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684A -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자원할당장치 - Google Patents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자원할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684A
KR20130139684A KR1020120063354A KR20120063354A KR20130139684A KR 20130139684 A KR20130139684 A KR 20130139684A KR 1020120063354 A KR1020120063354 A KR 1020120063354A KR 20120063354 A KR20120063354 A KR 20120063354A KR 20130139684 A KR20130139684 A KR 20130139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allocation
scheduling
call
terminal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5838B1 (ko
Inventor
이기호
이용규
지영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63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83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자원할당장치가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단말로부터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와 단말의 통화 이용 패턴을 기초로 동적 스케줄링 또는 준-지속 스케줄링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결정한 스케줄링 방식으로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자원할당장치{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FOR COMMUNICATION TRAFFIC, AND RESOURCE ALLOC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자원할당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는 단말에 동적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 DS)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거나, 준-지속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에 따라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동적 스케줄링은 TTI(Time To Interval)마다 최적의 채널을 찾기 위해 자원을 할당하고, 이를 통해 채널 용량을 최대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동적 스케줄링에 의해 데이터 영역에 다수의 작은 크기의 패킷이 할당되면 제어 영역이 포화될 수 있다.
준-지속 스케줄링은 TTI마다 자원을 할당하지 않고, 자원 할당 위치와 전송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고정한다. 따라서, 준-지속 스케줄링은 자원할당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준-지속 스케줄링은 채널 용량을 최대로 만들지 못한다.
이와 같이, 동적 스케줄링과 준-지속 스케줄링 각각은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있는데, 이러한 동적 스케줄링과 준-지속 스케줄링을 효과적으로 운용하여 자원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와 단말의 통화 이용 패턴을 기초로 자원할당 방식을 결정하는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자원할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장치가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단말로부터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와 상기 단말의 통화 이용 패턴을 기초로 동적 스케줄링 또는 준-지속 스케줄링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결정한 스케줄링 방식으로 상기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케줄링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 사이인 경우,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이 제1정보인 경우, 상기 준-지속 스케줄링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이 제2정보인 경우, 상기 동적 스케줄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정보는 일정 시간 이상의 통화를 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표시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2정보는 상기 일정 시간 이하의 통화를 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표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상기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동적 스케줄링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준-지속 스케줄링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가입자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통화 트래픽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장치로서,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를 모니터링하는 부하 모니터링부, 상기 단말의 통화 이용 패턴을 확인하는 통화 이용 패턴 확인부,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와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을 기초로 동적 스케줄링 또는 준-지속 스케줄링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결정하는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 그리고 상기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에서 결정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는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 사이이고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이 제1정보인 경우, 상기 준-지속 스케줄링을 결정하고,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상기 제1기준값과 상기 제2기준값 사이이고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이 제2정보인 경우, 상기 동적 스케줄링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정보는 일정 시간 이상의 통화를 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표시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2정보는 상기 일정 시간 이하의 통화를 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표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는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상기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동적 스케줄링을 결정하고,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준-지속 스케줄링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이용 패턴 확인부는 가입자정보 관리장치가 전송한 메시지를 통해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이용 패턴 확인부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SPID(Subscriber Profile ID) 값을 기초로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단말에 동적 스케줄링으로 자원을 할당하므로 각 단말에게 최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커질 경우에는 통화 시간이 긴 단말에 준-지속 스케줄링으로 자원을 할당하므로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매우 큰 경우에는 모든 단말에 준-지속 스케줄링으로 자원을 할당하므로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장치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자원할당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이동통신시스템(10)은 복수의 단말(Mobile Station, User Equipment)(100, 110), 자원할당장치(200), 패킷코어망(300), 그리고 가입자정보 관리장치(400)를 포함한다.
