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841A - 모니터 승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책상 - Google Patents

모니터 승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841A
KR20130137841A KR1020120061428A KR20120061428A KR20130137841A KR 20130137841 A KR20130137841 A KR 20130137841A KR 1020120061428 A KR1020120061428 A KR 1020120061428A KR 20120061428 A KR20120061428 A KR 20120061428A KR 20130137841 A KR20130137841 A KR 20130137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onitor
operating member
fixe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6669B1 (ko
Inventor
김찬
Original Assignee
김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 filed Critical 김찬
Priority to KR102012006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66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47B21/007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liftable above the des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된 모니터의 승강을 용이하게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책상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승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는 모니터 장착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승강 작동시 상기 브라켓의 상승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승강 작동부를 포함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한 책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니터 승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책상{Monitor Elevating Device and Des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니터 승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책상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장착된 모니터의 승강을 용이하게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책상에 대한 것이다.
컴퓨터나 TV 등 전자기기의 활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컴퓨터에 연결되는 컴퓨터용 모니터 또는 LCD나 LED TV와 같은 박판형 TV 모니터가 가정 및 사무실 등에 설치되어 있다.
컴퓨터용 모니터의 경우 일반적으로 책상 위에 설치되고, TV 모니터는 벽걸이 형태 또는 스탠드형 거치대에 설치된다. 그런데 공간이 좁은 경우 이러한 모니터는 공간 활용도를 저해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935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승강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특허에 따른 승강장치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어 작은 힘으로 물체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에 따른 승강장치는 가스 스프링과 인장 스프링이 연결된 회전부재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선반을 구비한다.
상기 특허에서 더 나아가, 모니터를 효과적으로 부착시키고 승강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승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는 모니터 장착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승강 작동시 상기 브라켓의 상승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승강 작동부를 포함하는 모니터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모니터 장착 브라켓이 고정되는 상부 브라켓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 작동부의 지지 롤러가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작동부는, 상기 지지 롤러를 말단에 구비하고 회전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에 회전 모멘텀을 부여하는 제 2 작동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결합된 제 1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에는 복수의 설치홈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부재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를 달리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 2 작동부재 및 상기 제 1 작동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설치홈에 고정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브라켓의 상부 이탈을 제한하는 상부 스토퍼 및 하부 이탈을 제한하는 하부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스토퍼에는 스토핑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스토핑 가이드와 적어도 일부분이 접하는 스토핑 바가 구비되어 상기 스토핑 바가 상기 스토핑 가이드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부 스토퍼를 하강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부 브라켓에는 요홈이 형성된 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 장착 브라켓의 측면에 구비된 걸림 돌기가 상기 요홈에 걸쳐져 상기 모니터 장착 브라켓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 장착 브라켓의 측면 상부의 고정공에는 고정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 볼트가 상기 걸림 돌기가 걸쳐진 거치부와는 다른 거치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모니터 장착 브라켓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는, 상기 브라켓에 주변기기 수납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모니터 승강장치를 구비한 책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수동으로 모니터를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 장착 브라켓의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어 모니터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의 상하부에 스토퍼를 구비하여 브라켓의 상승 및 하강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 관련 주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주변기기 수납부가 모니터와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승강 작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브라켓의 후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스토퍼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를 구비한 책상으로서 모니터 승강장치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를 구비한 책상으로서 모니터 승강장치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승강 작동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1)는, 가이드 레일(10)과,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승강하는 브라켓(30)과, 브라켓(30)의 승강 작동시 브라켓(30)의 상승을 위한 힘을 제공하는 한편 하강시 모니터의 무게에 의해 브라켓(30)가 급격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 작동부(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10)은 고정판(3)에 고정된다.
