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422A -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422A
KR20130137422A KR1020120061018A KR20120061018A KR20130137422A KR 20130137422 A KR20130137422 A KR 20130137422A KR 1020120061018 A KR1020120061018 A KR 1020120061018A KR 20120061018 A KR20120061018 A KR 20120061018A KR 20130137422 A KR20130137422 A KR 20130137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ddress book
location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호
박태형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7422A/ko
Publication of KR2013013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1 내지 제N(여기서, N= 2,3,4 ...N)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각각의 사용자 주소록 정보가 일대일로 매칭되도록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제1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담당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가 해외인지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와, 상기 위치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가 해외로 판단되면,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가 주소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확인하는 사용자 확인부 및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위치 확인부에서 확인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 정보-여기서, 국가(또는 도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를 나타내는 이름 또는 상징물임-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dress Book Information}
본 발명은 주소록에 등록된 지인이 위치한 지역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소록에 등록된 지인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외로 이동하면 지인의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를 주소록에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필수품이 되었다. 초기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과 무선 인터넷의 도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게임, 위성 방송의 시청,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리모컨,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 등 그 활용 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위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크게 향상되기 전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사용자와 관련된 사람들의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하는 연락처 정보를 별도의 메모 가능한 수첩이나 노트에 메모하여 관리하였으나,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사람들의 연락처를 등록하여 관리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간단히 조작하여 쉽고 간편하게 지인들의 연락처를 확인하고 지인들에게 연락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연락처는 사용자가 입력했을 당시의 간단한 정보만 반영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정보만으로는 지인이 현재 상태를 알 수가 없다.
특히, 지인이 사정에 의해서 해외로 이동한 경우 사용자는 지인의 상황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지인이 위치한 지역과 시간대를 고려치 않고 평소대로 전화를 하게 되면 지인의 생활이나 업무를 방해하거나 로밍 과금에 따른 금전적 피해를 주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외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외로 이동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주소록에 등록한 사람들의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해외로 이동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1 내지 제N(여기서, N= 2,3,4 ...N)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각각의 사용자 주소록 정보가 일대일로 매칭되도록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제1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담당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가 해외인지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와, 상기 위치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가 해외로 판단되면,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가 주소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확인하는 사용자 확인부 및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위치 확인부에서 확인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 정보-여기서, 국가(또는 도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를 나타내는 이름 또는 상징물임-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ID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이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 사전에 생성하는 식별용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포함된 상기 기지국이 설치된 국가를 나타내는 MCC(MCC : Mobile Country Code, 이동 국가 코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를 나타내는 MNC(MNC : Mobile Network Code, 이동 네트워크 코드) 또는 동일 PLMN(PLMN : Public Land Mobile Network, 네트워크 사업자 식별번호) 내에서 위치 지역을 나타내는 LAC(LAC : Location Area Code, 위치 지역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 아이콘,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표현된 알림 표시가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N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제N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알림 표시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확인부를 통해 확인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의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생성하는 편집부를 더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주소록은, 메신저 버디 리스트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주소록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목록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주소록 정보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소록 정보 제공 방법은, (a) 제1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담당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를 통해 확인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가 해외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가 해외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확인한 후, 상기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N(여기서, N= 2, 3, 4,..., N)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ID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이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 사전에 생성하는 식별용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ID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이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 사전에 생성하는 식별용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단계 (a)는, 상기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포함된 상기 기지국이 설치된 국가를 나타내는 MCC(MCC : Mobile Country Code, 이동 국가 코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를 나타내는 MNC(MNC : Mobile Network Code, 이동 네트워크 코드) 또는 동일 PLMN(PLMN : Public Land Mobile Network, 네트워크 사업자 식별번호) 내에서 위치 지역을 나타내는 LAC(LAC : Location Area Code, 위치 지역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단계 (d)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제N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단계 (d)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의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단계 (d)는, 상기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 아이콘,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표현된 알림 표시가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N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제N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알림 표시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단계 (d)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국가(또는 도시)의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국가(또는 도시)의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상기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주소록은, 메신저 버디 리스트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주소록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목록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주소록 정보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외로 이동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주소록에 등록한 사람들의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해외로 이동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이 주소록에 등록된 지인이 통화 가능한 시간대에 통화를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인의 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는 시간대나 지인의 업무 시간대를 고려하여 통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주소록에 등록된 지인들에 대한 불필요한 통화를 방지하고 로밍 설정을 한 지인의 금전적 피해를 m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일실예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 제1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 제2 예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주소록에 등록된 지인이 위치한 지역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은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 기지국(200), 해외 통신망(300), 국내 이동통신망(400), 주소록 정보 제공 서버(500) 및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국내에서 해외로 로밍한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주소록 정보 제공 서버(500)와 연동하여 주소록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는 모두 가능하다. 또한,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는 국내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며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인 제1 사용자를 주소록에 등록한 사용자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인 제2 내지 제N(N=2, 3, 4, ..., N)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통해 전화 기능과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인의 연락처를 등록한 주소록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지인의 연락처는 주소록 정보 제공 서버(500)에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200)는 무선 송수신기로 구성된 장비이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링크를 통하여 음성 및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해외 이동통신망(300)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한다. 여기서, 기지국(200)는 기지국 제어기(미도시)와 이동교환국(미도시)에 의해 제어 및 관리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기지국 제어기와 이동교환국에서 기지국(200)을 제어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기지국(200)은 기지국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지국의 위치정보는 기지국이 설치된 국가를 나타내는 MCC(MCC : Mobile Country Code, 이동 국가 코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를 나타내는 MNC(MNC : Mobile Network Code, 이동 네트워크 코드), 동일 PLMN(PLMN : Public Land Mobile Network, 네트워크 사업자 식별번호) 내에서 위치 지역을 나타내는 LAC(LAC : Location Area Code, 위치 지역 코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외 이동통신망(300)과 국내 이동통신망(400)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 주소록 정보 제공 서버(500) 및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한다.
