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543A -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543A
KR20130138543A KR1020120062225A KR20120062225A KR20130138543A KR 20130138543 A KR20130138543 A KR 20130138543A KR 1020120062225 A KR1020120062225 A KR 1020120062225A KR 20120062225 A KR20120062225 A KR 20120062225A KR 20130138543 A KR20130138543 A KR 20130138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mputer system
computer
output
imag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구
Original Assignee
윤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동구 filed Critical 윤동구
Priority to KR102012006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8543A/ko
Publication of KR2013013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3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을 공개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를 구성하는 중앙 처리장치, 메모리 제어 허브(MCH), 메인 메모리, 입출력 제어 허브(ICH), PCI Express 슬롯, 기타 주변장치용 각종 포트 및 운영체제가 설치된 내장 HDD 등의 블록들과 디지털 TV를 구성하는 블록과 직렬 고속 인터페이스용 신호 절환 스위치 및 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스위치가 켜지면 디지털 TV 구성블록을 통하여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를 절환스위치를 통하여 출력포트로 출력하여 전체화면 크기로 디지털 TV 화면을 표시하고, 동시에 컴퓨터의 부팅을 지속하여 부팅이 완료된 시점까지 별도의 로그인 시도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었을 경우에는 절전을 위하여 컴퓨터 블록만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만일 사용자가 전체화면 크기로 TV 를 시청 중에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키보드, 마우스 또는 카메라에 의한 동작인식 수단 등을 통하여 로그인을 시도하면 컴퓨터는 즉시 대기모드인 상태를 일반모드로 전환한 후 곧바로 컴퓨터에 의한 디지털 TV 영상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아이디와 암호를 입력 완료한 순간에 절환스위치를 변환하여 디지털 TV 구성블록에 의하여 전체화면 크기로 표시되던 화면을 차단하고 사전에 지정된 위치의 창을 통하여 컴퓨터에 의한 디지털 TV 영상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디지털 TV 영상신호 화면과 함께 다른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다시 전체화면 크기로 TV를 시청하고자 하여 TV 영상신호 화면을 더블클릭 하거나 또는 리모콘 등의 수단을 통하여 전체화면 크기로 TV 시청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TV 구성블록을 통하여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가 절환스위치를 거쳐 출력포트로 전달됨으로써 전체화면 크기로 TV 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TV 시청을 위하여 컴퓨터의 지연된 부팅 시간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컴퓨터와 TV 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전체화면 크기의 TV 또는 작은 TV 화면 크기에 컴퓨터 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COMPUTER SYSTEM INCLUDING THE BLOCK OF DIGITAL TV SIGNAL PROCESSING}
본 발명은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을 켰을 경우에는 1차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된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의 출력에 의하여 전체 화면의 크기로 TV 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컴퓨터의 부팅 처리과정을 수행하고, 컴퓨터 부팅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가 컴퓨터의 사용을 위하여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면 컴퓨터에 의한 디지털 TV 영상 출력을 미리 지정된 위치의 창 크기에 맞추어 디지털 TV 영상 신호화면을 표시함으로써 TV 영상화면과 컴퓨터 작업환경을 동시에 제공하도록 한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Smart TV 에서는 TV 를 켜면 초기 화면을 출력하기까지 영상처리와 관련한 지연시간으로 인하여 대략 4~7초 정도의 비교적 짧은 지연 시간이 소요되는 데 비하여 단순한 웹브라우저를 통한 인터넷 사용 환경을 지원하는 정도에는 문제가 없지만 일반적인 컴퓨터의 기능을 대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편, TV 수신카드가 설치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는 데 있어서는 컴퓨터의 부팅 타임 소요시간이 길어서 일반적인 TV 장치에 비하여 초기화면을 보기까지의 시간이 컴퓨터의 사양에 따라 수 십초에서 1분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긴 문제가 있으며, 부팅 과정에 있어서 로그인 암호 설정 여부에 따라서 별도의 ID 와 암호를 매 부팅 시 마다 기입해주어야 하는 것은 물론 부팅이 완료되었다고 하더라도 별도의 마우스, 키보드, 또는 HOT-KEY 등의 조작에 의하여 TV 수신 프로그램을 인위적으로 실행시켜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TV 수신 프로그램을 운영체제의 시작프로그램에 등록하는 방법에 의하여 이전에 시청하던 상태로 자동으로 프로그램을 기동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TV를 시청하지 않을 목적의 일반적인 컴퓨터 사용을 위한 부팅 시에도 시작프로그램에 등록된 TV 수신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컴퓨터 기반의 TV 수신카드를 장착한 TV 시청의 장점으로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창(Window)을 통하여 화면을 출력하므로 복수개의 창을 통하여 TV 방송을 시청하는 것 이외에 컴퓨터를 이용한 다른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 환경에 따라서 임의로 창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 등이다.