도 2을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10)은 양측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의 제 1 레일(12)과 제 2 레일(16), 및 제 1 레일(12)과 제 2 레일(16)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전면을 향해 개방된 중앙 레일(14)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10)에는 브라켓(30)의 상승 작동시 상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 스토퍼(18)와, 브라켓(30)의 하강 작동시 하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스토퍼(22)가 구비된다. 상부 스토퍼(18)는 상부 스토퍼 고정나사(20)에 의해 가이드 레일(10)의 상측에 고정된다. 하부 스토퍼(22)는 하부 스토퍼 고정나사(26)에 의해 가이드 레일(10)의 하측에 고정된다. 하부 스토퍼(22)에는 스토핑 가이드(24)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가이드(24)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어지며 하부에는 홈을 구비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30)은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의해 가이드되는 하부 브라켓(32)과, 상기 하부 브라켓(32)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브라켓(34)을 포함한다. 하부 브라켓(3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가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의해 가이드됨에 따라 가이드 레일(10)의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브라켓(30)의 하강시 하부 브라켓(32)은 하부 스토퍼(22)에 의해 고정 또는 지지되고, 브라켓(30)의 상승시 하부 브라켓(32)의 위쪽 단부는 상부 스토퍼(18)에 의해 지지된다.
브라켓(30)의 상부 브라켓(34)은 하부 브라켓(32)에 결합된 상태로 형성되며,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브라켓(32)과 상부 브라켓(34)은 프레스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34)에는 적어도 하나의 좌우 한 쌍의 거치부(38)가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38)의 쌍은 복수로 형성된다. 복수의 거치부(38)가 구비됨에 따라 모니터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거치부(38)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거치부(38)에는 하방으로 형성된 요 홈(39)이 구비된다. 거치부(38)에는 모니터 장착브라켓(40)이 결합된다. 한편, 브라켓(30)은 지지판(33)을 포함하며, 지지판(33)의 저면은 후술하는 승강 작동부(60)의 지지 롤러(68)에 의해 지지된다.
모니터 장착브라켓(40)은, 모니터가 결합되는 모니터 장착판(42)과, 양 측면의 대략 아래쪽에 구비되는 걸침 돌기(44)와, 양 측면의 대략 위쪽에 구비되는 고정공(46)을 포함한다. 걸침 돌기(44)는 거치부(38)에 형성된 요홈(39)에 걸쳐진다. 고정공(46)에는 고정 볼트(48)가 결합되는데, 걸침 돌기(44)가 어느 한 거치부(38)의 요홈(39)에 걸쳐진 상태에서 고정 볼트(48)는 다른 거치부(38)를 통해 상기 고정공(46)에 결합됨으로써 모니터 장착브라켓(40)이 상부 브라켓(34)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볼트(48)는 상기 고정공(46)에 결합하여 조여짐으로서 상기 거치부(38)의 바깥쪽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모니터 장착브라켓(40)이 상기 상부 브라켓(34)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모니터 장착 브라켓(40)의 후면 폭은 같은 높이에 있는 한 쌍의 거치부(38) 사이의 폭과 대략 같도록 형성되어 모니터 장착 브라켓(40)은 상부 브라켓(34)의 "ㄷ"자 형 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1)는 주변기기 수납부(5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주변기기 수납부(50)는 주변기기 수납부 고정나사(56)에 의해 브라켓(30)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변기기 수납부(50)는 지지판(3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기기 수납부 고정나사(56)는 주변기기 수납부(50)와 지지판(33)의 일부를 각각 관통한 후 하부 브라켓(32)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납부 고정나사(56)는 주변기기 수납부(50)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판(33)에 결합되어 상기 주변기기 수납부(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주변기기 수납부(56)는 하측에 절곡 형성된 제 1 수납부(52)와, 상기 제 1 수납부(52)의 상부에 절곡 형성된 제 2 수납부(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수납부(52)에는 마우스나 리모콘과 같이 소형의 주변기기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수납부(54)에는 키보드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는 주변기기가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 수납부(50)의 제 1 수납부(52)와 제 2 수납부(54)는 한 장의 금속판을 판금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 제 1 수납부(52)와 제 2 수납부(54)의 형상과 용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그 형상과 용도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주변기기 수납부(50)는 상부 또는 측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이거나, 주머니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30) 또는 상기 지지판(33)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1)의 승강 작동부(60)는, 회전 부재(62)와 제 1 작동부재(70) 및 제 2 작동부재(76)를 포함한다.
