information to the television.

이후, 댁내 단말(10)은 휴대 단말(2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S107), 댁내 단말(10)이 영상 출력을 지원하는 경우(S109), 영상 정보 또는 영상 정보와 오디오 정보가 결합된 형태로 메시지를 출력하고(S111), 그렇지 않을 경우 오디오 정보로 변환하여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S113).Thereafter, when the indoor terminal 10 receives a message from the mobile terminal 20 (S107), when the indoor terminal 10 supports video output (S109), the video information or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are combined. The message is output in the form (S111). Otherwise, the message is converted into audio information and the message is output (S113).

이때,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를 댁내 단말에서 확인하고자 할 경우, 댁내 단말(10) 또는 휴대 단말(20)을 통해 특정 구간을 선택한 후 해당 구간에 과거 메시지를 댁내 단말(10)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f you want to check the past message for a particular section in the indoor terminal, select a specific section through the indoor terminal 10 or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output the past message through the indoor terminal 10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It may be.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를 댁내 단말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이다.Referring to FIG. 7, FIG. 7 is a flowchart for outputting a past message for a specific section through an indoo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 확인 요청이 입력되면(S201), 휴대 단말(20)은 해당 구간의 과거 메시지가 존재하는 지를 먼저 판단하게 된다(S203). Referring to FIG. 7, when a past message confirmation request for a specific section is input from the user (S201), the portable terminal 20 first determines whether a past message exists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S203).

여기서,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 확인 요청은 댁내 단말(10)을 이용하거나 휴대 단말(20)을 통해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댁내 단말(10)을 이용하여 과거 메시지 확인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댁내 단말(10)에 구비된 입력부의 고유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구간을 선택하게 된다. 예컨대, 오디오 장치와 같이, 되감기, 재생/정지, 빨리감기 등의 버튼만을 구비한 경우, 되감기를 누른 후 정지 버튼을 누르기까지의 시간을 특정 구간을 판단하고, 해당 시간만큼의 휴대 단말(20)과 상대방 휴대 단말 사이의 과거 메시지를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Here, the request for checking the past message for a specific section may be input using the indoor terminal 10 or the portable terminal 20. In this case, when a past message confirmation request is input using the indoor terminal 10, a specific section is selected using a unique function of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indoor terminal 10. For example, when the audio device includes only buttons for rewinding, playing / stopping, and fast-forwarding, the time period between pressing the rewind and pressing the stop button is determined to determine a specific section, and the mobile terminal 2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time is determined. And the past message between the other party's mobile terminal.

이때, 휴대 단말(20)에 저장된 과거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장치(30)로 요청하여 과거 메시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f there is no past message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20, the service device 30 may be requested to check the past message.

상술한 과정을 통해 과거 메시지가 확인되면, 댁내 단말(10)로 과거 메시지를 전송하고, 댁내 단말(10)은 과거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댁내 단말(10)이 오디오 정보 출력만을 지원하는 경우, 과거 메시지의 처음부터 최근 마지막 메시지까지의 메시지를 오디오 정보로 변환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빨리감기 등의 댁내 단말(10)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메시지를 빨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When the past message is confirm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past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10, and the indoor terminal 10 may output the past message. For example, when the indoor terminal 10 supports only audio information output, a message from the beginning of the past message to the last last message may be converted into audio information and sequentially output. In addition, it may be controlled to quickly output a message through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indoor terminal 10, such as fast forward.

이와 같이, 댁내 단말(10)의 고유한 기능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출력하고, 제어함으로써,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흥미를 보다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such, by using a unique function of the indoor terminal 10 to output and control the message in various form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terest of the user using the messenger service can be increas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8 is a dat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1 휴대 단말(20_1)을 통해 사용자가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제2 휴대 단말(20_2)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S301). 이후 제1 휴대 단말(20_1)이 댁내 단말(10)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어, 댁내 단말(10)이 인접하는 제1 휴대 단말(20_1)을 감지하게 되면(S303), 댁내 단말(10)은 제1 휴대 단말(20_1)로 자신을 통해 메시지를 출력할 지를 묻는 댁내 단말 이용 여부를 질의하게 된다(S305). Referring to FIG. 8, a message is transmitted to a second portable terminal 20_2 through which the user intends to transmit a message through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0_1 (S301). Since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0_1 moves to the space where the indoor terminal 10 exists, when the indoor terminal 10 detects the adjacent first portable terminal 20_1 (S303), the indoor terminal 10 ) Queries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0_1 whether to use a home terminal asking whether to output a message through itself (S305).