컴퓨터 기반의 TV 수신카드를 이용한 TV 방송 시청 시에 문제가 되는 상기 문제점 가운데 컴퓨터의 부팅 타임 단축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는 발명출원 제 10-2006-0072407호의 "컴퓨터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부팅 방법"에 의하여 어느 정도는 해결이 가능하지만 이것도 1초 내외의 부팅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을 통하여 부팅에 소요되는 지연시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TV 화면이 나오기까지의 지연 시간이 기존의 Smart TV 와 동일하면서도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을 컴퓨터 일체형 TV 시스템 형태로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컴퓨터 블록(110)과 일반적인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 을 결합해 놓은 본 발명의 컴퓨터 시스템(100)으로 멀티플렉스 스위치(46, 48)가 추가된 형태이며, 멀티플렉스 스위치(46)는 CPU(10)의 내장 그래픽 신호 처리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컴퓨터 블록(110)의 구성은 CPU(10), 메모리 제어 허브(12), 메인 메모리(14),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16), 입출력 허브(18), 롬 바이오스(19) PCI 또는 PCI Express 슬롯들(20), 키보드 마우스 USB 와 같은 장치들을 제공하는 주변장치용 포트(22), 운영체제가 탑재된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플래쉬 SSD(24) 와 DVI (Digital Video Interface)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Display Port 로 구성되는 출력포트(50) 로 구성된다.
한편, 일반적인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의 구성은 튜너(28), Transport 블록(30), 비디오 디코딩 블록(36) 및 오디오 디코딩 블록(32), VDP (Video Display Processing) 블록(38), 메모리(42), EEPROM 또는 플레쉬 PROM(42) 및 오디오 후처리 블록(34)과 오디오/비디오 통합 출력부(40)로 이루어진다.
도 1의 일반적인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튜너(28)는 공중파로 부터 지정된 채널의 수신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ransport 블록(30)은 튜너(28)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4) 상의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입출력 허브(18)를 통하여 전달받아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오디오 디코딩 블록(32)은 돌비 AC3 나 MPEG2 와 같은 오디오 압축규격에 의하여 압축된 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복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비디오 디코딩 블록(36)은 MPEG2 나 H264 와 같은 비디오 압축규격에 의하여 압축된 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복원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Audio 후처리 블록(34) 은 사용자가 지정한 각종 Audio 속성 정보에 따른 음장효과 등의 처리를 수행하고, VDP 블록(38) 은 비디오 디코딩 블록(36) 에 의하여 YCbCr 형태의 비디오 신호를 화면의 지정된 상태 (PIP, POP, Double Window 등)에 맞추어 최종적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형태의 RGB 신호로 변환한다.
오디오/비디오 통합출력부(40)는 DVI, HDMI 또는 Display 포트 규격에 맞추어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규격의 출력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42)는 디지털 TV 신호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휘발성 임시저장 수단이고, PROM(44)은 오디오 및 비디오의 각종 속성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EE-PROM 이나 플레쉬 PROM 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도 1의 일반적인 컴퓨터 본체의 부팅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 스위치(미도시)가 켜지면 컴퓨터 본체의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에서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발생시킨 다양한 전압레벨을 가진 전압들을 공급한다.
CPU(10)는 전압이 공급되면 롬바이오스(19)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Plug & Play 동작을 수행하여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16), PCI 또는 PCI Express 슬롯들(20), 기타 주변장치용 포트들(22) 등에 연결된 각종 하드웨어 장치들을 탐색하여 탐색된 장치별로 해당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자원을 할당하고, 하드디스크 또는 플레쉬 SSD(24)의 부트 로더(Boot Loader) 영역을 검색하여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저장되어 있는 운영 체제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14)의 시스템 메모리로 Upload 하고, CPU(10)는 메인 메모리(14) 에 Upload 된 운영체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Post 부팅 동작을 수행한다.
멀티플렉스 스위치(46)은 CPU(10)의 내장 그래픽 신호처리 블록에 의한 출력 신호와 외부의 그래픽 신호처리장치(16)에 의한 출력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멀티플렉스 스위치(48)은 컴퓨터 블록(110)에 의한 영상 처리 출력과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에 의한 영상 처리 출력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포트(50)를 통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한다.
한편, 종래의 컴퓨터 본체(110)에는 PCI 또는 PCI Express 슬롯들(20)에 컴퓨터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기능을 추가하는 보드들이 장착되는데, TV 수신카드(미도시)가 이곳에 장착되어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TV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TV 수신카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TV 영상을 수신하며 디코딩 방식에 따라서 하드웨어 디코딩 방식과 소프트웨어 디코딩 방식으로 나눌 수 있고, 하드웨어 디코딩 방식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여 결과를 자체 출력포트로 출력하거나 또는 메인 메모리(14)에 출력하고 메인 메모리(14)에서는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16)를 통하여 TV 영상을 모니터(미도시)로 출력한다. 소프트웨어 디코딩 방식의 TV 수신카드에 있어서는 튜너(미도시)의 디지털 출력신호를 컴퓨터의 메인 메모리(14)로 전송하여 CPU(21)에 의하여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여 결과를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16)를 통하여 TV 영상을 모니터(미도시)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TV 영상 수신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스위치(미도시)를 켜면 컴퓨터 시스템의 부팅이 완료된 후에 장착된 TV 수신카드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마우스(미도시) 또는 키보드(미도시)를 이용하여 해당 TV 수신카드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모니터를 통하여 TV 영상을 볼 수 있다.