회전 부재(62)는 회전부재 회전축(6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부재 회전축(66)의 반대쪽에는 지지 롤러(68)가 구비된다. 지지 롤러(68)는 브라켓(30)을 지지하며, 상세하게는 브라켓(30)에 고정된 지지판(33)을 지지한다. 회전 부재(62)에는 일측이 제 2 작동부재 고정단(80)에 고정된 제 2 작동부재(76)가 결합되는 한편, 일측이 제 1 작동부재 고정단(72)에 고정된 제 1 작동 부재(70)가 결합된다.
제 1 작동부재(70)와 제 2 작동부재(76)는 상기 회전 부재(62)에 대해 상방향(즉, 도 1 또는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모멘텀을 부가한다. 이러한 제 1 작동부재(70)와 제 2 작동부재(76)는 사용자가 모니터 승강장치(1)를 상승시키기 위해 적은 힘을 가하여도 모니터 승강장치(1)의 상승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제 1 작동부재(70)와 제 2 작동부재(76)에 의해 회전 부재(62)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텀은 모니터를 포함한 다른 구성에 의한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 모멘텀보다 같거나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브라켓(30)이 하강된 상태에서 다른 구성에 의해 하강 위치로 고정될 수 있는 경우라면, 제 1 작동부재(70)와 제 2 작동부재(76)에 의해 회전 부재(62)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텀은 모니터를 포함한 다른 구성에 의한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 모멘텀보다 약간 크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작동부재(70)와 제 2 작동부재(76)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라켓(30)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제 1 작동부재(70)는 압축된 상태이고 제 2 작동부재(76)는 신장된 상태가 될 것이다. 또한,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작동부재(70) 또는 제 2 작동부재(76) 중 적어도 하나는 가스 스프링이나 유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회전 부재(62)에 회전 모멘텀을 가하면서도 급격한 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또는 도 3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작동부재(70)를 가스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제 1 작동부재(70)와 제 2 작동부재(76)에 의한 회전 모멘텀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부재(62)에는 복수의 설치홈(6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홈(64)에는 제 2 작동부재 설치단(64)과 제 1 작동부재 설치단(74)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있어서는 제 2 작동부재 설치단(64)이 제 1 작동부재 설치단(74)에 비해 상기 회전부재 회전축(66)으로부터 더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제 2 작동부재 설치단(64)과 제 1 작동부재 설치단(74)의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회전 부재(62)와 제 1 작동부재(70) 및 제 2 작동부재(76)를 포함하는 승강 작동부(60)의 구성은 전동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승강 작동부를 구성하는 경우 전동 모터의 회전에 따라 승강 작동부(60)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동 모터의 동력을 브라켓(30)에 전달하기 위해 피니언-랙 기어 방식과 같이 전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때, 랙 기어는 브라켓(3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브라켓(30)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하였는데, 브라켓(30)의 하단은 하부 스토퍼(22)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다. 지지 롤러(68)는 지지판(33)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있다.