단말(100, 110)은 자원할당장치(200)로부터 할당받은 자원을 통해 무선 접속한다. 그리고, 단말(100, 110)은 패킷코어망(300)에 연결되어 각종 패킷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단말(100, 110)이 VoIP(Voice over IP) 등과 같은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자원할당장치(200)는 자원할당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통해 단말(100, 110)로 자원을 할당한다. 자원할당장치(200)는 동적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 DS)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거나, 준-지속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에 따라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자원할당장치(200)는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와 각 단말(100, 110)의 통화 이용 패턴을 기초로 각 단말의 자원할당 방식을 결정한다. 자원할당장치(200)는 통화 이용 패턴을 가입자정보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할당장치(200)는 LTE망의 기지국(eNodeB, Base Station)에 구현될 수 있다.
패킷코어망(300)은 단말(100, 110)로부터 각각 전송된 패킷을 외부 인터넷망으로 전달하거나, 외부 인터넷망으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해당 단말(100, 110)로 전송한다.
가입자정보 관리장치(400)는 단말(100, 110)의 통화 이용 패턴을 관리한다. 통화 이용 패턴은 통화 시간에 관계된 정보이다. 즉, 통화 이용 패턴은 단말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하의 통화를 하는 사용자인지, 일정 시간 이상의 통화를 하는 사용자인지에 따라 구분된다. 가입자정보 관리장치(400)는 이 통화 이용 패턴을 자원할당장치(200)에 전달하는데, 통화 이용 패턴에 대응하는 SPID(Subscriber Profile ID) 값을 전달한다. 예를 들면, 가입자정보 관리장치(400)는 단말(100)의 통화 트래픽 이용 내역을 분석하여, 단말(100)을 일정 시간 이상의 통화를 하는 긴 통화자의 단말로 분류한다. 그리고, 가입자정보 관리장치(400)는 단말(100)의 SPID를 A값으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가입자정보 관리장치(400)는 단말(110)의 통화 트래픽 이용 내역을 분석하여, 단말(110)을 일정 시간 이하의 통화를 하는 짧은 통화자의 단말로 분류한다. 그리고, 가입자정보 관리장치(400)는 단말(110)의 SPID를 B값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가입자정보 관리장치(400)가 A값의 SPID를 자원할당장치(200)로 전달하면, 자원할당장치(200)는 해당 단말의 통화 이용 패턴이 상대적으로 긴 통화 패턴임을 인식한다. SPID값은 초기 컨텍스트 설정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 메시지 또는 컨텍스트 변경 요청(Context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자원할당장치(20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정보 관리장치(400)는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나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에 구현되거나, 홈 가입자 서버나 홈 위치 등록기의 기능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준-지속 스케줄링은 자원 할당 위치와 전송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고정하고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따라서, 준-지속 스케줄링은 별도로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을 통해 자원할당 정보를 전달하지 않고, 앞에서 사용한 자원과 전송방식을 그대로 사용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만약, 임의 구간에 많은 패킷을 보내야 할 경우, 자원할당장치(200)는 준-지속 스케줄링에서 동적 스케줄링을 할 수 있으며,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을 통해 단말로 자원과 전송 방식을 알려준다. 동적 스케줄링은 채널 용량을 최대로 만들 수 있으나, 수시로 자원을 할당하여 프레임의 제어 영역이 포화될 수 있다. 반면, 준-지속 스케줄링은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나, 채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한다.
다음에서, 자원할당장치(200)가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와 각 단말(100, 110)의 통화 이용 패턴을 기초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자원할당장치(200)는 단말(100, 110) 각각으로부터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한다(S310).
자원할당장치(200)는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의 부하를 판단한다(S320).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의 부하가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자원할당장치(200)는 동적 스케줄링에 따라 모든 단말(100, 110)의 자원을 할당한다(S330).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의 부하가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 사이인 경우, 자원할당장치(200)는 단말(100, 110)의 통화 이용 패턴을 확인한다(S340). 자원할당장치(200)는 가입자정보 관리장치(400)로부터 통화 이용 패턴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100)의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의 통화를 하는 긴 통화자인 경우, 자원할당장치(200)는 준-지속 스케줄에 따라 단말(100)의 자원을 할당한다(S350).