또는 컴퓨터 시스템 운영체계의 시작 프로그램에 미리 등록해 놓은 방법에 의하여 부팅 완료 후 자동으로 실행되어 TV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TV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것은 일반적인 텔레비전이 전원스위치를 일회 조작함으로 TV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것에 비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부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 뿐만 아니라 부팅 과정에서 상황에 따라서 ID와 암호를 입력해야 하고, 부팅이 완료 된 후에도 사용자가 수 차례 사용자 인터페이스(키보드, 마우스)를 조작(바탕화면의 ICON 을 더블 클릭하거나, 시작아이콘, 모든 프로그램 선택, TV 수신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야 TV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고, 시작 프로그램의 등록에 의하여 부팅 동작의 완료와 더불어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것은 TV 영상을 시청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의 컴퓨터 부팅 시에도 실행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에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컴퓨터의 전원을 켰을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된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의 출력에 의하여 전체 화면의 크기로 TV 화면을 출력함과 동시에 컴퓨터는 부팅동작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하여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면 로그인 창이 나타남과 동시에 부팅이 완료되어 대기모드로 있던 컴퓨터 시스템을 일반모드로 전환하여 컴퓨터 기반의 TV 영상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에 의하여 전체화면 크기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절환스위치에 의하여 컴퓨터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사전에 지정된 크기 및 위치의 창을 통하여 TV 영상출력 신호를 표시하는 것과 더불어 컴퓨터 사용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미리 로그인 정보를 지정하고 컴퓨터 부팅이 완료되면 부팅완료 이전까지는 전체화면크기로 TV 영상을 출력하고 부팅완료 이후에는 사전에 지정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컴퓨터 사용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에 따르면, TV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출력하는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과 컴퓨터 블록; 및 상기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 또는 상기 컴퓨터 블록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스위칭하는 멀티플렉스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전원이 켜졌을 때 상기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하여 출력되는 TV 영상신호를 전체화면 크기로 출력하면서, 컴퓨터 블록의 부팅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비휘발성 저장수단으로 부터 이전의 영상 속성 정보를 독출하여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한 영상처리 모드가 지정되어 있으면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한 영상처리를 수행하고, 컴퓨터 블록에 의한 영상처리 모드가 지정되어 있으면 컴퓨터 블록에 의한 영상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하여 출력되는 TV 영상신호를 전체화면 크기로 출력하면서 컴퓨터 블록의 부팅 동작이 완료되면 컴퓨터 블록을 절전을 위한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로그인 동작을 검출시 대기모드를 일반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로그인 창을 생성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로그인 창의 생성과 동시에 비휘발성 저장수단으로 부터 이전의 영상 속성 정보를 독출하여 동일한 채널의 TV 영상처리 동작을 컴퓨터 블록에 의하여 수행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로그인 동작과 동시에 비휘발성 저장수단으로 부터 이전의 영상 속성 정보를 독출하여 사전에 지정된 위치 및 크기의 창을 통하여 컴퓨터 블록에 의하여 수행된 영상처리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한 첫 프레임의 TV 영상 출력 시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이어 컴퓨터 블록에 의한 첫 프레임의 TV 영상 출력 시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첫 프레임의 TV 영상 출력이 짧은 측의 영상처리 동작시에 산출된 시간차이에 해당하는 Dummy 프레임을 추가하여 상호간 화면 전환시 영상 동기가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플렉스 스위치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로그인 이전에는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출력포트로 전달하고, 로그인 이후에는 컴퓨터 블록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출력포트로 전달한다.
상기 멀티플렉스 스위치는 DVI, HDMI, Display Port 와 같은 직렬차동 인터페이스용 출력포트와 연결된다.
상기 멀티플렉스 스위치는 상기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한 영상처리 동작 시에는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으로 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출력포트로 전달하고, 컴퓨터 블록에 의한 영상처리 동작 시에는 컴퓨터 블록으로 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출력포트로 전달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로그인 창이 전체 화면의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생성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사전에 지정된 위치 및 크기의 창을 통하여 컴퓨터 블록에 의하여 수행된 영상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중에 최대화면 크기로 변환된 경우 사전의 동작모드 지정 상태에 따라 컴퓨터 블록에 의한 영상출력 창을 최대의 크기로 한 상태로 TV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고,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한 영상출력인 경우에는 전체 화면의 크기로 TV 영상을 출력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컴퓨터 블록에 의한 영상출력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하드웨어 영상 처리 블록 중 동작에 관계되지 않는 블록을 절전을 위하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한 영상출력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컴퓨터 블록에 대한 절전을 위한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한 영상출력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컴퓨터 블록에 대하여 사전에 지정되어 있는 설정 상태에 따라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로그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TV 방송을 시청시,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스위치를 켜면 기존의 Smart TV 와 마찬가지로 전체 화면 크기로 빠르게 TV 를 시청할 수 있으며, TV 시청중 Computer 작업의 필요성을 느껴 로그인을 하는 순간 부팅이 완료된 Computer 대기모드로 부터 일반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에 내장된 PROM 으로 부터 비디오 및 오디오와 관련된 채널 및 볼륨 등의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지정된 위치 및 크기의 TV 화면 표시 창을 띄워 TV 영상을 연계하여 출력하는 동시에 다른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온(ON) 시의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 및 컴퓨터 블록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100)로서, 일반적인 컴퓨터 블록(110)과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컴퓨터 블록(110)의 구성은 CPU(10), 메모리 제어 허브(12), 메인 메모리(14),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16), 입출력 허브(18), 롬 바이오스(19)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또는 PCI Express 슬롯들(20), 키보드 마우스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장치들을 제공하는 주변장치용 포트들(22), 운영체제가 탑재된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플래쉬 SSD (Solid State Disk)(24)와 DVI(Digital Video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Display Port 로 구성되는 출력포트(50)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부(120)는 중앙 처리 장치(CPU, 10), 메모리 제어 허브(Memory Controller Hub; MCH, 12), 입출력 제어 허브(I/O Controller Hub; ICH, 18)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본체(100)의 블록들 각각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PU(10)는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그래픽 신호 처리 장치(16)는 시스템 메모리로부터 전송되는 그래픽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모니터(미도시)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메모리 제어 허브(MCH, 12)는 CPU(10)와 연결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Host Interface), 메인 메모리(14)를 잇는 메모리 인터페이스(Memory Interface), 그래픽 신호 처리 장치(16)를 제어하기 위하여 PCI Express x16 버스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CPU(10), 메인 메모리(14), 그래픽 신호 처리 장치(16)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메인 메모리(14)는 CPU(10)가 보다 빠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현재 실행 중인 응용프로그램 그리고 현재 사용 중인 데이터를 상주시키는 저장 수단으로 역할을 수행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플레쉬 SSD(24)에는 운영체제를 포함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입출력 제어 허브 (ICH, 18)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4)간의 인터페이스는 SATA (Serial AT Attachment) 로 연결되고, 기타 주변장치용 포트들(22)을 구성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는 직렬 포트의 일종으로 간단한 비휘발성 메모리 저장장치,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주변장치와 컴퓨터 시스템간의 플러그 앤 플레이 인터페이스이다.