모니터 장착 브라켓(40)은 거치부(38)에 거치된 상태로 상부 브라켓(34)에 고정된다. 모니터 장착 브라켓(40)의 걸림 돌기(44)는 거치부(38)의 요홈(39)에 걸쳐진 상태이다. 이에 따라 모니터 장착 브라켓(40)은 거치부(38)에 거치된다. 한편, 고정 볼트(48)는 걸림 돌기(44)가 걸쳐진 거치부(38)와는 다른 거치부(38)에서 모니터 장착 브라켓(40)의 고정공(46)에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장착 브라켓(40)의 각도를 조절한 후 고정 볼트(48)를 조일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모니터의 장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브라켓의 후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스토퍼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브라켓(30)의 하부 브라켓(32) 후면에는 제 1 가이드 롤러(82)와, 제 2 가이드 롤러(86), 및 중앙 가이드 롤러(84)가 구비된다. 제 1 가이드 롤러(82)와 제 2 가이드 롤러(86)는 가이드 레일(10)의 제 1 레일(12)과 제 2 레일(16)에 의해 가이드된다. 또한, 중앙 가이드 롤러(84)는 중앙 레일(14)에 의해 가이드된다. 제 1 가이드 롤러(82)와 제 2 가이드 롤러(86)는 제 1 레일(12)과 제 2 레일(16)에 의해 각각 가이드됨에 따라 브라켓(30)이 가이드 레일(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브라켓(30)에는 스토핑 바(9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핑 바(90)의 상부는 스토핑바 장착부(88)를 통해 하부 브라켓(32)에 구비될 수 있다. 스토핑바 장착부(88)는 개방공(89)과 상기 개방공(89)에서 돌출 형성된 결착 돌기(87a, 87b)를 포함한다. 스토핑 바(90)의 상부에는 절곡부(92a, 92b)가 형성되어, 절곡부(92a, 92b)가 상기 결착 돌기(87a, 87b)에 결합함으로써 스토핑 바(90)가 장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스토핑 바(90)는 용접 등 다른 방법에 의해 브라켓(3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스토핑 바(90)는 탄성복원이 가능한 상태로 구비된다. 스토핑 바(90)의 하부에는 지지바(94)가 구비된다. 지지바(94)는 하부 스토퍼(22)의 스토핑 가이드(24)의 외측 호 형상에 접한다. 브라켓(30)이 하강하면, 스토핑 바(90)의 상기 지지바(94)는 스토핑 가이드(24)의 외측 호 형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토핑 바(90)가 하강함에 따라, 지지바(94)는 스토핑 가이드(24)의 바깥쪽 호형상을 따라 하강한다(1→2→3→4). 도 7의 "4"번 위치에서 브라켓(30)을 하강시키는 힘을 제거하면 스토핑 바(90)의 탄성에 의해 지지바(94)는 도 7의 "0"번 위치, 즉 홈에 삽입되어 브라켓(30)이 하강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브라켓(30)을 다시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스토핑 바(90)의 지지바(94)는 스토핑 가이드(24)의 아래쪽 홈을 이탈하여 고정된 위치를 벗어나게 되고 브라켓(30)이 승강 작동부(60)에 의해 상승하도록 한다(5→6→7).
이렇게 스토핑 바(90)와 하부 스토퍼(22)의 구성에 의해 브라켓(30)이 하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경우에는 제 1 작동부재(70)와 제 2 작동부재(76)에 의한 회전 모멘텀이 모니터 등에 의한 회전 모멘텀보다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의 상승 작동은 제 1 작동부재(70)와 제 2 작동부재(76)에 의한 회전 모멘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하부 스토퍼(22)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작동부재(70)와 제 2 작동부재(76)에 의한 회전 모멘텀이 모니터 등에 의한 회전 모멘텀보다 약간 작도록 설정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추가적인 외력을 가해 모니터가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를 구비한 책상으로서 모니터 승강장치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를 구비한 책상으로서 모니터 승강장치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니터(M)는 모니터 장착 브라켓(40)에 장착되어 있고, 모니터 승강장치(1)의 브라켓(30)은 하강된 상태이다. 지지 롤러(68)는 지지판(33)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고정판(3)은 책상(100)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M)의 상승을 위한 약간의 힘을 가하면, 제 1 작동부재(70) 및 작동부재(76)의 힘에 의해 모니터(M)가 상승하여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9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M)를 하방으로 누르면 모니터(M)는 하강한다.
도 8과 도 9에 있어서, 제 1 작동부재(70)와 제 2 작동부재(76)는 모니터 승강장치(1)의 상승시 모니터 승강장치(1)의 상승이 가능하도록 하고, 하강시에는 모니터 승강장치(1)가 하강하는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모니터 승강장치(1)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한다.