그리고, 다른 단말(110)의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하의 통화를 하는 짧은 통화자인 경우, 자원할당장치(200)는 동적 스케줄에 따라 단말(110)의 자원을 할당한다(S360).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의 부하가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자원할당장치(200)는 준-지속 스케줄에 따라 모든 단말(100, 110)의 자원을 할당한다(S370).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자원할당장치(200)는 부하 모니터링부(210), 통화 이용 패턴 확인부(230),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250) 그리고 자원할당부(270)를 포함한다.
부하 모니터링부(210)는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의 부하를 모니터링한다.
통화 이용 패턴 확인부(230)는 단말(100, 110)의 통화 이용 패턴을 확인한다. 통화 이용 패턴 확인부(230)는 가입자정보 관리장치(400)로부터 각 단말(100, 110)의 통화 이용 패턴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화 이용 패턴은 SPID 값으로 표시될 수 있고, SPID 값은 가입자정보 관리장치(400)의 전송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250)는 각 단말(100, 110)로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방식을 결정한다.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250)는 부하 모니터링부(210)와 통화 이용 패턴 확인부(230)의 정보를 기초로 동적 스케줄링 또는 준-지속 스케줄링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결정한다.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의 부하가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250)는 동적 스케줄에 따라 모든 단말(100, 110)의 자원을 할당하도록 결정한다.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의 부하가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 사이인 경우,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250)는 통화 이용 패턴을 더 고려하여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방식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단말(100)의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의 통화를 하는 긴 통화자인 경우,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250)는 준-지속 스케줄에 따라 단말(100)의 자원을 할당하도록 결정한다. 단말(110)의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하의 통화를 하는 짧은 통화자인 경우,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250)는 동적 스케줄에 따라 단말(110)의 자원을 할당하도록 결정한다. 만약,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의 부하가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250)는 준-지속 스케줄에 따라 모든 단말(100, 110)의 자원을 할당하도록 결정한다.
자원할당부(270)는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250)에서 결정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각 단말(100, 110)에 자원을 할당한다.
이와 같이, 자원할당장치(200)는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의 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단말에 동적 스케줄로 자원을 할당하므로 각 단말에게 최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자원할당장치(200)는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의 부하가 커질 경우에는 통화 시간이 긴 단말에 준-지속 스케줄로 자원을 할당하므로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자원할당장치(200)는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의 부하가 매우 큰 경우에는 모든 단말에 준-지속 스케줄로 자원을 할당하므로 자원할당제어채널(PDCCH)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자원할당장치가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단말로부터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와 상기 단말의 통화 이용 패턴을 기초로 동적 스케줄링 또는 준-지속 스케줄링 중 어느 하나를 스케줄링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결정한 스케줄링 방식으로 상기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스케줄링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 사이인 경우,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이 제1정보인 경우, 상기 준-지속 스케줄링을 스케줄링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이 제2정보인 경우, 상기 동적 스케줄링을 스케줄링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제1정보는 일정 시간 이상의 통화를 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표시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2정보는 상기 일정 시간 이하의 통화를 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표시하는 정보인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상기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동적 스케줄링을 스케줄링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5. 제2항에서,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준-지속 스케줄링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6. 제1항에서,
    가입자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7. 단말의 통화 트래픽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장치로서,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를 모니터링하는 부하 모니터링부,
    상기 단말의 통화 이용 패턴을 확인하는 통화 이용 패턴 확인부,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와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을 기초로 동적 스케줄링 또는 준-지속 스케줄링 중 어느 하나를 스케줄링 방식으로 결정하는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 그리고
    상기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에서 결정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부
    를 포함하는 자원할당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는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 사이이고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이 제1정보인 경우, 상기 준-지속 스케줄링을 스케줄링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상기 제1기준값과 상기 제2기준값 사이이고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이 제2정보인 경우, 상기 동적 스케줄링을 스케줄링 방식으로 결정하는 자원할당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1정보는 일정 시간 이상의 통화를 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표시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2정보는 상기 일정 시간 이하의 통화를 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표시하는 정보인 자원할당장치.