입출력 제어 허브 (ICH, 18)는 PCI 또는 PCI Express 확장 슬롯들(20), SATA, USB 등에 연결된 주변장치들의 전원 공급을 제어함과 동시에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고, PCI 또는 PCI Express 확장 슬롯들(20), SATA 및 USB 와 메모리 제어 허브(MCH, 12)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확장 슬롯들(22)은 PCI슬롯 또는 PCI Express 슬롯으로 구성되며, PCI 슬롯은 LAN 카드, 팩스 모뎀 카드 등과 같은 PCI 장치가 장착되며, PCI 버스에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확장 슬롯 중 피씨아이 익스프레스(PCI Express)슬롯은 고속의 직렬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 상위 버전이며, 더욱 빠른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한다.
롬 바이오스(19)는 컴퓨터의 기본적인 입력장치, 출력장치나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 동작에 필요한 기본 명령어들을 읽기 전용 메모리인 롬에 저장한 장치이다.
다음은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별 동작설명이다.
튜너(28)는 공중파로 부터 지정된 채널의 수신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공중파를 디지털 수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방식과 관련해서는 대표적으로 미국 주도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과 유럽 주도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이 있으며, 미국식은 비디오 신호의 압축 규격으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를 사용하여 SD (Standard Definition) 및 HD(High Definition) 해상도를 지원하고, 오디오 신호에 대한 압축 규격은 AC-3 를 사용한 압축을 사용하여,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로 VSB(Vestigial Side Band) 기술을 사용한다.
DVB 방식에서의 비디오 압축은 COFDM(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부호화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을 사용하여 SD(Standard Definition) 해상도를 지원하고, 오디오 신호에 대한 압축은 MPEG 2 5.1 Channel 을 지원한다.
이 외에도 일본 ISDB(Integrated Service Digital Broadcasting) 이나 중국 DTMB(Digital Terrestri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전송 방식이 존재하며, 공중파로부터 해당 전송 규격을 처리하는 시스템 반도체 칩을 탑재하여 디지털 수신데이터로 출력한다.
Transport 블록(30)은 공중파나 케이블로부터 방송을 연결하여 튜너(28)를 통한 디지털 수신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또는 기 녹화된 영상물을 내부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플레쉬 SSD (24) 또는 외부의 저장수단(미도시)으로 부터 영상 데이터를 읽어 입출력 허브(18) 를 통하여 전달받아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디코딩 블록(32)은 Transport 블록(30)을 통하여 출력되는 돌비 AC3 나 MPEG2 형태의 오디오 압축규격에 의하여 압축된 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복원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비디오 디코딩 블록(36)은 MPEG2, COFDM, H.264 와 같은 비디오 압축규격에 의하여 압축된 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복원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YCbCr 형태로 출력한다. 참고로, Y(휘도)와 Cb/Cr(색차)에 의한 표현으로, RGB (Red Green Blue) 신호에 비하여 색상 분리 효과는 약하지만, 적은 데이터로 보다 많은 색상 표현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Audio 후처리 블록(34)은 사용자가 지정한 각종 Audio 속성 정보에 따른 음장효과 등의 처리를 수행하고, VDP 블록(38)은 비디오 디코딩 블록(36)에 의하여 복원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화질처리 및 화면 분할 등에 대응하여 화면의 지정된 상태 (PIP, POP, Double Window 등)에 맞추어 최종적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형태의 RGB 신호로 변환한다.
오디오/비디오 통합출력부(40)는 DVI, HDMI 또는 Display 포트 규격에 맞추어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규격의 출력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42)는 디지털 TV 신호처리 동작을 고속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휘발성 임시저장 수단이다.
PROM(44)은 오디오 및 비디오의 각종 속성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EE-PROM 이나 플레쉬 PROM 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컴퓨터 블록(110)과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을 회로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하는 용도의 멀티플렉스 스위치이다.