주소록 정보 제공 서버(500)는 국내외 이동통신망(300, 400)을 통해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와 연동하여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의 사용자가 사전에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주소록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또한, 주소록 정보 제공 서버(50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통해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해외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고,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해외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인 제1 사용자를 주소록에 등록한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주소록은 메신저 버디 리스트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목록인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일실예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 제1 예시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 제2 예시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소록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상의 주소록 정보 제공 서버(5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일 뿐,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정보 제공 서버(500)는 통신부(520), 저장매체(530), 위치 확인부(540), 위치 판단부(560), 사용자 확인부(570), 편집부(580), 처리부(590) 및 각각의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주소록 정보 제공 서버(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을 위해 도면 상에는 단일 서버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각의 수단이나 구성부가 각각 하나 이상의 서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52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국가(또는 도시) 정보를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로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부(520)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로부터 주소록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매체(530)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를 사용하는 각각의 사용자들의 사용자 ID와 각각의 사용자들의 주소록 정보가 일대일로 매칭되도록 연결하여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ID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가 주소록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하면서 생성한 식별용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매체(530)는 도 3과 같이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 400)의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각각의 사용자가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한 주소록 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00, 400)의 전화번호 이외에 사용자 ID를 기준으로 각각의 사용자가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한 주소록 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부(540)는 통신부(520)를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2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확인부(540)는 기지국(200)의 위치정보에 포함된 MCC, MNC 및 LA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가 어느 국가(또는 도시)에 위치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판단부(560)는 위치 확인부(540)를 통해 확인된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위치가 해외인지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판단부(560)는 위치 확인부(540)에서 확인된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가 국내가 아닌 경우 제1 사용자의 위치가 해외인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확인부(570)는 위치 판단부(560)를 통해 제1 사용자가 해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확인한 후, 저장매체(53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가 주소록에 포함된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의 사용자 ID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3과 같이 사용자 ID가 전화번호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a'와 같이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인 전화번호가 '010-1234-0001'인 경우, 사용자 확인부(570)는 도 3의 'b', 'b''와 같이 전화번호 '010-1234-0001'를 주소록 정보에 포함하는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의 사용자 ID인 '010-1234-0002'와 '010-1234-0003'을 확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부(580)는 위치 확인부(540)를 통해 확인한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의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590)는 사용자 확인부(570)를 통해 확인된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주소록에 포함한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처리부(590)는 도 4의 (a)와 같이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텍스트('c') 형식, 아이콘('d') 또는 이미지('d') 형식으로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처리부(590)는 도 4의 (a)와 같이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텍스트('c') 형식, 아이콘('d') 또는 이미지('d') 형식으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처리부(590)는 편집부(580)에서 생성한 국가(또는 도시)의 이미지 또는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처리부(590)는 도 5의 (a)와 같이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있음을 알리는 알림 표시 아이콘('e')을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출력된 알림 표시 아이콘('e')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면 도 5의 (b)와 같이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팝업('f') 형식으로 출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주소록에 등록된 지인이 위치한 지역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인 제1 사용자가 국내에서 해외로 로밍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주소록 정보 제공 서버(500)의 제어부(510)는 통신부(520)를 통해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담당하는 기지국(200)으로부터 기지국(2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S610).
이어서, 위치 확인부(540)는 통신부(520)를 통해 수신된 기지국(200)의 위치정보에 포함된 MCC, MNC 및 LA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를 확인한다(S620).