이후, 제1 휴대 단말(20_1)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댁내 단말(10)을 이용하고자 하는 응답 정보가 수신되면(S307), 제1 휴대 단말(20_1)과 댁내 단말(10)은 서로 연결 상태가 되며, 제1 휴대 단말(20_1)은 제2 휴대 단말(20_2)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S309), 수신된 메시지를 댁내 단말(10)로 전송하고(S311), 댁내 단말(10)은 제1 휴대 단말(20_1)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S313).Subsequently, when response information for using the indoor terminal 10 is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0_1 (S307),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0_1 and the indoor terminal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mobile terminal 20_1 receives a message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_2 (S309), the first mobile terminal 20_1 transmits the received message to the indoor terminal 10 (S311), and the indoor terminal 10 transmits the first mobile terminal.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_1 is output (S313).

이후, 사용자가 제2 휴대 단말(20_2)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작성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제1 휴대 단말(20_1)을 통해 메시지가 입력되면(S315), 제1 휴대 단말(20_1)은 입력된 메시지를 댁내 단말(10)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대방 휴대 단말인 제2 휴대 단말(20_2)로 전송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wants to compose a response message to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_2, if a message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first mobile terminal 20_1 (S315), the first mobile terminal 20_1. ) Transmits the input message to the indoor terminal 10 and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_2 that is the counterpart portable terminal.

이를 수신한 댁내 단말(10)은 메시지를 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그 결합된 형태로 출력하게 된다.The indoor terminal 10 receiving this outputs a message in image form, audio form, or a combination thereof.

이때, 사용자가 댁내 단말(10)을 통해 제2 휴대 단말(20_2) 사이에 송수신되었던 과거 메시지 내용을 보고자 할 경우, 댁내 단말(10)의 입력부를 통해 과거 메시지 내용을 요청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wants to see the past message content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_2 through the indoor terminal 10, the user may request the past message contents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indoor terminal 10.

과거 메시지 내용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입력되면, 댁내 단말(10)은 제1 휴대 단말(20_1)로 과거 메시지 내용을 요청하고(S321), 제1 휴대 단말(20_1)은 제2 휴대 단말(20_1)과의 과거 메시지가 존재하는 지 확인하게 된다(S323).When a user request for past message contents is input, the indoor terminal 10 requests the past message contents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0_1 (S321), and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0_1 receives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_1.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past message with the (S323).

확인 결과, 제1 휴대 단말(20_1)과 제2 휴대 단말(20_2) 사이에 과거에 주고받은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댁내 단말(10)로 전송하고, 댁내 단말(10)은 제1 휴대 단말(20_1)로부터 수신된 과거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된다.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re is a message exchanged in the past betwee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0_1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_2, it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10, and the indoor terminal 10 transmits the first portable terminal. The past messages received from the 20_1 are sequentially outpu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휴대가 용이한 휴대 단말(20)을 통해 상대방 휴대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던 중에 메시지 출력이 보다 용이한 댁내 단말(10)을 통해 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그 결합된 형태로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such, through the terminal-to-terminal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transmit and receive a message with a counterpart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20, which is easy to output a message, via the indoor terminal 10. By outputting a message in the form of video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ier to send and receive messages with other users.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In the above, the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terminal-to-terminal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and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and a digital video disk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such as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magneto-optical medium and a floppy disk, And hardware devices that are specifically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nd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refore to be regard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로 수신된 메시지를 다양한 종류의 단말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 terminal-to-terminal message service,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verifying a message received by a mobile terminal in various types of terminals.

본 발명의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휴대 단말과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단말 고유 특성에 따라, 메시지를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흥미로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viding an inter-terminal message service, an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by outputting a message to the user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various kinds of terminal-specific characteristic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can use a more interesting message service.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ervice industry.