도 7 및 8에 있어서 모니터 승강장치(1)를 구비한 책상은 컴퓨터 책상이거나 TV 설치대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모니터 승강장치
3 : 고정판
10 : 가이드 레일
30 : 브라켓
40 : 모니터 장착 브라켓
50 : 주변기기 수납부
60 : 승강 작동부

Claims (12)

  1.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승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는 모니터 장착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승강 작동시 상기 브라켓의 상승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승강 작동부
    를 포함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모니터 장착 브라켓이 고정되는 상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 작동부의 지지 롤러가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작동부는, 상기 지지 롤러를 말단에 구비하고 회전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에 회전 모멘텀을 부여하는 제 1 작동부재와 제 2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작동부재와 상기 제 2 작동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가스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에는 복수의 설치홈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부재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를 달리하며 구비되고, 상기 제 1 작동부재 및 상기 제 2 작동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설치홈에 고정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브라켓의 상부 이탈을 제한하는 상부 스토퍼 및 상기 브라켓의 하강시 상기 브라켓을 고정하는 하부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스토퍼에는 스토핑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스토핑 가이드와 적어도 일부분이 접하는 스토핑 바가 구비되어 상기 스토핑 바가 상기 스토핑 가이드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부 스토퍼를 하강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부 브라켓에는 요홈이 형성된 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 장착 브라켓의 측면에 구비된 걸림 돌기가 상기 요홈에 걸쳐져 상기 모니터 장착 브라켓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장착 브라켓의 측면 상부의 고정공에는 고정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 볼트가 상기 걸림 돌기가 걸쳐진 거치부와는 다른 거치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모니터 장착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주변기기 수납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 수납부는 절곡된 형상의 제 1 수납부와, 상기 제 1 수납부의 상부에서 절곡된 제 2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니터 승강 장치와,
    상기 모니터 승강 장치가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책상.
KR1020120061428A 2012-06-08 2012-06-08 모니터 승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책상 KR101356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428A KR101356669B1 (ko) 2012-06-08 2012-06-08 모니터 승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428A KR101356669B1 (ko) 2012-06-08 2012-06-08 모니터 승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841A true KR20130137841A (ko) 2013-12-18
KR101356669B1 KR101356669B1 (ko) 2014-02-03

Family

ID=4998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428A KR101356669B1 (ko) 2012-06-08 2012-06-08 모니터 승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763B1 (ko) 2015-09-23 2016-10-17 주식회사 케이피 모니터 승강장치 및 키보드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책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3533B2 (ja) * 1997-09-30 2002-01-07 コクヨ株式会社 昇降力調整装置
KR20110137641A (ko) * 2010-06-17 2011-12-23 오동현 모니터 위치 가변형 전자교탁의 구조
KR101029355B1 (ko) * 2010-08-04 2011-04-13 김찬 승강장치
KR101185888B1 (ko) 2011-03-30 2012-09-25 김찬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669B1 (ko)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1467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20110026655A (ko) 영상표시장치의 승강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표시장치
KR20070115254A (ko) 모니터 스탠드
CN103201781A (zh) 适配器保持器和具有适配器保持器的显示装置
WO2016093715A1 (en) Workshop table with a support for audiovisual products
CN201127074Y (zh) 一种平板电视的电动支架
KR101356669B1 (ko) 모니터 승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책상
CN206401831U (zh) 一种可调节的通信夹板
KR101443146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지지장치
CN208963564U (zh) 一种带有保护功能的玻璃周转架
CN101943311A (zh) 一种多功能电视支架
CN109027603A (zh) 一种计算机显示器手摇升降装置
CN211118571U (zh) 一种便于调节安装的工业自动化仪表
CN203286234U (zh) 新型落地式电视机架
CN213401011U (zh) 一种高强度继电器外壳
CN108903242A (zh) 一种升降桌
EP3282893B1 (en) Rectangular frame with height adjustment for a first and/or second device for coupling to the frame
KR101357219B1 (ko) 모니터 승강장치
CN202082570U (zh) 睡床及其内藏式平板显示设备纤薄型电动升降台装置
CN218002579U (zh) 一种多功能安装的传感器
KR102036628B1 (ko) 자동 설치대
KR200351399Y1 (ko) 벽걸이 텔레비전의 상하 이동장치
CN218468670U (zh) 方便移动的广播影视用拍摄支架
CN217583805U (zh) 一种显示屏升降旋转装置及电子设备
KR101029355B1 (ko)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