이어서, 위치 판단부(560)는 위치 확인부(540)를 통해 확인된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위치가 해외인지 판단한다(S640).
만일. 단계 S640에서 제1 사용자의 위치가 해외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확인부(570)는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확인하고(S650), 저장매체(53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가 주소록에 포함된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의 사용자 ID를 확인한다(S660).
이어서, 처리부(590)는 사용자 확인부(360)를 통해 확인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 ID를 주소록에 포함한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600)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를 도 4와 도 5와 같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S670).
100 : 제1 이동통신 단말기 200 : 기지국
300 : 해외 이동통신망 400 : 국내 이동통신망
500 : 주소록 정보 제공 서버 510 : 제어부
520 : 통신부 530 : 저장매체
540 : 위치 확인부 560 : 위치 판단부
570 : 사용자 확인부 580 : 편집부
590 : 처리부 600 :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
610 : 제2 이동통신 단말기 620 : 제3 이동통신 단말기
N : 제N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

Claims (21)

  1.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1 내지 제N(여기서, N= 2,3,4 ...N)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각각의 사용자 주소록 정보가 일대일로 매칭되도록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
    제1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담당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가 해외인지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상기 위치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가 해외로 판단되면,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가 주소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확인하는 사용자 확인부; 및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위치 확인부에서 확인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 정보-여기서, 국가(또는 도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를 나타내는 이름 또는 상징물임-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ID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이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 사전에 생성하는 식별용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포함된 상기 기지국이 설치된 국가를 나타내는 MCC(MCC : Mobile Country Code, 이동 국가 코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를 나타내는 MNC(MNC : Mobile Network Code, 이동 네트워크 코드) 또는 동일 PLMN(PLMN : Public Land Mobile Network, 네트워크 사업자 식별번호) 내에서 위치 지역을 나타내는 LAC(LAC : Location Area Code, 위치 지역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 아이콘,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표현된 알림 표시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제N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알림 표시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부를 통해 확인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의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생성하는 편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은,
    메신저 버디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목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주소록 정보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매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11. (a) 제1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담당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를 통해 확인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가 해외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가 해외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확인한 후, 상기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ID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N(여기서, N= 2, 3, 4,..., N)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ID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이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 사전에 생성하는 식별용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포함된 상기 기지국이 설치된 국가를 나타내는 MCC(MCC : Mobile Country Code, 이동 국가 코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를 나타내는 MNC(MNC : Mobile Network Code, 이동 네트워크 코드) 또는 동일 PLMN(PLMN : Public Land Mobile Network, 네트워크 사업자 식별번호) 내에서 위치 지역을 나타내는 LAC(LAC : Location Area Code, 위치 지역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제N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의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 아이콘,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표현된 알림 표시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제N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알림 표시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국가(또는 도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국가(또는 도시)의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국가(또는 도시)의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상기 제N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은,
    메신저 버디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목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방법.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주소록 정보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매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정보 제공 방법.
KR1020120061018A 2012-06-07 2012-06-07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137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018A KR20130137422A (ko) 2012-06-07 2012-06-07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018A KR20130137422A (ko) 2012-06-07 2012-06-07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422A true KR20130137422A (ko) 2013-12-17

Family

ID=4998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018A KR20130137422A (ko) 2012-06-07 2012-06-07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74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357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managing communication rules associated with geographic locations
EP2929677B1 (en) Method and devices for language determination for voice to text transcription of phone calls
US20130235987A1 (en) Automatic machine to machine distribution of subscriber contact information
CN1909454B (zh) 用于在装置间提供安全访问的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介质
US109776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callee information and location before call establishment
CN103856324A (zh) 一种身份确认、通讯请求的方法及电子设备
KR10174269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투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JP4499166B2 (ja) 加入者識別符号通知装置
KR20130137423A (ko)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66598B1 (ko)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5069142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端末、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130137422A (ko)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135688A (ko)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205815B1 (ko) 문자 대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문자 대화 제어 방법
KR20130137803A (ko)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23100B1 (ko) 수신 전용 전화번호를 갖는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KR20130135687A (ko)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60003628A (ko) 발신자 등록을 이용한 실질적인 발신정보 제공 시스템 및이의 운용방법
JP6320718B2 (ja) 携帯端末装置、発番サーバ、及び携帯端末プログラム
CN106850929B (zh) 通讯控制方法及通讯装置
KR100710637B1 (ko) 전화번호 갱신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10098505A (ja) 情報通知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KR10194449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투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4282195A (ja) 識別情報の通知方法及び識別情報の通知システム
JP4069851B2 (ja) 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位置情報通知方法及び位置情報通知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