10: 댁내 단말 11: 휴대 단말 감지부 12: 출력부
13: 제어부 14: 입력부 15: 통신부
20: 휴대 단말 30: 서비스 장치 40: 통신망
100: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indoor terminal 11: portable terminal detection unit 12: output unit
13: control unit 14: input unit 15: communication unit
20: portable terminal 30: service device 40: communication network
100: message service providing system between terminals

Claims (15)

인접한 휴대 단말이 감지되면, 상기 휴대 단말로 댁내 단말 이용 여부를 질의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로부터 댁내 단말 이용 여부에 대한 질의가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댁내 단말에 접속하기 위한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댁내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응답 정보를 전송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 또는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상기 댁내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로부터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를 요청받으면, 요청된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로 전송하는 휴대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that queries the portable terminal whether to use the indoor terminal when the adjacent portable terminal is detected and outputs a received message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When the query for the use of the indoor terminal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response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indoor termi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and from the time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When an input message or a message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and a past message for a specific section is requested from the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the past message for the requested specific section is transmitted to the at least one home. A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System-to-terminal message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인접하는 휴대 단말을 감지하는 휴대 단말 감지부;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휴대 단말 감지부를 통해 인접한 휴대 단말이 감지되면, 상기 휴대 단말로 댁내 단말 이용 여부를 질의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메시지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고,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 확인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로 요청하여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과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댁내 단말.
A portable terminal detector for sensing an adjacent portable terminal;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message; And
When an adjacent portable terminal is detect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detecting unit, the portable terminal is queried whether the home terminal is used, and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 of outputting the received message through the output unit is performed. A controller for requesting the portable terminal to receive a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ction and outputting the received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ction through the output unit;
Indoor terminal for providing a terminal-to-terminal message service comprising 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오디오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댁내 단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put
Indoor terminal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to audio information and outpu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영상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댁내 단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put
Indoor terminal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image information and output.
제 2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댁내 단말.
3. The method of claim 2,
An input unit for supporting user input;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if a message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indoor terminal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input message through the output unit, and to transmit the message to the portable termina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고, 자신의 상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댁내 단말.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If it is deactivated, it is activ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indoor terminal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transmit its status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 서비스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및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로부터 댁내 단말 이용 여부에 대한 질의가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댁내 단말에 접속하기 위한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댁내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응답 정보를 전송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 또는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상기 댁내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 확인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과의 과거 메시지 내용이 존재하는 지 확인한 후 상기 특정 구간에 해당하는 과거 메시지를 상기 댁내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and a service device; And
When the query for the use of the indoo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response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indoor termi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and the respon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If a message input from a user or a message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portabl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from a point in time, and a request for confirming a past message for a specific section is input from the user, the counterpart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particular section is transmitted. A terminal controller which controls to transmit the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ction to the indoor terminal after checking whether the contents of the past message are present;
A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응답 정보를 상기 댁내 단말로 전송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를 상기 댁내 단말 및 대응하는 상대방 휴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메시지를 상기 댁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erminal controller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respon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a message input from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counterpart mobile terminal, and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mobile terminal, the received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댁내 단말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댁내 단말을 리모컨 기능을 이용하여 활성화시키고, 상기 댁내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메시지 또는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댁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erminal controller
When the indoor terminal is deactivated, the indoor terminal is activated by us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and the stat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manag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indoor terminal, and the received message or the received information is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A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a terminal-to-terminal message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message received from a counterpart portable terminal to the indoo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통신 중인 댁내 단말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다른 인접 댁내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미리 저장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한 댁내 단말에서 장애가 발생한 시점 및 장애가 발생한 구간에 전송한 메시지를 확인하고, 상기 장애가 발생한 구간에 전송한 메시지를 상기 다른 인접 댁내 단말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고, 현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또는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상기 다른 인접 댁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erminal controller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indoor terminal in communication, the wireless terminal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adjacent indoor terminal, and checks the message transmitted at the point of time at which the failure occurred and the period in which the failure occurred, using the pre-stored state information. An inter-terminal message, wherein the message transmitted in the generated section is transmitted to the other adjacent indoor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message input from a current user or a message received from the other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other adjacent indoor terminal. Portable terminal for service provis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댁내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댁내 단말을 사용자의 인접 정도에 따라 지도 또는 목록 형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표시된 지도 또는 목록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댁내 단말을 선택받아 선택된 댁내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erminal controller
Display the at least one indoor terminal located in the home in the form of a map or a list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user, and select the desired indoo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ed map or list to transmit a message to the selected indoor terminal A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between terminals.
댁내 단말이 인접한 휴대 단말이 감지되면, 상기 휴대 단말로 댁내 단말 이용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
상기 댁내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상기 댁내 단말에 접속하기 위한 응답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응답 정보를 상기 댁내 단말로 전송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 또는 상대방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댁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댁내 단말이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댁내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특정 구간에 대한 과거 메시지 확인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로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과거 메시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과거 메시지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과거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이 과거 메시지를 상기 댁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If a portable terminal is detected adjacent to the indoor terminal, querying the portable terminal whether to use the indoor terminal;
Receiving, by the indoor terminal, response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indoor terminal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by the portable terminal, any one of a message input from a user or a message received from a counterpart portable terminal from the time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terminal;
Outputting the received message by the indoor terminal;
Requesting, by the indoor terminal, a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c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a past message confirmation request for a specific section is input from a user;
Determining, by the portable terminal, whether a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ction exists;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a pa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ction exists, transmitting, by the portable terminal, the past message to the indoor terminal;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between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댁내 단말이 영상 정보 출력을 지원하지 않는 댁내 단말일 경우, 상기 메시지를 오디오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outputting the received message is
If the indoor terminal is an indoor terminal that does not support the output of the image information, the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between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message to the audio informatio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Outputting the input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input message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indoor terminal receives a message from a user;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between terminals further comprising a.
제12항 내지 제14항에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terminal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4.
KR1020120063361A 2012-06-13 2012-06-13 Method for delivering a message between de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KR1019457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61A KR101945781B1 (en) 2012-06-13 2012-06-13 Method for delivering a message between de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61A KR101945781B1 (en) 2012-06-13 2012-06-13 Method for delivering a message between de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689A true KR20130139689A (en) 2013-12-23
KR101945781B1 KR101945781B1 (en) 2019-02-11