멀티플렉스 스위치(46)은 CPU(10)의 내장 그래픽 신호처리 블록에 의한 출력 신호와 외부의 그래픽 신호처리장치(16)에 의한 출력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16)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16) 의 출력 포트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별도의 케이블(미도시)을 사용하여 멀티플렉스 스위치(46)의 일측 핀들에 연결되거나 또는 멀티플렉스 스위치(46)을 사용하지 않고 다음 단의 멀티플렉스 스위치(48) 로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CPU(10)로부터 출력되는 내장 그래픽 신호처리 블록의 출력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만일,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16) 가 사용되지 않는 대신에 CPU(10) 내장 그래픽 신호처리 블록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멀티플렉스 스위치(46)가 사용되지 않고 CPU로부터 출력되는 내장 그래픽 신호처리 블록의 출력 신호가 직접 다음 단의 멀티플렉스 스위치(48)로 연결될 수 있다.
멀티플렉스 스위치(48)은 컴퓨터 블록(110)의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16)의 출력이나 또는 CPU (10) 내장 그래픽 신호처리 블록에 의한 영상 처리 출력과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에 의한 영상 처리 출력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포트(50)를 통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한다.
멀티플렉스 스위치(48)의 초기 설정은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의 출력(A)이 출력포트(50)로 전달되도록 S1~3 간의 위치를 유지한다.
이하 도 2의 본 발명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지만, 컴퓨터 블록(110)의 부팅 동작은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의 동작과는 비동기적으로 동작을 하므로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의 동작단계의 표시와는 무관하게 동작설명을 기술하며, 일반적으로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 동작 결과는 4~7초 이내에 TV 화면을 출력하므로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 에 대한 동작을 먼저 기술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100)의 전원스위치를 켠다(S1).
Power-ON 리셋 회로 (미도시)에 의하여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 대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S3).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은 PROM (44)으로부터 이전 상태를 저장하고 있는 오디오 및 비디오 속성 정보를 읽어온다(S7).
오디오 속성 정보에서는 마지막으로 설정되었던 볼륨의 크기 및 음향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읽어오고, 비디오 속성 정보에서는 마지막으로 설정되었던 채널 정보 및 화면 및 화질 설정정보와 같은 비디오 관련 설정 정보를 읽어온다.
지정된 채널 정보에 따라 튜너(20)에 내장된 수신 칩(미도시)으로 하여금 해당 채널에 대한 공중파 수신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한다(S11).
튜너(28)로 부터 입력된 Transport stream 데이터에서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한다(S15).
분리된 오디오 압축데이터와 비디오 압축데이터는 각각 오디오 디코딩 블록 (32)과 비디오 디코딩 블록(36)의 영상처리과정을 통하여 복원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로 변환 출력된다(S19).
각각의 오디오 및 비디오 복원 데이터는 오디오 후처리 블록(34) 및 VDP (Video Display Processing) 블록을 음성 및 영상 처리과정을 거처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된다(S23).
출력포트(50)를 통하여 전송될 최종 단계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가 고속 직렬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단일 차동 라인 (Differential Pair Line) 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통합 처리된다(S27).
초기 설정된 멀티플렉스 스위치(48) 의 S1~3 라인을 따라 S27 단계에서 준비된 통합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포트(50) 로 전송되고, 출력포트(50) 와 연결된 모니터 (미도시)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통하여 전체 화면 (Full-Screen) 크기로 TV 영상화 면을 표시하고 스피커(미도시)를 구동한다.
이 단계까지의 첫 TV 영상화면을 표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튜너(28) 를 포함한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에 사용된 칩에 따라 상이한 정도는 있으나 대략 4~7초 정도가 소요되며, 이 때, 컴퓨터 블록 (110)은 발명출원 제 10-2006-0072407호의 "컴퓨터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부팅 방법"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램디스크에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부팅을 수행하지 않고, 일반적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나 또는 플레쉬 SSD (24)에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부팅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여전히 부팅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단계에 머물러 있을 것이며, 이하 단계에 따른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Power-ON 리셋 회로 (미도시)에 의하여 컴퓨터 블록(110)에 대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S5).
컴퓨터 블록(110)은 플러그 앤드 플레이 (Plug & Play) 동작을 수행하면서 주변 장치를 파악하고, 각각의 장치들이 요구하는 각종 자원 (Resource ; Memory 번지, I/O 번지, 인터럽트 등)을 할당한다(S9).
내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플레쉬 SSD(24)의 부트로더(Boot loader) 영역을 검색하여 운영체제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입출력 제어 허브(ICH, 18) 와 메모리 제어 허브 (MCH, 12)를 통하여 메인 메모리 (14) 로 부팅을 위한 운영체제를 업로드 (Upload)한다. (단계 S13)
메인 메모리(14)에 부팅을 위한 운영체제의 업로드 동작이 종료됨과 동시에 CPU(10)는 메인 메모리(14)의 운영체제에 따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플레쉬 SSD(24)의 레지스트리 정보를 참조하여 Post 부팅 동작을 수행한다(S17).
컴퓨터 블록(110)의 부팅이 완료되었으면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 에 의하여 전체 화면 크기로 TV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TV 시청중인 상태이므로 컴퓨터 블록(110) 을 대기모드로 전환하여 절전이 되도록 한다(S25).