  10. 제8항에서,
    상기 자원스케줄링 방식 결정부는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상기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동적 스케줄링을 결정하고, 상기 자원할당제어채널의 부하가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준-지속 스케줄링을 스케줄링 방식으로 결정하는 자원할당장치.
  11. 제7항에서,
    상기 통화 이용 패턴 확인부는
    가입자정보 관리장치가 전송한 메시지를 통해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을 확인하는 자원할당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통화 이용 패턴 확인부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SPID(Subscriber Profile ID) 값을 기초로 상기 통화 이용 패턴을 확인하는 자원할당장치.
KR1020120063354A 2012-06-13 2012-06-13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자원할당장치 KR101445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54A KR101445838B1 (ko) 2012-06-13 2012-06-13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자원할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54A KR101445838B1 (ko) 2012-06-13 2012-06-13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자원할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684A true KR20130139684A (ko) 2013-12-23
KR101445838B1 KR101445838B1 (ko) 2014-10-01

Family

ID=4998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354A KR101445838B1 (ko) 2012-06-13 2012-06-13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자원할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8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9001A (zh) * 2017-01-06 2019-08-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具有分布图案的预先配置的授权
CN110786036A (zh) * 2017-10-09 2020-02-11 索尼公司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以及计算机可读介质
US20200107351A1 (en) * 2017-03-25 2020-04-02 Lg Electronics Inc. V2x communication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method
WO2022119375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9943B2 (en) * 2004-12-29 2009-02-10 Alcatel-Lucent Usa Inc. Scheduling calls in downlink transmissions
US8515466B2 (en) * 2007-02-16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based on rise-over-therm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25442B1 (ko) * 2008-03-21 2009-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136486B1 (ko) * 2010-01-28 2012-04-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적응적 세미 퍼시스턴트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9001A (zh) * 2017-01-06 2019-08-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具有分布图案的预先配置的授权
CN110169001B (zh) * 2017-01-06 2022-02-2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具有分布图案的预先配置的授权
US20200107351A1 (en) * 2017-03-25 2020-04-02 Lg Electronics Inc. V2x communication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method
US11689401B2 (en) * 2017-03-25 2023-06-27 Lg Electronics Inc. V2X communication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method
CN110786036A (zh) * 2017-10-09 2020-02-11 索尼公司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以及计算机可读介质
CN110786036B (zh) * 2017-10-09 2024-01-16 索尼公司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以及计算机可读介质
WO2022119375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838B1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5746B2 (en) Methods providing benefit metrics for inter base station coordinated multipoint communications and related base stations
KR102061436B1 (ko) 자원 할당 방법과 기기
US1136366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US10575291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JP5864617B2 (ja) オーバーヘッドを削減した短いメッセージ伝送のための方法
US8787290B2 (en) Method for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network element of access network and terminal thereof
US20140023008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device-to-device link connection and scheduling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terminal relaying
US20130148637A1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176911B1 (ko) 스케줄링 요청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6386046B2 (ja) 通信端末および方法
WO2020031583A1 (en)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40197A (ko) 기반구조 장비,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방법
US9474054B1 (en) Management of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852867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データおよび参照信号送信の別個のスケジューリ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143826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s for transitioning between two modes of operation
JP2013504965A (ja) 基地局とユーザ端末の間の伝送をスケジュール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基地局および通信ネットワーク
KR101445838B1 (ko) 통화 트래픽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자원할당장치
EP3142438B1 (en) Method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s,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10470083B2 (en) Network node and method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11134512B2 (en) Scheduling device, scheduled device, and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4230131A (ja) 基地局とその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956202B2 (ja) ダウンリンクチャネル伝送および受信方法、装置、基地局および端末
WO2016004630A1 (zh) 资源分配方法、基站及系统
CN107231686B (zh) 一种物联网中的上行数据传输方法、基站及终端
KR101502138B1 (ko) 기지국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제어 채널 할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