Family

ID=4998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361A KR101945781B1 (en) 2012-06-13 2012-06-13 Method for delivering a message between de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78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811B1 (en) * 2002-12-11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ssage receiving me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home network
KR20060108852A (en) * 2005-04-14 2006-10-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wire/wireless massage by using home networks
KR20080019099A (en) * 2006-08-23 2008-03-03 인포뱅크 주식회사 Multimedia Data Seeing and Hearing Service Method of TV Using Back-Up Database of Multimedia Message Service System And System Thereof
KR100896423B1 (en) * 2007-12-03 2009-05-12 (주)한텍비오 The 3 dimensional display system of photo frame typ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90138520A1 (en) * 2007-11-16 2009-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intaining and Replicating Chat Histori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811B1 (en) * 2002-12-11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ssage receiving me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home network
KR20060108852A (en) * 2005-04-14 2006-10-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wire/wireless massage by using home networks
KR20080019099A (en) * 2006-08-23 2008-03-03 인포뱅크 주식회사 Multimedia Data Seeing and Hearing Service Method of TV Using Back-Up Database of Multimedia Message Service System And System Thereof
US20090138520A1 (en) * 2007-11-16 2009-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intaining and Replicating Chat Histories
KR100896423B1 (en) * 2007-12-03 2009-05-12 (주)한텍비오 The 3 dimensional display system of photo frame typ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781B1 (en)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017B1 (en) Controlling Method For Communication Channel Operation based on a Gesture and Portable Device System supporting the same
US20210375281A1 (en) Vo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AU2013306539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8959557B2 (en)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8951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US20190089925A1 (en) Display device
US101818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
KR20130113983A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content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JP2017530564A (en) Connection state prompting method and apparatus
US886920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adata applying method thereof
US20140282204A1 (en)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random number in virtual keyboard
KR20130053935A (en) Contents transferring method and device, server using the method
EP3509353A1 (en) Wifi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KR10169183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ublication via web site thereof
US11669297B2 (en) Audio playback control method, audio playback control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5608095B (en) Multimedia playing method and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201500893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media data on a terminal
KR20150134266A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ile
WO20150432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media data on a terminal
KR1018674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ontents seamlessly in different devices, terminal device
CN103945321A (en) Method and device for resource transferring
US115464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to present content and storage medium
KR20130139689A (en) Method for delivering a message between de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KR2011009462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thereof
KR20130139053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