만일, 사용자가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에 의한 영상 출력으로 TV를 시청하다가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하여 리모콘(또는 마우스, 키보드 또는 동작 인식 등의 방법)으로 로그인을 시도하였을 경우에는 임의의 슬롯(20)에 구비된 WAKE 신호(평상시에는 HIGH 상태를 유지)를 일정시간 LOW 로 유지하였다가 다시 HIGH 인 상태로 복원함으로써 대기모드 상태인 컴퓨터 블록(110)을 일반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구성요소로서 구비된 슬롯(20)을 사용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컴퓨터 블록과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이 하나의 기판위에서 일체형으로 설계되는 경우에는 슬롯(20)을 사용하지 않고 입출력 제어 허브(ICH, 18) 와 슬롯(20)간에 연결되었던 신호를 직접 결선만으로 리모콘 (또는 마우스, 키보드 또는 동작 인식 등의 방법)에 의하여 수신 신호를 WAKE 신호를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히 대기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하도록 한다(S29).
그리고, 로그인 동작이 검출되면 로그인 창을 생성한다(S33).
그러나, 사용자는 현재 TV 시청중인 상태이므로 생성된 로그인 창이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의 로그인 창처럼 전체화면의 중앙에 로그인 창이 위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로그인 창의 생성 위치를 사용자가 사전에 미리 지정해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지정된 위치(예를 들면 우측 하단 또는 각 모서리의 근접 부분)에 로그인 창을 띄우도록 한다.
이제 사용자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하에서 TV 시청을 원하고 있으므로, 컴퓨터 블록(110)에 의한 영상처리 동작을 시작하기에 앞서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의 PROM(44)으로 부터 앞서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을 통하여 처리되었던 오디오 및 비디오 관련 속성 정보를 읽어온다(S35).
비디오 속성 정보에서 현재의 상태의 채널 정보를 읽어오고, 컴퓨터 블록(110)에 의한 해당 채널의 디지털 TV 처리동작을 수행하여 음성과 영상데이터를 추출한다.
한편, 컴퓨터 블록(110) 주도하에 디지털 TV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은 기존의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의 전반적인 구성 요소를 활용하는 하드웨어 디코딩 방법과 튜너(28)와 Transport 블록(30)만을 이용하여 Transport Stream 데이터만을 입력받아 Multi-Core 기반의 CPU(10)주도로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디코딩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먼저, 기존의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의 전반적인 구성 요소를 활용하는 하드웨어 디코딩 방법은 튜너(28) ~ Transport 블록(30) ~ 비디오 디코딩 블록 (36) ~ VDP 블록(38)의 동작결과 신호(C)를 입출력 제어 허브(ICH, 18)와 메모리 제어 허브(MCH, 12) 를 통하여 메인 메모리 (14)로 전송한 후 CPU (10) 내장 그래픽 처리 블록을 통하여 처리된 신호(B)를 멀티플렉스 스위치(48) S2~3 을 거쳐 출력포트(50)로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튜너(28) ~ Transport 블록(30) ~ 비디오 디코딩 블록 (36) ~ VDP 블록(38) 중에서 VDP 블록(38) 제외한 비디오 디코딩 블록(36)의 결과 신호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입출력 제어 허브(ICH, 18)와 메모리 제어 허브(MCH, 12) 를 통하여 메인 메모리 (14) 로 전송한 후에 지정된 창의 위치 및 크기에 따른 후속 처리는 CPU(10)에서 수행하여 처리된 신호(B)를 멀티플렉스 스위치(48) S2~3 을 거쳐 출력포트(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VDP 블록(38) 또는 비디오 디코딩 블록(36)의 신호처리 결과를 입출력 제어 허브(ICH, 18)와 메모리 제어 허브(MCH, 12)를 통하여 메인 메모리(14)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16)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입출력 제어 허브(ICH, 18)를 거치지 않고 직접 메모리 제어 허브(MCH, 12)를 통하여 메인 메모리(14)로 전송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보다 큰 Bandwidth 를 처리하므로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한편, CPU(10) 주도로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디코딩 방법은 다음과 같다.
Transport 블록(30)으로부터 출력되는 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 허브(ICH, 18)와 메모리 제어 허브(MCH, 12) 를 통하여 메인 메모리(14)로 전송하고, CPU(10)는 연산량이 많은 동작 움직임 보상 (Motion Compensation) 관련된 데이터의 처리만을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16) 측으로 연산 블록 단위로 전송하여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16)에 의하여 처리된 결과를 되돌려 받아 전반적인 디코딩 동작을 수행한다. 사전에 지정된 위치와 크기의 창 (Window)에 맞도록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 허브(MCH, 12)를 통하여 메인 메모리(14)상의 특정 영역에 저장을 한 후 메모리 제어 허브(MCH, 12)와 CPU(10)의 내장 그래픽 처리 블록을 통한 최종 출력 신호(B)로 형태로 변환하여 멀티플레스 스위치(48)을 통하여 출력포트(50)으로 전송한다.
만일, CPU(10) 내장 그래픽 처리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 (16)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CPU(10)에 의하여 디코딩된 TV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 제어 허브(MCH, 12)를 통하여 메인 메모리(14)상의 특정 영역에 저장되고 최종적인 영상데이터의 출력을 위하여 메모리 제어 허브(MCH, 12) 를 통하여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16)를 거쳐 멀티플렉스 스위치(46)의 S2~3 경로와 종단의 멀티플렉스 스위치(48)의 S2~3 경로를 거쳐 출력포트(50)로 전송된다. CPU(10) 내장 그래픽 처리장치를 처음부터 사용하지 않도록 설계를 한다면 전단의 멀티플렉스 스위치(46)를 사용하지 않고 그래픽 신호 처리장치(16)의 출력 신호(D)를 직접 종단의 멀티플렉스 스위치(48)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37).
사용자가 로그인을 위한 ID 및 암호를 정상적으로 입력하였는 지를 확인한다(S39).
만일, 사용자가 사전에 자동 로그인을 위한 지정된 ID 와 암호를 입력해 놓았다면 사용자의 직접적인 로그인을 위한 간여 없이 자동으로 로그인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일단 로그인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으면, 별도의 설정 변경에 의하여 로그오프가 되도록 하지 않은 이상에는 한 번의 로그인 동작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즉, 로그인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S37 ~ S39 ~ S41 ~ S43 ~ S45 ~ S37 로 이어지는 단계에서 단계 S39 는 생략되어 진다.
컴퓨터 블록에 의한 영상표시 창 생성 및 영상화면을 출력한다(S41).
이때, 컴퓨터 블록(110)은 사전에 미리 지정된 위치 및 화면 크기의 창(Window) 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이것에 맞추어 TV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하여 로그인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전단 및 종단의 멀티플렉스 스위치(46, 48)를 컴퓨터 블록(110)에 의하여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단계 S3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의 설정 방향을 각각 위치시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포트(50)로 전달되도록 한다(S43).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에서 사용되지 않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리셋 상태를 유지하여 절전 모드가 되도록 전환한다(S45).
별도의 로그오프나 전원을 끄지 않는 경우에는 컴퓨터 블록(110)에 의한 디지털 TV 처리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37)
만일, 사용자가 TV 영상출력 창을 최대의 크기로 변환한 경우에는 사전의 동작모드 지정 상태에 따라 컴퓨터 블록(110) 주도의 TV 영상출력 창을 최대의 크기로 한 상태로 TV 시청을 할 수도 있고, 또는 절전 모드로 유지되고 있던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의 해당 구성요소를 다시 활성화하여 전체적인 TV 영상 출력이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하고 이때는 멀티플렉스 스위치 (48)도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의 최종 출력신호(A)가 전달되는 경로인 S1~3 을 유지되도록 전환하고, 컴퓨터 블록(110)을 대기모드로 전환하며 설정에 따라서 자동 로그오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100)으로, 전원을 켜면 처리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며 공용으로 사용되는 목적이 강한 TV 를 전체 화면(Full-Screen)의 크기로 우선적으로 출력하여 TV 시청을 먼저 하도록 하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플레쉬 SSD(24)에 설치된 운영체제의 부팅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컴퓨터의 사용은 사용자가 별도의 로그인 동작을 시도한 이후에 컴퓨터 화면으로 전환하여 사전에 미리 지정된 위치 및 화면 크기로 창을 띄워서 이곳에 TV 영상 표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발명출원 제 10-2006-0072407호의 "컴퓨터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부팅 방법"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램디스크에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램디스크로 부터 운영체제가 1초 내외로 부팅이 완료되도록 한다면 부팅에 소요시간이 거의 대등한 수준으로 되기 때문에 처음부터 컴퓨터를 사용할 목적으로 본 발명의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을 켜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사전에 환경변수의 설정을 통하여 멀티플렉스 스위치(48)의 초기 설정 방향을 컴퓨터 블록(110)의 출력신호 (B 또는 D)를 출력포트(50)로 전달되도록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TV 시청과 관련된 현재 상태의 정보를 PROM(44) 또는 운영체제가 설치된 저장 매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쉬 SSD(24) 또는 램디스크 등)에 저장하여 다음의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을 켜는 경우에 참고하도록 한다. 이 때, PROM(44)에 저장되는 TV 시정과 관련된 현재 상태의 정보에는 현재 TV 를 시청 중이었는지 여부, 가장 최근의 TV 시청시의 컴퓨터 화면상의 화면 위치 및 크기 정보, 채널 정보, 화질 및 화면 분할과 관련된 정보, 화면 동기 정보, 볼륨 정보, 음장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 등이 있다.
상기에서 화면 동기 정보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처리하기 위한 Dummy frame 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에서 처리된 전체화면 크기의 영상 데이터가 컴퓨터 로그인과 더불어 사라짐과 동시에 컴퓨터가 띄운 지정된 위치 및 크기의 창(Window)에 컴퓨터 블록(110) 주도의 TV 영상 처리동작에 의한 화면 출력시 상호간의 영상데이터가 처리되는 알고리즘이나 사용하는 칩이 다름으로 인하여 화면의 동기가 맞지 않을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컴퓨터 블록(110) 주도의 TV 화면 처리가 첫 화면을 출력하기까지의 시간이 다소 더 걸릴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개발단계에서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의 비디오 디커딩 블록(36)에서 몇 프레임 분량의 Dummy 화면 데이터 (예, 블랙화면, 또는 로고표시 화면 등)를 삽입하여 동기를 맞출 수 있다.
만일,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에서 첫 프레임의 TV 화면을 출력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컴퓨터 블록(110) 주도의 첫 프레임의 TV 화면을 출력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더 걸리는 경우에는 컴퓨터 블록(110) 주도의 TV 화면을 출력하는 비디오 디코딩 처리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Dummy 프레임 데이터를 삽입하여 사전에 동기를 맞춰 놓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200)을 통하여 얻어지는 첫 프레임의 TV 화면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PROM(44)에 저장을 해 놓고, 이어서 컴퓨터 블록(110)을 통하여 얻어지는 첫 프레임의 TV 화면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역시 PROM(44)의 다른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을 해 놓은 다음 상호간의 시간차에 따라서 첫 프레임의 TV 화면을 출력하는 쪽이 짧은 측에 해당 시간 차 만큼의 Dummy 프레임을 최초 디코딩 시에 삽입하도록 하여 화면 전환이 매끄럽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TV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출력하는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과 컴퓨터 블록; 및
    상기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 또는 상기 컴퓨터 블록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스위칭하는 멀티플렉스 스위치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전원이 켜졌을 때 상기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하여 출력되는 TV 영상신호를 전체화면 크기로 출력하면서, 컴퓨터 블록의 부팅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비휘발성 저장수단으로 부터 이전의 영상 속성 정보를 독출하여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한 영상처리 모드가 지정되어 있으면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한 영상처리를 수행하고, 컴퓨터 블록에 의한 영상처리 모드가 지정되어 있으면 컴퓨터 블록에 의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하여 출력되는 TV 영상신호를 전체화면 크기로 출력하면서 컴퓨터 블록의 부팅 동작이 완료되면 컴퓨터 블록을 절전을 위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로그인 동작을 검출시 대기모드를 일반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로그인 창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로그인 창의 생성과 동시에 비휘발성 저장수단으로 부터 이전의 영상 속성 정보를 독출하여 동일한 채널의 TV 영상처리 동작을 컴퓨터 블록에 의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로그인 동작과 동시에 비휘발성 저장수단으로 부터 이전의 영상 속성 정보를 독출하여 사전에 지정된 위치 및 크기의 창을 통하여 컴퓨터 블록에 의하여 수행된 영상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한 첫 프레임의 TV 영상 출력 시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이어 컴퓨터 블록에 의한 첫 프레임의 TV 영상 출력 시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첫 프레임의 TV 영상 출력이 짧은 측의 영상처리 동작시에 산출된 시간차이에 해당하는 Dummy 프레임을 추가하여 상호간 화면 전환시 영상 동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 스위치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로그인 이전에는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출력포트로 전달하고, 로그인 이후에는 컴퓨터 블록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출력포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 스위치는
    DVI, HDMI, Display Port 와 같은 직렬차동 인터페이스용 출력포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 스위치는
    상기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한 영상처리 동작 시에는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으로 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출력포트로 전달하고, 컴퓨터 블록에 의한 영상처리 동작 시에는 컴퓨터 블록으로 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출력포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로그인 창이 전체 화면의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사전에 지정된 위치 및 크기의 창을 통하여 컴퓨터 블록에 의하여 수행된 영상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중에 최대화면 크기로 변환된 경우 사전의 동작모드 지정 상태에 따라 컴퓨터 블록에 의한 영상출력 창을 최대의 크기로 한 상태로 TV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고,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한 영상출력인 경우에는 전체 화면의 크기로 TV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컴퓨터 블록에 의한 영상출력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하드웨어 영상 처리 블록 중 동작에 관계되지 않는 블록을 절전을 위하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한 영상출력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컴퓨터 블록에 대한 절전을 위한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하드웨어 영상처리 블록에 의한 영상출력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컴퓨터 블록에 대하여 사전에 지정되어 있는 설정 상태에 따라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로그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KR1020120062225A 2012-06-11 2012-06-11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 KR20130138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225A KR20130138543A (ko) 2012-06-11 2012-06-11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225A KR20130138543A (ko) 2012-06-11 2012-06-11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543A true KR20130138543A (ko) 2013-12-19

Family

ID=4998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225A KR20130138543A (ko) 2012-06-11 2012-06-11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85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6313B2 (en) 2015-07-24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of display apparatus
CN111447467A (zh) * 2020-04-25 2020-07-24 杨益 一种视频内容管理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6313B2 (en) 2015-07-24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of display apparatus
CN111447467A (zh) * 2020-04-25 2020-07-24 杨益 一种视频内容管理系统
CN111447467B (zh) * 2020-04-25 2021-11-19 李瑶 一种视频内容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09487A1 (zh) 音频数据流输出的控制方法及显示设备
JP454148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TWI482485B (zh) 影音播放系統、影音播放系統之控制方法及顯示裝置
EP1940055B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with improved start-up speed and start-up method for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CN112565839B (zh) 投屏图像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11601134B (zh) 一种显示设备中时间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2015012191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12214189A (zh) 图像显示方法及显示设备
US20230017791A1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operation prompt information of input control
CN111866593B (zh) 一种显示设备及开机界面显示方法
WO2021189708A1 (zh) 一种显示设备开启屏幕保护的方法及显示设备
US11550527B2 (en) Media file processing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060017850A1 (en) Video combi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13452932B (zh) 一种显示设备及显示方法
CN112055245B (zh) 一种彩色字幕实现方法及显示设备
JP2006033739A (ja) 電子機器、映像データ受信方法および映像データ受信装置
KR20130138543A (ko) 디지털 tv 신호처리 블록이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
CN103188545A (zh) 显示设备及其图像显示方法
Talla et al. Using DaVinci technology for digital video devices
CN111954043A (zh) 一种信息栏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12565915B (zh) 显示设备和显示方法
US200502591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12218156B (zh) 一种调节视频动态对比度的方法及显示设备
EP2620867A2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65066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